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내관법.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내관법. Show all posts

2023/05/07

日本 の 心 理 療 法 一内観法の誕生 と国際化 一 榛 木 美恵子

일본의 심리 치료법
일내관법의 탄생과 국제화 일

하루키미에코

긴키 대학 임상심리 센터

요약

내관법의 창시자 요시모토 이신이 내관 체험의 훌륭함을 전 세계인들에게 소개하고자 사재를 던져치고 내관 보급에 힘써 반세기 이상이 되었다.올해는 나라현에서 개최된 일본내관학회에 중국인가 이들 27명이 참가해 5개 논문이 발표됐다. 또, 9월에는 중국 산둥성에서 제2회 중국내 관광법학회가 열려 개최된다. 이처럼 1993년 중국에 내관이 도입된 이래 이후 발전과 연구의 진보는 두드러진다.

불교는 538년 중국·한국을 거쳐 일본에 도래했다. 이 무렵 우리나라는 중국·층과의 교역이나
조선반도와의 교류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일본의 국제사회화 속에서 쇼토쿠 태자(574년 1622년)는 『삼보흥륭의 조'(佛法僧)를 발령하여 불교를 보호하고 신도와의 융합을 도모하였다. 드디어 도래했다

불교는 일본의 풍토·문화 속에서 독자적으로 발달하여 많은 사람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어 갔다.요시모토이노부의 내관법은 가마쿠라 시대 일본 토양 속에서 탄생한 불교, 정토진종을 초석으로 1939년 스승 고마야 체신이와 함께 개발하였다.
이후 내관법은 사업·교육·교정교육·의학·가족관계 각 방면에 보급되어 현현재는 정신치료로도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게 되어 인간성 회복, 사회생활 복귀, 마음의 양생으로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본론에서는이내관법의탄생과국제화에대해보고한다.

Keywords : 고민으로부터의 개방, 자기검색, 경청, 자기발견, 내관

1) 처음으로

1981년 7월 외국에서 온 내관시찰단이 내관연수소를 찾았다. 이후 내관은 일본에서만




없이 해외에도 보급되어, 특히 최근 중국에서 급속히 발전해 왔다. 그 역사를 되돌아보면 해외




는 1964년 영국에서 미국의 Northwestern대학교 사회부 준교수 Johnr Kitsuse.에




에 의해 소개된 또 프랑스에서는 1972년 타키노 코우(리쓰메이칸 대학)가 유럽에서




처음으로 내관지도를 했다. 그리고 1976년 David.K..Ph.D(남캘폴니아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이 집중내관을 체험, 1981년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집중내관회를 주최하였다. 소




그래서 Reynolds 박사는 1983년 "Naikan Psychotherapy"를 출간하면서 많은 내관을 소개하고










26 긴키 대학 임상심리센터기요 제2권 2009년




타. 또한 1980년 이시이 미츠시(아오야마학원대)와 Franz.Ritter(오스트리아)가 오스트리아




아에서 내관연수회를 개최. 그리고 1986년 Franz.에 의해 호주에 일본 이외의 첫 내




관연수소가 개설되었다. 독일에서는 1987년 Gerald Steinke.에 의해 내관연수소가 개설되었다.




되었다. 또한 "독일내관 20년" DVD가 발행되어 독일에서의 내관 의학, 복지, 학




교교육, 교정교육으로의 도입 양상이 널리 소개되었다.




1987년 독일 이탈리아 오스트리아에서 4명의 내관자가 일본을 방문하여 요시모토 이신의 집중내




면접을 보았다. 또 중국에서는 1993년 첫 집중내관자가 탄생, 이후 상하이정신위




생센터를 중심으로 내관워크숍이 개최되었고, 2004년 5명의 의사가 집중 내관체험




에 일본에 왔다. 그 후 오사카 내 관연수소에서는 계속해서 중국 의사단의 집중 내 관연수를 실시했다.




또한 2007년 중국에서의 제1회 집중내관연수회가 11명의 의사와 심리전문가 참여하여 상




해상신 위생센터에서 개최되었다.




내관의 국제적인 연구는 1991년 제1회 내관국제회의가 이시이 미쓰루 교수(아오야마학원대학)에게




따라서 도쿄에서 개최되고, 제2회는 오스트리아에서 개최되며, 이후 3년마다 유럽과 일




책에서 개최되고 있다.




또한 2003년 가와하라 류조(도리토리대학 의학부) 교수에 의해 국제내 관광법 학회가 일본에서




개최되었고, 제2회는 2005년 11월 중국 상하이 정신건강 중심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2년




이미 개최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의 내관 연구는 1978년에 일본내관학회가 발족,




1998년에 내과 학회가 발족하여 매년 개최되어 각 분야에서의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이




이와 같이 내관의 보급과 연구는 국내외에서 국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앞서 정신과 의사




이시시다(1965)는 '내관분석치료법의 제창'과 연구사례를 발표하였다. 탁목문학의 정신분석학




과적 연구에 있었던 석전은 탁목이 약 10일간의 유아기억의 집중사고에 의해 카타르시스에 의해




라고 생각되는 상쾌감을 느낀다는 것을 알고, 기억의 집중 사고에 의해 상당한 단기간에 정




신정화를 달성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여 '내관'의 단기집중정신정화법을 정신분석의 기법과




병용하여 심인성 질환으로 생각되는 환자에게 도입하고 이후 많은 치료 효과를 얻고 있다(이시다,




1966)。




2) 내관법의 성립




이와 같이 심리치료로도 널리 활용되어 온 「내관법」은 나라현에 사는 요시모토 이노부




(1916년~1988년) 구도 체험에서 탄생하였다.




그 역사를 살펴보면 인도에서 중국으로 건너간 불교(대승불교)가 중국 각지에서 발달하여




간몬




있었다. 그 중에서도 지금으로부터 약 1500년 전 중국 남북시대 산시성 북부의 영봉 오대산 인근 안문에서




태어난 중담취대사는 유교 등의 학문과 당시 중국에서 성행했던 노자·장자 등의 길




도다이실키요




가사상을 수양하고 특히 인도에서 전해진 경전 중 『대집경』에 중국 학문의 전통을 깊게




미야코라쿠요우부콘보네요우부콘보네요우호오부콘보네요우호오부콘보네요




이해하고 주석을 달았다. 또한 도 낙양에서 불전번역 지도자였던 외국승 보리류지(仁田流支)










하루키 미에코 : 일본의 심리요법 27




바가지도 씌우고




도)와 만나 끝없는 생명을 설파하는 『관경』을 배우고 보리류지에 의해 번역되어 중국에 소개




종도종도종유




된 염불왕생의 가르침 「정토론」에 주석을 달아 『정토논주』를 저술하고 타력정토의 가르침을




세키헤이코겐츄우지




분명히 했다. 그리고 이 '정토의 가르침'을 담앵대사는 석벽골 겐츄지에 살고 있지 않다.




사람들 속에 들어가서 보급했다. 지금도 현중사 비석에는 황제의 칙명에 따라 정토의 교




에' 원래 불을 산서의 드넓은 시골에 지내기도 했다, 이름 없는 소년 흐림칙한 생애와 정토왕생의 말이다.




마가 기록되어 있다(오오우치, 2003). 역시 층의 멸망과 그에 따른 대란의 시대 10세로 출가




한 중국 승려 선도대사(613년 1681년)는 이 '정토의 가르침'을 당나라 도장안에서 일권




의 『니카와 백도의 예』도를 걸어 포교하였다. 이 가르침은 선도대사에 의해 칭명(염불)




이를 통해 민중의 마음에 직접 호소·울리고 받아들여졌다. 또 선도대사는




황제로부터 당나라 대사업 낙양 용문석굴의 대불조영을 맡아 완성하였다. 그리고 이




낙양 용문석굴의 대불은 참배객들에게 프랑스 땅의 감동을 주었다. 그리하여 아미타 정토의 교




그림은 도 장안에서 자라 중국 전역으로 퍼져나가 마침내 일본에 전해지게 되었다.




중국 낙양용문(2007년 촬영) 중국 낙양용문석굴과 남무아미타불




(2007년 촬영)




3. 불교와 일본 문화 속에서 탄생한 내관법




중국·한국을 거쳐 일본에 도래한 불교는 층과의 교역이나(견계사 점강성 닝보·견당사),




조선반도와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국제사회를 살기 위해 594년 성덕태자(574~622년)




에 의해 『삼보흥륭의 조』(불·법·승)가 발령되어 일본 신도와 함께 보호되고 보급




하게 되었다(증근, 2007).




후에 헤이안 시대, 히에이산의 승원신(942~1017년)은 이 정토의 가르침을 「왕생요집」






(1175년경)에 편찬하였다.



















BuIletinof⊂enterfor⊂lini⊂alPsychoIogyKinkiUniversityVo1.2:25〜33(2009)

25

日本 の 心 理 療 法

一内観法の誕生 と国際化 一

榛 木 美恵子

近畿大学臨床心理セ ンター

要 約

内観法の創始者 ・吉 本伊 信が、 内観体験 のすば らしさを世界中の人 々に紹 介 したい と、私財 を投 げ

打 って内観普及 に励 んで、半世紀以上 となる。本年 は、奈 良県で開催 された 日本内観学会 に、中国か

ら27名 が参加 し、5論 文が発表 され た。 また、9月 には、 中国山東省 で第二 回中国内観療 法学会が開

催 され る。 この ように、1993年 に中国 に内観が導入 されて以来、その後の発展 と研 究の進歩 は、著 しい。

さて、仏教 は538年 、 中国 ・韓 国 を経 て、 日本に渡来 した。 この頃、わが 国は中国 ・階 との交易 や

朝鮮半 島との交流が始 まった。 このような 日本 の国際社 会化 の中で、聖徳太子(574年 一622年)は 『三

宝興隆の詔』(仏 ・法 ・僧)を 発令 して、仏教 を保護 し、神道 との融合 をはか った。 やが て、渡 来 した

仏教 は 日本 の風土 ・文化 の中で独 自に発達 し、多 くの人 々の精神 的 な支 えとなっていった。吉本伊信

の内観法 は、鎌倉時代、 日本 の土壌 中のか ら誕生 した仏教 、浄土真 宗を礎 に1939年 、 師匠の駒谷諦信

とと もに開発 した。そ の後 内観 法 は、事業 ・教 育 ・矯正教育 ・医学 ・家族関係の各方 面に普及 し、現

在 で は、精神療 法 と して も海外 で も高 く評価 を うけ るようにな り、 人間性の 回復、社 会生活復帰、心

の養生 として広 く応用 されてい る。本論で は、 この内観法の誕生 と国際化 につ いて報告す る。

Keywords:悩 み か らの 開 放 、 自 己 検 索 、 傾 聴 、 自 己 発 見 、 内 観

1.は じめ に

1981年7月 、 外 国 か らの 内 観 視 察 団 が 、 内観 研 修 所 を訪 れ た。 以 来 内 観 は 、 日本 だ け で

な く海 外 へ も普 及 し、 殊 に 近年 、 中 国 で急 速 に 発展 して きた 。 そ の 歴 史 を振 り返 る と、 海 外

に は1964年 、 イギ リス で 、 米 国 のNorthwestern大 学 社 会 学 部 準 教 授JohnrKitsuse.に

よ っ て紹 介 され た 、 ま た フ ラ ンス で は 、1972年 滝 野 功(立 命 館 大 学)が ヨー ロ ッパ で 、

は じめ て の 内 観 指 導 を行 っ た。 そ して、1976年 、David.K..Ph.D(南 カ ル フ ォル ニ ア大 学

医 学 部 教 授)が 集 中 内 観 を体 験 、1981年 に、 米 国 で 初 め て の 、 集 中 内 観 会 を 主 催 した。 そ

して、Reynolds博 士 は、1983年"NaikanPsychotherapy"を 出版 して ひ ろ く内観 を紹 介 し



26 近 畿 大 学 臨 床 心 理 セ ン タ ー紀 要 第2巻2009年

た。 また1980年 、 石 井 光 氏(青 山学 院 大)とFranz.Ritter(オ ー ス トリア)が オ ー ス トリ

アで 内観 研 修 会 を 開催 。 そ して 、1986年Franz.に よっ て オ ー ス トリア に 日本 以 外 で初 の 内

観 研 修 所 が 開 設 さ れ た。 ドイ ツで は1987年 、Gerald.Steinke.に よっ て 内 観研 修 所 が 開設 さ

れ た。 また 、"ド イ ツ内 観20年"のDVDが 発 行 され て 、 ドイ ツで の 内 観 の 医学 、 福 祉 、 学

校 教 育 、 矯 正 教 育 へ の導 入 の様 子 が 広 く紹 介 され た。

1987年 、 ドイ ツ ・イ タ リア ・オ ー ス トリ ア か ら4名 の 内観 者 が 来 日、 吉 本 伊 信 の 集 中 内

観 面 接 を う け た。 また 中 国 で は1993年 は じめ て の 集 中 内 観 者 が 誕 生 、 そ の 後 、 上 海 精 神 衛

生 セ ン ター を 中 心 に 内観 ワー ク シ ョ ップ が 開 催 さ れ、2004年 、5名 の 医 師 が 集 中 内 観 体 験

に来 日 した。 そ の後 、大 阪 内 観研 修 所 で は継 続 して 、中 国 医 師 団 の集 中 内観 研 修 を 実 施 した 。

ま た2007年 中 国 で の 第一 回集 中 内観 研 修 会 が11名 の 医 師 や心 理 の専 門 家 が 参加 して 、 上

海 精 神 衛 生 セ ン ター で 開催 さ れ た。

内 観 の 国 際 的 な研 究 は 、1991年 、 第 一 回 内 観 国 際 会 議 が 石 井 光 教 授(青 山学 院 大 学)に

よ っ て、 東 京 で 開催 さ れ、 第二 回 は オ ー ス トリア で 開催 され て、 以 降3年 ご とに 、 欧 州 と 日

本 で 開催 され て い る。

ま た 、2003年 、 川 原 隆 造(鳥 取 大 学 医学 部)教 授 に よ っ て 、 国 際 内観 療 法 学 会 が 日本 で

開催 さ れ、 第 二 回 は、2005年11月 、 中 国 上 海 精 神 衛 生 中心 に お い て 開 催 され た。 以 後2年

ご とに 開催 さ れ て い る 。 一 方 、 国 内 に お け る 内観 研 究 は、1978年 に 日本 内 観 学 会 が 発 足 、

1998年 に内 観 医 学 会 が 発 足 して、 毎 年 開 催 され 各 分 野 で の研 究 が 、 発 表 さ れ て い る。 こ の

よ う に内 観 の 普 及 と研 究 は、 国 内外 にお い て 国際 的 に進 ん で い る。 こ れ に先 立 ち、 精 神 科 医

師 石 田(1965)は 、 「内 観 分 析 療 法 の提 唱 」 と研 究 症 例 を発 表 した。 啄 木 文 学 の 精神 分 析 学

的 研 究 に あ っ た 石 田 は、 啄 木 が 約10日 間 の幼 児 記 憶 の 集 中思 考 に よ っ て、 カ タル シス に よ

る と思 わ れ る爽 快 感 を 覚 え た こ と を知 り、 記 憶 の 集 中思 考 に よっ て 、 か な りの 短 期 間 に精

神 浄 化 を達 成 す るの で は な い か と考 え、 「内観 」 の 短 期 集 中精 神 浄化 法 を精 神 分 析 の技 法 と

併 用 し、 心 因性 疾 患 と思 わ れ る患 者 に導 入 し、 そ の 後 、 多 くの 治療 効 果 を得 て い る(石 田,

1966)。

2.内 観 法 の成 り立 ち

この よ うに心 理療 法 と して も広 く活 用 され て き た 「内 観 法 」 は、 奈 良 県 に住 む、 吉 本 伊 信

(1916年 〜1988年)の 求 道 の体 験 か ら誕 生 した。

そ の歴 史 をた ど る と、 イ ン ドか ら中 国 へ 渡 った 仏 教(大 乗 佛 教)が 、 中 国 各 地 で 発 達 して

がんもん

い た 。 中 で も今 か ら約1500年 前 、 中 国南 北 朝 時 代 、 山 西 省 北 部 の霊 峰 五 台 山近 くの 雁 門 で

生 ま れ た僧 ・曇 鷲大 師 は 、儒 教 な どの学 問 や 、 当 時 の 中 国 で 盛 ん だ っ た 老 子 ・荘 子 な どの 道

ドだ い じつ き ょ うヨ

家思想 を修 め、特 に イン ドか ら伝 わった経典 の中か ら 『大集経』 に中国の学問の伝 統 を深 く

み や こ ら く よ う ぶ っ て ん ほ んや く ぼ だ い る し

理解 して注釈 をつけた。 また、都 ・洛陽で仏典 翻訳 の指導者であ った外 国僧菩提 流支(イ ン



榛木美恵子:日 本の心理療法 27

ぼ だ い る し

ド)と 出逢 い 、 限 りな い命 を説 く 『観 経』 を学 び 、 菩提 流 支 に よっ て翻 訳 され、 中 国 に紹 介

じ ょう ど う ん ドじ ょう どう ん ち ゅ うユ

された念仏往生 の教 え 「浄土論」 に注釈 を付 けて 『浄土論註』 を著 し、他力浄土 の教 えをあ

せ きへ っ こ く げん ち ゅ う じ

き らか に した。 そ して こ の 「浄 土 の 教 え」 を曇 鶯 大 師 は、石 壁 谷 の玄 中寺 に住 み 、 い な か の

人 々 の 中 に入 っ て、 普 及 した 。 今 も、 玄 中寺 の石 碑 に は、 皇 帝 の 勅 命 に よっ て 、 「浄 土 の教

え」 の と も し火 を 山西 の ひ な びた 田舎 に と も した 、 名 も無 き少 年 曇 驚 の生 涯 と浄 土 往 生 の さ

まが記 され て い る(大 内,2003)。 や が て 、 階 の 滅 亡 とそ れ に伴 う大 乱 の 時代10歳 で 出家

した 中 国 の 僧 、 善 導 大 師(613年 一681年)は 、 この 「浄 土 の教 え 」 を唐 の都 長 安 で 一 巻

の 『二 河 白道 の 例 え』 図 を掛 け て布 教 した。 こ の教 え は、 善 導 大 師 に よ っ て、 称 名(念 仏)

と掛 け図 に よっ て民 衆 の 心 に 直接 訴 え ・響 き、 受 け入 れ られ普 及 され た。 ま た、 善 導大 師 は、

皇 帝 よ り唐 朝 あ げて の大 事 業 洛 陽 の 龍 門石 窟 の 大仏 造 営 を任 さ れ完 成 した。 そ して、 こ の

洛 陽 の龍 門石 窟 の大 仏 は参 拝 す る人 々 に仏 国 土 の 感動 を与 え た。 こ う して、 阿 弥 陀 浄 土 の教

え は、 都 長 安 で 育 ち、 中国全 土 に広 が り、 や が て 日本 に伝 え られ る こ とに な った 。

中国 洛陽 龍門(2007年 撮影) 中国 洛 陽 龍門石窟 と南無阿弥陀仏

(2007年 撮 影)

3.仏 教 と 日本 文 化 の 中か ら誕 生 した 内観 法

中 国 ・韓 国 を経 て 日本 に渡 来 した仏 教 は、 階 との交 易 や(遣 階 使 漸 江省 寧 波 ・遣唐 使)、

朝鮮 半 島 との 交 流 が うな が され る 国 際社 会 を生 きる た め、594年 、聖 徳 太 子(574〜622年)

