地球温暖化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ナビゲーションに移動検索に移動
この項目では、20世紀後半から顕著になった温暖化について説明しています。一般的な「気候の温暖化」については「気候史」をご覧ください。
地球温暖化(ちきゅうおんだんか、英語: Global warming)とは、地球の気候系の平均気温が長期的に上昇することである。これは気候変動の主要な側面であり、気温の直接測定や、温暖化の様々な影響の測定によって実証されている[4]。地球温暖化と気候変動はしばしば交換可能に使われる[5]が、より正確には地球温暖化とは、主に人為的な地球表面温度の上昇とその継続が予測されることであり[6]、気候変動とは、地球温暖化とその影響(降水量の変化など)の両方を含むものである[7]。地球温暖化は有史以前からあった[8]が、20世紀半ば以降の変化はかつてないほどの速度と規模で推移している[9]。
気候変動に関する政府間パネル(IPCC)の第5次評価報告書は、「20世紀半ば以降、観測されている温暖化の主な原因は人間の影響である可能性が極めて高い」と結論づけた[10]。
人間の影響で最も大きいのは、二酸化炭素 、 メタン 、 亜酸化窒素などの温室効果ガスの排出である。化石燃料の燃焼がこれらのガスの主な発生源であり、農業からの排出や森林破壊も重要な役割を果たしている[11]。これらの知見は、主要な先進国の国立科学アカデミーで認められており、国内外の科学機関からも異論のないものである[12] [13]。
地球温暖化の影響としては、海面上昇、降水量の地域的な変化、熱波などの異常気象の頻発、砂漠の拡大などが挙げられる[14]。北極圏では地表温度の上昇が最も大きく、これが氷河 、 永久凍土 、海氷の後退に寄与している。全体的に気温の上昇は雨や雪をもたらすが、一部の地域では干ばつや山火事が増加している[15]。気候変動は作物の収穫量を減少させ、食糧安全保障に悪影響を及ぼす恐れがあり、海面上昇は沿岸のインフラに洪水をもたらし、多くの沿岸都市の放棄を余儀なくされる可能性がある[16]。環境への影響には、生態系の変化に伴う多くの種の絶滅や移転が含まれており、最も直接的にはサンゴ礁、山地、北極圏での影響である[17]。積雪量の減少、水蒸気の増加、永久凍土の融解などの影響の中には、地球温暖化の速度をさらに高めるフィードバック効果を引き起こすものもある[18]。
二酸化炭素濃度の上昇による海洋酸性化は、温度によるものではないにもかかわらず、これらの影響と同様に分類されている。
地球温暖化に対処するための緩和努力には、低炭素エネルギー技術の開発と展開、化石燃料の排出量を削減する政策、森林再生、森林保全、さらには潜在的な気候工学技術の開発が含まれる。また、社会や政府は、海岸線の保護の改善、より良い災害管理、より耐性のある作物の開発など、現在および将来の地球温暖化の影響に適応するための取り組みも行っている。
各国は、1994年に発効しほぼ全世界が加盟している国連気候変動枠組条約(UNFCCC)の傘の下で、気候変動対策に協力している。この条約の最終目標は、「気候システムへの危険な人為的干渉を防ぐ」ことである[19]。UNFCCCの締約国は、排出量の大幅な削減が必要[20]であり、2016年のパリ協定では地球温暖化を2℃(3.6°F)以下に抑えることに合意[21]しているが、地球の平均地表温度はすでにこの閾値の約半分まで上昇している[22]。現在の政策や公約では、今世紀末までの地球温暖化は、気候が排出に対してどれだけ敏感かにもよるが、2℃強から4℃に達すると予想されている[23]。IPCCは、不可逆的な影響を回避するためには、地球温暖化を産業革命以前のレベルと比較して1.5℃以下に抑える必要があると強調している[24]。現在の温室効果ガス(GHG)排出量が年間42ギガトン(Gt)であるとすると、1.5℃以下に維持するためのカーボン・バジェット(炭素収支)は2028年までに枯渇することになる[25]。
現状の科学的理解[編集]
地球表面の大気や海洋の平均温度は「地球の平均気温」または「地上平均気温」と呼ばれ、地球全体の気候の変化を表す指標として用いられており、19世紀から始まった科学的な気温の観測をもとに統計が取られている。地球の平均気温は1906年から2005年の100年間で0.74℃(誤差は±0.18°C)上昇しており、長期的に上昇傾向にある事は「疑う余地が無い」と評価されている[27][28]。上昇のペースは20世紀後半以降、加速する傾向が観測されている[27]。これに起因すると見られる、海水面(海面水位)の上昇や気象の変化が観測され、生態系や人類の活動への悪影響が懸念されている[27]。
この地球温暖化は自然由来の要因と人為的な要因に分けられる[注釈 1]。20世紀後半の温暖化に関しては、人間の産業活動等に伴って排出された人為的な温室効果ガスが主因とみられ、2007年2月に国連の気候変動に関する政府間パネル(IPCC)が発行した第4次評価報告書 (AR4) によって膨大な量の学術的(科学的)知見が集約された結果、人為的な温室効果ガスが温暖化の原因である確率は9割を超えると評価されている[注釈 2]。このAR4の主要な結論は変わっておらず、より多くのデータを加えた第5次評価報告書の作成が進められている[29]。
AR4によれば、2100年には平均気温が最良推定値で1.8–4°C(最大推計6.4°C)上昇すると予測される[注釈 3]。地球温暖化の影響要因としては、「人為的な温室効果ガスの放出、なかでも二酸化炭素やメタンの影響が大きい」とされる[注釈 4]。その一方で太陽放射等の自然要因による変化の寄与量は人為的な要因の数%程度でしかなく、自然要因だけでは現在の気温の上昇は説明できないことが指摘されている[注釈 4]。一度環境中に増えた二酸化炭素などの長寿命な温室効果ガスは、能動的に固定しない限り、約100年間(5年–200年[30])にわたって地球全体の気候や海水に影響を及ぼし続けるため、今後20–30年以内の対策が温暖化による悪影響の大小を大きく左右することになる[注釈 5]。
理解度が比較的低い要因や専門家の間でも意見が分かれる部分もあり、こうした不確実性を批判する意見も一部に存在する。ただし、AR4においてはそのような不確実性も考慮した上で結論を出しており、信頼性に関する情報として意見の一致度等も記載されている[注釈 6]。
地球温暖化は、気温や水温を変化させ、海面上昇、降水量(あるいは降雪量)の変化やそのパターン変化を引き起こすと考えられている[注釈 7]。洪水や旱魃、酷暑やハリケーンなどの激しい異常気象を増加・増強させる可能性や、生物種の大規模な絶滅を引き起こす可能性も指摘されている[注釈 7]。大局的には地球全体の気候や生態系に大きく影響すると予測されている[注釈 7]。ただし、個々の特定の現象を温暖化と直接結びつけるのは現在のところ非常に難しい。
こうした自然環境の変化は人間の社会にも大きな影響を及ぼすと考えられている。真水資源の枯渇、農業・漁業などへの影響、生物相の変化による影響などが懸念されている[注釈 7]。2–3°Cを超える平均気温の上昇が起きると、全ての地域で利益が減少またはコストが増大する可能性がかなり高いと予測されている[注釈 8]。温暖化を放置した場合、今世紀末に5–6°Cの温暖化が発生し、「世界のGDPの約20%に相当する損失を被るリスクがある」とされる(スターン報告)。
既に温暖化の影響と見られる変化が、世界各地で観測され始めている[注釈 9]。
このように地球温暖化のリスクが巨大であることが示される一方、その抑制(緩和)に必要な技術や費用の予測も行われている。スターン報告やAR4 WG III、IEA等[31]の報告によれば、人類は有効な緩和策を有しており、温室効果ガスの排出量を現状よりも大幅に削減することは経済的に可能であり、経済学的にみても強固な緩和策を実施することが妥当であるとされる。
同時に、今後10–30年間程度の間の緩和努力が決定的に大きな影響力を持つと予測されており[注釈 10][31]、緊急かつ現状よりも大規模な対策の必要性が指摘されている[31]。
このような予測に基づき、地球温暖化の対策として様々な対策(緩和策)が進められているが、現在のところ、その効果は温暖化を抑制するには全く足りず、現在も温室効果ガスの排出量は増え続けている[31]。これらの対策に要するコスト等から、このような緩和策に後ろ向きの国や勢力も少なくない。
対策としては京都議定書が現時点で最も大規模な削減義務を伴った枠組みとなっている。現行の議定書は、議定書目標達成に成功した国々もある一方、離脱・失敗した国々もあるなど、削減義務達成の状況は国により大きく異なり、議定書の内容に関する議論も多い。しかし温暖化が危険であり、対策が必要であることは、既におおむね国際的な合意(コンセンサス)となっている[32]。対策費用増加を含めた今後の被害を抑制するため、現状よりもさらに強固な緩和策が必要であると指摘されている[31]。
歴史的経過[編集]
地球の気候に関しては、1970年代には「地球寒冷化」の可能性が取りざたされたこともあった。しかしこの寒冷化説は根拠に乏しく[33]、科学的に調べていく過程で、実は地球が温暖化していることが明らかとなっていった。
一般の間でも寒冷化説が広まっていたが、1988年にアメリカ上院の公聴会におけるJ.ハンセンの「最近の異常気象、とりわけ暑い気象が地球温暖化と関係していることは99%の確率で正しい」という発言が、「地球温暖化による猛暑説」と報道され、これを契機として地球温暖化説が一般にも広まり始めた。国際政治の場においても、1992年6月の環境と開発に関する国際連合会議(地球サミット)にて気候変動枠組条約が採択され、定期的な会合(気候変動枠組条約締約国会議、COP)の開催が規定された。
研究が進むにつれ、地球は温暖化しつつあり、人類の排出した温室効果ガスがそれに重要な役割を果たしているということは、議論や研究が進む中で科学的な合意(コンセンサス)となっていった。このコンセンサスは2001年のIPCC第3次評価報告書(TAR)、2006年のスターン報告、2007年のIPCC第4次評価報告書(AR4)などによって集約された。
温暖化の主因と見られる[注釈 11]人為的な温室効果ガスの排出量を削減するため、京都議定書が1997年に議決され2005年に発効し、議定書の目標達成を目処に削減が行われてきた。欧州では順調に削減が進み、目標達成の目処が立っている。
しかし主要排出国の米国が参加しておらず、また先進国のカナダが目標達成をあきらめたり、福島第一原子力発電所事故後に石炭ガス火力発電比率を高めた日本が削減義務達成に失敗しそうな情勢になっている。
二酸化炭素排出量の多い中国やインドなど途上国の排出量を抑制する道程も定まっていない。その一方で、温暖化の被害を最小にするには、京都議定書より一桁多い温室効果ガスの排出量削減率が必要とされる。2007年のハイリゲンダムサミットにおいては「温室効果ガスを2050年までに半減する」という目標が掲げられた。
しかし具体的な各国の削減方法や負担割合については調整がつかず、2007年12月のに温暖化防止バリ会議(COP13)おいても、さらには最近の2019年マドリードでのCOP25においても各国の数値目標を定めるには至らなかった。
近年の気温の変化[編集]
現在、地球表面の大気や海洋の平均温度は、1896年から1900年の頃(5年平均値)に比べ、0.75°C(±0.18°C)暖かくなっており、1979年以降の観測では下部対流圏温度で10年につき0.12から0.22°Cの割合で上昇し続けている。
1850年以前、過去1000年から2000年前の間、地表の気温は中世の温暖期や小氷期のような変動を繰り返しながら比較的安定した状態が続いていた。しかしボーリングに得られた過去の各種堆積物や、樹木の年輪、氷床、貝殻などの自然界のプロキシを用いて復元された過去1300年間の気温変化より、近年の温暖化が過去1300年間に例のない上昇を示していることが明らかとなった(AR4)[注釈 12]。
気温の測定手段としては、過去の気温については上記のように自然界のプロキシを用いて復元される一方、計測機器を使用した地球規模での気温の直接観測が1860年頃から始まっている。特に最近の過去50年は最も詳細なデータが得られており、1979年からは対流圏温度の衛星による観測が始まっている。AR4の「世界平均気温」については、都市のヒートアイランド現象の影響が最小限となるよう観測地点を選び、地表平均気温の値を算出している。
測定精度に関してはなお一部で議論もある[注釈 13]が、そのような誤差要因を考慮しても近年の温暖化は異常であり、気候システムの温度上昇は疑いようがないと評価されている[注釈 14]。
2019年2月6日、世界気象機関(WMO)は、2015年から4年間の世界の気温が観測史上最高だったことを確認した。また、2018年の世界の平均気温が産業革命前比で1度上昇し、過去4番目に高かったと発表した。2015年から4年連続で異例の高温が続き、上昇傾向が続き地球温暖化が進行している証拠だとしている。
