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20

노인 - 위키백과,高齢者

노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웃고 있는 그리스에서 온 할머니가 콜라를 마시고 있다(위), 웃고 있는 칠레 피칠레무에서 온 93세 남성. (아래)

노인(老人, 문화어: 로인, 영어old age, old people, the elderly, OAP(Old Age Pensioner), senior, senior citizen, older adult, the elders)은 평균 수명에 이르렀거나 그 이상을 사는 사람으로 인생의 마지막 과정(end of human life cycle)이다. 어르신이라고도 부르나, 그 외에도 늙은이, 고령자(高齡者), 시니어, 실버 등으로 교체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한 나라나 지역에 노인이 많으면 고령화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 처음에는 60세 이상이면 노인이었으나, 현재는 65세 이상이면 노인으로 분류가 된다. 노인만을 위한 시설로는 경로당, 노인정, 노인 대학 등이 있다. 주로 도시보다 농촌에 노인들이 많이 분포한다.

노인 문제

[편집]

부모와 자녀 부부가 동거하는 복합적인 가족에 있어서도 부모가 노령에 이르면 그 부양과 공경(恭敬) 같은 문제, 혹은 노령화(老齡化)에서 오는 자기 중심성, 자기 폐쇄성, 활동성의 감퇴, 고독감·시기심·질투심의 왕성화·불평, 불만과 같은 심리적 행동적인 것에서 일어나는 오해와 충돌과 같은 가족관계의 불안정성의 문제가 있다. 현대가족에 있어서는 부모와 자녀 부부가 별거하는 부부가족적 경향이 높아지면서 부양에 대한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다. 또, 심리적·행동적인 면에서 일어나는 가족관계의 문제는 대체로 회피할 수 있을 것 같이 보이지만 반대로 그것을 촉진하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 현대의 가족에 있어서의 노인문제는 특히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1]

호칭 (별칭)

[편집]

대한민국 나이로 61세가 되는 생일을 환갑(還甲)(회갑)이라고 하고, 그 이듬해 생일은 진갑(進甲)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65세 이상이 노인으로 분류되는 특성상, 노인에 대한 호칭(별칭)은 따로 있다.

세는 나이, 만 나이,연 나이로 일흔 살은 칠순(七旬) 또는 고희(古稀), 여든 살은 팔순(八旬), 아흔아홉 살은 백수(白壽)라고 부르는데, 이는 ‘百’에서 ‘一’을 빼면 99가 되고 ‘白’ 자가 되는 데서 유래한다.

노인 안전

[편집]

노인 또한 어린이 못지않게 안전에 취약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보호가 많이 필요하다.

노인의 건강

[편집]

나이가 들수록 피부 두께가 얇아진다.[2] 햇볕이 뜨거워지면 '피부의 적' 자외선도 강해지며,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가 건조해지는 수준을 넘어 노화 현상을 일으키거나 피부 암을 유발하기도 한다.[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노인 문제, 《글로벌 세계 대백과》
  2.  “피부건조로 고생하는 그대에게”. 시니어 타임스. 2020년 10월 29일.
  3.  "태양이 싫어"…`피부의 적` 자외선, 선크림·모자·의류로 `철벽 차단`”. 매일경제TV. 2020년 6월 10일.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高齢者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日本人の高齢女性
男性の老人
各国の65歳以上人口割合

高齢者(こうれいしゃ、Elderly)は、社会の中で他の成員に比して年齢が高い一群の成員のことである。

日本語においての高齢者について、同義語として老人(ろうじん)、年寄り(としより)、お年寄り(おとしより)などの言葉がある。また、この世代を老年(ろうねん)と称する場合がある。

定義

[編集]

高齢の線引きは曖昧且つ主観的な部分があるが、世界保健機関の定義では、65歳以上[注 1][2]の人のことを高齢者としており、また、定年退職者もしくは老齢年金給付対象以上の人を言うことも考えられる。

64歳以下を現役世代、65~74歳を前期高齢者(准高齢者)、75歳以上を後期高齢者[3]とされる。 75~84歳を中期高齢者と呼ぶこともある。

医療制度における規定

[編集]

