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신라불교.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신라불교. Show all posts

2023/09/21

신라불교의 대중화와 원효 元永晩 2015 구글 한역

11.30 元永晩先生原稿ホームページ用.indd
신라불교의 대중화와 원효  新羅仏教の大衆化と元暁
元 永 晩
WASEDA RILAS JOURNAL NO. 3 (2015. 10)
==
A Study of Wonhyo’s Popularization of Buddhism

Young-man WON
===
Abstract

 Officially recognized in the early 6th century, Sillan Buddhism began to play an active role in various social areas before spreading throughout the country. Due to its affirmative role in social development, Sillan Buddhism came to be called National Buddhism or Nation Protection Buddhism. In this context, the era of Wonhyo is regarded as the time when a brilliant Buddhist culture was created after Silla unified the Three Kingdoms. Buddhism in the Silla Kingdom period had several unique characteristics. Early Sillan Buddhism tended to follow aristocratic Buddhism, which was centered on the Royal Family. However, in the Wonhyo period, Buddhism gradually became more popular and widespread, reaching even the general public. Furthermore, during this period, the study of Buddhism developed significantly through the analysis of a variety of scriptures brought from China by student monks.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is often seen as targeting only common people. This perception would define Buddhism according to class, or associate it with those of poor and low status. However, the Buddha taught never to discriminate among human beings but to embrace all beings. Consequently, the goal of Buddhism is to build Buddha Land and to encourage the wide social relevance or popularization of Buddhism. Hence, in this paper I attempt to discuss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its social relevance, whether among the aristocrats or common people.

Another question that I address is“ what does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in Sillan society mean for us today?” In this essay, I attempt to examine whether it is possible to attain enlightenment through wisdom, merit and virtue increased through the practice of a genuine Boddhisattva, the genuine initial spiritual awakening of an ascetic, the genuine reflection of a layperson on real welfare, and the genuine practice of a Boddhisattva, an ascetic, and of the laity, with great vows as a disciple of the Buddha.

In an uncertain and uneasy society, it seems that Wonhyo’s universal“ Hwajaengsasang” ( Synthetic Philosophy) is the very “Hwadu”(Koan) that delivers Korean Buddhist society faced with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fficulties.

===

소개

7세기 중반, 신라는 원효라는 선지식이 불교를 대중화시켜 민중 속에 정착시켰다. 일본에서는 추고시대라는 고대국가 최초의 왕조시대가 지나 한국과 일본의 새로운 군주시대가 도래하고 있었다.

불교는 동방으로 이동하여 신라에서 대중화하여 학문적으로 크게 발전, 정착했다. 대중화 과정에서 원효의 역할을 재검토하는 것이 이번 학술회의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본 학술회의의 주제인 '불교문화는 왜 동방으로 이동했는가'라는 측면에서 불교대중화를 민중종교로 자리매김한 뒤 원효의 역할을 실천적 실적에서 재검토하려고 한다.


7세기 시대는 신라에 의한 삼국통일전쟁이 가장 치열한 시기였다. 전쟁 수행을 위해 일반 민중들은 긴 전역에 시달리고 정신적, 물질적으로 피폐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단 중심의 기성불교계는 국가의식의 고조와 왕권의 강화를 중시하고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민중들은 관심 밖에 놓여 있었다. 그래서 이를 반성하고 민중들에게 종교적 관심을 환기시키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그것이 거리 불교적인 대중교화의 형태를 취하는 대중불교운동이었다고 생각된다. 가문불교를 주도한 스님들은 교단 중심의 스님들과는 외견적으로도 다른 면모를 보이고 있었다.

당시의 교단의 중심인 원광, 안함, 자장들은 모두 진골 출신이며 중국 유학을 하고 왕실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 한편, 가난불교를 주도하고 있던 에주쿠, 에공, 대안, 전효들은 모두 비진골 출신이며, 중국 유학을 하지 않고, 가난과 경주 외곽지역의 사찰을 무대로 활동하고 (2). 원효는 이전부터 진행되어 온 귀족불교적 대중화의 한계성을 자각하고, 에주쿠, 혜공, 대안들의 가난불교적 대중교화의 선각자와 뜻을 같이 하여 왕실과의 관계 에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독특한 한국불교사상을 창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마침내 신라의 대중불교를 크게 발전시켜 그 완성을 보게 되었다. 이와 같은 원효의 불교 대중화에 대한 사상적 배경에 대해 고찰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