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24

천부경과 수메르 신화의 비교 연구-결론 by 나반의 정원 - 얼룩소 alookso

천부경과 수메르 신화의 비교 연구-결론 by 나반의 정원 - 얼룩소 alookso:



천부경과 수메르 신화의 비교 연구-결론
국제정치/국제사회문화/예술+17사상/철학/역사+19

나반의 정원·세상사에 모두 관심이 많은 백과사전파
2023/03/27

최민자 교수의 천부경 책 표지Ⅴ. 결 론
이상 천부경 관련 신화와 수메르 신화를 간략히 비교하여 보았다. 서론에서 지적한 대로 신화는 꿈과 상징, 및 집단의식이다. 그것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능력을 가졌기에 오늘의 합리적 잣대로만 판단하면 안 된다.
앞에서 언급한 신화에 머물던 트로이 전쟁이 고고학적 벌견되고 지하에 묻혀 있던 수메르 문명이 19세기에 와서야 발견되고 계속해서 놀라운 사실들이 발견되고 있다. 천부경 관련 신화도 어떤 새로운 사실이 발견될지 모른다. 역사만이 아니라 신화에 대해서도 우리는 경건해야 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천부경 관련 신화는 수메르 신화와 문명과 적지 않은 유사성을 가졌기에 관련성을 지적한 연구들을 비역사적이라고 외면할 일만은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결정적인 증거가 발견되지 않은 상황에서 단정적이어서는 안되고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부경 관련 신화와 수메르 신화와의 비교는 중국 문명과 구별되는, 오히려 중국 문명을 낳게 한 원동력이 된, 동이족이 중심이 된 고대문명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러한 문명의 주역 중에서 국가체계를 가진 나라는 오직 대한민국(북한을 포함)뿐이라는 사실을 일깨워주었다. 우리 역사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신화의 자료와 고고학에 관한 심층적 연구와 함께 수메르 언어와 설형문자에 관한 연구를 위해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함을 이야기해 주고 있다.

이상 연재한 "천부경과 수메르 신화의 비교 연구" 는 필자 정천구의 한국민족사상학회의 학회지 <민족사상> 제15권 제2호 (2021) pp.9-31에 실린 논문이다.


■ 참고문헌 ■

김수자, “신채호의 「독사신론」의 구성과 ‘민족사’의 재구성,” 동양고전학회,『東洋古典硏究』제36호, 2009.
김은남, “성역인가 공원인가-독립문⦁서대문⦁독립공원,” 『한국논단』2월호,한국논단 54권 0호, 1994.
밝완서, 오재성, “동아시아의 고대사와 문화는 하나 - 인식 전환으로 보이는 사서의 진실 -,” 동아시아고대학회,『동아시아고대학』, 40, 2015. pp.9-34. https://www.earticle.net/ Article/A258505/밝완서, 오재성.
김채수, “고대 메소포타미아문명과 고조선,” 《동북아 문화연구》, 31, 2012..
송준희, 『일만천년 천손민족(天孫民族)의 역사』, 2. 우리민족은 어디서 왔는가, 구리넷 우리 역사의 진실 ⓒ2011 구리넷, www.coo2.net.
新天地主人,『大檀奇古桓檀記揆園史錄, 대단기고환단기규원사록』, 서울: 문학관, 2014, https://play.google.com/books/ reader?id=y5mhDwAAQBA &pg=GBS.PA169
이형준, “단군과 한국 고대사,” 동북아역사새단,《제2회 상고사 학술회의》,2014년 10월 2일.
임승국 번역 및 해제, 『환단고기』,삼성기 전하편(원성동 지음) pdf 파일.
장한걸, 『부도지 이야기』, 도서출판 좋은 땅, 2019. 제1⦁2⦁3장 https://play.google.com/books/reader?id=TyqWDwAAQBAJ/장한걸
오일환‧정경환. “천부경의 수양론에 관한 연구(1),”『민족사상』, 제15권 제1호(한국민족사상학회, 2021),
정경환, “천부경의 정치철학에 관한 연구,”『민족사상』, 제15권 제1호, 한국민족사상학회, 2021.
정천구, “제5장 중국의 대외정책과 남북한 통일문제,” 『통일전략』,제10권 제2호, 한국통일전략학회, 2010.
정천구, “수리와 천문으로 읽는 천부경-그것이 현대 문명에 주는 함의-” 한국민족사상학회, 『민족사상』제15권 제1호, 2021.
주동주 지음, 『SUMER 수메르의 문명과 역사』, 파주: 범우, 2020.
崔光植, “삼신할머니의 기원과 성격,”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女性問題硏究』11권 0호, 1982.조철수, “고대 근동 신화로 환기시킨 고대 한반도의 역사,” 『출판저널』, January 2004,

Andrews, Evans, “Things You May Not Know About the AncientSumerians,” History Storie https://www. history.com/news/9-things-you-may-not-know-about-the-ancient-sumerians/Evans Adrews.
Ball, C.J, Litt, M.A.D, Chinese and Sumeri』, Lecture on Assiology, University of Oxford, London: Humprey Mil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13.
Billy, Banjo, How The Jews Betrayed Mankind Vol.1 The Sumerian Swindle. Bamboo Delight Company, Publisher, 2010.
History.com Editors, “Trojan War.,” History.com, https:// www.history.com/topics/ancient-history/trojan-war#section_3/Editors
Lynn, Heatherhe, The Anunnaki Connection-Sumerian Cods, Alian DNA & the Fate of Humanity,(USNew Page Books, 2020), https://read.amazon.com/Heat herheLynn
Smith, Jonathan Z. “Myth,” Britannica.com. https://ww w. britannica.com/topic/myth/Myth-and-the-arts/Jonathan Z. Smith
Sitchin, Zecharia, 12° Planet pp.8-9 of 15, https://www. academia.edu/45497942/Nibiru_the_12th_Planet_Zecharia_Sitchin


나반의 정원세상사에 모두 관심이 많은 백과사전파
팔로우
대학에서 국제 정치학과 정치 철학, 그리고 남북한 관계와 중국 문제를 연구하였다. 금강경 연구, 원효와 백성욱 박사에 관한 논문을 쓴 불교 연구가이다. 본명은 정천구 이다.
216
팔로워 59
팔로잉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