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문화 학술/축제
전봉준·최시형 등 제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들에 대한 독립운동 유공자 서훈의 정당성 피력 각계각층에서
김미진 기자 승인 2021.05.20
동학농민군의 봉기를 그린 역사화. / 천도교 제공
전봉준·최시형 등 제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들에 대한 독립운동 유공자 서훈의 정당성 피력하는 목소리가 각계각층에서 나오고 있다.
한국역사연구회는 20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동학농민전쟁의 민족운동사적 성격 검토’를 주제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동학농민군에 대한 독립운동 유공자 서훈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학술적으로 검토해 본 시간이다.
이날 기조강연에 나선 박맹수 원광대 총장은 “지난 1세기 동안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연구는 부침을 거듭하면서도 19세기 후반 이후 세계 최고, 최대 규모의 민중혁명 운동이었음이 밝혀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총장은 “1995년 7월, 일본 홋카이도대학에서 발견된 전라남도 진도 출신 동학농민군 지도자 유골(개골)에 대한 한일 양국 연구자들의 공동연구는 제2차 동학농민혁명이 일본군에 의한 동학농민군 대학살, 즉 제노사이드였다는 사실도 만천하에 드러나기에 이르렀다”며 “요컨대, 제2차 동학농민혁명은 그 성격이 명백한 ‘항일구국전쟁’ 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제2차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동학농민군에게 독립유공자 서훈을 하는 일은 이 시대 모든 한국인에게 부여된 역사적 책무다”며 “부디 독립유공자 서훈이 순조롭게 이루어짐으로써 아직도 여전히 구천을 헤매고 있는 30만 ‘무명’ 동학농민군의 외로운 고혼이 편안한 안식처를 찾아 고이 잠들 수 있게 하자”고 강조했다.
유바다 고려대 교수는 ‘동학농민군의 명예회복과 예우에 대한 법률적 검토’를 다루며 “학계에서는 이미 1894년 갑오의병 서상철을 발굴한 바 있다. 같은 시기 일제에 항거한 동학농민군 또한 독립유공자가 아니라고 할 근거는 없다”며 “지금이라도 동학농민전쟁 및 의병전쟁에 대한 현 학계의 연구 수준을 반영하여 이들 모두를 독립유공자로 서훈하는 새로운 심사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병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은 용어 문제를 짚으며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가 ‘동학농민전쟁의 민족운동사적 성격’이고, 학술연구나 발표에서 연구자의 사관에 의해 용어를 사용하겠지만 국가행사나 공식적인 차원에서 논의할 경우에는 ‘동학농민혁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조사부장은 “동학농민혁명은 한국사 대전환의 계기가 된 동시에 결과적으로도 국내·외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온 역사적 사건이다. 따라서 ‘동학농민혁명’이라고 칭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덧붙였다.
이보다 앞서 19일에는 국민의힘 성일종(충남 서산·태안) 국회의원의 대표발의로 ‘전봉준과 최시형 등 제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들에 대한 독립운동 서훈 촉구 결의안’ 이 나왔다. 이 결의안에는 성 의원을 포함해 여야 국회의원 37명이 공동발의자로 이름을 올렸다. 전북에서는 김수흥, 윤준병, 이원택, 이용호, 정운천 의원이 함께 했다.
성일종 의원은 “한 때 ‘동학란’이라는 표현으로 폄하되기도 했던 동학농민혁명은 2004년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제정으로 역사적으로 복권된 지가 17년이 되었음에도 독립운동 서훈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미진 기자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미진 기자
김미진 기자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