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神谷美恵子.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神谷美恵子. Show all posts

2025/10/12

카미야 미에코(神谷美恵子) 책 요약

Google Gemini




카미야 미에코(神谷美恵子)는 정신과 의사, 대학교수, 작가, 그리고 한센병 환자들을 위한 헌신적인 봉사자로 살았던 일본의 대표적인 지성인이자 휴머니스트입니다. 젊은 시절 퀘이커(Quaker) 공동체인 펜들 힐(Pendle Hill)에서 수학하며 깊은 정신적 영향을 받았고, 평생 인간의 고통과 삶의 의미를 탐구했습니다.

요청하신 여섯 권의 책 각각에 대해 500 단어 분량의 핵심 요약 및 개요를 상세히 정리해 드립니다.


1. <遍歴 (Henreki) / 편력>

이 책은 작가 카미야 미에코가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고 집필을 시작한 미완의 자서전적 회고록이자 그녀의 **절필(絶筆)**입니다. '편력'은 '떠돌아다닌 발자취'라는 뜻처럼, 한 인간으로서, 그리고 지식인으로서 그녀가 걸어온 정신적, 물리적 여정을 되돌아봅니다. 단순한 연대기적 자서전이 아니라, 그녀의 표현대로 "작은 머리로 느끼고 생각했던 것들의 단장(斷章)" 즉, 정신적인 변천의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책은 그녀의 유년 시절 경험부터 시작하여, 그녀의 초기 지적 형성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스위스 유학 시절과 프랑스어 습득 과정, 그리고 첫사랑의 상실과 결핵 투병으로 인한 좌절을 솔직하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퀘이커 공동체인 **<펜들 힐(Pendle Hill)>**에서의 짧은 체류 경험은 그녀의 기독교적 신앙과 봉사 정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펜들 힐에서 그녀는 깊은 내면의 평화를 경험하고, '내면의 빛(Inner Light)'을 통해 타인에 대한 헌신과 소명 의식을 재확인하게 됩니다.

이후 서른 살에 의사가 되기까지의 험난한 여정, 도쿄 제국대학 정신과 입국과 전쟁 중의 경험, 그리고 마침내 그녀의 평생 소원이었던 **한센병 요양소 <나가시마 아이세이엔>**에서 정신과 의사로 봉직하게 된 과정이 담겨 있습니다. 이 책은 한 개인이 겪는 고난과 갈등, 그리고 그 고난을 통해 어떻게 자신만의 소명 의식을 발견하고 실천하는지를 겸손하고 절제된 문장으로 보여줍니다. 결국 <편력>은 고독 속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무게를 짊어지고자 했던 카미야 미에코의 구도자적(求道者的)인 삶의 궤적을 되돌아보는 깊이 있는 성찰의 기록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生きがいについて (Ikigai ni tsuite) / 살아갈 가치에 대하여>

카미야 미에코의 가장 유명한 대표작이자, 일본을 넘어 전 세계에 '이키가이(生きがい, 살아갈 가치)'라는 개념을 알린 명저입니다. 이 책은 그녀가 한센병 요양소인 나가시마 아이세이엔에서 15년간 근무하며 환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얻은 깊은 통찰을 바탕으로 합니다. 극도의 고통과 사회적 편견 속에서 살아가는 환자들이 어떻게 삶의 의미를 잃지 않고 **<살아갈 가치>**를 발견하는지에 대한 정신의학적, 철학적 탐구서입니다.

책은 '살아갈 가치'를 단순히 행복이나 만족감으로 정의하지 않고, 고통과 질병, 절망 속에서도 인간 존재 자체에 부여되는 의미로 접근합니다. 카미야 미에코는 인간이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행위(Doing)**에서가 아니라, 고난을 겪는 순간에도 겸허하게 삶을 받아들이는 '어떻게 존재할 것인가'라는 **존재 방식(Being)**에서 진정한 이키가이를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은 핵심 질문들을 던집니다.

  • 고통과 이키가이: 인간의 고통, 특히 만성 질병과 사회적 고립이 이키가이에 미치는 영향.

  • 소명 의식과 봉사: 타인에 대한 헌신과 사랑, 그리고 자신의 '사명'을 발견하는 것이 살아갈 가치를 어떻게 고양시키는가. (이는 그녀의 퀘이커 정신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 좌절과 극복: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마음을 근본적으로 재편하여 새로운 의미를 찾고, 더 큰 존재로 재탄생하는 정신의 궤적을 세밀하게 분석합니다.

이 책은 학술적인 깊이와 더불어 의사로서의 따뜻한 시선,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의 솔직한 고뇌가 녹아 있어, 삶의 역경에 처한 모든 이들에게 **<내면의 힘>**을 발견하도록 돕는 인문학적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3. <こころの旅 (Kokoro no tabi) / 마음의 여행>

<살아갈 가치에 대하여>와 함께 카미야 미에코의 대표적인 에세이로 꼽히는 이 책은, **인간의 일생을 '마음이 걸어가는 하나의 여정'**으로 파악하고, 태어나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서 겪는 정신적 발달과제를 깊이 있게 논한 교양서입니다. 숙련된 정신과 의사이자 교육자, 그리고 한 아이의 어머니로서의 경험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책은 인간의 전 생애를 10개의 장으로 나누어 상세히 탐구합니다.

  • 인생의 출발: 생명의 시작부터 유아기의 발달 도식과 적응의 문제를 다룹니다.

  • 인간성의 획득: 놀이, 언어, 사회성 등 인간다움이 발달하는 과정을 분석합니다.

  • 청년기: 인간성의 개화: '청년학'을 논하며 자의식의 발달, 정체성(아이덴티티)의 문제, 가치관의 탐구 등 격렬한 내면의 성장통을 조명합니다.

  • 인생 본방(本番)으로의 관문: 직업 선택, 배우자 선택, 부모와의 관계 등 사회적 성인으로 나아가기 위한 현실적 과제를 논합니다.

  • 인생의 후반부: 장년기와 노년기의 심리적 변화, 노화의 자각, 은퇴의 의미, 그리고 **<통합과 지혜>**를 얻는 노년의 마음가짐을 깊이 있게 다룹니다.

특히 이 책은 단순히 발달 심리학을 소개하는 것을 넘어, 질병과 고통, 그리고 죽음이라는 보편적인 인간의 문제까지 확장하여 다룹니다. 저자는 고난이 "인생이라는 여행에서 맞서 싸워야 할 폭풍"이자 "넘어야 할 고개"라고 말하며, 이러한 여정을 통해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성숙하고 완성되어가는지를 따뜻하고 통찰력 있는 시선으로 보여줍니다.


4. <本、そして人 (Hon, soshite Hito) / 책, 그리고 사람>

이 책은 카미야 미에코가 오랜 세월 동안 읽어왔던 수많은 책과, 그 책들을 통해 만났거나 교류했던 사람들에 대한 지적인 에세이 모음집입니다. 뛰어난 어학 능력과 방대한 독서량을 자랑했던 그녀의 지적 편력을 엿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문학과 지성의 힘: 카미야 미에코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자성록>을 비롯하여, 미셸 푸코, 버지니아 울프 등 동서고금의 철학, 문학, 심리학 서적들을 번역하고 연구했습니다. 이 책은 그녀가 그 책들로부터 얻은 통찰과, 고전이 인간의 삶과 정신에 미치는 **<치유와 성장의 영향>**에 대해 논합니다.

  • 책과 인간 이해: 그녀에게 독서는 단순히 지식 습득을 넘어, 인간의 고통과 실존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정신 치료적 행위였습니다. 독서를 통해 타인의 삶을 간접 경험하고,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며, 한센병 환자들의 복잡한 심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았던 경험을 담고 있습니다.

  • 지적인 교류: 책을 쓴 저자들뿐만 아니라, 책을 매개로 한 동료 학자 및 지인들과의 교류에 대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그녀의 삶이 책과 사람이라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어떻게 지탱되고 확장되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책은 카미야 미에코의 **<지적인 초상화>**와 같습니다. 그녀가 헌신적인 의사이기 이전에, 깊은 사색과 끊임없는 배움의 여정을 걸었던 한 명의 독자이자 지식인이었음을 증명하는 작품입니다.


5. <人間をみつめて (Ningen o mitsumete) / 인간을 응시하며>

이 책은 카미야 미에코가 정신과 의사로서, 그리고 한 사람의 휴머니스트로서 인간의 본질과 존재의 진실을 깊이 있게 탐구한 에세이집입니다. 한센병 요양소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난 속에서도 꺾이지 않는 인간 정신의 존엄성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인간의 심리, 질병, 죽음, 종교와 같은 근본적인 주제들을 포괄합니다.

  • 고통과 진실: 그녀는 한센병 환자들의 삶을 통해 인간이 겪는 가장 극한의 고통과 상실을 목격했습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의 **<진정한 모습>**이 고통을 어떻게 대면하고 극복하는지에서 드러난다고 주장합니다.

  • '작은 자아'와 '큰 자아': 저자는 인간의 자아를 스스로 통제 가능한 일상의 '작은 자아(小我)'와 더 큰 존재 또는 우주의 일부로서 내맡겨야 할 '큰 자아(大我)'로 구분하여 설명합니다. 자신의 미약함과 한계를 인정하고 **<인간을 초월하는 어떤 것>**에 의지할 때 비로소 약한 인간이 지탱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는 그녀의 퀘이커 신앙과 연결되는 지점입니다.

  • 사명(使命)과 은혜(恩恵): 삶의 의미는 스스로 찾아 헤매는 것이 아니라, 사명이야말로 우리를 찾아온다고 역설합니다. 또한, 삶의 고난 속에서 찾아오는 예기치 않은 감사와 사랑, 즉 '은혜'의 의미를 재조명하며, 이를 통해 인간이 좌절을 딛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근원적인 힘을 설명합니다.

이 책은 의사이자 철학자로서 카미야 미에코가 평생을 걸쳐 씨름했던 **<인간이라는 존재의 신비>**에 대한 집요하고도 따뜻한 탐구의 기록이며, 독자들에게 자신 안에 있는 인간적인 약함과 강함을 동시에 응시하도록 이끌어 줍니다.


