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프루트
불교 용어 팔라미 | |
---|---|
파리어 | 과거에 |
산스크리트어 | 파라미타 |
중국인 | 잭프루트 |
일본어 | 파라 꿀, 파라 꿀 다 ( 로마자 : 하라 미츠, 하라 미 ) |
영어 | 완전 |
|
波羅蜜(하라 미츠, 파리 어 : Pāramī, 팔라미, 산스크리트어: पारमिता , Pāramitā , 팔라 미터 ) 는 완전성 을 의미 하는 불교 용어. 불전문학에서 석가 는 전세에서 수행에 있어서 10개의 파라밀을 완성시킨 결과 수천년 전 인도에 강림한 것으로 밝혀졌다 .
다시 대승 불교 에서는 부처 가 되기 위해 보살 이 하는 수행 [ 2] . 도그 해안 (도 히암 ), 도 (도), 파라 꿀 다 (하라미) 등으로도 번역 [3] [주석 1] . 육파라밀과 십 파라 밀 이 있다 [2] .
어원 [ 편집 ]
산스크리트 문법에 의한 어원적 해석에서는 Pāramitā 를 " pāramī "("최고의"를 의미하는 " parama "의 여성형) + " -tā "(추상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로 분해하여 "최고이다" 일", "완전한 것"으로 여겨지는 [ 요출전 ] . 그러나 중국 과 티베트 와 같은 북전 불교 의 전통적인 해석에서는 이것을 " pāram "( 그분 , " pāra "의 성격) + " ita "(동사 " i " 가는 과거분사(여성형)이라고 읽고, 한어역에 있어서는 「그쪽으로 갔다」즉 쑤기시 (미혹)로부터 그안 (기각 )에 이르는 행이라고 풀리는 것이 통례이다 [5] . 예를 들어, 한어역에서의 「도(도)」, 「도(도))의 해안」등의 번역어나, 티베트어 역의 「파로르투・치파」( pha rol tu phyin pa )도 「파로르투」(pha rol tu )가 " pāram "이고 "chimpa"( phyin pa )가 " itā "에 해당하는 단어입니다 [5] .
부파 불교 [ 편집 ]
상좌부 다이지파 [ 편집 ]
상좌부 불교 에 있어서는, 열반에 이르기 위한 수행이나 전세를 포함한 선행. 파리 불전 의 불종 성경 에서는 다음과 같은 십파라밀을 들 수 있다.
- 베푸는 것( Dāna ) [1]
- 계율( Sīla ) [1]
- 탈출 (Nekkhamma) - 속세의 욕심에서 멀리하는 것 [1] .
- 智慧(Paññā) - 진리를 발견하는 것 [1] .
- 정진 (Viriya)- 목적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 [1] .
- 닌욕 (Khanti) - 올바른 길을 포기하지 않고 진행하는 것 [1] .
- 진실 ( Sacca ) - 거짓말을하지 않는 것 [1] .
- 맹세(Adhiṭṭhāna)- 우유부단을 극복하고 목표를 정하는 것 [1] .
- 자 ( Mettā ) - 삶을 살아가는 것 [1] .
- 평정 (Upekkha) - 집착 없음 [1]
모든 것이 사역이 있다고 말하다 [ 편집 ]
사파라 꿀 [ 편집 ]
카슈미르 유부의 『오오비타사론』에는 이하의 사파라밀이 설해진다. [6]
- 스파로미도(다나)
- 바라미타(Śīla) 금욕
- 부지런한 바라미타(Vīrya)
- 반야바라밀타(Prajñā)
대승불교 [ 편집 ]
롯바라 꿀 [ 편집 ]
六波羅蜜(로쿠하라미츠, 롯파라미츠, 梵: Ṣatpāramitā ) 는 대승불교에서 설교하는 깨달음의 해안에 이르기 위한 6개의 수행덕 [7] . 육도 그 해안(로쿠도 히암)이나 [ 요출전 ] 육도 라고도 불린다 [7] .
