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산수화(山水畵).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산수화(山水畵). Show all posts

2022/12/04

山水画 - JWikipedia

풍경화 - Wikipedia

산수화 (산수이가)는 중국 에서 발달한 회화 장르이다. 현실의 경치의 재현을 의도한 작품도 있지만, 형에 의한 산악 수목 이시카와강 등의 첨경을, 재구성한 「창조된 경치」가 많다.

역사 편집 ]

신선 과 영수 의 거처로서의 산수 표현은 진한 시대부터 번성했다. 태산 에서의 봉선 을 비롯한 산악신앙은 현재까지 중국인의 정신에 휩쓸려 산수화가 성립된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 동진 의 고교유키 의 ‘ 화 운대산기’, 리우송 종종 ‘ 화산 수서 ’에 따르면 영지인 명산을 그리거나 산수화를 감상하는 습관은 4세기에 성립하고 있었다 보인다. 다만 묘사 기술이 진행되어 독립된 주제로 애호하게 된 것은 8세기 오도코 가 '산수의 변'이라고 불리는 개혁을 하고 나서인 것 같다. 둔황 석굴 의 불화 의 배경, 발굴된 묘실 벽화,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 모사본 등으로부터 추정하면 4세기~7세기의 산수 표현은 「사람은 산보다 크고, 수목은 빗의 치아와 같다」라고 하는 수준이다 같다. 건축물과 함께 파괴되기 쉬운 벽화 가 중심이었던 탓도 있고, 당나라 의 본격적인 산수화는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정창원 에 있는 공예적인 작품이나, 불교 회화의 배경으로서의 산악( 보스턴 미술관 창고 “호화도네모토 만다라”,돈황 석굴 61일굴 '5대산도'), 당묘벽화 일부를 통해 추측할 수밖에 없다.

5대 ~ 북송 시대에는 쿠니 히로 , 이소 겐 , 거연, 이성, 范寛,郭煕등  후 천 년간 고전으로 여겨진 산수화 전문 또는 산수화로 유명한 거장들이 배출해, 종래, 회화의 본류다 한 인물화 를 능가하는 상황이 되었다. 문인 관료가 감상하는 그림으로 산수화가 상양되어 당시의 지도적 문화인들이 비평을 쓰고 화가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해 명화는 고가로 매매되고 있었다. 궁정에서 엘리트가 모이는 하림 원 의 벽화가 산수화였던 것은 상징적이다. 당시대 이전의 궁전 벽화는 성인군자, 공신들의 초상, 교훈적 일화 등 인물화가 중심이었기 때문이다. 작품으로는 范寛『계산행여도』( 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 ), 곽희 『조춘도』(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 거대하게 『계산란 젊은도』(Cleveland Museum of Arts)가 있다. 북송시대의 산수화는 거대한 자연과 미세한 인사의 대조를 강조한 작품이 많다. 남송 시대에는 그림 속 인물이 산수를 감상한다는 설정의 작품이 많아지고, 또 산악을 화면의 일부로 하여 빈 부분을 많이 취하는 작품이 나온다. 馬遠, 夏圭이 유명 화가이다.

14세기,  시대, 「전문화가가 아닌 문인 에 의해 제작되는 산수화」라는 이념이 성장했다. 원말 4대가 로 여겨지는 황공망 , 우진 , 평운림 , 왕몽 의 4화가는 각각 특색 있는 양식을 확립한 것 뿐만 아니라 '비직업적 화가, 아마추어 화가가 배워야 할 산수화 양식'을 현실의 작품으로 창조해 후세에 절대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평운림은 '심상 풍경으로서의 산수화'를 명확히 제시했다. 종이 책 수묵 담채라는 기술적으로 쉽고 아마추어에도 접근하기 쉬운 수법도 확립했다.

 시대에는 남송시대의 화풍을 계승한 화가가 주로 베이징 의 궁정에 봉사하여 유파를 형성했다. 절강성 출신의 화가가 많았기 때문에 절파라고 우려된다. 재진, 이재 등이 유명하다. 한편 원말 4대가의 화풍을 발전시킨 관료예비군과 학자들로 구성된 소주 의 화가들도 침주 에 배운 문징명 을 중심으로 유파를 만들고 있어 우파 로 불린다. 우는 소주의 고명이다. 화가로서 침주, 문징명, 문징명의 자식과 제자들이 작품을 남기고 있다. 천영, 당인 , 주신은 쑤저우에서 문징명 그룹과 교류했지만 화풍이 다소 달리 원파라고 불리고 있다.

여산 폭포 풍경, 초기 청나라, Shitao, Quanwu Bogu Museum

 ,  시대를 통해 대량의 산수화가 제작되었지만, 17세기 만력 ~ 강희시대 에는 변화가 풍부한 작품이 제작되었다. 그 후 20세기까지는 정체기이며 특색없는 작품이 많아졌다.

편집공학연구소 소장인 마츠오카 마사타키 는 “중국의 산수감, 제일의 뿌리가 되는 것은 “ 신센 ”이라는 생각이다.당연히 거기에는 환상 동물의  이나 봉황 이 있는 경우도 있으면,  그 자체 하지만 생명의 연원이라는 감각이 있고, 그것이 선의 일본으로의 도래와 함께 함께 왔다”고 말한다. [ 요출전 ]

산수의 묘법 편집 ]

점법 편집 ]

수엽이나 돌에 붙는 이끼 등의 묘화 방법. 개자점, 후추점, 국화점, 송엽점 등의 종류가 있지만 분류방법은 사람에 따라 다르며 명칭도 다를 수 있다 [1] .

수법 편집 ]

수지는 우선 입간(리칸), 줄기로부터 그린다. 여기에는 위에서 아래로 붓을 운반하는 방법, 아래에서 위로 붓을 운반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는 그리기 쉽고, 후자는 수목의 생장의 점에서 보고 이리에 이루어지고 있는 묘법이다. 다음에 발지, 가지를 붙이고, 마지막에 다양한 점법을 이용하여 수목의 종류에 따른 잎을 더해, 윤곽을 그리는 것을 협엽이라고 부른다. 가지를 그리는 법에는 사슴 뿔 가지 화법 ( 가지의 끝이 사슴 뿔처럼 위로 나뉘어 늘리는 화법 ), 게 손톱 가지 화법 ( 게의 발톱처럼 아래로 펼쳐지는 화법 ), 이슬 근법(토와 바위에 뿌리를 둔 모습을 그린다) 등이 있다 [1] .