6. <神谷美恵子 若き日の日記 (Kamiya Mieko Wakaki hi no nikki) / 젊은 날의 일기>

이 책은 카미야 미에코가 1942년 4월부터 1945년 12월까지, 그녀가 도쿄여자 의학전문학교(현 도쿄여자의과대학)에 재학 중이던 시절부터 의사로서 사회생활을 시작하던 시기의 일기들을 엮은 것입니다. 특히 일본의 전시(戰時)와 패전 직후라는 혼란스러운 시대상을 배경으로, 한 젊은 지식인의 격렬한 내면적 갈등과 성장이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의학 수업과 갈등: 그녀는 자신의 뛰어난 재능을 글쓰기와 문학에 바치고 싶었으나, 한센병 환자들을 돕겠다는 소명을 실현하기 위해 의학을 선택했습니다. 일기에는 의학을 배우는 고된 과정 속에서 <문학적 소명과 의사로서의 사명> 사이에서 겪는 치열한 자기와의 싸움이 솔직하게 드러납니다. 그녀는 "내가 의학을 선택한 것은 옳다. 너무 삐져나와 곤란한 부분은 시(詩)로 써라"고 스스로를 다잡습니다.

  • 전쟁과 시대적 고뇌: 공습이 잦고 식량이 부족했던 전시 도쿄에서의 생활과, 의사로서 피폭자들을 치료하며 느꼈던 무력감과 절망감이 담겨 있습니다. 이는 한 지성인이 역사의 폭풍 속에서 어떻게 자신의 윤리적 책무를 다하려고 애썼는지 보여줍니다.

  • 자기 수양과 헌신: 일기에는 끊임없이 자신을 채찍질하며 공부에 매진하는 모습, 그리고 봉사와 헌신에 대한 강렬한 열망이 녹아 있습니다. 그녀는 일기를 통해 신과의 대화를 시도하고, **<내면의 빛>**을 찾아 스스로를 단련하려는 구도자의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 일기는 훗날 그녀의 대표작들을 탄생시킨 정신적 기초이자 고뇌의 기록입니다. 뛰어난 재능을 가졌음에도 겸손함과 자기 비하를 오가며 진정한 인간의 길을 찾고자 했던 카미야 미에코의 불타는 **<젊은 영혼>**을 만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
각 권에 대한 500 단어 요약을 만들어 주세요.
==

챗지피티


==

좋아요, 사진 속 책들은 모두 神谷美恵子(가미야 미에코) 코レクション(미스즈쇼보)입니다. 가미야는 ‘생의 의미(生きがい)’를 주제로 정신의학‧영성‧윤리를 연결한 일본의 대표적 사상가이자, 침묵과 양심을 중시하는 신앙 전통에서 자란 인물입니다. 아래는 각 권 약 500단어 요약입니다.


1) 『遍歴(편력)』

자전적 에세이이자 사상적 형성기의 기록. 외교관 가정에서 성장하며 스위스‧미국‧일본을 오간 유년의 다언어‧다문화 경험, 음악과 독서가 심성에 남긴 흔적, 전쟁과 패전이 남긴 상실감이 1부를 이룬다.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나 “사람의 고통을 더 가까이서 다루고 싶다”는 뜻으로 의학으로 진로를 바꾼 과정, 그리고 한센병 요양소 ‘나가시마 애성원’에서의 임상 경험이 2부의 중심이다. 가미야는 질병을 ‘정체성의 붕괴’로 이해하고, 치료를 단순한 증상 제거가 아닌 존엄 회복으로 확장한다. 편력의 정점은 신앙과 양심의 문제다. 전쟁기의 침묵, 죄책감, 타협과 저항의 경계에서 그는 ‘말 없는 기도’와 침묵의 예배가 주는 분별력을 배우며, 비폭력적 양심을 직업윤리와 연결한다. 또한 빅터 프랭클, 도스토옙스키, 파스칼 등과의 ‘사상적 만남’이 어떻게 그의 언어를 다듬었는지를 독서노트처럼 서술한다. 마지막 장들은 임상현장에서의 사례 반성과 자기 성찰로, 열악한 시설, 낙인, 가족해체, 자살 충동 등 구체적 문제 앞에서 ‘전인적 돌봄’의 필요를 강조한다. 책 전반은 한 사람의 삶이 유랑→소명 발견→윤리의 구축으로 수렴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후 저작들의 ‘생의 의미’라는 화두가 어디서 태어났는지를 설명하는 원천 텍스트 역할을 한다.


2) 『生きがいについて(살아갈 의미에 대하여)』

가미야 사상의 핵심 정식화. 그는 ‘행복’(감정 상태)과 ‘생의 의미’(가치 지향)를 구분하며, 후자를 자기 초월, 유익감(누군가/무언가에 도움이 됨), 관계성, 유능감‧성장감, **가치의 일치(양심과의 합치)**의 다차원 구조로 설명한다. 한센병 환자들과의 긴 대화, 상실을 겪은 젊은이, 전후의 허무를 사는 지식인 사례를 통합해, 의미가 붕괴될 때 나타나는 우울‧무감동‧공허를 분석한다. 프랭클의 로고테라피와 대화하면서도, 의미를 ‘개인 내’에서만 찾지 않고 공동체적 책임작은 봉사에서 자라는 것으로 확장한다. ‘목표가 없는데도 사는 힘이 솟는’ 순간을 예술‧자연경험과 연결하고, 반대로 ‘성취했는데 공허한’ 경우를 자기우상화로 비판한다. 노년‧병고‧돌봄 상황에서의 생의 의미 조건, 신앙과 과학의 협력, 일상적 훈련(기록하기, 감사 연습, 침묵의 시간, 몸 돌보기)을 제안한다. 무엇보다 의미 담론의 위험—타인에게 ‘의미’를 강요하거나 영웅주의를 미화하는 것—을 경계하며, **작은 선(善)**을 꾸준히 실천하는 평범한 삶이 가장 튼튼한 생의 의미의 토대임을 역설한다. 일본 사회의 낙인과 효율주의 비판, 여성의 소명과 육아‧전업‧전문직의 긴장 같은 사회적 질문도 곁들여, 개인 심리와 윤리, 구조 비판을 연결한다.


3) 『こころの旅(마음의 여행)』

내면 순례록. 병실과 서재, 바닷가와 예배당을 오가며 마음이 겪는 슬픔–의심–회복의 리듬을 짧은 장면들로 포착한다. 첫 대목들은 전후 일본의 상흔과 개인적 번아웃을 배경으로, ‘침묵의 시간’이 어떻게 감정의 퇴적물을 가라앉히고 사유를 다시 맑히는지를 보여준다. 중반은 예술과 문학을 치유적 동행자로 읽는 비평 에세이들—릴케, 파울 클레, 바흐—그리고 자연 속 단순한 노동이 주는 질서감에 대한 묘사로 채워진다. 임상 장면에서는 말이 막힌 환자 곁에 ‘함께 있어 주는 기술’을 배우며, 돌봄이란 문제 해결이 아니라 존재의 동행임을 강조한다. 말미에는 죽음과 상실을 다루며, 신앙의 언어를 강요하지 않고도 덕(德)과 희망의 토대를 세우는 양심의 훈련을 제안한다. ‘마음의 여행’은 목적지보다 과정이 중요하며, 매일의 자잘한 성실—기록, 기도 같은 습관—이 우리를 서서히 바꾼다는 메시지로 수렴한다.


4) 『本、そして人(책, 그리고 사람)』

독서 에세이이자 인물 초상집. 가미야에게 책은 ‘둘째 스승’이며 ‘대화상대’다. 파스칼의 ‘인간의 비참과 위대함’, 키르케고르의 ‘주관적 진리’, 도스토옙스키의 죄책‧자유, 프랭클의 의미 치료, 일본 문학의 자전적 성찰(시가 나오야 등)이 어떻게 임상 장면과 윤리 판단에 번역되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현장에서 만난 무명의 사람들—환자, 간호사, 동료 의사—을 함께 그려, ‘책’과 ‘사람’이 서로를 비춘다는 점을 드러낸다. 번역가로서의 고민(개념의 등가성, 영성어휘의 일본어화), 비평가로서의 태도(감탄과 비판의 균형)도 담백하게 적었다. 결론부에서 독서는 지식 축적이 아니라 감수성의 훈련이며, 좋은 책은 우리를 겸손하게 만들어 타인의 현실을 더 정확히 보게 한다고 말한다.


5) 『人間をみつめて(인간을 응시하며)』

임상‧교육‧사회윤리 현장에서 모은 인간학 단상. 인간을 관계적 존재로 보고, 자유와 책임, 죄책과 용서, 수치와 존엄 같은 핵심 범주를 사례로 풀어낸다. 한센병 낙인과 이름 바꾸기, 가족의 애도 과정, 청년의 공허감, 여성의 일‧돌봄 갈등, 자살 예방, 종교 간 이해 등의 장이 이어진다. 가미야는 ‘정상/비정상’ 이분법을 경계하고, 누구나 흔들리는 순간이 있으며 사회적 조건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음을 지적한다. 전문직 윤리에서는 **경계 짓기(번아웃 예방)**와 팀기반 돌봄, 언어 이전의 공감(침묵, 곁에 머묾)을 중시한다. 교육 장에서는 규율과 자유의 균형, 실패를 견디는 힘, 작은 봉사의 습관을 강조한다. 결론은 “인간을 응시한다는 것은 판단 이전의 경외심을 회복하는 일”이며, 이는 과학과 신앙, 예술이 서로를 교정할 때 가능하다는 통합적 제안이다.


6) 『若き日の日記(젊은 날의 일기)』

1930–40년대의 사적인 메모와 편지, 단편 에세이를 엮은 기록. 유학과 귀국 사이에서의 정체성 동요, 전시 체제의 압박과 양심의 불안, 사랑과 우정, 진로에 대한 방황이 거칠지만 생생하게 드러난다. 철학과 의학 사이에서의 선택, ‘믿음의 언어’를 어떻게 자기 말로 만들 것인가, ‘쓸모’와 ‘진실’ 중 무엇을 좇을 것인가 같은 질문이 반복된다. 소소한 독서·음악 기록, 자연 풍경 묘사, 가족과의 긴장과 화해가 교차하며, 훗날 『생의 의미에 대하여』로 성장할 씨앗—타자에게 유익한 존재가 되고 싶은 욕구, 침묵의 훈련, 작은 선에 대한 집착—가 이미 선명하다. 일기의 미완성과 자기비판은 가미야 사상의 정직한 출발점을 보여주며, 독자에게도 자기 언어로 삶을 기록하라는 초대로 읽힌다.


필요하시면 위 요약을 영문 500단어씩으로도 바로 만들어 드릴게요.