高齢者の医療の確保に関する法律、およびそれに付随する各種法令[4]では、65 - 74歳までを前期高齢者、75歳以上を後期高齢者と規定している。

高年齢者雇用安定法における定義

[編集]
  • 高年齢者 - 高年齢者等の雇用の安定等に関する法律(略称:高年齢者雇用安定法)における「高年齢者」とは、55歳以上の者を言う[5]
  • 高年齢者等 - 「高年齢者」、および55歳未満の「中高年齢者」(45歳以上の者[5])である求職者、および55歳未満の「中高年齢失業者等」(45歳以上65歳未満の失業者その他就職が特に困難な失業者、具体的には身体障害者刑法等の規定により保護観察に付された者等で、その者の職業のあっせんに関し保護観察所長から公共職業安定所長に連絡があった者[5]で「高年齢者」に該当しないものを言う)を言う。

人口統計における区分

[編集]

各種公的機関が行う人口調査では、64歳以下を「現役世代」(1歳未満を乳児、1 - 5歳を幼児、6 - 14歳を児童、15 - 44歳を青年、45 - 64歳を壮年)、65 - 74歳を「前期高齢者」(准高齢者)、75歳以上を「後期高齢者」(85歳以上を超後期高齢者)と区分している[6]

呼び方

[編集]

過度の社会保障受益や認知機能や身体機能が低下し、認知症・寝たきりなど疾病に掛かり易い高齢者に対する介護の疲れや社会的負担から、高齢者に対する嫌悪や高齢者虐待 (Ageism) が増えてきた。これを受けて、「年をとった、年寄り、高齢の」といった年齢を強調した表現を避け、「より経験豊かな、先任の」といった価値中立な表現を工夫して用いるような傾向が出てきている。たとえばoldではなく、senior (シニア)、elderly、aged、後期高齢者医療制度の名称や高齢ドライバー標識の意匠変更など。

なお、従来、老人という言葉が広く使われてきたが、最近、差別用語ではないかという意見がある[7]。特に英語圏において「老人」に相当する「Old people」は、少なくとも北米圏では立派な差別用語として認知されている。

日本の公共交通機関には高齢者・障害者・病人・怪我人・妊婦などのための優先席が設けられているが、日本国有鉄道東京都交通局など一部の事業者は、これを「シルバーシート」と表現していた。ここから、日本においては高齢者のことをシルバーとも呼ぶようになった。また、高齢者が自身を「シルバー」と表現することも多く見受けられる。高齢者の職業技能を生かすための、「シルバー人材センター」という名称の施設が各地に存在している。

医学的側面

[編集]
OECD各国の人口千人あたり認知症者

認知症有病率は、65歳未満の労働年齢層では2-10%とまれであるが[8]、80歳を超えると急に高まり、95歳以上になると欧州では約半数が罹患している[8]。OECDはもし年齢別有症率が現在のペースのままであれば、20年後の欧州は認知症患者数が現在の1.5倍になると予想している[8]

性格特性・レイチャードの5類型

[編集]
  1. 円熟型 - 過去を後悔することもなく未来に対しても希望をもつタイプ。寛大。
  2. ロッキングチェアー型(依存型) - 現実を受け入れるタイプ。物質的、情緒的な支えを与えてくれる人に頼る傾向がある。安楽に暮らそうとする。
  3. 防衛型(装甲型) - 若い時の活動水準を維持しようとするタイプ。老化を認めない。
  4. 憤慨型(敵意型) - 老いに対する不満が他者への攻撃となってあらわれるタイプ(花火、自動車)。人生の失敗を他人のせいにする。
  5. 自責型 - 人生を失敗だったと考えてふさぎこむタイプ。自分の至らなさのせいであったと考える。
[9][10]

高齢化

[編集]
世界人口における65歳以上人口割合[11]

ある国・地域において、65歳以上が人口の7%以上を超えると高齢化社会、14%を超えると高齢社会、21%を超えると超高齢社会と呼ばれる。

日本では、1935年では4.7%で最低であったが、2007年では21.5%となり、超高齢社会となった。日本では2050年代までは世界1位だが、2060年以降は世界2位以下になると予測されている。

社会とのかかわり

[編集]

一般的に、一部の高齢者は経験を積み、様々な事に熟達しているとされる。加齢に伴う認知機能及び運動機能の衰えや、老衰に伴う記憶力の減退等といった理由により、定年継続雇用を行わず第一線を退いた者も多いが、その豊富な経験と、その経験によって導き出される勘は、学習によって得られる知識や、練習によって習得する技能を超えた効率を発揮する高齢者もなかには存在する。これらを若者は学ぶべき点は学び、また後代に伝えるべき物とされる。

