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17

Taechang Kim 알라딘: 기의 철학

알라딘: 기의 철학


기의 철학  | 예문서원 연구총서 32
장입문 (지은이),
김교빈 (옮긴이)예문서원2004-08-20



570쪽

책소개

1992년 예문지에서 펴낸 '기의 철학'을 재간한 책이다. 
예문지판 [기의 철학]은 본래 상하 2권으로 분책되어 있었는데, 
이번에 [리의 철학]의 발간에 맞추어서 체제와 표기법 등을 통일하여 
단권으로 재간행하였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선진 시기의 기
제2장 진한 시기의 기
제3장 위진남북조 시기의 기
제4장 수당 시기의 기
제5장 북송 시기의 기
제6장 남송 시기의 기
제7장 원명 시기의 기
제8장 명청교체기의 기
제9장 근대의 기

맺는 말
후기
찾아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장입문 (지은이)


<기의 철학>

최근작 : <리의 철학>,<기의 철학> … 총 2종 (모두보기)

김교빈 (옮긴이)

호서대학교 문화기획학과 교수.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이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장, 인문콘텐츠학회 회장. 저서에 『동양철학에세이 1, 2』(공저) 외 다수가 있으며 역서로 『몸으로 본 중국사상』(공역), 『중국고대의 논리』(공역), 『기』(공역) 등이 있다.


최근작 : <동양철학산책 (워크북 포함)>,<망각과 기억의 변증법>,<정신의 풍경에서 노닐다> … 총 35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어쩌면 동양 전통철학의 최대 성과는 기라는 개념 속에 있지 않을까?
서양철학으로 재해석해 낼 수 있는 가장 물질개념에 근사한 실체, 그러나 결코 물질개념만으로는 치환될 수 없는 정신적 실체.
형이상과 형이하를 넘나들던 동양철학에서의 기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우리는 ‘기를 수련한다’느니 ‘기가 허하다’느니 하는 말들을 자주 듣는다. 이것은 현대에까지 남아 있는 동양 전통철학에서의 기 개념의 흔적들이다. 그러나 기를 호흡법이나 도인법에서의 기 또는 점성술에서 읽어내고자 하는 기운의 의미 정도로만 해석하는 것은 동양철학의 본령이 아니다.
전통철학에서 기 개념은 다층의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 그것은 리 개념과 병행하면서 형이하적인 의미로 해석되기도 하다가 어느새 리 개념을 잠식하고 유일한 우주본체로 해석되기도 한다. ‘기’라는 글자는 원래 구름의 모양을 본뜬 상형문자였으나 점차 만물을 구성하는 근원적인 물질로 추상화되고, 드디어 추상의 정도가 발전하여 우주본체의 의미까지 가지게 된 것이다. 기는 현대에 와서 서양의 물질개념을 대체하기도 하지만, 그런 가운데 물질개념의 형이하적 속성을 공격하면서 그 기반을 위협하기도 한다. 이렇게 기 개념은 형이상과 형이하를 넘나들면서 서로 양립할 수 없을 것 같은 의미 내용을 자기 속에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은 1992년 예문지에서 펴낸 [기의 철학]을 재간한 것이다. 예문지판 [기의 철학]은 본래 상하 2권으로 분책되어 있었는데, 이번에 [리의 철학]의 발간에 맞추어서 체제와 표기법 등을 통일하여 단권으로 재간행하였다. 접기
===
Taechang Kim
張立文主編
《気》(中国哲学範疇精膸
叢書 :中国人民大学出版社

1990年を韓国湖西大学キムキョウビン教授外10名の共同翻訳で
1992年イェムン書院からしゅっぱんされたもの。
先ず、編者による
きの範疇六ヶ条をみてみましょう。
" 1。気は自然万物の根源
あるいはほんたいであ
る。
2。気は客観的に存在する
質料あるいは元素であ
る。
3。気は '動態機能' を備えた
客観実体である。
4。気は宇宙に充満する物質
媒介あるいは媒体であ
る。
5。気は人間の性命である。
長寿と夭逝、善と悪、貧と富、尊貴と卑賤などはすべて気と連関している。
6。気は道徳境地である。気は義を集めることによって生じる一種の道徳理想である。
気は客観的に存在する実体を意味することもあり、主体の道徳精神を意味することもある。気と謂う範疇は自然-社会-人生を包括すると同時に中国哲学発展史において各学派が共通して使ってきた範疇である。そっれは
意味が深くて複雑なので単純に理解できない"
( pp. 42-44)
どう思いますか?
ReplySee translation1 y



===
장립문주편 《기》(중국철학범주 정고서서 : 중국인민대학 출판사 1990년을 한국호서대학 김교빈 교수 외 10명의 공동번역으로
1992년 예문서원에서 푹 빠진 것. 
먼저 편자에 의한 범 롯카조를 봅시다." 


1. 기는 자연만물의 근원 혹은 정말이다. 
2. 기는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질료 또는 원소이다. 객관실체 
3. 기는 '동태기능'을 갖춘 객관실체이다.
4. 기는 우주에 충만하는 물질 매개 혹은 매체이다 
5. 기는 인간의 성명이다. 
6. 기는 도덕 경지이다. 기는 의를 모아서 생기는 일종의 도덕 이상이다.
 기는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실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주체의 도덕 정신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하는 

범주는 자연-사회-인생을 포괄하는 동시에 중국 철학 발전사에 있어서 각 학파가 공통적으로 사용해 온 범주이다.
그것은 의미가 깊고 복잡하기 때문에 단순히 이해 할 수 없다". (pp. 42-44) 

어떻게 생각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