WMOによると、2016年の平均気温の上昇幅は1.2度で観測史上最高を記録した。WMOのペッテリ・ターラス(Petteri Taalas)事務局長は、単年の記録の上位20位が過去22年間に集中しており、「長期的な気温の傾向は単年の順位よりもはるかに重要であり、長期傾向は上昇を示している」とした上で、「過去4年間の気温上昇は陸上と海面の双方で異常な水準にある」と述べた。ハリケーンや干ばつ、洪水といった異常気象の要因にもなったと指摘している[34][35]。しかし、地球温暖化に対する懐疑論など根強い反対意見も存在している。
原因[編集]
地球温暖化は、人間の産業活動に伴って排出された温室効果ガスが主因となって引き起こされているとする説が主流である。『気候変動に関する政府間パネル』(IPCC)によって発行されたIPCC第4次評価報告書によって、人為的な温室効果ガスが温暖化の原因である確率は「90%を超える」とされる。
IPCC第4次評価報告書(AR4)は現在世界で最も多くの学術的知見を集約しかつ世界的に認められた報告書であり、原因に関する議論が行われる場合も、これが主軸となっている。
原因の解析には地球規模で長大な時間軸に及ぶシミュレーションが必要であり、膨大な計算量が必要である。計算に当たっては、直接観測の結果に加え、過去数万年の気候の推定結果なども考慮して、様々な気候モデルを用いて解析が行われる。解析の結果、地球温暖化の影響要因としては、環境中での寿命が長い二酸化炭素・メタンなどの温室効果ガスの影響量が最も重要であるとされる。この他、エアロゾル、土地利用の変化など様々な要因が影響するとされる。こうした解析においては、科学的理解度が低い部分や不確実性が残る部分もあり、それが批判や懐疑論の対象になる場合もある[注釈 15]。
実際のところ、数億年前まで遡って考えると、二酸化炭素濃度は現在より圧倒的に高い。しかしこのような不確実性を考慮しても、温暖化のリスクが大きいことが指摘されている。
IPCCによる評価結果[編集]
IPCC 第一作業部会(WG I)による報告書"The Physical Science Basis"(自然科学的根拠, AR4 WG I)が発行された。
この報告書は気候システムおよび気候変化について評価を行っている。多くの観測事実とシミュレーション結果に基づき、人間による化石燃料の使用が地球温暖化の主因と考えられ、自然要因だけでは説明がつかないことを指摘している。
- 二酸化炭素の増加は、主に人間による化石燃料の使用が原因である。
- 二酸化炭素は、人為起源の温室効果ガスの中で、最も影響が大きい。この他、メタン、一酸化二窒素、ハロカーボン類なども影響したと考えられる。
- 1750年以降の人間による活動が、地球温暖化の効果(正の放射強制力)をもたらしている。
- 20世紀半ばから見られている平均気温の上昇は、人為的な温室効果ガスの増加によるものである可能性がかなり高い。
それぞれの原因が気候に与える影響に関しては、科学的な理解水準が異なる。温室効果ガスに対する科学的理解度は比較的高いが、雲や太陽放射変化などの気候因子は理解水準がまだ比較的低い。専門家の間で意見が分かれる事柄もあり、報告書にも「意見の一致度」として評価結果が記載されている。
影響要因としくみ[編集]
気候システムは、自然の内部的プロセスと外部からの強制力への応答との両方によって変化する。外部強制力には人為的要因と非人為的(自然)要因がある。その外部強制力には、下記のようなものがある。
要因ごとに地球温暖化への影響力は異なり、放射強制力で表される。放射強制力が増加すると、地球に入る太陽放射エネルギーと地球から出る地球放射エネルギーとのバランスが崩れ、バランスが取れるようになるまで気温が上昇し、地球温暖化が進むと考えられている。二酸化炭素やメタンは環境中での寿命が長く影響力も大きいとされる一方、水蒸気のように相反する効果を併せ持つものもある。オゾンは対流圏と成層圏で働きが異なると考えられている。
複数の温室効果ガスを合算して取り扱う際は二酸化炭素または炭素の量に換算する場合が多い。
影響[編集]
地球温暖化の影響に関しては、多くの事柄がまだ評価途上である。しかしその中でもAR4、およびイギリスで発行されたスターン報告[36]が大きな影響力を持つ報告書となっている。
地球温暖化による影響は広範囲に及び、「地球上のあらゆる場所において発展を妨げる」(AR4)と予想されている。その影響の一部は既に表れ始めており、IPCCなどによるこれまでの予測を上回るペースでの氷雪の減少などが観測されている。 AR4 WG IIによれば、地球温暖化は、気温や水温を変化させ、海水面上昇、降水量の変化やそのパターン変化を引き起こすとされる。洪水や旱魃、猛暑やハリケーンなどの激しい異常気象を増加・増強させ、生物種の大規模な絶滅を引き起こす可能性などが指摘されている。
大局的には地球温暖化は地球全体の気候や生態系に大きく影響すると予測されている。個々の特定の現象を温暖化と直接結びつけるのは現在のところ難しいが、統計的には既に熱波や大雨等の極端な気象現象の増加が観測されており、今後さらに増えると見られている[37][38]。
こうした自然環境の変化は人間の社会にも大きな影響を及ぼす。真水資源の枯渇、農業・漁業などへの影響を通じた食料問題の深刻化、生物相の変化による影響などが懸念されており、その影響量の見積もりが進められている。AR4では「2–3°Cを超える平均気温の上昇により、全ての地域で利益が減少またはコストが増大する可能性がかなり高い」と報告されている。 スターン報告では、5–6°Cの温暖化が発生した場合、「世界がGDPの約20%に相当する損失を被るリスクがある」と予測し、温室効果ガスの排出量を抑えるコストの方が遙かに小さくなることを指摘している。
日本では国立環境研究所などによる影響予測[39]が進められており、豪雨や猛暑の増加、農業用水の不足、植生の変化、干潟や砂浜の消滅、地下水位や海面上昇などによる被害の増大の予測が報告されている。
農業では米がとれなくなり、漁獲量ではアワビやサザエ、ベニザケが減少するなどの甚大な被害が予想される。寒害の減少、北日本における米の生産向上など一部では利益も予想されるが、被害が大幅に上回ると見られる[注釈 16]。
気温への影響[編集]
人為的な温室効果ガスの排出傾向に応じて、さらに気温が上昇し、下記のような現象が進行することが懸念されている。
- 1990年から2100年までの間に平均気温が1.1–6.4°C上昇。これは過去1万年の気温の再現結果に照らしても異常。
- 北極域の平均気温は過去100年間で世界平均の上昇率のほとんど2倍の速さで上昇した。北極の年平均海氷面積は、10年当たり2.1%–3.3%(平均2.7%)縮小している。
- 陸域における最高・最低気温の上昇、気温の日較差の縮小。
- 温暖化が環境中からの二酸化炭素やメタンなどの放出を促進し、さらに温暖化が加速する(正のフィードバック効果)。
- サンゴ礁の白化(サンゴ礁の劣化)による、砂礫の供給能力の低下。サンゴ礁によってできている島の水没。
気象現象への影響[編集]
気象現象への影響は一括して「異常気象の増加」、気候への影響は「気候の極端化」と表現されることがある。温暖化に伴って気圧配置が変わり、これまでとは異なる気象現象が発生したり、気象現象の現れ方が変わったりすると予想されている。たとえば下記のような変化が懸念されている。
- 偏西風の蛇行、異常気象の増加。日本周辺の気候にも大きな影響を与える可能性。
- アメリカ南東部・東部の海水温上昇により、竜巻の発生域が南東部や東部に広がる。
- 暑い日・暑い夜が増加し、全体的に昇温傾向となる。高温や熱波・大雨の頻度の増加、干ばつ地域の増加、勢力の強い熱帯低気圧の増加、高潮の増加。
降水量に関しては異論もあるものの、たとえば下記のような影響が懸念されている。
海水面の上昇[編集]
気温の上昇により氷床・氷河の融解が加速されたり海水が膨張すると、海面上昇が発生する。これに関しては下記のような予測や見積もりが為されている。
- ここ1993-2003年の間に観測された海面上昇は、熱膨張による寄与がもっとも大きい(1.6±0.5mm/年)。ついで氷河と氷帽(0.77±0.22mm/年)、グリーンランド氷床(0.21±0.07mm/年)、南極氷床(0.21±0.35mm/年)とつづく。
- 日本沿岸では(3.3mm/年)の上昇率が観測されている[40]
- 第4次報告書(2007)では、最低18 - 59cmの上昇としているが、これは氷河の流出速度が加速する可能性が考慮されていない値である[41]。AR4以降の氷床等の融解速度の変化を考慮した報告では、今世紀中の海面上昇量が1〜2mを超える可能性が指摘されている[42][注釈 17]。
これにより、下記のような影響が出ることが懸念されている。
- 浸水被害の増加。オセアニアの島国ツバル、ヴェネツィアの歴史的建造物をはじめとし、東京、名古屋、大阪などを含む低い土地の水没、等々。
- 汽水域を必要とするノリ、カキ、アサリなどの沿岸漁業への深刻なダメージ。
- 防潮扉、堤防、排水ポンプなどの対策設備に対する出費の増加。
- 地下水位の上昇に伴う地下構造物の破壊の危険性、対策費用の増加。
- 地下水への塩分混入にともなう工業・農業・生活用水への影響。
海水温・海洋循環への影響[編集]
地球規模の気温上昇に伴い、海水温も上昇する。これにより、下記のような影響が懸念されている。
- 生態系の変化。
- 水温の変動幅拡大に伴う異常水温現象の増加。太平洋熱帯域でのエルニーニョ現象の増強。
- 海流の大規模な変化、深層循環の停止。およびこれらに伴う気候の大幅な変化。
生態系・自然環境への影響[編集]
温暖化の影響は生態系にも大きな影響を与えることが懸念されている。
- 二酸化炭素の増加による生物の光合成の活発化。
- 生物の生息域の変化。
- 寒冷地に生息する動物(ホッキョクグマ、アザラシなど)をはじめとする、生物種の数割にわたっての絶滅。
- サンゴの白化や北上(北半球)・南下(南半球)。
- 日本においては、ブナ林分布域の大幅減少や農業への深刻な影響。
社会への影響[編集]
人間の社会へも下記のように物的・人的・経済的に大きな影響と損害が出ることが懸念されている。
- 気象災害の増加(熱帯低気圧、嵐や集中豪雨)
- 気候の変化による健康への影響や生活の変化
- 低緯度の感染症(マラリアなど)の拡大
- 雪解け水に依存する水資源の枯渇
- 農業、漁業などを通じた食料事情の悪化
- 永久凍土の融解による建造物の破壊
- 日本でも60%の食糧を輸入しているため、国外での不作や不漁、価格変動の影響を受けやすく、食糧供給に問題が生じることが予想されている。
対策[編集]
地球温暖化への対策は、その方向性により、温暖化を抑制する「緩和」(mitigation)と、温暖化への「適応」の2つに大別できる。
地球温暖化の緩和策として様々な自主的な努力、および政策による対策が進められ、幾つかはその有効性が認められている。現在のところ、その効果は温暖化を抑制するには全く足りず、現在も温室効果ガスの排出量は増え続けている。しかし現在人類が持つ緩和策を組み合わせれば、「今後数十年間の間にGHG排出量の増加を抑制したり、現状以下の排出量にすることは経済的に可能である」とされる。
同時に、「今後20–30年間の緩和努力が大きな影響力を持つ」「気候変動に対する早期かつ強力な対策の利益は、そのコストを凌駕する」とも予測されており、現状よりも大規模かつ早急な緩和策の必要性が指摘されている(AR4 WG III、スターン報告)。
地球温暖化への対応の動き[編集]
地球温暖化の影響は上記のように地理的にも分野的にも広い範囲におよぶため、それに対する対策もまた広い範囲におよぶ。根本的な対策として温暖化ガスの排出量の削減などの緩和策の開発・普及が進められているが、世界全体ではまだ排出量は増え続けており(AR4)、現状よりもさらに大規模な緩和を目指した努力が求められている。
- イギリスや旧東欧圏を含む欧州を中心に再生可能エネルギーの普及が強力な政策と共に進められている。米国でもカリフォルニア州などを中心に積極的な導入の動きが見られる。
- 原子力発電を緩和手段として普及させる動きもある。
- 水素エネルギーの開発が各国で行われている。
- 燃料電池や蓄電池などエネルギー貯蔵手段の開発が活発に行われている。
- 電気自動車などのゼロエミッション車、水素自動車、バイオ燃料などの開発が活発である。
- 内燃機関自動車や火力発電の二酸化炭素 (CO2)・窒素酸化物(NOx)の排出量や、家電製品などの消費エネルギー量に対して各国で規制が強められている。
地球温暖化対策における議論[編集]
地球温暖化に関しては、その影響が広範囲に及び、対策もまた大規模になると予測されているため、その具体的な緩和策に関する議論も多い。
懐疑論[編集]
IPCC第4次評価報告書などにおいて、地球温暖化の原因は人為的なものが大部分であるとの国際的かつ科学的な合意が得られている。また2007年7月に米国石油地質協会 (AAPG)がその意見[44]を変えて以来、近年の温暖化に対する人為的影響を否定する国際的な学術組織は無いとされる[45]。しかし一部では、下記のような異議を唱える論者も見られる。
