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Nagarjuna.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Nagarjuna. Show all posts

2024/02/23

The Fundamental Wisdom of the Middle Way: Nāgārjuna, Jay L. Garfield

The Fundamental Wisdom of the Middle Way: Nagarjuna's Mulamadhyamakakarika (Audio Download): Nāgārjuna, Jay L. Garfield - translator, Zehra Jane Naqvi, Tantor Audio: Amazon.com.au: Audible Books & Originals


The Fundamental Wisdom Of The Middle Way  Nagarjuna 
by Jay L Garfield


10,559 Views

24 Favorites

DOWNLOAD OPTIONS

DAISY download

For users with print-disabilities





Audible sample

Kindle
$25.16
Available instantly

Audiobook
$14.95Available instantly

The Fundamental Wisdom of the Middle Way: Nagarjuna's Mulamadhyamakakarika Audible Audiobook – Unabridged
Nāgārjuna (Author), Jay L. Garfield - Translator (Author), Zehra Jane Naqvi (Narrator), Tantor Audio (Publisher)
4.6 4.6 out of 5 stars 208 ratings
====
The Buddhist saint Nāgārjuna, who lived in South India in approximately the second century CE, is undoubtedly the most important, influential, and widely studied Mahāyāna Buddhist philosopher. His greatest philosophical work, the Mūlamadhyamikakārikā - read and studied by philosophers in all major Buddhist schools of Tibet, China, Japan, and Korea -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works in the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Now, in The Fundamental Wisdom of the Middle Way, Jay L. Garfield provides a clear translation of Nāgārjuna's seminal work, offering those with little or no prior knowledge of Buddhist philosophy a view into the profound logic of the Mūlamadhyamikakārikā. Garfield presents a superb translation of the Tibetan text of Mūlamadhyamikakārikā in its entirety and a commentary reflecting the Tibetan tradition through which Nāgārjuna's philosophical influence has largely been transmitted. Illuminating the systematic character of Nāgārjuna's reasoning, Garfield shows how Nāgārjuna develops his doctrine that all phenomena are empty of inherent existence, that is, than nothing exists substantially or independently. He offers a verse-by-verse commentary that explains Nāgārjuna's positions and arguments in the language of Wester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and connects Nāgārjuna's concerns to those of Western philosophers.
Read less
©1995 Jay L. Garfield (P)2021 Tantor


Listening Length

12 hours and 4 minutes
Author

Nāgārjuna, see all
Narrator

Zehra Jane Naqvi
Audible release date

13 July 2021
Product details

Listening Length 12 hours and 4 minutes
Author Nāgārjuna, Jay L. Garfield - translator
Narrator Zehra Jane Naqvi
Audible.com.au Release Date 13 July 2021
Publisher I hear so much
Program Type Audiobook
Version Unabridged
Language English
SALT B097QBYQXD
Best Sellers Rank 44,285 in Audible Books & Originals (See Top 100 in Audible Books & Originals)
85 in Eastern Philosophy (Audible Books & Originals)
194 in Buddhism (Audible Books & Originals)
595 in Buddhism (Books)
======
Customer reviews
4.6 out of 5 star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Carlo Dolif
5.0 out of 5 stars ExcellentReviewed in Italy on 17 September 2021
Verified Purchase

Excellent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Djamel
5.0 out of 5 stars Nargarjuna’s teaching well commented. InsightfulReviewed in France on 20 May 2020
Verified Purchase

Fabulous book!!
Report

Lynette
5.0 out of 5 stars Five StarsReviewed in Canada on 7 December 2016
Verified Purchase

Good
Report


Theatermann
5.0 out of 5 stars Great commentary on an epochal workReviewed in Germany on 1 January 2016
Verified Purchase

With this book - his masterpiece, which he himself probably won't be able to top - Garfield provides a commentary on Nagarjuna's main philosophical work that is as profound as it is easy to read. Garfield succeeds in breaking down the difficult and often almost incomprehensible original text in an immediately comprehensible way and presenting the lines of argument in such a way that both the outstanding intellectual power of the 1800-year-old text emerges as well as its possible meaning for today Philosophize. In doing so, he neither blurs the differences to our current European thinking nor pushes the text into an “oriental” distance. This book is definitely not part of Western wellness Buddhism and would be out of place on the richly stocked esoteric shelves of our bookstores. In short: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insightful books for anyone who seriously wants to know something about Buddhist thought, especially Madhyamaka.

5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T Wright.
5.0 out of 5 stars The Best.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22 June 2010
Verified Purchase

(redaction & addendum of previous review)
In reading the entire text, i found the arguements quite overwelming, however the beginning buddhist is not without help. In searching for applicatons to the examinations it can be said that madhyamaka is the synthsis of all other schools. This is a great starting place for organization. monastics usually study these topics for 20 years intensively , they relate most to the abidharma. Having said this , i would reccomend Geshe Tashi Tsering's Foundations book series, especially Relative truth , ultimate truth ( Vol 2) as the companion to this text. In learning the divisions of the two truths by the four major schools one may place the examinations of nagarjuna in thier context and avoid misintrepretation which garfield says " the danger is to mistakenly view the subtleties of emptiness as nihlism". ( paraphrase) So this would be a great guide to the study applicaton and classification of the book's chapters .. July 8, 2010

I am not a monk, nor have i been given a systematic , structured schooling in buddhist philosophy. My review is based solely upon comparison with my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subtleties of madhyamaka. Nagarjuna is called a master by many prominent buddhist thinkers, to note Tsong khapa. It is said that Nagarjuna is an "Arya" being. "Arya" meaning sees all subtle levels of Dukkha. ( Rather elementary) However it is said repeadedly that without ethics,concentration and then wisdom the madhaymaka is an enigma. Thats why the dalai lama explains it as such. Presupposing the student has built this foundation - Ethics, Concentration, Wisdom. Then one is ready for Madhyamaka.

Garfield gives the best version to western philosophers. I would caution though taking Garfield's view as the monastic view. Even though he gives a great explanation , thouroughly extensive and simplifies deep points in the madhyamaka, he is not able to approach it from the soterilogical point of view, as compared to that of an Arya being. in the madhyamakaavatara, which is like an introduction to Nagarjuna, chandrakirti says that he isn't even an Arya, of the 6th bhumi. Im sure Garfield would agree, that to have a thourough understanding of this text one would have to explain from that view.

This text would be greatly understanded by the most extensive commentary extant by Rje Tsong Khapa. (Ocean of reasoning) with this commentary one would get the jest of the major commentaries from Chandrakirti, Buddhapalita, and Tsong Khapa. Ocean is a great companion to this text.

With this in mind this version of Nagarjuna's seminal treatise is the best buddhist book available, aside from Lamrim Chenmo.