高齢者は古くより、社会的には年功序列や選挙での高い投票率によって一定の地位を獲得しているが、現代と違い古代から近代初期に掛けては、医療技術が発展していなかったので、高齢になるほど希少な存在となり、長らくは「古老」や「長老」と呼ばれる、高齢者に対する特別な尊称が存在する。儒教に基づく敬老の考えは、高齢者が尊敬されることに一役買っている。

高齢者が組織する団体を高齢者団体という。代表的なものとしては老人会シルバー人材センターがある。

高齢者は仕事からの引退により年金収入があっても収入よりも支出の方が多い(赤字である)ことが一般的であり、貯蓄が減り続けることで経済的に困窮しやすい性質を持つ。収入を補てんするために行う高齢者の労働には、社会的需要の少なさや健康の面で様々な困難を伴う。老人ホーム入居や在宅介護にも事前に多額(普通の家が買えるほど)の貯蓄が必要になり、貯蓄がない場合は健康状態の急激な悪化を切っ掛けに生活の全てで困窮することになる。老人ホームに入居していない高齢者は身体機能が低下するに伴い自宅に居ることが多くなり、介護サービスも受けずに独居の場合、社会的孤立と紙一重の状態に陥る。従って、老後の生活を社会的孤立を回避して豊かに送るためには、現役時代の30年以上に渡る老後対策が欠かせないことになる。

日本での事例

[編集]
日本の人口ピラミッド

2018年の内閣府の発表では65歳以上の推計人口(10月1日現在)は3,558万人であった。これは総人口のうち28.1%である[12]。第二の人生と言うように高齢者は定年になると一旦退職するため、高齢労働者割合は低かったが(1980年時点では4.9%)2017年現在は高齢になっても働かざるを得ないケースが増え、65~74歳の就労人口の増加から高齢労働者は労働者のおよそ1割を占めている[13]

一人暮らし

[編集]

社会の高齢化核家族化が急速に進んだことにより、高齢者の一人暮らしが増加した。1955年に42万5,000世帯[14]だった高齢単身世帯は、1965年に79万9,000世帯[14]、2005年には386万世帯[15]、2015年には562万世帯[16]となっている。

高齢の運転者による交通死亡事故

[編集]

2005年度の上半期(4 – 9月)の全国の交通事故による死者のうち、高齢の運転者による死亡事故が増加。この状況を受け警察庁は「安全教育に加え、高齢者の個々の運転能力に応じた対策も検討を重ねる必要がある」として、高齢運転者標識の表示の努力義務や、運転免許更新時の70歳から74歳の高齢者講習、75歳以上の認知機能検査を盛り込んだ道路交通法の改正を2007年の通常国会に提出し、2009年6月から施行されることとなった。

2017年以降、日本国内の主要自動車メーカーが事故防止のための機能を備えた車、安全運転サポート車の「セーフティ・サポートカーS」(サポカーS)「セーフティー・サポートカー」(サポカー)を積極的に導入しているほか、先進安全技術の体感会などを開催している。

2019年には相次ぐ75歳以上の高齢ドライバーの運転事故が大きな話題になり、自主的な返納、免許の制限(75歳未満or85歳未満にするetc)といった議論が活発になった[17][18]。 免許の制限を望む声の一方で「地方では車がないと生活できない」といった現実的な声もある[19]

2022年5月13日から75歳以上の免許更新ではさらなる強化が行われた。

また、同日以降から、普通自動車のみ、免許所持者が申請することにより、運転することができる自動車の範囲をサポートカーに限定する条件を付与する、サポートカー限定免許が取得できるようになった[20]

高齢者の孤立

[編集]

仕事や家族等の社会的な繋がりがなくなった高齢者のセルフネグレクト孤独死、犯罪を犯し刑務所に社会的な繋がりを求める事が問題となっている[21]。医師の加藤俊徳によると、30 - 40年間会社勤めを続けた場合、脳も会社で働くことで機能することとなり、退職後は社会的に孤独で孤立した高齢者ほど「本質的な脳の何割かが使えなくなる」状態が生じ、理解力が低下したり、周囲に注意を向けられず自分勝手に映ることになる[22]

高齢者の攻撃性

[編集]

