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칠정(四端七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단칠정 (四端七情)
글자 크기
의견 제시
URL 복사페이스북 공유트위터 공유
천명도설 / 정지운
유교
개념
인간의 네 가지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마음[心]과 일곱 가지 감정[情]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사칠론·수양론.
접기/펼치기목차
정의
내용
참고문헌
접기/펼치기정의
인간의 네 가지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마음[心]과 일곱 가지 감정[情]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사칠론·수양론.
접기/펼치기내용
사단은 측은지심(惻隱之心) · 수오지심(羞惡之心) · 사양지심(辭讓之心) · 시비지심(是非之心)의 네 가지 마음(감정)으로서 각각 인(仁) · 의(義) · 예(禮) · 지(智)의 착한 본성[德]에서 발로되어 나오는 감정이다.
그러므로 단서라고 이름 붙였는데, 단(端)이라 함은 선(善)이 발생할 가능성을 가진 시초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맹자의 용어로서 ≪맹자≫ 공손추편(公孫丑篇)에 나온다.
측은지심은 타인의 불행을 아파하는 마음, 수오지심은 부끄럽게 여기고 수치스럽게 여기는 마음, 사양지심은 타인에게 양보하는 마음, 시비지심은 선악시비를 판별하는 마음이다.
맹자에 의하면 이 사단은 모든 사람이 다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일종의 선천적인 도덕적 능력이다. 그러므로 맹자는 이것을 확충함으로써 인 · 의 · 예 · 지의 덕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였다.
예를 들면, 측은지심의 경우 어린 아이가 우물에 빠지려고 할 때 누구나 아무 조건 없이 그 아이를 끌어안고 구하려는 마음이 순수하게 발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간의 소박한 자발적인 행위를 보면 인간의 본성이 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사단설은 맹자 성선설(性善說)의 근본으로서 인간의 도덕적 주체 내지 도덕적 규범의 근거를 이루고 있다.
칠정은 희(喜) · 노(怒) · 애(哀) · 구(懼) · 애(愛) · 오(惡) · 욕(欲)의 일곱 가지 감정인데, ≪예기≫ 예운편(禮運篇)에서 비롯하여 당(唐)의 한유(韓愈)가 <원성편 原性篇>에서 7정으로 나누어 논하였다. 이것은 중국 고대에서 오래 전부터 있던 사상으로서 인간이 외부 사물에 접하면 여러 가지 정이 표현되는 심리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중용≫에는 희로애락의 발현[發] 이전을 ‘중(中)’, 발현하여 절도에 맞는 감정으로 나타나는 것을 ‘화(和)’라 말하고 있는데, 결국 칠정은 여기서 말한 바와 같이 인간심리의 숨김없는 현실태를 총칭한 것이다.
이렇게 사단과 칠정은 별도로 주장된 것인데, 송대에 성리학이 성립되면서 이른바 사서(四書) 중심의 학풍으로 바뀌자 맹자의 사단설이 중시되고, 아울러 사단에 대립되는 개념인 칠정을 논의하게 되었다. 그러나 주자에 있어서는 사단과 칠정을 조선조 성리학에서처럼 첨예하게 대립시켜 상세하게 논의하지는 않았다.
우리 나라에서는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간의 논쟁 이후로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논쟁을 거쳐 한 말에 이르기까지 조선조 주자학자로서 이 사단칠정에 대해 한마디하지 않은 자가 거의 없을 정도로 한국 성리학 논쟁의 중요 쟁점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사칠론에 존재론적 범주로 사용되던 이(理)와 기(氣)의 개념이 도입되고, 또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이라는 개념이 함께 논의됨으로써 그 논쟁이 한층 복잡하게 되었다.
주자는 “사단은 이의 발현이요, 칠정은 기의 발현이다(四端是理之發 七情是氣之發)”라고 하였다.