100% gift to the west, Thank you Garfield,Newland and everyone else for this gift to us all.
Read less

20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See more reviews

===
Nicholas R. Hunter
4.0 out of 5 stars Demanding but satisfying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6 November 2001
Verified Purchase
As Garfield states in the introduction, his analysis of the text is more from an analytical, Western philosophical perspective than from a "Buddhalogical" (his word) one. The result is authoritative, scholarly and a little dry. His presentation reminds me of David Brazier's presentation of the Abhidharma in his book "Zen Therapy: Transcending the Sorrows of the Human Mind." The experience of reading this book is very demanding, but also very satisfying. The benefits to be derived are probably directly proportional with the work one puts in to understanding it.
A more poetically compelling translation of the Mulamadhyamikakarika, along with a very thought-provoking introduction, is to be found in Stephen Batchelor's "Verses from the Center."
64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lex
5.0 out of 5 stars Essential reading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30 April 2017
Verified Purchase
Essential reading for any Buddhist, or even anyone truly interested in philosophy and the nature of reality. A deep and difficult but ultimately worthy read.
3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Reader
5.0 out of 5 stars Rating an ancient classic? Really?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27 August 2015
Verified Purchase
Amazon requested a review. It seems beyond absurd to "rate" an ancient classic text. This is a classic ancient Buddhist text, accompanied by a scholarly and deeply insightful commentary by Jay Garfield. It has academic value as well as value for serious practitioners in any of the major Buddhist traditions. It's not a bedtime read - you would not read it unless you already had a commitment to understanding the approach of this seminal Buddhist thinker and shaper of the tradition (Nagarjuna). Again, too silly to give it a rating, but I just did.
6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Werner
5.0 out of 5 stars Eternally true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21 July 2013
Verified Purchase
As a study work of just for reference then this book does cover the basic philosophical epithets of Buddhist philosophy.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Report
Brian
5.0 out of 5 stars Difficult in the beginning but it's worth it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 March 2019
Verified Purchase
A very detailed commentary and helpful guide through Nagarjuna's fundamental verses. Very digestible for astute lay philosophers and others interested in gaining deeper knowledge of Buddhist studies. Because it can be challenging, I would not recommend if you don't already have some experience with Buddhist texts.
3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Mudrooroo Nyoongah
5.0 out of 5 stars I recommend this book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1 September 2017
Verified Purchase
Ah Buddhism and the emptiness of everything thing and subject. To seek to uderstand the Buddhist Doctrine of Emptiness, I recommend this book. It is not easy going, but work your way through it and then again if you like following an argument.
Report
philip hynes
5.0 out of 5 stars Five Stars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4 June 2015
Verified Purchase
Superb
2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interesting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5 April 2020
Verified Purchase
great exploration and elucidation of the topic
Report
buddhavanhalen
5.0 out of 5 stars Mind boggling and yet unfathomable great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7 April 2017
Verified Purchase
Just read and see for yourself. It's hard to understand in just one read I think, but I hope to have a firm "grasp" on it soon.
Report
TOM CORBETT
3.0 out of 5 stars attachment to emptines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21 January 2007
Verified Purchase
i have not studied all of nagarjunas logic carefully in this book, it seems that he is arguing for the underlying emptiness of all things on the basis of his assumption of dependent or mutual arising. perhaps its a bit more complicated than this though. a cup of tea is not a cup of tea in itself. nor does the teabag have any individual or inherent identity, rather the teabag is a collection of collections without any individuality. just as my finger is a collection of cells, so a teabag is a combination of dependent things. infact he believes that everything depends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mething else. tea leaves depend on the presence of tanins, flavins, cells, maturation, drying, there is nothing inherently existent that could be called the individuality of the teabag. this of course defies common sense, but is reasonable. why cannot a collection be at one and the same time an individuality. ie one in many, or many as one. such an argument though would be contrary to nagarjunas thrust, which is to emphasise the existence of emptiness through dependence. ie everything that is dependent has no individual uniqueness (or soul) since all individuals are merely collections.

i am still studying nagarjuna, it seems that a statement such as "walker is not the same as walking, nor is it different from walking" can be argued any way which can. "walker is not the same as walking, if it were how could the two be told apart, nor is walker different from walking, or otherwise there would be walking without walker." it could be argued on the grounds of oneness that walker and walking are one and the same, that structure and function are inseperable. you could just as easily say that walker is the same as walking and that is why there isnt walking without walker. if nagarjuna says that legs are not the same as arms because they can be told apart he is right, because they can be told apart, but wrong because arms and legs are all part of one body and cannot be separated. so paradoxically one can say that walker and walking are not the same, but one can also say that they are the same (the same body/oneness).

it can be argued that walker is walking, walker is not walking, and as nagarjuna says walker is not the same as, nor different from walking. infact whatever you seek to prove, if you are clever enough, you can prove it. this is the nature of reason and logic. a donkey that is lead by the carrot of the person who possesses it.

i find his logic is clear (it is)infact, it is pure genius, but as with all logic one has to realise that at this moment logic is thoroughly illogical. though perhaps when he wrote it was thoroughly logical. logic being logical? logic being illogical? two sides of the same coin. if logical can be illogical why discuss something as important as emptiness using logic? this defies a common understanding of nagarjuna, unless of course he wished to impress buddhist emptiness upon the minds of the common people. or, perhaps he really did believe in the immutable logos (reason) of plato. that insoluble all pervasive notion of truth. personally i see that reason has its uses (many of them groundbreaking and earth shattering), but can often be used to say what you want, especially when it comes to philosophy.

i find the argument for emptiness grounded in dependent arising 'can' be compelling, or not compelling. its just how you approach it. in that a collection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an individuality, it could be seen as a collective, for example a sea sponge colony 'may' have no singular conscious individuality as the colony as a whole, but then a human being is a collection with a consciousness . but as i see it, dependent arising could be used as a proof against emptiness just as much as a proof for it. i believe that the buddha would have days where he took time out from such an approach, that is he would respect the agile logical display of nagarjuna, but have said "not on mondays nagarjuna" (but only if you dont mind my friend).

i dont think that the buddha was about dogmatising certain concepts and words such as emptiness, as useful as they may be. even freedom can become an obstacle to relationship and his word "liberation" can be in buddhism taken to mean many different things. it may just be that mental freedom and freedom from suffering are synonymous. emptiness is representative of water and air, but one should not forget the presence of fire, or gold (earth)(male elements)that are representative of fullness/form. to argue away form for emptiness seems unbalanced. just as to argue away emptiness for form would be unbalanced, though it may be an interesting excercise (and not too difficult). infact rising to the challenge if one looks in minute detail/huge magnification at an area of space one will find it a quantum soup, and not nearly as empty as one expected. infact buddha is implacable when he says emptiness is form for this could imply that there is no emptiness, only form. or visa-versa one could argue that all is empty.

i have also read nagarjunas, i think its called the flower garland, which was less a discussion of emptiness and logical proof for such, though his approach in the middle way comes across in this book too. no, i remember now its called the discourse of the precious flower garland.

i realise that my comments on nagarguna's mulamadhyamakakarika may seem disrespectful regarding the buddhist saint, and have no desire to show disrespect, but i do feel that all in all, though brilliant his arguments are not compelling ground for emptiness. this is because i am aware of the bias behind reason. there are other ways to illustrate emptiness. the buddhas "emptiness is form" for example is a much clearer statement of anti-logic, that i find very elegant. also the prescence of the zero in any effective numerical system requires a hypothetical emptiness.

i have no doubt that in the original tongue nagarjuna was a marvellous poet, sadly this does not come across in this translation or in "verses from the centre" a different translation of the same work. perhaps, in his poetic form his genius would have shone out as much as it does from his rational genius.

this is an interesting book to read, a fascinating insight into the mind of an early buddhist saint and an example of how one can use logic to prove anything, even that which intuitively seems almost impossible. but personally i dont feel it tells me anything, other than showing patterns of logic, which are a useful thing to aquire. i must say though that i am 'astonished' by the mans logical dexterity.