に よ っ て 『三 宝 興 隆 の 詔 』(仏 ・法 ・僧)が 発 令 され 、 日本 の神 道 と と も に保 護 さ れ、 普 及

す る こ と とな った(曾 根,2007)。

後 に平 安 時 代 、 比 叡 山 の 僧 源 信(942〜1017年)は 、 この 浄 土 の 教 え を 「往 生 要 集 」

(1175年 頃)に 編 纂 した。 また 平 安 末 期 か ら鎌 倉 幕府 成 立 の動 乱 の 時代 、 僧 法 然(ll33年

〜1212年)は 、 比 叡 山西 塔 の 黒 谷 で 中 国 か ら 日本 に もた ら した 経 典 の 中 か ら、 善 導 大 師 の



28 近 畿 大学 臨床 心理 セ ン ター 紀 要 第2巻2009年

書 い た 『観 経 書』 に出 会 い 民 衆 に念 仏 を普 及 す る こ とに生 涯 をつ くす と と もに、 専 択 本 願 念

仏 集 を完 成 した 。 法 然 の弟 子 と な っ た僧 親 驚(1173〜1262年)は 『愚 か な る仏 弟子 』 を

悟 り"限 りあ る 命"と"愚 者 の 自己"に 目覚 め"先 師(良 き人)"に 導 か れ る 身 を悟 っ た。

この悟 りは後 に 吉本 伊 信 に よっ て 、 内観 法 とな っ た(榛 木,1972)。

4.悩 み 、 こ だわ りか らの 脱 出

幸 せ を求 め て 親驚 の道 を求 道 して い た奈 良 県 在住 の吉 本 は、 恩 師 ・駒 谷 諦 信(大 阪 布 施

諦 観 庵)に 導 か れ て、 「愚 か さの 自覚 ・いず れ の行 い も及 ば な い 身 の気 付 き、"罪 業 深 重"(日

暮 し ・生 業 ナ リワ イ)」 を悟 り、 そ の 喜 び 「幸 せ 」 を 世 界 中 に普 及 した い と一 念 発 起 し駒 谷

と と もに 「内観 法 』 を大 成 させ た。

「内 観 法 」 とは、 愛 す る人 か ら離 れ られ な い、 別 れ た 人 が 忘 れ られ な い 、 失 っ た もの に し

が み つ く、 次 々 に 湧 き上 が る欲 望 、 これ らの 執 着(固 着)一 む さ ぼ り(貧)、 い か り(瞑)、

愚 か(擬)さ 一 の気 づ き 「洞 察 」 を得 る 方 法 で あ る。 人 間 の あ くな き欲 望 を調 べ て(内 観 法

の前 身 「身調 べ 」)無 常 を知 り 「一 期 一会 」 の 生 きる エ ネ ル ギ ー を得 る方 法 と して 「内 観 法 」

は、 誕 生 した。 そ して そ の至 る 道標 に 「罪」 を掲 げ 、 そ の 罪 を調べ る 方 法 と して 、 内 観3項

目(① して頂 い た こ と② して返 した事 ③ 迷 惑 か け た こ と)や 、 嘘 と盗 み な ど をテ ー マ に掲 げ

1940年 、 内 観 法 は確 立 され た(吉 本,1965)。

〔内観療法〕

内観療法 では、一方 的な 自己理解 や他者理解 が、現在 の環境へ の適応 困難 をもた らしてい

る と考 え、過去 か ら現在 まで 自分が他者 と、 どの ような人間関係 を結んで きたか を、改 めて

調べ る事 によ り、新 しい 自己理解や、他者 理解 を得 る方法 と して 「内観 法」 を用 いている。

即 ち内観法 に よって、一方 的な理解 が修正 されて、環境へ の適応 ・和解 が促 進 され人間関係

の改善が はか られる。 その根源 に、 人間関係 の 「愛」 を第一 テーマに掲 げその作 用に、幼児

期か ら現在 までの、記憶 の集 中思考 をおこないその過程 に精 神の浄化 が もた らされた。 内観

法が別名 「泣 き観」 とも言 われ、 さわや かな爽快感 と素直 な こころを得 る所 以である。

1課 題 内 観 三 項 目

1、 お 世 話 に な っ た こ と

2、 して 返 した こ と

3、 迷 惑 をか け た事

☆ 嘘 と盗 み

☆ 養 育 費 の 計 算 ・ギ ャ ンブ ル等 にか か っ た費 用

た こ と

過去か ら現在 まで具

体 的な事実 を年齢順

に調べ る。







榛 木 美恵 子:日 本 の 心理 療 法

29

Hテ ーマの設定

母 、 父 、 先 生 、 配偶 者 同僚 、子 ど も、 身 近 な 人 々 と、 自分 との 関 係 を調 べ る。

皿 集中内観の構成

1)場 の安全

①居住性 と隔離性 の確保 …安住 ・食 ・入浴 な どの生活の保護

②集 中思索 で きるよ う人間相互 関係 の一時的中断 と物理 的刺激 遮断…屏風 の使用

⇒刺激遮 断 ・記憶 の集 中思考継続

2)内 観者側の条件 …内観 の基本 ルールや前提 条件 の受入 れ、これに従 う合 意 と約束が

あるこ と

3)内 観 の 姿 勢

①1日15〜16時 間(1週 間の 宿 泊 研 修)。

楽 な姿 勢 で 座 り、 内 観 の テー マ に集 中す る。

② テ レ ビ ・携 帯 ・書 籍 の 禁 止

④ 内 観 に関 す る テー プの 聴 取(自 由)

⑤ 指 導 者 以 外 の 人 との 交 談 厳 禁

⑥ 入 退 観 の 自由(意 思 の 尊 重)

4)自 力 性

① 面 接 は3〜5分(内 観深 化 は 、 実 習 者 の 独 力 に よ る内 観 時 にお こ なわ れ る)

② テ ー マ に そ っ て 過去 体 験 を幼 少 時 に さか の ぼ り、 系 統 的 ・具 体 的 に想 起 す る。

5)口 頭 での開陳

面接者 の巡 回面接 に よ り、実 習者 は内観内容 を口頭 で開陳(自 己開示)す る。

6)面 接頻度 と面接態 度

①2〜2.5時 間に一 回の面接

小学生 ・老 人 ・病的 な場合 は1時 間〜30分 お きに面接

②基本的態度 は受容的で あるが、実習者 の発想が外罰 的 ・自己中心 的 ・感情 的な場

合 は指示的 に内観への方向づ けを行 う。

③ 礼節 を重ん じる。



30

近 畿 大 学 臨 床 心 理 セ ン タ ー紀 要 第2巻2009年

7)秘 密保持

面接者 は秘密厳守 の信頼 ・契約 を守 る。

IV内 観 過 程 の 心 理 規 制

1.当 面 の悩 み と無 関係 な課 題(内 観 三項 目)受 入 れへ の抵 抗



2.思 考 様 式 変 更へ の と ま どい

(例)し て も らわ な か っ た事 か ら して も らっ た 事へ の 思 考 様 式

↓ の変 更

3.記 憶 想 起 へ の 困難(思 索 の集 中 ⇔ 食事 ・入 浴 等 の 生活 の 世 話)



4.刺 激 遮 断法 へ の抵 抗(情 報 遮 断 と拘 束 ⇔ 入 退 内観 の 意 思 の 尊重)



5.防 衛 規 制(都 合 の悪 い誤 っ た対 人 感情 へ の 意 識化)



6.陽 性 感 情 転 移 に基 づ く記 憶 の愛 情 再 体 験



7.抵 抗 の排 除 と カ タル シス の発 露



8.精 神 浄化 作 用



9.洞 察(新 しい 自己発 見)



10.欲 望 か ら感謝 へ の転 向(ポ ジテ ィブ な エ ネ ル ギ ー の 活 動)

「と らわ れ 」 か らの解 放

2〜3日

4〜6日

6〜7日

5.内 観 にお け る傾 聴 と 自己 治 癒

[傾聴 一現 実検 討 の抵 抗 の打 破 一]

内観 の面 接 者 は 、 内観 者(記 憶 の 集 中思 考 に取 り組 む 人)の 体験 を内観3項 目 に した が っ

て 聞 く事 『傾 聴 』 が最 も重 要 で あ り、 面接 者 は傾 聴 に徹 す る 。 そ れ は 内観 者 の 「語 り」 は面

接 者 に とっ て は 「法」 あ り、 同 時 に 内 観者 に とっ て は 、存 在 の 是 認 で あ る。 この 面 接 者 の 態

度 に よ り、 内観 者 は 「行 動 の罪 へ の責 任 転 嫁(罪 責 感)」 とい う抵抗 が解 除 され る。 そ して 、

現 実 検 討 はす す み 、記 憶 の 愛 情 体 験 が 想 起 され て、カ タル シス が お こ る。 この よ う な経 緯 で 、

精 神 の 浄化 作 用 が 勧 め られ、 これ まで の執 着(む さぼ り(貧)、 い か り(瞑)、 愚 か(瘍)さ)、



榛 木 美 恵 子.日 本 の 心 理 療 法 31

固 着 、 固 執 へ の 気 づ き、 す なわ ち 『洞 察 』 が お こ な わ れ、 葛 藤 か ら解 放 さ れ る。 こ の時 、 欲

望 は感 謝 へ 転 向 し、 そ の エ ネ ル ギー は 自 己治 癒 力(自 然 回復 力)へ 転 化 され る。 現 実 検 討 の

自動 操作 、 罪 悪 の 検 索 ス イ ッチ がONに な り、 内観 は進 め られ る。 こ こ に罪 責 感 に よ る ス ト

レス や 抵 抗 は解 除 され 、 現 実 否 認 に よ って 現 れ て い た 身体 症 状 は軽 減 され る。 内観 者 の 内観

3項 目の 報 告 の 傾 聴 は、 この 機 能 が 、 自力 で 開 始 され る こ とをす す め る。

傾 聴 とは 、 山 か ら流 れ 出 る水 が 水 車 を 回 し、 それ が 力(エ ネ ル ギ ー)と な って 稲(内 観 の

種)を 脱 穀 す る。 そ の 水 車 の 音 を、 面 接 者 が 聴 いて い る こ とを意 味 す る。 同時 に傾 聴 は、 面

接 者 の 内 部 の 水 車 を まわ し、 面 接 者 の稲(内 観 の種)の 脱 穀 を も行 な う。 これ を 、吉 本 は内

観場 所 「屏風 の 中 」 を 「法座 」 とい い 内 観 者 の 「自己 開 示 」 を 「法 を聴 く」 と言 っ て、 面 接

者 の 内観 を常 と した 。

内観 法 は 、 太 陽 の 光 が あ た ら ない と なげ い て い る者 に、 太 陽 が 雲 上 で 輝 い て い る事 を知 ら

せ 、 また 、 雲 の切 れ 目 に さす 光 の 効 力 と、 太 陽 の 光 に よ って 育 つ 、 動 植 物 の 恵 み を知 る方 法

と も言 え る。

6.終 りに

石 田(1966)は 、"内 観 者 が 、 この 自責 的 思 考 に な れ な い の は、 罪 責 観 す な わ ち責 任 を罪

に転 化 一 抵 抗 一 して い る か らで あ る"と 述 べ 、"う つ 病 者 の 罪 責 感 の多 くは、 防衛 的 な もの

で純 粋 な罪 悪 感 で は な い"と のべ て い る 。 つ ま り罪 責 は 内 観 で はな く他 者 へ の 攻 撃 で 外 観 で

あ る。 この と き面 接 者 は 、 「〜 して も らわ なか っ た事 」 を 「して も らっ た 事 」 に 「〜 して あ

げ られ な か っ た事 」 を 「〜 して あ げ た事 」へ の 訂 正 を う なが し、 対象 選択 を配 慮 し、 あ るい

は 「内観 目的 」 と 「動 機 」 を明 確 化 して 、 あ らた め て 内 観3項 目へ の取 り組 み を推 奨 して 、

内観 へ の導 入 を慎 重 に すす め る。 しか し集 中 内観 の3〜4日 間 は 、悩 み と無 関 係 な課 題 「内

観 三 項 目」 の受 入 れ や、 刺 激 遮 断法 へ の抵 抗 も大 きい 。 この 時 内観 者 の お 世話 や 、 傾聴 に徹

す る こ とは重 要 で あ る。

内 観 法 に よ る治 癒 像 に つ い て石 田(1972)は 、"病 気 が 治 って 自己 満 足 す る だ け で な く、

自己 を乗 り越 え て、 社 会 に 向 か っ て働 きか け る 一創 造 的 、 自発 的行 動 カ ー エ ネ ル ギ ー が伴 う

人 間像"と 掲 げ て い る。

ま た吉 本 は、 「集 中 内観 は 電 柱 を建 て た に す ぎず 、 日常 内観 と い う電 線 を 張 ら な け れ ば 電

気 が 通 らな い 」 と述 べ 、 「内 観 法 一 集 中 内観 一 に よ る罪 責 観 の抵 抗 の 打 破 」 は 自己 検 索 の は

じま りで 「内観 へ の 入 門 」 で あ り、 打 破 され た 無 明 の 闇(あ つ い雲 一迷 い)は 、 す ぐに貧 ・

愛 ・瞑 ・憎 の 雲 で お お われ る と述 べ 、 集 中 内観 後 の、 日常 内観 をす す め、 そ の重 要 性 を説 い

た 。 吉 本 は、 「日常 内 観 者 」 を〈 と らわ れ 〉 か ら解 放 さ れ た 人 間 像(治 癒 像)と して掲 げ あ

くな き悩 み に内 観 との 二 人 三 脚 を指 導 して い る。



32 近 畿 大 学 臨 床 心 理 セ ンタ ー 紀 要 第2巻20⑪9年

比叡山無動寺谷 大乗院 範宴(親 鴛)9歳 一29歳 修 行 の地

1987年 撮 影

複雑 な現代社会 で、生活 のい きづ ま りや、希薄 な人間 関係 によって、 ます ます 自殺者や う

つ病 は増大 している。 また神経症、非行、ギ ャ ンブル依存への対応 に も、人間性の再発見 と

育成 は急務 であ る。 内観法 は多 くの人が一度 に行 える新 しい 自己へ の気付 き 「自己発見 法」

で あ り、「愛 の再発見 」「社 会性 の育成法」であ る。

ITの 発展 と ともに、 文化 を越 えて情 報 化が 津波 の よ うに押 し寄せ ては 引 く現代社 会 の

精神 文化 の戸 惑い は、 さま ざまなひずみ の因 と もなる。 これ ら社会 の発展 と精 神文化 との

ギ ャップに、内観 法がはたす役割は非常 に大であ る。

参 考 文 献

玄海編集部(1973)t玄 海 内観特集号 福 岡刑 務所 教育部

榛木美恵子(1972);子 供の内観 佐藤幸 治(監 修)禅 的療法 ・内観法 文 光堂pp331 344

榛木美恵子(2009):共 育 内観法 邦 文社

石 田六郎(1965):内 観分析療法 の提唱 日本医事新報,2147,呂2 84、

石 田六郎(196の:啄 木 と内観,内 観教 育 吉本 伊信 ・京都刑務所pp27 29.

金子大栄(195ω:他 力本願 全 人社

長 島正博(200①;や す ら樹 内観 国際 会議 自己発見の会事務局

中 川皓三郎他(20⑪4):ブ ッダと親鷺 東本願寺

大 内文雄監修(20⑪3):七 高僧 ものが た り 東本願寺出版部

塩崎伊知朗 ・竹元隆 洋{200①:証 言集 ・吉本伊 信 と内観法 近代文芸社

曾根正人(2QO7):聖 徳太子 と飛鳥仏教 吉川弘文館

鈴 木大拙(1974):東 洋 の心 春秋社

竹 内硬(1966):内 観法 と入 間改造 内観教 育 発行者 吉本伊信pp59 105,



榛 木 美 恵 子:日 本 の心 理 療 法

33

竹内硬(1972):内 観 法の周辺 佐 藤幸 治(監 修)禅 的療 法 ・内観法 文光堂pp301 330.

梅原真隆(1936)十 七憲法 講讃 親驚聖 人研 究発行所

吉本伊信(1965)内 観 四十年 春秋社

吉本伊 信(1975)内 観法 内観研修所

吉本伊 信(1980)内 観25年 の歩み 内観研 修所

*** 정신의학과 내관법 精神医学と内観法 230509

1810204.pdf



정신의학과 내관법  精神医学と内観法

도야마 시민 병원 신경과 정신과 구사노


일본에는 예로부터 신이나 된장 등 일정 기문을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조용히 묵고하는 수행법이 있었다.수행을 쌓은 고승 등은 사회에서도 널리 존경받았으며, 일본인에게 조용히 앉아 묵고해 보고 싶은 것은 많은 소원이자 동경이었다.2)

인간의 정신은 의식되고 있는 것 뒤에 더 넓은 무의식의 세계가 있다. 19세기 말에, 우리가 평소 의식하지 않았던 무의식의 세계에도, 정신 활동이 있다는 것을 정신 분석학의 창시자 S. 프로이트가 발견했다: 이 무의식의 세계에 매달리는 우리나라만의 방법으로 내관법이 있다. 현대 의학은 서구 의학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불충분한 것이 있어 동양의학의 좋은 점을 다시 보고 있다.이럴 때 내관법을 정신의학의 입장에서 바라본다. 

내관법이란

내관은 원래 정토진종의 일파인 기베파 木辺派 (본산 긴오리지, 시가현)에 전해지는 '신체조사'「身調べ」라는 종교적 수행법이었다.일반인에게는 공개하지 않는 비사법문秘事法門인 리, 절식, 단면하여 신앙을 확신하는 입신의례였거나 나라현 야마토고리야마의 요시모토 이신사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종교적 색채를 제거하고 단식 단면 등 어려운 조건을 없애고 누구에게나 행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일종의 정신요법으로서 가치가 높아 1954년경부터 교정계에 인정받아 점차 정신의학계에도 파급되어 1975년 제1회 일본내관학회가 개최되었고, 이후 매년 1회 열려 현재에 이르고 있다.

====
표1내관
===
장소적 조건
조용한 방구석을 병풍으로 둘러싼 안에 앉다.
용변, 목욕, 취침시 이외에는 밖에 나오지 않는다.
'차단'과 '보호'

신체적 조건
편안한 자세로 좋다.환자 이외에는 누워서는 안 되는 식사는 하루 세 번.지도자(대신)가 운반해 오다.
내관하면서 식사를 하다.
심신의 피로를 풀기 위해 매일 20분 목욕.
수면은 8시간

시간적 조건
내관은 5-p접시 9까지의 16시간을 7일간, 지도자와 내관자의 면접은 1~2시간마다 1회, 하루에 약 8회, 면접 시간은 3~5분이다.
======

내관 방법은 

조용한 방구석을 병풍으로 둘러친 1평방미터 사방 안에 앉는다.용변, 목욕, 취침 이외에는 밖에 나가지 않고 오로지 자신을 바라본다.그 방법은 외계로부터의 차단과 내관자 보호를 의미한다.자세는 정좌가 아니라도 편한 자세면 된다. 식사는 1일 3지, 손가락 4자, 혹은 대리인이 병풍 밖까지 운반하여 오고, 내관자는 그것을 병풍 속으로 끌어들여 식사가 끝나면, 식기를 병풍 밖으로 치운다.
여러 가지 일이 있었지만, 내관을 계속하면서  그들을 내보내면, 지도자 혹은 대리인.
내려간다. 매일 20분간의 시간을 정해서, 목욕이 있지만 심신의 피로를 풀 수 있고
이것도 내관을 계속하면서 들어간다: 
  • 잠은 오후 9시에서 다음날 아침 5시까지 8시간이다.
  • 오전 5시 5분 전 지도자의 목소리 - 눈을 뜨다.
  • 기상 후 30분 안에 도장 안팎의 청소를 신속하게 마친다
  • 5시 30분 병풍 속 법좌(내현자가 수교)행을 하는 자리를 말한다)에 앉으면 즉시 지도자
  • 의 면접이 시작되다.
  • 그리고 나서 오후 9시 취침까지 겨우 15시간 반, 병풍 속에 쭈그리고 앉아라.                                                                                                                                                                                                                                                                                                                                                                                                                                                                                                        
이며, 이를 7일간 계속한다.지도자 면접
은 1~2시간마다 한 번씩 있으며, 내관자는 그
시간 내에 알아본 사실을 고백하는 것이다.면
접시간은 3~5분이며, 하루에 약 8번의
면접이 있다

조사할 주제는 자신의 초등학교 시절부터 현재까지 
 어머니, 아버지. 형제자매, 배우자, 친척,
직장 상사나 부하, 지인 등 자신의 주변 사람
사람에 대해서 차례차례 
  • 「자신이 해 받은 일들]
  • "자신이 해주고 싶었던 일", 
  • "폐를 끼진 것들'의 3가지 점을 
조사해 나가는 것이다.
3년에서 5년 간격으로 극명하게 조사하다.게다가,
그 조사방법은, 그 사람에 대해서 자신이 어떻고
여러 가지로 자신을 엄격하게 조사하는 것이다.

