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붓다의 법담학 연구
붓다의 법담학 연구 - 불교 상담학 원론에 대한 고찰 | 프라즈냐 총서 46
이광준 (지은이)운주사2020-02-21
미리보기
정가
25,000원
판매가
23,750원 (5%, 1,250원 할인)
마일리지
750원(3%)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1,07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신간도서 단 1권도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11월 12일 출고
최근 1주 92.3%
(중구 중림동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60
0.0 100자평(0)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
무이자 할부
수량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
중고 등록알림 신청
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양장본
448쪽
책소개
프라즈냐 총서 46권. 카운슬링, 치료심리학, 선심리학을 전공하고 한국과 일본의 대학 연구원, 교수 등을 역임한 후 현재 불교심리학과 태아학 연구에 전념하고 있는 저자 이광준은 서구의 심리학 이론에 편중되어온 지금까지의 불교 상담학 연구의 한계를 재고하고 '불교 법담학'이라는 새로운 심리학 이론체계를 이 책에서 제시한다.
전체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장에서는 법담의 개념 정리, 붓다의 법담 방법, 불교의 질병관 나열 및 분류와 그 대처 방법, 불교의 심리치료 등에 대해서 고찰하며 10장에서는 붓다의 법담과 최후의 설법이라는 제목 아래 붓다의 법담학을 총정리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5
일러두기·9
제1장 법담학 서설 21
제1절 법담(法談: dharma-counseling)이란·21
1. 설법과 법담의 개념 21
2. 법담의 신개념 28
3. 법담가의 자질 30
제2절 법담학으로서의 불교·31
1. 불성 실현에의 길 31
2. 본불本佛 발견에의 길 32
3. 절대적 인격 실현에의 길 34
제3절 연기설의 세계관·36
1. 붓다 시대의 세계관 36
2. 연기 40
3. 인연·연기에 관한 비유 42
제4절 업과 인과사상·46
1. 업과 인과 46
2. 초기불교의 인과설 47
3. 업과 연기 49
제2장 법담의 사상체계 51
제1절 선교방편으로서의 4무애변·51
1. 방편의 의미 51
2. 4무애변과 7변七辯 56
3. 4무애해 60
제2절 사辭와 변辯·63
1. 사(辭: 언어) 64
2. 변(辯: 수기개도隨器開導) 64
제3절 변방편辨方便으로서의 칠지七知·81
1. 칠지의 의미 81
2. 『불설칠지경佛說七知經』의 칠지七知 83
3. 『집이문족론』의 칠묘법七妙法 86
제4절 칠지 중의 이지二知·89
1. 지중 89
2. 지인근 94
3. 선교방편으로서의 칠지七知 96
제3장 붓다의 인간관 97
제1절 중생으로서의 인간·97
1. 인간의 의미 97
2. 중생(유정)의 의미 100
3. 중생의 실존적 비유 104
제2절 붓다의 업설業說과 윤회하는 인간·106
1. 붓다의 업사상 106
2. 붓다의 업설과 윤회와의 관계 111
3. 업사상의 법담학적 의의 116
제3절 아와 무아의 사상·118
1. 아와 무아 118
2. 오온무아설五蘊無我說 122
3. 실아무아설實我無我說 125
제4절 붓다의 심성관·127
1. 심성본정설 127
2. 부파불교의 심성설 131
3. 대승불교의 심성설 133
제5절 불교에 있어서의 이상적 인간상·135
1. 심청정의 인간상 135