NHKが65歳以上の高齢者487人を対象に行った調査によると、約半数が「日常生活の中で感情が抑えきれずに"キレて"しまう」ことがあり[23]、さらに3割が「年齢とともに感情のコントロールが難しくなっている」と答えた[23]。精神科医の西多昌規は、核家族化の確立した社会において、高齢者が一人ないし配偶者と二人での生活を送る中、運動機能の衰えから行動範囲が狭まることやIT・情報技術の進歩についていけなくなることで社会から見捨てられたという思いを強くし、社会に対して攻撃的になる可能性を指摘し、「変化しつつある現代の社会環境に対する脳の反応」として「高齢者がキレる」という現象につながると述べている[24]。さらに西多は、加齢によって「性格の先鋭化」が生じ、若い頃気が短かった人がますます短気になるケース[24]や、前頭葉機能の低下によって攻撃的になるケース[24]を挙げている。医師の加藤俊徳によると、脳機能の低下が聴力や記憶力の低下をもたらし、その結果他人の話がうまく理解できなくなり感情を爆発させるケースもある[23]。精神科医の和田秀樹は、自己愛が満たされず「自分はまわりから大事にされていないという飢餓感から感情が暴走してしまう」高齢者が多くいると指摘している[25]。 


脚注

[編集]

注釈

[編集]
  1. ^ 厚生労働省の提言『健康日本21』の資料では、生産年齢人口幼年期0 - 5歳、少年期6 - 14歳、青年期15 - 29歳、壮年期30 - 44歳、中年期45 - 64歳、准高年期65 - 74歳、高年期75歳以上という区分をしている[1]

出典

[編集]
  1. ^ 健康日本21|厚生労働省”. www.mhlw.go.jp2019年6月13日閲覧。
  2. ^ 【e-ヘルスネット】高齢者2020年2月11日閲覧
  3. ^ e-ヘルスネット健康用語辞典:高齢者 厚生労働省、2021年10月9日閲覧
  4. ^ 高齢者の医療の確保に関する法律施行令(平成19年10月19日政令第318号)、高齢者の医療の確保に関する法律施行規則(平成19年10月22日厚生労働省令第129号)、前期高齢者交付金及び後期高齢者医療の国庫負担金の算定等に関する政令(平成19年10月31日政令第325号)、高齢者の医療の確保に関する法律による保険者の前期高齢者交付金等の額の算定等に関する省令(平成19年11月22日厚生労働省令第140号)、後期高齢者医療の調整交付金の交付額の算定に関する省令(平成19年11月22日厚生労働省令第141号)
  5. a b c 高年齢者等の雇用の安定等に関する法律施行規則(昭和46年労働省令第24号)
  6. ^ 統計局ホームページ/I 高齢者の人口・世帯”. 総務省 統計局. 2013年8月13日閲覧。
  7. ^ 「老人」という言葉を使うと差別にあたるのか〜最近は高齢者という言葉のほうが多くなった東洋経済オンライン2018年8月7日
  8. a b c Addressing Dementia - The OECD Response (Report). OECD. 13 March 2015. Chapt.1. doi:10.1787/9789264231726-en
  9. ^ 進藤貴子『介護福祉ハンドブック 高齢者の心理』1999年、一橋出版。53頁
  10. ^ 近藤勉『よくわかる高齢者の心理 改訂版』2010年、ナカニシヤ出版。59頁
  11. ^ World Population Ageing: 1950-2050,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12. ^ 第1章 高齢化の状況” (PDF). 内閣府. 2019年7月29日閲覧。
  13. ^ 第1章 高齢化の状況(第2節 1)”. 内閣府. 2018年9月18日閲覧。
  14. a b 昭和44年版厚生白書
  15. ^ 平成17年国勢調査
  16. ^ 平成27年国勢調査-抽出速報集計結果からみる高齢化社会-”. 2018年5月22日閲覧。
  17. ^ 【主張】高齢者の重大事故 免許定年制の検討必要だ”. 産経ニュース産業経済新聞社 (2019年4月23日). 2019年4月29日閲覧。
  18. ^ 【高齢者の自動車運転 従来以上の制限が必要だ”. 毎日新聞 (2019年4月29日). 2019年4月29日閲覧。
  19. ^ 【目線〜読者から】高齢者の重大事故 免許定年制「的外れ」「早急に検討を」”. 産経ニュース産業経済新聞社 (2019年4月29日). 2019年4月29日閲覧。
  20. ^ 出典:警察庁ウェブサイト サポートカー限定免許について
  21. ^ おじいちゃんとおばあちゃんの犯罪 −高齢化と犯罪の関係−”. 2018年5月22日閲覧。
  22. ^ FNN PRIME 2018.
  23. a b c おはよう日本 2017.
  24. a b c 西多 2018.
  25. ^ 赤根 2017.

