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22

◆ 함석헌 ‘노장 읽기’의 역사적 연속과 불연속

Untitled Document

◆ 함석헌 ‘노장 읽기’의 역사적 연속과 불연속


▲ 한국 사회에서 노장 해석의 갈래

자, 그럼 이제 함석헌 선생님이 상식을 창조했다는 것 하나만으로 의미를 부여하면 다 끝이냐? 그게 아니라 좀 더 거시적인 차원에서 한 걸음 물러나서 역사적인 시각으로 전향해보면, 상식을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굉장히 중요한 한국 땅이라고 하는 지형도와 맞닿아 있는 중요한 줄기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

그 점이 그의 위대함을 더 위대하게 만든다는 것이겠죠. 즉 그 연속과 불연속을 한 번 찾아보는 것이 그 다음 부분입니다.

6쪽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앞의 부분들은 앞 시간에 많이 한 얘기이기 때문에 반복할 필요는 없어요. 다만 정리 차원에서 현재는 조금 달라졌는데 제가 이 글을 쓸 당시가 몇 년 전이었으니까, 처음 학위 논문을 시작할 때 이런 식의 제안을 했으니까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중복되는 것도 있고.

하지만 중요한 결들을 잡는다면은 대략 지금에 와서도 노자나 장자를 해석하는 절, 특히 노자를 해석하는 절이 훨씬 더 복잡한데 한 여덟가지 정도로 분류를 할 수가 있어요.

첫 번째는, 제왕지술(帝王之術) 혹은 법가적 해석 특히 무위를 치술적 개념으로 해석하는 갈래가 소수이긴 하지만 있습니다.

[“무위를 실천하면 다스리지 못할 것이 없다.”(爲無爲, 則無不治.); 2장, “성인은 무위의 일에 처하고, 말없는 교령을 행한다.”(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 새롭게 발견된 『황제사경』(黃帝四經), 韓非子, 申不害 등등]

특히 이러한 건 황로학 붐과 더불어 일어나면서 이러한 정치적 재해석이 상당히 유행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말하는 황로학은 정치사상으로서의 황로학을 중심으로 이야기 합니다. 한나라 초기를 지배했던 통치사상으로서요.

그 다음에 두 번째는, 황로학이 앞에도 뒤에도 껴 있지만 여기서는 황로라는 말이 한 대에서의 전반기의 황로와 후반기의 황로라는 말이 조금 달라요. 즉, 동일한 황제의 노자라고 하는 두 문헌군, 혹은 황제와 노자를 숭앙하는 시조를 따지는 학문 풍토 혹은 학술 운동이라고 규정하더라도 적어도 그 글자 자체만 놓고 본다면 한 대와 후 한 대에 이것이 의미가 많이 바뀌는데 그 의미가 바뀌는 과정이 도교적인 성격이 충분히 더 강화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서 하상공 주석의 경우도 철학적인 입각점, 방향은 한 초에 청정무위 사상을 중심으로 돼 있다고 했죠. 하지만 치신 사상등과 같은 것이 굉장히 깊이 들어가 있고, 표현 중에 불사(不死)가 나옵니다.

불사라고 하는 사상은 사실은 고대 중국 도가 사상에는 없던 거예요. 나중에 신설술기라고 하는 신선사상이 들어오고 나서 그 영향으로 인해 이 전통에 들어오게 됩니다.

선진 도가의 중요한 용어는 뭐냐. 불사가 아니라 장생(長生)이에요. 우린 이걸 구분해야 해요. 장생과 불사는 다릅니다. 그럼 뭐가 다르냐. 특히 불사를 이야기할 때 두 가지 방식의 불사가 있어요.

하나는 그 사람을 그 사람이게끔 하는 영혼, 영혼불멸론과 연결되는 겁니다. 두 번째는 몸 자체가 죽지 않는 거예요. 신선이 되는 거죠. 서구에서는 영혼불사로서의 immortality가 중심이었다면. 동아시아에서는 영혼과 몸은 뗄 수 없는 거잖습니까. 그러니까 몸이 죽으면 안 돼요. 그래서 신선이라고 하는 건데, 장생은 달라요.

