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를 연찬하다 - 전환과 통합을 위한 지혜의 서(書)
이남곡 (지은이)모시는사람들2025-11-20






























미리보기
책소개
『논어』를 단지 해설하거나 풀이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함께 읽고 질문하고 서로의 삶을 비추며 “연찬(硏鑽)”하는 과정을 통해 공자의 사상을 지금-여기, 우리 시대의 언어와 현실 속으로 되살려 내는 책이다.
강의도 주석도 아닌, ‘집단적 사유 실험’이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논어 이해의 전통 방식과 다른 길을 연다. 연찬은 ‘앎’의 확장이 아니라 ‘삶’의 변화를 추구하는 공부 방식이며, 공자의 가르침을 머리가 아니라 태도·실천·관계 속에서 되살리는 ‘철학하기’이다. 저자는 ‘성리학’이 오손(汚損)한 논어의 본래 면목을 회복함으로써 민주주의와 문명전환의 관점에서 인간을 다시 사유하며, 특히 오늘 한국 사회가 겪는 분열·증오·편가름의 시대에서 “난(亂)이 아니라 혁명(革命), 미움이 아니라 인(仁)”이라는 철학적 전환의 길을 제시한다.
따라서 『논어를 연찬하다』는 고전을 새롭게 읽는 책이 아니라, 고전을 함께 “살아내는” 새로운 배움의 책이며, 동시에 숨어 있던 공자의 본령을 ‘연찬’이라는 방식으로 복권해 현대적 지혜로 확장한 실천적 인문서다.
목차
1편 학이(學而)
칼럼: 교육혁명을 위하여
칼럼: 난(亂)을 넘어 혁명(革命)으로
칼럼: 1 단순 소박한 삶은 우리 모두의 생존과 행복의 길
칼럼: 2 자본의 인문학과 노동의 인문학의 만남에 대하여
칼럼: 시진핑 주석에게 드리는 글(1)
제2편 위정(爲政)
칼럼: 인정이 흐르는 따뜻한 세상을 위하여
칼럼: 보통사람들의 성인화(聖人化)의 시대를 향하여
칼럼: 자기와 다른 생각을 어떻게 대하는 것이 모두에게 이로울까?
제3편 팔일(八佾)
칼럼: 천제(天祭)를 숙고(熟考)하다
제4편 이인(里仁)
칼럼: 단정(斷定)하지 않고 정의를 추구한다
칼럼: 충(忠)과 서(恕), 자아실현과 상생의 길
제5편 공야장(公冶長)
칼럼: 불념구악 이직보원의 길
제6편 옹야(壅也)
칼럼: 탐진치 삼독에서 벗어나는 길
칼럼: 인재(人材) 유감
칼럼: 중도의 전략과 생명선
칼럼: 박시제중(博施濟衆)이 최고의 인(仁), 대동세상을 위하여
제7편 술이(述而)
제8편 태백(泰伯)
제9편 자한(子罕)
칼럼: 숭고(崇高) 지향은 인간의 2차 본능이다
칼럼: 배움(學)의 의미에 대하여
제10편 향당(鄕黨)
제11편 선진(先進)
제12편 안연(顔淵)
칼럼: 시진핑 주석에게 드리는 글(2)
제13편 자로(子路)
칼럼: 시진핑 주석에게 드리는 글(3)
제14편 헌문(憲問)
칼럼: 춘추오패
제15편 위령공(衛靈公)
제16편 계씨(季氏)
제17편 양화(陽貨)
제18편 미자(微子)
제19편 자장(子張)
제20편 요왈(堯曰)
논어 강독을 마치면서
자료집 서문
『화쟁 논어』 : 연약한 공자, 유연한 유학 / 조성환
접기
책속에서
P. 600 공자 시대의 덕치(德治)는 제왕(帝王)의 길, 치자(治者)의 도(道)일지 모르지만, 치자와 피치자의 동질성을 바탕으로 하는 민주주의 제도에서 보면 결국 자율(自律)과 자치(自治)의 길이 아닐까 한다. 아무리 제도를 마련해도 자율(自律)할 수 있는 사람이 준비되지 않으면 실제로 자율 사회로 나갈 수 없고 오히려 여러 가지 제도와 의식의 부조화로 부작용들이 나타나기 쉽다. 지금의 실정을 보면 제도에 비해 사람의 의식이 뒤처지는 불균형이 현저하다. 이 불균형을 시정하는 것이 이상정치 실현의 중심 주제로 보인다. 제도도 계속 발전시켜 가야 하겠지만 ‘자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진보해 가는 것이 더욱 근본적인 주제가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접기