윤법 편집 ]

척(琴)은 주름과 주름. 수묵에 의해 암석의 맥리와 골격, 음양향 등을 표현한다. 오대 무렵부터 기존의 윤곽과 묵과 채색의 농담에 의해 산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골법 을 이용하여 척을 그려 요소에 붓을 더해 입체감을 더해, 홍염(선전, 담묵을 베푼다) ) 하여 질감을 보강하는 것이 고안되었다 [1] . 척도 에는 각 드로잉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표현 해석 편집 ]

어부 편집 ]

산수화 속에 많이 등장하는 어부는 문인의 동경하는 존재로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2] .

  • 어부사 로부터의 연상에 의한, 누구에게도 잡히지 않는 자유로운 처지의 상징.
  • 태공망 으로부터의 연상에 의한, 들판에 숨은 뛰어난 인재의 상징.
  • 모모겐고 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

참고 문헌 편집 ]

  • 신토 타케히로 『산수화란 무엇인가 중국의 자연과 예술』 후쿠무 서점 , 1989
  • 제임스·케이힐 “강산 사계 중국 원대의 회화” 신토 타케히로역, 메이지 서원, 1980
  • 오쿠무라 이쿠라 『고졸한 눈썹 시나 미술사의 제상』 미스즈 서방 , 1982
  • 마츠오카 쇼고 '산수 사상' 치쿠마 학예 문고 , 2008
  • 미야자키 노리코 『꽃새・산수화를 읽는다-중국 회화의 의미』 카도카와 서점, 2003/치쿠마 학예 문고, 2018
  • 『신시오 세계 미술 사전 동양편』, 항목 「중국 회화」 신시오샤.
  • Lawrence Sickman, 중국 회화의 여덟 왕조, 클리블랜드 미술관, 1980
  • Sherman Lee, 중국 풍경화, ICON Editions

각주 편집 ]

  1. c 후쿠모토 마사이치 "중국화의 역사"(제1호) 이분 아카데미, 2007년 4월, 125쪽. ISBN  9784907823313 .
  2. 『꽃새・산수화를 읽는다-중국 회화의 의미』 카도카와 서점, 2003년. ISBN 4-04-702124-5 .

관련 항목 편집 ]

산수화(山水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산수화(山水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산수화(山水畵)

회화개념용어

 산과 강 등의 자연경관을 소재로 그린 동양화.   


분야
회화
유형
개념용어
시대
고대 / 고려 / 조선 / 근대
영역닫기영역열기 
 정의
산과 강 등의 자연경관을 소재로 그린 동양화.