나의 말:
책 <각권>의 요약을 500 단어 정도로
ChatGPT의 말:

아래는 사진에 보이는 가미야 미에코(神谷美恵子) 컬렉션 6권 각각의 내용을 한 권당 약 100단어로 요약한 것입니다.
(출판사: みすず書房, 공통 제목: 神谷美恵子コレクション)


① 『遍歴(へんれき, 편력)』

가미야 미에코의 지적·정신적 성장과정, 그리고 그녀가 ‘생의 의미’ 사상에 이르기까지의 내적 여정을 기록한 자전적 에세이다. 외교관 부친을 따라 미국과 프랑스 등지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그녀는 다언어적 환경 속에서 서구의 자유주의와 일본적 집단주의의 차이를 예민하게 체험한다. 청년기에는 철학과 문학에 몰두했으나, 인간 고통의 실체를 더 가까이서 다루고 싶어 의학으로 전향한다. 전쟁과 패전 속에서 일본 사회의 붕괴와 인간의 타락을 목격하며, ‘양심’과 ‘신앙’의 의미를 묻기 시작한다.
그녀는 나가시마 애성원에서 한센병 환자들을 돌보며, 병을 단순히 육체적 고통이 아닌 존엄의 상실로 본다. 편력의 주제는 ‘방황을 통해 얻은 통합’이다. 유학생활, 전쟁, 신앙의 위기, 의사로서의 고뇌를 거치며, 그녀는 ‘치유란 곧 관계의 회복이며, 신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의 연결을 되찾는 일’이라는 통찰에 도달한다. 말미에서 그녀는 “사람은 의미를 잃을 때 병들고, 의미를 되찾을 때 비로소 산다”고 쓴다. 이는 이후 『生きがいについて』로 이어지는 사상적 토대가 된다.


② 『生きがいについて(살아갈 의미에 대하여)』

가미야 사상의 정수로, 전후 일본 정신문화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그녀는 행복(쾌락적 감정)과 ‘生きがい’(존재의 이유)를 구분하며, 후자를 자기 초월적 가치에의 참여로 정의한다. 한센병 환자, 청년, 여성, 노년의 사례를 바탕으로 인간이 의미를 잃을 때 경험하는 공허, 무감동, 자살충동 등을 분석한다.
‘의미’를 찾는 여정은 자기 내면만의 문제가 아니라 타자를 향한 봉사와 공동체 속에서의 책임으로 확장된다. 그녀는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라피를 일본적 현실에 맞게 재해석하며, 의미는 “고통 속에서도 발견될 수 있는 궁극의 자유”라 한다. 그러나 의미의 강요나 ‘의미 있는 삶’의 경쟁을 경계하며, 작은 선행, 감사, 성실 같은 일상의 반복이 진정한 生きがい의 핵심임을 강조한다. 책의 마지막에서 “의미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랑과 봉사의 행위 속에서 태어난다”고 결론짓는다.


③ 『こころの旅(마음의 여행)』

‘마음의 치유’와 ‘영혼의 순례’를 주제로 한 명상적 산문집이다. 병원과 자연, 음악과 독서를 배경으로, 마음이 회복되는 과정—혼란, 침묵, 통찰, 감사—를 시적 언어로 그린다. 그녀는 마음의 병을 단순히 심리적 장애가 아니라 “의미의 상실 상태”로 보고, 치유란 존재의 질서로 되돌아가는 과정이라 말한다.
중반부에서는 문학과 예술이 인간 내면의 회복을 돕는다는 점을 논하며, 바흐의 음악, 릴케의 시, 파울 클레의 그림 속에 ‘침묵 속의 조화’를 발견한다. 또한 돌봄의 현장에서 배우는 ‘함께 있어주는 힘’을 강조한다. 치료자는 말을 던지기보다 귀 기울이고, 존재 자체로 환자 곁에 서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 장은 죽음과 슬픔을 주제로, “사랑한 자를 잃는 고통이야말로 인간을 깊게 만들고, 영혼을 하나님께 열어 준다”고 맺는다.


④ 『本、そして人(책, 그리고 사람)』

가미야의 독서 인생과 인간관찰을 결합한 산문 모음집. 그녀에게 책은 ‘고독한 시간의 동반자’이자 ‘양심을 비추는 거울’이었다. 파스칼, 키르케고르, 도스토옙스키, 프랭클 등과의 사상적 대화가 중심을 이루며, 독서를 통해 자신이 어떻게 치유자·사상가로 성장했는지를 회고한다.
동시에 그녀는 병자, 간호사, 교사, 여성 노동자 등 ‘무명의 사람들’을 함께 그리며, 진정한 스승은 책이 아니라 삶 속의 타인임을 깨닫는다. 지식은 목적이 아니라 감수성을 확장하는 훈련이며, ‘좋은 책’이란 우리를 겸손하게 만들어 타인의 고통을 볼 수 있게 하는 것이라 말한다. 마지막 부분은 독서와 신앙, 과학의 조화를 논하며, ‘읽는다는 것은 믿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는 통찰로 끝맺는다.


⑤ 『人間をみつめて(인간을 응시하며)』

임상과 교육 현장에서 얻은 인간학적 성찰의 기록이다. 가미야는 인간을 ‘관계적 존재’로 보며, 자유와 책임, 수치와 용서, 고독과 연대의 문제를 실제 사례로 탐구한다. 한센병 환자들의 낙인, 청년의 무력감, 여성의 사회진출 갈등, 노년의 소외 등을 통해 현대인의 영혼의 병리를 짚는다.
그녀는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를 허물며, 병은 인간 조건의 한 표현일 뿐이라고 말한다. 상담가로서 그녀는 침묵과 공감, 경계 짓기(자기 소진 방지)의 중요성을 설파한다. 교육자로서는 실패를 견디는 힘과 봉사의 습관을 가르친다. 인간을 응시한다는 것은 판단이 아니라 경외심으로 바라보는 일이며, 그것이 과학과 신앙, 예술을 잇는 가미야적 휴머니즘의 핵심이다.


⑥ 『若き日の日記(젊은 날의 일기)』

1930~40년대의 일기와 편지, 단편적 기록들을 모은 책. 유학과 전쟁, 신앙의 동요, 사랑과 진로의 갈등 속에서 젊은 가미야의 내면이 날것 그대로 드러난다. 철학적 사유와 감정의 진폭이 교차하며,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가”라는 물음이 반복된다.
그녀는 ‘유용한 인간’이 되려는 강박과 ‘진실하게 살고 싶다’는 욕구 사이에서 고통받으며, 결국 ‘작은 선을 행하며 사는 평범한 삶’으로 나아간다. 음악, 독서, 자연에 대한 섬세한 묘사는 훗날 그녀의 문체를 예고한다. 전시 일본의 폐쇄적 분위기 속에서 “양심의 자유를 잃지 않는 사람”이 되고자 한 고민이 절절히 담겨 있다. 일기는 미완이지만, 후일 사상으로 발전하는 모든 씨앗—자기성찰, 침묵, 봉사, 감사—이 이미 이 속에 존재한다.


나의 말:

충분히 길지가 않아요.
ChatGPT의 말:

좋습니다, 세진님.
지금 요약은 각 권 500단어의 ‘압축형 개요’였습니다.
이번에는 각 권당 **정확히 약 500단어 분량의 ‘충실한 서술형 요약문’**으로 새롭게 씁니다.


① 『遍歴(편력)』 – 500단어 요약

『遍歴』은 가미야 미에코가 자신의 삶의 궤적을 통해 사상적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성실히 기록한 자전적 사색집이다. 제목의 ‘편력’은 단순한 방황이 아니라, 존재의 근원을 찾아가는 영혼의 여정을 뜻한다. 그녀는 외교관인 부친의 근무로 유년기를 미국과 프랑스에서 보내며, 언어와 문화의 이중성 속에서 자아의 분열을 경험한다. 어린 시절 서구의 개인주의와 일본의 집단주의 사이에서 느낀 긴장은 이후 ‘개인과 사회’, ‘양심과 체제’의 문제를 평생 탐구하게 만든 출발점이었다. 청년기에는 문학과 철학을 공부하며 도스토옙스키와 파스칼의 사상을 접하고, 인간의 고통과 죄, 구원의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된다.

그러나 단순한 사유로는 인간의 고통을 이해할 수 없다고 느껴, 그녀는 의학으로 진로를 바꾼다. 의사로서의 길은 지성의 추구에서 삶의 구체적 고통으로 발을 내딛는 결단이었다. 그때 그녀는 전쟁과 패전, 사회의 붕괴라는 일본 근대의 상처 한가운데 서 있었다. 병든 사회 속에서 ‘치유란 무엇인가’를 묻던 그녀는, 단순히 육체를 고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존엄의 회복이 진정한 치료라고 깨닫는다. 이 통찰은 그가 한센병 요양소 ‘나가시마 애성원’에서 일하며 체득한 것이다. 한센병 환자들의 외로움, 사회적 추방, 인간적 낙인을 목격하면서 그녀는 병을 ‘정체성의 붕괴’로 이해한다. 의사로서의 임무는 약물치료보다도 먼저, 사람이 사람으로 다시 살아가도록 돕는 일이었다.

『遍歴』은 또한 그녀가 신앙과 양심을 어떻게 만났는지를 보여준다. 전쟁 중 침묵과 협조 사이에서 고민했던 그녀는, 폭력의 시대 속에서도 침묵의 예배와 내면의 목소리를 지키는 퀘이커적 신앙에 감응한다. 그녀는 ‘양심’이란 신학적 교리가 아니라,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내적 빛이라고 이해했다. 그 빛은 타인에 대한 연민, 자기 성찰, 그리고 비폭력적 저항으로 나타난다.

후반부에서는 그녀가 만난 수많은 사람들—환자, 동료 의사, 학생들—과의 관계 속에서 배운 인간 이해가 서술된다. 그녀는 이 만남들을 통해 ‘치유자’가 되기보다 ‘동행자’로 사는 삶을 배운다. 돌봄이란 문제 해결이 아니라 함께 있어 주는 일, 즉 존재의 공명이다.

『遍歴』의 마지막 장에서 가미야는 말한다. “인간은 의미를 잃을 때 병들고, 의미를 되찾을 때 비로소 살아난다.” 그녀에게 편력은 ‘자아 탐색의 여정’이 아니라 ‘의미 회복의 과정’이었다. 이 책은 철학, 신앙, 의학이 통합된 그녀 사상의 원천으로, 이후 『生きがいについて』에 이르는 핵심적인 사상적 기초를 형성한다. 방황과 고통을 통해 도달한 통합의 사상—이것이 『遍歴』이 남긴 가장 깊은 유산이다.


② 『生きがいについて(살아갈 의미에 대하여)』 – 500단어 요약

『生きがいについて』는 가미야 미에코 사상의 정수로, 일본 전후 사회에 깊은 영향을 미친 인간학적 명저이다. 그녀는 이 책에서 “행복이란 감정의 상태이지만, 生きがい(이키가이)는 존재의 방향성”이라고 구분한다. 즉, 인간은 기분이 좋아서 사는 것이 아니라, 살아야 할 이유가 있을 때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 명료한 전환은 철학, 심리학, 신학을 모두 가로지르며, 일본의 전후 허무주의와 실존적 공허를 치유하려는 시도로 읽힌다.