- 布施波羅蜜 -檀那(다나, Dāna 다나)는 나누어 줄 것. dāna라는 단어는 영어의 donation, giving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시(희회를 행한다)·무반시·법시(불법에 대해 가르치는) 등의 포시 이다. 단으로 약칭하는 경우도 있다.
- 지계파라밀- 범라 (시라, Śīla 실라)는 계율을 지키기 위한 것. 재가의 경우는 오계(혹은 팔계)를, 출가의 경우는 율 에 규정된 금계를 지키는 것을 가리킨다.
- 忍辱波羅蜜 -羼提(센다이, Kṣānti 쿠샨티)는 견디는 것.
- 精進波羅蜜-精進毘梨耶(비리야, Vīrya 비리아)는 노력할 것.
- 선정파라밀- 선나 (나나, Dhyāna 디야나 ))는 특정 대상에 마음을 집중하여 산란하는 마음을 안정시키는 것.
- 반약파라밀 - 반약 (한냐, Paññā 팡냐)은 모든 사물과 도리를 간파하는 깊은 지혜를 말한다. 혜 파라밀이라고도 불리며, 십파라밀의 지파라밀과는 구별된다 [8] . 1~5의 오파라밀은 이 반약파라밀을 성취하기 위한 계단으로 자리매김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는 반청파라밀을 희구함으로써 조조, 성취된다.
류수 는 ' 보행왕 정론 ' [주석 2] 에서 이 6개 항목을 이하의 3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해설하고 있다 [10] .
류수에 의하면, 석가 의 가르침과는 요약하면 「자리・이타・해탈」의 3개에 다, 「자리・이타・해탈」은 모두 육파라 꿀에 의해 포섭되기 때문에, 아함경 에 근거를 갖지 않는 대승 독자적인 이들 육파라밀도 불설이라고 한다 [10] .
토파라 꿀 [ 편집 ]
십파라밀은 육파라밀에 방편·원·력·지의 사파라밀(육파라꿀의 반약파라밀에서 파생된 4개의 파라밀)을 더한 것. 유식론 에서는 이 십파라밀을 세워 도카치 행이라고 칭한다. 화엄교학 등에서는 보살의 52위 중 10행 이라고도 한다. 또 보살은 십지 에서 제대로 이 십파라밀을 순차적으로 습득한다고 한다. [ 요출전 ]
- 방변 파라 꿀 - 우파야, 소화 구사라 ( Upāya, Upāyakuśala 우파야, 우하야, 일본어 번역 : 방편)는 숙련된 수단으로 중생을 교도하고 유익하는 것. 육파라밀의 행에 의해 모인 선근을 유정하게 환향시켜 그와 함께 무상보제를 구하는 환향방편선교, 일절 유정을 제도하는 발제방편선교의 2종류를 수행한다.
- 願波羅蜜 - 波羅尼陀那 ( Praṇidāna 플라니다나, 일본어 번역 : 소원)은 (그 해안 즉 부처님의 이상 세계에 도달하지 않고 입원하는 것. 오늘은 이러한 모든 수행을 완성하지 않고 소원하는 희망을 말한다.구배 제원·이타 낙안의 2개를 수행한다.
- 力波羅蜜 - 波羅 ( Bala 장미, 하라, 일본어 번역 : 힘)는 이의가 있고, 일의로 일체의 이론 및 제마중의 부수지 않는 것을 말하며, 또한 일의에 십력의 행 중, 생각 척력·수습력의 2개를 수행한다.
- 智波羅蜜 - 智 ( Jñāna 주냐나, 일본어 번역 : 智)는 만법의 실상을 여실히 알고 智慧은 생사의 슌기안을 건너, 涅槃의 해안에 도착하는 船筏과 같이, 수용법 악지・성숙유정지의 2개를 수행한다.
부처의 취급 [ 편집 ]
' 반 청경 '에서는 반청파라밀(반청파라밀다) 외 총 6종(육파라밀)을 세고, ' 화엄경 ' 등에서는 이에 4종을 더해 10종(십파라밀)을 세는 [ 요출전 ] . 『마야반 와카바라 꿀경』은 91일 파라밀을 열거 한다 [11] .
