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23

뇌는 어떻게 의식을 만드는가. 문규민

뇌는 어떻게 의식을 만드는가. 문규민

책·잡지 이야기/SKEPTIC

뇌는 어떻게 의식을 만드는가. 문규민

BRAD
댓글수0

의식의 개념.

의식에 대한 과학적 탐구과 왜 그리도 문제적인지.

의식과학의 가능성과 현황

 

1. 의식이라는 우산용어 파헤치기

  * 우산용어 : 여러 가지 이질적인 것을 뒤덮어 마치 같은 개념인 것처럼 지칭하는 것

 1) 의식의 여러 정의

  - 마크 솜즈

    * 신경정신분석

    * 의식은 상태와 내용

      : 상태는 내용을 담고 있는 그릇 같은 것

  - 크리스토프 코흐

    * 의식의 신경상관물에 대한 연주 진행

    * 의식 그 자체와 의식의 내용

  - 데이비드 로즌솔

    * 철학자

    * 상태적 의식과 유기체적 의식

      : 상태의식 - 의식적 사고나 의식적 욕망처럼 어떤 심적 상태가 의식적일 때 그 상태에 귀속되는 의식

      : 유기체의식 - '이 사람이 완전히 의식을 잃었다'처럼 의식이 유기체에 귀속되는 의식

  - 모두 의식을 상태와 내용으로 구분

 2) 의식의 내용

  - 후설

    * 모든 의식은 무엇인가에 대한 의식

      : 의식의 표상적 내용 또한 의식적 경험이 무엇에 대한 것인지, 또는 무엇을 의미하는지와 관련된 내용

      : 의식의 표상적 내용

    * 현상학적 내용

      : 의식의 표상적 내용으로는 포착되지 않는, 의식이 어떻게 주체의 관점에서 느껴지는지와 관련된 내용

    * 예) 잘 익은 토마토를 보는 시각 경험

      : (표상적 내용)그것은 무엇에 관한 것인가 - 앞에 잘 익은 토마토가 있다는 사채에 대한 것

      : (현상학적 내용)그 경험은 어떠한가 - 말로 표현하기 어렵지만, 불그스름함, 둥그스름함, 광택 등으로 표형

    * 의식적 경험의 표상적 내용

      : 정신적 그림에 의해 그려진 것

    * 현상학적 내용

      : 그림을 그리는 데 필요한 정신적 물감

  - 접근의식  & 편상적 의식

  - 자각 & 경험

 3) 의식과학에서의 현상학적 내용

  - 표상적 내용

    * 인지과학은 표상인 지각, 판단, 의사결정, 사고, 기억 등을 정보처리의 관점에서 설명

      : 즉 토마토에 대한 지각이나 생각, 상상 또는 기억과 관련된 문제는 인지과학이나 신경과학의 패러다임 내에서 설명 가능

  - 현상학적 내용

    * 경험이 어떠한가에 대한 내용

    * 철학자 토머스 네이글의 논문 <박쥐가 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 초음파를 통해 인지하는 박쥐에 대해 모든 것을 안다고 하더라도 박쥐가 어떤 느낌일지 전혀 알 수 없을 거라는 주장

      : 박쥐 의식에 대한 현상학 적 내용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대한 난색 표현

      : 감각질에 관한 이야기

 