역점을 두는 방법은 
  • 받은 것 20%,
  • 해서 돌려준 적 20%, 
  • 폐를 끼친 적 60%

그래서 폐를 끼친 것에 가장 중점을 둔다.


===
표2주제.
    • 받은 것 20%
    • 해서 갚은 것 20%
    • 폐를 끼친 60%
===

체험 기록

1951년 1월 27일부터 2월 3일까지의 혹한의 계절에 내관을 체험했다.출발하는 날은 호쿠리쿠에는 폭설이 내리고, 앞으로의 난업을 시사하는 듯했다.
오랜 세월 축복받은 생활에 익숙해져 온 나에게 있어서, 
가장 큰 걱정은 추위와 장시간 앉아 있을 수 있고 하는 체력이었다.
하지만 취할 수 있어서 추운 날씨를 택한 것은 자신을 혹독한 교행
의 자리에 둔다는 뜻에서였다.

나라현 부야마시에 도착하니 호쿠리쿠와는 다른 파랑 화창한 하늘과 이른 봄을 연상시키는 따스한 햇살에 안도의 평화 도화의 기분이 되었다.내관 연수소는 일견 민가 바람이 작은 절이다.안내를 구하자 백면의 푸른 얼굴 연승이 나타났다.검소한 응접실로 오리엔티미팅을 받고 접수를 마치자마자 2층 대좌로 안내되었다.병풍을 치다

바로 그 안에 앉다.지도자가 지시하는 대로 
  • 나의 초등학교 시절에 돌아가신 어머니와 그 후 어머니
  • 친대로 키워준 할머니에 대해 자신을 조우했다.
  • 그동안 내관을 하면서 목욕을 하고,
  • 빳빳한 몸으로 다시 병풍 속으로 돌아와 엄숙함
  • 숙연한 마음으로 내관을 계속했다.먼 과거의 일과
  • 근데 기억이 잘 안나.현재 의식의 세계와
망각의 저편 무의식의 세계와의 사이에는 벽이 있었다.
없는 것이 있고, 그 벽의 이쪽만으로 버젓이 둘러보는 것 같아 답답하다.
일 평소의 아무래도 좋은 일뿐이지만, 계속해서 머리에 떠올라 우왕좌왕하다.
이래서는 안된다고, 자신을 질타 격려하지만 아무래도 안 된다. 

첫째 날은 이런 무익한 투쟁의 연속이었다.                                                                                                         
걸레질을 해서, 몇십년 부리(?)에 청소를 하고
목욕탕이나 화장실 청소하러 가는 것, 
취사장에 가는 것 등 당번으로, 
얼마 전에 같은 내관자의 동료들과 만나도 인사말도 주고받는다.
그냥 묵묵히, 내관을 하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있다. 5시 30분에 병풍 안의 법좌에 앉으면

===
당장 지도자가 면접을 보러 오느라 바쁘다.
잠든 시간만이 진정한 휴식이고, 나물거린다.
내관을 계속하고 언제 면접에 올 수 있어
게다가, 준비해 두는 것은 대단한 노력이다.

둘째 날 저녁 무렵에야 문맹 무학한 할머니이셨지만, 그 할머니의 심오하고,
위대한 인격과 헌신적인 애정을 지레짐작하는 느낌하게 됐어.내가 오늘 생을 받고 있다
것은 실로 할머니 덕분이라는 감동도 라고 자각했다. 다음 3일째는 아버지에 대한 내관
을 갔다. 젊은 나이에 아내를 잃고 실의와 격동의 인생을 살아라, 우리들의 희생이 되어 묵묵히 살아 온 아버지를 나는 내 입장에서만 보고 있다라고 하는 회한의 마음이 하나는 =이 되어, 점점 눈물이 많아지고 있는 자신을 깨달았다.

넷째날 이후 형제나 아내, 직장주변 사람들과
차례로 내관을 진행해 나갔지만 신체적인 고통,
특히 하체나 손발가락에 따끔따끔 찌르다
한기가 돌았다. 마음도 시원찮게 이기고 있었다.
===
사진
===
목욕하고 세끼 식사하고 잠자는 시간만 기다려라
동물적인 자신이 되어 있다는 것이 부끄럽고
되었다. 그러나 오로지 추구하다보니.
그때까지 망각하고 있던 것이, 전에 단편적인
에 있는 정경이 되어 홀연히 떠오르게 되어
그 정경은 점점 선명해지고 실을 꼬다

있듯이 다음의 새로운 정경으로 연결되어 가고
그 때까지 무의식의 세계에 침잠해 있었다.
라고, 차례차례 선명하게 의식의 세계에 퍼져
간다. 그 하나하나가 감동적인 장면이 되어
주위사람들의 따뜻한 사랑 = 나의 작음
사시나무를 뼈저리게 느꼈다. 6일째의 오후,
예정되어 있던 사람들의 내관이 한 통 끝난 직후,
나에게는 전혀 예기치 못한 일이 일어났다.갑자기
양흉부나 찡하고, 상체가 가볍게 뜨는 느낌이 들었다.마음은 상쾌하고 들뜬다.
즐거운 기분이 들었다.화장실에 서서 창밖을 쌓인 눈이 순식간에 사라졌구나(우연할까)
바깥 경치 어느 것이나 생생하게 생명의 기쁨을 호가하는 것처럼 보였다.최후의 7
날은 내 과거의 '거짓말과 도둑질'에 대해 조사했다. 어릴때부터 부모나 교사로부터 거짓말
도둑질은 가장 큰 죄악으로 가르침을 받았고, 고지식하다.

에바르게 살아온 것 같았지만, 부끄럽다.

사실은 지금까지 깨닫지 못한 거짓말과 도둑질이 줄줄이 나왔다.그 죄의 깊이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행복한 생활을 지탱해 간다
매달리는 주위 사람들의 사랑의 깊이를 느꼈다.
빨리 돌아가서 감사하고 싶은 마음에 사로잡혔다
하지만 마지막 밤의 바닥 안에서는, 1주일간의
큰일을 해냈다는 만족감과. 내일은
집이나 직장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기쁨에 뒤섞여.
관이 끝난다는 외로움을 느낀건 의외였고
있었다. 

8일째 아침, 5시 5분전에, 언제나
처럼 요시모토시의 스비커 목소리로 깨워서
타.오늘이 마지막 날입니다.여러분 좋아해요
그냥 지내세요.체조에서도 병풍 속에
들어가서 내관이든, 어슬렁어슬렁 있어도, 좋아
되게 해주세요"라고.하지만 잠시동안
그러자 모두는 삼삼완으로, 어제와 완전히 동.
하듯 묵묵히 청소를 했다.최후의 청소
을 서운함을 아쉬워하며 정중히 행했다.6시
30분이요리, 요시모토 이신사를 둘러싸고, 내관자 전체
의원 좌담회를 가졌다.이때는 두 사람의 도중 탈락자가 있었는데 12명이 모였다.내란자전원이 각각 자신의 감동적인 체주를 말하고,
알차게. 몸도 마음도 상쾌하게 산회하고 문을 나서자. 오랜만에 보는 밖의 세계는,
거리의 경치 사람들의 얼굴도 환하게 밝아지고, 생것 생생하고, 다른 세계처럼 느껴졌다.

====
고찰
====

내관법은 첫머리에서도 말한 바와 같다. 정토진종나라 일파에 의해 행해져 온 수행법 몸가짐
페'를 두고 요시모토 이신사가 40여 년의 오랜 기간에 걸쳐 개량을 가하고 그 종교성에서 이탈하여 발전시켜 온 것이다, 그것은 '자기 발견의 기법'이라고 하나 그 기원은 불교적 사사계관에 사카노 화를 낼 수 있다. 석존은 인간의 공통된 고뇌인 사고(四高)
노병사)에서 구원받아 내심 평안하심에 진정한 인생의 생활방식을 구하려고 하고,
의 아래 좌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렀다. 그것은 보통 과적 진리를 향한 개안이기도 했다.
서구에서도 - 같은 기원전 5세기경, 석라떼스가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생각하며
타. 그의 사상의 기반은 ↓"알아서 알리. 자신이 무지함을 아는 것이지. 라고 지도한다.
사람들에게 너 자신을 알라라고 했다.인간의 내면을 찾고 기인간에게 내재된 것들을 초월한 보편적인 덕을 찾고, 그것을 '타이모니온(신적인 가)'의 소리를 듣는다고 칭했다...그것은 양심의 소리이며, 행위와 일체가 되는 '지행합-'이 그 최종 눈에 있다고 했다."
이렇게 살펴보면 동양의 불교적 세계관과 서구 소크라테스 철학의 기저를 흐르는 원리는 동일함을 짐작할 수 있다.

이 내관법의 기본 원리는 '너 자신을 알라.' 그래서 출발하고 있다.친염은 깊다
내성으로부터, 자신이 '죄책심중'한 몸인 점을 알고 밝았지만. 내관법도 '자신의 죄심
그것을 아는 것'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있어. 정토진종에서는 우릴 구해줘
하미타불의 자비 즉 타카본원이라 하여
하지만, 내관법은 신이나 부처의 힘에 매달리는 것을 일.
의롭지 않다.
우리 자신이, 이 현실의 생활에서 주위 사람들로부터 받고 있는 깊은 사랑에
깨달아라, 내가 이 현실 세계 속에서 살아가라. 있다는 것을 알고. 뼈저리게 그 기쁨
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가득 차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말이야 그 주위의 사랑에 보답하려는 생각들 가진 것이, 펑펑 샘물처럼 솟아나온다.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살아갈 힘이며, 에너지
기가 있다. 그것은 우주계에 존재하는 자신을 찾는 것이고, 그런 의미에서 광의의 종교적 세계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내관법의 밑바닥을 흐르는 사고방식은 인간의 자기 형성에 있어서는 타인에 대한 자신의
행동이 기본적으로 중요하며 그 기초를 책
사람과 어머니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라는 것이다.그리고 사고의 방향이, 다른 남이 자신에 대해 무엇을 했느냐 하는 밖에서
안으로의 방향이 아니라, 자신이 상대에게 무엇을 하고 고작 안에서 밖으로 나가는 사고 과정이다.
요시모토샤쿠신은 전자를 외관이라 칭하며 강했고 후자야말로 내관이지 검사가 피의자를
심문함으로써 자신을 엄격하게 극명하게 조사하라 을 지도하다.

===
표3 콤플렉스(영유아기까지 사카노호루)

프로이트
예스의 무의식 세계에 침전
의식적 조작에 의해 증발시키다
내관법
자기 중심적인 욕심에 지배되고 있는 자아
정신적 자아(프랭클), 진아
===

정신분열을 창시한 프로이트는 인간의 코
음플렉스를 본인이 영유아기에 받은 정
신적 밖으로까지 발돋움할 수 있는 것
을 고찰했다. 무의식세계에 침전되어 있는 콘
플렉스를, 그는 정신분석이라는 의식적 조
작으로 증발시켰다.그것을 정화하고 싶다
는 카타르시스라고 했다.
===
내관법 역시 본인과 어머니의 관계를 어린아기에게까지 화끈거리지만 내성에 따라
자기중심적 욕망에 지배되고 있는 자아를, 이상적으로 실현되어야 할 진아로 전환하라.
있는 것이다. 나카무라 하지메에 의하면, 자기에게는 2 종류가 있고, 번뇌의 기체로서의 자기 웅성거림 지망아 혹은 소아로, 이상으로서 실현되어 할 만한 진아 혹은 대아가 있다고 한다.

서유럽에서도 플랑클은 두 개의 무의식세계를 생각하며, 하나는 자기중심적 욕망의
숨어들어가는 공수의 세계이고, 다른 하나는 정신적 자아의 세계라고 했다.전자는 망아로, 후일 자는 진아에 대비되는 것이다.이 중관법은 전자에서 후자로 비약 전환을 꾀하는 것
이며, 그 결과 죄의식과 사랑에 대한 깊은 감동을 느낀다고 한다.

====
표4 내관에 의한 마음의 변화
=====
플랭클

두 개의 무의식 세계
    • 자기중심적 욕망의 비뚤어진 세계
    • 정신적 자아의 세계


정신적 자아
    • 죄의 인식
    • 사랑에 대한 깊은 감동
====

이와 같이 보편 원리는 동서양을 따진다
공통적인 것으로 본래 동양적 세계관에서
출발한 내관법이 세계 각국에서 흥미를 불러일으키다
이것, 일약 국제적인 것이 되어 가고 있다.
정신 현상을 뇌 생리학적 기전으로 설명하다
것은 아직 인지가 미치지 못하는 바이며, 불
가능에 가깝다. 그러나 인간의 정신기능이 사람 사이에 있어서 극도
으로 진화, 발달하여

대뇌반구(신)
피질)로 운영하라
하고 있다고 한다
와는 이론이 없다.
현대 사회는 파업
레스에 가득 차 있다
하지만 인간은 그렇지
질퍽질퍽한 나이
타 갈등을 무의식적으로
의 세계로 밀고 들어가 생활하고 있다.무의식의
욕구 혹은 본능의 자리는 변연피질(옛 피질)이다. (서양속담, 지혜명언)
라고 생각된다. 그 바로 아래 사이 뇌에는 자율신
경중추(시상하부)나 호르몬 중추(뇌하
서까래 등)가 존재하지만 무의식의 자리에 닫혀
담긴 비정상적인 스트레스가 자율신경 속에서
추에 영향을 미쳐 고혈압이나 위양 등의
심신증이나 자율신경 실조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있을 것이다. 한편 호르몬 중추에 영향을 주면

===
1대뇌반구, 
2간뇌, 
3중뇌, 
4소뇌,
오연수, 육송과체, 칠뇌하수체
===

그 균형은 감정적이거나 행동적인 면의 변화이다.
화로 나타나다.우울증이나 등교거부, 집
성폭력, 비행 등이 그것일 것이다.
내관법은 그 대뇌반구 깊숙하고 간뇌에
존재하는 비정상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화하여
건전한 동안 뇌의 기능을 부활시키는 방법이라는 것
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결론


제2차 대전 이후 우리 경제 성장의 합언
은 '따라잡아라'고, 물건을 얻는다.
것이 목표였다.그것은 경쟁사회를 낳고,
공해 등 생활환경의 악화를 초래하여 우리도
주위에는 스트레스가 가득했다.
그러나 목표가 달성된 지금, 풍부한 것들
그 중에서 무엇을 선택하는가 하는 시대로 바뀌어
또, 물건 자체나 그 질이나 가치
과 같은, 이른바 추상성 혹은 정신성
에둘러 눈이 쏠리게 되었다.이 선
선택 사회로의 전환은 가치관의 다양성과 불확실성을 요구한다.
원료를 포함하여 지금까지 이상의 심각한 스트레스와
될 가능성이 있다.

현실적으로 최근 컨트롤 실조 증후군(가칭)
칭)라고도 불리는 것이 많이 있다.
인간의 기본적 욕구(본능) 중 하나에 식욕이
하지만 그 통제력의 실조로 신경을 곤두세웠다
성식욕부진증이 있다.젊은 여성이 날씬한 욕구
부터 다이어트를 시작하여 해골처럼 못생겼더니
몹시 쪼그라드는 병인데 갑자기 닥치는 병이다.
차차 과식하기 시작하리라, 따끔따끔 먹어라
된다. 이것은 자신의 의사대로 식사의 콘트롤러
-루가 생기지 않게 되는 일종의 심신증으로
있을 것이다. 아이에게서 볼 수 있는 신경성 식욕부진증
하. 부모의 간섭에 의한 자녀의 섭식 통제
루실조이지만 아이와 함께 부모 자신조차
자신의 행동이나 아이를 다루는 것에 관한 콩트
롤의 실조를 일으키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할 수 있어。

등교 거부나 등사 거부는 행동면에 나타났다
컨트롤 실조 증후군일 것이다.아침에 일어나서

학교(회사)에 가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아니, 자신의 행동을 적절히 통제하다
할 수 없는 것이다.가정 폭력과 폭력.
눈, 비행 등도 행동면의 컨트롤 실조
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최근 증가하고 있는 알코올 중독,
약물 의존, 시너 중독 등도 내적 충동성을 띤다.
에 나타난 컨트롤 실조 증후군이다.
욕구 상태에서 약물 등의 섭취에 의해 자신
가 흔들려서, 자신을 통제할 수 없어.
없어져 버린 상태이다?

이와 같은 사례는 그 밖에도 열거할 수 있다
흠이 없다.
지금까지의 우리 나라에서는, 「따라잡기」
하라"고 한 가지 정해진 목표를 향해 나아가면
다행이다 말하자면 단순한 목표였다.
앞으로의 우리나라는 불확실한 요소로 가득 차 있고,
어떤 의미에서는 자신의 욕구를 적절히 통제합니다.
하면서 살아갈 생각을 하지 않으면
아닐 것이다.그러한 상황 속에서 심중
각양각색의 스트레스는 앞으로도 점점 증대되어
갈것이다. 이럴때 자신을 발견해
자, 실속 있는 삶의 방식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세요.
는 것은 필요한 일일 것이다.그런 의미에서는
이 내관법은 유효한 방법일 것으로 보인다.

의학적인 요법으로서 실제로 응용하는 경우,
'내관요법'이라고 불리는데, 저희 병원에서도
쇼와 60년 2월부터 리개시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 방법은 매주 화요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요시모토 사원법에 따라 병풍 안
의 법좌에 앉게 하는 방법으로 저자 및 장
시마 마사히로시(호쿠리쿠내관연수소 지도자)와 당원 M
간호사가 교대로 면접하다.1시간마다 1일계
여덟 번의 면접을 하다.화요일을 제외하고는 매일 약 1
시간의 일상내관을 간호사의 지도로, 자기 방에서
자주적으로 행하고 있다.