2. 대승보살도에 나타난 인간상 138
3. 불교에 있어서의 인간상의 제상諸相 142
제4장 붓다의 고관苦觀 151
제1절 고의 해설·151
1. 고의 종류와 삼도三道 151
2. 고의 원인–무명과 갈애 153
3. 붓다의 출가 동기–10고十苦 154
4. 5취五趣의 5고五苦 156
제2절 4고四苦와 8고八苦·158
1. 유정의 4고와 8고 158
2. 『5왕경』과 『유가사지론』의 8고八苦 162
제3절 고苦의 철학적 접근·164
1. 사제 중의 고제 164
2. 『대고온경』 및 『소고온경小苦蘊經』의 과환過患 168
제4절 고의 해결과 사제 팔정도·171
1. 사제–고뇌의 병리학 171
2. 사제로부터 대승불교의 공空으로 173
3. 노·병·사를 체념한다 174
4. 팔정도 176
제5장 붓다에서 보는 법담체계의 전형 179
제1절 의왕 붓다·179
1. 의왕과 응병여약 179
2. 비유법 182
3. 붓다의 최초의 법담교화 189
4. 무상존無上尊의 인격 192
제2절 세존의 인격·196
1. 사무량심의 정신 196
2. 세존의 위의 198
3. 붓다 당시의 세인과 제자들의 평가 201
4. 대자대비 204
제3절 중도·연기·불성설의 법담학·208
1. 법담가로서 생각해 볼 문제 208
2. 중도 209
3. 연기 212
4. 불성의 개발 214
제4절 붓다의 구제사상과 법담·218
1. 구제의 개념과 교설 218
2. 중생구제의 길 220
3. 중생제도의 실존적 비유 222
제6장 붓다의 법담 방법 227
제1절 대기법담·229
1. 대기법담이란 229
2. 붓다의 법담 기준 232
3. 붓다의 법담 사례 일람 236
4. 신통시현神通示現의 전승사례 240
제2절 차제법담·243
1. 차제법담 243
2. 중도의 필요성 245
3. 보시와 계율과 생천의 법담 250
4. 법안의 각증覺證 255
제3절 교계법담敎誡法談·256
1. 인간의 6종 성격에 대한 대응 방법 256
2. 4종 사문 257
3. 법담과 성묵聖默 259
4. 자비심 없는 논쟁은 하지 말 것 261
제4절 법담 방법의 특징·264
1. 법담으로서의 교화 264
2. 붓다의 법담 방법의 특징 265
3. 침묵의 원리 267
4. 십사난에는 답하지 않음 269
제7장 불교의 심리적 질병관 277
제1절 불교의 심리적 병인론·277
1. 경전상의 질병관 277
2. 심병心病과 업 280
3. 『대지도론』의 설 286
4. 병인病因 추적의 특징 288
제2절 심병의 개요·290
1. 심병의 원인과 병명 290
2. 광狂과 난亂의 개념과 산란 291
3. 광혹 294
4. 귀병과 마병 296
제3절 발광에 관한 문제·298
1. 『대비바사론』의 설 298
2. 『성실론』의 설 300
3. 『발지론』의 설 300
제4절 『구사론』의 심광업心狂業·305
1. 심광의 원인 305
2. 염오와 불염오 307
3. 심광心狂하는 유정들 308
4. 성자들의 경우 309
제5절 『대지도론』의 심병론·314
1. 광병狂病 314
2. 난심 315
3. 번뇌 중심의 심병 317
4. 번뇌병의 분류와 대처 방법 318
제8장 불교의 심리치료 방법(I) 321
제1절 좌선요법·321
1. 좌선요법이란 321
2. 보통의 좌선요법 322
3. 수식좌선요법數息坐禪療法 326
제2절 법의 위력요법威力療法·328
1. 참회요법 328
2. 법열요법法悅療法 329
3. 위력요법威力療法 332
4. 촉수요법觸手療法 333
제3절 염력요법念力療法·335
1. 공空–병은 없는 것이라고 념念한다 335
2. 이미지 요법 337
제4절 광명요법·340
1. 광명요법 340
2. 사경요법寫經療法 344
제9장 불교의 심리치료 방법(II) 349
제1절 『구사론』의 심리치료·349
1. 마음병 치료(心病治療)-단혹법斷惑法 349
2. 정심定心의 성취 방법 351
3. 무아의 관지觀智 353
4. 의지박약의 심리적인 병 355
제2절 『유식론』의 심리치료·356
1. 마음병(心病)의 근원 356
2. 번뇌장의 치료법 359