장생은 몇 년 하는 게 아니라 자기의 생존연령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오늘 저녁에 죽을 사람이 대낮까지 활달하게 활동하는 날 죽는 날 갑자기 죽는 거예요. 물론 수(壽)를 다하고 나서. 대략 한 120년. 의학적으로 가능한 수가 한 120살 정도라고 합니다. 유명한 사람을 보면 다 꽤 오래 살았어요.

황로학(黃老學) 및 도교적 해석은 치신치국(治身治國之道) 및 장생불사(長生不死)를 추구하는 전통입니다. 이렇게 불어버려요. 장생과 불사가.

노자에 나오는 유명한 말을 가져다가 유덕화가 나오는 영화의 제목으로 할 때 ‘천장지구’라고 했잖습니까. 천지는 장구하다고 할 때 천장지구. 그게 천지가 장구하다는 것은 무지하게 오래간다는 거잖습니까. 그것처럼 인간도 오래 간다는 것은 명 안에서의 생이라고 하는 거죠.

그래서 저걸 하기 위한 노력이 바로 양생에 해당하는 겁니다. 양생이라는 의미도 전한 시대에서 후한 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특히 신선술과의 결합과정에서 의미의 폭이 상당히 바뀌게 딥니다.

그래서 도교 전공하는 분들 가운데서도 이 구분을 못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구분이 가장 중요하다는 거죠.

그 다음 세 번째로 등장하는 게 현학(玄學) 혹은 형이상학적 해석입니다. 특히 왕필이 노자를 해석했던 방식을 후대의 학자들이 기무론이다, 무를 중시하는 철학이라고 하는데. 틀린 말은 아니에요. 하지만 그 때 무가 형이상학적 절대 무가 아니라는 걸 지적하고 싶어요.

특히 이런 걸 추적할 때 중요한 점은, 아라비아에서 발명한 게 0이잖습니까. 0이라는 개념만큼 이해하기 어려운. 진짜 개념이거든요. 고대 중국의 수학책을 보면, 제가 뒤져봤어요. 중국에서 0이라는 걸 개념적으로 흡수하게 되는 건 불교를 받아들인 이후입니다.

즉 공(空)개념을 흡수한 다음에 일어난 일이라는 거죠. 하나는 막대기 하나놓고, 막대기 두 개 놓으면 2고 막대기 세 개 놓으면 3이에요. 그럼 0은 막대기 없다. 이게 0이에요.

개념으로 정립돼 있지 않는다는 거죠. 0이라는 개념이 정립돼 있을 때 형이상학적 무라는 개념이 이해되거든요. 조사를 해보니까 중국에서 상당히 늦게 0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입니다.

불교가 들어온 이후에만 가능하다는 거죠. 특히 회남자 책을 보면 유와 무를 둘러싸고 겹쳐놓고서 복잡한 논리식을 만들어놓은 게 꽤 있는데 그때 무에 관한 규정이 나와요. 넝쿨 있죠, 만물이 구분이 불가능할 정도로 뒤엉켜 있는 상태를 무라고 이야기합니다.

유와 무라는 개념은 존재론적인 개념이 아니라 인식적이고 개념적인 틀이라는 거죠. 무엇이라 규정한 수 없다. 그래서 무명유형이라는 말이 쓰이는 까닭이 분명한 형체가 지각되지 않으면 거기에 대해 이름 붙일 수 없다는 말과 똑같습니다.

왕필이 도를 해석하면서 무명유형이라는 말을 반복적으로 쓰는 까닭이 바로 거기에 있거든요. 하지만 그렇더라도 형이상학적인 내용이 많이 가미된 건 사실이에요. 왕필 대에 들어가서.

