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밀교의 상징세계
허일범 (지은이)해인행2008-01-25



품절 출판사/제작사 유통이 중단되어 구할 수 없습니다.
품절센터 의뢰
보관함 +
- 품절 확인일 : 2011-07-11
새상품 eBook 중고상품 (3)
판매알림 신청


목차
머리말
01 오륜의 교리와 신앙
02 고려밀교의 대석동체신앙
03 교령륜신의 출현
04 제존공양법
05 삼밀장엄
06 화엄만다라와 진언
07 진병의식과 밀교법구
08 조선의 관정법구
09 밀교적 불상의 조성
10 여의륜관음의 상징과 성취법
11 밀교와 천수경의 의식
12 장의문화와 조선밀교
13 조선밀교의 우주론
14 유점사의 밀교의식집
15 조선밀교의 대일여래
16 조선밀교와 천불천탑
17 한국밀교의 연화종자 신앙
18 도량의 만다라적 세계상
19 조선탱화의 밀교적 상징성
20 조선과 청밀의 보주장엄
21 조선과 티베트 몽골의 진언심볼
22 삼보공양의 밀교적 표현
23 계룡산 중악단의 수호존 금강역사
24 조선시대 삼고저형 조두장엄
25 문수사 연화의 지혜와 방편
26 쌍어문양과 만다라의 십이궁
27 비로자나불의 불두
28 자비와 지혜의 밀교적 표현
29 개암사와 알치사의 문호존
30 티베트와 한반도의 비로자나불
31 밀교적 장엄의 지역별 유형과 표현방식
32 수호존과 상징문양
33 송광사 불감의 밀교적 의미
34 운주사의 밀교적 상징과 사륜경
맺는말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허일범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일본 고야산대학 대학원 밀교학과를 졸업하였으며, 고야산 보리도량에서 사도가행을 수습하고, 금강봉사에서 전법아사리 관정을 받았다. 국내 비롯하여 일본, 중국, 대만, 티베트, 몽골,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인도 등의 해외 밀교 문화유적을 답사하면서 밀교관련 자료를 수집하였고, 밀교와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강사,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한국대학원 강사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진각대학원 밀교학과 교수로 후진 양성에 전력하고 있다.
최근작 : <밀교의 진호국가와 문두루법>,<금강계만다라삼십칠존>,<밀교도상 연구 Ⅱ> … 총 11종 (모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