参考文献

[編集]

関連項目

[編集]

外部リンク

[編集]

===

노인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일본인 노인 여성
남성 노인
각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

고령자 (이러한 것, Elderly)는 사회 안에서 다른 성원에 비해 연령이 높은 일군의 성원이다.

일본어에 있어서의 고령자 에 대해서, 동의어로서 노인 (로진), 노인 ( 토시요 ), 노인 (오토시요)등의 말이 있다. 또, 이 세대를 노년 (로넨)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정의

편집 ]

노인 선취는 모호하고 주관적인 부분이 있지만, 세계보건기구 의 정의에서는 65세 이상 [주1] [2] 의 사람을 고령자로 하고 있으며, 정년퇴직자 또는 노령연금 급여 대상 이상의 사람을 말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64세 이하를 현역 세대, 65~74세를 전기 고령자(준고령자), 75세 이상을 후기 고령자 [3] 로 한다. 75~84세를 중기고령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의료 제도의 규정

편집 ]

고령자의 의료 확보에 관한 법률 및 이에 수반되는 각종 법령 [4] 에서는 65-74세까지를 전기 고령자, 75세 이상을 후기 고령자로 규정하고 있다.

고령자 고용안정법에서의 정의

편집 ]
  • 고연령자 - 고연령자 등의 고용의 안정 등에 관한 법률 (약칭:고연령자 고용안정법)에 있어서의 「고연령자」란, 55세 이상의 자를 말한다 [5] .
  • 고령령자 등 - 「고연령자」, 및 55세 미만의 「중고연령자」(45세 이상의 사람 [5] )인 구직자, 및 55세 미만의 「중고연령 실업자 등」(45 세 이상 65세 미만의 실업자 그 외 취직이 특히 곤란한 실업자, 구체적으로는 신체장애인 , 형법 등의 규정에 의해 보호 관찰 에 붙은 사람 등으로, 그 사람의 직업의 아선에 관하여 보호 관찰소 장로부터 공공직업안정 소장 에게 연락이 있던 자 [5] 로 「고연령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를 말한다.

인구통계의 구분

편집 ]

각종 공공기관이 실시하는 인구조사에서는 64세 이하를 「현역 세대」(1세 미만을 유아, 1~5세를 유아, 6~14세를 아동, 15~44세를 청년, 45~64세 을 장년), 65-74세를 「전기 고령자」(준고령자), 75세 이상을 「후기 고령자」(85세 이상을 초후기 고령자)로 구분하고 있다 [6] .

부르는 법

편집 ]

과도한 사회 보장 수익, 인지 기능 및 신체 기능이 저하되고, 치매, 잠들기 등 질병에 걸리기 쉬운 고령자에 대한 개호의 피로나 사회적 부담으로부터, 고령자에 대한 혐오나 고령자 학대 ( Ageism )가 증가해 온다 했다. 이것을 받아, 「나이를 먹은, 노인, 고령의」라고 하는 연령을 강조한 표현을 피해, 「보다 경험 풍부한, 선임의」라고 하는 가치 중립인 표현을 궁리해 사용하는 경향이 나온다 있습니다. 예를 들어 old가 아니라 senior ( 수석 ), elderly, aged, 후기 고령자 의료 제도의 명칭이나 노인 드라이버 표지의 의장 변경 등.

또한, 종래, 노인이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 차별 용어가 아닌가 하는 의견이 있다 [7] . 특히 영어권에서 '노인'에 해당하는 'Old people'은 적어도 북미권에서는 훌륭한 차별 용어로 인지되고 있다.

일본의 대중교통 에는 고령자・장애인・병인・부상인・임산부 등을 위한 우선석이 마련되어 있지만, 일본 국유철도 나 도쿄도 교통국 등 일부 사업자는 이를 「실버 시트」라고 표현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일본에서는 노인을 실버 라고도 부르게 되었다. 또, 노인이 자신을 「실버」라고 표현하는 것도 많이 볼 수 있다. 고령자의 직업기능을 살리기 위한 ' 실버인재센터 '라는 명칭의 시설이 각지에 존재하고 있다.