제3절 전세요법·364
1. 윤회사상에 기초한 새로운 심리요법 364
2. 최면요법과 그 역사 366
3. 전세요법前世療法 367
제4절 불교 간호의 소양·373
1. 마음의 준비 373
2. 병의 가르침에 따름 375
3. 병에 걸리지 않는 법 377
제10장 붓다의 법담과 최후의 설법 381
제1절 붓다의 법담 실제·381
1. 시사구담미의 사례(아이의 죽음) 381
2. 갖가지 비유 384
3. 본생담 386
4. 참된 어자御者 387
제2절 집단법담·388
1. 피안에 이르는 길 388
2. 16제자들의 질문과 붓다의 답변 394
3. 불제자들의 질문에 대한 결론 409
제3절 가야산의 산상설법·412
1. 치연熾燃의 설법 412
2. 마음이 가난한 자 415
3. 구극의 경지–열반 416
4. 빔비사라 왕의 귀의 417
제4절 최후의 설법–자등명·법등명·421
1. 최후의 여로 421
2. 자기를 의지처로 하라 423
3. 사라의 쌍수 아래에서 425
4. 크나큰 열반 427
찾아보기·431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이광준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심리학 박사. 동국대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석사를 거쳐 일본 고마자와대학(駒澤大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카운슬링, 치료심리학, 선심리학 등을 전공했다. 백상창신경정신과 임상심리실장, 한림성심대학 교수, 일본 고마자와대학(駒澤大學) 심리학연구실 연구원, 일본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際日本文化硏究センタ?) 국제선학연구소 연구원, 일본 류코쿠대학(龍谷大學) 비상근 강사 등을 역임했다. 현재 동서심리학연구소 소장, 일본 류코쿠대학(龍谷大學) 세계불교문화연구센터 객원연구원으로 있으면서 불교심리학과 태아학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적 치료심리학』, 『일본, 그 문화와 사회』, 『카운슬링과 심리치료』, 『정신분석 해체와 선심리학』, 『漢方心理學』, 『佛敎의 懺悔思想史』, 『韓日佛敎文化交流史』, 『法華思想史』, 『정토불교의 참회사상』, 『佛敎とカウンセリング』(공저, 龍谷叢書), 『カゥンセリングにおける 禪心理學的硏究』, 『佛敎とカウンセリングの理論と實踐』(공저, 龍谷叢書) 외에 30여 편의 논저와 역서가 있다. 접기
최근작 : <붓다의 법담학 연구>,<정토불교의 참회사상>,<법화사상사> … 총 11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운주사
출판사 페이지
신간알림 신청
최근작 : <불교와 유교의 철학 논쟁사>,<법화경 약찬게 사경>,<광명진언 범어 실담자 사경>등 총 441종
대표분야 : 불교 7위 (브랜드 지수 89,290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서구의 심리학 이론에 편중되어온 지금까지의 불교 상담학 연구의 한계를 재고하고, 불교경전 안에 녹아 있는 심리학적인 요소를 조직적으로 연구하여 ‘불교 법담학’이라는 새로운 이론체계를 제시하였다!
1.
인간은 누구나 자신을 둘러싼 주객관적 조건들과 부딪히면서 겪게 되는 마음의 병리문제가 있다. 특히 이는 현대인들에게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이에 대처하기 위해 나타난 학문이 상담학이나 카운슬링, 심리치료라는 분야다. 그리고 이러한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불교에서는 이미 2천5백 년 전의 부처님 당시부터 실천되고 있었다. 이것은 법담法談이라고 불렀다. 즉 붓다의 법에 의거하여 상담을 한다는 의미이다.