2. 의식의 '쉬운'문제와 '어려운' 문제

  1) 감각질

    - 현상적 속성, 현상적 질, 날 느낌

    - 감각질의 네가지 속성

      * 내재성

         : 비관계적 - 의식이 다른 것과 맺는 관계와 무관

         : 의식이 무엇을 표상하건, 어떤 정보를 처리하건, 어떤 생리현상을 야기하건 무관하게 어떤 감각질을 가질 수도 아닐 수도 있음

         : 감금증후군 - 감각절의 내재성에 대한 강렬한 예

         : 의식이 다른 것과 맺는 인과관계나 지향적 관계와 적어도 원칙적으로는 따로 놈

      * 형언 불가능성

         : 특정한 감각질을 알려면 직접 경험하는  수 밖에 없음

         : 선천적 색맹이 색깔을 구분하는 방식은 직접 경험하는 수 밖에 없음

      * 직접적 접근 가능성

         : 경험에 대해서는 '그냥'아는 것

         : 감각질에 대한 인지적 접근은 추론과 판단을 매개하지 않음

      * 사밀성

         : 경험 주체를 제외한 그 누구와도 공유될 수 없음 

  2) 차머스의 감각질에 대한 연구

     - 의식의 어려운 문제와 쉬운 문제를 구분

       * 쉬운 문제

          : 환경자극에 대한 식별, 범주화, 반응 능력, 인지체계에 의한 정보의 통합, 심적 상태의 보고 가능성, 자신의 내적 상태에 대한 체계의 접근 가능성, 행동의 의도적 통제, 주의의 초점, 각성과 수면의 차이 등

          : 원틱적으로 인지과학과 신경과학에 의해 해명 가능

       * 어려운 문제

          : 유기체는 어떻게 경험의 주체가 되는가

          : 감각 정보에 대한 자각은 애당초 왜 존재하는가

          : 감각질읜 왜 존재하는가

          : 경험의 주관적 요소는 왜 존재하는가

          : 왜 우리의 감각질은 없어지지 않는가

          : 의식의 현상학적 내용, 즉 감감질에 해당하는 문제들

          : 물리과학은 원칙적으로 조작/측정 가능한 문제만 다룸.  감각질 문제는 물리적 측면과 무관. 물리과학으로는 원천적 해결 봉쇄

 

3. 의식을 조작적으로 정의할 수 있을까?

  * 정말 감각질은 물리적 상태나 속성들로부터 독립적인가

  1) 차머스의 좀비  논변

      - 철학적 좀비

        * 우리와 물리적 측면은 동일하지만 감각질이 누락된 존재

           : 상상 가능하며 원칙적으로 가능

      - 철학적 좀비와 과학적 연구

        * 과학적 연구

           : 조작적 정의, 경험적 조작과 측정이 가능한 속성

           : 감각질의 비관계성으로 인해 감각질을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

 

4. 가능한 대안들: 제거, 혁명, 문제해결

   * 현재의 물리과학으로는 감각질 탐구불가, 감각질에 대한 과학적 탐구는 물리과학의 유지가 힘들게 됨

  1) 제거

    - 감각질의 존재 자체를 부정

      * 데닛

         : 감각질은 환영에 불과

          : 의식의 어려운 문제는 복잡하게 얽힌 쉬운 문제일 뿐

         : 정보 처리나 계산주의 패러다임으로 이해 가능

      * 내재성이나 형언 불가능을 설명해야 하는 부담

  2) 감각질 설명을 위해 현재 과학을 근본적으로 교정

      * 차머스

         : 감각질은 스핀이나 질량, 전하와 같이 근본적인 속성

         : 이런 물리적 근본적 속성과 감각질을 이어주는 근본적인 자연법칙의 존재를 주장

         : 자연주의적 이원론

      * 불가피해 보이지만 감각질을 문제만을 위한 불분명한 근본적 속성과 법칙을 추가한다는 문제점

   3) 문제해결

      * 현재의 의식과학의 조류를 반영

 

5. 감각질 제거할 것인가, 설명할 것인가

  1) 광역뉴런작업공간이론(GNWT)

      : 의식의 어려운 문제는 잘못 제기된 문제

      : 감각질은 결국 정보 처리나 계산주의 패러다임 안에서 해결 가능

      : 어떤 정보가 인식을 통해 접근 가능한 공간인 광역작업공간에 있게 되면 의식이 발현

      : 의식적 경험은 뇌의 광범위한 피질영역에서의 장거리 앞뒤먹임 연결이 활성화됨

  2) 통합정보이론(IIT)

      : 의식적 경험을 특수한 방식으로 통합된 특수한 정보와 동일시

      : 신경수준이 아닌 정보 수준에서 의식의 본성을 밝히려 함

      : 경험에 대한 내성, 현상학적 직관으로부터 시작. 의식에 대한 정량적 계산이 가능

      : 계산적 부담이 커서 직접 검증이 어려움

      * 중요성

         : 감각질의 특정하여 정량적으로 잼

         : 진홍색의 질과 분홍색의 질의 유사성, 녹색의 질과의 차이

         :  통증의 쾌감과의 차이, 우울과의 유사 등을 설명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