이 방법은 병원이라는 제약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취한 방법이지만,
의사-환자라는 신뢰관계가 이미 있는 점,
내관 이외에도 일상에서의 치료관계와 관계가 있으므로 내관의 심화도 외래자에 비해 쉬워 보인다. 이러한 방법으로 알코올 중독을 중심으로 신경증, 자율신경 실조증, 우울증 등
의 사상자에게 다수 행해저서 어느 정도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

문헌

1 )이케미 유지로 : 인간 회복의 의학 1 셀프 컨트롤 의학의 전개, 고겐샤, 1984.
2 )타케우치 켄 : 내관이란 무엇인가, 요시모토 이신 : 내관 40년, 춘추샤, 1,1965.
3 )다케모토 다카히로: 내관과 의학, 내관 연수소, 료현, 1979.
4 )타케모토 다카히로: 내관요법의 기본원리, 현대의 공스프리 202, 지문당, 63, 1984.
5 )줄간파치로 : 현대 청년기 일심리학의 입장이여리, 제6회 일본사회정신의학회 초록집,
22, 1986.
6 )미키 요시히코 : 내관요법 입문 일일본적 자기탐구의 세계 제일, 소겐샤, 1976.
7 )무라세 타카오 : 내관법, 우치무라 샤유키편 : 현대정신의학대계 5A. 정신치료학I, 나카야마 쇼텐,
215, 1978.
8 )미야기 오토야 : 정신분석 입문, 이와나미 신서, 1959.
9 )요시모토 이신 : 내관 40년 1정신개조론 - 춘추샤, 1975.
1의 요시모토 이신 : 내관에의 초대. 슈로쇼보, 1983.
~
====

精神医学内観法

富山市民病院神経科精神科 草野


 日本には古来より,神やみそぎなど,一定期問を日常生活から離れて,静かに黙考する修行法があった。修行を積んだ高僧などは, 社会でも広く尊敬され,日本人にとって,静かに座って黙考してみたいということは,多くの願いであり,憧憬であった。2)
人間の精神は,意識されているものの背後に,もっと広い無意識の世界がある。19世紀末に,私たちが日頃意識していない無意識の世界にも,精神活動があることを精神分析学の創始者S .フロイトが発見した:
この無意識の世界にせまるわが国独自の方法に「内観法」がある。現代の医学は西欧医学が主流であるが,それのみでは不十分なものがあり,東洋医学の良さが見なおされつつある。このようなとき,「内観法」を精神医学の立場から眺めてみたい。

内観法とは
 
内観は,もとは浄土真宗の一派,木辺派(本山・錦織寺,滋賀県)に伝わる「身調べ」
いう宗教的行法であった。一般には公開しない秘事法門であリ,絶食,断眠して信仰を確信する入信儀礼であったか,奈良県大和郡山の吉本伊信師が自己の体験をもとにして, 宗教的色彩を取り除き,断食断眠などの厳しい条件をなくして,だれにでも行えるようにと改良したものである。一種の精神療法として価値が高く,昭和29年頃から矯正界にみとめられ,次第に精神医学界にも波及して,昭和53年に第1回日本内観学会が開催され,以後毎年1回開かれて現在に至っている。
====
表1内観
===
場所的条件
静かな室の隅を屏風で囲んだ中に座る。
用便,入浴,就寝時以外はそとにでない。
「遮断」と「保護」

身体的条件
楽な姿勢でよい。病人以外は横臥はいけない食事は1日3回。指導者(代わりの人)が運んでくる。
内観しながら食事をいただく。
心身の疲れをとるため毎日20分入浴。
睡眠は8時間

時間的条件
内観は5ーp皿9までの16時間を7日間,指導者と内観者の面接は, 1 ~ 2時間毎に1回, 1日に約8回,面接時間は3 ~ 5分。
======

内観の方法は,静かな部屋の隅を屏風で囲 んだ一平方メートル四方の中に座る。用便, 
入浴,就寝以外は外に出ず,ひたすら自分を見つめ続ける。その方法は外界からの遮断と
 
内観者の保護を意味する。姿勢は正座でなく
ても,楽な姿勢でよい。食事は1日3乢指
4者あるいは代理の人が屏風の外まで運んで
来るご内観者は.それを屏風の中へ引き入れ 
ていたた・くのて・あるが,内観を続けながらい 
ただく:食事が済むと,食器を屏風の外にそ 
っと出しておくと,指導者あるいは代理の人 
が下げていく。毎日20分間の時間を決めて, 
入浴があるが,心身の疲れをとるためて  
れも内観を続けながら入る:睡眠は午後9時 
から翌朝の5時までの8時間である。午前5 
時5分前の指導者の声て-目を醒ます。起床後 
30分の間に,道場の内外の清掃を手早く済ま
せ, 5時30分に屏風の中の法座(内現者が修
行をする席をいう)に座ると,直ちに指導者
の面接が始まる。それから午後9時の就寝ま
ての15時間半、すっと屏風の中に座リづくめ
であり、 これを7日間続ける。指導者の面接 
は1 ~ 2時間毎に1回てあり,内観者はその 
時間内に調べたことを告白するのである。面
接時間は3 ~ 5分間であリ, 1日に約8回の
面接がある
調べるテーマは,自分の小学校時代から現 
在まて,母,父.兄弟姉妹,配偶者,親戚, 
職場の上司や部下,知人など自分の周りの人 
人について順々に 「自分がしてもらったこ
と「自分がして返したこと」, 「迷惑を 
かけたこと」の3点を調べていくのである。
3年から5年間隔で克明に調べる。しかも, 
その調べ方は,その人に対して自分がどうで 
おったかと自分を厳しく調べるのである9
お,力点の置き方は,してもらったこと20%, 
して返したこと20%,迷惑をかけたこと60% 
で,迷惑をかけたことにもっとも重点をおく。


===
表2 テーマ。
してもらったこと  20%
して返したこと    20%
迷惑をかけた      60%
===

体験の記録
 昭和60年1月27日から2月3日の厳寒の候
に内観を体験した。出発の日は北陸は大雪で, 
これから先の難業を示唆するように思われた。
長年恵まれた生活に慣れて来た私にとって, 
一番の心配は寒さと長時間座リ続けていられ
るかという体力であった。しかし取えて 
寒の候をえらんだのは,自分をきびしい膠行
の場におくという意味からであった。

奈良県部山市に着くと.北陸とは異った青
い空と早春を思わせる暖い日ざしにほっと安
  堵の気持となった。内観研修所は,一見民家 
風の小さな寺である。案内を乞うと白面の青
 年僧が現われた。質素な応接室で,オリエン
 テーションを受け,受付を済ませるとすぐに
 二階の大座敷に案内された。屏風を立ててす
ぐその内に座る。指導者の指示されるままに.  
私の小学校時代に亡くなった母と,その後母
 親代リに育ててくれた祖母について自分を調
べた。その間,内観をしながら入浴して,さ
つばリとした体で,再び屏風の中に戻り,厳 
肅な気持で内観を続けた。遠い過去のことと
てなかなか思い出せない。現在意識の世界と
忘却の彼方の無意識の世界との間には壁みた
 いなものがあって,その壁のこちらだけで   
堂々めぐリをしているようてもどかしい。日 
常のどうでも良いことばかリが,次から次と 
頭に浮かんで来て,右往左往する。これでは
いけないと,自分を叱咤激励するがどうにも
ならない。第1日目はこのような無益な闘い
の連続であった。 2日目の朝, 5時5分前に 
吉本師の声で目が醒めた。手早く起床し,座 
敷と臨下とペランダの欄干を,はたきと箒と
 雑巾を使って,何十年振リ( ? )に掃除をし
た。風呂場や便所掃除にいくもの,炊事場に
いくものなど当番で,この間、同し内観者の
仲間と出会っても、挨拶の言葉も交わさす.
ただ黙々と,内観をしながら作業を行うので
ある。5時30分に,屏風内の法座に座ると, 
 
===
直ちに指導者が面接に来られるのて忙しい。
眠っている時間だけが本当の休息で,ひたす 
ら内観を続け,いつ面接に来られてもよいよ 
うに,準備しておくことは大変な努力であっ
  2日目の夕方頃になってようやく.文盲
で無学な祖母であったが,その祖母の奥深く, 
偉大な人格と,献身的な愛情をひしし、しと感
するようになった。私が今日生を受けている
のは実に祖母のおかげであるとい感動をも
って自覚した。翌3日目は,父に対する内観 
を行った。若くして妻を失い,失意と激動の
人生を送リ,私どもの犠牲となって黙々と生 
きて来た父を,私は自分の立場でしか見てい 
かったという悔恨の気持が一は=いとなって、
次第に涙もろくなっている自分に気が付いた
4日目以後,兄弟や妻,職場の周囲の人々と
順に内観を進めて行ったが,身体的な苦痛,
とくに下半身や手足の指先にビリビリと刺す
ような寒気にー.気もそか廴勝ちてあった。
===
入浴し三度の食事と,眠時間だけが待たれ 
る動物的な自分になっていることが恥すかしく 
なった。しかし、ひたすら追求していくと.
それまで忘却していたことが,前に断片的 
にある情景となって忽然と浮かぶようになっ
た。その情景は次第に鮮明となリ,糸をたぐ 


===
 るように次の新しい情景へとつなかっていっ
た。それまで無意識の世界に沈潜していた  
とが,次々と鮮やかに意識の世界に広がって 
 いく。その一つひとつが感動的な場面となっ
 周囲の人達のあたたかい愛=し自分の小さ
 さをひしひしと身に感した。 6日目の午後, 
  予定していた人達の内観が一通リ済んだ直後,  
私には全く予期しないことが起こった。突然
 両胸部かジーンと熱くなリ,上半身が軽く浮 
くように感した。心は爽やかてうきうきと
楽しい気分となった。トイレに立ち,窓外を
 た雪があとかたもなく消え(隅然であろうか) な  
外の景色のどれもこれもが生き生きと生命の 
喜びを護歌しているように見えた。最後の7 
日目は,私の過去の「うそと盗み」について
調べた。幼少の頃から,親や教師から,うそ
と盜みは最大の罪悪と教えられ,くそ真面目
に正しく生きて来たつもリであったが,谺い
たことにはこれまで気か付かなかったうそと 
盗みが次から次と出て来た。その罪の深さと,  
それにも拘らす現在の幸福な生活を支えてく
ださる周囲の人々の愛の深さを感した。
早く戻って感謝したいという気持に駆られた 
しかし,最後の夜の床の中では, 1週間の
大仕事をやリ遂げたという満足感と.明日は
家や職場に戻れるという嬉しさに混って.内
観が終るというさみしさを感したのは意外で
あった。8日目の朝, 5時5分前に,いつも
のように吉本師のスビーカーの声で起こされ
た。「今日は最後の日です。皆さん好きなよ
うに過ごして下さい。体操でも,屏風の中に
入って内観でも,プラブラしていても,好き 
なようにして下さい」と。しかししばらく
すると,みんなは三々翫々と,昨日と全く同
しように黙々と掃除をはしめた。最後の掃除
 を,名残リを惜しみながら丁寧に行った。6時
30分よリ,吉本伊信師を囲んで,内観者全
員 の座談会を行った。このときは, 2名の途中

脱落者がいたが, 12名が集まった。内靦者全
員が、それぞれ自分の感動的な体駐を述べ, 
充実感に満ちて.身も心もさわやかに散会し 
た。門を出ると.久し振リに見る外の世界は, 
街の景色人々の顔もハッと明かるく,生 
き生々として,別の世界のように感しられた。
====
考察
====
内観法は,冒頭でも述べたことく.浄土真 
宗の一派によって行われてきた修行法。身調 
ペ'をに,吉本伊信師が40数年の長い間に亘っ 
て改良を加え.その宗教性から離脱して発展
させて来たものである,それは「自己発見の 
技法」て・あるが、その起源は仏教的笹界観に 
さかのほることができる  
釈尊は.人間の共通の苦悩である四苦(生 
老病死)から救われ,内心の平安にいたリ、
真カ人生の生き方を求めようとして, 
の下に座悟りの境地に達した。それは普
過的真理への開眼でもあった。 
西欧でも は、-同じ紀元前5世紀頃,ソク 
ラテスが,人間いかに生きるべきかを思素し
た。彼の思想の基盤, は↓「知のいてあリ.
自分が無知であることを知ることであって. と指導する。
人々に「汝自身を知れ」と説いた。人間の内面を求め気人間に内在し々を超えた普遍的な徳を求め,それを「タ・イモニオン(神的 なカ)」の声を聞くと称した、、それは良心の声てあり,行為と一体になる「知行合ー」がその最終目にであるとした」
このようにみてくると,東洋の仏教的世界観と西欧のソクラテスの哲学の基底を流れる 原理は同一であることが推察される。

この内観法の基本原理は,「汝自身を知れ」
ということから出発している。親鸞は,深い
内省から,自分が「罪悪深重」の身であるこ
 とを知って明いたが.内観法も「自分の罪深 
さを知ること」をもっとも大事なこととして 
いる。浄土真宗では私どもを救ってくれるの
は河弥陀仏の慈悲すなわち他カ本願といわれ 
るが,内観法は神や仏の力にすがることを一 
義とはしていない。
私ども自身が,この現実
の生活て・周囲の人々から受けている深い愛に
気付き,自分がこの現実の世界カ中で生かさ
ていることを知って.ひしひしとその喜び
と感謝の念に満ちてくるのである。そしてさ
らに,それらの周囲の愛に応えようという気考
持が,こんこんと泉のように湧き出してくる
のである。 これこそ生きる力であり,エネル
ギーて・ある。それは宇宙界に存在する自己を
見い出すことであリ,その意味では広義の宗教的世界観ともいえる。

この内観法の底を流れる考え方は,人間の 
自己形成にあたっては,他人に対する自分の
行動が基本的に重要であって,その基礎を本
人と母親との関係にさかのはることができる
  ということである。そして思考の方向が,他
人が自分に対して何をなしたかという外から
  内への方向ではなく,自分が相手に何を為し
たかという内から外に向かう思考過程である。
吉本陟信は,前者を外観と称して強くいまし
  め,後者こそ内観であって, 検事が被疑者を
  尋問することく,自己を厳しく克明に調べよ
を指導する。




===
表3コンプレックス(乳幼児期までさかのほ・る)

フロイト
ェスの無意識世界に沈澱
意識的操作によリ蒸発せしめる
内観法
自己中心的な欲に支配されている自我
 
精神的自我(フランクル) ,真我
===

精神分忻を創始したフロイトは,人間のコ
んプレックスを,本人が乳幼児期に受けた精
神的外にまでさかのばることができること
 を考究した。無意識世界に沈澱しているコン
プレックスを、彼は精神分析という意識的操
作によって蒸発せしめた。それを浄化あるい
はカタルシスといった。 
===
内観法も、同様に本人と母親との関係を幼 
児期にまでさかのほらせるが,内省によって, 
自己中心的な欲望に支配されている自我を, 
理想として実現されるべき真我に転換せしめ 
るのである。中村元によれば,自己には2
種類あって,煩悩の基体としての自己すなわ
ち妄我あるいは小我と,理想として実現され
るべき真我あるいは大我があるという。

西欧においても,フランクルは, 2つの無
意識世界を考え, 1つは自己中心的な欲望の
ひそむ工スの世界であり,もう1つは精神的
自我の世界であるとした。前者は妄我に,後
者は真我に対比されるものであろう。この内
観法は,前者から後者へ飛躍転換をはかるこ
とであり,その結果,罪の認識と愛への深い
感動を覚えるのであるという。
====
表4内観によるこころの変化
=====
フランクル
2つの無意識世界
自己中心的な欲望のひそむェスの世界
精神的自我の世界
 
 
精神的自我
罪の認識
愛への深い感動
====
このように,普遍原理は洋の東西を問わす 
共通的なものであり,本来東洋的世界観から
出発した内観法が,世界各国から興味をもた 
れ,一躍国際的なものになりつ、ある。 
精神現象を,脳生理学的機序から説明する 
ことはまだ人知の及ばないところであり,不
可能に近い。しかし,人間の精神機能が,人
間において極度
に進化,発達し
た大脳半球(新
皮質)で営まれ
ているという
 とは異論がない。
現代社会はスト
 レスに満ちてい
 るが,人間はそ
 のどろどろとし
た葛藤を無意識
の世界に押し込んで生活している。無意識の
 欲求あるいは本能の座は,辺縁皮質(旧皮質)  
と考えられる。その直下の間脳には,自律神
 経の中枢(視床下部)やホルモン中枢(脳下
垂体など)が存在するが,無意識の座に閉し
込められた異常なストレスが,自律神経の中
枢に影響をおよばし高血圧や胃瘍などの
 心身症や,自律神経失調症を惹き起こすので
 あろう。一方,ホルモン中枢に影響すると, 

===
1大脳半球, 2間脳, 3中脳. 4小脳,
5延髄, 6松果体, 7脳下垂体
===

そのパランスがくすれ,感情面や行動面の変
化として現われる。うつ病や登校拒否,家  
内暴力,非行などがそれであろう。 
内観法は,その大脳半球の奥深く,間脳に
存在する異常なストレスを発散し,浄化して 
健全な間脳の働きを復活させる方法というこ 

とができるであろう


むすび


第2次大戦以後,わが国の経済成長の合言 
葉は「追いつき追いこせ」であリ,物を得る 
ことが目標であった。それは競争社会を生み,
公害などの生活環境の悪化をもたらし,私ど
もの周囲にはストレスが充満した。
しかし,目標が達成されたいま,豊富な物 
の中からなにを選択するかという時代に変わ
った。また,物そのものかその質や価値 
というような,いわは・抽象性あるいは精神性
によリ目が向けられるようになった。この選
な択社会への移行は,価値観の多様や不確定要 
素を含み,これまで以上の深刻なストレスと 
なる可能性がある。 
現実に,最近コントロール失調症候群(仮
称)ともいわれるものが多発している。 
人間の基本的欲求(本能)の一つに食欲が 
あるが,そのコントロールの失調として神経  
性食欲不振症がある。若い女性が,痩身願望 
からダイエットを始め,骸骨のように醜くや 
せ細ってしまう病気であるが,突然手当たり 
次第に過食し出したリ, パッタリと食べな 
くなる。これは自分の意思で食事のコントロ 
ールが出来なくなってしまう一種の心身症で 
あろう。子どもにみられる神経性食欲不振症 
は.親の干渉による子どもの摂食コントロー 
ル失調であるが,子どもとともに親自身さえ, 
自分の行動や子どもの扱いにたいするコント 
ロールの失調をおこしていると考えることも 
できる。
登校拒否や登社拒否は,行動面に現われた
コントロール失調症候群であろう。朝起きて 



 学校(会社)に行かなければならないとは思
うが,自分の行動を適切にコントロールする
ことができないのである。家皂内暴力やいじ
  め,非行なども,行動面のコントロール失調
といえるであろう。

また,最近増加しているアルコール依存症, 
 薬物依存,シンナー中毒なども,内的衝動面
に現われたコントロール失調症候群である。
欲求のま、に薬物などの摂取によって,自分
が振リ廻されて, 自分をコントロールできな
くなってしまった状態である?
このような事例は,その他にも数えあげれ
ばきリがない。
  これまでのわが国では,「追いつき追いこ
せ」と1つの決まった目標に向かって進めば 
  よかった。いうなれば単純な目標であった
  今後のわが国は,不確定要素に満ち満ち, 
  ある意味では自分の欲求を適切にコントロー
  ルしながら生きていくことを考えなければ
らないであろう。そのような状況の中で,深
刻なストレスはこれからもますます増大して
いくであろう。このようなとき,自分をみつ 
 め,実のある人生の生き方をあらためて考え
ることは必要なことであろう。その意味では
この内観法は有効な方法であろうと思われる。
医学的な療法として実際に応用する場合, 
「内観療法」とよばれるが,当院においても
昭和60年2月よリ開始して現在に至っている。
その方法は,毎週火曜日の午前8時30分より
午後5時まで,吉本師原法に従って屏風の中
の法座に座ってもらう方法で,著者および長
島正博師(北陸内観研修所指導者)と当院M
看護士が交代で面接する。1時間毎に1日計
8回の面接を行う。火曜日以外は,毎日約1 
時間の日常内観を.看護者の指導で,自室で
自主的に行っている。この方法は,病院とい
う制約の中で余儀なくとった方法であるが, 
 医師ー患者という信頼関係が既にあること, 
内観以外にも日常での治療関係の中でかかわ
リがあることから,内観の深化も外来者に比
し容易であるように思われる。
このような方法で,アルコール依存症を中心に、神経症,自律神経失調症,うつ病など
の思者に多数行ってある程度の効果をあげて来ている。

===
文献

1) 池見酉次郎:人間回復の医学一セルフ・ ントロール医学の展開,剛元社, 1984.
2) 竹内硬:内観とは何か,吉本伊信:内観四十年,春秋社, 1 , 1965.
3) 竹元隆洋:内観と医学,内観研修所,  良県、1979.
4) 竹元隆洋:内観療法の基本原理,現代の工スプリ202,至文堂, 63, 1984.
5) 鑢幹八郎:現代の青年期一心理学の立場よリー,第6回日本社会精神医学会抄録集、
22, 1986. 
6) 三木善彦:内観療法入門一日本的自己探 求の世界一,創元社, 1976.
7) 村瀬孝雄:内観法、内村社之編:現代 精神医学大系5 A .精神治療学I ,中山書店,
215, 1978.
8) 宮城 音弥:精神分析入門,岩波新書, 1959.
9) 吉本 伊信:内観四十年一精神改造論ー 春秋社, 1975.
10) 吉本 伊信:内観への招待.朱鷺書房, 1983.

알라딘: 신경 과학의 철학 - 신경 과학의 철학적 문제와 분석 맥스웰 R.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euroscience

알라딘: 신경 과학의 철학


신경 과학의 철학 - 신경 과학의 철학적 문제와 분석 
맥스웰 R. 베넷,피터 마이클 스티븐 해커 (지은이),
원제 :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euroscience







Sales Point : 377

8.0 100자평(0)리뷰(2)

전자책
32,000원

944쪽

책소개

신경 과학과 철학이라는 두 학문의 권위자인 두 사람의 협력을 통해 철학적 함의를 간과한 신경 과학의 탐구를 비판하는 책이다. 생리학자인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대학교의 맥스웰 베넷 교수와 인지 철학자인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피터 마이클 스티븐 해커 교수는 인간의 심적 속성이 뇌의 부분이 아닌 인간 전체의 속성이라고 주장한다.

두 저자는 마음과 몸의 이원성으로 표현되다가 최근 뇌와 몸의 이원성으로 표현되는 ‘데카르트적 혼동의 유산’을 떨쳐 버려야 한다고 강조하며 철학의 역사, 그리고 과학의 역사를 되짚어 보고, 가장 근원적이고 개념적인 문제를 인식할 것을 촉구한다.