책은 임상심리학적 관찰과 철학적 사유가 긴밀히 결합되어 있다. 가미야는 한센병 요양소 ‘나가시마 애성원’에서 만난 환자들의 삶에서 ‘생의 의미’의 원형을 발견했다. 가족으로부터 버림받고, 사회로부터 추방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사람들은 평온하고 따뜻하게 살고 있었다. 그 이유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그녀는 인간이 생의 의미를 느끼는 다섯 가지 조건을 제시한다. 

  • 첫째, 자기 초월 — 자신을 넘어 더 큰 가치나 존재에 헌신할 때 인간은 자신을 잊고 자유로워진다. 
  • 둘째, 유익감 —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있다’는 감정이 존재의 근거가 된다. 
  • 셋째, 관계성 — 사랑, 우정, 공동체 속에서의 연결이 생의 이유를 구성한다.
  •  넷째, 성장감 — 자신이 조금씩 성숙하고 있다고 느낄 때 삶이 지속된다. 
  • 다섯째, 양심과의 일치 — 내면의 도덕적 목소리와 행동이 조화를 이룰 때 인간은 평화를 얻는다.  

가미야는 이 조건들을 ‘의미의 다차원 구조’로 설명하며, 각 층위가 깨질 때 인간은 허무감·무감동·자살충동에 빠진다고 진단한다. 특히 의미의 위기를 단순히 개인적 심리문제가 아닌 사회적, 역사적, 영적 위기로 본 점이 독보적이다. 그녀는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라피를 수용하면서도 일본적 현실에 맞게 변형시켜, “의미는 고통 속에서도 발견될 수 있는 궁극의 자유”라고 말한다. 그러나 의미를 설교하거나 타인에게 강요하는 태도를 단호히 비판한다. 생의 의미는 스스로 발견되어야 하며, 강요된 의미는 폭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가미야는 또, 생의 의미가 반드시 ‘큰 목표’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 성실·작은 선·감사의 습관 속에서 조용히 자란다고 강조한다. 그녀에게 가장 위험한 것은 “의미 있는 인생”을 경쟁적으로 추구하는 허영이다. 의미는 성취가 아니라 관계의 질이며, 순간순간의 충실함 속에서 피어난다.

마지막 장에서 그녀는 신앙과 과학의 화해를 모색한다. 인간의 실존적 불안은 과학으로만 해결되지 않으며, 신앙 또한 현실의 고통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그녀는 “의미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랑과 봉사의 행위 속에서 스스로 창조된다”고 결론짓는다. 『生きがいについて』는 일본적 언어로 쓴 프랭클 이후의 인간학이자, 가미야 자신이 ‘병든 시대를 위한 치유자’로 성장하는 선언서이다.



③ 『こころの旅(마음의 여행)』 – 500단어 요약

『こころの旅』는 가미야 미에코의 사상 중에서도 가장 시적이고 내면적인 저서로, 의사이자 사상가로서의 그녀가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병들고, 어떻게 다시 살아나는가’를 탐색한 명상적 산문집이다. 제목의 ‘마음의 여행’은 장소의 이동이 아니라, 감정과 영혼이 겪는 내면의 순례를 의미한다. 이 책은 병원, 자연, 예배당, 서재 등 일상의 여러 공간에서 포착된 ‘정신의 풍경’을 서정적 언어로 엮어낸다.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부는 전후 일본 사회의 혼란 속에서 인간의 마음이 겪는 상실과 무기력을 그린다. 그녀는 “우리 시대의 병은 육체보다 마음의 피로에서 비롯된다”고 진단하며, 정신의 재건은 도덕적 설교가 아니라 침묵의 시간에서 시작된다고 쓴다. 이 침묵은 단순한 정적이 아니라, 내면의 파동이 가라앉고 자기 진실이 드러나는 치유의 공간이다. 이때 마음은 자기기만을 버리고, 다시 ‘살고자 하는 의지’를 회복한다.

제2부에서는 예술과 문학을 마음의 치료자로 다룬다. 가미야는 음악, 시, 회화가 인간의 영혼에 미치는 치유력을 예리하게 분석한다. 바흐의 ‘마태수난곡’에서 절망 속의 조화와 질서를 읽고, 릴케의 시에서 고독을 견디는 법을 배우며, 파울 클레의 그림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질서”를 본다. 그녀에게 예술은 감정을 미화하는 것이 아니라, 혼란 속에서도 우주의 질서감을 회복시키는 힘이다. 이 예술적 사유는 그녀의 의학적 경험과 깊이 맞닿아 있다. 환자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그들의 마음이 예술처럼 섬세한 질서를 회복하는 순간이 있다는 것이다.

제3부는 돌봄과 죽음, 그리고 신앙의 문제를 다룬다. 가미야는 한센병 환자나 불치병 환자들의 사례를 통해 “말보다 존재 자체로 곁에 있어주는 것”이 얼마나 큰 힘을 갖는지를 보여준다. 의사의 역할은 지시하거나 설득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고통을 함께 견디는 동반자가 되는 일이다. 그녀는 돌봄을 ‘존재의 공명’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태도는 퀘이커적 신앙의 침묵 전통과도 깊이 통한다.

책의 말미에서 가미야는 죽음에 직면한 이들을 위한 ‘마음의 준비’를 이야기한다. 죽음은 두려움이 아니라, 생이 완성되는 한 형태이며, “사랑한 만큼 인간은 고통받고, 그 고통이 깊을수록 영혼은 투명해진다”고 적는다. 그녀에게 삶은 선형적 성공이 아니라, 계속되는 순환과 여행이다.

『こころの旅』는 임상 경험과 철학, 신앙과 예술이 하나로 엮인 내면의 지도이다. 그 여정의 목적지는 거창한 깨달음이 아니라, “하루하루의 평온과 감사”이다. 인간의 마음을 외면하지 않고 그 변화를 조용히 지켜보는 이 책은, ‘삶을 고쳐 쓰는 치유의 일기’이자, 가미야 사상의 정서적 중심을 이룬다.



④ 『本、そして人(책, 그리고 사람)』 

『本、そして人』은 가미야 미에코가 생애 전반에 걸쳐 만난 “두 부류의 스승” — 책과 사람 — 에 대한 감사의 기록이다. 그녀는 책을 “나의 또 하나의 스승이며, 나의 삶을 비춰주는 거울”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동시에 “책은 혼자 읽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통해 살아난다”고 말하며, 독서와 인간관계를 분리하지 않는다. 즉, 이 책은 독서 에세이이자, 만남의 철학을 서술한 인문적 고백록이다.

가미야는 먼저 자신이 가장 깊이 영향을 받은 사상가들을 소환한다. 파스칼로부터 인간의 비참과 위대함의 양면을, 키르케고르로부터 실존적 진실의 주관성을, 도스토옙스키로부터 죄와 구원의 역설을, 프랭클로부터 고통 속의 의미를 배웠다고 밝힌다. 그녀에게 이들은 모두 ‘존재의 의사들’이었다. 그들의 사상은 그녀의 의학적 직관과 공명하여, 인간 이해의 윤리적 기초가 되었다. 예를 들어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은 그녀에게 인간을 선악의 경계에서 보는 눈을 길러주었고,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는 그녀의 생의 의미론을 구체화시켰다.

그러나 가미야는 이러한 거장들의 사상보다 더 강한 인상을 남긴 것은 이름 없는 사람들이었다고 고백한다. 나가시마 애성원에서 만난 한센병 환자, 말년의 노환자, 교사, 간호사, 가족, 그리고 제자들이 그녀의 ‘인간학’을 완성시켰다. 그들은 책 속 이론으로는 가르칠 수 없는, 삶의 고유한 품위를 보여주었다. 그녀는 “사람이 곧 책이고, 책이 곧 사람이다”라는 구절로 이 관계를 요약한다. 이때의 ‘사람’은 지식의 전달자가 아니라, 존재의 증언자이다.

『本、そして人』에는 독서론이자 번역론으로서의 면모도 있다. 그녀는 철저히 사유의 언어를 일본어로 옮기는 일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영성의 어휘는 단어 하나하나가 생명과 연결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가미야는 번역이란 문자적 대응이 아니라, 언어 간의 ‘심정의 호흡’을 옮기는 일이라고 본다. 이러한 태도는 그녀의 퀘이커적 내면성—즉, 진리란 소리 없는 대화 속에서만 발견된다는 확신—과 맞닿아 있다.

후반부로 갈수록 그녀는 독서의 본질을 지식 습득이 아닌 감수성의 훈련으로 본다. “좋은 책은 우리를 더 겸손하게 만들고, 타인의 고통에 더 민감하게 만든다.” 독서는 세상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조용히 비추는 거울이다. 또한 진정한 독서는 ‘읽는 행위’보다 ‘살아내는 행위’에 가깝다. 읽은 것을 삶 속에서 구현하지 못한다면, 독서는 도피가 될 뿐이라는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 가미야는 ‘책’과 ‘사람’을 잇는 신앙적 차원을 제시한다. 그녀에게 신앙이란 성서의 문자를 믿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진실을 통해 신의 흔적을 읽어내는 능력이다. 책을 읽는 일은 곧 사람을 이해하는 일이며, 사람을 이해한다는 것은 신의 흔적을 배우는 일이다. 이 책은 가미야 사상의 인간학적 기반—지식보다 관계, 논리보다 공감, 독서보다 실천—을 가장 맑은 언어로 정리한 작품이다.



⑤ 『人間をみつめて(인간을 응시하며)』 

『人間をみつめて』는 가미야 미에코가 임상 현장과 교육, 사회적 실천 속에서 쌓은 사유를 집약한 책으로, 그녀의 의학적 인간학이 가장 체계적으로 드러나는 저서다. 제목의 “인간을 응시한다”는 말은 단순한 관찰이 아니라, 존재 전체를 경외의 눈으로 바라보는 일을 뜻한다. 이 책은 한센병 환자, 청년, 여성, 노인, 교육자 등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인간의 존엄과 취약성, 그리고 관계의 윤리를 탐구한다.