i would have found nagarjuna more interesting if he had tried to prove the existence of form and balanced this with a proof for the existence of emptiness. for in truth it is not balanced to prove the existence of emptiness without proving the existence of form. and you cannot prove the existence of emptiness without proving the existence of form, for emptiness is form. it can be argued that all is emptiness, but it can also be argued that all is form. whatever you look for is whatever you find. such is the nature of reality. seek and you will find.

infact... making things fun, and killing the buddhas word, i would say that "form is not emptiness, form is form" is just as true as "emptiness is form". this is the buddas freedom. playing with logic, one does not take reason too seriously on mondays, but... aah, on tuesdays it is profoundly important.

thank you nagarjuna for the encouragement you have given many.

love, flakey xxx.
24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
Full text of "Nagarjuna The Fundamental Wisdom Of The Middle Way"
See other formats
Nagarjuna’s Mulamadhyamakakarika 

"So 

TRANSLATION AND COMMENTARY RY JAY L. GARFIELD 






The 

Fundamental 
Wisdom 
of the 
Middle 
Way 

Nagarjuna’s 

Mulamadhyamakakdrika 

TRANSLATION AND COMMENTARY BY 

JAY L. GARFIELD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New York 
Athens Auckland Bangkok 
Calcutta Cape Town Dar es Salaam Delhi 
Florence Hong Kong Istanbul Karachi 
Kuala Lumpur Madras Madrid Melbourne 
Mexico City Nairobi Paris Singapore 
Taipei Tokyo Toronto 

and associated companies in 
Berlin Ibadan 

Copyright © 1995 by Jay L. Garfield 

Published by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98 Madison Avenue, New York, New York 10016 

Oxford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Oxford University Press, Inc.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stored in a retrieval system, or transmitt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electronic, mechanical, photocopying, recording or otherwise, 
without the prior permission of Oxford University Press. 

Library of Congress Cataloging-in-Publication Data 
Nagarjuna, 2nd cent. 

[Madhyamakakarika. English & Sanskrit] 

The fundamental wisdom of the middle way : 

Nagarjuna’s Mulamadhyamakakarika / 

Translation and commentary by 
Jay L. Garfield, 
p. cm. 

ISBN 0-19-509336-4 (pbk.); 

ISBN 0-19-510317-3 (cloth) 

1. Madhyamika (Buddhism) — Early works to 1800. 

I. Garfield, Jay L., 1955—. 

BQ2792.E5G37 1995 294.3'85— dc20 95-1051 



Print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 dedicate this work, 
with profound gratitude 
and respect, 

to the Most Ven. Professor Samdhong Rinpoche: 
scholar, educator, statesman, public servant 
and shining exemplar of monastic life. 




Preface 


This is a translation of the Tibetan text of Mulamadhyamakaka- 
rika. It is perhaps an odd idea to translate a Tibetan translation of 
a Sanskrit text and to retranslate a text of which there are four 
extant English versions. My reasons for doing so are these: First, I 
am not satisfied with any of the other English versions. Every 
translation, this one included, of any text embodies an interpreta- 
tion, and my interpretation differs in various respects from those of 
my predecessors in this endeavor. This is to be expected. As Tuck 
(1990) has correctly observed, Nagarjuna, like any philosopher 
from a distant cultural context, is always read against an interpre- 
tive backdrop provided by the philosophical presuppositions of the 
interpreter, and by previous readings of Nagarjuna. So I claim no 
special privileged position vis a vis Streng (1967), Inada (1970), 
Sprung (1979), or Kalupahana (1986)— only a different position, 
one that I hope will prove useful in bringing Mulamadhyama- 
kakarika into contemporary philosophical discourse. I, like any 
translator/interpreter must acknowledge that there is simply no 
fact of the matter about the correct rendering of any important and 
genuinely interesting text. Interpretations, and with them, transla- 
tions, will continue to evolve as our understanding of the text 
evolves and as our interpretive horizon changes. Matters are even 
more complex and indeterminate when the translation crosses cen- 
turies, traditions and languages, and sets of philosophical assump- 
tions that are quite distant from one another, as is the case in the 
present project. So each of the available versions of the text em- 
bodies a reading. Inada reads Nagarjuna from the standpoint of 



Preface 


viii 

the Zen tradition, and his translation reflects that reading; Kalu- 
pahana reads Nagarjuna as a Theravada commentator on the 
Kaccayanagotta-sutra , and his translation reflects that reading, as 
well as his view about the affinities between James’s pragmatism 
and Theravada Buddhism. Sprung adopts Murti’s Kantian interpre- 
tation of Madhyamika, and his translation reflects that interpreta- 
tion. Streng reads the text as primarily concerned with religious 
phenomenology. There is no translation of this text into English, 
and no commentary on it, that specifically reflects an Indo-Tibetan 
Prasangika-Madhyamika interpretation. Inasmuch as this is my 
own preferred way to read Nagarjuna, and the reading dominant 
in Tibetan and highly influential in Japanese and Chinese discus- 
sions of Mulamadhyamakakarikd , I believe that it is important to 
fill this lacuna in the English bibliography. 

Having argued that all translation involves some interpretation 
and, hence, that there is always some distance between an original 
text and a translation, however good and canonical that translation 
may be, it follows that Mulamadhyamakakarikd and dBu-ma rtsa- 
ba shes-rab differ, however close they may be and however canoni- 
cally the latter is treated. Since dBu-ma rtsa-ba shes-rab is the text 
read by and commented on by generations of Tibetan philoso- 
phers,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that an English translation of this 
very text be available to the Western philosophical public. This 
text is hence worthy in its own right of translation inasmuch as it is 
the proper subject of the Tibetan philosophical literature I and 
others find so deep and fascinating. 

This is not a critical scholarly edition of the text. It is not philo- 
logical in intent; nor is it a discussion of the commentarial litera- 
ture on Nagarj una’s text. There is indeed a need for such a book, 
but that need will have to be filled by someone else. This is rather 
meant to be a presentation of a philosophical text to philosophers, 
and not an edition of the text for Buddhologists. If philosophers 
and students who read my book thereby gain an entrance into 
Nagarj una’s philosophy and see Mulamadhyamakakarikd , as inter- 
preted herein, as a text worthy of study and discussion, this work 
will have served its purpose. Since my intended audience is not 
Buddhologists, per se, but Western philosophers who are inter- 
ested in Buddhist philosophy, I have tried to balance standard 



Preface 


IX 


renderings of Buddhist terminology with more perspicuous contem- 
porary philosophical language. I am not sure that I have always 
made the right decisions or that I have found the middle path 
between the extremes of Buddhological orthodoxy and Western 
revisionism. But that is the aim. 

I am also striving for that elusive middle path between two other 
extremes in translation: I am trying on the one hand to avoid the 
unreadable literalism of translations that strive to provide a verba- 
tim report of the words used the original, regardless of whether 
that results in a comprehensible English text. But there is on the 
other hand the extreme represented by a translation written in 
lucid English prose purporting to be what the original author 
would have written had he been a twentieth-century philosopher 
writing in English, or one that, in an attempt to convey what the 
text really means on some particular interpretation, is in fact not a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but a completely new book, bearing 
only a distant relation to the original. This hopelessly mixes the 
tasks of translation on the one hand and critical commentary on 
the other. Of course, as I have noted above, these tasks are inter- 
twined. But there is the fault of allowing the translation to become 
so mixed with the commentary that one no longer has a grip on, for 
example, what is Nagarjuna and what is Garfield. After all, al- 
though the text is interpreted in being translated, this text should 
still come out in translation as a text which could be interpreted in 
the ways that others have read it. Because the original does indeed 
justify competing interpretations. That is one of the things that 
makes it such an important philosophical work. 