P. 101 자기와 다른 생각은 공격의 대상인가? 함께 검토할 대상인가? 물론 치열하게 검토하는 과정이 싸우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공격’과 ‘검토’는 그 바탕이 다르다. 지금 우리 현실과 겹쳐 보인다. 검토의 대상이 될 때라야 과학적이고 현실적으로 실사구시(實事求是)할 수 있고, 그렇게 될 때라야 비로소 ‘구동존이(求同存異)’하는 합의와 화합의 정치가 가능하다. 코로나나 기후 위기 등을 겪으면서 우리는 어쩔 수 없는 공동운명체라고 말들은 너나없이 하면서, 실제로는 서로 상대를 향해 분노와 증오의 칼을 갈고 있다면 우리가 어떻게 살아남아 보다 번영된 삶을 기약할 수 있겠는가? 폭력으로 치닫기 전에 이 상태를 벗어나는 것이 가장 절박한 과제로 보인다. 접기
P. 180 중요한 것은 지금 판단하는 것이 다음 시대에 어떻게 생각될 것인가이다. 다음 시대에 오늘 판단한 것이 잘못으로 된다면 그것은 보편성이 결여된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제한된 시공 속에 살고 있기 때문에 지금 시점에서 판단할 수밖에 없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추구하는 목표에는 어떤 보편적인 ‘기준’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과거사뿐 아니다. 지금처럼 악성(惡性) 편가름이 사회와 나라의 발목을 잡고 있는 현상을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 악성(惡性)이라는 것은 ‘내로남불’로 자기편을 합리화하고 상대방을 악마화하며, 이미 과녁이 사라졌거나 변한 목표들(적화 야욕으로부터 국가 보호, 검찰 독재로부터 민주화 등)을 큰 깃발로 들어 올리며 상대를 공격하는 것으로 자기편의 결속을 도모하는 관념과 정서의 조작이 기승을 부리는 것이다. 접기
P. 261 가장 낙관적인 희망을 이야기하고 싶다. 자본주의를 통과하면서 물질적 생산력이 높아지고, 자유민주주의를 통해 개인의 자유가 확장되고, 사회민주주의를 통하여 공동체의 평등과 보편복지가 진척될 수 있는 지금이야말로 서로 양보하고 싶어지는 ‘양(讓)’과 강제가 아닌 자율적 질서인 ‘예(禮)’에 의한 정치 질서를 실제로 그려볼 수 있지 않을까? 지금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포월(包越)하는 의식(意識)과 생활양식, 그리고 제도와 예술이 이 땅에서 발화(發花)하기를 바라는 것은 이 땅에 태어나서 운명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함께 꾸는 꿈이 아닐까 한다. 접기
P. 336 우리 시대 정치가의 모델은 그 자신의 자질에도 달려 있겠지만, 새로운 정치를 지향하는 흐름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산업화나 민주화 시대의 일꾼들을 함께 품을 수 있는 정치로 발전하는 것이 우리가 산적한 내외의 문제를 풀어가면서, 21세기 새로운 문명을 선도하는 국가로 진화할 수 있는 물꼬를 트는 것이 아닐까? 먼저 우리 내부에 그런 힘이 생긴다면 해양 세력과 대륙 세력을 함께 품을 수 있는 광대한 전망, 즉 ‘The Next Peninsula(문명의 새로운 중심)’의 꿈을 꿀 수 있을 것이다. 공자가 당시의 최고 담론과 최고 도덕의 체현자로 주공(周公)을 창조(?)함으로써 그가 이상으로 한 정치의 구체적인 상(像)을 정립한 것을 다만 옛날 일로 치부할 것인가? 논어의 이 장을 보면서 드는 생각이다. 접기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이남곡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본명 이계천.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뒤, 1970년 농촌 지역 교사로 출발하여 8년간 ‘교육실천연구회’에서 활동했으며, 1980년대 ‘새로운 인간, 새로운 사회, 새로운 문명’에 대해 사상 이념적으로 모색했다. 불교사회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1994년부터 8년간 무소유 사회의 실험에 동참했다. 2004년부터 전북 장수에 정착하여 연찬문화연구소 이사장으로 논어를 연찬하는 등 다방면의 인문운동을 전개했다. 21세기 새로운 문명이 이 땅에서 발화하기를 꿈꾸는 인문운동가로 현재는 익산에 거주하고 있다.