- 二酸化炭素を主因とする温暖化を疑う意見(気温の変化の方が先に起こっている、水蒸気が原因である、など)
- モデルと実際の気候の不整合を問う意見。
- 太陽活動の影響、宇宙線の影響、地球内部の活動、磁気圏の活動などが原因である。
- 地球は温暖化でなく寒冷化するはずである。
- 南極の一部だけは気温が上昇していないから、水蒸気が増えてもそこに降雪が集中するはずである。
- 予想に用いる気候モデルの信頼性が十分でない。
- 二酸化炭素のミッシング・シンクなど、現在では解決された不整合性を論拠にした主張。
- 一部国家や特定勢力による陰謀である。
このような懐疑論に対しては、各国で下記のような現象や動きもみられる[注釈 18]。
- 一部のセンセーショナルな異論を掲載した書籍が売れる一方、これに対する反論が行われ、公的機関が質疑応答集を掲載する[46][47](日本)
- 世論調査で、支持政党によって意見が大きく異なる(米国)
- 温暖化に懐疑的なドナルド・トランプ大統領が当選(米国)
- 科学的手法に基づかない一部の懐疑論に対し、議会が抗議の意志を表明する(欧州)
脚注[編集]
注釈[編集]
- ^ IPCC第4次評価報告書#人為起源及び自然起源の気候変化要因を参照
- ^ IPCC第4次評価報告書#気候変化の理解と原因解析を参照
- ^ 地球温暖化の影響#気温への影響を参照
- ^ a b IPCC第4次評価報告書#第一作業部会報告書:自然科学的根拠を参照
- ^ IPCC第4次評価報告書#長期的な緩和策(2030年以降)を参照
- ^ IPCC第4次評価報告書#使われている表記を参照
- ^ a b c d 地球温暖化の影響を参照
- ^ IPCC第4次評価報告書#第二作業部会報告書:影響・適応・脆弱性を参照
- ^ 地球温暖化の影響#既に発生している影響の例を参照
- ^ IPCC第4次評価報告書#長期的な緩和策(2030年以降)
- ^ IPCC第4次評価報告書#人為起源及び自然起源の気候変化要因を参照
- ^ 過去の気温変化も参照
- ^ 過去の気温変化#観測精度に関する議論
- ^ IPCC第4次評価報告書#近年の気候変化の直接観測の結果を参照
- ^ en:List of scientists opposing the mainstream scientific assessment of global warming
- ^ 地球温暖化の影響#日本における予測内容を参照
- ^ 海面上昇も参照
- ^ 地球温暖化に対する懐疑論#各国における状況を参照
出典[編集]
- ^ “Global Annual Mean Surface Air Temperature Change”. NASA. 2020年2月23日閲覧。
- ^ IPCC AR5 SYR Glossary 2014.
- ^ USGCRP Chapter 3 2017, p. 119.
- ^ IPCC AR5 WG1 Summary for Policymakers 2013, p. 4; EPA 2016
- ^ Shaftel 2016: "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but have distinct meanings. .... Global warming refers to the upward temperature trend across the entire Earth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 Climate change refers to a broad range of global phenomena ...[which] include the increased temperature trends described by global warming."
- ^ IPCC AR5 SYR Glossary 2014; IPCC SR15 Ch1 2018, p. 51: "Global warming is defined in this report as an increase in combined surface air and sea surface temperatures averaged over the globe and over a 30-year period. Unless otherwise specified, warming is expressed relative to the period 1850–1900, used as an approximation of pre-industrial temperatures in AR5.".
- ^ Shaftel 2016; Associated Press, 22 September 2015: "The terms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Climate change is more accurate scientifically to describe the various effects of greenhouse gases on the world because it includes extreme weather, storms and changes in rainfall patterns, ocean acidification and sea level.".
- ^ IPCC AR5 WG1 Ch5 2013
- ^ IPCC AR5 WG1 Summary for Policymakers 2013, p. 4; IPCC SR15 Ch1 2018, p. 54
- ^ IPCC AR5 WG1 Summary for Policymakers 2013, p. 17.
- ^ US EPA 2019.
- ^ “Scientific consensus: Earth's climate is warming”. Climate Change: Vital Signs of the Planet prevent dangerous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NASA. 2018年6月28日時点のオリジナルよりアーカイブ。2017年8月7日閲覧。
- ^ “List of Organizations”. The Governor's Office of Planning & Research, State of California. 2017年8月7日時点のオリジナルよりアーカイブ。2017年8月7日閲覧。
- ^ IPCC AR5 WG2 Technical Summary 2014, pp. 44–46; D'Odorico et al. 2013.
- ^ National Geographic 2019; NPR 2010.
- ^ Campbella et al. 2016;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pp. 26–27.
- ^ EPA (2017年1月19日). “Climate Impacts on Ecosystems”. 2019年2月5日閲覧。
- ^ Met Office 2016.
- ^ UNFCCC 1992, Article 2, "Objective".
- ^ Decision 1/CP.16, paragraph 4, in UNFCCC: Cancun 2010: "deep cuts in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required according to science, and as documented in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with a view to reducing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s so as to hold the increase in global average temperature below 2 °C above preindustrial levels".
- ^ CNN, 12 December 2015; The Guardian, 12 December 2015; Paris Agreement 2015, Article 2, Section 1(a).
- ^ IPCC SR15 Ch1 2018, p. 51,
- ^ Climate Action Tracker 2019, p. 1;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9, p. 27.
- ^ IPCC SR15 Summary for Policymakers 2018, p. 7:Future climate-related risks (...) are larger if global warming exceeds 1.5°C before returning to that level by 2100 than if global warming gradually stabilizes at 1.5°C. (...) Some impacts may be long-lasting or irreversible, such as the loss of some ecosystems (high confidence).
- ^ Mercator Institute 2020; IPCC SR15 Ch2 2018, p. 96: This assessment suggests a remaining budget of about 420 GtCO2 for a twothirds chance of limiting warming to 1.5°C, and of about 580 GtCO2 for an even chance (medium confidence).
- ^ 世界の年平均気温の偏差の経年変化、気象庁
- ^ a b c IPCC第4次評価報告書 統合報告書 概要 日本語訳
- ^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 ^ 温室効果ガスに関する基礎知識 気象庁。
- ^ a b c d e IEA, World Energy Outlook 2011 日本語エグゼクティブサマリー
- ^ 第15回気候変動枠組条約締約国会議#コペンハーゲン合意を参照
- ^ Peterson, Thomas & Connolley, William. “The Myth of the 1970s Global Cooling Scientific Consensus(1970年代の地球寒冷化の科学的な一致に関する伝説)”.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8年4月12日閲覧。
- ^ “2018年の気温、過去4番目の高さ WMO「温暖化進行の証拠」”. 毎日新聞. 毎日新聞社 (2019年2月7日). 2019年2月7日閲覧。
- ^ “2015〜18年の世界気温は観測史上最高 国連WMOが報告”. www.afpbb.com. AFP (2019年2月7日). 2019年2月7日閲覧。
- ^ Stern Review Archived 2006年12月9日, at the Wayback Machine.
- ^ IPCC SREX Summary for Policymakers, IPCC, 2011 CLIMATE EXTREMES AND IMPACTS
- ^ “世界で異常気象深刻”報告書、NHK、2011年11月19日
- ^ 温暖化影響総合予測プロジェクト報告書”地球温暖化 日本への影響-最新の科学的知見-”、国立環境研究所など14機関、2008年5月29日(温暖化影響総合予測プロジェクト(環境省)の前期三年間の成果報告書)
- ^ 日本沿岸の海面水位の長期変化傾向、気象庁、2007年2月13日
- ^ Table10.7, Figure 10.33
- ^ A new view on sea level rise,Stefan Rahmstorf,6 April 2010
- ^ UNEP, Bloomberg, Frankfurt School, Global Trends in Renewable Energy Investment 2011(要登録)、Figure 24.