Amherst , Mass. 
November 1994 


J. L. G. 




Acknowledgments 


Thanks are already due to many who have helped at different 
stages of this project: Thanks to Bob Thurman and David Sloss for 
first introducing me to Buddhist philosophy and then for encourag- 
ing me to wade deeper. Thanks to David Kalupahana, Steve Odin, 
Kenneth Inada, and Guy Newland, as well as to David Karnos, 
Joel Aubel, Dick Garner, and William Herbrechtsmeier for many 
hours of valuable and enjoyable discussion of this text at the Na- 
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Summer institute on Nagar- 
juna in Hawaii. And thanks to the NEH for the grant support that 
enabled my participation in that institute. I am especially grateful 
to Guy Newland for many subsequent conversations, useful sugges- 
tions, encouragement, and a critical reading of my work. Thanks 
to Janet Gyatso for countless hours of profitable and enjoyable 
philosophical conversation and for many useful and detailed criti- 
cisms and suggestions on this and other related work. Thanks to 
the Ven. Geshe Lobzang Tsetan for starting me in Tibetan, for 
much useful philosophical interchange, for teaching me an im- 
mense amount about Madhyamika, and for his close criticism of 
this text; to Georges Dreyfus (Geshe Sengye Samdup) for much 
useful advice and discussion; and to Joshua and Dianne Cutler and 
the Tibetan Buddhist Learning Center of North America for hospi- 
tality. I also thank John Dunne for detailed comments on several 
chapters of an earlier draft of this translation. 

I am grateful to the Indo- American Foundation, the Council for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Scholars, and the Smithsonian Insti- 
tution for an Indo- American Fellowship in 1990-91. During that 



xii 


Acknowledgments 


time, as a Visiting Senior Research Scholar at the Central Institute 
of Higher Tibetan Studies, I began work on this project. I owe an 
enormous debt of gratitude to The Most Ven. Prof. Samdhong 
Rinpoche and his staff for hosting me and my family at the Central 
Institute of Higher Tibetan Studies and to Rinpoche himself for his 
generous personal help. I thank the Ven. Geshe Ngawang Sherab 
for all of his kind logistical help at Santarakshita Library and for 
friendship and philosophical interchange. Thanks also to the Ven. 
Lobzang Norbu Shastri and the Ven. Acarya Ngawang Samten for 
extensive conversations from which I learned much and for useful 
comments on this work and to Karma for Tibetan lessons. 

I am deeply grateful to the Ven. Prof. Geshe Yeshes Thap-Khas 
for reading dBu-ma rtsa-ba shes-rab and related texts with me and 
for giving me his invaluable oral commentary on these texts during 
that year and on many subsequent occasions. Nobody has taught me 
more about Madhyamika philosophy, and it is hard to imagine a 
more patient, generous, and incisive scholar and teacher. Without 
his lucid teachings, and without Geshe-la’s enormous patience, I 
could never have approached this text with any degree of success. 
While he would not agree with everything I say, my own reading of 
this text is enormously influenced by his. Special thanks to Sri Yeshi 
Tashi Shastri for his translation and transcription assistance during 
many of these sessions and for an enormous amount of cheerful and 
generous general research assistance, including a great deal of care- 
ful proofreading and detailed comments on this translation. 

During that year and in subsequent years I also benefited greatly 
from my visits to the Institute of Buddhist Dialectics. I am deeply 
grateful to the Ven. Prof. Geshe Lobzang Gyatso for his hospitality 
and for his teaching. In our many conversations and from his writ- 
ings I have learned a great deal, and this project certainly reflects 
his influence. Without his patient advice on interpretative and 
expository details and without his vigorous critique of many of my 
ideas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to produce this commentary. I 
thank the Ven. Sherab Gyatso for his tireless and invaluable trans- 
lation and assistance during that time. The Ven. Sherab Gyasto, 
The Ven. Graham Woodhouse, the Ven. Tenzin Dechen, and the 
Ven. Huen have given much to me in many hours of philosophical 
interchange through translation help and through their hospitality 



Acknowledgments 


xiii 


and friendship. Mr. Phillipe Goldin has also offered many helpful 
suggestions on the translation and commentary. I also thank the 
Ven. Khamtrul Rinpoche, the Ven. Geshe Yeshe Topden (Gen 
Drup-Thop) and Gen Lam-Rim-pa for their teachings and Acarya 
Nyima Tshering for his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on those occa- 
sions. Special thanks to Nyima Penthog for improving my Tibetan. 

I thank His Holiness the Dalai Lama for his encouragement and 
for valuable discussion of some difficult interpretative issues. 

I am also very grateful to friends and colleagues at Drepung 
Loseling Monastic College. My visit there was extremely enjoyable 
and also philosophically fruitful. Thanks to the Ven. Geshe Dak-pa 
Toepgyal and the Ven. Thupten Dorjee for arranging everything 
and for talking with me about this and other work. I am very 
grateful to the Ven. Geshe Namgyal Wangchen for detailed com- 
ments and encouragement on this work and for useful discussions 
about Madhyamika, translation, the task of presenting Buddhist 
philosophical texts to the West, and other topics. 

My acknowledgment of help in India would not be complete 
without acknowledging the gracious hospitality and assistance in 
living of Sri N. N. Rai, Sri Arun Kumar Rai, Sri A. R. Singh, and 
their families in Sarnath; the hospitality of Kunzom Topden 
Martam and his family in Sikkim — it was the Martam house in 
which the writing actually got started; and Dr. L. S. Suri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Indian Studies in New Delhi, whose adminis- 
trative efficiency kept everything moving smoothly. 

I am deeply grateful to four friends who read a complete draft of 
this work and provided honest, searching, sometimes scathing criti- 
cism. What more could one ask from colleagues and friends? Many 
of their suggestions are incorporated in the book as it now stands, 
and much of whatever is good in it is due to their enormous contribu- 
tions. Sometimes I have disagreed with each of them. And whatever 
errors remain are certainly my own. So thanks especially to the Ven. 
Gareth Sparham, the Ven. Sherab Gyatso, Guy Newland, and Jane 
Braaten for copious corrections and criticism and for extensive pro- 
ductive discussion. Thanks also to Prof. Alan Sponberg for useful 
comments on an earlier draft and to Janet Gyatso, Graham Parkes, 
and Georges Dreyfus for reading and commenting on the penulti- 
mate draft. 



xiv 


Acknowledgments 


Another group of colleagues to whom I owe thanks are those 
who kept faith. This may require some explanation. I discovered 
when I — a Western, analytically trained philosopher of mind — 
began to work on Buddhist philosophy that many in philosophy 
and cognitive science took this as evidence of some kind of insan- 
ity, or at least as an abandonment of philosophy, per se. This is not 
the place to speculate on the origins or nature of the stigma attach- 
ing in some parts of our profession to Asian philosophy. But it is a 
sad fact to be noted and to be rectified. In any case, I therefore 
owe special thanks to those who went out of their way to support 
this work and to let me know that they took it and me seriously. I 
thank especially my friend and colleague Meredith Michaels for 
constant support, advice, and encouragement. And I thank Mur- 
ray Kiteley, John Connolly, Nalini Bhushan, Kathryn Addelson, 
Elizabeth Spellman, Frederique Marglin, Lee Bowie, Tom Warten- 
burg, Vere Chappell, Gareth Matthews, and John Robison, as well 
as Dan Lloyd, Steve Horst, and Joe Rouse. Thanks under this 
head also go to many of my nonphilosopher colleagues in the 
Hampshire College Cultural Studies program. I single out Mary 
Russo, Joan Landes, Susan Douglas, Jeffery Wallen, Norman Hol- 
land, and L. Brown Kennedy. 