키워드
개설
우리 나라를 포함한 동양에서의 산수화는 자연의 표현인 동시에 인간이 자연에 대해 지니고 있는 자연관의 반영이기도 하다. 따라서 산수화란 이 두 가지 복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농경을 주로 하였던 우리나라나 중국을 비롯한 동양인들에게 있어서 자연이란 매우 소중하고 절대적인 것이었다. 또한 무생명의 존재로서가 아니라 인간처럼 살아서 생동하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이 때문에 자연을 표현한 산수화는 기운생동(氣韻生動)해야만 한다는 생각이 전제되고 있었다. 자연과 인간의 이러한 밀접한 관계 때문에 중국과 우리나라에서는 일찍부터 산수화가 그려지기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그 전통이 이어져 오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산수화는 중국 한대(漢代)에 산악을 선인(仙人)과 진수(珍獸)가 사는 영적 세계로 보는 신선사상(神仙思想)의 유행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도안적이며 상징적인 형태로 인물화의 배경으로 그려지기 시작하였다.
남북조시대에는 종병(宗炳)에 의해 와유 사상(臥遊思想)이 제시되는 등 산수화의 이념이 형성되면서 점차 순수한 감상을 위한 그림으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당대(唐代)를 거쳐 10세기의 오대(五代)와 북송(北宋) 초에 이르러 회화사의 주류로서 대종을 이루며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1. 고구려의 산수화
우리나라에서 먹이나 채색을 써서 붓으로 그리는 넓은 의미에서의 산수화가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다른 회화 분야와 마찬가지로 삼국시대부터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회화다운 그림이 발전되기 시작한 것은 삼국시대 중에서도 그 중엽에 해당되는 4세기경의 고구려에서라고 여겨진다.
회화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산악이나 수목을 표현한 넓은 의미에서의 산수화는 인물 등의 다른 분야에 비하여 좀 늦기는 하지만, 고구려의 경우 5세기 초경 벌써 수렵의 배경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영락(永樂) 18년”, 즉 408년에 조성되었다는 연기(年記)가 있는 덕흥리고분(德興里古墳)의 수렵도에는 사냥하는 기마인물과 함께 마치 넓은 판자를 굴곡 있게 오려서 세워 놓은 듯한 산악, 반원의 초록색 버섯을 연상시키는 수목들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산수화적 요소의 묘사가 그 뒤 무용총(舞踊塚)의 수렵도에서는 아직도 상징적이기는 하지만 동적이고 비교적 사실성을 띠게 되었다.
이것이 6세기 말부터 7세기 전반에 걸치는 시기에 중국 남북조시대 회화의 영향에 자극을 받으면서 좀 더 율동적이고 사실성이 강한 경향으로 변화했다. 강서대묘(江西大墓)와 내리(內里) 1호분, 진파리(眞坡里) 1호분에 보이는 삼산형(三山型) 산악 형태와 거기에 구현된 산과 산 사이의 공간, 그리고 산다운 분위기와 나무다운 나무의 표현 등이 잘 보여준다. 이처럼 고구려의 산수화는 대체로 초기부터 중기를 거쳐 후기로 넘어가면서 점차 발전해 갔다.
영역닫기영역열기2. 백제의 산수화
삼국 중에서 고구려에 이어 백제가 산수화를 발전시켰던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현재 백제의 산수화는 단 한 점도 남아 있지 않아 구체적인 파악이 불가능하다. 백제의 산수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거의 유일한 자료가 부여의 규암면에서 출토된 산수문전(山水文塼)이다. 대체로 7세기 전반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산수문전의 문양은 고구려 고분벽화의 산수화적 요소들보다 오히려 발달된 것으로 균형 잡힌 구도라든가 공간감과 깊이감의 표현, 산다운 분위기의 묘사 등에서 볼 때 대단히 높은 수준으로 발달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외에 무령왕릉(武寧王陵)에서 발견된 은제탁잔(銀製托盞)에 산수 문양이 새겨져 있는 것을 보면, 백제에서는 이미 6세기 초 금속 공예품에 하나의 문양으로 등장할 정도로 산수화가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었던 것 같다.
영역닫기영역열기3. 신라의 산수화
삼국 중에서도 신라는 자료가 가장 빈약한 편이다. 그러나 1985년에 발견된 기미년명(己未年銘) 순흥(順興) 읍내리 고분벽화에 산악 그림들이 나타나 있다. 그 표현은 고식(古式)에 속하는 고구려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그래서 고구려의 영향을 토대로 신라적인 화풍이 이룩되었다고 볼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전(塼)에 나타난 누각(樓閣) 산수 문양과 같은 공예품의 형식적인 도안을 통하여 당시 산수화적 요소를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솔거(率居)의 「노송도(老松圖)」에 대한 일화에서 청록산수화(靑綠山水畵)가 유행하였을 가능성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영역닫기영역열기4. 고려의 산수화
고려시대는 이전 시대와 달리 진정한 의미에서의 산수화가 본격적으로 유행하였다. 이 시대의 산수화는 북송(北宋), 남송(南宋), 금(金), 원(元), 명(明) 등 중국 역대 왕조와의 회화교섭을 통해 많은 자극을 받고 자체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대체로 고려의 전반기에는 북송의 영향을 수용하였고, 후반기에는 원대 회화로부터 자극을 받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고려 전반기 산수화의 양상을 밝혀 주는 작품은 전혀 남아 있지 않은 실정이다. 다만 성암고서박물관(誠庵古書博物館)과 일본의 난젠지(南禪寺)에 소장되어 있는 『어제비장전(御製秘藏詮)』의 목판화들이 고려 전기 산수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뿐이다. 그 중 성암고서박물관의 『어제비장전』권6 제2도를 살펴보면, 고려 전기의 산수화가 북송의 이곽파(각주가 이곳으로 이동)와 많은 연관성이 있었음은 물론 그 수준이 상당히 높았음을 엿볼 수 있다. 여기에는 고원(高遠)·평원(平遠)·심원(深遠)이 고루 갖추어져 있고, 여러 가지 모양의 산과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표현되어 있어 고도로 발달된 산수화의 일면을 엿보게 한다. 여기에 표현된 산수는 비록 판화이기는 하지만, 초보적인 단계에 있던 상징적 표현체로서의 삼국시대 산수화와는 달리 매우 사실적이며 서사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한편 12세기 전반에 이미 한국적인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가 발전하고 있었다. 인종연간(재위 1122∼1146)의 유명한 화원 이녕(李寧)이 「예성강도(禮成江圖)」와 「천수사남문도(天壽寺南門圖)」 등을 그렸던 것은 그 좋은 예이다. 이 밖에도 화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금강산도」, 「진양산수도(晉陽山水圖)」, 「송도팔경도(松都八景圖)」 등이 기록에 전해지고 있는 것을 보면, 고려시대에 한국적인 실경산수화가 발달했음을 시사해 준다.
그러나 고려시대의 실경산수화들은 기록에만 보일 뿐 실제로 전해지는 작품이 없어 양식적인 특징을 밝힐 수는 없다. 고려시대에 어떠한 산수화풍들이 유행하였는지에 관해서 확실한 단정을 내릴 수는 없다. 다만 중국과의 문화교섭이나 단편적인 기록 및 노영(魯英)이 그린 「지장보살도(地藏菩薩圖))」 등을 비롯한 극소수의 작품들에 의거해 볼 때, 대략 이곽파(李郭派)주 01) 화풍과 미법산수(米法山水) 화풍, 그리고 원대의 원체화풍(院體畵風) 등이 전래되어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남송의 원체화풍도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영역닫기영역열기5. 조선의 산수화