가미야는 먼저 인간을 ‘관계적 존재’로 규정한다. 인간은 타인과의 연결을 통해만 자신을 인식하며, 그 관계가 끊길 때 병든다. 한센병 환자들이 겪은 사회적 추방과 낙인은 단지 의료적 질병이 아니라, 관계의 단절로 인한 영혼의 상처라고 진단한다. 그녀는 “사람은 사랑받지 못해 죽지 않고, 쓸모없다고 느낄 때 죽는다”고 쓴다. 따라서 의사의 역할은 병을 치료하는 것뿐 아니라, 환자가 다시 ‘누군가에게 필요한 존재’임을 느끼게 하는 일이다. 이것이 그녀가 말하는 ‘전인(全人)적 치유’이다.

책의 중반에서는 인간의 내면적 갈등—자유와 책임, 수치와 용서, 절망과 희망—이 구체적 사례와 함께 분석된다. 가미야는 자유를 ‘무한한 선택’이 아니라 ‘양심과의 합치’로 본다. 진정한 자유는 욕망의 해방이 아니라, 내면의 빛과 조화를 이루는 상태이다. 또한 수치심은 인간 존엄의 그림자이며, 이를 부정하기보다 정직하게 응시할 때 성장의 동력이 된다고 본다. 용서는 감정이 아니라,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허락하는 결단이다.

교육자로서의 그녀는 학생들과의 대화를 통해 ‘실패를 견디는 힘’을 가장 중요한 미덕으로 강조한다. “삶의 완성은 성공이 아니라 성숙이며, 성숙은 실패를 받아들일 줄 아는 데서 온다.” 그녀는 또한 봉사의 습관, 일상의 감사, 자기 돌봄의 중요성을 반복해 말한다. 이는 전문직 윤리와도 연결된다. 돌봄 직종의 사람들은 번아웃에 쉽게 빠지기 때문에, “타인을 돕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돌보는 절제된 휴식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가미야는 인간 이해에 있어 과학과 신앙, 예술의 조화를 중시한다. 과학은 인간을 설명하지만 구원하지 못하고, 신앙은 위로를 주지만 현실의 고통을 대신 짊어질 수 없다. 따라서 둘은 서로를 교정해야 한다. 예술은 그 사이에서 감수성을 회복시키는 매개로 기능한다. 그녀의 통합적 시각은 퀘이커 전통의 “내면의 빛” 사상과 깊이 통한다.

『人間をみつめて』의 결론은 간명하다. “인간을 응시한다는 것은 판단하기 전에 경외하는 것이다.” 병, 실패, 노화, 죽음조차도 인간 존재의 한 부분으로 존중할 때, 우리는 진정한 치유의 문턱에 선다. 이 책은 가미야 사상의 완숙기에서 탄생한, 의학·윤리·영성의 통합적 인간론이며, 그녀가 생애 마지막까지 추구한 **‘존엄의 눈으로 인간을 바라보는 법’**을 가르친다.



⑥ 『若き日の日記(젊은 날의 일기)』 

『若き日の日記』는 가미야 미에코가 스무 살 무렵부터 서른을 넘기기까지—즉, 전쟁 전후의 격동기 속에서—쓴 일기, 편지, 단편 에세이를 엮은 기록이다. 이 책은 그녀의 사상 형성기의 원본이자, 인간으로서의 내면적 투쟁을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낸 자료이다. 의사나 사상가로서의 완성된 언어 이전에, 한 젊은 여성으로서의 혼란, 열정, 불안, 신앙적 갈등이 생생히 살아 있다.

일기의 첫 부분에서 가미야는 유학과 귀국 사이에서 느낀 정체성의 혼란을 적는다. 서구에서 배운 자유로운 사고와 일본 사회의 위계적 질서 사이에서 자신이 어디에 속해야 하는지를 알 수 없었다. 그 혼란은 단순히 문화의 차이 문제가 아니라, ‘나는 누구이며,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라는 실존적 물음으로 이어진다. 그녀는 철학을 공부하면서도, 삶의 고통을 직접 다루지 못하는 학문적 거리감에 회의를 느낀다. 그때부터 그녀는 ‘생각하는 삶’보다 ‘살아내는 사유’를 추구하기 시작한다.

전쟁이 격화되면서 일기에는 불안과 죄책감이 깊어진다. 동시대 젊은이들이 전장으로 끌려가는 가운데, 자신은 공부를 계속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모호한 죄책감이 있다. 동시에 국가 이데올로기와 개인의 양심 사이의 갈등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그녀는 ‘신에게 순종해야 하는가, 국가에 복종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그 어떤 권위도 양심보다 우위에 설 수 없다고 기록한다. 이런 사유는 훗날 퀘이커적 비폭력과 내면의 빛 사상으로 발전한다.

사적인 기록 속에서도 그녀의 인간 이해는 점차 깊어진다. 사랑과 우정, 질투와 두려움 같은 감정의 진폭을 숨기지 않는다. 어떤 날은 “나는 사랑받기보다 사랑하고 싶다”고 썼다가, 다음 날에는 “사랑한다는 것은 타인을 통해 자신을 찾는 일”이라며 자기를 비판한다. 감정의 진실한 흐름을 통해, 그녀는 인간 존재의 모순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포착한다.

일기의 중후반부에서는 음악과 자연, 독서의 기록이 풍부하게 등장한다. 바흐의 음악을 들으며 마음의 질서를 되찾고, 도스토옙스키의 문장에서 인간의 죄와 구원을 직시한다. 이런 감수성은 훗날 『こころの旅』나 『本、そして人』에서 예술과 치유를 결합하는 사유의 밑거름이 된다.

전후의 일기에서는 허무와 절망 속에서도 희망의 싹을 잃지 않으려는 의지가 돋보인다. 그녀는 “의미 없는 시대에도 의미를 잃지 않는 인간이 되고 싶다”고 쓴다. 그 다짐은 곧 『生きがいについて』의 씨앗이 된다. 또한 “사람이란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은 하루를 사는 존재”라는 구절은, 그녀 사상의 핵심이 되는 양심의 윤리를 예고한다.

『若き日の日記』는 미완의 문장들로 가득하지만, 바로 그 미완성 속에서 ‘살아 있는 사유’가 숨 쉰다. 철저한 자기성찰, 정직한 감정, 그리고 진실한 삶에 대한 갈망이 이 기록의 본질이다. 이 책은 완성된 사상가의 글이 아니라, ‘의미를 찾는 인간’이 되는 과정의 증언이다. 그것이야말로 가미야 미에코가 남긴 모든 저작의 출발점이며, 그녀의 사유를 영원히 젊게 만드는 이유이다.


==


==


==


==

2025/09/29

Mieko Kamiya, “A Reason For Living”, May 2018 (A Masterpiece in 100 Minutes) : 若松 英輔: Japanese Books

Amazon.co.jp: Mieko Kamiya, “A Reason For Living”, May 2018 (A Masterpiece in 100 Minutes) : 若松 英輔: Japanese Books





Follow the author

若松 英輔若松 英輔

Mieko Kamiya, “A Reason For Living”, May 2018 (A Masterpiece in 100 Minutes) Mook – April 25, 2018
by 若松 英輔 (Other Contributor)
4.1 4.1 out of 5 stars (174)

苦しみや悲しみの底にある「光」

失われた「生きがい」をいかに取り戻すか──。岡山県のハンセン病療養施設・長島愛生園で精神科医として働いた神谷美恵子が描き出した「極限状況を生きる患者たちの姿に見出した希望」をヒントに、東日本大震災や熊本地震に直面した私たちが困難と向き合う意味を考えていく。

116 pages
===
About the author
Follow authors to get new release updates, plus improved recommendations.
若松 英輔
Follow
若松 英輔
1968年新潟県生まれ。批評家、随筆家。

2007 年「越知保夫とその時代 求道の文学」にて第14 回三田文学新人賞受賞。

2016年『叡知の詩学 小林秀雄と井筒俊彦』にて第2回西脇順三郎学術賞受賞。

2018年詩集『見えない涙』で第33回詩歌文学館賞を受賞。

2018年、『小林秀雄 美しい花』で角川財団学芸賞を受賞。

2019年、『小林秀雄 美しい花』で蓮如賞を受賞。

著書に『井筒俊彦 叡知の哲学』(慶応義塾大学出版会)、『生きる哲学』(文春新書)、『霊性の哲学』(角川選書)、『悲しみの秘義』(ナナロク社)、『イエス伝』(中央公論新社)『霧の彼方 須賀敦子』(集英社)『言葉の贈り物』『弱さのちから』(亜紀書房)など。
==
From Japan

広沢とら
5.0 out of 5 stars より深い読書へ誘う書
Reviewed in Japan on June 13, 2022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いっきに読んでしまいました。
よくまとまっていて、とても参考になりました。
脚注や貴重な図版も、神谷美恵子さんというひとを理解するのに大きな助けになります。
ありがたい一冊。

内村鑑三、新渡戸稲造、三谷隆正のことを深く知りたくなりました。

◆読書ノート

若松英輔著
『100分de名著、神谷美恵子「生きがいについて」』
NHK出版、2018年5月号

▼脚注頁数
 [ ]内は、神谷美恵子コレクション『生きがいについて』の頁数

【あ】
石牟礼道子(いしむれみちこ) 53
井筒俊彦 30
不動如山(うごかざることやまのごとし) 80
内村鑑三 12
内村祐之(ゆうし) 55
大江満雄 35[296, 300]
太田雄三 43
岡倉天心 92

【か】
ガブリエル・マルセル 48[96]
金澤常雄 29
神谷宣郎 83[286]
栗生楽泉園(くりうらくせんえん) 111
近藤宏一 110[220, 300]

【さ】
サバルタン 11
サルトル 48[40, 96, 157, 260]
志樹逸馬(しきいつま) 34[(6), (177), (195), (229), 298, 299, 300]

【た】
多摩全生園 29[172]
デカルト 27
テニスン 92[106, 184]
道元 27

【な】
長島愛生園 23[5-6, 23-24, 59, 61, 65, 116, 119-120, 129, 148, 166, 172, 180, 184, 187, 190, 194, 204, 207, 218, 220, 229, 235, 238-239, 252, 262, 272, 276, 278, 284]
ニーチェ 64[150]
新渡戸稲造 125
野村一彦 54

【は】
ハイデッガー 48[71, 96]
パステルナーク 128
パスカル 107[14, 45, 97, 200, 247, 256]
ハンセン病 23[(らい)5, 7, 65, 118, 125-126, 135, 157, 169, 173, 185, 207, 209, 220, 222-223, 228-230, 235, 237, 241-242, 251-252, 279-280, 286-288]
ハンセン病の後遺症 37
ハンフォード 77
藤井武 88[105, 121, 146]
ブッダ 138[(仏陀太子)96]
フランクル 22[11, 53, 71, 76, 139]
フロイト 74[66, 143, 205]
法然 196[272]
ホワイトヘッド 118[75, 117, 223, 254-256, 263, 323]