또 주자는, 제자가 “희 · 노 · 애 · 구 · 애 · 오 · 욕은 칠정이므로 그것은 인간 본성에서 발현되어 나오는 것입니다만, 노(怒)는 수오지심에서 발현되어 나오고, 희 · 애 · 욕은 모두 측은지심에서 발현되어 나오는 것이 아닙니까?”라고 물은 데 대하여, “애 · 구는 어디에서 발현되어 나오는가? 아마 측은지심에서 발현되어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구(懼)는 두려운 마음이 심한 경우이다. 그러나 칠정을 사단에 일대 일로 나누어 배속(비교) 시킬 수는 없다. 칠정은 그 자체가 사단 속을 꿰뚫어 지나가고 있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취지로 칠정은 사단에 배속시키는 문제를 물은 데 대하여, “대략 서로 비슷한 것과 갖다 붙여 그렇게 말할 수 있을 뿐”이거나 “본디 사단과 칠정은 서로 비슷한 점이 있긴 있다”라고 말하였다.
또한 주자는 “측은 · 수오도 중절(中節 : 절도에 맞음.)과 부중절(不中節 : 절도에 맞지 않음.)이 있다”며, “사단은 시시로 발현하는데 거기에 정(正) · 부정(不正)이 있다”라고 하여 사단도 그 발현에 있어서는 절도에 맞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고 하였다.
이것은 사단도 인간 본성에서 발현되어 나온 감정이기 때문에 그 나타난 현 실태를 보면 중절 · 부중절과 정 · 부정이 있다는 뜻이다.
우리 나라에서의 사단칠정을 둘러싼 논의는 처음에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서 벌어졌다.
그 뒤 이이가 기대승의 설을 지지하고 이황의 설을 반대함으로써 그 논의는 확대되어 성리학 논쟁의 핵심 문제로 등장, 사단 · 칠정뿐 아니라 이기론(理氣論) 및 정치 사회관에 이르기까지 두 유형의 사고 방식의 대립을 보이게까지 되었다.
이로 인하여 주리학파(主理學派) · 주기학파(主氣學派)로 학파가 나누어 그 뒤 많은 학자들이 학파적 관심을 가지고 토론하였다. ‘주리’ · ‘주기’의 문구는 이황과 기대승 사이의 논쟁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서 각각 도덕론적 입장과 존재론적 입장을 상징하고 있다.
즉, 주리 · 주기의 차이의 시원은 인간의 측면에서 자연을 해명하려는 입장과 자연의 측면에서 인간을 해명하려는 입장의 차이에서 나온 것이다. 이 두 관점의 혼재는 성리학의 본래적인 특성, 즉 자연법 사상의 특성으로 흔히 ‘천인합일(天人合一)’ 또는 ‘물리(物理)=도리(道理)’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이황 이전에 정지운(鄭之雲)이 <천명도설 天命圖說>에서 “사단은 이에서 발현하고 칠정은 기에서 발현한다(四端發於理 七情發於氣)”라고 하였는데, 이 문구를 이황이 개작하여 “사단은 이가 발현한 것이요, 칠정은 기가 발현한 것이다(四端理之發 七情氣之發).”라고 하였다.
이에 대해 기대승이 “칠정 이 외에 달리 또 사단이라는 정이 없다”라는 생각에서 이황에게 해명을 요구함으로써 문제가 발단되었다.
그 후 이황은 자기설을 수정하여 “사단은 이가 발현하는데 기가 거기에 따르는 것이요 칠정은 기가 발현하는데 이가 거기에 타는 것이다(四端理發而氣隨之七情氣發而理乘之)"라고 하였다.
그러나 기대승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질문을 계속하여 논쟁이 수차 계속되었으며, 퇴계 사후에 이이가 기대승의 설을 지지하여 칠정은 사단을 내포한 것이며 사단도 기발이승(氣發理乘)일 뿐이라고 하여 이른바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하였다.
이황은 “대개 사람의 몸은 이와 기가 합하여 된 것이다. 그러므로 양자가 서로 발용(發用)하고 서로 필요로 한다. 호발(互發)하므로 각각 주(主)된 바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서로 필요로 하므로 서로 그 가운데 있음을 알 수 있다.