조선시대에는 산수화가 크게 발달하였고 전하는 작품도 많은 편이다. 그 흐름을 시기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영역닫기영역열기5.1. 초기(1392∼약 1550)
고려시대로부터의 전통을 계승하고 명나라로부터 들어온 새로운 화풍을 수용하면서 이 시대 특유의 한국적 화풍을 발전시켰다. 이 시대 산수화 양식의 형성에 직접 간접으로 영향을 미쳤던 화풍으로는 이미 고려시대에 전래되었던 것으로 믿어지는 이곽파 화풍, 남송 원체화풍, 미법산수 화풍 그리고 명나라 초기의 원체화풍과 절파 화풍(浙派畵風) 등을 들 수 있다.
이곽파 화풍은 조선 초기의 거장인 안견(安堅)이 수용하여 독자적인 화풍을 형성하고 후대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시된다. 안견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와 그의 전칭작품(傳稱作品)인 「사시팔경도(四時八景圖)」, 그리고 그의 영향을 받은 많은 작품들은 이곽파 화풍을 토대로 발전된 한국 산수화의 특색을 강하게 보여 준다.
이러한 특색은 안견과 그의 후계자들이 남겨 놓은 이른바 안견파(安堅派) 산수화의 구도 및 공간 개념, 필묵법, 준법(皴法) 등에서 뚜렷이 간취된다. 안견파 화가들은 산을 웅장하게 표현하고, 인물이나 동물을 매우 작게 묘사하는 경향을 띠었다. 또한 그들은 몇 개의 흩어진 경물(景物)들을 조합하듯 구성하고, 조광 효과(照光效果) 등 자연의 분위기 묘사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붓을 잇대어 써서 개별화된 필획의 노출을 피하는 경향도 보였다.
15세기 최고의 화원이었던 안견이 이룩한 화풍과는 현저하게 다른 경향의 산수화풍이 같은 시대의 문인화가인 강희안(姜希顔)에 의해 보다 소극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나 그 밖의 전칭 작품들로 미루어 보면, 강희안은 명대 저장성(浙江省)을 중심으로 대진(戴進) 등에 의해 형성된 절파 화풍이나 원체화풍의 그림들을 즐겨 그렸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사관수도」에서는 인물 표현에 역점을 두고 산수는 그 배경으로만 간략하게 다루어 안견 일파의 화풍과 뚜렷한 차이를 드러낸다.
이 밖에 조선 초기 남송대의 마하파(馬夏派) 화풍도 어느 정도 수용되었던 듯하다. 한 예로 이상좌(李上佐)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송하보월도(松下步月圖)」를 들 수 있다. 이상좌의 진작(眞作)으로 단정할 수 없는 이 작품은 왼편 아래쪽 구석에 무게가 치우쳐 있는 일각구도(一角構圖)나 산허리에서 돋아나 꾸불꾸불 직각을 이루며 하늘로 뻗어 올라간 소나무의 모습은 물론 눈썹 같은 원산(遠山)과 근경의 인물들까지 마원화풍(馬遠畵風)의 수용을 잘 보여 준다.
위에서 살펴본 화풍들 외에도 조선 초기의 산수화단에서는 미법산수 화풍이 자리를 굳히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일본 나라(奈良)의 야마토분카관(大和文華館)에 소장되어 있는 서문보(徐文寶), 이장손(李長孫), 최숙창(崔叔昌) 등 15세기 말의 화가들이 그린 산수화들은 이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 미점(米點)과 태점(苔點)들로 묘사된 산의 모습, 화면에 충일하는 안개 낀 자연의 분위기, 그리고 수지법(樹枝法) 등은 이들 작품이 미법산수 화풍을 토대로 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미법산수 중에서도 미불(米芾)의 화풍과 동원(董源)의 화풍을 수용하여 독자적인 세계를 형성하였던 원대 초기의 문인화가 고극공(高克恭)의 화풍과 특히 관련이 깊다.
이러한 작품들의 존재는 비교적 단순하였으리라고 흔히 생각되던 조선 초기의 산수화가 상당히 다양하게 전개되었음을 말해 준다. 조선 초기 산수화의 다양성은 일본에 건너가 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 회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던 이수문(李秀文)과 문청(文淸)의 산수화 작품들과 그 밖에 일본에 남아 있는 여러 작품들에 의해서도 입증이 된다.
영역닫기영역열기5.2. 중기(약 1550∼약 1700)
이 시대의 산수화는 조선 초기에 형성된 화풍의 전통을 계승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초기의 안견파 화풍과 남송 원체화풍이 계속되면서 절파 화풍이 크게 유행되었던 점이 이를 단적으로 말해 준다.
초기에 형성된 이러한 화풍들을 계승하면서 이 시대 나름의 특색들을 발전시켰던 점과 더불어 명대의 미법산수 화풍을 포함한 남종화풍(南宗畵風)을 수용하기 시작한 점이 주목된다. 그리고 이 시대의 화가들이 안견파 화풍·남송 원체화풍·절파 화풍·남종화풍의 어느 한 가지만을 따르기보다는 두 가지 정도의 다른 화풍들을 따로따로 구사하거나 절충하여 그리는 경향을 강하게 지녔음도 괄목할 만하다.
먼저 안견파 화풍을 계승하여 발전시킨 대표적인 예로는 김시(金禔)의 「한림제설도(寒林霽雪圖)」, 이정근(李正根)의 「설경산수도(雪景山水圖)」, 이흥효(李興孝)의 「동경산수도(冬景山水圖)」, 이징(李澄)의 「이금산수도(泥金山水圖)」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안견파 화풍의 전통을 계승하였던 화가와 작품들은 적지 않다.
조선 중기의 산수화에서 제일 널리 유행하였던 것은 절파 화풍이다. 이 화풍은 조선 초기에 이미 전래되어 조선 중기에 이르러 크게 풍미하였다. 이 화풍의 특징은 김시, 이경윤(李慶胤), 김명국(金明國) 등의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흥효와 이정(李楨)의 작품에서는 이 시대 화가들의 외래화풍의 수용 태도를 엿볼 수 있어 주목된다. 조선 중기의 절파 화풍은 17세기에 이르러 김명국에 의해 더욱 강렬하고 거칠게 변하였다. 즉 김명국은 「심산행려도(深山行旅圖)」에서 보듯이 절파 화풍 중에서도 광태사학적(狂態邪學的)인 경향을 강하게 띠었다.
이러한 화풍 외에도 조선 중기에는 원체화풍에 의한 그림이 일부 화가들에 의해 그려졌다. 그리고 남종화가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17세기 초에 명대 오파(吳派)의 대표적인 문인화가였던 문징명(文徵明)의 서화와 『고씨역대명인화보(顧氏歷代名人畵譜)』가 전해져 『선조실록』과 허목(許穆)이나 김상헌(金尙憲) 등의 문집에 언급되고 있다. 조선 중기의 남종화가 소극적으로나마 수용되기 시작하였던 사실은 이 밖에 이정근의 「미법산수도(米法山水圖)」, 이경윤의 동생인 이영윤(李英胤)의 「방황공망산수도(倣黃公望山水圖)」, 이정의 『산수화첩(山水畵帖)』 등에 의해 그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영역닫기영역열기5.3. 후기(약 1700∼약 1850)
전대에 유행하였던 절파 화풍을 위시한 전통적 화풍들이 눈에 띄게 쇠퇴하였다. 그 대신 남종화풍과 그것을 토대로 발전된 진경산수화풍(眞景山水畵風)이 풍미하였다. 남종화는 이미 조선 중기에 수용되기 시작한 것인데, 그것이 조선 후기에 이르러 크게 유행하였다. 종래에 전래되었던 원대와 명대의 남종화 외에 청대의 남종화가 유입되어 이 시대 남종산수화의 폭을 넓혀 주었다.
무엇보다도 이 시기 산수화의 의의를 깊게 한 것은 진경산수화의 발달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일 먼저 주목되는 인물은 정선(鄭敾)이다. 그는 우리나라에 실재하는 경치를 그의 독자적인 화풍을 구사하여 그림으로써 한국풍의 산수화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정선의 작품은 연기(年記)가 있는 것이 매우 희소하다. 그나마 연대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들은 모두 노년기의 것이어서 그의 진경산수화가 언제 확립되었는지 단정하기 어렵다. 그는 전국 방방곡곡을 여행하며 금강산을 위시한 아름다운 산천을 독자적인 화풍으로 그렸다. 그리고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한국적인 산수화풍을 형성하였다. 정선의 진경산수는 조선 후기 화단에 많은 영향을 미쳐 강희언(姜熙彦), 김윤겸(金允謙), 김응환(金應煥),김석신(金碩臣) 등 적지 않은 추종자를 배출하였다.