I also gratefully acknowledge the support of several Hewlett- 
Mellon faculty development grants from Hampshire College and 
thank the deans of the college for supporting this work so gener- 
ously. I am also grateful for the support of this project and of 
related projects involving academic exchange between the Ameri- 
can and Tibetan academic communities from President Greg 
Prince of Hampshire College. Thanks also to Ms. Ruth Hammen 
and Ms. Leni Bowen for regular logistical support, to Mr. Andrew 
Janiak for his extensive assistance and editorial suggestions in the 
final stages of manuscript preparation, and to Mr. Shua Garfield 
and Mr. Jeremy Mage for additional assistance in manuscript prepa- 
ration and proofreading. Thanks as well to many groups of stu- 
dents in “Convention, Knowledge and Existence: European and 
Indo-Tibetan Perspectives” for putting up with and helping me to 
refine my presentation of this text and for my students in Buddhist 
Philosophy at Mount Holyoke College for working through an 
earlier draft of this text. 



Acknowledgments 


xv 


Portions of the translations of and commentaries on Chapters I, 
II, XIII, and XXIV appeared in Philosophy East and West in Gar- 
field (1990) and (1994). I thank the editors for permission to use 
that material here. The Tibetan edition of the text is from dGe 
’dun grub, dBu ma rtsa shes rtsa y grel bzhugs (Commentary on 
Mulamadhyamakakarika ), Ge Lugs Pa Students’ Welfare Publish- 
ing, Central Institute of Higher Tibetan Studies, Sarnath, 1987. 

I am more grateful than I could ever express to my family for 
accompanying me to India for one year, for enduring my absence 
when I have been in India alone, and for enduring my preoccupa- 
tion with this and related philosophical projects. I am especially 
grateful to Blaine Garson, who has shouldered far more than her 
fair share of parenting and other household responsibilities. Every 
stage of this project is dependent upon her help, sacrifice, and 
support. 

I hope that I haven’t forgotten anybody. 




2023/07/14

龍樹 (講談社学術文庫) | 中村 元 |本 | 通販 | Amazon

龍樹 (講談社学術文庫) | 中村 元 |本 | 通販 | Amazon





이 이미지 표시


저자를 팔로우

나카무라 전
팔로우





류키 (고단샤 학술 문고) 문고 – 2002/6/10
나카무라 모토 (지은이)
4.4 5성급 중 4.4 148개의 평가




모든 형식과 버전 보기




문고
¥986부터
¥986 보다 22 중고품¥1,639 보다 28 신품¥3,268 보다 4 컬렉터 상품















일절은 비어 있다. 모든 것은 진실에는 존재하지 않고, 외모만의 현상에 지나지 않는다. 불교 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하늘'의 사상은 1800년 전의 지인 거인 용수에 의해 이론화되었다. 인도·중국 사상에 결정적 영향을 주고, 나라·헤이안 불교에서도 '팔종의 조사'라고 칭찬받은 그 깊고 투철한 사고가 불교학·인도 철학의 세계적 권위의 손으로 '중론' 전문과 함께 지금 되살아난다.

부정확한 상품 정보를 보고합니다.


ISBN-10

4061595482
ISBN-13

978-4061595484
출판사

코단샤






출판사 ‏ ‎‎‎고단샤 (2002/6/10)
출시일 ‏ ‎ ‎ 2002/6/10
언어 ‏ : ‎일본어
문고 ‏ : ‎ 464 페이지
ISBN-10 : 4061595482
ISBN-13 : 978-4061595484
크기 : 10.8 x 1.8 x 14.8 cmAmazon 판매자 순위: - 42,326위 책 ( 책 판매자 순위 보기 )- 21 종교사(이)
- 26위 불교사
- 67위 불교학고객 리뷰:
4.4 5성급 중 4.4 148개의 평가
저자를 팔로우하여 신작 업데이트 및 개선된 추천을 받으세요.

팔로우
나카무라 전


1912~1999. 도쿄 대학 인도 철학 梵文학과 졸업. 인도 철학자, 불교 학자. 도쿄 대학 명예 교수, 일본 학사원 회원. 전공은 인도 철학·불교학. 훈일등 서보장, 문화훈장, 자선포장 수장(「BOOK 저자 소개정보」에서 : 본 데이터는 『바우다[불교]

===
일본에서
toki11
5성급 중 4.0 하늘은 부처가 찾은 진리의 극 일부일 뿐이다.
2022년 6월 13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나카무라 모토씨가,

산스크리트어, 티베트어, 한어 등을 구사하는, 훌륭한 학자인 것은 알았습니다.

또한 류키가
일본의 대승 불교에
큰 영향을 미친 것도 알았습니다.

게다가
일본의 불교계가 가장 중시하는, 반약
심경이,

용수의 중론의 요약과 같은 물건인 것을 알았습니다
.

다만,
나, 나카타니가 생각하려면,
류수는, 불타와
같이,
진리를 발견한 것은 아니고, 하늘의
사상을 자기류에 확충해,

당시,
각성자를, 재생산할 수 없고,
부유층에 다가가
서민의 구제라는
불사의 자비를
완전히 무시하고
타락한 부파 불교를 공격하고 논파하기 위해

공론을
전개했다고

생각합니다.

공론의 확충은,
류수의 오리지널이라고 하는 것보다,
당시 선행하고 있던, 대반
젊음에도 볼 수 있었습니다.

류수는,
당시의 논적을 논파하기 위해서, 자기류
에 확충한,
공론을 구사했습니다만, 불타는, 무상으로부터, 집착을 버리는 것을 설했기 때문에,






하늘에 집착 너무 지나면 집착을 버리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각성자를 목표로 해도
자비의 마음조차 잊지 않으면
서민의 구제는
가능합니다.

하늘에 너무 고집하고,
각성자에게의 길을 막아 버린 용수, 용수의 중론을, 사상의 골조로 한, 대승 불교, 모두, 깨달음은,

먼 거리
,
종교

로서
,
불교

라고 해도 ,
각성자가 되는 것은,
포기한 신흥 종교로서,

재출발했다,
라고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0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자유
5성급 중 5.0 빈 입문서
2023년 5월 18일에 확인됨
나가르쥬나(용수)가 설한 “중론”을 나카무라씨가 정중하게 알기 쉽게 해설하고 있습니다.
너걸 주나는 팔종의 조라고 불리는 것처럼 '중론'은 대승불교제종이 설교하는 '하늘'에 대한 근본 원리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될 것입니다.
・하늘=연기=무상=무아=중도
・연기: 모든 것들은 모두 상호 의존하고 있다. ・무상: 모든 것들은 항상 변화하고
있다 . 나카미치 : 특정 개념에 사로 잡히지 않습니다 . 또한 "하늘"은 없습니다. 유와 대립하는 것은 없고 하늘이 아닙니다. 유와 무는 서로가 있고 처음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인기이며, 그것을 부감하고 있는 것이 「하늘」입니다. 오히려 '하늘'은 무한한 상호 의존이 항상 변화하면서 다양한 모습을 드러낸다는 역동적인 것으로 느껴집니다 . 멋지게 해석이지만 자연과학이 밝힌 복잡계 이론을 방불케 합니다. (복잡계 이론에 대해서는, M.미첼.월드롭 「복잡계」를 참조해 주세요) 단지, 이렇게 이해할 수 있었던 것도, 나카무라씨에 의한 방대하고 정중하고 알기 쉬운 해설이 있어야 합니다 . 해설을 읽은 뒤에 「중론」본문을 읽어 보았습니다만, 상당히 난해였습니다. 반약 심경을 읽고 「하늘이란 뭐야」라고 생각하신 분에게 추천의 책입니다. 또, 「하늘」에 대해서는,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자비」라고 양립할지 어떨지, 라고 하는 논의가 나옵니다.




