토쿠라쿠 정 [ 편집 ]
대승불교의 보성 론 에서는 여래의 법신 의 특징(guṇa)으로서 [12] , 상락아정 을 들고 각각 상파라밀, 낙파라밀, 가파라밀, 정파라밀이라고 부른다 [13] . 시내에 따르면, 이것은 파라밀(pāramitā)을 「궁극적인 경지에 도달한 상태」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12] .
각주 [ 편집 ]
주석 [ 편집 ]
출처 [ 편집 ]
- ^ a b c d e f g h i j k 알보무레 스마나사라 “일본인이 모르는 붓다의 이야기” 학연 플러스, 2010년, 304/3227페이지. ISBN 978-4054044104 .
- ↑ a b 「파라밀」 - 정선판 일본어대사전 , 쇼가쿠칸.
- ↑ 산에다 충령 「파라 꿀」 - 일본 대백과 전서(닛포니카) , 초등학관.
- ↑ 「육파라밀」 - 세계대백과사전 제2판 , 평범사.
- ^ a b Watanabe Zhangwu, " Prajna Paramita (prajñapāramitā) 의 해석 ", <동양학(22)>, 도요대학교 문학과, 1997, p.145.
- ↑ 4바라밀을 수련하고 엔을 얻었다. 스페로미도라고 합니다. 파라미타 그만둬. 부지런한 파라미타. 반야바라밀타. (T1545_.27.0892a26~T1545_.27.0892a28)
- ^ a b “ 로쿠하라 미츠(로쿠하라 미츠)란? - 코트뱅크 ”. 아사히 신문사. 2017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나카무라 모토 외(편) 『이와나미 불교사전』 이와나미서점, 1989년 12월, 「토모(智慧)」.
- ^ 카지야마 유이치, 료세이 류진(역) 『대승 불전〈14〉 류수 논집(중공 문고)』, 중앙 공론 신사, 2004년 10월, p.242, ISBN 978-4122044371
- ^ a b 카지야마 유이치 , 료세이 류진 (역) 『대승 불전〈14〉 류수 논집(중공 문고)』, 중앙 공론 신사, 2004년 10월, p.310, ISBN 978-4122044371
- 최대 점프 ^ "대승 바라밀라 경의 44번째 기사 수행원" (T0223_.08.0311c15 - 0313a25).
- ^ a b 오가와 1966 , 363쪽.
- ↑ 오가와 1966 , 362쪽.
참고 문헌 [ 편집 ]
- 오가와, 카즈야 「사파라 꿀 다에 관하여 -다르마린 첸 조관성론 떡을 소의로 하고-」 『인도 學佛教學研究』 제15권 제1호, 일본 인도학 불교 학회, 1966년, 362-365 페이지.
관련 항목 [ 편집 ]
波羅蜜
仏教用語 パーラミー | |
---|---|
パーリ語 | pāramī |
サンスクリット語 | पारमिता |
中国語 | 波羅蜜 |
日本語 | 波羅蜜, 波羅蜜多 (ローマ字: はらみつ, はらみった) |
英語 | perfection |
|
波羅蜜(はらみつ、パーリ語: Pāramī、 パーラミー、サンスクリット語: पारमिता、Pāramitā、 パーラミター)とは、完全性を意味する仏教用語。仏典文学においては、釈迦は前世における修行において10の波羅蜜を完成させた結果、数千年前のインドに降臨したのだと説いている[1]。
転じて大乗仏教においては、仏になるために菩薩が行う修行のこと[2]。到彼岸(とうひがん)、度(ど)、波羅蜜多(はらみった)などとも訳す[3][注釈 1]。六波羅蜜と十波羅蜜がある[2]。
語源[編集]