만약 칠정 대 사단으로 분별하여 말하면 칠정의 기에 대한 관계는 사단의 이에 대한 관계와 같다. 또 사단도 물(物)에 감(感)하여 동(動)함은 칠정에 있어서와 다름없으나 다만 사단은 이가 발현하는데 기가 따르는 것이요, 칠정은 기가 발현하는데 이가 타는 것이다"라고 하여 사단 · 칠정 논의를 통하여 이 · 기가 상호발현[互發]한다고 하였다.
이렇게 이황은 주자 학설 중 이와 기는 전연 별개라는 이른바 이기부잡(理氣不雜)의 면을 강조하여 이(理)를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 이와 기를 귀천(貴賤) 관계로 파악하였다.
즉, 이황은 이는 이성(理性), 기는 감성(感性)으로 보았으므로 이가 기를 제어하지 못하면 이욕(利欲)에 떨어져 짐승이 된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황은 사단 · 칠정을 각각 도심(道心)과 인심(人心)에 견주어 선악으로 대립시켜 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이황에게 있어서는 주자에서는 볼 수 없었던 이 · 기의 귀천 관계 내지 기에 대한 이의 제어라는 의미의 우열 관계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그가 우주론에서 이(理)는 작용하는 것으로 본 사고와 표리 관계를 이루는 것이다. 즉, 존재론적 의미로서의 이 · 기를 도덕론을 중심으로 보려 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의 성리학의 특색이 있다.
그러나 주자의 “사단은 이의 발현이요 칠정은 기의 발현이다”라는 명제 및 정지운의 “사단은 이에서 발현하고 칠정은 기에서 발현한다”는 명제는 본래 이 · 기를 대략 선악의 의미로 보아 그 개념을 빌려 사단과 칠정을 논하려고 하였던 소박한 입론(立論)이었다.
그런데 퇴계가 이를 “사단은 이발이기수지, 칠정은 기발이이승지(四端理發而氣隨之 七情氣發而理乘之)”라고 고침으로써 ‘발(發)’에 더욱 강조점이 옮겨지게 되고, 또 ‘수(隨)’자와 ‘승(乘)’자를 대치시켜 은연중 이(理)를 강조하려는 생각을 표현하게 되어, 결국 존재론적 개념인 이 · 기의 개념에 혼란을 가져오게 했던 것이다.
즉, 이(理)는 발현할 수 없는데, 이러한 능동적 발현이 있다고 한 것이다. 이는 이 · 기 개념으로는 그의 도덕론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었던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위의 명제에서 나타난 그의 사상적 특성과 그의 언어 사용상의 착오와 한계는 구분해야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퇴계의 입론에 담긴 사상의 특성을 잘 알 수 있다.
이황의 이발론(理發論)과 관련하여 고려할 점은 성리학의 심성구조론(心性構造論)인 ‘성이 발현하여 정이 된다(性發爲情)’라는 명제다. 이는 성 · 정을 본체와 작용으로 나누어 심성의 구조를 말한 것으로서 성(性)의 본체의 운동이나 작용을 말한 것이 아니다.
이황의 “사단은 이(理)의 발현[發]”이라는 입론에서의 ‘발(發)’의 의미와는 언어상의 큰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황의 ‘이발론’은 왕수인(王守仁)의 ‘심즉리(心卽理)’가 “심을 이에 합치시켜라”라고 하는 수양론적 의미가 강한 것과 같이 “이가 기를 제어하여 금수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도덕론적 강령으로서의 의미가 강하다.
이황의 이러한 주리적 사고는 그 뒤 이진상(李震相)에 이르러 왕양명과는 다른 ‘심즉리’ 설을 주창하게 되는데, 이는 주리적 사고의 필연적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이는 이황이 사단을 이(理)의 발현 즉, 이성적 작용으로 파악한 데 대해 이성적 작용도 작용인 이상 기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 이는 무위(無爲)라는 주자의 설을 계승, 존재와 도덕을 일괄하여 이 · 기 관계를 이른바 ‘기발이승일도설’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사단과 칠정의 관계는 칠정은 기의 발동의 총칭이므로 사단은 칠정에 포함된다고 본다. 이이는 “사단과 칠정은 본연지성(本然之性) · 기질지성(氣質之性)과의 관계와 같다. 본연지성은 기질을 겸하지 않고 말한 것이며, 기질지성은 도리어 본연지성을 겸한다.