특히 이 도가 주역의 태극으로 해석됩니다. 제가 엊그저께 서점엘 나가보니까 조선시대 서명 선생이 지은 『도덕지귀』라는 책이 있는데 아주 꼼꼼한 주석과 더불이 번역이 돼 있어요.

굉장히 연구를 많이 하신 전공자들이 했기 때문에 참고가 될 만한데, 거기서도 도를 태극이라고 해석합니다. 그건 왕필이 없었으면 불가능한데, 바로 이 왕필 식의 새로운 형이상학적이고 현학적인 해석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겁니다.

그런데 우리는 왕필 식의 현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인 해석이 노자의 주이고 노자의 원이라고 확장합니다. 그게 문제가 있다고 하는 거죠. 이것도 있었지만 다른 부분도 있었다고 말하는 거죠.

그 다음에 네 번째는 처세술 혹은 권모술수라는 이단으로서의 해석. 이 얘기는 사실 앞에 나와야 하는데, 제왕지술과 같은 건데. 제왕지술로 읽는 사람은 노자를 읽을 때 의리적으로 읽는 사람이 아니에요. 그냥 읽고선 말 안하고 몸으로 실천하는 거죠.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것은 그와 같은 권모술수적 성향을 비판하면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이단이라는 말과 붙어 있게 되는 겁니다. 이때 이단은 종교적 이단이 아니라, 말하자면 온전한 삶으로 가는 길이 아니라는 거죠.

그 다음 다섯 번째, 신과학 혹은 신비주의적 해석. 80년대에 노자가 유행하게 된 중요한 배경을 이루고 있는 겁니다.

그래서 함석헌 선생이 무위를 해석할 때 엔트로피를 이용해서 해석하시죠. 우리나라에서는 신과학 운동과 연관 있고 특히 프리쳐 카프라 같은 사람들의 입에서 나오는 얘기.

문제는, 과학을 얘기하지만 이때 주장되는 동아시아의 사상들은 과학이 아니라 신비주의로 이해된다는 것을 놓치면 안 돼요. 신비주의는 불합리하다는 거죠. 불합리하지만 뜬금없이 갑자기 통찰을 준대요. 많은 책들이 그렇게 돼 있어요. 우린 이런 논리에 조심해야 한다는 겁니다.

서양 사람들이 신비주의라고 몰아붙일 때, 종교학 하는 사람들은 몰라도 철학하는 사람들이 신비주의라고 표현하는 것은 철학이 아니라고 얘기하는 것이거든요. 그럴듯하게 높여주면서 철학이 아니라고 얘기하는 거고, 아마존에 들어 가고 ‘노자와 타오이즘’ 이라고 쓴 책들을 보면 mysterious 혹은 mystericism religious 라고 붙어 있는 책이 훨씬 더 많다는 걸 알게 되실 거예요.

왜냐하면 노자 속에 철학적인 내용이 있다고 말하지 노자라는 텍스트가 철학책이 라고 말하지는 않습니다. 드물어요. 얼마 전에 독일 출신 학자 가운데 욀러라는 사람이 있는데, 이 분이 도덕경을 번역하면서 굉장히 재미난 책을 썼어요.

읽어보니까, 노자에 나온 테마를 상당히 새롭게 재해석하는 문인인데, 나중에 세미나 하게 되면 그런 세미도 느끼실 거예요. 장자에 나오는 우화를 해석하는 게 무지무지하게 어려운 것이거든요. 이렇게도 해석되고 저렇게도 해석되는데.

그걸 근원학적으로 접근해 들어가서 그럴듯하다 싶을 정도로 해석하는 게, 사실 그런 것을 위해 주석서를 보는 건데, 외국인들이 가끔씩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경우들이 많다니까요. 고문헌에는 해박하기 때문에.

그런데 그 사람이 하는 얘기가, 출간된 책이에요. 『노자의 철학적 종교적 측면들』『Religious and Philosophical Aspects of the Laozi』(Csikszentmihalyi, Mark (Edt)) 라고 하는 편집된 책이 있어요. 이 책에 대한 서문을 써달라고 제안 받았다가 그 사람이 그런 얘기를 하는 거예요. 왜 그렇게 읽느냐. 그건 곤란하다.