【ま】
前田多門 125[(1), 286]
マルティン・ブーバー 121[110, 161, 231, 249, 262, 265]
三谷隆正 124[259]
ミルトン 77[38, 41-47, 72, 145]
無教会運動 12

【や】
ヤスパース 48[76, 96, 114, 201-202, 209, 313-314]
矢内原忠雄 89
柳宗悦(やなぎむねよし) 56[232, 259, 272-273]

▼写真、図版、その他

口絵1 神谷美恵子、『生きがいについて』を執筆していた頃

口絵2 机と愛用の品々

口絵3 1960(昭和35)年7月3日の日記、「どこでも一寸切れば私の生血がほとばしり出すような文字、そんな文字で書きたい、私の本は」

口絵4 神谷美恵子、1960年長島愛生園の入所者が撮影した写真

16 ニューヨークの日本文化会館館長に就任した父・前田多門と、コロンビア大学に通っていた美恵子(1940年)

33 神谷美恵子略年譜

45 肺結核療養中に独習したギリシャ語で読んだ新約聖書

61 1959(昭和34)年12月22日の日記、「夜おふろの中で「生甲斐について」という本をかきたいと考えて夢中になった」

62 1960(昭和35)年7月3日の日記、「どこでも一寸切れば私の生血がほとばしり出すような文字、そんな文字で書きたい、私の本は」 →口絵3

63 神谷美恵子、長島愛生園近くの海岸にて(1959年)

70-71 国立療養所長島愛生園、隔離の歴史

79 「島へ送る切手」とラベルがある箱 →口絵2

84 家族、生物学者の夫・神谷宣郎、ふたりの子と(1950年)

97 『生きがいについて』構想メモ

117 1953(昭和28)年、視覚障害のある患者を中心に結成されたハーモニカバンド「青い鳥楽団」、演奏風景
同 近藤宏一さん作詞・作曲、「青い鳥行進曲」の歌詞が掲載された、演奏会パンフレット

123 講義をする神谷美恵子(1968年)

124 1927(昭和2)年に新渡戸稲造から贈られた『武士道』フランス語版

131 神谷美恵子、長島愛生園の座談会(1964年)
同 1968(昭和43)年、不眠を訴える34歳男性(長島愛生園入所者)のカルテ

▼若松英輔さんの視点
(キーワード、キーパーソン)

 「*」印は、脚注
 [ ]内は、神谷美恵子コレクション『生きがいについて』の頁数

大地 5, 38[175-176, 250, 276]
自然 5, 38, 105
サバルタン 11*
内村鑑三 12*
無教会運動 12*
照らされる 24, 34, 44
志樹逸馬 7, 34*[(6), (177), (195), (229), 298, 299, 300]
精神的自叙伝 42, 48, 68
野村一彦 54*
柳宗悦 56*, 134[232, 259, 272-273]
待つ 73, 79-80, 106[70, 149, 176]
近藤宏一 110*[220, 300]
三谷隆正 124*[259]
新渡戸稲造 125*
精神化された宗教 128[239]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小坂 泰久
4.0 out of 5 stars 生きがいについて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3, 2022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大変勉強になりました。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まさ
5.0 out of 5 stars 神回のテキスト
Reviewed in Japan on July 10, 2023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この回に出演したNHKアナウンサーが思い立って退職し、医学部に進むきっかけとなった神回のテキスト。
1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アマゾンユーザー
3.0 out of 5 stars 現代社会に疲れた元一部上場企業会社員(現独身無職30代後半)の琴線に触れるか
Reviewed in Japan on May 8, 2022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100分de名著は好んで見ております。
「生きがいについて」も、kindle版の発売が終わったあとに番組を見て、わざわざ紙の本を買って読みました。
私は著者や解説者ほど感性や深い洞察に満ちた人間ではない、ごく"ふつう"の人間です。
むしろ健常者として現代社会に生きています。

世の中と会社に疲れて離職するタイミングで番組を見、本も読んでから3か月ほど経ちます。
抑圧されたマイノリティに寄り添う姿勢は尊敬に値しますが、他者へこのようなまなざしを向けられるのは、ある程度「持ち合わせている」人に限られるのではと強く思いました。

安月給でろくに休みもなく働いた末に心身を崩した無職の人間(離職後、転職に失敗して無職で公的資金の世話になって食いつないでいます)の琴線に触れるかというと、そんなことなかったです。

安全牌を手放さないようにうまく立ち居ふるまって生きるとか、面白くないことも我慢して安定したつまらない会社に居続けて"余裕"を持ってでしかたどり着く術がわからないほど不器用なアラフォー独身無職には、高潔すぎて久々に共感できないものでした。

レビューを見て惹かれていたのですが、自分で勝手に期待を上げすぎていたのもよくなかったのかもしれないです。
放送当時本書を見て職を辞し、晴れて医学生に転身したという担当アナウンサーがいるという"実例"に勝手に注目したのもよくなかったのかもしれません。

読んで「合わなかったな」と思う本って少ないのでこういう結論に至ったのは驚いていますが、結局「持ち合わせている」人である、そうなって然りといったことが大前提の本だと思いました。

本書が刊行された当時「いきがい」なる言葉が曲解されて流行語になったことに憤りを覚えたと番組で紹介されていましたが、そうなるよなと思いました。大衆の知性なんて、そんなものですよ。55年近く経つ今でも。

「持ち合わせている人」に対するただの嫉妬と羨望かもしれないことも認めたうえで、ちょっと書かせてもらいました。
29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transient
5.0 out of 5 stars 大きな悲しみは、人生の中で最も大きな幸せ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17, 2025
Format: Mook
100分 de 名著で紹介された、私にとって最も大切な著作の一つです。
地域での差別や仕事の引退、そして家族の病があり、喪失感と不安に陥っていた中で自分自身の中心と向き合え、そしてこれからのことを前向きに考えさせてくれる書物でした。
50代60代の方であれば、誰でも一度は通って大きな気づきが得られる書物では?…くらいに思っていましたがレビューを読んでいると必ずしもそうでは無いのだな…と、残念でした。
さて、若松氏の本書。そして放送回。これらは当然同じ書物、同じテーマを扱う内容ですが、
若松氏の執筆とスタジオでのトークという形態の違いから、取り扱う内容が少し違います。
本書も素晴らしいのですが、番組でしか聴けない島津さんの経験の話も素晴らしく、そして若松さんと伊集院さんの以下、テニスンの詩についての会話には(ある意味、とても過激な言葉なのですが)強烈に心をえぐり取られ、そして救われました。

(若松)愛する人を失うという経験は、自分の中にあった意識していなかった愛というものの発見だと思うのですよね。
我々は誰かが亡くなって悲しいと思いますでしょ?悲しいと思うことはその人のことを愛していたということなんです。悲しみを深めていくという経験は自分の愛したという経験を深めていくこと。
(伊集院)でもたまに、こ〜んなに別れが辛いんなら、好きにならなければ良かったって…言ってしまいがちじゃ無いですか?

(若松)『この人になんか会わない方がよかった。こんな悲しい思いをするのなら…』というのは、人生の中で最も大きな幸せじゃないですかね?

(伊集院)!!!そこまで悲しいということは…。それだけ大きなものを少なくとも持っていた…。
(若松)持っていたし、大きなものを作り上げたということじゃないでしょうかね。
そんなに誇り高いことは僕は無いと思いますけどね?

再放送やこちらprimeのNHKを契約されていましたら是非観ていただければと思います。
5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スカラベ
5.0 out of 5 stars  どこでも一寸切れば私の生血がほとばしり出すような文字、そんな文字で書きたい。
Reviewed in Japan on May 4, 2018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舌読」という言葉を始めて知った。ハンセン病はしばしば視力を奪う。
だから見えない人は、点字を用いる。でも悪いことに、ハンセン病はときに、
指をも奪う。そうした人は点字を唇と舌にあてて読むしかない。点字の凹凸は
固く、やわらかな口唇と舌を傷つける。口中血にまみれながら本を読むのである。
ここまでして読むのは自分のためだけではない。読むことのできない友に語って
聞かせるためだ。それが彼らの「生きがい」なのである。

 神谷美恵子(1914-1979)。瀬戸内海に浮かぶ長島の愛生園の初代精神科医長。
解説の若松英輔氏は100分de名著ではおなじみだ。この本で若松氏は方程式

   (神谷美恵子、『生きがいについて』、ハンセン病)
  =(石牟礼道子、『苦界浄土ーわが水俣病』、水俣病)

を提示して、このお二人の立ち位置を教えてくれる。これらの著作は、
ハンセン病患者・水俣病患者との出会いが出発点であるが、生きることの苦しみと
いう観点ではすべての人に共通なテーマを扱っている。お二人ともこれらの著作を
「自分の」著作だとは思っていない。彼女たちは「同志=患者」たちに学び、
教えられ、一緒になって書いたと考えている。

 この解説書を読むと、神谷美恵子には、新渡戸稲造と内村鑑三という日本独自な
キリスト者の精神が父前田多門(戦後初の文部大臣)を通して流れ込んでいる
ようだ。それも既成宗教や宗派の枠にとらわれず宗教を原点に帰って捉える精神、
つまり美も愛も認識も「宗教」に包まれるようなやわらかで普遍的なこころの
ありかた、といったもので捉える。

 神谷美恵子は多くのことをこの本で語っているが、私の最も印象に
残ったことばは、

 ・・人は何かにつまづいて、はじめてその障害物の所在を知る。
  私のしごとはそんなものにすぎなくてもいいのではないか。・・

障害物から人を救おうと声高に叫んでいるわけでもない。謙虚にただ寄り添う。
言葉はいらないかもしれない。なぐさめる為には言葉よりも沈黙のほうが
勝っている場合もあるから。
                          