이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나카무라 씨의 '자비'가 참고가 될 것 같습니다.

2016년 독료
4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죠니
5성급 중 5.0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유, 점의 이론과 같습니다.
2022년 10월 10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석가님이 말하지 않았던 것을 풀었던 사람입니다.

중론 「하늘」의 사상을 이론화했습니다. 당시 이해할 수 있었던 사람은 있을까요? 있었지, 이런 책을 걸겠다는 것은. 석가님을 이해할 수 있던 사람은, 세는 정도 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지금 말하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발표되었을 때, 이해할 수 있었던 사람은 세는 정도 밖에 없었고, 노벨상은 취할 수 없었습니다. 덧붙여서 광공학으로 노벨상을 취하고 있습니다.

현대에서 "하늘"을 말하면 가상 네요. 있는 것을 보이지 않는다. 그것은 모두 인간의 뇌가 생각해낸 것.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유, 점의 이론과 같습니다. 반점은 존재하지 않지만 확실히 있다. 점이 없으면 원을 그리지 않고. 선도 그릴 수 없습니다.

그럼, 그것을 깨달았다고 해서 그 앞에 어떻게 할까?

그렇습니다, 훌륭한 세계를 만드는 가상으로 좋기 때문에 창조하고 모두에게 펼치는 것입니다.
고객 이미지
13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키어런 반하르트
5성급 중 4.0 나카무라 다이 선생님에게 감사드립니다.
2022년 1월 4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류수 보살의 평생, 사상, 불교의 취급을 자세하게 설명한 책입니다. 해석 없이는 꽤 이해할 수 없는 중론의 본문과 상세한 해석이 있습니다. 역시 나카무라 모토는 국보입니다.
4🌟로 한 것은 문조가 꽤 학문적이고 논문같기 때문입니다. 어딘가 조금 힘들어 하려고 했습니다.
두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타오
5성급 중 5.0 재미있는
2022년 1월 20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사상관이 매우 알기 쉽게 전해지고 있었다.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유용한
보고서
동방 매니아
5성급 중 5.0 결국 하늘이란 무사고·무인식의 실천이다
2020년 11월 26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이 책을 읽고 깨달은 것.
공성이란 유혹도 아니고도 아니고,
이 세상의 모든 사건에는 실체가 없고,
신기루와 같은 것이고 환상이다.

공성이란, 비유비무이고, 허공과 같은 것이다.
다만 허공과 같은 것과 '잡혀'를 일으킨다면 하늘을 실체시하는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

따라서 어떠한 인식이나 사고도 정지했을 때에만 공성은 파악된다.
8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잠 귀에서 물
5성급 중 4.0 어느 정도의 전제 지식이 필요
2022년 12월 6일에 확인됨
류수가 저술한 「중론」과 그 안에서 접할 수 있는 주요 개념(연기나 하늘)의 해설이 메인.
타이틀에서 마음대로 인물에 초점을 맞춘 전기 틱인 것이라고 상상하고 있었지만, 선명한 (오히려 단단한) 불교 해설서. 불전 등으로부터의 인용도 많고, 전문서에 가까운 분위기.

사상사적으로는, 중론은 설 일절 유부의 사상과 유식의 사이 정도에 자리매김되고, 중론 자체 설 일절 유부의 사상에의 반론이라고 하는 체재를 아마 포함하는 것이므로, 어느 정도 유부의 사상 공부하고 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덧붙여 유식의 해설이라고 하는 것도 아니고, 메인은 어디까지나 「중론」의 해설인 것에는 유의가 필요할까.

이 책을 읽기 전에 「불교의 사상 2 존재의 분석 <아비다르마>(카도카와 소피아 문고)」에서 유부의 사상을 언급하지 않았다면, 읽는 것도 어려웠을지도 모른다.