의학적 측면

편집 ]
OECD 각국의 인구천인당 치매자

치매 유병률 은 65세 미만의 노동연령층에서는 2-10%로 드물지만 [8] , 80세를 넘으면 갑자기 높아지고, 95세 이상이 되면 유럽에서는 약 절반이 걸린다 [8] . OECD는 연령별 유증률이 현재의 페이스대로 남아 있으면 20년 후의 유럽은 치매 환자수가 현재의 1.5배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8] .

성격 특성・레이처드의 5류형

편집 ]
  1. 원숙형 - 과거를 후회하지 않고 미래에 대해서도 희망을 가지는 타입. 관대.
  2. 락킹 의자형(의존형) - 현실을 받아들이는 타입. 물질적, 정서적인 지지를 주는 사람에게 의지하는 경향이 있다. 안락하게 살려고 한다.
  3. 방어형(장갑형) - 젊을 때의 활동 수준을 유지하려고 하는 타입. 노화를 인정하지 않는다.
  4. 분개형(적의형) - 노인에 대한 불만이 타인에게의 공격이 되어 나타나는 타입(불꽃, 자동차). 인생의 실패를 타인 탓으로 한다.
  5. 자책형 - 인생을 실패했다고 생각하고 막는 타입. 자신의 끊임없는 탓이었다고 생각한다.
[9] [10]

노화

편집 ]
세계 인구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 [11]

한 국가·지역에서 65세 이상이 인구의 7% 이상을 넘으면 고령화 사회 , 14%를 넘으면 고령 사회 , 21%를 넘으면 초고령 사회 라고 불린다.

일본에서는 1935년에는 4.7%로 최저였지만, 2007년에는 21.5%로 초고령사회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2050년대까지는 세계 1위이지만, 2060년 이후는 세계 2위 이하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사회와의 관계

편집 ]

일반적으로 일부 노인은 경험을 쌓고 다양한 것에 숙달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노화 에 따른 인지기능 및 운동기능의 쇠퇴나 노쇠에 따른 기억력의 감퇴 등의 이유로 정년 후 계속 고용을 하지 않고 제1선을 물리친 사람도 많지만, 그 풍부한 경험과 그 경험 에 의해 도출되는 감은, 학습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지식이나, 연습에 의해 습득하는 기술을 넘은 효율을 발휘하는 고령자도 속에는 존재한다. 이들을 젊은이는 배워야 할 점은 배우고, 또 후대에 전할 것이다.

고령자는 옛부터 사회적으로는 연공서열 이나 선거에서 높은 투표율에 의해 일정한 지위를 획득하고 있지만, 현대와 달리 고대 부터 근대 초기에 걸치면 의료기술이 발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 고령이 될수록 희귀한 존재가 되어, 오랫동안 「고로」나 「장로」라고 불리는, 고령자에 대한 특별한 존칭이 존재한다. 유교 에 근거한 경로의 생각은 고령자가 존경받는데 한몫하고 있다.

고령자가 조직하는 단체를 고령자 단체 라고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노인회 나 실버 인재센터 가 있다.

고령자는 일로부터의 은퇴에 의해 연금 수입이 있어도 수입보다 지출이 많다( 적자 인) 것이 일반적이며, 저축이 계속 줄임으로써 경제적으로 곤궁하기 쉬운 성질을 가진다. 소득을 보충하기 위해 실시하는 고령자의 노동에는, 사회적 수요의 적음이나 건강의 면에서 여러가지 곤란을 수반한다. 노인홈 입주나 재택개호에도 사전에 다액(보통의 집이 살 수 있을 정도)의 저축이 필요하게 되어, 저축이 없는 경우는 건강 상태의 급격한 악화를 계기로 생활의 모두로 곤궁하게 된다. 노인홈에 입주하지 않은 고령자는 신체 기능 이 저하됨에 따라 자택 에 있는 경우가 많아져, 개호 서비스도 받지 않고 독거의 경우, 사회적 고립 과 종이 일중의 상태에 빠진다. 따라서 노후생활을 사회적 고립 을 회피하고 풍부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현역시대의 30년 이상에 걸친 노후대책이 빼놓을 수 없게 된다.

일본에서의 사례

편집 ]
일본 인구 피라미드

2018년 내각부 발표에서는 65세 이상의 추계 인구(10월 1일 현재)는 3,558만명이었다. 이는 총 인구 중 28.1%이다 [12] . 제2인생이라고 하는 것처럼 고령자는 정년이 되면 일단 퇴직하기 때문에, 고령 노동자 비율은 낮았지만(1980년 시점에서는 4.9%) 2017년 현재는 고령이 되어도 일할 수 없는 케이스 가 늘어나 65~74세의 취업 인구 증가로 고령 노동자는 노동자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13] .