サンスクリット文法による語源的解釈では、Pāramitā を、"pāramī"(「最高の」を意味する "parama" の女性形)+ "-tā"(抽象名詞をつくる接尾辞)と分解し、「最高であること」、「完全であること」とされる[要出典]。しかし中国およびチベットなどの北伝仏教の伝統的な解釈では、これを"pāram"(彼方、"pāra" の 業格)+ "ita"(動詞 "i" 行くの過去分詞女性形)と読み、漢語訳においては「彼方に行った」すなわち此岸(迷い)から彼岸(覚り)に到る行と解するのが通例である[5]。例えば、漢語訳における「度(ど)」、「到(とう)彼岸」などの訳語や、チベット語訳の「パロルトゥ・チンパ」(pha rol tu phyin pa)も「パロルトゥ」(pha rol tu)が「pāram」、「チンパ」(phyin pa)が「itā」に相当する語である[5]。
部派仏教[編集]
上座部大寺派[編集]
上座部仏教においては、涅槃へ至るための修行や前世を含めた善行のこと。パーリ仏典の仏種姓経では、以下の十波羅蜜が挙げられている。
- 布施(Dāna)[1]
- 持戒(Sīla)[1]
- 出離(Nekkhamma) - 俗世間の欲から遠ざかること[1]。
- 智慧(Paññā) - 真理を発見すること[1]。
- 精進(Viriya)- 目的に達するまで進むこと[1]。
- 忍辱(Khanti) - 正しい道をあきらめずに進むこと[1]。
- 真諦(Sacca) - 嘘をつかないこと[1]。
- 誓願(Adhiṭṭhāna)- 優柔不断を克服し、目標を心に定めること[1]。
- 慈(Mettā) - 生命をいつくしむこと[1]。
- 捨(Upekkhā)- 無執着[1]
説一切有部[編集]
四波羅蜜[編集]
カシミール有部の『大毘婆沙論』には以下の四波羅蜜が説かれる。[6]
- 施波羅蜜多 (Dāna)
- 戒波羅蜜多 (Śīla)
- 精進波羅蜜多 (Vīrya)
- 般若波羅蜜多 (Prajñā)
大乗仏教[編集]
六波羅蜜[編集]
六波羅蜜(ろくはらみつ、ろっぱらみつ、梵:Ṣatpāramitā)とは、大乗仏教で説く悟りの彼岸に至るための6つの修行徳目[7]。六度彼岸(ろくどひがん)や[要出典]六度とも呼ばれる[7]。
- 布施波羅蜜 - 檀那(だんな、Dāna ダーナ)は、分け与えること。dānaという単語は英語のdonation、givingに相当する。具体的には、財施(喜捨を行なう)・無畏施・法施(仏法について教える)などの布施である。檀と略す場合もある。
- 持戒波羅蜜 - 尸羅(しら、Śīla シーラ)は、戒律を守ること。在家の場合は五戒(もしくは八戒)を、出家の場合は律に規定された禁戒を守ることを指す。
- 忍辱波羅蜜 - 羼提(せんだい、Kṣānti クシャーンティ)は、耐え忍ぶこと。
- 精進波羅蜜 - 精進毘梨耶(びりや、Vīrya ヴィーリヤ)は、努力すること。
- 禅定波羅蜜 - 禅那(ぜんな、Dhyāna ディヤーナ))は、特定の対象に心を集中して、散乱する心を安定させること。
- 般若波羅蜜 - 般若 (はんにゃ、Paññā パンニャー)は、全ての事物や道理を見抜く深い智慧のこと。慧波羅蜜とも呼ばれ、十波羅蜜の智波羅蜜とは区別される[8]。1~5の五波羅蜜は、この般若波羅蜜を成就するための階梯と位置付けられるもので、最終的には、般若波羅蜜を希求することによって調御、成就される。
龍樹は『宝行王正論』[注釈 2]においてこの6項目を以下の3つのカテゴリーに分けて解説している[10]。
龍樹によれば、釈迦の教えとは要約すれば「自利・利他・解脱」の3つに尽き、「自利・利他・解脱」はすべて六波羅蜜によって包摂されるため、阿含経に根拠を持たない大乗独自のこれら六波羅蜜も仏説であるという[10]。
十波羅蜜[編集]
十波羅蜜(じっぱらみつ)は、六波羅蜜に、方便・願・力・智の四波羅蜜(六波羅蜜の般若波羅蜜より派生した4つの波羅蜜)を加えたもの。唯識論ではこの十波羅蜜を立てて十勝行と称す。華厳教学などでは、菩薩の五十二位の中の十行のことともいわれる。また菩薩は十地において正しくこの十波羅蜜を順次に習得するという。[要出典]