저서로는 『진보를 연찬하다』, 『논어-삶에서 실천하는 고전의 지혜』, 『합작과 연정은 시대정신이다』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논어를 연찬하다>,<우리가 살고 싶은 나라>,<논어, 삶에서 실천하는 고전의 지혜> … 총 8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연찬은 고전을 다시 배우게 하는 방식이 아니라,
고전을 통해 ‘나 자신’을 다시 배우게 하는 방식이다.”
『논어를 연찬하다』는 과거로의 회귀가 아니라, 미래 윤리의 예비 작업이며,
분열의 시대에 공동체를 다시 세우는 사상적 출구다.
그래서 이 책은 ‘논어에 대한 책’이 아니라
논어와 더불어 다시 인간을 배우는 책이다.
“왜 지금 다시 공자인가 - 관계의 철학자” ― 한국 사회의 균열 앞에서 시작된 질문
오늘의 한국 사회는 극단적 분열, 혐오의 일상화, 정치의 적대화, 소통의 파괴라는 깊은 균열을 겪고 있다. 그리고 이 균열은 단순히 제도의 문제나 정치 전략의 실패가 아니라 ‘관계 윤리’의 붕괴에서 비롯되었다. 저자 이남곡은 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사상적 토대가 지금 우리 곁에 “이미 있었으나 다시 읽히지 못한 철학”이라 말하며 『논어』를 다시 꺼내 든다. 이 책이 주목받는 이유는 공자를 “도덕의 스승”이 아니라 “관계의 철학자”로 복권시키기 때문이다. “논어는 과거의 책이 아니라, 분열된 사회가 다시 서로를 ‘사람’으로 만나는 방식을 가르치는 다가올 윤리”, 이 선언이 곧 이 책의 출발점이다.
‘가르침’이 아닌 ‘함께 사유하기’ ― 연찬이라는 공부법의 복권
『논어를 연찬하다』는 고전 해설서나 주석집이 아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장은 ‘연찬(硏鑽)’이라는 학습법으로부터 나온다. 연찬은 누가 해답을 주고 나머지가 받아 적는 방식이 아니라, 여럿이 함께 묻고, 듣고, 응답하며 서로의 사유를 통해 자신을 다시 다듬는 과정이다. 공부가 머리에 머무르지 않고 관계 속에서 실시간으로 검증되고 변화되는 형식이다. 저자는 이 방식을 “배움의 민주주의”라고 부른다. 억지 설득이 아니라 함께 생각하며 길어 올리는 합생적 지혜, 이것이 이 책이 제안하는 공부의 전환점이다.
“성리학이 가려놓은 공자의 원본을 복원한다”
한국의 전통 교육 속에서 공자는 끊임없이 호출되어 왔지만, 실제로는 ‘성리학’이라는 필터 위에 덧씌워진 채 읽혀 왔다. 그 결과 공자의 철학은 삶의 철학이 아니라 규범의 교본으로 협애화되었다. 이 책은 바로 그 왜곡을 정면으로 비판한다. 공자의 사유는 원래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 이해이며, 타인을 통해 자신을 다시 세우는 ‘인(仁)’의 철학이다. “연찬”이 그 본령을 복원하는 최적의 방식인 이유는, 공자의 철학이 애초부터 혼자가 아니라 함께 배우는 공부였기 때문이다.
저자의 실존 ― ‘변혁운동의 한계’에서 ‘공부의 전환’으로
저자 이남곡은 학문적 연구자보다는 실천가에 가깝다. 1980년대 변혁운동에 직접 몸담았던 그는, 제도 혁신만으로는 인간이 변하지 않는다는 구조적 한계를 현장에서 목격했다. 이 경험이 그를 “운동의 변혁 자체를 다시 생각하는 길”로 안내했다. 이후 무소유 공동체 야마기시 운동의 8년 체류 속에서 그는 ‘함께 사유하고 함께 살아보는 방식’을 체득하게 되었고, 그 공부법이 공자 사상의 내면 구조와 정확히 맞닿아 있음을 발견한다. 연찬은 이론적 도입이 아니라 삶이 검증한 공부법이다.