그러므로 사단은 칠정을 겸하지 못하나 칠정은 사단을 겸한다”라고 하였다. 그는 인심 · 도심은, 이황에서처럼 대립적이기는 하나, 그것이 사단 · 칠정과 같은 대립 관계는 아니라고 하였다.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는 주장에서 이이는 다시 칠정과 사단을 비슷한 것끼리 연결시켜, 측은은 애(愛)에, 수오는 오(惡)에, 공경은 구(懼)에, 시비는 ‘희로(喜怒)의 당연성 여부를 아는 것’에 배속시킨다.
그러나 주자는 칠정과 사단은 비슷한 점이 있지만 그 성격상 나누어 붙이기 어렵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이이의 ‘사칠배속’은 그의 ‘기발이승일도설’의 필연적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지나친 천착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칠정의 선한 것과 사단은 다르기 때문이다. 사단은 도덕의 표준이라는 성격을 갖는 것이므로 칠정의 선한 것과 같다고는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이는 존재론의 입장에서 도덕률을 규정하려고 하였으므로 ‘천지의 변화(天地之化)’는 바로 ‘내 마음의 발현(吾心之發)’이라고 하여 천지에 이화(理化) · 기화(氣化)의 구분이 없다면 우리 마음에도 이발 · 기발이 없다고 하였다.
이이의 이러한 입장은 그의 ‘이통기국(理通氣局)’의 명제에도 잘 표현되어 있다. 즉, 기는 물질적 · 시간적 유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국(氣局)’이고, 이는 초월적 존재로 보편적 존재이기 때문에 시공(時空)에 국한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통(理通)’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의 ‘기발이승일도설’은 더 나아가 ‘심시기(心是氣)’를 주장하게 되고, 이 설은 그 뒤 주기학파의 송시열(宋時烈) · 한원진(韓元震) 등에게 계승되었다.
우리 나라에서의 사칠 논쟁은 이황 · 기대승 · 이이의 초기 논쟁에서는 이황의 ‘발(發)’개념의 오해, 이이의 사칠배속의 천착 등으로 개념상의 혼란이 야기되어 논쟁의 실마리가 잘 풀리지 않았다.
더욱이 존재론적 시각(사실의 차원)과 도덕론적 시각(가치의 차원) 상호 간의 입장 이해가 전제되지 않아 논쟁이 언어상의 논쟁에 맴돌았다.
그러나 그 뒤 많은 학자들이 다시 논의함으로써 개념이 다시 분석, 정리되어 이황 · 이이의 사고 방식이 점차 명료하게 되어 갔다. 물론 이 논쟁의 시원적 원인은 자연법 사상으로서의 주자학 자체 내에 있었다.
즉, 존재론의 차원에서는 이(理)가 무위(無爲)이면서 도덕론에서는 ‘사단은 이의 발현’이라 하였고, 사단은 본성의 발현으로 순선무악(純善無惡)하다고 하면서 사단에도 ‘중절 · 부중절’ 또 ‘정 · 부정’이 있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 유학 사상사에서 사단칠정론은 성리학 이론 논쟁의 핵심이지만 이것이 사상 문제에만 그치지 않고, 현실을 보는 두 유형의 사고정형(思考定型)으로서 이황의 이상주의, 이이의 현실주의를 형성하였다.
접기/펼치기참고문헌
『주자대전(朱子大全)』
『주자어류(朱子語類)』
『퇴계전서』
『율곡전서』
『조선유학사』(현상윤, 민중서관, 1948)
「한국유학사」(성낙훈, 『한국문화사대계』 11, 1970)
『퇴계의 생애와 사상』(이상은, 서문당, 1973)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