- 方便波羅蜜 - 烏波野、漚和拘舎羅(Upāya、Upāyakuśala ウパーヤ、うはや、日本語訳:方便)は、巧みな手段で衆生を教導し、益すること。六波羅蜜の行によって集めたる善根を有情に廻向せしめて彼と共に無上菩提を求むる廻向方便善巧、一切有情を済度する抜済方便善巧の2種類を修行する。
- 願波羅蜜 - 波羅尼陀那(Praṇidāna プラニダーナ、はらにだな、日本語訳:願)は、(彼岸すなわち仏の理想世界に到達せんと立願すること。今日ではこれらすべての修行を完成せんと願う希望をいう。求菩提願・利他楽顔の2つを修行する。
- 力波羅蜜 - 波羅(Bala バラ、はら、日本語訳:力)は、二義あり、一義に一切の異論及び諸魔衆の壊すことなきをいい、また一義に十力の行のうち、思擇力・修習力の2つを修行する。
- 智波羅蜜 - 智(Jñāna ジュニャーナ、日本語訳:智)は、万法の実相を如実に了知する智慧は生死の此岸を渡りて、涅槃の彼岸に到る船筏の如く、受用法楽智・成熟有情智の2つを修行する。
仏典における扱い[編集]
『般若経』では般若波羅蜜(般若波羅蜜多)ほか全6種(六波羅蜜)を数え、『華厳経』などではこれに4種を加え10種(十波羅蜜)を数える[要出典]。『摩訶般若波羅蜜経』は九十一波羅蜜を列挙する[11]。
常楽我浄[編集]
大乗仏教の宝性論では、如来の法身の特徴(guṇa)として[12]、常楽我浄を挙げ、それぞれ常波羅蜜、楽波羅蜜、我波羅蜜、浄波羅蜜と呼んでいる[13]。小川によれば、これは波羅蜜(pāramitā)を「究極的な境地に到達した状態」という意味で用いているという[12]。
脚注[編集]
注釈[編集]
出典[編集]
- ^ a b c d e f g h i j k アルボムッレ・スマナサーラ 『日本人が知らないブッダの話』学研プラス、2010年、304/3227頁。ISBN 978-4054044104。
- ^ a b 「波羅蜜」 -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小学館。
- ^ 三枝充悳「波羅蜜」 -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小学館。
- ^ 「六波羅蜜」 -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平凡社。
- ^ a b 渡辺章悟『般若波羅蜜多(prajñapāramitā)の解釈』、<東洋学論叢(22)>、東洋大学文学部、1997年、p. 145。
- ^ 修四波羅蜜多而得円満。謂施波羅蜜多。戒波羅蜜多。精進波羅蜜多。般若波羅蜜多。(T1545_.27.0892a26~T1545_.27.0892a28)
- ^ a b “六波羅蜜(ろくはらみつ)とは - コトバンク”. 朝日新聞社. 2017年8月13日閲覧。
- ^ 中村元ほか(編) 『岩波 仏教辞典』 岩波書店、1989年12月、「智慧」。
- ^ 梶山雄一、瓜生津隆真(訳)『大乗仏典〈14〉龍樹論集 (中公文庫)』、中央公論新社、2004年10月、p.242、ISBN 978-4122044371
- ^ a b 梶山雄一、瓜生津隆真(訳)『大乗仏典〈14〉龍樹論集 (中公文庫)』、中央公論新社、2004年10月、p.310、ISBN 978-4122044371
- ^ 『摩訶般若波羅蜜經 遍歎品第四十四 丹百波羅蜜品』 (T0223_.08.0311c15 - 0313a25)。
- ^ a b 小川 1966, p. 363.
- ^ 小川 1966, p. 362.
参考文献[編集]
- 小川, 一乘「四波羅蜜多について -ダルマリンチェン造寶性論釋疏を所依として-」『印度學佛教學研究』第15巻第1号、日本印度学仏教学会、1966年、 362-365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