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Ian Bremmer - the kids are not alright… 한국과 일본 젊은 세대의 비교

(2) Ian Bremmer - the kids are not alright… | Facebook


the kids are not alright…

Hal Conick
So less dutiful, more anxious, less agreeable, and less outgoing.
Sounds like my honeymoon.
Ash Tyson
Hal Conick sounds like all prison systems
John Elphand
Before you jump aboard the Haidt bandwagon, see the methodological critique and counter-arguments of BC professor Peter Gray.
Randy Goldner
John Elphand I see a lot of overlap between Gray and Haidt, don't you? No less than 4 of his 6 conditions for self-directed learning are practically identical to what Haidt says.
  • Reply
  • Edited
Jeff Lucchesi
When your neck is bent downwards most of the day facing a screen and getting daily critiques from social media , that might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younger people’s poor scores here . Not all but it’s definitely part of the equation
Donna Ryan
Between this and the magafication of the country, kids being raised to aspire to trumpian arrogance toward "lesser" people, I worry for the future of our society. I wonder what the trend would be in Canada where I'm pondering moving to.
  • Reply
  • Edited
Drew Smith
Yeah but besides neuroticism for older people, all age groups are on similar tilted trajectories. Young people have less money, less power, and are witnessing adults acting like idiots, all within a system that requires their attachment to toxic technology to participate in the world and economy. No wonder they're anxious, vigilant, and insecure. But also, according to this study, we all are...?
Candace Makitalo
Lack of connection and mindfulness play a part imo...and being hyper-aware of an increasingly unstable world...
Luis F. Cabrera
Candace Makitalo Increasingly unstable parents will do that to kids.
Vlad Davidiuk
Can confirm - have experienced this. Millennials & Gen Z the absolute *worst*.
Patrick Morris
https://youtu.be/hES9IBTPbcw?si=L7uEX-GSdT82qXqI
Barry Chapman
Agreeableness? Surely that's a highly subjective attribute. Curious what criteria it was based on.
Larry Wissig
https://uasdata.usc.edu/index.php
Matt Hi
When a boomer teils you, that the youth is the worst youth ever ...
Randy Goldner
Small price to pay for Zuck's getting richer. Read The Anxious Generation or Careless People and you won't be surprised in the slightest by this trend.
Mike Parwana
I’m over 60, I can tell you that I am far less conscientious than I was before the Covid pandemic. Partly it’s that I don’t have to maintain the level of work I’ve done for most of my life, and partly it is that the expectation instantaneous contact is too much for humans to deal with.
Brian Kennedy
We have conflated rudeness with honesty.
Karen Campbell
The Entitlement Generation was given everything they wanted, and therefore did not develop work ethic. Those of us who had to hustle lawn mowing/leaf raking/snow shoveling learned early that conscientiousness (leaving the place spotless) got us paid; half-assing it got you sent back to do it right.
Lisa Al
Karen Campbell You are spouting the very poison that is part of the problem, Karen! 🙄
Jeff Altemus
"The Entitlement Generation was given everything they wanted, and therefore did not develop work ethic"
Hey, you just came up with the most concise description of the Boomers I've seen! Kudos!
Robert Duggan
‘Fear not for whom the bell tolls,it tolls for thee’
Devin Doyle
Learned from our parents.
Gregory Carpenter
Feckless, self-absorbed & self-obsessed…🙄
Maureen David
Maybe *that* explains my subordinates' lack of diligence at work!
Albert Qian
The pandemic sent everyone home
The internet divided us further with algorithms baiting on the back of ad dollars
With those same algorithms increasing fear and doubt
No surprise here
Ohad Bracha
Social media.
JL McClintock
We're raising generations of narcissists. The fact that our culture is one already driven by "individual rights" (which is different from individualism generally), now we are escalating that to mean that we need not look out for one another at all. It's a country full of Cartmanns, and lesser-educated, disrespectful (not that Cartmann was every respectful) ones at that.
It's a pity.
Robert Pultz
Employers report that Gen Zers do not work well in groups, do not manage their time well, and do not seem committed to their work. They are prone to job hopping, are often unwilling to work full time hours and confuse effort with results.
In recent ETS-OECD tests of job skills, young Americans not only scored lower than all previous American generations, but placed last and near to last in mathematical, verbal, and technical skills among an international group of counterparts.
Genevieve Seaman
My granddaughter is a prime example of this. Have a difficult time connecting with her.
  • ====


ChatGPT의 말:

이안 브레머의 「the kids are not alright」에 대한 댓글 반응을 한국·일본과 비교하면, 몇 가지 문화적·사회 구조적 차이를 읽을 수 있습니다.