혼자 생활

편집 ]

사회의 고령화 , 핵가족 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고령자의 혼자 생활이 증가했다. 1955년에 42만 5,000가구 [14] 였던 고령 단신가구는 1965년에 79만9,000가구 [14] , 2005년에는 386만가구 [15] , 2015년에는 562만가구 16] 되어 있다.

노인 운전자에 의한 교통사망사고

편집 ]

2005년도 상반기(4~9월) 전국 교통사고 로 인한 사망자 중 고령 운전자 사망사고 증가. 이 상황을 받아 경찰청 은 「안전 교육에 가세해 고령자의 개별 운전 능력에 따른 대책도 검토를 거듭할 필요가 있다」로서, 고령 운전자 표지 의 표시의 노력 의무나, 운전 면허 갱신시의 70세부터 74세의 고령자 강습, 75세 이상의 인지기능 검사 를 포함한 도로 교통법 의 개정을 2007년의 통상 국회 에 제출해, 2009년 6월부터 시행되게 되었다.

2017년 이후, 일본 국내의 주요 자동차 메이커가 사고 방지를 위한 기능을 갖춘 차량, 안전 운전 서포트 차 의 「세이프티 서포트 카 S」(사포카 S) 「세이프티 서포트 카」(사포카)를 적극적으로 에 도입하고 있는 것 외에, 선진 안전 기술의 체감회 등을 개최하고 있다.

2019년에는 잇따라 75세 이상의 고령 드라이버의 운전 사고가 큰 화제가 되어, 자주적인 반납 , 면허의 제한(75세 미만 or85세 미만으로 하는 etc)라는 논의가 활발해졌다 [17 ] 18] . 면허의 제한을 원하는 목소리의 한편으로 「지방에서는 차가 없으면 생활할 수 없다」라고 하는 현실적인 목소리도 있다 [19] .

2022년 5월 13일 부터 75세 이상의 면허 갱신에서는 추가 강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같은 날 이후부터 보통 자동차 만 면허 소지자가 신청함으로써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의 범위를 서포트 카에 한정하는 조건을 부여하는 서포트 카 한정 면허를 취득 할 수 있게 되었다. 20] .

노인의 고립

편집 ]

일이나 가족 등의 사회적인 연결이 없어진 고령자의 셀프 네그렉 트나 고독사 , 범죄를 저지르고 감옥에 사회적인 연결을 요구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21] . 의사의 카토 슌토쿠에 따르면, 30~40년간 회사근무를 계속했을 경우, 뇌도 회사에서 일하는 것으로 기능하게 되고, 퇴직 후에는 사회적으로 고독하고 고립된 고령자만큼 “본질적인 뇌의 무엇 할인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상태가 생겨, 이해력이 저하되거나, 주위에 주의를 돌리지 않고 자신 마음대로 비치게 된다 [22] .

노인의 공격성

편집 ]

NHK 가 65세 이상의 노인 48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약 절반이 '일상생활 속에서 감정이 억제되지 않고 '깨끗하게' 버리는' 경우가 있어 [23] , 더욱 3할 가 “연령과 함께 감정의 컨트롤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대답했다 [23] . 정신과 의사의 서다창규는 핵가족 화가 확립된 사회에서 고령자가 1명 내지 배우자와 2명으로 생활을 보내는 가운데 운동기능의 쇠퇴로 행동범위가 좁아지거나 IT·정보기술 의 진보에 관해서는 안 됨으로써 사회로부터 버림받았다는 생각을 강하게 하고, 사회에 대해 공격적이 될 가능성을 지적해, 「변화하고 있는 현대의 사회 환경에 대한 뇌의 반응」으로서 「고령자 "이 깨끗하다"는 현상으로 이어진다고 말하고 있다 [24] . 게다가 니시타는, 나이에 의해 「성격의 선예화」가 생겨, 어릴 적 신경이 짧았던 사람이 점점 단기로 되는 케이스 [24] 나, 전두엽 기능의 저하에 의해 공격적이 되는 케이스 [24] 를 언급했다. 의사의 카토 슌토쿠에 의하면, 뇌기능의 저하가 청력이나 기억력의 저하를 가져오고, 그 결과 타인의 이야기가 잘 이해할 수 없게 되어 감정을 폭발시키는 경우도 있다 [23] . 정신과 의사의 와다 히데키 는 자기 사랑이 채워지지 않고 “자신은 주위에서 소중히 여겨지지 않는다는 기아감으로 감정이 폭주해 버린다” 고령자가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25] . 