목차


옮긴이 서문 7
추천사 13
감사의 글 21
서문 23

1부 신경 과학의 철학적 문제: 역사와 개념의 근간 43
1. 신경 과학적 지식의 초기 발전: 신경계의 통합적 작용 45
1. 1 아리스토텔레스, 갈레노스, 네메시우스: 뇌실 이론의 기원 47
1. 2 페르넬과 데카르트: 뇌실 이론의 몰락 67
1. 3 윌리스의 피질 이론과 그 이후 79
1. 4 반사의 개념: 벨, 마장디, 마셜 홀 85
1. 5 피질에서 기능의 위치를 정하기: 브로카, 프리치, 히치히 92
1. 6 신경계의 통합적 작용: 셰링턴 97
2. 셰링턴 이후 연구에서 피질과 마음 99
2. 1 셰링턴: 계속되는 데카르트의 영향 99
2. 2 에이드리언: 주저하는 데카르트주의 107
2. 3 에클스와 ‘연결 뇌’ 112
2. 4 펜필드와 ‘최고 뇌 메커니즘’ 127
3. 신경 과학의전체―부분 오류 147
3. 1 인지 신경 과학에서 전체―부분의 혼란┃크릭, 에덜먼, 블레이크모어, 영, 다마지오, 프리스비, 그레고리, 마, 존슨레어드 147
3. 2 방법론적 난점들┃울먼, 블레이크모어, 제키, 영, 밀너, 스콰이어와 칸델, 마, 프리스비, 스페리 157
3. 3 심리학적 술어가 어떤 존재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근거에 대해 171
3. 4 심리학적 술어들이 내적 실체에 속한다고 잘못 생각한 근거에 대해┃다마지오, 에덜먼과 토노니, 코슬린과 옥스너, 설, 제임스, 리벳, 험프리, 블레이크모어, 크릭 180
3. 5 내적인 것┃다마지오 185
3. 6 내관법┃험프리, 존슨레어드, 바이스크란츠 189
3. 7 특권적 접근: 직접적인 접근과 간접적인 접근┃블레이크모어 193
3. 8 사적인 것과 주관적인 것┃설 197
3. 9 심리학적 술어들의 의미와 그 의미를 습득하는 법 203
3. 10 마음과 마음의 본성에 대해┃가자니가, 도티 218

2부 인간의 능력과 현대 신경 과학: 분석 227
예비적 고찰 229
1. 뇌―신체의 이원론 229
2. 향후 계획 234
3. 심리학적인 것의 범주 241
4. 감각과 지각 247
4. 1 감각┃설, 리벳, 겔다트와 쉐릭 247
4. 2 지각┃크릭 255
4. 2. 1 감각의 원인으로서 지각: 제1성질과 제2성질┃칸델, 슈바르츠와 제셀, 록 261
4. 2. 2 가설 형성으로서 지각: 헬름홀츠┃헬름홀츠, 그레고리, 글린, 영 276
4. 2. 3 시각 이미지와 결합 문제┃셰링턴, 다마지오, 에덜먼, 크릭, 칸델과 뷔르츠, 그레이와 싱어, 발로 281
4. 2. 4 정보 획득 과정으로서 지각: 마의 시각 이론┃마, 프리스비, 크릭, 울만 291
5. 인지 능력 299
5. 1 지식, 그리고 지식과 능력의 유사성 300
5. 1. 1 할 수 있다는 것과 어떻게 하는지 아는 것 302
5. 1. 2 지식을 소유하는 것과 수반하는 것┃르두, 영, 제키, 블레이크모어, 크릭, 가자니가 306
5. 2 기억┃밀너, 스콰이어와 칸델 310
5. 2. 1 선언적 기억과 비선언적 기억┃밀너, 스콰이어와 칸델 313
5. 2. 2 저장, 파지, 그리고 기억 흔적┃르두, 스콰이어와 칸델, 가자니가, 망군과 아이브리, 제임스, 쾰러, 글린, 베넷, 깁슨, 로빈슨, 다마지오 317
6. 사고 능력 341
6. 1 믿음┃크릭 342
6. 2 사고 347
6. 3 상상과 심상┃블레이크모어, 포스너와 라이클, 셰퍼드 358
6. 3. 1 심상의 논리적 특징┃골턴, 리처드슨, 코슬린과 옥스너, 핑크, 루리아, 셰퍼드, 모이델, 베츠, 마크스, 셰퍼드와 메츨러, 쿠퍼와 셰퍼드, 포스너와 라이클 370
7. 정서 391
7. 1 정감┃롤즈, 다마지오 391
7. 2 정서: 예비적인 분석적 개관 399
7. 2. 1 신경 과학자들의 혼동┃르두, 다마지오, 제임스 407
7. 2. 2 정서의 분석 424
8. 의지 작용과 자발적 운동 437
8. 1 의지 작용 437
8. 2 자발적 운동에 대한 리벳의 이론┃리벳, 프리스 등 448
8. 3 평가하기 454

3부 의식과 현대 신경 과학: 분석 463
9. 자동 의식과 타동 의식 465
9. 1 의식과 뇌┃올브라이트, 제셀, 칸델과 포스너, 에덜먼과 토노니, 글린, 그린필드, 이나스, 가자니가, 설, 존슨레어드, 차머스, 데닛, 그레고리, 크릭과 코흐, 프리스비 465
9. 2 자동 의식┃설, 데닛 475
9. 3 타동 의식과 그 형태들 482
9. 4 타동 의식: 부분 분석 492
10. 의식 경험, 심적 상태, 감각질 507
10. 1 의식 개념의 확장┃리벳, 바스, 크릭, 에덜먼, 설, 차머스 507
10. 2 의식적 경험과 의식적인 심적 상태들 512
10. 2. 1 뇌의 무의식적 믿음과 무의식적 활동에 관한 혼동 521
10. 3 감각질┃설, 차머스, 글린, 다마지오, 에덜먼과 토노니, 나겔, 데닛 528
10. 3. 1 어떤 경험을 갖는다고 ‘느끼는 방식’┃설, 에덜먼과 토노니, 차머스 533
10. 3. 2 ~와 같은 것이 있다는 것에 대해┃나겔 540
10. 3. 3 경험의 질적 특징 550
10. 3. 4 ‘이것’들과 ‘이러한 식으로’들┃차머스, 크릭 552
10. 3. 5 감각질의 전달 가능성과 기술 가능성에 대해┃나겔, 에덜먼, 글린, 스페리 558
11. 의식에 관한 난제들 577
11. 1 난제들 577
11. 2 의식 또는 주관성을 객관적 실재에 대한 우리의 생각과 조화시키는 것에 관해┃설, 차머스, 데닛, 펜로즈 579
11. 3 물리적 과정이 어떻게 의식적 경험의 근원일 수 있는가 하는 물음에 관해┃헉슬리, 틴들, 험프리, 글린, 에덜먼, 다마지오 596
11. 4 의식의 진화적 가치에 대해┃차머스, 발로, 펜로즈, 험프리, 설 606
11. 5 자각의 문제┃존슨레어드, 블레이크모어 618
11. 6 다른 사람의 마음과 다른 동물들┃크릭, 에덜먼, 바이스크란츠, 바스 622
12. 자기 의식 635
12. 1 자기 의식과 자기 635
12. 2 역사적 무대장치: 데카르트, 로크, 흄, 제임스 638
12. 3 자기 의식의 본성에 관한 현대 과학과 신경 과학의 반성┃다마지오, 에덜먼, 험프리, 블레이크모어, 존슨레어드 645
12. 4 ‘자기’에 대한 환상┃다마지오, 험프리, 블레이크모어 651
12. 5 사고, 의지, 감정의 지평 657
12. 5. 1 사고와 언어┃다마지오, 에덜먼과 토노니, 골턴, 펜로즈 663
12. 6 자기 의식┃에덜먼, 펜로즈 683

4부 방법에 관해 697
13. 환원주의 699
13. 1 존재론적 환원주의와 설명적 환원주의┃크릭, 블레이크모어 699
13. 2 제거에 의한 환원┃처칠랜드 부부 719
13. 2. 1 우리의 일상적인 심리학적 개념은 이론적인가?┃폴 처칠랜드 722
13. 2. 2 인간 심리학에 관한 일상적 일반화는 이론의 법칙인가?┃폴 처칠랜드 728
13. 2. 3 인간적인 모든 것을 제거하는 것┃처칠랜드 부부, 도킨스 732
13. 2. 4 자신이 앉아 있는 나뭇가지 자르기 739
14. 방법론적 반성 743
14. 1 언어적 타성과 개념적 혁신┃퍼트리샤 처칠랜드 746
14. 2 ‘영어의 빈곤’ 논증┃블레이크모어 760
14. 3 무의미에서 의미로: 교련 절제술의 결과를 적절하게 서술하는 것┃크릭, 스페리, 가자니가, 월포드, 밀러와 가자니가, 도티 764
14. 3. 1 맹시의 예: 잘못 서술하는 것과 혼동하기 쉽도록 설명하는 것┃바이스크란츠 772
14. 4 철학과 신경 과학┃글린, 에덜먼, 에덜먼과 토노니, 크릭, 제키 777
14. 4. 1 철학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782
14. 2. 2 신경 과학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크릭, 에덜먼, 제키 794
14. 5 왜 그것이 중요한가? 799

부록 1 대니얼 데닛 803
1. 데닛의 방법론과 전제들 806
2. 지향적 입장 816
3. 이형 현상학적 방법 830
4. 의식 839

부록 2 존 설 849
1. 철학과 과학 850
2. 설의 심리 철학 861
3. 전통적인 심신의 문제 871

후주 878
찾아보기 931


접기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13년 11월 16일자 '새로나온 책'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3년 11월 18일자 학술.지성 새책
중앙일보
- 중앙일보 2013년 11월 16일자 '주목! 이 책'



저자 및 역자소개
맥스웰 R. 베넷 (Maxwell R. Bennett AO)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멜버른 대학교에서 전자 공학을 전공하고 동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시드니 대학교 생리학 교수이자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뇌과학 연구자이다. 300여 편의 논문과 『의식의 개념(The Idea of Concousness)』(1997년), 『시냅스의 역사(A History of the Synapse)』(2001년) 등의 저서를 썼다. 국제 자율 신경 과학 학회장, 오스트레일리아 신경 과학 학회 전임 회장으로 신경 과학 메달, 라마초티 메달, 맥팔런 버넷 메달 등을 받았으며 2000년에 오스트레일리아 훈장(Officer in the Or... 더보기

최근작 : <신경 과학의 철학> … 총 2종 (모두보기)

피터 마이클 스티븐 해커 (Peter Michael Stephan Hacker)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옥스퍼드 대학교 퀸스 칼리지에서 철학, 정치학, 경제학을 전공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 선임 연구원으로 있다.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권위자로서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연구에 대한 분석(Analytical Commentary on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시리즈와 베넷과 함께 쓴 『신경 과학과 철학: 뇌, 마음, 언어(Neuroscience and Philosophy: Brain, Mind, and Language)』(2007년), 『인지 신경 과학의 역사(Hist... 더보기

최근작 : <신경 과학의 철학> … 총 2종 (모두보기)

이을상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부산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이다. 부산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받고 정훈장교로 근무했다. 1993년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동아대, 부경대, 동의대, 동서대, 부산대, 신라대 등에서 강의했고, 동아대학교 석당연구원 전임연구원, 동의대학교 인문대학 문화콘텐츠연구소 연구교수 등을 거쳤다. 새한철학회의 제4회 만포학술상(1999년)과 대한철학회의 제4회 운제학술상(2014)을 받았다. 저서로 『인간복제의 윤리적 성찰』(공저, 2017), 『생명과학의 철학』(2013)... 더보기

최근작 : <도덕적 생명 향상>,<[큰글씨책] 도덕적 생명 향상>,<나는 긍정심리학을 긍정할 수밖에 없다> … 총 31종 (모두보기)

하일호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 대학교 농과 대학 식품 공학과에서 학사 학위와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러트거스 대학교에서 생화학 및 분자 생물학으로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 의과 대학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있었으며 한화석유화학 중앙연구소 바이오기초기술센터 센터장을 거쳐 인제 대학교 뇌과학기술연구소 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작은 조각 RNA(microRNA)가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조절 기능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밝혔고,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기전과 치료 방법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신현정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박사(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이다.

최근작 : <개념과 범주적 사고>,<마음학>,<개념과 범주화> … 총 34종 (모두보기)

오용득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동아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동아대학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강의전담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자기쇄신의 학으로서의 철학적 해석학』(2005), 『섹슈얼리티의 철학 - 유전자의 생존기계에서 성적 주체로』(2008), 『세상은 왜? - 세상을 보는 10가지 철학적 주제』(2011) 등이 있다.

최근작 : <세상은 왜? (반양장)>,<섹슈얼리티의 철학>,<세상은 왜? (양장)> … 총 11종 (모두보기)

박만준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동의대학교 철학상담심리학과 명예교수다. 부산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욕망과 자유의 변증법”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해 여러 환경단체의 상임대표를 지냈고 지금도 활동하고 있으며, 국회 환경포럼 전문위원, 부산시 환경정책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생물학적 인간, 생태학적 인간에 대한 관심을 평생의 과제로 삼고 있다. 저서는 <철학>(공저), <욕망과 자유>, <상생의 철학>(공저), <인성론>(공저), <성의 진화와 인간의 성문화>, <... 더보기

최근작 : <[큰글씨책] 신경과학, 마음의 탄생과 진화>,<신경과학, 마음의 탄생과 진화>,<[큰글씨책] 신경미학, 뇌와 아름다움의 진화> … 총 36종 (모두보기)

안호영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부산 대학교 물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부산 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동국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간은 어떻게 인식되는가?: 철학과 과학에서 본 공간」, 「윌슨 ‘통섭’의 전제로서 뇌과학」, 「복잡계로서의 몸과 마음」 등 논문과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공저), 『인도인의 논리학』(공역)이 있다. 물질계에서 마음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작 : <문명.종교.인간의 이해>,<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 총 5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과학자와 철학자 모두에게 던지는 도전장

우리는 영혼과 육체가 하나인지 아닌지 묻는 것을 불필요한 것으로 무시할 수 있다. 이 말은 마치 왁스와 그 모양이 하나인지 아닌지 묻거나 흔히 말해서 한 사물의 질료와 질료를 구성하는 것이 하나인지 아닌지 묻는 것과 같다.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자들이 2000년 넘게 보잘 것 없는 기록을 남기는 데 그쳤고, 이제는 그들이 일상적으로 드러내는 도도한 우월함보다 겸손함을 보여 주는 것이 좋다. …… 철학자는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제시하려면 뇌에 관해 충분히 배워야 할 것이다. 그러나 철학자는 과학적인 증거가 자신의 지론에 반하거나 그 지론이 남의 웃음거리가 될 때 그 지론을 어떻게 버릴 것인지에 대해서도 반드시 배워야만 한다. ― 프랜시스 크릭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교시 언어 영역 B형 문제의 지문에 심신일원론과 심신이원론이 등장했다. 이원론을 세운 17세기의 데카르트에서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거슬러 올라가 보다 보면 노벨 생리 의학상 수상자(1962년)인 크릭이 『놀라운 가설(The Astonishing Hypothesis)』(1994년)에서 철학이 2000년 동안 그대로라고 썼던 도발적인 표현에 솔깃해진다. 사실 많은 신경 과학자들에게 철학은 경계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신경 과학자들의 사고 틀의 많은 부분이 17세기 형이상학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되짚어 보아야 한다. 신경 과학적 지식을 발전시킨 개념적 틀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그 기원을 두고 있지만, 그 후 데카르트의 혁명적인 이론으로 인해 변형되었다. 인간 본성에 관한 사유는 과학 혁명 이후 두 갈래 길로 나뉘었으며 다양한 고찰과 반성을 거치고 있다 하더라도 신경계의 통합적 작용에 대한 관점 역시 거기서 벗어나기 힘들다.
이번에 ㈜사이언스북스에서 펴낸 『신경 과학의 철학(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euroscience)』은 신경 과학과 철학이라는 두 학문의 권위자 두 사람의 협력을 통해 철학적 함의를 간과한 신경 과학의 탐구를 비판하는 책이다. 생리학자인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대학교의 맥스웰 베넷 교수와 인지 철학자인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피터 마이클 스티븐 해커 교수는 인간의 심적 속성이 뇌의 부분이 아닌 인간 전체의 속성이라고 주장한다. 두 저자는 마음과 몸의 이원성으로 표현되다가 최근 뇌와 몸의 이원성으로 표현되는 ‘데카르트적 혼동의 유산’을 떨쳐 버려야 한다고 강조하며 철학의 역사, 그리고 과학의 역사를 되짚어 보고, 가장 근원적이고 개념적인 문제를 인식할 것을 촉구한다.

개념 정립에서 진정한 융합까지
근원에 대한 탐구

과학적 발전에 접근하는 첫 걸음은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개념적으로 혼동되어 있다면 잘못된 질문을 던질 것이다. ― 본문에서

정말 지난 2000년 동안 철학에서 어떤 진보도 이뤄지지 않았을까? 크릭을 비롯해 에덜먼과 제키 등의 실망은 주제의 본성에 대한 오해로 인한 것이다. 세계에 대한 지식에 기여하고 경험적 진리를 발견하는 면에서라면 철학에서는 진보가 있을 수 없다. 철학의 과제는 지식을 상세하게 서술하는 틀이 되는 개념적 도식을 명료하게 하는 데 있어 왔다.
인간의 감각과 지각, 인지, 사고, 정서, 의지, 그리고 의식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철학과 과학은 어떤 역할을 담당했는가? 일반적인 철학 논증을 통해 의식의 본성과 관련한 경험적 문제를 풀 수 없듯이 경험적 방법으로 의식의 본성과 관련한 개념적 문제를 풀 수 없다. 철학은 과학에 동화되는 대신 신경 과학자의 연구가 알려 주는 개념적 틀이 언제 섞이고 왜곡되었는지를 검증할 수 있다.
근원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신경 과학의 개념적 혼동을 지적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신경 과학에서 다뤄지는 철학적 문제 중에는 전체인 인간에 귀속시켜야만 할 심리학적 속성을 부분인 뇌에 귀속시키는 ‘신경 과학에서 전체―부분의 오류’가 있다. 인간이 지각하는 것은 ‘나’, 즉 자아의 몫이지, 나의 생물학적 부분인 뇌가 할 일이 아니다.
마음의 개념, 사람의 몸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사람의 개념과 관계하는지는 또한 개념적 물음이다. 우리는 사람이 마음을 갖고 있고 몸을 갖고 있다고 말할 때 여기에는 세 개의 다른 실재(사람, 마음, 몸)가 있는 것일까, 두 개의 실재(몸과 마음)가 있는 것일까? 아니면 단 하나의 실재, 사람만이 있는 것일까? 신체를 가진다는 것은 무엇인지, 사람이 몸을 가지지 않고 마음을 가질 수 있는지, 또는 마음 없이 몸이 있을 수 있는지의 문제는 개념적 문제이다. 이것은 과학적 물음도 아니고, 과학적 수단으로 풀릴 수 있는 것도 아닌 만큼 개념의 영역을 개관하고 서술할 필요가 있다.

신경 과학의 철학적 문제와 분석

우리는 20세기 신경 과학의 성취에 찬사를 보내면서, 또 신경 과학 분야의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책을 저술했다. …… 이 책이 자신의 연구와 관련된 심리학적 개념의 윤곽을 확인하려는 인지 신경 과학자들에게 개념적 참조 문헌으로 기여하기를 바란다. ― 본문에서

베넷과 해커는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대니얼 데닛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론을 검증하고 반박하면서 신경 과학의 철학적 토대를 보여 주고 있다. 1부 「신경 과학의 철학적 문제: 역사와 개념의 근간」에서는 신경 과학에서 다뤄지는 철학적 문제들을 개괄하고 2부 「인간의 능력과 현대 신경 과학: 분석」에서는 인간의 심리학적 능력을 설명하는 신경 과학적 태도를 비판한다. 이 책에서는 특히 감각, 지각, 인지, 사고, 정서, 의지 작용과 관련해 신경 과학이 범한 개념적 혼동을 조명한다. 3부 「의식과 현대 신경 과학: 분석」에서는 의식에 대한 신경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의 견해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4부 「방법에 관해」는 신경 과학에서 사용하는 철학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원주의와 방법론적 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수세기 동안 자연 철학자들은 생명체들, 특히 인간의 특징적인 힘을 생물학적으로 정초하는 개념적 문제들을 해결하려 애썼다. 오늘날 인지 신경 과학이 당면한 개념적 어려움은 과거의 유산 속에서 새롭게 파악해 정리할 필요가 있다.