정선의 제자 심사정(沈師正)은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진경산수화보다는 보다 전통적인 중국풍 남종화법의 그림을 즐겨 그렸다. 남종화풍은 조선 후기에 많은 문인화가와 화원들에 의해 구사되었다. 그중에서도 강세황(姜世晃)과 이인상(李麟祥)은 대표적인 인물이다. 특히 강세황은 허필(許佖), 신위(申緯), 김홍도(金弘道) 등의 화가들과 가까이 지내면서 그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는 화원 중에도 산수화에 뛰어난 인물들이 많았다.. 김홍도와 이인문(李寅文)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김홍도는 산수화 방면에서도 정선에 이어 조선 후기 화단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 후기 산수화의 또 다른 일면은 윤제홍(尹濟弘)과 정수영(鄭遂榮)으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의 작품은 간결한 구도와 수채화적인 담채법(淡彩法), 그리고 아마추어리즘 때문에 매우 신선하고 이색적인 느낌을 준다. 기본적으로 남종화법에서 발전된 것이지만, 그 이색적인 화풍 특징은 그들 자신의 것이다. 윤제홍의 화풍은 조선 말기로 전해져 김수철(金秀哲)과 김창수(金昌秀)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
이와 같이 조선 후기는 남종화가 유행하였고, 그 화법을 토대로 이 시대 특유의 진경산수화가 발전하였으며 이색적인 경향의 산수화가 태동되었던 것이다.
영역닫기영역열기5.4. 말기(1850∼1910)
대개 몇 가지의 다른 화풍들이 공존하였던 앞의 시대와 달리 조선 말기에는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남종화 일변도의 경향을 보여준다. 물론 전대의 화풍들이 전혀 잔존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이 시대 화풍의 주류는 역시 사실적인 표현보다는 높은 경지의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데 역점을 둔 남종화로 귀결된다. 이러한 경향 때문인지 조선 후기에 완성된 정선 일파의 한국적인 진경산수화는 이 시기에 이르러 민화(民畵)에 그 전통이 전해질 뿐, 약간의 예외를 제외하면 주도적인 화가들로부터 외면을 당하였다.
조선 말기의 산수화는 김정희(金正喜)의 감화를 받았던 조희룡(趙熙龍), 허련(許鍊), 전기(田琦) 등 이른바 김정희파의 작품들과 김수철의 이색화풍(異色畵風) 그리고 장승업(張承業)의 작품들에서 그 주된 경향과 특색을 엿볼 수 있다. 특히 고도의 문기(文氣)와 사의(寫意)의 세계만을 회화의 미덕으로 여겼던 김정희의 영향이 화단에 미친 영향이 지대하였다.
조선 말기의 산수화를 근대 및 현대 화단으로 전한 이 시대의 마지막 거장은 장승업이다. 그는 북종화(北宗畵)도 그렸지만 주로 당시 화단을 풍미하던 남종화를 수용하여 그 자신의 세계를 형성하였다. 그는 자신의 괴팍한 성격만큼이나 유별난 화풍을 창조하였다. 특히 과장되고 바로크적인 형태와 특이한 색조는 장승업 화풍의 큰 특징이다. 이러한 그의 화풍은 한국 근대화단의 쌍벽이라 할 수 있는 안중식(安中植)과 조석진(趙錫晉)에게 전해졌다.
이처럼 조선 말기의 대표적인 화가들은 남종화풍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그들 나름의 화풍을 발전시켰다. 전반적으로 이 시기의 수준은 그 이전에 비하여 뒤지는 느낌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표적인 몇몇 화가들의 경우는 그렇지만도 않다. 또한 정치적으로 매우 불안했던 이 시대에 이 정도의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것은 조선 후기에 뿌리를 내린 남종화를 계승, 발전시킨 점과 김정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수준 높은 문인정신이 영향을 미쳤던 것에 힘입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구도나 공간 개념, 각 경물들의 묘사법 등에서 중국의 화풍을 섭취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특유의 독자적인 화풍을 이룩하였다. 이러한 특색은 시기를 달리하며 한국적 화풍의 형성과 전개에 가장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5세기경의 삼국시대에 인물화 등의 배경적 요소로 그려지기 시작하였던 우리나라 산수화는 고려시대를 통하여 순수 감상화로서 크게 성장하면서, 우리 산천을 소재로 하는 실경 산수의 전통을 형성시키기도 하였다. 그리고 한국미술사상 회화가 가장 성행하였던 조선시대를 통하여 산수화는 회화 사조의 대종을 이루면서 한국화의 발전에 주도적인 구실을 하였다.
영역닫기영역열기6. 일제강점기의 산수화
일제의 침략으로 인한 1910년의 국권 상실에서 1945년 광복까지 민족 치욕의 시기에도 뿌리 깊은 전통회화는 조선시대를 뒤이은 시대적 양상으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였다. 특히 산수화는 종래의 관념산수화의 구도와 화법에서 벗어나 개별 화가의 개성적 필법과 주변의 경관을 스케치한 현실적 시각의 사경산수화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조선 말기에서 1910년대에 걸쳐 크게 활약한 안중식과 조석진은 당대의 대표적인 산수화가이기도 했다. 그들은 앞 세대의 거장인 장승업의 영향과 감화를 반영한 필치와 창작성으로 전통적 산수화를 많이 그렸다. 동시에 안중식은 현실적 사실주의 정신과 서양화법으로 경복궁의 실경인 「백악춘효(白岳春曉)」(1915년)와 「영광풍경(靈光風景)」를 그려 보임으로써 후진들에게 근대적 산수화의 방향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안중식은 조석진과 더불어 한국 최초의 미술학교 성격이었던 1910년대의 서화미술회 강습소에서 중심적인 선생이 되어 1920년대 이후의 새로운 사실적 풍경화를 주도한 이용우(李用雨), 박승무(朴勝武), 이상범(李象範), 노수현(盧壽鉉) 같은 제자들을 배출하였다. 이 새로운 세대는 공통적으로 종래의 산수화 형식을 배격하고 한국의 현실적 자연미와 향토적 풍정을 서로 다른 수법으로 주제 삼으면서 시대적 작풍과 창의적 화면을 성립시켰다. 그러한 궤도에서 이상범과 노수현은 특히 화단 진출을 같이 했던 변관식(卞寬植)과 더불어 1970년대까지 두드러진 제작 활동을 지속하여 근·현대 한국 산수화의 거봉(巨峯)을 이루었다. 그들은 다 같이 시골 정취와 한국의 산수 경관을 소재로 삼았으나 각자의 취향과 수법으로 개설을 발휘하였다. 그리고 노년기 이후에는 모두 심상적인 구도와 성격적 감정을 표현한 많은 명작 혹은 역작을 남겼다.
한편 1920년대에 광주(光州)에 정착하여 활약한 허백련(許百鍊)은 19세기의 대표적 산수화가인 진도(珍島) 출신 허련(許鍊)의 방손(傍孫)으로 그 뒤를 이어 정통 남종화 정신을 계승한 산수화 창작으로 고매한 경지에 이르렀고 남도 산수화의 마지막 거봉이 되었다. 반면 허련의 직계손인 허건(許楗)은 목포(木浦)에 정착하여 전통적 산수화 필법과 향토적 사실주의 감각을 조화시킨 작품 활동으로 독자적 세계를 실현시켰다.
그와는 달리 영남 출신으로 허백련을 사사한 성재휴(成在烋)는 1950년대 이후 서울에서 개성적 기질의 자유로운 운필(運筆)로 사풍(師風)을 벗어난 독특한 산수 풍경화를 창조했다. 그에 앞서 더욱 특출하고 분방한 필력으로 새로운 표현 정신의 수묵화를 추구한 이응로(李應魯)도 1958년 파리로 떠나기 전까지 많은 역작과 걸작의 풍경화를 다수 제작하였다.
그런가 하면 이상범을 사사한 배렴(裵濂)은 체험적인 자연 풍경을 부드러운 수묵담채의 필치로 충실하게 그려낸 서정적인 화가였다. 또 김은호(金殷鎬)에게 전통적 채색화 기법을 사사하고 일본의 미술학교에 유학한 이유태(李惟台)는 간결한 수묵 채색화법으로 주로 설악산을 주제로 한 산수화를 사실적 시각으로 그려내었다.
오늘날에는 ‘산수화’란 말 자체가 이미 전통 시대의 용어로 여겨지고 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근대 사경산수화를 거치며 점차 산과 물이 반드시 그려지기 않기 때문에 ‘풍경화’로 총칭하는 것이 오히려 전달이 쉽고 자연스럽다.
영역닫기영역열기 참고문헌
  • 『한국회화의 전통』(안휘준,문예출판사,1988)