즉, 이 사람들은 노자에 대해 Philosophy를 붙이는 건 있을 수 없는 이야기라고 생각한다는 거죠.

그 다음에 여섯 번째, 문화사적 종교사적 해석. 이 부분이 굉장히 넓은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묶어버린 까닭은 우리나라 학자층이 좁기 때문에 그런 거예요.

이런 식의 해석을 하는 사람은 중문과에 계신 분들이거나 전문번역가인데. 예를 들면 소병(簫兵), 『노자와 성』과 같은 책이 대표적입니다. 문제는 뭐냐. 노자에도 나오는 용어들이 당시의 문화적 지형도와 동격으로 해석해버리면 노자라고 하는 텍스트의 주석학적 전통에서 나오는 용어의 전통과 틀릴 수도 있어요.

반드시 고문자학이 주석사와 꼭 일치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왜냐하면 그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사전을 갖고 공부하던 시대가 아니라는 겁니다. 우리와 조건이 다르다는 거죠.

이런 부분은, ‘아 저런 방식으로 읽을수도 있구나’라고 하는 게 좋지, 철학과 곧바로 연결시켜서 왜 저기랑 여기가 다르냐고 하는 이상한 생각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여섯 번째와 관련해 소개할만한 책이 있는데, 노먼 J 지라드라고 하는 사람이에요. ‘혼돈신화’를 해석한 책이에요. 고대 중국에도 이른바 창조, creation myth가 있었다는 걸 논증한 책인데. ‘창조신화’ 이 사람이 그 다음에 두꺼운 책을 썼는데 제임스 레게라고 하는 동아시아 고전을 많이 영역했던 사람을 다룬 책이에요.

그런데 제임스 레게 같은 사람이 어떻게 출현할 수 있었는가를 당시 빅토리아 시대를 훑으면서 쓴 책이거든요. 굉장히 비중있는 사람이고, 콜로라도 대학인가. 나중에 기회가 되면 이 사람 얘기를. 그리고 『철학에서 이야기로』에 약간 소개돼 있기도 하죠.

일곱 번째가 소박한 유물변증법과 역사유물론의 중국적 기원, 즉 마오이즘. 193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대륙중국에서 많이 강조했던 노자를 보는 해석이었죠.

여덟 번 째, 유가적 다윈적 해석. 함석헌 선생님이 포함되기도 하고 저도 포함돼 보고 싶은 부류에 속하는데. 이게 조선시대 노장읽기의 방식입니다. 특징이 두 가지입니다.

첫 째는 유가적이다. 왜 그러냐. 한번 잘 생각해 보세요. 노자라고 하는 텍스트는 절성기지, 절인기의 즉 도덕성을 의존하지 마라. 그 다음에 지적, 합리적, 반성적인 삶의 방식은 최고로 바람직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잖아요.

그런데 유가적 해석이라고 붙일 수 있는 까닭은, 그와 같은 내용을 말하고 있는 책을 갖다가 유학의 타락한 점, 사회의 불투명하고 불합리한 점을 비판하는 방식의 논리적 무기로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어요.

절성기지나 절인기의를 말하지만, 그런 도덕성을 가지고 사회의 도덕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그 용어를 쓴다는 게 역설적이라는 거죠. 이게 유가적인 겁니다. 왕필이 유가적인 이유도 그런 점에서 성립되는 거예요.

지난 번에도 봤잖아요. 상현, 불상현. 노자 연구는 현명하다고 판단되는 놈들을 정치나 행정관료로 임용하지 말라는 것이거든요. 하상공은 말 번지르르하게 하는 부류에 속한 사람을 임용하지 말라고 그대로 해석하지 않습니다.

왕필은 어떻게 했었죠? 제대로 될 사람을 임용하면 다툼이 없을 거니까 숭상하지 않게 된다고 말을 바꾸잖아요. 그럼 무슨 뜻입니까. 재능있는 사람을 임용해라.

