2021/05/02

김현동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식물성 단백 시대 3

(4) Facebook


김현동
1tfuSspon0sorSt eeJoanuumgdarygl ·
<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식물성 단백 시대 3
>

3. 우리에게는 언제부터 이런 과도한 육식 문화가 형성되었나요? 어떤 계기로?
20세기 육식은 인류의 로망이었습니다. 이밥에 고기국이라는 우리 옛말이 있듯이 이의 실현을 위해 인류는 20세기를 달려 왔습니다.
GMO의 개발과 보급은 육식 문화를 확대시키는 원천이었습니다. 몬산토 등의 거대 국제 자본이 대규모로 저가의 GMO 콩과 옥수수 생산에 성공하고, 이를 식용유와 대두박으로 만들었습니다. 식용유는 인류에게 튀김 요리를 사료는 저가 육고기를 제공하는 기반이 되었고, 식용유와 고기는 다시 소비자에게 하나로 모여 각종 튀김문화를 만들면서 무한정 확대 재생산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은 30년 전만 해도 세계 최대의 콩 생산국이자, 자립국이었는데 지금은 세계 최대의 콩 수입국이 되었습니다. 중국은 매년 1억톤 가까운 GMO 콩을 수입하는 국가가 되었고, 한국도 100만톤의 GMO 콩을 수입하는 국가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수입된 콩으로 만든 콩기름으로 길들여진 입맛은 다시 기름과 고기의 수요를 확대하게 되고 불과 30여 년 만에 상전벽해의 GMO와 육고기의 세상을 만든것입니다. 한국의 튀김 치킨 문화나 중국의 돼지고기 튀김 요리가 대표적인 이런 변화를 이끈 육식문화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구축된 육식문화는 GMO 농사 기반을 확대하게 만들었고, 지구의 땅은 무한대로 개발되며 결국 기후위기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었습니다.
육식으로 구하고자 하는 단백질을 식물성단백질로 바꾼다면 축산에 투입되는 사료 곡물의 15%로 가능합니다. 그만큼 경작지 개발을 줄일 수 있다는 이야기이고, 기후 위기를 극복할 중요한 대인이기도 합니다.
.
.
.
.
.
.
팬데믹과 기후위기로 건강과 지구를 지속가는 하게 유지하는 생활방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식물성단백 식품이 이중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순콩과 바리의꿈은 고려인농업정착지원사업을 고민하다
두만강 콩을 발견하고, 청국장과 , 메주, 장류를 만들고,
GMO 문제에 눈을 뜨고 두유, 두부 등을 만들고,
유기용매 헥산분해 방식의 가공법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압착콩기름을 만들고,
기후위기를 겪으며 식물성단백의 필요성을 깨닫고 우리가 할 일이 콩단백임을 자각하고 이의 생산과 문화를 연해주 동포, 연해주 해외농업,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으로 풀어 보고자 매진하고 있다.
이제 그 한축인 소비자 주체들의 식물성 단백에 과한 여러 얽힌 주제와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의 주제들을 함께 살펴 볼까 한다 .
1. 왜 식물성 단백질 인가요 ?
기후위기, 건강...
2. 안전한 식물성 단백질은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요 ?
- 압착가공법과 유기용매 가공법
3. 우리는 언제부터 이럼 과도한 육식 문화가 정착 되었나요 ? 어떤 계기로 ?
-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GMO 사료가 개발 보급되면서 부터. 약 30년 전..
4. 동물성 단백질과는 어떤 비율로 취해야 하나요?
- 2:1정도가 일단 좋다는데
5. 단백질 취하는 방식이 기후 위기와 관련이 있나요 ?
- 15-40% 관련이 있다.
6. 식물성 단백질 취하는 방법과 요리법 부탁합니다.
- 쏘냐의 정원, 순콩tv (youtobe)
7. 세계적으로 식물성 단백 식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 두부, 콩고기, 콩단백, 템페...
8. 순콩과 바리의꿈 콩단백은 어떻게 만드나요?
- NonGMO 콩으로 압착해서
#naver에서_압착콩단백_검색
#유튜브에서_쏘냐의정원
#유튜브에서_순콩rv














+2






52You and 51 others
1 comment

1 share

Like




Comment


Share


1 comment

Most relevant





Write a comment…















He Zheng

공부해 보자.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