1부 신경 과학의 철학적 문제: 역사와 개념의 근간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감각 신경과 운동 신경을 구분한 갈레노스나 인간의 심적 기능을 뇌에 부여한 네메시우스를 위시한 후대 과학자들의 뇌실 이론은 베살리우스에게까지 영향을 남겼다. 페르넬은 생리학과 해부학을 구분하고 16세기에 신경 생리학 개념을 도입했으며 데카르트는 뇌실 대신 뇌와 마음이 상호 작용을 하는 송과선을 내세우며 오늘날 생리학과 신경 과학으로 향하는 길을 열어 주었다.
피질 이론을 소개한 월리스 이후 브로카, 히치히 등, 페리어 등의 발견이 이어졌다. 영혼과 피질, 또는 마음과 뇌의 관계는 19세기 말 셰링턴의 실험을 통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다. 또한 이 책에서는 에클스의 연결 뇌 이론과 펜필드의 최고 뇌 메커니즘 이론을 상세하게 검토하며 신데카르트주의의 오류를 짚어 주고 있다. 심리학적 속성들이 마음에 속한다고 본 1, 2세대 현대 뇌-신경 과학자들과 달리 3세대 신경 과학자들은 심리학적 속성들을 뇌 또는 뇌의 부분에 속한다는 입장을 취했는데 저자들은 이를 데카르트주의적이고 경험주의적인 착오로 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2부 인간의 능력과 현대 신경 과학: 분석

저자들은 신경 과학이 신비적 데카르트주의로 인한 신경 과학의 형태적 모순이나 개념적 혼동을 피하기 위해 개념적 도식을 강조한다. 감각과 지각의 경험적 본질에 초점을 맞춘 대부분의 신경 과학 연구에서 감각과 지각이라는 중요한 심리적 범주들의 개념을 명확히 해야 한다. 지식과 기억의 인지적 범주들 역시 마찬가지다. 지식은 상태가 아니고 능력과 유사한 것이며 우리는 기억한 것을 저작할 수 없고 그 표상만 저장할 수 있다. 믿음, 사고, 상상의 개념을 살펴보는 데 있어서도 이러한 특성이 인간의 특성이지 뇌의 특성이 아니라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에서는 셰퍼드와 메츨러, 포스터와 라이클의 재인 실험 등을 소개하며 심상과 관련된 인지 연구에서 신경 과학자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에 대해서도 서술하고 있다. 또한 정서, 동요, 기분으로 구분되는 정감에 소개하면서 정서와 관련된 개념들이 나오는데 이는 동물 정서와 인간 정서 간의 차이가 두드러질 수밖에 없는 실험 연구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3부 의식과 현대 신경 과학: 분석

최근 20년 동안 신경 과학과 철학, 인지 과학 탐구의 중심을 차지해 온 것은 의식과 그 본성에 대한 문제이다. 에덜먼과 토노니는 의식이 특별한 종류의 뇌 과정으로 생긴다고 주장했고 가자니가는 의식이란 신경 연결망의 한 속성이라고 했다. 내 의식의 현재 상태란 내 뇌의 한 특징이라 주장한 설을 비롯해 신경 과학에 흥미를 가진 많은 철학자들이 등장했다. 신경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은 의식의 영역을 확장한다. 신경 과학자들은 의식적인 심적 상태들 또는 의식적인 경험에 집중하며 철학자들도 의식의 개념을 모든 지각적 경험과 그 이상의 것을 포괄하는 것에까지 확장시킨다. 의식의 본성에 대한 고찰에 전념해 온 현대 신경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은 자동적 의식과 타동적 의식의 구별, 언어에 내포된 다양한 형식의 타동적 의식들 사이의 구별을 외면해 온 것도 사실이다.
의식의 개념적 특징들을 살펴본 데 이어 소개되는 ‘자기 의식’이라는 개념의 탐구는 이미 철학의 주요 관심사였으며 최근 1세기 이상 심리학자, 인지 과학자, 신경 과학자들이 매달려 온 주제이기도 하다. 데카르트는 자신이 사고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자신이 실체로서 존재한다는 사실을 입장하는 것이라고 주장했고 바로 이 실체, 즉 ‘나’는 반드시 규명되어야 하는 대상인 것이다. 로크, 흄, 제임스, 그리고 다마지오와 험프리, 블레이크모어, 존슨레어드까지, 데카르트 이후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은 경험 주체의 본성을 밝히는 데 관심을 기울여 왔다.

4부 방법에 관해

과학에는 이론과 가설이 있다고 하는 의미에서 볼 때, 철학에는 이론도 가설도 없다. 왜냐하면 논리적 가능성에 대한 어떤 이론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개념적인 문제는 언어 형식을 잘못 해석하는 데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인지 신경 과학이 실험 방법을 명료하게 하는 것만큼이나 개념적 구조를 명료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은 과학과 철학의 만남을 주선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신경 과학과 철학이 각기 가야 할 길을 확인하고 있기도 한다. 생리학자인 베넷과 철학자인 해커는 이 책에서 인간 마음의 해석에 작용해 온 다양한 개념적 혼란과 오류를 살펴보고 신경 과학의 영역과 철학적 영역을 규정하고 있다. 저자들은 현대 신경 과학과 심리학 이론들이 만나는 개념적 문제들을 풀어 가며 과학적, 철학적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진정한 융합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철학자와 신경 과학자의 합작품인 이 뛰어난 책은 논란의 중심이 될 것이다. ― 앤서니 케니 경(전 영국 아카데미 회장)

이 책은 나올 수밖에 없었다. ― 데니스 노블(옥스퍼드 대학교 생리학 교수)

동시대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은 베넷과 해커의 결론에 동의하지 않을지 모르지만 그들의 작업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 존 커팅엄(리딩 대학교 철학 교수)

신경 과학자, 생리학자, 철학자 들은 이 뛰어난 책을 보고 긴장해야 한다. ― 폴 해리스(하버드 대학교 교육 대학원 인간 발달 및 심리학 교수)

이 책을 통해 과학자와 철학자, 그리고 일반 독자 모두가 깨달음과 지적 자극, 즐거움을 얻을 것이다. ― 데미언 그레이스(《오스트레일리안 북 리뷰》)

마이리뷰
구매자 (1)
전체 (2)
리뷰쓰기
공감순




신경과학의 철학을 읽고



모든 것은 정의와 개념의 문제이고, 정의는 철학자들이 한다. 과학자 니네들은 좆까고 실험이나 해라. 나는 모든 것을 풀었다.

이 자신만만한 컨셉으로 장대한 팔백 몇쪽의 책을 일필휘지로 써내려가는 사람이 있다. 이름이 매우 특이하다. 피터 마이클 스티븐 해커. (이름이 왜 네개지?) 맥스웰 베넷이란 사람도 공동저자로 들어가 있는데 위키피디아에도 등록 안된 걸 보니 피터 뭐시기가 대빵이다. 내가 알고 있는 신경과학자든 모르는 신경과학자든 사정없이 까내려가서 무슨 무서운 줄 모르는 철부지 신진 연구잔가 하고 찾아봤는데 1939년 출생 할배다. 적어도 몇십년 전부터 이런 주장을 계속해서 했을 거다. 이런 사람을 이제야 알다니.

모든 것은 개념 정립의 문제다. 예를 들면, 뇌는 생각(계산, 의식, 감정, 보기, 고통)을 하지 않는다. 사람이 한다. 이런 개념적 혼란 때문에 의식의 수수께끼가 생겨나고 혼돈의 도가니가 계속된다 (제리 포더 지못미...) 당신들이 이렇게 정신 못차리는 건 아직도 데카르트의 이원론의 환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심신일원론을 입아프게 읊는다 해도 개념적으로는 데카르트의 몸과 마음 이분법을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철학자인 나님이 확실히 개념정립을 해준다.


(800페이지나 되는 뭔가 개념적 블라블라 후)

자 어때? 수수께끼란 아무 것도 없다. 철학자에게 밥이나 쏴라.

(읭?)

이런 느낌....수수께끼가 정말 풀렸는지 잘 이해는 안되지만 음...뭐...고개 끄덕끄덕...하하 그...그런가...그럴지도? 의 느낌이다.

물론 철학자의 역할에 대해 이런 입장을 가지고 있지만, 내가 알고 있는 신경과학철학자가 다 이런 입장을 가지는 것도 아니고, 특히 이런 입장을 가지고 있는 철학자는 (내가 알고 있는 사람에 한해) 피터 마이클 스티븐 해커 이 사람이 유일하다는 점은 좀 이상하다. 게다가 책 말미엔, 역시나 철학자인 대니얼 데넷과 존 설을 까는데, 이쯤 되면 철학자의 역할을 말하고 싶은 건지 아님 나의 의견을 지금은 아무도 안 듣고 있지만 이 세상 철학자들아 동조좀 해줘...인건지 잘 모르겠다. 나야 무식한 이과충이라 그래 이런 의견도 있네...정도로 넘어가겠지만, 똑똑한 철학자들이 좀 많이들 싸워서 책도 내고 강연도 하고 그랬으면 좋겠네. 이 장대한 모두까기 사설에 대한 생각의 지평도 넓어질 테니.



- 접기
김필산 2014-07-28 공감(5) 댓글(0)
Thanks to
공감



신경 과학과 철학이 가야 할 길이 다른가요?



사람이 죽음을 맞는 순간 영혼은 육체를 이탈하여 영계로 들어가게 된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심지어는 뇌와 의식의 작용을 연구해온 신경외과의사도 갑작스러운 뇌사상태를 경험하고서, “나는 죽었지만, 영혼은 살아있었다!”라고 주장하여 파장을 불러오기도 했습니다.(이븐 알렉산더 지음, 나는 천국을 보았다, 김영사, 2013년; http://blog.joins.com/yang412/13145530)



그런가 하면 1907년 미국의사 던컨 맥두걸은 영혼의 무게가 21그램이라는 실험의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사람에게 영혼이 존재하고 죽음을 맞는 순간 영혼이 육체를 빠져나간다고 한다면, 질량보존의 법칙에 따라서 사망 전후의 체중 차이가 바로 영혼의 무게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통하여 이를 증명해보려 한 것입니다. 그는 설득에 넘어간 다섯 명의 중증폐결핵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가설을 검증하기에 이릅니다. g 단위 까지 측정이 가능한 초대형 정밀 저울 위에 침대 째 올려놓고 임종을 맞은 환자들의 체중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습니다.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보정하였지만, 마지막까지 설명할 수 없는 값 21그램이 남았다는 것이고, 이 값이 영혼의 무게라고 발표한 것입니다. 21그램은 아무리 마른 폐결핵환자라고 해도 전체 체중과 비교해보면 아주 작은 값으로 계측오류의 범위를 벗어날 수 없는 수치라고 생각됩니다.



사람은 육체와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이원론에서 출발한 영혼의 존재는 신경과학의 연구결과 영혼의 역할, 즉 의식은 뇌의 활동결과라는 설명과 함께 부정되기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의 의식 혹은 마음이 뇌의 활동결과라기 보다는 인간 전체의 속성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생리학자이자 권위 있는 뇌과학 연구자인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대학교의 맥스웰 베넷 교수와 인지 철학자인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피터 마이클 스티븐 해커 교수가 그 주장의 주인공입니다. 두 사람이 쓴 <신경과학의 철학>은 최근까지 인지신경과학 분야의 연구에 바탕이 되고 있는 몸과 마음 혹은 마음과 뇌라는 데카르트식 구분이 잘못되었다는 인식을 전제로 자신들의 이론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과학적 발전에 접근하는 첫 걸음은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말입니다.



저자들은 서문에서 ‘이 책은 인지 신경과학의 개념적 토대, 즉 인간의 인지적, 정서적, 의지적 능력의 신경적 기반을 탐구하는 것에 수반되는 심리학적 개념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로 이루어진 토대에 관한 고찰’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리고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책을 저술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 책은 지금까지 인지신경과학이 이룬 연구성과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논쟁의 여지가 많을 듯합니다. 한편으로는 이들의 주장이 불러올 논쟁을 통하여 새로운 연구방향이 나올 수도 있겠다는 희망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출판사에서 잘 요약한 이 책의 얼개를 소개합니다. “베넷과 해커는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대니얼 데닛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론을 검증하고 반박하면서 신경 과학의 철학적 토대를 보여 주고 있다. 1부 「신경 과학의 철학적 문제: 역사와 개념의 근간」에서는 신경 과학에서 다뤄지는 철학적 문제들을 개괄하고 2부 「인간의 능력과 현대 신경 과학: 분석」에서는 인간의 심리학적 능력을 설명하는 신경 과학적 태도를 비판한다. 이 책에서는 특히 감각, 지각, 인지, 사고, 정서, 의지 작용과 관련해 신경 과학이 범한 개념적 혼동을 조명한다. 3부 「의식과 현대 신경 과학: 분석」에서는 의식에 대한 신경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의 견해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4부 「방법에 관해」는 신경 과학에서 사용하는 철학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원주의와 방법론적 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앞서 저자들이 영혼에 대한 데카르트적 해석이 잘못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데카르트는 영혼을 생명의 원리가 아닌 사고 혹은 의식의 원리로 이해했던 것입니다. 즉 영혼을 마음의 본질적 기능이 아니라 몸의 기능으로 해석한 것인데, 이로써 동물 생명의 모든 중요한 기능은 기계론적으로 설명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데카르트는 마음과 몸을 별개의 두 실체로 보았고, 각각의 본질적 속성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내밀하게 결합하고 있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저자들은 데카르트에서 거슬러 올라가 아리스토텔레스가 생각한 자연물의 형상으로서의 프시케(Psyche)로 환원하고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때까지 ‘호흡’이나 ‘목숨’을 의미하던 ‘프시케’에 “각각의 생물에 활기를 불어넣는 생명의 원리”라는 의미를 부여했던 것입니다. 프시케를 ‘마음’이라고 옮기는 것은 잘못이라고 합니다. 마음과 심적능력은 모든 형태의 생물을 특징짓는 성장, 영양섭취, 생식 등과 연합하지 않는 개념인데 반하여 프시케는 이와 연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시케는 ‘영혼’으로 옮길 수 있지만 생물학적 개념이지 종교나 윤리적 개념은 포함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합니다.



특수 감각기관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지각하는 과정을 해석함에 있어 저자들은 기존의 신경과학자들과 견해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즉, 외부의 자극은 감각기관을 가지고 느끼는 것이지 뇌가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입니다. 하지만 감각기관은 외부로부터의 정보가 들어오는 통로에 불과한 것이지, 그 정보를 분석하고 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대조하여 특정하는 작업은 뇌가 담당하고 있는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막 태어난 어린 생명은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감각기관을 통하여 받아들일 수 있지만 그 정보의 실체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는 것입니다. 앞서 경험한 사람들의 가르침을 통하여 학습이 이루어진 다음에서야 비로소 정보의 실체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 저자들은 ‘뇌가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하거나 정보의 조각을 연합시킬 수 없다(288쪽)’라고 단정하면서 뇌가 정보를 정보 이론적 의미에서 ‘연합’시키는지 어떤지는 여전히 의문이고, 명료화할 필요가 있다고 한 발 물러서고는 있습니다만, 아직까지 과학이 이러한 과정의 마지막 부분을 증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로 전체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저자들은 뇌라는 특정 장소가 인식과 연관이 있다는 점을 부정하면서 신경과학자들이 피해야 할 세 가지 오류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첫째로 ‘정보’, 정보 처리과정‘과 같은 용어의 사용에 신중해야 한다. 둘째로, 지각과정을 설명하는 노력 속에서 전체-부분의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유의해야만 한다. 셋째로 2차 성질이 객관적인지 아닌지를 묻는 물음을 당연히 비껴가야만 할 것이고, 무엇을 본다는 것이 그 사물의 이미지를 가지는 것이라거나 그 사물의 이미지를 보는 것임을 포함한다는 잘못된 생각을 버려야 한다는 것 등입니다.(297쪽) 저자들은 인간의 의식이란 뇌의 활동결과라는 신경과학자들의 견해를 “신경과학에서 ‘전체-부분의 오류’라고 부르는 특별한 예”라고 잘라 말하고 있습니다. “전체-부분의 오류란 동물 전체에 속한다고 생각할 때만 유의미한 속성을 뇌, 즉 동물의 한 부분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가리킨다.(467쪽)”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만, 인간의 의식이 왜 뇌가 아니라 전체에 속하는 속성인가 하는 의문에 대한 근거가 분명한 답을 제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인지과학자 존슨 레어드가 “의식이 무엇인지, 또는 어떤 목적을 달성하는지 여부를 아무도 알지 못한다.”라고 말한 것이라든지, 철학자 데이비드 존 차머스가 의식에 대하여 “우리가 무지한 것이 ‘우주를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가장 큰 뚜렷한 걸림돌’이 될지도 모른다.”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는 아직도 인간 의식의 본성에 대하여 아는 것이 별로 없다고 하겠습니다.



저자들은 “우리가 커피향이 신선하고 풍부하며 향기롭다고 말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갓 볶은 커피의 향이라고 말할 수 있다.(564쪽)”라고 하면서 경험대상의 성질들이 기술 불가능하다는 생각에 반론을 펴고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마신 커피의 향으로부터 갓볶은 커피라는 사실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을까요? 마르셀 프루스트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가 홍차를 곁들인 마들렌과자 한쪽이 어린 시절의 기억을 불러일으키면서 탄생하였음을 암시한 바 있습니다. “과자 조각이 섞인 홍차 한 모금이 내 입천장에 닿는 순간, 나는 깜짝 놀라 내 몸속에서 뭔가 특별한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 생각의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 차의 첫 모금을 마신 순간으로 되돌아가본다. (…) 분명히 내 마음 깊은 곳에서 팔딱거리는 것은 그 맛과 연결되어 맛의 뒤를 따라 내게로까지 올라오려고 애쓰는 이미지, 시각적인 추억임에 틀림없다.(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 스완네 집 쪽으로(1): 85~89쪽, 민음사, 2012; http://blog.joins.com/yang412/12948920)”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들은 경험을 하지 않고서는 어떤 경험을 한다는 것이 무엇과 같은지 알 수 없다는 것은 혼동된 생각이라고 주장합니다.