1. 미국의 특징

  • 댓글 상당수는 세대 갈등(특히 Boomer vs. Gen Z)을 ‘성격·태도’ 문제로 귀결합니다. 예: 책임감 부족, 자기중심성, 집단작업 기피 등.

  • 사회·경제 구조(소셜미디어, 불평등, 정치 양극화)가 청년 세대 불안을 키운다는 분석도 있지만, 이 역시 개인의 성향 변화와 연결해 설명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 공개적으로 세대 비난을 주고받는 것이 비교적 자유롭고 직설적입니다.

2. 한국과 비교

  • 한국에서도 MZ세대 논쟁이 있지만, 원인을 ‘개인 성향’보다 ‘구조적 문제’—청년실업, 주거난, 경쟁교육—에서 찾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 기성세대의 불만 표출은 미국만큼 직접적이지 않고, ‘노력 부족’ 비판이 나오더라도 ‘우리 때도 힘들었다’는 경험담과 함께 전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반대로, 청년층의 기성세대 비판은 정치·역사 인식과 결합해 집단적으로 표현되는 경향이 강합니다(촛불집회, 세대별 투표 패턴 등).

3. 일본과 비교

  • 일본의 세대 논쟁은 한국·미국보다 수위가 낮고, 공개 갈등이 드뭅니다. ‘와(和)’ 문화와 체면 의식 때문에 세대 간 불만이 사회적 담론으로 크게 표출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대신 “사토리 세대”(만족을 알고 욕망이 적은 세대)나 “잃어버린 30년”처럼, 경제 상황과 가치관 변화를 중립적·묘사형 언어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청년층의 불안은 개인 심리·소속감 부족보다 장기적 경기 침체, 고용 불안, 결혼·출산 기피 같은 구조적 문제로 설명됩니다.

4. 종합 코멘트

  • 미국 댓글 문화는 개인 특성사회문화 환경을 혼합해서 보지만, 비난 어조와 유머·풍자가 섞여 직설적입니다.

  • 한국은 구조적 문제 인식이 강하고, 세대 간 비난보다 제도 개혁 요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일본은 갈등 노출을 최소화하고, 현상을 묘사하거나 사회적 맥락 속에 배치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즉, 같은 ‘청년 세대의 불안’이라도, 미국은 개인성과 태도 중심의 논쟁, 한국은 구조적·정책적 요인 중심의 비판, 일본은 조용한 묘사와 장기 추세 분석으로 나타나는 차이가 있습니다.




===


    제공된 문서는 전반적인 젊은 세대의 인격 특성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한국이나 일본에 대한 구체적인 비교는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인터넷 정보를 통해 한국, 일본 젊은 세대의 특성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한국 젊은 세대

    한국의 젊은 세대는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해지고, 공동체보다는 자신 중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90년대생인 밀레니얼 세대는 부모의 지원을 아낌없이 받은 첫 세대로, 회사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으면 사표를 내는 등 자신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또한, 외모를 중요한 가치로 여기고 자기 관리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세대 갈등이 매우 극심하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갈등의 원인 중 하나로 기술 및 경제 발전 속도에 비해 문화가 따라가지 못하는 '문화 지체' 현상이 꼽힙니다. 또한, 개인주의를 위한 움직임이 다른 나라에 비해 늦어 집단주의와 개인주의에 대한 세대 갈등이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본 젊은 세대

    일본의 젊은 세대는 '사토리 세대'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들은 욕망을 억제하고 최소한의 소비와 경제활동을 하며, 불필요한 것에 관심을 끊고 무모한 도전을 피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성장을 추구하거나 미래를 설계하기보다는 지극히 개인적인 관심과 만족을 삶의 중심에 두며, 내면의 행복을 찾는 경향이 강합니다.

    '히키코모리'처럼 사회와의 접촉을 극도로 피하는 사람들도 존재하는데, 이는 회피성 성격 장애와 유사하며 사회생활에 만족하지 못하고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을 느끼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일본 젊은이들은 안정적이고 보수적인 성향이 강하며, 다양성을 인정하기 어려워하는 경향도 보입니다.

    한국과 일본 젊은 세대의 비교

    • 개인주의 vs. 안정성 추구: 한국의 젊은 세대는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며 자신의 만족과 가치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반면, 일본의 젊은 세대는 욕망을 억제하고 안정적인 삶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변화에 대한 태도: 한국인은 변화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며 가만히 있으면 뒤처진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일본인은 오랫동안 한 가지 일을 반복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 정서적 표현: 한국인은 감정 표현이 많고 적극적인 반면, 일본인은 다소 조용하고 소극적인 경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