  • 『근대한국화의 흐름』(이구열,미진사,1983)

  • 『한국의 미』12 산수화 하(중앙일보사,1982)

  • 『한국의 미』11 산수화 상(중앙일보사,1980)

  • 『한국회화사』(안휘준,일지사,1980)

  • 『우리나라의 옛 그림』(이동주,박영사,1975)

  • 「한국고대산수화의 발생 연구」(이태호,『미술자료』38,국립중앙박물관,1987)

  • 「조선후기의 진경산수화 연구」(이태호,『한국미술사논문집』1,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4)

  • 「한국산수화의 발달 연구」(안휘준,『미술자료』26,국립중앙박물관,1980)

  • 『山水』思想と美術(京都國立博物館,1983)

  • 『李朝の水墨畵』(松下隆章·崔淳雨,講談社,197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산수화(山水畵))]

House of Flying Daggers - Wikipedia

House of Flying Daggers - Wikipedia

House of Flying Dagger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House of Flying Daggers
House of Flying Daggers poster.JPG
Theatrical release poster
Traditional十面埋伏
Simplified十面埋伏
MandarinShí Miàn Mái Fú
CantoneseSap6 Min6 Maai4 Fuk6
Directed byZhang Yimou
Written by
  • Li Feng
  • Peter Wu
  • Wang Bin
  • Zhang Yimou
Produced by
Starring
CinematographyZhao Xiaoding
Edited byLong Cheng
Music byShigeru Umebayashi
Production
companies
  • Edko Films
  • China Film Co-Production Corporation
  • Elite Group Enterprises
  • Zhang Yimou Studio
  • Beijing New Picture Films
Distributed by
Release dates
  • 19 May 2004 (Cannes)
  • 15 July 2004 (Hong Kong)
  • 16 July 2004 (China)
  • 3 December 2004 (United States)
Running time
119 minutes[1]
Countries
  • China
  • Hong Kong
LanguageMandarin
Budget$12 million
Box office$92.9 million

House of Flying Daggers (Chinese: 十面埋伏) is a 2004 wuxia romance film directed by Zhang Yimou and starring Andy LauZhang Ziyi and Takeshi Kaneshiro. Unlike other wuxia films, it is more of a love story than purely a martial arts film.

The film opened in limited release within the United States on 3 December 2004, in New York City and Los Angeles, and opened on additional screens throughout the country two weeks later. The film grossed $11,050,094 in United States box office, and then went on to significantly overperform in home video market in the United States.[2]

The film was chosen as China's entry for the Academy Award for Best Foreign Language Film for the year 2004, but was not nominated in that category. It did receive a nomination for Best Cinematography.

Plot[edit]

In AD 859, as the Tang Dynasty declines, several rebel groups are established, the largest of which is the House of Flying Daggers, based in Fengtian, who battle the corrupt government that oppresses the people. Its members use special throwing daggers that always hit their targets to steal from the rich and give to the poor, gaining the support of the locals. Two police officers, Leo (Andy Lau) and Jin (Takeshi Kaneshiro), are ordered to kill the leader of the group within ten days, a task that appears to be impossible as no one knows who the leader of the House of the Flying Daggers is.