- ^ Position Statement(AAPG)
- ^ Petroleum Geologists Award to Novelist Crichton Is Inappropriate (AGU)
- ^ Q&A ココが知りたい温暖化、国立環境研究所
- ^ 環境問題のウソと正解、安井至、日経エコロミー、2007年7月
関連項目[編集]
- 問題カテゴリ
- 著作・ドキュメンタリー
- 『不都合な真実』2006年、アメリカ
- 芸術作品
- 『デイ・アフター・トゥモロー』2004年、アメリカ
- 『地球温暖化詐欺』2007年、イギリス
- 『FREEDOM』2006-2007年、日本
- ゲーム
- 『TerraGenesis』2016年、アメリカ
外部リンク[編集]
- 地球温暖化情報ポータルサイト - 気象庁
- 米国 連邦海洋大気庁 NOAA(英語) - 米国政府
- 『地球温暖化』 - コトバンク
|
環境問題
環境倫理学
気候史
気候変動
気候変動要因
経済問題
社会問題
地球温暖化
未来問題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地球溫暖化, 영어: global warming 또는 climate change)는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전 세계적인 바다와 지표 부근 공기의 기온 상승을 의미한다. 21세기 초부터 2018년까지 지구 표면의 평균 온도는 1980년에 비해 약 3분의 2가 넘는 0.93 ± 0.07 °C 정도 기온이 상승했다.[3] 기후 온난화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애매하나,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90% 이상의 온실 기체 농도의 증가와 화석 연료의 사용과 같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측하고[4][5][6][7] 이러한 연구 결과는 모든 주요 산업 국가의 과학 연구 센터에서 인정받고 있다.[8][9][10]
기후 모델의 예측은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에서 2007년 발표된 IPCC 제4차 평가 보고서에서 요약되었다. 이 보고서에서는, 21세기 동안 지구의 평균 온도는 최하 1.1 - 2.9 °C 상승에서 최대 2.4 - 6.4 °C 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예고했다.[11] 이러한 예상 수치의 오차는 모델마다 서로 다른 기후 민감도 때문에 발생한다.[12][13]
제4차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의 온난화로 인해 지역적 영향이 발생한다고 발표했다.[14]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지구 기온이 증가함과 함께 해수면 상승 및 강수량과 패턴의 변화, 아열대 사막 지방의 확장 등이 있다.[15] 또한, 지구 온난화로 북극의 축소와 지속적인 빙하, 영구 동토층, 해빙의 감소 등이 나타난다. 지구 온난화의 다른 영향으로는 극한 기후와 폭염의 증가, 가뭄과 폭우, 해양 산성화와 종의 멸종도 있다. 인간 생활에서는 농업 수확량의 감소와[16] 기후변화 난민의 발생이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제안된 정책들에서는 탄소 배출 감소로 온난화를 완화시키고 지구공학을 통해 적응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국가들이 모인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기본 협약(UNFCCC)에서는[17] 궁극적인 목표로 인간에 의한 위험 기후 변화의 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18] UNFCCC의 가입국들은 온실 기체를 줄이기 위한 정책을 채택했으며,[19][20][21][22] 지구 온난화의 적응을 지원하고 있다.[19][22][23][24] UNFCCC 참여국들은 탄소 배출량의 큰 감소 필요성에 동의하며[25] 미래의 지구 온난화에 대하여 2.0 °C 내외로 국한해야 한다.[3][25][26] 2011년 국제 연합 환경 계획의 보고서와[27] 국제 에너지 기구에 따르면,[28] 21세기 현재 UNFCCC의 2 °C 감소 목표는 불충분할 수 있으며 좀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관찰된 온도 변화[편집]
1906년부터 2005년까지 세계 평균 표면 기온은 0.74±0.18 °C 상승했다. 이 기간의 마지막 동안에 온난화 속도는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지난 10년 동안 0.07±0.02 °C 상승과 비교하여 0.13±0.03 °C 상승했다). 1900년 이후 도시 열섬으로 인한 오염 효과는 0.002 °C 로 매우 적다.[30] 위성 온도 측정을 통한 좀 더 기온이 낮은 대류권의 온도 변화는 1979년부터 10년마다 0.13에서 0.22 °C 증가했다. 1850년부터 지난 천 년간의 온도 변화 기록은 프록시가 중세 온난기와 소빙기 같은 기후 변동을 제외하면 거의 안정했다.[31]
현재 온난화 기록은 많은 독립적인 과학 그룹에 의해 관찰되고 있다.[32] 예를 들어, 물의 열팽창에 따른 해수면 상승,[33] 눈과 얼음의 광범위한 액화 현상,[34] 바다의 엔탈피 증가,[32] 상대 습도의 증가,[32] 생물 계절학에서 나타난 봄의 발현으로 인한[35] 꽃 종류의 식물 증가 등이 있다.[36] 이러한 사건들은 확률적으로 우연히 발현될 수 있는 경우는 없다.[32]
미국 항공우주국의 고다드 우주항공연구소와 미국 국립 기후 데이터 센터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지구는 점점 따뜻해지고 있으며, 이는 광범위한 측정이 가능해진 19세기 후반 1998년에 비하면 높은 수치이다.[37][38][39] 미국 기후연구센터에 따르면, 1998년부터 2010년까지 두 번째로 따뜻한 연도는 2005년이며 세 번째로 따뜻한 연도는 2003년이라 추정했었으나, 이는 "각 년도의 오류로 추정되며 지난 10년간의 차이는 이 3년간의 차이보다 많다"라고 번복했다.[40] 세계 기상 기구는, 2010년 "세계 기후에 대한 발표"에서 2010년의 공칭값은 +0.53 °C 로서 2005년(+0.52 °C)나 1998년(+0.51 °C)보다 높으나 3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다"라고 발표했다.[41] 2007년의 일본 기상청 발표에 의하면, 한반도 부근 바다의 수온이 최근 100년간 세계 평균 바다 수온 상승 온도인 0.7도의 2배에 해당되는 1.2도 ~ 1.6도가량 오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지구 온난화는 2009년에 대한민국에 가뭄을 발생시킨 원인으로 지목된다.[42]
지구 기온은 1998년 엘니뇨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상승한 적이 있었으며, 실제로 20세기의 가장 큰 엘니뇨는 이때 일어나기도 했다.[43] 그러나, 세계 온도는 단기적으로 일시적으로 변동이 있을 수 있고 장기적 변화를 단기적 변화가 덮을 수 있다. 실제로, 2002년부터 2009년까지의 기온 변화는 장기적 변화와 일치했다.[44][45] 2010년에는 엘니뇨가 발현했다. 이에 대한 반동으로 2011년에는 라니냐가 발생했으나, 이 해는 1880년 기록이 시작된 이후 11년 동안 계속 온도가 상승했다. 1880년부터 13년 동안 따뜻한 해가 있었으며, 그 후 2001년부터 2011년까지 11년간 계속 따뜻했다. 최근 기록에서는, 1950년부터 2011년까지 2011년은 가장 따뜻한 라니냐 발현 연도였으며, 1997년 최하점부터 계속 온도가 상승했다.[46]
온도 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다. 1979년부터, 육지의 온도는 매년 해양 온도보다 약 두 배의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10년마다 0.13 °C 에서 0.25 °C 증가하고 있다).[47] 바다의 온도는 바다의 증발을 통해 열을 잃음으로서 육지 온도보다 더욱 상승률을 낮출 수 있다.[48] 북반구가 남반구보다 더 빨리 온도가 상승하는 이유도 남반구가 얼음 알베도 효과에 의해 눈과 바다가 광범위하여 더욱 낮게 증가하는 것이다. 북반구는 남반구보다 더욱 많은 온실 기체를 배출하나, 주요 온실 기체는 두 반구에서 순환하며 혼합되기 때문에 온난화의 차이에 기여하지 않는다.[49]
바다의 외인성 열용량과 같은 다른 간접적 효과는 기후가 강제적으로 변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후 협약 연구에 따르면, 온실 기체가 2000년 수준으로 안정화되어도 온난화는 0.5 °C로 안정될 것이라고 발표했다.[50]
온도 변화의 초기 원인 (외부 원인)[편집]
기후 시스템은 "외부 원인"으로 변화할 수 있다.[51] 외부 원인은 지구 온난화나 빙하기로 기후를 "변화"시킬 수 있다.[52] 외부 원인의 예로는, 대기 구성 물질의 변화(온실 기체의 증가 등), 화산 폭발 등으로 인한 태양광도 변화, 공전 궤도 변화 등이 있다.[53] 최근 기후 변화의 속성은 주로 첫 번째와 세 번째의 원인에 주목하고 있다. 밀란코비치 주기는 수만 년 동안 천천히 냉각 추세로 돌아서며 빙하기가 올 것을 예고했으나, 20세기 세계 온도 기록에서는 지구 기온은 급격한 상승을 보인다.[54]
온실 기체[편집]
온실 효과는 지구의 표면과 대기권에서의 적외선 방출 스펙트럼 흡수 과정이다. 이것은 1824년 조제프 푸리에에 의해 창안되었고, 1896년 스반테 아레니우스에 의해 처음 조사가 이루어졌다.[55]
자연적인 온실가스 발생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효과로 평균 33 °C가 유지되고 있다.[56][56][57] 주요적인 온실 기체는 수증기이며 이는 온실 효과의 36–70%를 차지하고, 그 다음은 이산화탄소(CO2)로 9–26%를 차지하고, 메테인(CH4)은 4–9%이며 가장 낮은 온실 기체는 오존(O3)으로 3–7%를 차지한다.[58][59][60] 구름 또한 온실 기체와 유사한 영향을 가진다.
산업 혁명 이후 인간의 활동들은 이산화탄소, 메탄, 대류권 오존, 프레온 기체[61], 아산화 질소 등의 오존 기체 발생량이 많아지게 되었다. 이산화탄소와 메탄 온실 기체는 1750년 이후 36%와 148% 증가했다.[62] 이러한 수준은 아이스 코어(ice core)로 측정한 신뢰 가능한 자료로 지난 80만년간 증가 수준보다 매우 높다.[63][64][65][66] 덜 직접적인 지질학적 증거로는 지난 2000만년보다 이산화탄소 수치가 더욱 높은 것으로 알 수 있다.[67] 화석 연료는 인간이 지난 20년간의 이산화탄소 생산 수치의 4분의 3을 차지한다. 나머지 상승분은 지표면의 변화, 특히 벌목으로 인해 발생한 결과이다.[68]
20세기의 지난 30년 동안, 국민 총생산 증가와 인구 증가는 온실 기체 배출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69]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화석 연료 이용과 토지 이용 변화로 인한 연소 때문에 점점 증가하고 있다.[70][71] 온실 기체 배출은 다른 지역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2005년 토지 이용 변화를 포함한 연간 온실 기체 배출량 증가는 매우 빠르게 증가함을 보여준다. 또한, 인류가 숲과 나무를 파괴하여 온난화 현상이 심해진다는 가설도 있다. 그러나, 토지 이용 변화가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지는 아직 논쟁 중이다.[72][73]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미래의 온실 기체 배출량은 사회학적, 기술적 발달과 향후 자연 개발, 경제 성장 등 불확실한 정보에 따라 달라진다.[74] 대부분의 시나리오에서는 몇 세기 동안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몇몇 시나리오에서는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75][76] 화석 연료의 매장량은 풍부하며 21세기 동안 탄소 배출의 제한량이 존재하지 않는다.[77] 탄소의 순환을 이용한 배출량 시나리오는 향후 온실 기체의 농도와 변경 가능한 최소치를 계산하는 데 이용하였다. 6개의 IPCC 배출량 시나리오에 관한 특별 보고서(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의 "마커 시나리오"에 따르면, 2100년까지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541에서 970ppm의 범위로 추정한다.[78] 이것은 1750년 증가분의 90-250%에 달하는 수치이다.
대중 매체와 대중은 종종 지구 온난화와 프레온 가스로 인한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를 혼동한다.[79][80] 몇 가지 지구 온난화와 오존층과의 관련은 있지만, 둘 사이의 관계는 강하지 않다. 성층권 오존의 파괴는 표면 온도의 냉각에 약간의 영향을 끼친 반면 오히려 대류권 오존(tropospheric ozone)이 지구 온난화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81]
미립자와 먼지[편집]
지구음암화는 전 지구적으로 표면 조도(irradiance)가 감소하는 현상으로 1961년부터 1990년까지 관측되었다.[82] 이 음암화의 대표적 원인은 화산과 인간이 만든 오염(pollutant) 미립자가 햇빛의 반사율을 높여 냉각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 화석 연료 연소로 인한 효과(이산화탄소 및 에어로졸)은 최근 수십 년간 상쇄되었기 때문에 순수한 온난화 효과는 이산화탄소 증가가 아닌 메탄 같은 기타 온실 기체가 발휘한 것이다.[83] 미립자에 의한 반사는 습식 침적(wet deposition)에 의해 시간적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보통 일주일 정도 지속된다. 그러나, 이산화탄소는 한 세기 이상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미립자 농도의 변화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기후 변화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84]
태양 복사를 산란하고 흡수하여 나타나는 직접적인 효과뿐 아니라, 미립자는 복사수지(radiation budget)에 간접적 영향을 준다.[85] 황산염으로 만든 구름 응집핵(cloud condensation nuclei)은 더 작은 입자를 가진 구름을 만들게 된다. 이 구름들은 더 적고 큰 입자의 구름보다 더 태양 복사 에너지를 반사한다. 이 효과는 투메이 효과(Twomey effect)로 알려져 있다.[86] 이 효과는 더욱 균일한 크기의 물방울을 만들어내고, 이는 구름이 햇빛을 더 잘 반사하게 하는데 이를 알브레히트 효과(Albrecht effect)라고 한다.[87] 해양의 성층권 구름은 이 간접적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나며 대류층의 구름에는 거의 복사 효과가 없다. 이 미립자의 간접적 효과는 복사도를 큰 불확실성으로 만들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88]
그을음은 표면을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으며, 공기 중으로 퍼지거나 침전물이 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대기의 그을음은 직접 태양 복사를 흡수하며 이는 대기를 가열하고 표면을 냉각시킨다. 많은 그을음이 고립된 지역에 나타나면 인도의 농촌처럼 지표면 온난화의 50%를 갈색 구름 띠(atmospheric brown cloud)로 가리게 한다.[89] 침전물, 특히 빙하 또는 북극 얼음에 침전될 경우 반사율을 낮추면서 지표면을 가열시킨다.[90] 그을음을 포함한 미립자의 영향으로 인해, 중위도에 영향을 많이 끼치는 온실 기체에 비해 특히 아시아에서 대부분이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 영향을 끼친다.[91]
태양 활동[편집]
태양
온실 기체와 태양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온도에 영향을 미친다. 증가된 태양 활동과 온실 기체 모두 대류권의 온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태양 활동의 증가가 성층권의 온도를 높이는 반면 온실 기체는 성층권의 온도를 낮춘다.[53] 라디오존데 관측 역사 이래로(1958년) 초기 라디오존데의 기록은 매우 불확실하지만 성층권의 온도는 냉각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1979년부터 시작된 위성 관측도 성층권 냉각을 보여주고 있다.[101]
헨리크 스벤스마크(Henrik Svensmark)에 의해 제기된 가설에 의하면, 태양의 편향된 자기 활동은 우주방사선의 발생에 영향을 끼치며 이는 구름 응결핵 발생에 영향을 끼침으로서 기후에 영향을 준다.[102] 다른 연구에서는 최근 수십년간 우주선과 지구 온난화 사이의 관계를 찾을 수 없다는 설명도 있다.[103][104] 구름의 양과 우주선의 영향은 100 이하의 낮은 요인으로 평가되며 보다 자세히 구름 관측 변화를 살펴보거나 현재의 기후 변화 기여도에 대해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105]
2011년 연구에서는 태양 활동이 둔화되며 그 다음 태양주기가 지연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아직 이것은 명확하지 않다. 태양주기는 2020년 25회 주기를 돌지만, 2022년 또는 그 이상으로 지연될 수 있다. 이것은 태양이 마운더 극소기에 접어듬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태양 흑점 활동과 지구 기온 사이의 명확한 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태양 활동 연구를 수행하는 과학자들은 온실 기체 배출이 일어날 수 있는 한랭기를 막을 것이라고 생각한다.[106]
우리는 여전히 장기간의 태양 극소기가 지속되며 불균형하다는 것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기후 시스템에 대해서는 큰 문제가 아니다 ... 그러나, 이 태양이 지구 온난화의 지배적인 장치가 아니라는 명확한 증거가 없기 때문에 주목할 가치는 있다.[107]
위에서 언급한 세부적인 사항에 미국 항공우주국 고다드 연구소의 제임스 한센(James Hansen) 박사에 의하면 태양은 지구 온난화의 큰 원인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저조한 태양 활동이 지구 온난화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사실이 논의되고 있으며[108] 한센은 온실 기체가 원인이라는 더 많은 증거가 있다고 말했다. 즉, 그는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에서 "거의 모든 기후 과학자"의 고급적 이론을 제시했다.[107]
피드백[편집]
피드백이란 하나가 바뀌면 그 결과로 두 번째 양이 바뀌고, 그 두 번째 양이 다시 첫 번째 양의 바꿈으로서 결과를 나타내주는 것이다. 양성 피드백은 처음 값을 증가하게 하며 음성 피드백은 처음 값은 감소하게 만든다. 피드백은 특정 과정의 효과를 증폭 또는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 연구에 중요하다.