이 책은 ‘논어 연구서’가 아니라 ‘동시대의 윤리 재건 프로젝트’다
『논어를 연찬하다』는 고전을 다시 해석하려는 책이 아니다. 그것은 문명적 해법을 다시 꺼내는 책이다. 팬데믹 이후 다시 심화된 단절감, 정치적 내전으로 치닫는 혐오 구조, “나만 옳다”는 폐쇄적 인식의 팽배, 저자는 이것을 철학 없는 정치, 관계의 윤리 부재에서 비롯된 결과로 진단한다. 이 책에서 논어는 과거를 복원하는 작업이 아니라, 한국 사회가 다시 공동체로 회복되기 위한 인문적 기반이 된다. 따라서 이 책은 철학서가 아니라, 사상적 치유이며, 동시에 시대를 건너갈 인간학의 재건 작업이다.
왜 지금 ‘한국’인가 ― 논어가 다시 태어날 수 있는 문명적 조건
저자는 “공자가 다시 살아날 수 있는 곳은 ‘동아시아 어디에서나’가 아니라, ‘지금의 한국’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말한다. 한국 사회가 단순히 유교 전통을 가진 나라라서가 아니다. 산업화와 민주화를 모두 경험했고, 시민적 각성과 정치적 실험을 반복해 온 드문 사회이며, 동시에 그 성취를 ‘혐오’와 ‘대립’으로 소모하는 문명적 경계 위에 서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곧 새로운 길을 창안하지 못하면 파국으로 흐르고, 반대로 새로운 윤리를 확립하면 세계적 모범이 될 수 있는 “역설적 조건”이다. 저자는 이 책이 한국 사회의 위기를 단지 비판·경고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상 자원으로 전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논어는 ‘한국이 다시 세계에 기여할 수 있는 사상적 토대’로 복귀한다.
중도(中道) ― 타협이 아니라 역동적 균형의 철학
이 책이 던지는 또 하나의 강력한 문제의식은 ‘중도’의 재정의다. 흔히 중도는 “어정쩡함” 혹은 극단들 사이에서의 소극적 균형으로 오해된다. 그러나 공자의 중도는 ‘중립(中立)’이 아니라 중정(中正), 즉 “양극단을 정면으로 두드려 보고(叩其兩端) 시대정신을 관통하는 중심을 세우는 힘”이다. 오늘의 정치와 사회가 가진 왜곡은 ‘극단이 나빠서’가 아니라, 중심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저자는 중도를 ‘위기 시대의 철학적 리더십’으로 복원하며, 그것이 단지 도덕이 아니라 공적 질서와 문명감각의 재건임을 강조한다. 이 지점에서 논어는 윤리 교과서가 아니라 ‘정치철학의 원전’로 되돌아온다.
독자가 체험하게 되는 변화 ― ‘읽기’에서 ‘참여’로의 이동
이 책은 독자에게 두 가지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 첫째, 독자는 공부를 ‘설명으로 듣는 사람’이 아니라, 생각과 대화의 연찬(硏鑽)에 참여하는 사람이 된다. 이는 책을 “텍스트”가 아니라 철학적 장(場)으로 경험하게 만든다. 둘째, 관계를 재조정하는 배움이다. 논어가 말하는 ‘인(仁)’은 타인을 설득하거나 교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타인을 통해 나를 다시 세우는 상호 생성의 윤리다. 그 결과 독자는 고전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고전으로 자기 변화를 실감한다. 그것이 ‘배움의 민주화’가 갖는 실제적 힘이다.
저자의 사유 전략 ― 학문이 아니라 “새로운 공론장”의 형성
저자 이남곡은 대학 제도권 인문학 밖에서 사유해 온 인문운동가다. 그는 고전을 전유하는 방식이 강의와 해설에 갇혀 있을 때, 그 순간 이미 고전은 죽는다고 진단한다. 대신 실제 공동체와의 연찬을 통해 철학을 ‘공론장’으로 복귀시킨다. 즉 철학을 다시 “함께 생각하고 실험하는 행위”로 되돌려 놓는다. 이런 방식의 복권은, 이 책이 단지 철학의 수행이 아니라 철학의 재거래(再去來)라는 점에서 독보적이다. 고전을 되살린 것이 아니라, 고전이 우리 시대를 다시 살리고 있는 것이다.
『논어를 연찬하다』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논어를 연찬하다』는 과거의 텍스트를 재조명한 연구서가 아니다. 그것은 우리 사회가 다음 문명으로 건너가기 위해 반드시 복원해야 할 인간학의 기반을 제시한 철학적 실천서다. 책을 덮는 순간 공부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비로소 자기 공부가 시작된다. 이 작업이 동시대 철학으로서 갖는 무게는 단순한 “고전 재해석”이 아니라, 21세기 한국이 세계문명사적 전환기에 어떠한 사유 자원을 들고 설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이기 때문이다.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