To accomplish this, Leo arrests Mei (Zhang Ziyi), a blind dancer who is suspected of being the previous leader's daughter. Jin proceeds to assault the jail and set Mei free, pretending that he is a rebel sympathizer, an act which gains Mei's trust. As Mei and Jin travel to the Flying Dagger headquarters, Leo trails behind with reinforcements. Unfortunately, Mei and Jin fall in love.

To make the deception more realistic, Leo and his policemen pretend to ambush the pair. Later, though, they are ambushed for real by soldiers. At a secret meeting, Leo explains that the military has gotten involved and wants Jin and Mei dead. A few days later, Jin and Mei are ambushed again in a bamboo forest and almost killed, but they are saved by the House of Flying Daggers and taken to their headquarters. At this point, Mei is revealed to have been faking her blindness, and is not the actual former leader's daughter. Furthermore, she is engaged to Leo, who has also been revealed to have been pretending to be an officer, and is really a Flying Daggers member. The Flying Daggers are not afraid of the military and are actually looking forward to an open battle. A heartbroken Leo tells Mei that he waited for her for three years since he went undercover to infiltrate the police, and asks how she could fall in love with Jin after only three days, only to be told she has her heart set on Jin.

Leo tries to attack Mei, but their superior Nia throws a dagger into Leo's back and reassigns them to new missions, separating them. Shortly after, Mei is told to execute Jin. She frees him instead but refuses to desert the House to join him. Later, Mei changes her mind and rides after Jin, but is ambushed by Leo, who casts two daggers at her. Mei manages to deflect one of them while the other pierces her and seemingly kills her. At this point, Jin discovers Leo and the two of them fight, but their skills are too evenly matched. A raging blizzard falls upon them, while the military approaches the House.

Finally, with both men badly wounded and exhausted, Leo pulls Nia's dagger out of his back and threatens to use it on Jin. Mei reappears and threatens to pull the dagger out of her breast and throw it at Leo, which would cause her to bleed to death, but Jin begs her to save herself. After several tense moments, Leo decides to pretend to throw his dagger, intending to die by Mei's dagger while sparing Jin. However, Mei attempts to use her dagger to intercept Leo's dagger in flight. The result is that neither Leo nor Jin dies, but only Mei. In the end, Leo stumbles away in guilt while Jin cries over Mei's body, singing a song praising her as a "rare beauty", the likes of which he will never see again. Whether the House won against the military is left ambiguous.

Cast[edit]

Production[edit]

Anita Mui was originally cast for a major role, which was to be her final film appearance. She died of cervical cancer before any of her scenes were filmed. After her death on 30 December 2003, director Zhang Yimou decided to alter the script rather than find a replacement. The film is dedicated to her memory.

To prepare for her role, Zhang Ziyi lived for two months with a blind girl who had lost her sight at the age of 12 because of a brain tumor. Takeshi Kaneshiro injured his leg when he went horseback riding. As a result, Yimou had Kaneshiro spend two scenes sitting or kneeling down to alleviate the pain, which was stated in Zhang Yimou's audio commentary.

Most of the film was shot in Ukraine's Carpathian Mountains (the Hutsul Region National Park), such as the scenes in the snow or birch forests. The cast and production team spent 70 days on location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3 and were largely based in Kosiv.[3] The notable bamboo forest sequences were filmed in China. However, due to the early snowfall, the filmmakers opted to alter the script and certain sequences rather than wait for the snow to thaw as the leaves were still on the trees. Director Zhang Yimou later stated that despite the unpredictable weather forcing the alterations, he had achieved the desired effect in the scenery and was happy with the final result.[4]

Like its predecessor HeroHouse of Flying Daggers uses wuxing color theory in both a deliberate and ironic manner.

Literary origins[edit]

The film features the theme of a beautiful woman who brings woe to two men. This theme is borrowed from a famous poem written by the Han Dynasty poet Li Yannian (李延年):

běi fāng yǒu jiā rén, jué shì ér  。   qīng rén chéng, zài  qīng rén guó。 nìng  zhī qīng chéng  qīng guó。 jiā rén nán zài 

Traditional ChineseSimplified Chinese

北方有佳人,絕世而獨立。
一顧傾人城,再顧傾人國。
寧不知傾城與傾國。
佳人難再得。

北方有佳人,绝世而独立。
一顾倾人城,再顾倾人国。
宁不知倾城与倾国。
佳人难再得。

Pinyin transcriptionEnglish translation

Běifāng yǒu jiārén, juéshì ér dúlì.
Yí gù qīng rén chéng, zài gù qīng rén guó.
Nǐng bù zhī qīng chéng yǔ qīng guó.
Jiārén nán zài dé.

In the north there is a beauty; peerless and independent.
A glance from her will overthrow a city; another glance will overthrow a nation.
One would rather not know whether it will be a city or a nation that will be overthrown.
As it would be difficult to behold such a beauty again.

Release[edit]

Box office[edit]

House of Flying Daggers opened in North America on 3 December 2004 in 15 theatres. It grossed US$397,472 ($26,498 per screen) in its opening weekend. The film's total North American gross is $11,050,094. Afterwards, the film went on to earned at least 50% more in United States home video market than in theatrical box office.[2]

The film made an additional US$81,751,003 elsewhere in the world, bringing its total worldwide box-office gross to $92,801,097. It was also the third-highest-grossing foreign-language film in the North America market in 2004.[5]

Critical reception[edit]

House of Flying Daggers debuted in May at the 2004 Cannes Film Festival[6] to enthusiastic receptions.[7][8] The film reportedly received a 20-minute standing ovation at its Cannes Film Festival premiere.[9]

The film received critical acclaim.[10] At film review aggregation website Metacritic, the film received an average score of 89 out of 100, based on 37 reviews, indicating "universal acclaim".[10] Rotten Tomatoes gives the film a "Certified Fresh" score of 87%, based on reviews from 173 critics, and an average rating of 7.76/10. The website's critical consensus states, "The visual splendor of the movie makes up for the weak story".[11] Metacritic also ranked the film at the end of the year as the fifth-best reviewed film of 2004.[12]