기후 시스템의 주요 양성 피드백은 수증기 피드백(water vapor feedback)이다. 주요 음성 피드백은 온도 증가의 4번째 원인인 슈테판-볼츠만 법칙에 의한 복사 냉각(radiative cooling)이다. 양성 및 음성 피드백은 모델에서 가정되지 않지만 기본 역학 및 열역학에서 창발성적인 상호 작용으로 고려된다
넓은 범위에서의 잠재적 피드백 과정으로는 북극 메탄 방출(Arctic methane release)과 얼음 알베도 피드백(ice-albedo feedback)이 있다. 간접적으로, 급격한 기후 변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 (climatology))가 존재할 수 있다.[109]
예를 들어, 2007년 IPCC 보고서에는 "배출 시나리오"에서 주로 인간의 원인으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조사했다. 2011년 미국 눈·얼음 데이터 센터(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와 미국 해양대기청의 공동 연구에서 영구 동토층이 용융 및 분해되면서 추가적인 온실 기체가 발생하는 경우를 계산했을 경우 심지어는 정책 입안자가 A1FI 시나리오나 A1B 시나리오에서도 급격한 온실 기체 증가가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110] 이 팀은 심지어 인간의 온실 기체 배출량이 매우 낮은 수준일 경우에도 영구 동토층의 융해로 대기에 약 190Gt의 탄소가 방출될 것이라 예상했다. 중요한 것은, 이 팀은 다음 3가지 가정하에서 예측하였다. 첫째로, 정책 입안자가 A1FI 시나리오 대신 A1B 시나리오를 수용할 경우이다. 둘째로, 모든 탄소가 이산화탄소 대신 메탄 방식으로 방출되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72배 더욱 강한 온실 효과를 나타낸다. 셋째로 해당 모델은 추가 기체 방출로 인한 추가 온도 상승을 고려하지 않았다.[110][111] 이는 매우 안정적인 영구 동토층의 이산화탄소 저장량은 산업 시대 초기부터 화석 연료로부터 방출한 모든 탄소량의 절반이고[112] 이것이 추가적으로 대기를 인간의 배출량을 넘어선 27~88ppm 정도의 상승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일단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는 다른 온실 기체의 영향력보다 강하기 때문에 열 관성으로 인해 대기의 온난화가 정지하더라도 몇 년간 온실 효과는 계속되기 때문에 일단 동토층의 탄소 배출은 "막을 수 없다".[110] 이 영구 동토층의 탄소에 관한 거대한 거래는 실제로는 메탄 대신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배출되고 있다.[113] IPCC의 2007년 온도 예측은 영구 동토층의 탄소 배출량 중 하나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예상되는 기후 변화의 정도를 과소평가하게 되었다.[110][111]
2011년에 출판된 또 다른 연구에서는 메탄의 지구 온난화 가속화는 메탄의 배출량이 증폭된다는 의견도 있다. 연구진은 메탄 배출량을 2.5배 늘리면 메탄 혼자 지구 온난화의 효과를 250%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5.2배 가속시킬 경우, 메탄의 간접적 온난화는 400% 가까이 될 것이다.[114]
기후 모델[편집]
기후 모델은 수치적 모델(mathematical models)로서 지구 대기권, 수권, 빙권(cryosphere), 지권, 생물권 등 이 5가지의 구성 요소로 나뉜다.[115] 이러한 모델들은 유체역학, 열역학, 복사전달 등을 기반으로 한다. 여기에는 공기의 움직임, 온도, 구름, 바다의 온도, 염도, 해류, 바다와 육지의 빙권, 토양과 대기의 식물 열 및 습기 이동, 화학 및 생물 순환, 기타 여러 요소들을 포함한다.
연구자들은 가능한 한 많은 요소를 포함시키려고 하지만, 현재 기후 지식으로 모을 수 있는 자료와 사용 가능한 컴퓨터의 한계로 실제 기후와 달리 단순화는 어쩔 수 없다. 이 모델의 결과는 또 다른 온실 기체 농도값과 기후 민감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IPCC의 2007년 보고서의 불확실성은 여러 모델들의 사용과[116] 서로 다른 기후 민감도,[117] 서로 미래 온실 기체 배출값의 수치를 다르게 입력하였고,[116] IPCC에 사용하지 않은 영구 동토층의 피드백 현상 등을 수치에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했다.[110]
모델은 항상 온실 기체의 증가 수준을 높게 하진 않는다. 대신 모델은 온실 기체의 복사열 및 기타 물리적 과정의 상호작용으로 예측한다. 이러한 복잡한 수학적 방식의 한 결과는 지구 온난화 또는 냉각을 예측하게 된다.[118]
최근 연구는 구름의 영향과 탄소의 순환[119][120][121]에 대해 모델이 구체화 할 필요성에 대해 주의를 촉구했다.[122]
또한, 모델은 다양한 자연적, 인공적 원인으로 파생된 현재 관측된 변화와 컴퓨터의 값을 비교하여 최근의 기후 변화(Attribution of recent climate change)를 조사하는데도 사용된다. 이 모델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발휘된 온난화의 효과를 정확하게 자연과 인간의 변화에 기인하진 않지만 1970년 이후 인간이 배출한 온실 기체에 온난화가 주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53]
모델의 물리적 불확실성은 현대 또는 과거의 기후를 시뮬레이션하여 검사하는 테스트로 알아낸다.[123]
기후 모델은 지난 세기 동안 지구 온도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했으나 모든 기후의 요소를 시뮬레이션하진 않았다.[124] 모든 지구 온난화의 영향이 IPCC에서 이용하는 기후 모델에서 예측되진 않았다. 그 예로, 북극의 기후 변화로 인한 축소는 예상보다 일찍 찾아왔다.[125] 강수량은 대기 습도에 비례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기후 모델의 예측보다 훨씬 빨리 증가한다.[126][127]
관찰 및 예상된 환경적 효과[편집]
기후의 "감지"(Detection)는 그 변화에 대한 이유를 아는 대신 기후를 반영하는 통계학적 정의에서 반영된 것이다. 감지는 어떤 특정한 속성의 변화를 의미하진 않는다. 기후 변화의 "귀속"(Attribution)은 변화의 감지가 신뢰 수준으로 확정되어 영향의 원인과 정의를 찾는 과정이다.[128] 감지와 귀속은 물리적, 생태학적, 사회적 시스템에서 감지된 변화에서 적용할 수 있다.[129]
자연 시스템[편집]
지구 온난화는 자연 시스템의 많은 부분에서 관찰되었다. 먼저, 지구 표면 부근 온도는 2005년까지 지난 1백 년간 0.74 ± 0.18 ℃ 상승했다. 또한, 급격한 기상 변화의 원인으로 고려되는 등 세계 기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42] 이러한 변화들 중 해수면 상승과 눈, 얼음의 대규모 감소 등의 변화는 관측된 온도 변화 문단에서 설명했다.[130] 20세기 중반 이후 지구 평균 온도 증가의 대부분은 높은 확률로 이루어졌고[70][131][132] 온실 기체 농도는 인위적 변화에 귀인되었다.[133]
심지어 배출 규제를 위한 정책을 시작하더라도, 세계적 배출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전히 증가할 것이라 예측된다.[134]
IPCC 예측 시나리오의 향후 배출 시나리오에 따르면, 21세기 말(2090년부터 2099년까지) 다양한 모델에서 해수면 상승도가 약 0.18m에서 최고 0.59m로 다양했다. 그러나, 이러한 추정들은 과학적 이해의 부족 가능성을 염두에 두지 않았으며 해수면 상승이 예측값보다 더욱 늘어날 수도 있다. 천년 단위의 척도에서, 빙상의 융해가 지금보다 높은 해수면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린란드 빙상과 서남극 빙상의 부분적 해빙기에는 약 4~6m의 해수면 상승이 초래될 것으로 예측된다.[135]
지역의 기후 변화로는 남극해와 북대서양 등 위도가 높은 북부의 대부분 육지보다 바다에서 더욱 심한 온난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134] 적설 면적과 해빙이 감소하면서 2037년에는 북극이 주로 9월 이후 얼음이 관측될 것으로 예측된다.[136] 또한, 2090년 여름에 북극의 얼음이 모두 녹아 없어질 가능성이 언급되었다.[137]
미국 텍사스주와 2003년 유럽 폭염 등의 특정한 기상 사건은 신뢰구간 내에서는 지구 온난화 없이 발생할 수 없었다는 계산을 할 수 있다. 이 때의 매우 더운 이상점은 2050년 이후에는 10%의 표준편차로 육지의 10%에서 평균 온도가 될 것이다. 이 상황은 물 순환을 가속시키면서 더욱 강한 가뭄과 홍수가 발생할 것이다.[138] 허리케인의 세기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진 불확실하다.[139]
생태계 시스템[편집]
지역적인 생태계 시스템에서 봄 이전의 시기와 극지방으로의 식물 및 동물 영역 변화는 최근의 지구 온난화와 높은 연관성이 있다.[130] 미래 기후 변화는 툰드라, 홍수림, 산호초를 포함한 특정 생태계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134] 대부분의 생태계는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와 높은 지구 온도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140] 전반적으로, 기후 변화는 생태계의 다양성 감소와 많은 종의 멸종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141]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바다의 산성도 증가를 불러일으킨다. 해양 산성화로 알려진 이 과정은 지구 온난화와 "비슷한 나쁜 쌍둥이"로 알려져 있다.[142] 해양 산성도 증가는 탄산염의 양을 감소시키면서 유공충과 같은 해양 먹이 사슬 바닥에 있는 생물이 더욱 살기 어렵게 만든다. 현재 해양 산성화의 속도는[143] 지난 3억년 4번의 대량 멸종 중 해양 생물의 95%를 멸종시킨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멸종보다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산업 혁명부터 세기 말까지 산성도 변화는 팔레오세-에오세 최대 열출력(Paleocene–Eocene Thermal Maximum)과 같으며 이는 지난 5천년 간 유공충의 35-50%를 사망시켰다.[144]
관찰 또는 예상된 사회적 효과[편집]
기후 변화와 인간의 영향은 점진적 기후 변화의 영향보다는 극단적인 기후 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145] 기후 변화의 영향은 지금까지 작은 섬에서의 악영향을 포함하여[146] 고위도 지역의 토착민 위협,[147] 인간의 건강에 작지만 뚜렷한 영향들을 준다.[148] 21세기에 기후 변화는 해안 후퇴와 홍수, 물의 감소, 건강 악화 등이 수백만명의 사람들에게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149] 대부분의 경제학 논문에서 지구 온난화로 인해 GDP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언급한다.[150][151]
음식 안전[편집]
현재의 추세에 따르면, 2030년 남아프리카의 옥수수 생산은 30% 감소하며 남아시아의 쌀, 기장 및 옥수수 생산량은 10% 감소할 것이다.[152] 2080년에는 개발도상국의 수확량은 평균적으로 10-25% 감소할 것이며 특히 인도는 30-40% 감소할 수 있다.[153] 2100년에는 3억명 이상이 토양 수분 및 물 부족, 온도 상승, 열대 지역의 확장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쌀과 옥수수 수확량이 20-40% 감소되어 기아를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6]
미래에 온난화가 약 3 °C까지 상승할 경우(1990~2000년 기준으로 2100년 예상) 중위도 및 고위도 지역에서 아마도 수확량이 증가될 수 있으나 저위도 지역에서는 매우 심각한 농업 생산량 감소를 불러일으킬 것이다.[146] 순이익과 비용의 유사한 패턴으로 시장에서도 큰 영향을 줄 것이다(기후 변화와 경제 참조).[148] 3 °C 이상 온도가 상승할 경우, 중위도 지역에서도 수확량이 감소하면서 전 세계의 식량 부족 현상을 일으킬 것이다.[154]
서식지 침수[편집]
작은 섬과 삼각주는 해수면 상승의 결과로 중요한 인프라가 침수되고 인간의 정착지를 위협할 것이다.[155][156] 이 중 투발루나 몰디브의 국민 경우에는 무국적자가 될 수도 있다.[157] 또한, 방글라데시와 같은 저지대 국가 등지에서는 기후 난민이 발생할 수도 있다.