동일한 노자의 구절을 하상공과 왕필은 전혀 다른 방식의 의미로 바꾸어 버립니다. 왜곡이 아니라, 그가 유가이기 때문에. 달리 말하면, 절인기의, 절성기지와 같은 반문명적 혹은 반주지주의적 혹은 반도덕적 이런 식의 표현을 통해서 오히려 도덕성을 세우고 사회성을 높이는 데 이용한다. 그래서 이건 분명 유가적입니다.

그리고 다원적이죠. 노자의 기본적인 뜻. 공자를 얘기하면서 성인의 뜻을 이야기하지 왕필의 책을 읽어가면서 성인의 뜻과 같은 얘기 안 나옵니다.

물론 노자지략이라는 책 속에서 노자의 핵심저인 내용을 숭본의식말이라는 표현으로 집약하고 있긴 하지만, 그건 방법론적인 차월인 뿐이에요.

즉, '공자와 같은 성인의 위대한 뜻을 얻어내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와 같은 태도가 노자를 읽는 데에는 없습니다.


▲ 비판 무기로서 노자

따라서 노자라는 책은 얼마나 새롭고 의미 있는 통찰을 얻어낼 수 있느냐는 정도만 중요하지, 도덕성과 같은 핵심적인 부분은 이미 있는 거예요.

이렇게 비유하면 될 것 같아요. 노자라는 프로그램이 있고 이 프로그램을 가지고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이 사람들이 과거에 도가겠죠. 이 프로그램을 가지고 활용하는 게 아니라 이 프로그램을 깔아서 상대되는 다른 프로그램이 작동하지 못 하도록 제어하는 장치로서만 이용한다는 거죠. 내용은 상관없이.

그래서 이 유가적, 다원적 해석의 특징은 바로 비판철학의 기능. 유가철학 자체에는 비판철학으로서의 논리적 무기가 상당히 적어요.

즉, 사회비판으로서의 무기는 많지만 철학 대 철학이 싸울 때 그걸 비판하는 논리적 무기는 상당히 적어요. 왜냐. 이미 진리의 말씀들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은 실천의 문제예요.

그런데 도가 쪽이나 장자를 한번 읽어보세요. 자기 철학은 무엇이다고 하는 것보다는 수많은 타자에 대해서 다른 족에 대해서 비판하고 조소하고 풍자하고 은유하는 내용이 훨씬 많잖습니까. 당연히 비판의 논리가 더 많이 들어있죠.

그래서 노장철학의 기본적인 특징은 유학자끼리 싸울 때 유학을 가지고 유학을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노장을 가지고 상대방을 비판할 때만 써요 주로. 이것이 바로 노장전통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용당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아요, 유학은. 노자는 이용할 수 있는 여지가 훨씬 많지만, 유가는 상대적으로 이념지향성격이 분명한 데 비해서 노장철학은 이념지향적인 성격이 모호해집니다.

충과 효를 굉장히 중요한 가치로 이야기 하는 유가가 충효를 비판할 수 없잖습니까. 그래서 노자를 원용해서 비판하는 건데. 그런데 그때 비판하는 게 제대로 된 충효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비판하는 거잖아요.

같은 용어를 공유하는 사람들끼리 상대방을 비판하는 게 어려운 상황이라는 걸 생각하시면, 노장이 얼마나 효과적인 전술적 무기였는가. 그래서 노장 전통이라고 하는 것은 노자와 장자의 도가 무엇인가를 궁금해 하는 사람이 아니라 그걸 하나의 도구처럼 사용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로 읽는 게 훨씬 더 정확한 판단입니다.

노자나 장자를 이용하고 활용했지 노자나 장자라는 철학 자체를 승화하거나 그걸 펼치려고 했던 바가 적었다는 겁니다. 그건 도가, 예술철학으로 가면 쫙 펼쳐지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