저자들은 신경과학이론은 철학적 문제를 회피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아직까지도 미지의 영역이 많은 신경과학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사실 과학이 철학의 영역에 속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스페인의 철학자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는 “철학은 과학이 아니다. 왜냐하면 철학은 과학 그 이상의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하였는데, 철학자는 존재하는 일체의 전체성에 관심을 가지고 전체성 속에서 각 사물의 위치, 역할, 지위와 같은 각 사물이 다른 사물들과 맺고 있는 관계 양상에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 지음, 철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6년; http://blog.joins.com/yang412/13110144) 물리학으로 대표되는 과학은 정확한 추론을 통해 성취된 지식과, 동시에 사실에 대한 감각적 관찰에 의해 확증되는 종류의 인식으로 발전하면서 철학으로부터 독립해 나온 것입니다. 따라서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은 점이 많다는 이유로 인지에 관한 사항이 철학적 영역에 속한다는 생각이 옳다고 보기 어렵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신경과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철학적 방법론을 논하면서 저자들은 심리철학의 입지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 논증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신경심리학이 심리학적 개념을 사용한다 할지라도 심리학적 개념은 과학적 목적을 위해 고안된 이론적 개념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한편으로는 철학에 대한 신경과학자들의 인식, 예를 들면, 철학이 신경과학의 관심사에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생각한다거나, 철학의 선험적인 방법은 마음의 본성에 대한 철학의 탐구를 무가치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거나, 그동안 철학이 성취한 것이 보잘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거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리철학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문제는 인지신경과학자들의 영역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등의 것에 대하여 비판의 날을 세우고 있습니다. “의식이 과학적인 주제로 취급될 수 있고, 의식이 철학의 독점적인 분야로만 생각되지 않는다.(779쪽)”라고 한 에덜먼과 토노니의 말은 앞서도 잠깐 말씀드렸던 것처럼 과학적으로 입증되기 않고 있다는 이유로 철학의 영역으로 생각하고 있는 의식에 대한 영역다툼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들은 철학이 신경과학에 기여한 공로로, 철학은 어떤 경우에 의미의 경계를 넘어서는지 지적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예를 들면, 기억이 과거의 경험의 재현이라거나 언제나 과거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혼돈에 대해 경고할 수 있다거나, 조건반사가 기억의 형태가 아닌 이유와 기억이 뇌에 저장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거나 하는 등입니다. 그리고 “철학적 분석에 대한 개념적 명료화는 신경과학의 목표와는 무관하다는 생각과는 달리, 신경과학의 목표를 성취하는데 필수불가결한 것이다.(793쪽)”라고 조언하였습니다. 방대한 자료를 인용하면서 조목조목 따진 저자들의 주장들 가운데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도 많았습니다만, 기본적으로 철학적 사유가 신경과학의 연구방법론에 새로운 길을 안내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에는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신경과학이나 심리학을 전공하시는 분들께 학제간 통섭적 사고를 위해서 일독을 권하고 싶습니다.
- 접기
처음처럼 2014-05-26 공감(4) 댓글(0)


마이페이퍼

전체 (7)

신경철학과 신경과학



어제 배송받은 책의 하나는 패트리샤 처칠랜드의 <신경 건드려보기>(철학과현실사, 2014)다. 저자의 명망은 알고 있던지라 바로 주문했던 책인데, 패트리샤는 남편 폴 처칠랜드(처치랜드로 소개됐다)와 함께 신경철학의 개척자이다(심리철학의 좀더 급진적인 버전이라고 할까).





폴의 책으로 '현대심리철학 입문'이란 부제의 <물질과 의식>(서광사, 1992)이 오래전에 출간됐고, 이후엔 패트리샤의 <뇌과학과 철학>(철학과현실사, 2006)이 수년 전에 나온 바 있다(책은 기억나는데 구입한 흔적이 없어서 이 책도 이번에 주문했다).







이번에 나온 <신경 건드려보기>(2013)는 <뇌과학과 철학>을 옮긴 박제윤 교수가 다시 번역에 나선 저자의 최신간이다. 아무래도 이 분야의 책은 출간연도가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는데, <뇌과학과 철학>이 1986년에 나온 걸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찾아보니 <뇌과학과 철학>은 저자의 첫 책이고 <신경 건드려보기>는 최신간이므로 신경철학자로서 패트리샤 처칠랜드의 시작과 끝을 말해주는 책들이기도 하다(저자는 네 권의 단독 저작을 갖고 있다). 카이스트의 정재승 교수는 <신경 건드려보기> 출간에 얹은 추천사에서 이렇게 적었다.


우리가 뇌를 연구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인간이란 과연 어떤 존재인가'에 대한 실마리를 얻기 위해서다. '자아-뇌 동일성 가설'을 오랫동안 탐구해온 신경철학의 대가 패트리샤 처칠랜드의 최근 저서가 이렇게 번역 출간된 것은 눈물겹도록 고마운 사건이다. 이 책을 통해 마음의 기원을 뇌에서 찾아온 처칠랜드의 통찰력을 많은 독자들이 공유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신경철학과 관련서라고 하니까 작년에 나온 <신경과학의 철학>(사이언스북스, 2013)도 다시금 떠올리게 된다. 최근에는 호아킨 푸스테르의 <신경과학으로 보는 마음의 지도>(휴먼사이어스, 2014)도 출간됐다. '인간의 뇌는 대상을 어떻게 지각하고 기억하는가?'가 부제. <그림으로 읽는 뇌과학의 모든 것>(휴머니스트, 2013)의 저자인 뇌과학 전문가 박문호 박사는 이렇게 추천했다.


호아킨 M. 푸스테르의 <신경과학으로 보는 마음의 지도>는 지각과 기억, 그리고 동작을 대뇌 피질의 인지망 관점에서 설명하는 책이다. 나는 인간 뇌 작용을 공부하는 모든 사람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뇌의 작용에 관심이 있거나 뇌과학 책을 읽어본 사람, 그리고 뇌를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언젠가 반드시 이 책을 만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최근 10년 사이에 많은 뇌과학 책이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이 책은 그중 대뇌 피질에 관한 가장 전문적인 권위를 가진 책으로 다시 한 번 강력히 추천한다.

신경철학과 신경과학(뇌과학) 분야의 독자라면 꽤나 부듯한 느낌을 갖게 하는 책들이겠다...



14. 02. 21.
- 접기
로쟈 2014-02-21 공감 (25) 댓글 (0)
====


철학과 신경과학의 만남



'이주의 발견'은 맥스웰 베넷과 피터 마이클 스티븐 해커(이게 한 사람 이름이다)의 <신경과학의 철학>(사이언스북스, 2013)이다. '신경과학의 철학적 문제와 분석'이 부제. 제목과 부제 모두 책의 난이도를 짐작하게 해준다. 게다가 분량도 만만찮다. 이 주제의 세미나수업 교재 정도라고 할까.







그렇더라도 처치랜드의 <물질과 의식>(서광사, 1992)이나 최근에 <몸의 인지과학>(김영사, 2013)으로 다시 나온 <인지과학의 철학적 이해>(옥토, 1997) 등에 관심을 가졌던 독자라면 도전해봄직하다. 원서는 2003년에 나왔다.







공저자 중 한 명인 P. M. S. 해커는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권위자로 국내엔 <비트겐슈타인>(궁리, 2001)이 먼저 소개된 바 있다. 맥스웰 베넷은 뇌과학 전공이면서 생리학 교수. 두 저자의 만남이 곧 '철학과 신경과학의 만남'이기도 한데, 두 사람은 <신경과학의 철학>에 뒤이어 <인지 신경과학의 역사>(2008)를 같이 쓰기도 했다. 아마도 이 분야 전공자들에겐 필독서일 듯싶다.







다소 전문적인 책이지만, 신경과학이나 인지과학의 철학적 기초에 관심이 있는 독자, 혹은 대니얼 데닛이나 안토니오 다마지오 등의 책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내친 걸음에 거쳐가볼 수도 있겠다. 뇌가 뇌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고투가 필요하다...



13. 11. 14.
- 접기
로쟈 2013-11-14 공감 (20)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





P. M. S. Hacker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euroscience 1st Edition
by M. R. Bennett (Author), P. M. S. Hacker (Author)
4.2 out of 5 stars 28 ratings
4.2 on Goodreads
In this provocative survey, a distinguished philosopher and a leading neuroscientist outline the conceptual problems at the heart of cognitive neuroscience.


Surveys the conceptual problems inherent in many neuroscientific theories.

Encourages neuroscientists to pay more attention to conceptual questions.

Provides conceptual maps for students and researchers in cognitive neuroscience and psychology.

Written by a distinguished philosopher and leading neuroscientist.

Avoids the use of philosophical jargon.

Constitutes an essential reference work for elucidation of concepts in cognitive neuroscience and psychology.
Read less


Report incorrect product information.


ISBN-10

140510838X
ISBN-13

978-1405108386
Edition

1st
Publisher

Wiley-Blackwell



Editorial Reviews

Review
“This remarkable book, the product of a collaboration between a philosopher and neuroscientist, shows that the claims made on behalf of cognitive science are ill-founded. The book will certainly arouse opposition... but if it causes controversy, it is controversy that is long overdue.” Sir Anthony Kenny, President of the British Academy, 1989–93 <!--end-->

“This book was simply waiting to be written.” Denis Noble, Oxford University

“Contemporary scientists and philosophers may not like Bennett and Hacker's conclusions, but they will hardly be able to ignore them. The work is a formidable achievement.” John Cottingham, Professor of Philosophy, Reading University

“Neuroscientists, psychologists and philosophers will be challenged – and educated – by this sustained and well-informed critique.” Paul Harris, Professor, Human Development and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This book is a joy to read. It is the fruit of collaboration across disciplines and continents between a neurophysiologist and a philosopher. They have written a polemical work that is a model of clarity and directness. Distiniguished neurophysiologist M.R. Bennett of the University of Sydney, and eminent Oxford philosopher P.M.S. Hacker have produced that rarity of scholarship, a genuinely interdisciplinary work that succeeds. ... This is a wonderful book that will illuminate, provoke and delight professional scientists, philosophers and general readers alike." Australian Book Review

"Bennett and Hacker have identified [conceptual confusions] with clinical precision and relentless good sense.... rich with philosophical insights ... thoughtful and wonderfully useful treatise ..." Philosophy


"careful application in a host of cases ...is precisely what Bennett and Hacker provide in devastating critiques of psychologists and neuroscientists such as Blakemore, Crick, Damasio, Edelman, Gazzaniga, Kandel, Kosslyn, LeDoux, Penrose and Weiskrantz; and they also raise equally disturbing questions for philosophers such as Dennett, the Churchlands, Chalmers, Nagel and Searle. Whether this book leads to a reconfiguring of contemporary neuroscience and the philosophy associated with it will tell us much about the dynamics of contemporary intellectual life." Philosophy


"The vast spectrum of material in philosophy and neuroscience that Bennett and Hacker consider is impressive and their discussion is thorough and illuminating." Human Nature Review

1. ‘[It] will certainly, for a long time to come, be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mind-body problem which there is.’ G. H. von Wright

2. ‘everyone who thinks about the mind and consciousness should study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eurtoscience. ... it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a far better understanding of mind and consciousness within scientific thought as well a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imits of empirical investigation’, Arthur Collins, The Philosophical Quarterly, 2004

3. ‘Sweeping, argumentative and brilliant, this book will provoke widespread discussion among philosophers and neuroscientists alike’, Dennis Patterson, Notre Dame Philosophical Review, 2003

4. ‘...devastating critiques of psychologists and neuroscientists ... Whether this book leads to a reconfiguring of contemporary neuroscience and the philosophy associated with it will tell us much about the dynamics of contemporary intellectual life’, Anthony O’Hear, Philosophy 2003

5. ‘This book is a joy to read. ... a model of clarity and directedness... [Bennett and Hacker] have produced that rarity of scholarship, a genuinely interdisciplinary work that succeeds. ... This is a wonderful book that will illuminate, provoke and delight professional scientists, philosophers and general readers alike.’, Damian Grace, Australian Book Review, 2003

6. ‘clinical precision and ... relentless good sense ... [a] thoughtful and wonderfully useful treatise’, Daniel N. Robinson, Philosophical Quarterly, 2004

7. ‘mandatory reading for anybody interested in neuroscience and consciousness research. The vast spectrum of material in philosophy and neuroscience that Bennett and Hacker consider is impressive and their discussion is thorough and illuminating.’ Axel Kohler, Human Nature Review, 2003

8. ‘a delicious cake of a book in which Bennett and Hacker guide the reader through a conceptual minefield of confusions repeatedly made by neuroscientists and philosophers alike.’ Constantine Sandis, Metapsychology 2003

9. ‘Anyone who has ever framed a theory or explained one should read this book ‑ at the risk of forever falling silent.’, The Rector, University of Sydney, Obiter Dicta 2003

10. ‘... impressively lucid ... Bennett and Hacker unquestionably succeed in making us challenge our own concepts, examine them for dross, and strive to home in on fundamentals.’ Neil Spurway, Journal of the European Soc for Study of Science and Theology.

11. ‘...the fruit of a unique cooperation between a neuroscientist and a philosopher ... an excellent book that should be read by all philosophers of cognition and all researchers in the cognitive neurosciences.’ Herman Philipse, ABG #2, De Academische Boekengids 2003

12. `...there are, I think, grounds for hope that this book will do an enormous amount of good, both in correcting philosophical confusion within neuroscience and in promoting a new style of dialogue between neuroscience and philosophy' David Cockburn,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2005

Im Wesentlichen dokumentiert das Buch die Möglichkeit Wittgensteins Spätphilosophie kritisch auf die konzeptionellen Prämissen der Neurowissenschaften anzuwenden. Ein Fokus liegt dabei auf der Mereologie. Die Mereologie ist eine noch relativ junge philosophische Disziplin an der Grenze zwischen Logik und Philosophie. Sie untersucht in systematischer Weise auf der Grundlage geeigneter logischer Systeme die Beziehungen zwischen Teil (griech. meros) und Ganzem. Von besonderem philosophischem Interesse ist die Frage, inwieweit sich mereologische Strukturen zur Klärung und Lösung verschiedenster Probleme vor allem der Ontologie und Erkenntnistheorie einsetzen lassen. Hackers Dartellung ist dabei ein besonders gelungener Versuch, diese Frage zu beantworten. Einigen (!) Neurowissenschaftlern unterläuft nämlich der sprachlogische Fehler Attribute auf das Gehirn anzuwenden, die nur dem Menschen als Ganzem zugeschrieben werden können. Es ist demnach also nicht möglich eine neue Grammatik einzuführen, die es erlauben würde zu postulieren, das es das menschliche Gehirn ist, welches "denkt", "konzeptioniert" oder "konstruiert". Solche Fähigkeiten können nur dem Menschen als Ganzem zugeschrieben werden. Dieser Grundgedanke zieht sich durch das ganze Buch. Sicherlich ist der Umfang des Buches nicht an allen Stellen gerechtfertigt. Die Ursache hierfür ist aber weniger bei Hacker zu suchen, als vielmehr an der Vielzahl der Neurowissenschaftler mit denen der Autor sich beschäftigt. Insgesamt ein gelungenes Werk, das zur Pflichtlektüre eines jeden gehören sollte, der sich mit der Philosophie des Geistes aus einer sprachkritischen Perspektive beschäftigen möchte. (Amazon.de, Juli 2010)
Book Description
In this provocative work, a distinguished philosopher and a leading neuroscientist outline the conceptual problems at the heart of cognitive neuroscience. Writing from a scientifically and philosophically informed perspective, the authors provide a critical overview of the conceptual difficulties encountered in many current neuroscientific and psychological theories, including those of Blakemore, Crick, Damasio, Edelman, Gazzaniga, Kandel, Kosslyn, LeDoux, Penrose and Weiskrantz. They propose that conceptual confusions about how the brain relates to the mind affect the intelligibility of research carried out by neuroscientists, in terms of the questions they choose to address, the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and the conclusions they draw. The book forms both a critique of the practice of cognitive neuroscience and a conceptual handbook for students and researchers.

From the Inside Flap
In this provocative work, a distinguished philosopher and a leading neuroscientist outline the conceptual problems at the heart of cognitive neuroscience.





Writing from a scientifically and philosophically informed perspective, the authors provide a critical overview of the conceptual difficulties encountered in many current neuroscientific and psychological theories, including those of Blakemore, Crick, Damasio, Edelman, Gazzaniga, Kandel, Kosslyn, LeDoux, Penrose and Weiskrantz. They propose that conceptual confusions about how the brain relates to the mind affect the intelligibility of research carried out by neuroscientists, in terms of the questions they choose to address, the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and the conclusions they draw.


The book forms both a critique of the practice of cognitive neuroscience and a conceptual handbook for students and researchers.
From the Back Cover
In this provocative work, a distinguished philosopher and a leading neuroscientist outline the conceptual problems at the heart of cognitive neuroscience.





Writing from a scientifically and philosophically informed perspective, the authors provide a critical overview of the conceptual difficulties encountered in many current neuroscientific and psychological theories, including those of Blakemore, Crick, Damasio, Edelman, Gazzaniga, Kandel, Kosslyn, LeDoux, Penrose and Weiskrantz. They propose that conceptual confusions about how the brain relates to the mind affect the intelligibility of research carried out by neuroscientists, in terms of the questions they choose to address, the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and the conclusions they draw.


The book forms both a critique of the practice of cognitive neuroscience and a conceptual handbook for students and researchers.
About the Author
M. R. Bennett AO is Professor of Physiology and University Chair at the University of Sydney. He is the author of many papers and books in neuroscience, including The Idea of Consciousness (1997) and A History of the Synapse (2001). He is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Autonomic Neuroscience, Past President of the Australian Neuroscience Society, and the recipient of numerous awards for his research in neuroscience, including the Neuroscience Medal, the Ramaciotti Medal and the Macfarlane Burnet Medal.


P. M. S. Hacker is a Fellow of St John’s College, Oxford. He is the author of numerous books and articles on philosophy of mind and philosophy of language, and the leading authority on the philosophy of Wittgenstein. Among his many publications is the monumental five-volume Analytical Commentary on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nd its epilogue Wittgenstein's Place in Twentieth Century Analytic Philosophy, published by Blackwell (first two volumes co-authored with G. P. Baker).
Read less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Wiley-Blackwell; 1st edition (April 18, 2003)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480 pages
ISBN-10 ‏ : ‎ 140510838X
ISBN-13 ‏ : ‎ 978-1405108386
Item Weight ‏ : ‎ 1.77 pounds
Dimensions ‏ : ‎ 6.8 x 1.5 x 9.7 inchesBest Sellers Rank: #1,614,696 in Books (See Top 100 in Books)#1,525 in Neuroscience (Books)
#2,353 in Philosophy History & Survey
#6,886 i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Books)Customer Reviews:
4.2 out of 5 stars 28 ratings


P. M. S. Hacker



P.M.S. Hacker is the leading authority on the philosophy of Wittgenstein, and has written ground-breaking books on cognitive neuroscience together with M.R. Bennett. His major recent work has been the acclaimed tetralogy on human nature. He is the author of 24 books, editor of 4 books, and author of 165 papers. He is also Emeritus Fellow and former Tutorial Fellow in philosophy at St John’s College, Oxford. He holds an Honorary Professorship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at the Institute of Neurology, and has held British Academy and Leverhulme Senior Research Fellowships and visiting chairs in North America.

www.pmshacker.co.uk

See more on the author's page

Follow

M. R. Bennett



Maxwell R Bennett AO

Synopsis

Maxwell Bennett is Professor of Neuroscience and holds the first University Chair for ‘research recognized internationally to be of exceptional distinction’ He graduated in Electrical Engineering and did his doctoral research in Zoology at Melbourne University. He then turned to the brain sciences and was appointed to the second Personal Chair at Sydney University, after Lord May, at which time he was awarded the largest personal Centre of Research Excellence by the Australian Government. His over 300 papers are concerned with research on synaptic connections between nerve cells in the brain. This research led to the discovery that novel transmitters exist at synapses, the first to be identified in fifty years, for which he received the major award in biology and medicine in Australia, the Macfarlane Burnet Medal of the Academy of Sciences. His subsequent discovery that molecules exist at synapses which guide their reformation after nerve injury was recognized by an invitation to give the opening Plenary Lecture to the World Congress of Neuroscience in 1996 as well by appointment in 2000 as an Officer in the Order of Australia (AO). Professor Bennett has written seven books concerned with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the brain and mind, of which the most recent are, with his colleague Peter Hacker,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euroscience, Neuroscience and Philosophy and History of Cognitive Neuroscience. These have created much interest as indicated, for example, by a recent invitation to give a talk on this subject at the United Nations in New York on the date of 9/11. Amongst the organizations he has initiated to promote science and brain research are the Federation of Australia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Societies, the main lobby group for science in Australia,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Autonomic Neuroscience, as well as Brain and Mind Research Asia/Pacific. Professor Bennett founded the Brain and Mind Research Institute seven years ago, and with the raising of over $80 million and four juxtaposed buildings, now has seventeen research professors concerned with the amelioration of diseases of the brain and mind.