각주

편집 ]

주석

편집 ]
  1. ↑ 후생노동성 의 제언 「건강 일본 21」의 자료에서는, 생산 연령 인구 , 유년기 0 - 5세, 소년기 6 - 14세, 청소년기 15 - 29세, 장년기 30 - 44세, 중년기 45 - 64세, 준고년기 65 - 74세, 고년기 75세 이상이라는 구분을 하고 있다 [1] .

출처

편집 ]
  1. ↑ “ 건강 일본 21|후생 노동성 ”. www.mhlw.go.jp . 2019년 6월 13일에 확인함.
  2.  【e-헬스넷】고령자 2020년 2월 11일 열람
  3. ↑ e-Health Net 건강 용어 사전: 노인 후생 노동부 , 2021년 10월 9일에 확인함
  4.  고령자의 의료의 확보에 관한 법률 시행령(2009년 10월 19일 정령 제318호), 고령자의 의료의 확보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2009년 10월 22일 후생 노동성령 제129호) , 전기 고령자 교부금 및 후기 고령자 의료의 국고 부담금의 산정 등에 관한 정령(헤세이 19년 10월 31일 정령 제 325호), 고령자의 의료의 확보에 관한 법률에 의한 보험자의 전기 고령자 교부 금 등의 액수의 산정 등에 관한 성령(2009년 11월 22일 후생 노동성령 제140호), 후기 고령자 의료의 조정 교부금의 교부액의 산정에 관한 성령(2009년 11월 22일 후생 노동성 령 제141호)
  5. ↑ c 고령령자 등의 고용의 안정 등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1966년 노동성령 제24호)
  6. ↑ “ 통계국 홈페이지/I 고령자의 인구·가구 ”. 총무성 통계국. 2013년 8월 13일 열람.
  7. ↑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면 차별에 해당하는 것인가~ 최근에는 고령자라는 말이 많아진 동양경제 온라인 2018년 8월 7일
  8. c Addressing Dementia - The OECD Response (Report). OECD. 13 March 2015. Chapt.1. doi : 10.1787/9789264231726- en
  9. ^ 진토 타카코 「개호 복지 핸드북 고령자의 심리」1999년, 이치바시 출판. 53페이지
  10. ^ 콘도 공부 “잘 아는 고령자의 심리 개정판” 2010년, 나카니시야 출판. 59페이지
  11. ↑ World Population Ageing: 1950-2050 ,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12. ↑ “ 제1장 고령화의 상황 ” (PDF). 내각부. 2019년 7월 29일 열람.
  13. ↑ “ 제1장 고령화의 상황(제2절 1) ”. 내각부. 2018년 9월 18일 열람.
  14. ↑ b 쇼와 44년판 후생 백서
  15.  헤세이 17년 국세조사
  16. ↑ “ 2015년 국세조사-추출 속보 집계 결과로부터 보는 고령화 사회- ”. 2018년 5월 22일 열람.
  17. “ 【주장】고령자의 중대 사고 면허 정년제의 검토 필요하다 ”. 산케이 뉴스 . 산업 경제 신문사 (2019년 4월 23일). 2019년 4월 29일 열람.
  18. “ 【고령자의 자동차 운전 종래 이상의 제한이 필요하다 ”. 매일 신문 (2019년 4월 29일). 2019년 4월 29일 열람.
  19. “ 【시선~독자로부터】 고령자의 중대 사고 면허 정년제 “적외선” “조속히 검토를” ” 산케이 뉴스 . 산업 경제 신문사 (2019년 4월 29일) . .
  20.  출처: 경찰청 웹사이트 서포트카 한정 면허에 대해서
  21. ↑ “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범죄 -고령화와 범죄의 관계- ”. 2018년 5월 22일 열람.
  22. ↑ FNN PRIME 2018 .
  23. c 좋은 아침 일본 2017 .
  24. c 니시타 2018 .
  25. 아카네 2017 .

참고문헌

편집 ]

관련 항목

편집 ]

외부 링크

편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