다만, 모두 독서로 내용을 소화할 수 있는 질의 책이 아니기 때문에, 때때로 만져 읽어 보고 싶다.
4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야스
5성급 중 4.0 중론
2019년 10월 13일에 확인함
아마존에서 구매
하늘에 대해 매우 알고 싸게 쓰여졌습니다. 매우 도움이되었습니다.
4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Amazon 고객
5성급 중 3.0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
2020년 12월 12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결코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 누군가를 향해 썼다는 것보다, 나카무라 선생님의 생각을 정리한 연구 논문이라고 하는 위치 붙은 인상입니다.
4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존 존 바이 더 루인스
5성급 중 4.0 아직 초보자 마크입니다만,
2018년 5월 12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특히 'Ⅱ-6연기'가 재미있었다. 한 번 읽은 것만으로 알았다, 라고 간단하게 말할 수 있는 책이 아닌 것은 물론이지만, 읽을 때마다 새로운 발견이라고 할까, 여러가지 눈치채는 일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중론』에 있어서의 인기는 지금까지의 소승에 있어서의 십이인연에 대해 독자적인 인연을 설해・・・라는 지적(P167)에는 놀랐다. 불교의 입문서를 읽으면 반드시 십이지연기의 설명이 있고, 그 후, 나가르쥬나의 하늘의 사상에 들어가는 것입니다만, 십이지연기와 「중론」의 설하는 인기, 하늘의 사상 사이에는 엄청난 비약이라고 할까 단절 같은 것을 느끼고 있었던 것입니다. 왜 갑자기 이렇게 버리는 거야? 같아요. 그런 의문에 대해, 그런가 그랬다고, 나름대로 납득할 수 있었던 것은 크다. 바바비베카나 붓다파리타, 챈드라키르티 등 중관파의 학자의 주석이 빈번히 인용되어 불교 초보자 마크의 독자를 확실히 거절하는 것 같은 기운을 발하고 있는 본서입니다만, 초학자라도 도전해 보는 가치는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알 수 있는 곳, 모르는 곳, 처음에는 칭푼 캄푼에서도, 병행해서 유서를 읽으면서 지식이 갖추어 오면, 어느 날 갑자기, 본서의 내용이 확실히 알게 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라고 할까, 있다고 생각해요. 어쩌면.
덧붙여서, 지금까지 다치카와 무사시 『하늘의 사상사』, 카지야마 유이치·우에야마 하루헤이 『하늘의 논리<중관>』, 이어서 본서와 읽어 왔습니다만, 그 중에서는 본서가 제일 어렵다고 느꼈다. 여기저기의 문헌으로부터의 인용이 많아, 그것이 알기 어려워지고 있을까라고 생각한다.
5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
사형대 엘리베이터
5성급 중 4.0 류키는 대승에 있지 않고
2013년 5월 28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류수는 스스로 자신을 대승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결론으로부터 말하면 그가 대승일 리가 없는 것이다.
그는 '반청경'에서 하늘의 이로를 극한까지 밀고 나아가 '중론'을 완성시켰다.
그리고 그 자신, 허공 때 무자성, 하늘의 경애에서 깨달았다.
그러나, 본래 대승불교에 있어서 필수 과목이었던 「화엄경」적인 자비, 방편은 어딘가에 날아 버렸다.
왜?
모든 존재는 하늘이기 때문이다.
원래 반청의 범행 명상주의인 하늘의 사상과 자비를 근본으로 하는 이타행의 정신은 양립 불가능한 것이다.
자비와 반약의 두 가지 자세로 무상정등각을 얻는 등이라는 발상 자체에 무리가 있다.
하늘의 개념을 통해 범행적 명상주의가 다가오는 곳은 자아의 소멸이다.
자아가 소멸하면 필연적으로 「타아」(타자)도 사라져 없어진다.
자아와 타아는 어디까지나 서로 다른 상대 개념에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반청경과 화엄경은 양립 불가능하다.
사람들은 지혜로 인한 깨달음?
아니면 자비에 근거한 이타인가?
"반드시" 어느 쪽이든 하나를 선택하지 않을 수 없다.
여기에 대승, 나아가 용수의 오산이 있었다.
그리고 그는 대승을 표방하면서도 자폐적 명상주의로의 회귀, 즉 고타마부다의 종교로 회귀해 버렸다.
여기에 대승의 아이러니한 역사가 있다.
역설적으로 말하면 대승을 표방하는 것은 '영원히' 깨달아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이 세계에 그저 혼자서도 구원받지 못하는 사람이 있는 한, 그 대승의 학생은 이 세계에 밟히고 자비의 구제 활동에 몸을 던질 것이기 때문이다.
15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후쿠짱
5성급 중 4.0 용수의 시조를 알 수 있는 좋은 책입니다.
2018년 6월 30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중론을 중심으로 한 계절이 있지만 개설보다 원문이 더 ​​유용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Amazon 고객
5성급 중 4.0 "모두는 무자성이다"
2018년 6월 8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반약심경으로도 유명한 「하늘」. 「하늘의 사상」은 도대체일까? 라고 생각해 구입했습니다만, 그 대답을 제시해 주는 책이 아니었습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하늘의 사상」의 성립을 설명하는 책으로서, 「하늘」그 자체를 구체예를 제시해 알기 쉽게 해설해 주는 책이 아니었습니다. 고이마 동서의 문헌으로부터 「하늘의 사상」의 성립을 상세하게 정중하게 조사해, 비의 갈등이 없는 내용이 되고 있습니다. 불교 관계자에게 있어서는 필독의 서적인 것입니다만, 나와 같은 아마추어에게는 분부상응이었습니다. 「하늘=비유비무=중도=연기」는 결국 말로 해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는 교만한 사상입니다만, 어떤 난해한 사상이라도, 누구나가 이해할 수 있는 평이한 단어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떠나고 있는 것도 떠나지 않는다」 등등, 큰 일을 말하고 있는 것도 아닌데도 딱 맞는 말투로 일부러 난해에 보여 온 불교사는 그 자세를 다시 중생에 전개하는 기술을 가져야 합니다. 나카무라 모토씨의 철저한 정사, 고찰은 초인을 느낍니다만, 하늘의 사상에 관해서는 공감할 수 없었기 때문에 별 4개로 했습니다.
4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yasuji
5성급 중 5.0 하늘의 사상은 현대 철학에 통하는 존재론 철학
2019년 4월 8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하늘>의 사상은 본서를 삼가야 합니다. 유명한 '반와카심경' 이전에 반과경이라는 경전군에 <하늘>이 설설되어 있었습니다. 본서는, 이 <하늘>의 사상을 철학적으로 기초 붙인 「중론」등을 저술한 용수(나가르쥬나 or나가르쥬나)의 해설서입니다.
 나는, 이 책의 “소개”의 <하늘>의 사상의 해설로, 거의 만족해 버렸습니다. 새로운 실재론의 마르크스 가브리엘, 사변적 실재론의 그레이엄 허먼, 그리고 드루즈의 철학을 맞추면, <하늘>의 사상이 되는 것은 아닐까 생각합니다. <하늘>의 사상은 인식론이 아니라 존재론이기 때문입니다.

・니히리즘의 부정
 「아무것도 진실하게 실재하는 것이 아닌 p.16」을 자의대로 해석하면, 그렇게 말하고 있는 당신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됩니다. 그렇다면 당신은 존재하지만 당신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모순이 될 것입니다. 이때 나 이외의 존재는 내 인식에 의해 존재한다는 인식론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아마 <하늘>의 사상은 이것을 부정했을 것입니다. 가브리엘은 세계는 존재하지 않지만 의미있는 일각수가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가브리엘도 <하늘>의 사상도, “이 세상에 진실은 없다”는 니히리즘과 상대주의를 부정하고 싶다고 생각합니다.

・존재는 숨어 있다
 「모든 사물은, 겉보기만의 현상에 지나지 않는다....그 본질이 결여되어 있는 것이다 p.16」은, 하만의 은폐(withdrawal)의 사상과 비슷합니다. 눈앞에 있는 것은 반드시 그 이상입니다. 아무리 말을 다해도 그 특성을 아무리 묶어도 그 이상입니다. 본질은 항상 숨겨져 있습니다. 경직된 논리를 엄밀히 쌓아도 도달할 수 없는 것입니다. 실재하는 대상은 항상 숨어 있습니다.
 가브리엘과 하만을 합치면 존재한다고 숨어 있다고 하며 <하늘>의 사상과 비슷합니다.

・사물의 의존 관계
 「하늘이란, 모든 사물의 의존관계에 불과한 p.17」은, 드루즈의 「리좀」같습니다. 하나 하나의 초목 뿌리가 아니라 지하 줄기 (리솜)로 연결된 식물의 집합체의 이미지입니다. 사람과 물건의 구별 없이, 정해진 구조도 없다. 모든 것은 인연으로 묶여 있다고 바꿔 말하면 <하늘>의 사상과 비슷합니다.
29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토란코
5성급 중 5.0 이해하기 쉽다. 평이한 일상어에 의한 해설로 공사상을 이해할 수 있지만, 깨달음도 구원도 얻을 수 없다
2017년 4월 29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 어쨌든 난해한 하늘의 사상이 평이한 일상어로 설명되어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또 공사상 해설의 타서로 아마 생략되는 「연기론」까지 설명되어 공사상의 이해가 깊어집니다.
● 460페이지의 대부분이지만, 제2장(250페이지)을 읽는 것만으로도 공덕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불교의 메인 테마 '살아 있는 것은 고통이며, 거기서 구원받아 편해지자'에 대한 대답은 얻을 수 없습니다. 이 설명서의 수비 범위가 아닙니다.
● 저자는 용수의 공사상을 전 긍정하고 있습니다(간과가 있으면 용서를). 공사상에 의문·반감을 가지는 사람도 있겠지만, 동대인철 교수의 방대한 지식과 철벽의 이론에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에, 생반가능한 각오로는 논파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 어쨌든 알기 쉽기 때문에, 공사상에 흥미가 있는 분은 꼭 읽어 주세요. .