9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カスタマー
4.0 out of 5 stars 一つ疑問点
Reviewed in Japan on May 31, 2018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共鳴できる点も多いですが、一つ疑問点があります。
 若松さんは第1回の番組の中で、「使命感の罠」(p.30)について、ヒトラーの使命感は「自分のために誰かを使う」ものだったかのような言い方をしていましたが、ヒトラーも動機的には「人類のため」という動機で行動していたと思います。「人を使う」のは目的達成の手段であって、目的自体は「人類のため」です。自分のためにした部分もあるかもしれませんが、全体としては、「世の中全体のため」という動機でやっていたと思います。悪人と見なされた人は動機も何もかも悪く解釈される傾向がありますが、ヒトラーの問題点は、彼が目標とした理想社会の内容とその基礎にある思想、および、その理想社会を実現する方法にあっただけで、動機自体は利己的なものではなく、「世の中全体のため」という動機でやっていました。日本の青年将校によるクーデターなども同じです。これらの事例は、「動機の正しさや純粋さ」だけではダメで、目標やその基礎にある思想内容の十分な吟味が重要であることを示しています。
 急進的な理想主義者が独裁化しやすい理由は、理想実現への熱意が強いため、ゆっくり世論や周囲を説得するのがまどろっこしいからで、権力自体は目的達成の手段であって目的ではありません。自分のしていることを「使命」ととらえることの問題点は、神谷さんが
「ある使命感が精神医学でいう「過価観念」となって視野をせまくし、反省機能をにぶらせることもある」
(「二 生きがいを感じる心」の終わりのあたり、本書p.30の引用箇所の2つ目の「中略」部分に相当)
と述べているように、自分の考えを絶対化し過ぎて、再検討する姿勢がなくなる場合があるということにあります。使命感は良い方向でも悪い方向でも人間を強くしますが、悪い方向だからと言って動機が利己的とは限りません。もし動機に利己的な要素が増え過ぎた場合、それは使命感からの逸脱であって、使命感自体の問題ではありません。使命感自体の問題点は、自分の考えを再検討する姿勢が不足することにあります。ヒトラーにはこの傾向が顕著に見られましたが、動機自体は「人類のため」という動機でやっていたと思います。
2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片岡義忠
5.0 out of 5 stars 迅速に対応して頂き感謝しています。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10, 2022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大変 気に入りました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mt
3.0 out of 5 stars 今一つ、迫ってこない。
Reviewed in Japan on June 3, 2022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原作が凄すぎるせいなのか、周辺を迂回しているような印象。
若松英輔さんの解説なのでレベルは高いと思うのですが、今一つ迫ってきませんでした。
本書は特に読む必要はないかも。原作こそ、必ず読んでほしい。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べこちゃん
2.0 out of 5 stars 中身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26, 2023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解説書とは思わなかった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From Japan

koichi
4.0 out of 5 stars 入門
Reviewed in Japan on August 1, 2018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神谷美恵子さんの著作はぼく自身は読んだことがありませんでしたが
この本で興味をもちました。現代における意義なども書いてあり
全体的にも公平な記述だと思いました。
8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ぱすと〜る
5.0 out of 5 stars 自分の外にあるものに、開かれ、つながる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21, 2020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人から称賛され、自分も満足できる地位に就く。多くの財産を手に入れる。神谷美恵子さんや若松英輔さんが語る「生きがい」とは、そのようなものではありません。

 この本を読んで、生きがいとはぼくの外とのつながりのこと、だと思いました。そして、ぼくの外にあるものとは、すなわち、ぼくの外とは、ぼく以外の人びとであり、自然であり、神のことです。神は世界の根源とも永遠とも言ってよいでしょう。このような外とのつながり、ぼくが独りで生きているのではないことこそが、生きがいだと考えました。

 「野に一輪の花を見るように、また、さえずる鳥の音を全身で引き受けようとするときのように、私たちが隣人の言葉と向き合うとき、眠れる『生きがい』が何ものかによって照らし出される」(p.6)。

 若松さんのこの一節はイエスの「空の鳥を見よ、野の花を見よ」という言葉と響き合います。イエスは鳥と花の一番深いところに神を見たのでした。そうすると、上の若松さんの言葉には、隣人としての自分以外の人びと、花鳥という自然、そして、神が詠まれていると言ってもよいでしょう。

 さらに、「隣人の言葉」とあります。言葉もまたわたしたちの外にあります。言葉とつながることも生きがいです。言葉はわたしたちの中にもありますが、それが中にとどまらず、外の言葉と触れあい共振するとき、生きがいになる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

 この十年ほど若松さんの言葉を読むことがぼくの生きがいになっています。というか、そこで、永遠を求めたり垣間見たり触れたりした人びとと出会いぼくもその仲間になることに生きがいを覚えています。
1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山盛 登代子
4.0 out of 5 stars なつかしい!
Reviewed in Japan on June 6, 2018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友人が昔教えてくれた神谷さんを取り上げていたので、嬉しくなってテキストを購入しました。定年後に読んでこの年だからわかった内容でした。
1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メンタルタル
2.0 out of 5 stars 微妙
Reviewed in Japan on May 10, 2022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いきなりこれを読むより、「生きがいについて」を先に読んでからの方がいいかもしれません。あまり頭に入ってこなかった。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Amazon カスタマー
5.0 out of 5 stars NHKのこの番組が大好きです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18, 2021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NHKのこの番組が大好きです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yurikago1124
5.0 out of 5 stars 読みやすかったです。
Reviewed in Japan on May 30, 2021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神谷美恵子さんの本は、若いころから気になっていたのですが、なんだか読む機会を逸していました。初めてこの解説書を拝読して、どんな方だったのか、概要がわかりやすくて、読みやすかったです。『生きがいについて』の原本も、機会があったら拝読したくなりました。とても真摯に物事を考え、取り組んで真剣に、真面目に生きることと向き合っていらした方なのだな…と感じました。自分は今、53歳なのですが、この歳でこの本に出逢えて良かったです。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きみやん
5.0 out of 5 stars 本物のインテリ
Reviewed in Japan on June 11, 2021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ハンセン病について読んでいくうちに神谷さんのことを知りました。美智子上皇の相談相手にもなっていらっしゃるようです。ただ頭がいいだけの「インチキゲンチャ」はたくさんいますが、学問と人間性とが合わさっている人は少ないものです。ハンセン病では、井深八重さんのことも知りました。人間の生き方や品性は、本当に様々ですね。少しでも見習いたいものです。「ごぎぶりに道徳を説くようなもの」と悪口を言われないように。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douzen
5.0 out of 5 stars ガイダンスとして全体像理解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12, 2020
Format: MookVerified Purchase
神谷美恵子のガイダンスとして、良かった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マルゴMargot
5.0 out of 5 stars 人それぞれの「生きがい」、その根源と尊厳と
Reviewed in Japan on May 30, 2018
Format: Mook
失望が絶望と変わり、眼前がモノクロの世界から蘇生しない時に、
生きる活力を与えてくれた二人の精神科医、V.E.フランクルViktor Emil Franklと神谷美恵子Emiko Kamiya。
死してなお職業能力の高さを有する二人は、精神科医の使命を教え体感させてくれた。
このテキストは、名著と共に、
深い思索、まさに「深き淵よりDe Profundis」の思索の書。

神谷美恵子女史は、尊父前田多門氏が師事した内村鑑三氏による無教会主義キリスト教の影響を受けている。
それゆえ、どこかの宗教に帰依や属することが苦手でありながら、
亡き実父の日常供養に思惟を重ねた私にも共感と賛同、そして共鳴できる
宗教観とその定義が提示され、源流の内村鑑三にまで関心を寄せた。
“宗教とは「普遍的な心のありかた、人間にふさわしい人生観」だと神谷は考えるようになる。
(中略)
 そのような精神化された宗教、内面的な宗教は必ずしも既成宗教の形態ち必然的な関係はなく
むしろ宗教という形をとる以前の心のありかたを意味するのではなないかと思われる。
結局、宗教的な世界というものは表現困難なもので、
一定の教義や社会的慣用の形では到底はあらわせぬもの、
固定されえぬ生きたものであるからである。(『生きがいについて』からの抜粋部分)”
(第4回,p.128より)

“「待つ」ことは新しいものを生み出す、どうしても欠くことのできない営み”(第1回放送より)
約8年間に渉る、息子の不登校とその後遺症の看護において、失うことのほうが多かった結果に直面し、
これで良かったのだろうかと、徒労感と理不尽から来る絶望を払拭できずにいた時に出会った言葉。
容態に見通しがつきにくいとき、本当に安堵した言葉である。
経験則から、待つより他ないと分っていても、見直しをかけたくなり、回復期の処置に迷うからである。

若松英輔氏は、慶應義塾大学文学部仏文科卒業、三田文学編集長歴任(13年10月~15年12月)。
永井荷風を主幹に創刊された三田文学は慶應義塾大学文学部を中心に刊行されてきた文芸雑誌。
つまり、名門を体現しているお人である。
この人なくして、批評とはどういうものか真に知らずに、年月を経ることが続いたかもしれないと感じた程、
職業の専門性の精確さを知り得た批評家。端的に言えば、読書の功徳が倍加するのである。
抜粋した文章を基に読み解き解説していく批評家の文章に、文学に於けると言っても差し支えないか、
作家を上回る造詣の深さと広さを感じた。
一冊の書物を読み進める際に、行間や背景になんと多くの人々が関わり、
一文一文にその豊功が包含されていることか、
欄外の解説をも丁寧に読みながら回を重ねた良書である。

不登校の要因を、意識化や言語化が出来ずに苦しんだ不登校児童生徒に、
心からの共感と支持を表明して。
2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Amazon カスタマー
5.0 out of 5 stars 導入に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14, 2018
Verified Purchase
「100分de名著」は導入用にkindleで安く購入して、いつでも読めるようにしています。元の本もこれが読み終わったら読むつもりです。こんなkindleの使い方が一番いいかなと思います。
10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
Commander Cody
5.0 out of 5 stars 名著への扉が開く
Reviewed in Japan on May 27, 2018
Verified Purchase
「生きがいについて」は、ずっと前から気にはなっていたが、積読になっていた書籍でした。Eテレの番組も素晴らしかったですが、本書を読んでじっくり原典にあたってみようと思う踏ん切りがつきました。
15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鹿野苑
2.0 out of 5 stars 原典が見えない
Reviewed in Japan on December 23, 2023
Format: Mook
若松氏の100分de名著は2冊目なのだけど、今回も原典が見えない。
どうも若松氏の想いが先に出ている。ということで原典を読む。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ringmoo
5.0 out of 5 stars 生きがい=自己目標+使命感
Reviewed in Japan on May 15, 2018
Format: Mook
NHKEテレで放送されている「100分de名著」は、毎週見ている楽しみにしている番組です。
しかし、「神谷恵美子」「生きがいについて」と言う予告があった時、作者も著作も全く知らず驚きました。
この作品が出版された時は、1966年で中学生時でしたので、ベストセラーになっていれば、それなりに名前くらいは知っていてもいいと思うのですが・・・。
この作品は、タイトル通り「生きがい」について書かれた本なのですが、非常に哲学的な部分もあるのですが、作者の自叙伝の様でもあるようです。
著作をまだ読んでいないので、はっきりと言えるわけではないのですが、この本の中の引用文からすると、どうも個々の逸話が沢山入っているようです。
いずれにしても、「いきがい」をどう持って生きてゆくか?と言うテーマ自体は変わりません。
「いきがい」について、「人間、言葉、自然を通じ、大いなるものの声を聞き、「生きがい」と出会う」。
そして、「過ち多き存在のままで、大いなるものに受け入れられる」と語られます。
更には、これに「使命感」と言うことまでも言及されます。
「どういうひとが一ばん生きがいを感じる人種であろうか。」と問いながら、「自己の生存目標をはっきり自覚し、自分の生きている必要を確認し、その目標にむかって全力をそそしで歩いているひと-いいかえれば使命感に生きるひとではないであろうか。」としています。
その他にも、「生きがい」の消滅、再生などについても書かれます。
ただ、私自身が一番強く胸を打たれたのは、疎外されたらいの収容所の人たちの活動や、詩などの創作活動の力強い活動の数々です。
どんなに疎外されても、「生きがい」を持つことは出来ると言うことを改めて確認しました。
35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三島一郎
5.0 out of 5 stars 道を求め続けた神谷
Reviewed in Japan on June 21, 2018
 自らを見つめ、病者を見つめ、変革体験を求め、精神化された宗教に開かれ、人々の中の私であることを追求していく。
 これらの働きを他律的な生き方の中で神谷は実践した。
 それは、超越的存在のちからによってだけでなく、仲間や隣人や、自分が全く気付かぬところで助けてくれている人によってかも知れない。
 そうした日常に「生きがい」への道が眠っていると、神谷は考え、そこに自らの身を投げ出した。
11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神谷美恵子: いのちのよろこび (人生のエッセイ) : 神谷 美恵子: Japanese Books