Phil Hall of Film Threat wrote: "Quite simply, House of Flying Daggers is a film that sets several new standards for production and entertainment values. It is a wild riot of color, music, passion, action, mystery, pure old-fashioned thrills, and even dancing. With an endless supply of imagination and a kinetic force of nature in its amazing star Zhang Ziyi, House of Flying Daggers cuts all other films to shreds."[13] Desson Thomas of The Washington Post praised the director Zhang Yimou's use of color in the film as "simply the best in the world" and described the film as: "the slow-motion trajectory of a small bean, hurled from a police captain's hand, is a spectacular thing. It's a stunning, moving image, like a hummingbird caught in action."[14] While Kevin Thomas of the Los Angeles Times praised the film by stating: "House of Flying Daggers finds the great Chinese director at his most romantic in this thrilling martial arts epic that involves a conflict between love and duty carried out to its fullest expression."[15]

A. O. Scott of The New York Times described the film as: "A gorgeous entertainment, a feast of blood, passion, and silk brocade." The review also stated: "House of Flying Daggers for all its fire and beauty, may leave you a bit cold in the end."[16] Roger Ebert of the Chicago Sun Times gave the film four out of four stars and states: "Forget about the plot, the characters, the intrigue, which are all splendid in House of Flying Daggers, and focus just on the visuals", and Ebert also states: "the film is so good to look at and listen to that, as with some operas, the story is almost beside the point, serving primarily to get us from one spectacular scene to another."[17] House of Flying Daggers was placed at number 93 on Slant Magazine's best films of the 2000s.[18] and ranked number 77 in Empire's "The 100 Best Films Of World Cinema" in 2010.[19]

Home media[edit]

In the United Kingdom, the film was watched by 1.7 million viewers on Channel 4 in 2007, making it the year's most-watched foreign-language film on UK television.[20] It was later watched by 600,000 UK viewers on Channel 4 in 2009, again making it the year's most-watched foreign-language film on Channel 4.[21] Combined, the film drew a 2.3 million UK viewership on Channel 4 in 2007 and 2009.

Accolades[edit]

Won
Nominations

Soundtrack[edit]

House of Flying Daggers
Soundtrack album by 
Released
  • 15 July 2004 (Hong Kong)
  • 7 December 2004 (United States)
GenreStage & Screen Classical
Length49:37
LabelEdko (Hong Kong)
Sony (United States)
ProducerShigeru Umebayashi

The soundtrack was produced and created by Shigeru Umebayashi, featuring vocals by Zhang Ziyi and Kathleen Battle. It was released in Hong Kong on 15 July 2004 by the film's production company and distributor Edko Films. The US version was released by Sony Music Entertainment on 7 December 2004.

  1. "Opening Title" – 0:58
  2. "Beauty Song" (佳人曲) – 2:32 (Zhang Ziyi)
  3. "The Echo Game" – 1:17
  4. The Peonyhouse – 1:22
  5. "Battle in the Forest" – 3:26
  6. "Taking Her Hand" – 1:14
  7. "Leo's Eyes" – 1:51
  8. "Lovers-Flower Garden" – 2:19
  9. "No Way Out" – 3:59
  10. "Lovers" – 1:54
  11. "Farewell No. 1" – 2:42
  12. "Bamboo Forest" – 2:36
  13. "Ambush in Ten Directions" (十面埋伏) – 2:01
  14. "Leo's Theme" – 2:36
  15. "Mei and Leo" – 3:06
  16. "The House of Flying Daggers" – 1:27
  17. "Lovers-Mei and Jin" – 4:21
  18. "Farewell No. 2" – 2:49
  19. "Until The End " – 2:55
  20. "Title Song Lovers" – 4:12 (Kathleen Battle)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House of Flying Daggers (15) (CUT)"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14 December 2004. Retrieved 24 November 2016.
  2. Jump up to:a b Kaufman, Anthony. "Survivor: Niche island", Variety, Feb 6, 2006
  3. ^ Dmitrenko, Natalia. "Китай у Карпатах, або Як в Україні знімали блокбастер "Будинок літаючих кинджалів" (China in the Carpathians, or how the blockbuster House of Flying Daggers was filmed in Ukraine)" (in Ukrainian). Україна Молода. Retrieved 1 October 2015.
  4. ^ "House of Flying Daggers". Landmark Theat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08. Retrieved 30 April 2009.
  5. ^ "House of Flying Daggers (2004) – Box Office Mojo"www.boxofficemojo.com.
  6. ^ "Festival de Cannes: House of Flying Daggers"festival-cannes.com. Retrieved 5 December 2009.
  7. ^ "Cannes Film Festival 2004"Maclean's Magazine. Retrieved 28 July 2008.
  8. ^ Peter Bradshaw (20 May 2004). "Cannes 2004: Review roundup"The Guardian. Retrieved 28 July 2008.
  9. ^ "Daggers of the mind"Japan Today. 29 July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December 2008. Retrieved 28 July 2008.
  10. Jump up to:a b "House of Flying Daggers"MetacriticCBS. Retrieved 28 July 2008.
  11. ^ "House of Flying Daggers"Rotten TomatoesFlixster. Retrieved 28 July 2008.
  12. ^ "Best Movies for 2004"MetacriticCBS. Retrieved 28 July 2008.
  13. ^ Phil Hall (5 September 2004). "House of Flying Daggers". Retrieved 28 July 2008.
  14. ^ Desson Thomson (17 December 2004). "'Daggers' Flies Off The Screen"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28 July 2008.
  15. ^ Kevin Thomas (3 December 2004). "'House of Flying Daggers'"Los Angeles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une 2008. Retrieved 28 July 2008.
  16. ^ A. O. Scott (3 December 2004). "Fanciful Flights of Blood and Passion"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8 July 2008.
  17. ^ Roger Ebert (17 December 2004). "House of Flying Daggers". RogerEbert.com. Retrieved 28 July 2008.
  18. ^ "Best of the Aughts: Film"Slant Magazine. Retrieved 10 February 2010.
  19. ^ "The 100 Best Films Of World Cinema – 77. House of Flying Daggers"Empire.
  20. ^ "Statistical Yearbook 08" (PDF)UK Film Council. p. 87. Retrieved 21 April 2022 – via British Film Institute.
  21. ^ "Statistical Yearbook 10" (PDF)UK Film Council. 2010. p. 91. Retrieved 21 April 2022 – via British Film Institute.

External links[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