지구 온난화에 대한 대응[편집]
완화[편집]
미래의 기후 변화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기후 변화의 완화라고 지칭한다. IPCC는 온난화 완화를 온실가스 배출량(GIG)를 줄이는 운동 또는 온실가스 흡수원(carbon sink)을 늘림으로써 배출한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운동으로 정의했다.[158] 많은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이 깨끗하고, 덜 오염시키고, 기술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목표하고 있다.[71] 이러한 보조 기술을 이용하여 상당한 양의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배출량 감소 목표 정책, 신재생 에너지의 사용 증가와 에너지 효율(Efficient energy use)을 높이는 것도 포함한다. 이 연구들은 미래의 많은 배출량 감소 예측을 보여주고 있다.[159]
낮은 범위 내에서 지구 온난화를 제한하기 위해 IPCC가 발표한 "정책 결정자들을 위한 요약 보고서"에서[160] 전체 보고서에 설명한 큰 여러 가지 시나리오 중 하나를 설명하며 온실 기체 배출 제한 정책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161] 이 각 연도가 지나면서 배출량의 증가를 막는 것은 점점 어려워질 것이고, 원하는 온실 기체 농도를 맞추기 위해 몇 년 후에는 더욱 과감한 정책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0년 에너지 관련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08년 기록된 역사적으로 기록된 배출량 중 가장 높았다.[162]
심지어,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도 앞으로 수년 동안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것 때문에 천연 가스 또는 석탄 발전소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지하에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해야 한다고 발표했다.[163]
적응[편집]
다른 정책적 대응으로는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이 있다.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을 정부의 개입 없이 기후 변화 등이나 자연에 기대하여 계획하는 것이다.[164] 적응 계획은 이미 제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159] 장벽, 한계, 미래 적응 비용 등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다.[159]
적응에 관한 개념은 적응 능력(adaptive capacity)으로서 이는 기후 변화(극단적 변화 포함)에 적응하는 시스템 기능(인간의 자연 관리)를 활용하거나 결과에 대처하여 잠재적인 손실을 막는다는 개념이다.[165] 완화되지 않은 기후 변화(즉, 온실가스 제한 노력 없이 찾아온 미래 기후 변화)가 장기적으로 나타날 때, 자연 관리 및 인간 시스템의 적응도는 한계를 초과할 것이다.[166]
환경단체들과 공인들은 기후 변화와 그것이 수반해온 위험들을 강조하면서, 인프라 요구와 배출 감축의 변화에 대한 적응을 촉진했다.[229] 적응은 개발도상국에서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230] 즉, 인간이 적응하는 능력과 잠재력(적응 능력이라 부름)은 다른 지역과 인구를 건너서 평탄하지 않게 분배된다. 그리고 개발도상국들은 일반적으로 적은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231]
지구공학[편집]
기후를 의도적으로 바꾸는 지구공학은 미국 항공우주국[167]과 왕립 학회[168] 에서 지구 온난화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소개되었다. 이 연구 기법 중 하나로는 태양 복사율 관리(solar radiation management)와 이산화탄소 제거(carbon dioxide removal) 등의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들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더 큰 규모의 방식으로 적용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2014 년의 한 연구는 가장 일반적인 기후 공학 방법을 조사한 결과 비효율적이거나 잠재적으로 심각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급격한 기후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중단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온실가스 제한[편집]
지구 온난화는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하여 생겨난 현상이므로 근본적으로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를 제거 또는 억제하는 것을 통해 해결하려는 방법이 있다. 현재 알려진 방법은 친환경 연료 개발(바이오디젤 등)[169][170] 이나 나무 심기 등이 있는데, 최근에는 독일에서는 해조류 번식을 통한 지구 온난화 해결을 도모하려는 방법도 있다.[171] 또, 우주상에 태양열 반사판을 띄워 태양열 막기(우주 거울)[172], 이산화탄소 해저 매장[173] 등 다양한 새로운 방법들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생태계 파괴 우려[171][172] 나 엄청난 비용 등 문제점이 많아 실제 보편화된 것은 거의 없다.
국제 협약[편집]
국제적인 협약을 제정함으로써 지구 온난화 가속화를 막으려는 노력이 있다. 대표적인 노력으로서 교토 의정서(Kyoto Protocol)가 있다. 2007년에 인도네시아 발리 섬에서 열린 발리기후회의에서는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한 명확한 목표 설정이 없다면 세계가 해수면 상승, 빙하 해빙, 가뭄,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한 난민들의 이주로 곤란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국제 협약을 통한 적극적 노력을 촉구했다.[175] 파리협정도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 중 하나이다. 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하로 유지하고, 더 나아가 온도 상승 폭을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 위한 국제적인 약속이고,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스스로 정해 국제사회에 약속하고 이 목표를 실천해야 하며, 국제사회는 그 이행에 대해서 공동으로 검증하게 된다.[176]
하지만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국제 협약 참여에 미진한 일부 국가들을 지적하기도 한다.[177] 미국이 대표적인 예이다.[178]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에도 석탄 탄광 개발과 급속한 산림 파괴, 산업 개발로 이산화탄소 방출량 증가율이 세계 최고에 이르고 있지만 교토 의정서 기후변화협약에 서명하지 않고 있다.[179] 전문가들은 이들 국가의 입장 표명이 앞으로 열릴 유엔 환경장관 회의를 앞두고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이들 국가의 참여가 '온난화를 극복하는 열쇠'[180] 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2007년에는 반기문 국제 연합 사무총장이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 직접적으로 환경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했다.[181]
지구 온난화의 관찰[편집]
기후 변화에 대해 어떻게 적절한 대책을 내세워야 한다는 것에는 여러 가지 의견이 존재한다.[182] 이러한 시야 차이는 온실 기체 배출 제한 혜택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기후 변화는 가난한 지역에 큰 피해와 위험을 주는 것처럼 보인다.[183]
지구 온난화 논쟁[편집]
지구 온난화 논쟁은 지구 온난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다양한 의미의 분쟁이며, 과학 문헌보다 매스 미디어에서 훨씬 강렬하게[184][185] 보도되고 있다. 이 지구 온난화에 대한 논쟁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지구 평균 기온이 특히 20세기 중반 이후 지구의 점차적인 온난화가 유례없는 현상인지, 정상적인 기후 변화 내에 있는지, 이 온도 증가가 인간이 주도한 것인지 아닌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것인지 부분적인 현상인지에 관해 크게 마찰을 빚고 있어서이다. 그 외 추가적인 논쟁을 겪고 있는 주제로는 기후 민감도에 관한 추정, 추가적인 온난화 예상, 지구 온난화의 결과 예측 등도 있다.
과학 문헌에서는, 지구 표면 온도의 최근 수십 년간 증가 추세는 주로 온실 기체의 인위적 배출에 의해 나타났다는 것에 대해 강력한 합의를 보고 있다. 국가 또는 국제적인 과학계의 입장은 이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입장이 없으며,[186][187](즉, 과학적인 입장은 이에 대해 완전히 지지하고 있으며) 일부 단체만 이에 대해 애매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 미국에서는 보수주의자들이 지구 온난화의 정당성 사회 문제로 끌어들여 훼손시키는 데 동원된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기후 변화를 부정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가 혜택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현재의 해결 방안이 해를 끼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가 인위적인 요소가 아닌, 단순히 태양의 자연 활동에 의해 발생했다는 것을 주장하는 세력은 주로 탄소 배출량 규제 완화로 인해 큰 이윤을 볼 수 있는 기업들에 의해 지원을 받는 몇몇 소수 유사과학자들의 주장에 불과하며, 2000년대에 들어서 이런 주장은 사실상 신빙성이 없는 주장으로 인식되고 있다.[188]
같이 보기[편집]
- 일반 주제
- 영향
- 국제 합의
- 음모론
각주[편집]
- ↑ NASA GISS
- ↑ 2009 Ends Warmest Decade on Record. NASA Earth Observatory Image of the Day, 22 January 2010.
- ↑ 가나 《America's Climate Choices》 (영어).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1. 15쪽. ISBN 978-0-309-14585-5.
지난 100년 동안 지구 평균 기온은 0.8 °C 상승했으나, 지구 온난화로 인해 30년 동안 평균 기온이 0.6 °C 상승했다.
- ↑ "Warming of the climate system is unequivocal, as is now evident from observations of increases in global average air and ocean temperatures, widespread melting of snow and ice and rising global average sea level." IPCC, Synthesis Report, Section 1.1: Observations of climate change, IPCC AR4 SYR 2007.
- ↑ "Three different approaches are used to describe uncertainties each with a distinct form of language. * * * Where uncertainty in specific outcomes is assessed using expert judg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of a body of evidence (e.g. observations or model results), then the following likelihood ranges are used to express the assessed probability of occurrence: virtually certain >99%; extremely likely >95%; very likely >90%......" IPCC, Synthesis Report, Treatment of UncertaintyArchived 2013년 3월 9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SYR 2007.
- ↑ IPCC, Synthesis Report, Section 2.4: Attribution of climate change, in IPCC AR4 SYR 2007.
- ↑ America's Climate Choices: Panel on Advancing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0). 《Advancing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영어).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ISBN 0-309-14588-0.
(p1) ... there is a strong, credible body of evidence, based on multiple lines of research, documenting that climate is changing and that these changes are in large part caused by human activities. While much remains to be learned, the core phenomenon, scientific questions, and hypotheses have been examined thoroughly and have stood firm in the face of serious scientific debate and careful evaluation of alternative explanations. * * * (p21-22) Some scientific conclusions or theories have been so thoroughly examined and tested, and supported by so many independent observations and results, that their likelihood of subsequently being found to be wrong is vanishingly small. Such conclusions and theories are then regarded as settled facts. This is the case for the conclusions that the Earth system is warming and that much of this warming is very likely due to human activities.
- ↑ “Joint Science Academies' Statement” (PDF). 2010년 8월 9일에 확인함.
- ↑ 2001년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브라질, 캐나다, 카리브 해 지역, 중국, 프랑스, 독일, 인도, 인도네시아, 아일랜드,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스웨덴, 영국 과학 아카데미가 공동 발표를 했다. 2005년에는 러시아와 일본, 미국, 2007년에는 멕시코와 남아프리카 공화국도 합세했다. 아프리카 과학 아카데미 네트워크와 폴란드 과학 아카데미는 별도의 선언문을 발표했다. 미국 천문 학회, 미국 화학 학회, 미국 물리학 연맹, 미국 물리학 연구소, 미국 기상 학회, 미국 물리 학회, 미국 제4기 협회, 호주 기상 및 해양 학회, 캐나다 기상 및 대기과학 재단, 캐나다 기상 및 해양 학회, 유럽 과학예술 아카데미, 유럽 지구과학 연맹, 유럽 과학 재단, 미국 지질 학회, 호주 지질 학회, 런던 지질 학회-층서학 위원회, 국제 아카데미 패널, 국제측지지구물리연맹, 국제 제4기 연구 연맹, 미국 지구과학 교수 협회, 미국 국립 연구 회의, 영국 기상 학회, 세계 기상 기구의 전문 단체가 참가했다.