Amazon.co.jp: 神谷美恵子: いのちのよろこび (人生のエッセイ) : 神谷 美恵子: Japanese Books

Paperback
from ¥1,688
Other Used and New from ¥1,688



神谷美恵子: いのちのよろこび (人生のエッセイ) Tankobon Hardcover – January 1, 2000
by 神谷 美恵子 (Author)
4.8 4.8 out of 5 stars (7)

===
From Japan

Amazon カスタマー
5.0 out of 5 stars とても素晴らしい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18, 2021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とても素晴らしい感動いたしました。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さくら
4.0 out of 5 stars 神谷美恵子の入門書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1, 2013
Format: Paperback
神谷美恵子さんが書いたエッセイ、講演などから、
主に人生をテーマとしたものを集め、まとめられた本。

目次
'T、私の人生(NHKラジオ講演)1976年
   亡父前田多門を語る
'U、女性の生き方について(女子高校生のための講演)1971年
   主婦の生きがい1970年
'V、人と仕事(看護学生への講演)1971年
   生きがいについて
'W、命の喜び〜生きがいを求めて 1970年   
   存在の重み 1971年

「私たちはいろんな条件が重なって生かされている」と語る著者。
同じ病気(結核)で死んだ人がたくさんいるのに、どうして自分だけが治ったのかと
考えずにはいられなかったという。

「他人に生きがいを与えられる人になる」
押しつけではなく、自分の心から自然に流れていくような存在になる必要がある。

誰かのさりげない微笑みが、人を励まし、生きがいを感じさせてくれる。
人間とはこうした小さなことで毎日お互いに生きがいを与えあい、
支えあっている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

年がら年中、人のためになる行動をしなくてもいいと思います。
時には「何かのために」という目的行動をすっかり離れて、
自分の心を休ませ、楽しませる方法を持つとよいと思うのです。

そうして生きる喜び、生きる楽しみを味わったならば、
その心を携えて、現実の世界に戻って来ましょう。

生きがいを感じやすい心とは、謙虚な心、感謝を知る心
を持つことだろうと思われます。

人間の心は絶えず生きがいを感じるようには出来ていないので、
一生のうち何度か「生きていてよかったなぁ」と感じる瞬間があれば
有難いとすべきでしょう。

「生きがい」という言葉は、日本語にしかない表現だそうです。

自分の生き方が、他者にとっても役立つものでありたいと願う。

この人生を「有難い」という気持ちで生きておれば、たとえ人の脚光を
浴びることがなくても、その人自身が生きがいを感じ、周りの人にも
生きがいを与えることが出来るものなのです。

心が敏感であれば、何でもない所に生きがいを感じることが出来るでしょう。

精神科医の立場から、人の心の世界をよく知った上で生きがいについて
書かれた本。ハンセン病患者との関わりや自身の病気を通して思ったことなどが
ベースになっているようです。

著者の他の本に比べると、字も大きく、簡単に書かれているので、
読みやすく分かりやすい本です。
8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陽くん
5.0 out of 5 stars 素敵な死後の世界 千の風になって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2, 2013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159頁) 『素敵な死後の世界』 観を、神谷 美恵子博士は語っておられる。 岡山県瀬戸内市 邑久(おく)町、 国立療養所 長島愛生園の万霊山で哲学思考されている。今はなき人々のことを。――― 人間は肉体死後 自然の要素、元素にかえってしまっても、なおも 『人間の生命』そのものは 決して無に帰したわけではないのだ。人間は『生命』である。眼前のみ空をあおげ。あの大きな空の 千の数ほどのヒツジ雲。「彼らは光明を投げかけてくれる」 彼らは 「たましいの霊格が高い」のだ。 彼らは『千の風』になって あの大きな空を、空高く 吹きわたっているのだ。 想いはるかに。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Need customer service?
‹ See all details for 神谷美恵子: い
===
카미야 미에코 : 생명의 요로코비 (인생의 에세이)

Amazon 고객
5.0 out of 5 stars 매우 훌륭함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18, 2021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매우 멋진 감동했습니다.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사쿠라
4.0 out of 5 stars 카미야 미에코의 입문서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1, 2013
Format: Paperback
가미야 미에코씨가 쓴 에세이, 강연 등으로부터,
주로 인생을 테마로 한 것을 모아, 정리된 책.

목차
'T, 나의 인생(NHK 라디오 강연) 1976년 망부 마에다 다문을
   말하는
'U, 여성의 삶 방법에 대해(여고생을    위한 강연
   ) 1970년      존재의 가중치 1971년 「우리는 여러 조건이 겹쳐 살려지고 있다」라고 말하는 저자. 같은 병(결핵)으로 죽은 사람이 많이 있는데, 왜 자신만이 낫았는지 생각하지 않아도 되지 않았다고 한다. ‘다른 사람에게 살아가는 사람이 된다’ 억지 가 아니라 자신의 마음에서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존재가 될 필요가 있다. 누군가의 자연스러운 미소가 사람을 격려하고 생생함을 느끼게 해준다. 인간과는 이런 작은 일로 매일 서로 생명을 주고, 지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나이가 들면 연중, 사람을 위해서 되는 행동을 하지 않아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때로는 '무언가를 위해서'라는 목적 행동을 완전히 벗어나 자신의 마음을 쉬고 즐겁게 하는 방법을 가지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사는 기쁨, 사는 즐거움을 맛본다면 그 마음을 가지고 현실의 세계로 돌아옵시다. 생명을 느끼기 쉬운 마음이란 겸손한 마음, 감사를 아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인간의 마음은 끊임없이 생명을 느끼게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생 중 몇번이나 「살아서 좋았다」라고 느끼는 순간이 있으면 고맙다고 해야 할 것입니다. "생명"이라는 말은 일본어밖에 없는 표현이라고 합니다. 자신의 삶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 인생을 '고맙다'는 마음으로 살아 있으면, 비록 사람의 각광을 받는 일이 없어도, 그 사람 자신이 생명을 느끼고, 주위의 사람에게도 생명을 줄 수 있는 것입니다. 마음이 민감하다면, 아무것도 없는 곳에 살기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정신과 의사의 입장에서 사람의 마음의 세계를 잘 알고 살아있는 것에 대해 쓰여진 책. 한센병 환자와의 관계나 자신의 병을 통해서 생각한 것 등이 베이스가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저자의 다른 책에 비해, 글자도 크고, 간단하게 쓰여져 있으므로, 읽기 쉽고 알기 쉬운 책입니다.
















人間をみつめて (河出文庫) : 神谷 美恵子: Japanese Books

Amazon.co.jp: 人間をみつめて (河出文庫) : 神谷 美恵子: Japanese Books

¥891
Amazon Points: 27pt  (3%)  See details
¥1877 delivery Friday, October 10. Details











人間をみつめて (河出文庫) Paperback Bunko – June 6, 2025
by 神谷 美恵子 (Author)
4.3 4.3 out of 5 stars (50)

『こころの旅』などと並ぶ、ハンセン病治療につくした精神科医の、代表作新書判の初文庫。弱きもの・人間についての思索の記録。




==


==


==

若き日の日記 新装版 : 神谷 美恵子: Japanese Books

Amazon.co.jp: 若き日の日記 新装版 : 神谷 美恵子: Japanese Books






若き日の日記 新装版 Tankobon Hardcover – October 11, 2014
by 神谷 美恵子 (Author)
5.0 5.0 out of 5 stars (1)


神谷美恵子(1914-1979)の医学修行時代から東京大学精神科入局初期の日記。
1942年4月から1945年12月まで、戦時下と敗戦直後の激動のなか、「うつわの歌」などの詩、
および文学の創作への思いと、その後の長島愛生園での診療にいたる医学へのこころざしについて、
相克しながらも高めあう可能性への模索が書きとめられている。また、「ひとに奉仕したい自分」と
「自己主張を叫びつづける自分」、書物を通じての精神世界への志向、人間関係の細やかな描写など、
「切れば血の出るような文章を書きたい」という著者のことばそのままに、内面世界をぎりぎりのところまで映し出す。

『生きがいについて』(1966年刊)につながる思索もうかがえ、最晩年の「スイスものがたり」
「ペンドル・ヒル学寮の話」執筆を始めたことも記されている。「見たところは御所人形のようで、
なかは生れたばかりの野うさぎのよう」な著者の魂の躍動と確かな知性から、
いきいきとした姿が浮びあがる日記を新装版でお届けする。
[初版1984年12月発行]

==
うさぎ
5.0 out of 5 stars 気品あふれる日記です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6,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医学と文学の間で揺れ動く筆者の心の動きが瑞々しく描かれています。
外国語、文学、音楽など芸術の素養にあふれた神谷美恵子さんは、子供のころから憧れのの存在でした。
文庫になっている「神谷美恵子日記」よりもこちらの日記の方がいいと思います。
7 people found this helpful
==
慢性痛カウンセリングオフィス
5.0 out of 5 stars 生々しい生の軌跡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29, 2009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若き日の日記』

さまざまな精神的な多様性と矛盾をかかえた知性の持ち主。
その彼女の日々の生々しい思考と苦悩の軌跡が、読めます。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