불교 심리학이나 불교 카운슬링은 이러한 법담이란 불교 전통을 바탕으로 서구 심리학과 상담학 이론의 도움을 받아 성립된 학문이다. 하지만 그간 서구 사상과 이론에 치중하여 체계를 정립하다 보니, 불교가 본래 지닌 풍부한 의미를 온전히 드러내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이 책은 불교 상담학의 이론적 기반을 근본에서부터 다시 살펴보고, 원론적으로 다시 재정립하고자 하는 과감한 의도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그 원천을 경전에서 붓다가 설한 ‘법담’이란 키워드에서 찾는다. 그리하여 ‘붓다 법담학’이란 새로운 심리학 이론체계를 제시한다.
2.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제1장 법담학 서설에서는 먼저 법담(法談: dharma-counseling)의 개념을 정리하고, 법담의 새로운 개념으로서 심리법담을 제시한다. 그리고 절대적 인격 실현의 길로서 법담학으로서의 불교가 지닌 사상적 토대를 불교경전과 교리 내용을 중심으로 추적하고 있다. 여기에는 불교의 기본사상인 업과 인과, 연기사상 등이 포함된다.
제2장 법담의 사상체계에서는 상대방의 수준과 상황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는 선교방편으로서의 4무애변과 변방편으로서의 7지知를 소개하고, 7지 가운데 법담의 방법으로서 가장 중요하고 또 붓다의 실제적 법담에 있어서 종횡무애하게 적용된 지중知衆과 지인근知人根을 중요시한다.
제3장 붓다의 인간관에서는 인간을 포함한 윤회하는 중생에게 업과 윤회가 지니는 법담학적 의미를 짚어보고, 아我와 무아無我의 사상, 그리고 붓다의 심성관을 고찰하면서 불교에 있어서의 이상적 인간상을 제시한다.
제4장 붓다의 고관苦觀에서는 붓다가 바라본 고의 종류와 그 원인을 살펴보고 고에 대한 철학적 접근으로 사제 중의 고제를 분석한 다음, 고의 해결방안으로서 사제 가운데 팔정도, 나아가 대승불교의 공사상까지 고찰한다.
제5장은 붓다에게서 보는 법담체계의 전형들을 불교경전 가운데서 찾아내서 정리하고 분류하였다. 여기에는 병에 따라 약을 처방하는 의왕으로서의 붓다와, 붓다의 인격에서 드러나는 사무량심과 대자대비 등이 포함된다. 또한 중도와 연기, 불성의 개발을 탐구하면서 붓다의 구제사상과 법담의 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제6장은 붓다의 법담 방법을 세 가지로 나누어 논하고 있는데, 이해능력과 수준에 대응하여 법담을 한다는 뜻인 대기법담과 단계별로 설법하는 차제법담, 훈계하고 이끌어 가르치는 교계법담敎誡法談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붓다의 법담 방법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제7장 불교의 심리적 질병관에서는 경전과 논서에서 나타나는 불교의 질병관을 나열하고 분류하면서 그 대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예컨대 탐욕의 병에는 부정관不淨觀, 성냄의 병에는 자비관, 어리석음의 병에는 인연관으로써 대처한다는 것 등이다.
제8장과 제9장에 걸쳐서는 법담학의 요체라 할 수 있는 불교의 심리치료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먼저 8장에서는 좌선요법, 위력요법, 염력요법, 광명요법 등 불교의 다양한 치료법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9장에서는 마음병의 심리치료법으로 구사론과 유식론에 나타난 심리치료법을 제시한다. 그 외에 윤회사상에 기초한 심리요법, 최면요법 등을 소개하고, 아울러 불교 간호의 소양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마지막 제10장 ‘붓다의 법담과 최후의 설법’에서는 경전에 나타나는 갖가지 사례와 비유, 문답, 설법 등을 통하여 붓다의 법담학을 총정리하고 있다.
3.
이처럼 이 책은 기존의 불교 상담학의 이론적 기반과 체계를 반성하고, 경전에 기록된 붓다가 설한 ‘법담’을 중심으로 하여 법담학이라는 새로운 심리사상적 체계를 세우고자 과감하게 시도했다는 점에서 불교 상담학, 나아가 불교 심리학 분야에 적지 않은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