- ↑ Kirby, Alex (2001년 5월 17일). “Science academies back Kyoto”. BBC News. 2011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Meehl et al., Chap. 10: Global Climate Projections Archived 2016년 4월 15일 - 웨이백 머신, Sec. 10.ES: Mean Temperature Archived2011년 11월 16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WG1 2007.
- ↑ Schneider Von Deimling, Thomas; Held, Ganopolski, Rahmstorf (2006). “Climate sensitivity estimated from ensemble simulations of glacial climate”. 《Climate Dynamics》. CiteSeerX: 10.1.1.172.3264.
- ↑ Meehl et al., Chap. 10: Global Climate Projections Archived 2016년 4월 15일 - 웨이백 머신, Section 10.5: Quantifying the Range of Climate Change, in IPCC AR4 WG1 2007.
- ↑ Solomon et al., Technical Summary, Section TS.5.3: Regional-Scale Projections, in IPCC AR4 WG1 2007.
- ↑ Lu, Jian; Vechhi, Gabriel A.; Reichler, Thomas (2007). “Expansion of the Hadley cell under global warming” (PDF).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 (6): L06805. Bibcode:2007GeoRL..3406805L. doi:10.1029/2006GL028443. 2012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 가나 Battisti, David; Naylor (2009). “Historical warnings of future food insecurity with unprecedented seasonal heat”. 《Science》 323 (5911): 240–4. doi:10.1126/science.1164363. PMID 19131626. 2012년 4월 13일에 확인함.
- ↑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2011), 《Status of Ratification of the Convention》, UNFCCC Secretariat: Bonn, Germany: UNFCCC.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기본 협약에 가입한 대부분의 나라들은 기온 증가율을 2 °C로 낮추는 것이 목적이다. 2011년 11월 25일, 유럽 연합을 포함하여 195개 국가가 이 협약에 가입했다.
- ↑ “Article 2”.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Convention and any related legal instruments that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may adopt is to achieve,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stabilization of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at a level that would prevent dangerous anthropogenic interference with the climate system. Such a level should be achieved within a time-frame sufficient to allow ecosystems to adapt naturally to climate change, to ensure that food production is not threatened and to enable economic development to proceed in a sustainable manner. Such a level should be achieved within a time-frame sufficient to allow ecosystems to adapt naturally to climate change, to ensure that food production is not threatened and to enable economic development to proceed in a sustainable manner
, excerpt from the founding international treaty which entered into force on 21 March 1994. - ↑ 가나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2005), 《Sixth compilation and synthesis of initial national communications from Parties not included in Annex I to the Convention. Note by the secretariat. Executive summary.》 (PDF), Geneva (Switzerland):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 ↑ Gupta, S. et al. 13.2 Climate change and other related policiesArchived 2013년 3월 9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WG3 2007.
- ↑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2009). 《World Energy Outlook 2009》 (PDF). Paris, France: IEA. 173–184쪽. ISBN 978-92-64-06130-9.
- ↑ 가나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UNFCCC) (2011), 《Compilation and synthesis of fifth national communications. Executive summary. Note by the secretariat.》 (PDF), Geneva (Switzerland):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 ↑ Adger, et al., Chapter 17: Assessment of adaptation practices, options, constraints and capacity, Executive summary Archived 2013년 3월 10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WG2 2007.
- ↑ 6. Generating the funding needed for mitigation and adaptation (PDF), in World Bank (2010), 《World Development Report 2010: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Washington DC, USA: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 The World Bank, 262–263쪽, 2010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 가나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2011), 《Conference of the Parties – Sixteenth Session: Decision 1/CP.16: The Cancun Agreements: Outcome of the work of the Ad Hoc Working Group on Long-term Cooperative Action under the Convention (English): Paragraph 4》 (PDF), UNFCCC Secretariat: Bonn, Germany: UNFCCC, 3쪽 "(...) deep cuts in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required according to science, and as documented in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with a view to reducing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s so as to hold the increase in global average temperature below 2 °C above preindustrial levels"
- ↑ 칸쿤 조약에서 지구는 이미 2 °C 의 절반을 이루었다. 지난 100년 동안 이루어졌던 변화가 단지 3분의 1인 30년만에 0.8 °C가 증가했다.
- ↑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November 2011), 〈Executive Summary〉, 《Bridging the Emissions Gap: A UNEP Synthesis Report》 (PDF), Nairobi, Kenya: UNEP, 8쪽, ISBN 978-92-807-3229-0UNEP Stock Number: DEW/1470/NA
- ↑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2011), 〈Executive Summary (English)〉, 《World Energy Outlook 2011》 (PDF), Paris, France: IEA, 2쪽
- ↑ Bindoff, N.L.; 외., 〈Ch. 5: Observations: Oceanic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Sec 5.2.2.3 Implications for Earth’s Heat Balance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in IPCC AR4 WG1 2007, referred to by: 《Climate Graphics by Skeptical Science: Global Warming Components:》, Skeptical Science, Components of global warming for the period 1993 to 2003 calculated from IPCC AR4 5.2.2.3 - ↑ Trenberth et al., Ch. 3, Observations: Atmospheric Surface and Climate Change, Section 3.2.2.2: Urban Heat Islands and Land Use EffectsArchived 2014년 5월 12일 - 웨이백 머신, p. 244, in IPCC AR4 WG1 2007.
- ↑ Jansen et al., Ch. 6, Palaeoclimate, Section 6.6.1.1: What Do Reconstructions Based on Palaeoclimatic Proxies Show?, pp. 466–478Archived 2010년 5월 24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WG1 2007.
- ↑ 가나 다 라 Kennedy, J.J.; 외. (2010), “How do we know the world has warmed? in: 2. Global Climate, in: State of the Climate in 2009”, 《Bull.Amer.Meteor.Soc.》 91 (7): 26
- ↑ Kennedy, C. (2012년 7월 10일), 《ClimateWatch Magazine >> State of the Climate: 2011 Global Sea Level》, NOAA Climate Services Portal
- ↑ 〈Summary for Policymaker〉, Direct Observations of Recent Climate Change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1/en/spm.html 다음 글자 무시됨: ‘chapter ’ (도움말);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in IPCC AR4 WG1 2007 - ↑ 〈Summary for Policymakers〉, B. Current knowledge about observed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in IPCC AR4 WG2 2007 - ↑ Rosenzweig, C.; 외., 〈Ch 1: Assessment of Observed Changes and Responses in Natural and Managed Systems〉, Sec 1.3.5.1 Changes in phenology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in IPCC AR4 WG2 2007, 99쪽 - ↑ Cole, Steve; Leslie McCarthy. “NASA – NASA Research Finds 2010 Tied for Warmest Year on Record” (Feature). 《NASA》. 2011년 3월 3일에 확인함.
- ↑ Hansen, James E.; et al. (2006년 1월 12일). “Goddard Institute for Space Studies, GISS Surface Temperature Analysis”. NASA Goddard Institute for Space Studies. 2007년 1월 17일에 확인함.
- ↑ “State of the Climate: Global Analysis for Annual 2009”. 2010년 1월 15일. 2011년 5월 3일에 확인함.
- ↑ Jones, Phil. “CRU Information Sheet no. 1: Global Temperature Record”. Climatic Research Unit, School of Environmental Sciences, University of East Anglia. 2011년 5월 3일에 확인함.
-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1), 《WMO statement on the status of the global climate in 2010》 (PDF),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 ↑ 가나 김종락 (2009년 2월 14일). “가뭄·고온·강풍… 세계 기상이변 왜 잦나”. 문화일보. 2013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Changnon, Stanley A.; Bell, Gerald D. (2000). 《El Niño, 1997–1998: The Climate Event of the Centur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3552-0.
- ↑ Knight, J.; Kenney, J.J.; Folland, C.; Harris, G.; Jones, G.S.; Palmer, M.; Parker, D.; Scaife, A.; Stott, P. (August 2009). “Do Global Temperature Trends Over the Last Decade Falsify Climate Predictions? [in "State of the Climate in 2008"]” (PDF). 《Bull.Amer.Meteor.Soc.》 90 (8): S75–S79. 2011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Global temperature slowdown – not an end to climate change》. UK Met Office. 2011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NOAA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State of the Climate: Global Analysis for Annual 2011”. NOAA. 2012년 1월 19일. 2012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Trenberth et al., Chap 3, Observations: Atmospheric Surface and Climate Change, Executive Summary, p. 237, in IPCC AR4 WG1 2007.
- ↑ Rowan T. Sutton, Buwen Dong, Jonathan M. Gregory (2007). “Land/sea warming ratio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PCC AR4 model results and comparison with observatio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2): L02701. Bibcode:2007GeoRL..3402701S. doi:10.1029/2006GL028164. 2007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Ehhalt et al., Chapter 4: Atmospheric Chemistry and Greenhouse Gases, Section 4.2.3.1: Carbon monoxide (CO) and hydrogen (H2), p. 256, in IPCC TAR WG1 2001.
- ↑ Meehl, Gerald A.; et al. (2005년 3월 18일). “How Much More Global Warming and Sea Level Rise” (PDF). 《Science》 307 (5716): 1769–1772. Bibcode:2005Sci...307.1769M. doi:10.1126/science.1106663. PMID 15774757. 2007년 2월 11일에 확인함.
- ↑ Group (2004년 11월 28일). “Forcings (filed under: Glossary)”. RealClimate.
- ↑ US NRC 2012, 9쪽
- ↑ 가나 다 라 [Notes-Hegerl-2001] Hegerl et al., Chapter 9: Understanding and Attributing Climate Change, Section 9.4.1.5: The Influence of Other Anthropogenic and Natural Forcings, in IPCC AR4 WG1 2007, 690-691쪽. "Recent estimates indicate a relatively small combined effect of natural forcings on the global mean temperature evolution of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ith a small net cooling from the combined effects of solar and volcanic forcings." p. 690.[{{{설명}}}][[분류:{{{분류}}}|지구 온난화]]
- ↑ Kaufman, D. S.; Schneider, D. P.; McKay, N. P.; Ammann, C. M.; Bradley, R. S.; Briffa, K. R.; Miller, G. H.; Otto-Bliesner, B. L.; Overpeck, J. T.; Vinther, B. M.; Abbott, M.; Axford, M.; Bird, Y.; Birks, B.; Bjune, H. J. B.; Briner, A. E.; Cook, J.; Chipman, T.; Francus, M.; Gajewski, P.; Geirsdottir, K.; Hu, A.; Kutchko, F. S.; Lamoureux, B.; Loso, S.; MacDonald, M.; Peros, G.; Porinchu, M.; Schiff, D.; Seppa, C.; Seppa, H.; Arctic Lakes 2k Project Members (2009). “Recent Warming Reverses Long-Term Arctic Cooling”. 《Science》 325 (5945): 1236–1239. doi:10.1126/science.1173983. PMID 19729653.
“Arctic Warming Overtakes 2,000 Years of Natural Cooling”. UCAR. 2009년 9월 3일. 2011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8일에 확인함.
Bello, David (2009년 9월 4일). “Global Warming Reverses Long-Term Arctic Cooling”. Scientific American. 2011년 6월 8일에 확인함.
Mann, M. E.; Zhang, Z.; Hughes, M. K.; Bradley, R. S.; Miller, S. K.; Rutherford, S.; Ni, F. (2008). “Proxy-based reconstructions of hemispheric and global surface temperature variations over the past two millenni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5 (36): 13252–7. doi:10.1073/pnas.0805721105. PMC 2527990. PMID 18765811. - ↑ Weart, Spencer (2008). “The Carbon Dioxide Greenhouse Effect”. 《The Discovery of Global Warming》.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가나 Le Treut; 외., 〈Chapter 1: Historical Overview of Climate Change Science〉, FAQ 1.1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p. 97, in IPCC AR4 WG1 2007: "To emit 240 W m–2, a surface would have to have a temperature of around −19 °C. This is much colder than the conditions that actually exist at the Earth’s surface (the global mean surface temperature is about 14 °C). Instead, the necessary −19 °C is found at an altitude about 5 km above the surface." - ↑ 온실 효과는 전 세계적으로 평균 33 °C의 온도 "상승"을 가져왔다. 온실 효과 없이는 현재의 평균 온도는 33 °C "이하로 하락"할 것이다. 이로 인해 전 세계 온도는 14 °C로 내려갈 것이다.