◆평이한 일본어에 의한 설명: ●내가 과거에 읽은 하늘의 해설책은 불교 용어·고어(중2병어)를 포함한 문장이므로, 어쨌든 알기 어려운 것뿐이었습니다. 그 중에는 나카무라 선생님의 중론의 국역의 인용을 해설로 하는 것조차 있습니다. ● 그러나 본서는 번역자 자신이 번역문을 평이한 일본어로 해설해 주기 때문에, 어쨌든 알기 쉽다. 또한 표제가 장·절·항·눈·단까지 계층화되어 있어 항·눈의 머리로 앞으로 설명되는 것을 나타내, 본문 뒤에서 결론을 정리하므로, 3~5페이지마다 내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학술서의 감입니다).
◆『연기』까지 설명되어 있다: ●내가 읽은 다른 해설책은 ・언어 구조의 모순점을 설명한다 ・『만물이 실체를 가지지 않는다』, 『불변의 실태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설명으로 끝나고 있어, 독후 눈앞의 사물이 『실체를 가지지 않는』 일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 한편, 본서에서는 「연기론」까지 언급하고 있으므로 「실태를 가지지 않는다」라고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연기를 보는 것이 바로 닐바나에 들어가는 것』, 『연기를 보는 지혜가 제법 실상을 아는 지혜・반와카파라 꿀이다』라고 하고 있어 『연기』를 설하지 않는 다른 해설서가 중도반단한 것 라고 알았습니다.
◆460페이지도 있지만, 실질 250페이지 읽으면 충분합니다: ●폭론입니다만, 권말 150페이지(제3장)는 용수의 저작의 번역문이므로, 나카무라 선생님의 해설문(제2장)을 읽으면 여기를 읽지 않아도 어떻게 든 됩니다. 게다가 제1장은 용수의 인물 설명이므로, 간단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평이한 말로 쓰여진 250페이지를 읽는 것만으로도 공덕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단지 문제점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결정적인 문제점: ●깨달음도 구원도 얻을 수 없습니다. ●처음 불교는 사는 것이 고통이다고 하고 거기로부터 구원받는 것이 목적이며, 공사상은 그 수단입니다. ● 그러나 본서에서 공사상을 이해해도 아무것도 편해지지 않습니다. 구원받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을 구할 수 없습니다. 하늘 사상과 현실 생활을 연결하는 것이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2장 8절 「부정의 논리의 실천」에 기대했습니다만, 상기의 의문과는 다른 논의가 되고 있습니다. 오히려 철저한 부정의 논리는 「니르바나는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결론합니다. 그리고 동절 1항의 마지막 2행, 나카무라 선생님의 말로 『각자의 체험을 통해 이해하는 것 외에 어쩔 수 없다』라고 쏟아져 끝납니다. ● 아마 현존하는 류수의 저작에는 대답이 없을 것입니다. 본서에서는 용수의 활동이 논적·설 일절 유부와의 논전인 것을 나타내고, 그 논의에 근거해 공사상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 뭐 인철서에 구원은 기대하고 있지 않습니다만, 류수는 어디까지나 불교자이기 때문에 현존 자료로부터 어떠한 지견을 나타내고 싶었다(간과하고 있으면 용서해 주세요)(타서에 의하면 유식파 하지만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요가나 선 등의 명상에 의해 체감하는 것 같습니다).

◆문제점 같은 것: ●본서는 류수의 설을 전 긍정하고 있습니다(읽어 떨어뜨리면 용서를) 하고 있습니다). ● 저자는 고대 인도 철학·초기 불교의 범어 자료와의 비교로, 공사상의 정당성을 나타냅니다. 또한 기원 전후의 범어·한어 경전이나 과거 백수십년의 유럽어 문헌에 있어서의 공사상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고 거기에 반론합니다. 저작 시점에서 판단할 수 없는 것은 솔직하게 「향후의 연구가 기다린다」라고 합니다. ● 따라서 본서에서 용수의 공사상은 현존 자료의 범위에서 완전한 것이고, 결점이 없습니다. 나와 같은 흥미 본위의 독자는 공사상을 무비판에 받아들일 수밖에 없습니다. ● 원래 그 생각으로 읽었는데, 단점이 너무 없으면 위화감이 있습니다. 그래도 공사상이 2천년이나 지지되어 온 경위와 동대인 철교수가 북판을 누른 것으로 납득할 수밖에 없습니다. 본서에서 참조된 문헌만으로도 상당수이며, 또한 저자가 다른 언어의 방대한 1차 자료를 읽었을 것이라는 점이 밝혀지고, 그 일에 유일하게 압도되어, 탄식하고 본서를 받아들이는 일 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류수의 공사상은 맞는가? 논리의 파탄·모순이 없는 것인가? 라는 의문을 가지는 분의 참고가 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혹은 뜻 있는 분에게는 반론의 도움이 될지도 모릅니다.
●어쨌든 공사상에 흥미가 있는 분은 꼭 읽어 주세요.
74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슈신
5성급 중 5.0 하늘에 대해 배우려면 먼저 이 책입니다.
2020년 4월 27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나카무라 전 선생님의 지견과 위업에 단지 감사하는 것뿐입니다.
유용한
보고서
SC
5성급 중 5.0 확실히, 그래서 알기 쉽게 중론을 설명하는 양서.
2019년 5월 14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훌륭한 저작.

다만, 중론에 대해서는, 「다라이・라마의 중론 입문」이나 「장바닥 안의 주먹」등 다른 책을 읽고 나서가 좋을지도 모른다.

매우 제대로 중론의 생각을 정리한 좋은 책입니다. 또, 본서와 아울러 동 저자의 「원시 불전」도 읽으면 좋을 것이다. 그러면 불교가 입체적으로 보인다.
6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도
5성급 중 5.0 공부가 되다
2018년 9월 6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2세기에 태어났다고 전해지고 있는 인도의 철인의 이야기입니다. Nagarjuna씨의 한명이 류키씨입니다.
저자 나카무라 선생님은 인도 철학의 연구자입니다. 대가입니다.
류키 씨라는 한명은 Nagar라는 큰 뱀을 나타내는 힌디어와 Juna라는 소리의 조합이라고합니다. 몰랐어요.
그리고, 본작에서는, 하늘, 인기, 등등의 불교 용어의 해석이나, 다양한 불교의 종파의 가르침과의 생각의 차이를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어려웠습니다.

460페이지의 대작에서 많은 불교 개념이 설명되어 있지만, 실제 인간과 삶은 그것보다 더 복잡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복잡한 종교 개념과 인간에 대해 연구자로서 추구된 나카무라 선생님의 노력도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19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고래
5성급 중 5.0 성 바울과 같습니까?
2023년 1월 15일에 확인됨
아마추어 생각으로 죄송하지만, 예수의 가르침의 현지 종교였던 기독교를 글로벌 종교로 발전시킨 것이 성 바울이지만, 같은 역할을, 석가의 가르침의 지역 종교였던 불교를 글로벌화 시킨 것이 용수일까.
두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와키 겐이치
5성급 중 5.0 매우 도움이되었습니다.
2019년 10월 18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대승 불교에 대해 조금 알았습니다. 매우 공부했습니다.
두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이전
다음
고객 서비스가 필요합니까?
‹ 류키 (코단샤 학술 문고)의 상품 상세보기

このカテゴリーのベストセラ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