Contributions

1. Contributions to Neuroscience.

For sixty years it was thought that nerve terminals release only two substances (noradrenaline and acetylcholine) that control the cells on which they make connections. Bennett showed that there are at least two other substances released and now over thirty have been identified. One of these was identified as ATP, which has now been shown to play a major role in the generation of pain following nerve injury as well as in the immune systems control of inflammation. This has resulted in contemporary pharmacology having as a main aim the blocking of ATP so as to ameliorate pain. Bennett also discovered that nerve terminals reform connections on other cells after a nerve injury at sites that have specialized molecules on their surface for triggering the terminals to stop growing and form a synapse. These synapse formation molecules have recently been recognized. This holds out great hope for reconstructing nerve connections after an injury. Bennett’s research also revealed that there are silent synapses, in which nerve terminals are physically present but do not release transmitters. This has had important implications for changes in the brain responsible for learning and memory. As a consequence of this research on synapses the Australian Academy of Sciences conferred on Bennett in 2000 the major award in biology and medicine, the Macfarlane Burnet Medal, and the University of Sydney its first University Chair, for ‘research recognized internationally as of exceptional distinction’. In addition, in 2001 he received the Distinguished Achievement Medal of the Australian Neuroscience Society, only the second time it had been awarded for research in the 25 year-old history of the Society and was elected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Autonomic Neuroscience.

2.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the Brain and Mind Sciences.

Bennett is the leading neuroscientist o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brain and mind research. The main theme of his philosophical work, primarily with his colleague Peter Hacker, is that the brain sciences have distorted the use of language in attributing our psychological capacities as in thinking, remembering, perceiving etc to the brain rather than to the person whose brain it is; the brain being necessary for us to express these abilities, but it is we who express them. This Mereological Principle has had profound implications for how we view ourselves. In his historical work Bennett has followed the evolution of our ideas concerning the functioning of 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e brain and their organization from the time of Aristotle to the present. He has shown how fundamental ideas arise in this area through a combination of research, prejudice and irrationality and of how strong hypotheses concerning brain function are often abandoned for extended periods of time in favor of less logical hypotheses. Bennett’s most recent works include The Idea of Consciousness (1998), History of the Synapse (2000),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euroscience (2003; with P.Hacker); Neuroscience and Philosophy: Brain, Mind and Language (with D.Dennett, J.Searle and P. Hacker; 2006); and History of Cognitive Neuroscience (2008, with P. Hacker). Recognition of his stature in this area was afforded in Christmas 2005 when he was invited by the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to give a plenary presentation at their annual meeting in New York, the first neuroscientist to be so invited.

3. Contributions to the founding of new organizations to promote Brain and Mind research.

Bennett has a deep commitment to the amelioration of diseases of the brain and mind. To this end he established the major research/clinical facility in Australia for the treatment/research of those suffering from these diseases, ‘The Brain and Mind Research Institute’ at Sydney University. The first stage of this was opened by the Governor of NSW (Professor Marie Bashir ) in 2004, the second stage by the Prime Minister of Australian, the Honorable John Howard in June 2006, the third stage by the Premier of NSW the Honorable Morris Iemma in February 2007, the fourth stage by the Honorable John Howard in 2009 and the fifth stage by the Governor of NSW (Professor Marie Bashir) and the Honorable Morris Iemma in November 2009. Raising over $ 80 million has allowed a complex of four buildings devoted to the amelioration of brain disease through the integrated work of basic brain sciences,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and youth mental health.

Bennett has been responsible for organizing the thirty-six University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make up the Association of Pacific Rim Universities forming ‘Brain and Mind, Asia/Pacific’ in 2004-2005. The aim of this is to marshal the great research strengths of these Universities to ameliorate diseases of the brain and mind. His work on the Mental Health Council of Australia (2002-) and as a Director of the Australian Brain Foundation (2004-), of Neuroscience Australia (2002-2005) as well as of the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2002-2006) and the International Brain Research Organization (1996-2002) has enabled him to make further contributions to assist those suffering from diseases of the brain and mind.

4. Contributions to the community through explaining the discoveries made in the Brain Sciences and their implications.

Bennett has felt a major responsibility to explain progress made in the brain sciences to the community as well as the ethical and philosophical issues that arise from this progress. He frequently makes invited presentations to, for example, gatherings of Supreme Court Judges, senior business leaders, church leaders and public forums involving dialogue with distinguished guests such as the Dali Lama. In addition, Bennett is a frequent guest in the media, making presentations on questions concerning brain and mind research and its history, such as on John Cade (the discoverer of lithium for the treatment of bipolar manic/depression) and Sir John Eccles (the Australian Nobel Prize winning brain scientist and theorist on the relation between brain & mind). Bennett has been chosen to assist in many Australian Government task forces to advise Ministers of Health, Education and Science on how to best optimize the nations research capacity in the brain and mind sciences and use this for the alleviation of suffering of our fellow citizens. In this regard, on the date of 9/11 in 2009, Bennett gave an invited talk in the United Nations (New York) on ‘Brain Function in relation to Criminality’.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j a haverstick

4.0 out of 5 stars About as convincing as it can b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pril 25, 2009
Verified Purchase
One of the things, maybe what I liked most, about academic philosophy when I was in my twenties was the aggressive ("hostile" is a very appropriate word here)argumentation by which we made our bones. Always supplemented, of course, by citations of the chapter and verse of this or that one to show our scholarly credentials. It is what I find most repellent now. Most people in the industry can hardly be unaware how it colors the picture of the discipline for everyone else, in and out of school.

I bought this book rather than the abridged edition because I really wanted to see Wittgensteinianism (?) at work on the mind-body problem...and yes, I fear it is still a problem for me despite all the old wine in new bottles now on the shelves. I didn't buy it to agree or disagree with it. I'm lucky to know a brain oriented psychiatrist who actually maintains many of the theses under attack and so I've got a tennis partner here, though he's limited from "our" point of view by not knowing most of our academic jargon.. I have got him to see that the brain is not the person, that the person has schizophrenia, not her brain.

I'm also trying to suggest that to him its not the brain or even just the person which "thinks". Skinner remarked we think with our stomachs as well as with our brains and that wasn't a simple remark. I.e., it doesn't mean that our stomach sends signals to the brain which make us hungry. As a beekeeper I've often mused on the totally different reality a bee lives in due to it's eye structure, various sensory hairs of different types layered on her body and on and on. A bee thinks differently than us not JUST because of her brain, but because of her body. A bee's physics text would be nearly incomprehensible to us; neither her text nor ours, I think, would be a better picture of an external world. Physics is in that sense pragmatic. That's a problem.

In fact, I'd like to solve my puzzlement about consciousness and external reality by becoming a convinced diciple of W, but I can't. If you ARE interested in giving this kind of analysis its best shot, in finally convincing yourself that 'nothing is hidden' and that there is no problem of consciousness, in getting some rest,you really should read this book. Lots of time it's easy to fall into the slipstream while doing so. But Bishop Berkley keeps shaking me awake. Or I'm just stuck in the tarbaby. Can't figure out which. Anyway, this book is a very good excersize.

In undergraduate school, a teacher who had studied with W, said to me you don't solve philosophical problems, you outgrow them. When?

8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John Harpur

5.0 out of 5 stars Excellent, and controversial, critique of neuroscienc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12, 2004
Verified Purchase
Undoubtedly this book contains both excellence in terms of its review thoroughness and controversey by virtue of its conclusions. It is quite clear from the beginning that Hacker's philosophical stance drives most of the conceptual critique in the book. It is a complicated book, given the vast variety of themes and attendant analyses, and a short review will do it little justice. However, Hacker is a later Wittgensteinian, and to appreciate most of the philosophical input the reader should have reasonable knowledge of the contrast between early and later Wittgenstein, and what exactly characterises the core components of the latter.
The primary criticism leveled at neuroscience is that it is a conceptual shambles due to repeatedly confusing functions of 'selves' with functions of organs (the brain of course). Neursoscience is identified with Cartesian dualism by clumsily shifting talk of properties of persons to talk of brain phenomena and assuming them equivalent. The anvil upon which neuroscience is being philosophically temepered is termed the mereological principle (or fallacy - and you can buy the book for an explanation).
Part of the criticism echoes Wittgenstein's 'if a lion could talk we wouldn't understand him', and most significantly recalls previous critiques of private langage arguments (with a nod to Kripke). It turns out, according to Bennet and Hacker, that neuroscience has been secretly keeping private mental objects alive - presumably in ignorance of philosophical canons.
The book concludes with a well argued and welcome broadside against Dennett's intentional stance (a sacred tenet among cognitve neuroscientists) and, unfortunately, a more toothless critique of Searle on intentionality.
Is this a good book? As an exercise in conceptual analysis this is an excellent text to study - and disagree with. However, implicit in the text is a philosophical backcloth that will not be accessible to many readers outside philosophy (e.g. the presentation of neuroscientific concepts as neo-platonic). It is an immensely scholarly work, but personally I believe that readers with an informed understanding of Wittgenstein will follow the threads more easily than others. Nevertheless, I heartily recommend it.

6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g Whiz

5.0 out of 5 stars Important book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22, 2019
Verified Purchase
This book is a very important read for those interested in psychology or neuroscience. The authors do a masterful job discussing the importance of concepts and having conceptual clarity when conducting psychological and neuroscience investigations. It can be a little dense and difficult to read and places, but it is worth the effort.



HelpfulReport

Ale

4.0 out of 5 stars Four Star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February 24, 2018
Verified Purchase
Not for beginners. Indeed quite interesting for scholars in related fields.



HelpfulReport

Giuseppe Madre

5.0 out of 5 stars Great idea to join an analytic philosopher and a neural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21, 2018
Verified Purchase
Great idea to join an analytic philosopher and a neural scientist to contemplate the concepts related to philosophy of mind. Good introduction to Wittgenstein and h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HelpfulReport

See all review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sjm53
3.0 out of 5 stars The Philosopher As Policeman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April 6, 2021
Verified Purchase

I am in two minds (sic) about this book. I agree that Descartes’ introduction of mind/body dualism was a disaster, and the book’s claim that it is people, not brains, that think, intend, wish, feel, etc., The trouble is, this becomes mightily tedious when repeated over the first 160 or so pages and one itches to see what the authors’ solution is going to be. Before coming to that, there is a dismissal of the concept of “qualia” on the grounds that is doesn’t refer to anything. I would have thought that the authors, as good Wittgensteinians, would have granted it admission to the discourse on the grounds that meaning is use and we all know what it means. They also dismiss Nagel’s paper on “What Is It Like To Be A Bat?” on similar grounds, although surely this is only a development of Wittgenstein’s dictum that if a lion could speak we could not understand him. In the last part of the book it becomes apparent that the authors have no theory to propose. Philosophers should be self-appointed policemen, directing conceptual traffic into the correct lanes and dealing with the pile-ups resulting from category errors. Philosophy, on this view, therefore hasn’t moved on from Gilbert Ryle’s Concept of Mind where – as the authors admit – Ryle spends the last few pages lamely defending himself against the charge of being a logical behaviourist. Perhaps the answer is for us all to go back to Kant and retrace our journey from there, without ending up in the cul-de-sac of so much analytical philosophy or getting lost in the wilderness like our continental cousins.
Report

Dr. Peter Davies
5.0 out of 5 stars Excellent deconstruction of "nothing butery"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December 9, 2007
Verified Purchase

This is a fine and detailed book. Takes a lot of reading, and thinking.

It's a necessary book at this time, and it takes on those people who think that thoughts are "nothing but" electrical and chemical events in the brain.It's a necessary counterbalance to some of the somewhat reductive views of brain function being proposed at present.

A very useful contribution to debate for both philosophers and neuroscientists. Doctors engaged in mental health work will find it interesting as well.

6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Dr. P. Cramer
4.0 out of 5 stars Philosophical Critique of Neuroscience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May 2, 2013
Verified Purchase

An interesting attack on the orthodox, usually unquestioned, manner of interpreting neuroscientific research. The authors emphasis the degree how the much trumpeted transcending of Cartesian dualism is not as it is reported,more a case of new dualism for old;not mind v body but brain v body.Central to the authors thesis is the merelogical fallacy, the attribution of whole person capacities to a part, the brain, based on a loss of the distinction between a necessary condition for something and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The approach is very much driven by Wittgenstein's 'Investigations' and so reads, as he does at times, as advocating logical behaviourism. Their criciticsm of Nagel's 'What is it like to be a bat?' seemed to me to to rely to much on the particular form of words and seems to imply that what does it feel like questions are illegitimate,which is mistaken.Later criticisms in book started so seem like verbal quibbles and so unconvincing.Still, worth a read.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Report


Luis Zarzosa
5.0 out of 5 stars ExcitanteReviewed in Mexico on February 19, 2020
Verified Purchase

Una obra extraordinaria por su lucidez intelectual. Ayuda a descubrir falacias, enredos y malas concepciones alrededor de la relación entre cerebro y comportamiento. Pone cada cosa en su lugar.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Uri
5.0 out of 5 stars Libro umbral en filosofía de la cienciaReviewed in Mexico on March 22, 2019
Verified Purchase

Muy buena adquisición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


Rate this book
Edit my activity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euroscience

Maxwell Richard Bennett
P.M.S. Hacker
4.18
111 ratings6 reviews
In this provocative survey, a distinguished philosopher and a leading neuroscientist outline the conceptual problems at the heart of cognitive neuroscience.

Surveys the conceptual problems inherent in many neuroscientific theories.
Encourages neuroscientists to pay more attention to conceptual questions.
Provides conceptual maps for students and researchers in cognitive neuroscience and psychology.
Written by a distinguished philosopher and leading neuroscientist.
Avoids the use of philosophical jargon.
Constitutes an essential reference work for elucidation of concepts in cognitive neuroscience and psychology.
Genres
Philosophy
Science
Neuroscience
Psychology
Nonfiction
Brain
Biology
 
...more
480 pages, Paperback

First published April 18, 2003


Book details & editions



14 people are currently reading



1,828 people want to read
About the author
Profile Image for Maxwell Richard Bennett.
Maxwell Richard Bennett
10 books19 followers

Follow
Professor Maxwell Bennett is an internationally renowned neuroscientist and expert o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brain and mind research. He has had a long-standing interest in studying the functioning of synapses and a wider philosophical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in and our psychological attributes such as thinking, remembering and perceiving. Among his major research contributions is the discovery of non-adrenergic non-cholinergic (NANC) neurotransmitters and elucidation of their mechanisms of action, which has had profound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visceral and vascular disorders. His current research is investigating synaptic functioning in neuropsychiatric diseases includ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His team was the first to demonstrate that stress leads to the loss of synapses in certain parts of the brain and in turn, to the loss of grey matter seen via neuroimaging in PTSD patients. His philosophical studies challenge traditional paradigms of brain science, which attribute psychological capabilities such as thinking, perceiving and remembering, to the brain. Instead he says “it is the person who possesses these attributes, while the brain facilitates expression of these abilities”. Professor Bennett’s pioneering work on the physiology, development and plasticity of synapses, led to him being awarded by the Australian Government in 1980, the first and largest Centre of Research Excellence (of the 10 established within Australian universities). In 2000 he was elected to the first University Chair ‘for research recognized internationally as of exceptional distinction’. As Founding Director of the Brain and Mind Research Institute (BMRI), Professor Bennett cemented his vision of bringing together psychiatrists, psychologists, neuroscientists and patients, to facilitate collaborative research and patient management. He has founded numerous other organizations and authored several books o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the brain sciences, and on science policy.

Readers also enjoyed
Book Cover
Consciousness: A Very Short Introduction
Susan Blackmore
3.83
2,413
Book Cover
In Search of Memory: The Emergence of a New Science of Mind
Eric R. Kandel
4.12
4,960
Book Cover
Hidden Games: The Surprising Power of Game Theory to Explain Irrational Human Behavior
Erez Joel
3.63
168
Book Cover
Westworld and Philosophy: Mind Equals Blown
Richard Greene
4
17
All similar books
Ratings & Reviews
My Review
Profile Image for Sejin.
Sejin
3 reviews
Want to read.






Rate this book
Write a Review
Friends & Following
No one you know has read this book. Recommend it to a friend!
Community Reviews
4.18
111 ratings6 reviews
5 stars
46 (41%)
4 stars
43 (38%)
3 stars
18 (16%)
2 stars
4 (3%)
1 star
0 (0%)
Search review text

Search review text

Filters
Displaying 1 - 6 of 6 reviews
Alejandra
28 reviews
2 followers

Follow
December 9, 2020
This is a must-read for every philosopher of mind, psychologist, neuroscientists. It covers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these fields. The authors critizised these concepts with engaging and sound arguments, and propose to rethink the way we understand cognition from the very words we use to explain it.

Though it is a long and dense book, the authors analyze deep philosophical problems in a simple and clear way. Excellent as an comprehensive introduction. It will blow your mind!

3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Faustian Talos.
Faustian Talos
47 reviews
4 followers

Follow
January 17, 2022
Definitely the hardest book I've ever read. It's good that I'm finishing it during the quarantine and not starting it. It is by no means recommended for an audience that does not want to read a book with the Google browser always open. Both authors made a valid effort to analyze the topic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sciences and tried to harmonize opinions as much as they could. The central theme of the book is the question of consciousness, which belongs to the domain of cognitive neuroscience, but anyone interested in its other branches (like me) is welcome to read it. Of course, you also have to like philosophizing. She appeared in front of the audience at a time when philosophy was being suppressed, so it was as if she was trying to explain to everyone that all the questions that burden us today were also asked by philosophers hundreds of years ago. The fact that we still do not have a definitive answer does not mean that they failed, nor that neuroscience will succeed in this, but that the answer may not be there or may not be what we think. Why we have free will. Why do we wonder what our place is in the universe? For what reason do we do what we do? We feel what we feel? We mean what we think? Perhaps neuroscience and biology today have the technology, but philosophy provides the concept. The reductionism that rules the neurosciences will not be able to extract these questions from the context and provide an answer without philosophy.
philosophy

2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Jon Clucas.
Jon Clucas
Author 
6 books
4 followers

Follow
September 11, 2008
In this lengthy volume, Bennett and Hacker point out some very interesting misconceptions. In a controversial and 500-page book on the intersection of two specialties, I only found myself disagreeing with them a few times, and only one of my disagreements lasted more than a paragraph in Bennett and Hacker's book.

A good friend who recommended the book to me called it "a good book in need of a good editor," and I couldn't agree more. The book could easily get all of the same points across in 300 pages, and an edit could resolve all but one of the problems I had with the content.

On the other hand, the repetition is useful to help readers shift their frame of mind from common language usage to the context-specific version of language advocated (though not always used) in this book.

The book is certainly worth a read for anyone interested in neuroscience or philosophy, especially if that person can understand basic concepts from the other field.

2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Scott Holstad.
Scott Holstad
Author 
22 books
60 followers

Follow
January 23, 2020
Not a bad book. Learned some interesting things. Am learning I need to learn a hell of a lot more about neuroscience in order to understand neuroscience. Hah! Primary complaint is the book isn't the biggest I've seen by far, but it still feels like there's some filler in there, could have been cut down. The old joke about getting paid by the word...? Recommended.
philosophy
 
science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Joshua Stein.
Joshua Stein
210 reviews
148 followers

Follow
April 23, 2014
Bennett and Hacker have an interesting take on the contemporary philosophy of neuroscience and mind; they have views that they regard as anti-Cartesian that are very instructive and views that are anti-reductive. Unfortunately, the book runs into a number of pitfalls that make it difficult to read and enjoy. The first is that it takes the Oxbridge "natural language" approach for granted, and this is a serious problem since there are very few philosophers in America (including the vast majority of the folks that Bennett takes time to criticize) who think that this is a viable program. Many of the differences in B&H's conclusions are a direct result of this programmatic difference, but it rides underneath the debates, and this is a problem because it can mislead the reader to think that the debates are being fought from positions of methodological neutrality.

There are also some questionable interpretations of arguments that Hacker is attacking. The description of the Churchlands' view of reduction is questionable, at best, and the appendices that deal with Dennett and Searle have some serious problems (problems which are discussed in another volume, a volume that I think is quite a bit better than this one, in addition to being shorter).

Of course, there are things that the book does well; it is an ambitious project and does a good job at systematically covering a lot of ground. B&H are certainly thorough, and seem bent on responding to every issue where they disagree with the mainstream philosophical community. There's nothing wrong with this; it makes for some very good projects. However, in this case, it makes the book a seriously long read and that can compound frustrations for those who feel misrepresented or misunderstood in the course of the discussion.

I recommend, instead, looking to the shorter dialogues between B&H and philosophers of mind; it helps to put them in perspective, since often enough their own characterizations of the state of play fail to contextualize them well. They're on the outside looking in, and not on the top looking down, and this is an important distinction for understanding both their arguments and the relationship to the community of philosophers and neuroscientists.
mind
 
philosophy
 
science

Like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