- ↑ Kiehl, J.T.; Trenberth, K.E. (1997). “Earth's Annual Global Mean Energy Budget” (PDF).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8(2): 197–208. Bibcode:1997BAMS...78..197K. doi:10.1175/1520-0477(1997)078<0197:EAGMEB>2.0.CO;2. ISSN 1520-0477. 2008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Schmidt, Gavin (2005년 4월 6일). “Water vapour: feedback or forcing?”. RealClimate.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Russell, Randy (2007년 5월 16일). “The Greenhouse Effect & Greenhouse Gases”.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Windows to the Universe. 2010년 3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온실가스의 정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 ↑ EPA (2007). “Recent Climate Change: Atmosphere Changes”. 《Climate Change Science Progra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Spahni, Renato; et al. (November 2005). “Atmospheric Methane and Nitrous Oxide of the Late Pleistocene from Antarctic Ice Cores”. 《Science》 310 (5752): 1317–1321. Bibcode:2005Sci...310.1317S. doi:10.1126/science.1120132. PMID 16311333.
- ↑ Siegenthaler, Urs; et al. (November 2005). “Stable Carbon Cycle–Climate Relationship During the Late Pleistocene” (PDF). 《Science》 310(5752): 1313–1317. Bibcode:2005Sci...310.1313S. doi:10.1126/science.1120130. PMID 16311332. 2010년 8월 25일에 확인함.
- ↑ Petit, J. R.; et al. (1999년 6월 3일). “Climate and atmospheric history of the past 420,000 years from the Vostok ice core, Antarctica” (PDF). 《Nature》 399 (6735): 429–436. Bibcode:1999Natur.399..429P. doi:10.1038/20859. 2017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Lüthi, D.; Le Floch, M.; Bereiter, B.; Blunier, T.; Barnola, J. M.; Siegenthaler, U.; Raynaud, D.; Jouzel, J.; Fischer, H.; Kawamura, K.; Stocker, T. F. (2008). “High-resolutio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record 650,000–800,000 years before present”. 《Nature》 453 (7193): 379–382. doi:10.1038/nature06949. PMID 18480821.
- ↑ Pearson, PN; Palmer, MR (2000). “Atmospheric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over the past 60 million years”. 《Nature》 406 (6797): 695–699. doi:10.1038/35021000. PMID 10963587.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author=
및|last1=
(도움말) - ↑ IPCC, Summary for Policymakers,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greenhouse gases ..., p. 7, in IPCC TAR WG1 2001.
- ↑ Rogner, H.-H., et al., Chap. 1, Introduction, Section 1.3.1.2: Intensities, in IPCC AR4 WG3 2007.
- ↑ 가나 NRC (2008).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PDF). Board on Atmospheric Sciences and Climate, U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쪽. 2010년 11월 9일에 확인함.
- ↑ 가나 World Bank (2010). 《World Development Report 2010: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 The World Bank, 1818 H Street NW, Washington DC 20433. doi:10.1596/978-0-8213-7987-5. ISBN 978-0-8213-7987-5. 2010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6일에 확인함.
- ↑ Banuri et al., Chapter 3: Equity and Social Considerations, Section 3.3.3: Pattern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Box 3.1, pp. 92–93 in IPCC SAR WG3 1996.
- ↑ Liverman, D.M. (2008). “Conventions of climate change: constructions of danger and the dispossession of the atmosphere” (PDF). 《Journal of Historical Geography》 35 (2): 279–296. doi:10.1016/j.jhg.2008.08.008. 2014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Fisher et al., Chapter 3: Issues related to mitigation in the long-term context, Section 3.1: Emissions scenarios: Issues related to mitigation in the long term context in IPCC AR4 WG3 2007.
- ↑ Morita, Chapter 2: Greenhouse Gas Emission Mitigation Scenarios and Implications, Section 2.5.1.4: Emissions and Other Results of the SRES Scenarios, in IPCC TAR WG3 2001.
- ↑ Rogner et al., Ch. 1: Introduction, Figure 1.7, in IPCC AR4 WG3 2007.
- ↑ IPCC, Summary for Policymakers, Introduction, paragraph 6, in IPCC TAR WG3 2001.
- ↑ Prentence et al., Chapter 3: The Carbon Cycle and Atmospheric Carbon DioxideExecutive Summary, in IPCC TAR WG1 2001.
- ↑ Newell, P.J., 2000: Climate for change: non-state actors and the global politics of greenhou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63250-1.
- ↑ Talk of the Nation. “Americans Fail the Climate Quiz”. Npr.org. 201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Shindell, Drew; Faluvegi, Greg; Lacis, Andrew; Hansen, James; Ruedy, Reto; Aguilar, Elliot (2006). “Role of tropospheric ozone increases in 20th-century climate chang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1 (D8): D08302. Bibcode:2006JGRD..11108302S. doi:10.1029/2005JD006348.
- ↑ Solomon, S; D. Qin; M. Manning; Z. Chen; M. Marquis; K.B. Averyt; M. Tignor; H.L. Miller, 편집. (2007). 〈3.4.4.2 Surface Radiation〉. 《Climate Change 2007: Working Group I: The Physical Science Basis》. ISBN 978-0-521-88009-1. 2018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Hansen, J; Sato, M; Ruedy, R; Lacis, A; Oinas, V (2000). “Global warming in the twenty-first century: an alternative scenario”. 《Proc. Natl. Acad. Sci. U.S.A.》 97 (18): 9875–80. Bibcode:2000PNAS...97.9875H. doi:10.1073/pnas.170278997. PMC 27611. PMID 1094419.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author=
및|last1=
(도움말) - ↑ Ramanathan, V.; Carmichael, G. (2008). “Global and regional climate changes due to black carbon”. 《Nature Geosciences》 1 (4): 221–227. Bibcode:2008NatGe...1..221R. doi:10.1038/ngeo156.
- ↑ Lohmann, U. & J. Feichter (2005). “Global indirect aerosol effects: a review”. 《Atmos. Chem. Phys.》 5 (3): 715–737. doi:10.5194/acp-5-715-2005.
- ↑ Twomey, S. (1977). “Influence of pollution on shortwave albedo of clouds”. 《J. Atmos. Sci.》 34 (7): 1149–1152. Bibcode:1977JAtS...34.1149T. doi:10.1175/1520-0469(1977)034<1149:TIOPOT>2.0.CO;2. ISSN 1520-0469.
- ↑ Albrecht, B. (1989). “Aerosols, cloud microphysics, and fractional cloudiness”. 《Science》 245 (4923): 1227–1239. Bibcode:1989Sci...245.1227A. doi:10.1126/science.245.4923.1227. PMID 17747885.
- ↑ IPCC, "Aerosols, their Direct and Indirect Effects", pp. 291–292 in IPCC TAR WG1 2001.
- ↑ Ramanathan, V.; Chung, C.; Kim, D.; Bettge, T.; Buja, L.; Kiehl, J.T.; Washington, W.M.; Fu, Q.; Sikka, D.R.; et al. (2005). “Atmospheric brown clouds: Impacts on South Asian climate and hydrological cycle”. 《Proc. Natl. Acad. Sci.》 102 (15): 5326–5333. Bibcode:2005PNAS..102.5326R. doi:10.1073/pnas.0500656102. PMC 552786. PMID 15749818.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last1=
및|last=
(도움말);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first1=
및|first=
(도움말) - ↑ Ramanathan, V.; 외. (2008). “Report Summary” (PDF). 《Atmospheric Brown Clouds: Regional Assessment Report with Focus on Asia》.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1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Ramanathan, V.; 외. (2008). “Part III: Global and Future Implications”(PDF). 《Atmospheric Brown Clouds: Regional Assessment Report with Focus on Asia》.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1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서프라이즈’ 지구 온난화, 조 프레이져 ‘집중 조명’[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투데이코리아 2009년 9월 27일
- ↑ 지구온난화의 주범이 태양의 흑점 폭발? 퍼퓰러사이언스 2007년 3월 7일
- ↑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4). 《Solar Influences On Global Chang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6쪽. ISBN 0-309-05148-7.
- ↑ Martin-Puertas, Celia; Katja Matthes, Achim Brauer, Raimund Muscheler, Felicitas Hansen, Christof Petrick, Ala Aldahan, Göran Possnert, Bas van Geel (2012). “Regional atmospheric circulation shifts induced by a grand solar minimum”. 《Nature Geoscience》 5 (6): 397–401. doi:10.1038/ngeo1460. ISSN 1752-0894. 2012년 9월 13일에 확인함.
- ↑ Lockwood, Mike; Fröhlich, Claus (2008년 6월 8일). “Recent oppositely directed trends in solar climate forcings and the global mean surface air temperature. II. Different reconstructions of the total solar irradiance variation and dependence on response time scale”. 《Proc. R. Soc. A》 464 (2094): 1367–85. Bibcode:2008RSPSA.464.1367L. doi:10.1098/rspa.2007.0347.
- ↑ Sirocko, Frank; Heiko Brunck, Stephan Pfahl (2012년 8월 25일). “Solar influence on winter severity in central Europ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9 (16): L16704. doi:10.1029/2012GL052412. ISSN 0094-8276. 2012년 9월 13일에 확인함.
- ↑ Duffy, Santer and Wigley, "Solar variability does not explain late-20th-century warming Archived 2011년 4월 10일 - 웨이백 머신" Physics Today, January, 2009, pp 48–49. The authors respond to recent assertions by Nicola Scafetta and Bruce West that solar forcing "might account" for up to about half of 20th-century warming.
- ↑ Hansen, J. (2002). “Climate forcings in Goddard Institute for Space Studies SI2000 simul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7(D18): 4347. Bibcode:2002JGRD..107.4347H. doi:10.1029/2001JD001143.
- ↑ Hansen, J. (2005). “Efficacy of climate forcing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0 (D18): D18104. Bibcode:2005JGRD..11018104H. doi:10.1029/2005JD005776.
- ↑ Randel, William J.; Shine, Keith P.; Austin, John; Barnett, John; Claud, Chantal; Gillett, Nathan P.; Keckhut, Philippe; Langematz, Ulrike; Lin, Roger (2009). “An update of observed stratospheric temperature trend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4 (D2): D02107. Bibcode:2009JGRD..11402107R. doi:10.1029/2008JD010421.
- ↑ Marsh, Nigel; Henrik, Svensmark (November 2000). “Cosmic Rays, Clouds, and Climate” (PDF). 《Space Science Reviews》 94 (1–2): 215–230. doi:10.1023/A:1026723423896. 2014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4월 17일에 확인함.
- ↑ Lockwood, Mike; Claus Fröhlich (2007). “Recent oppositely directed trends in solar climate forcings and the global mean surface air temperature” (PDF).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463 (2086): 2447. Bibcode:2007RSPSA.463.2447L. doi:10.1098/rspa.2007.1880. 2007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21일에 확인함.
Our results show that the observed rapid rise in global mean temperatures seen after 1985 cannot be ascribed to solar variability, whichever of the mechanisms is invoked and no matter how much the solar variation is amplified
- ↑ T Sloan and A W Wolfendale (2008). “Testing the proposed causal link between cosmic rays and cloud cover”. 《Environ. Res. Lett.》 3 (2): 024001. arXiv:0803.2298. Bibcode:2008ERL.....3d4001S. doi:10.1088/1748-9326/3/2/024001.
- ↑ Pierce, J.R. and P.J. Adams (2009). “Can cosmic rays affect cloud condensation nuclei by altering new particle formation rat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6 (9): L09820. Bibcode:2009GeoRL..3609820P. doi:10.1029/2009GL037946.
- ↑ Jaggard, Victoria. "Sun Headed Into Hibernation, Solar Studies Predict." National Geographic News, 14 June 2011.
- ↑ 가나 Live Science.com, "NASA Report: Greenhouse Gases, Not Sun, Driving Warming", Wynne Parry, 01 February 2012
- ↑ Hansen, J.; M. Sato, P. Kharecha, K. von Schuckmann (2011). “Earth's energy imbalance and implication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1 (24): 13421–13449. doi:10.5194/acp-11-13421-2011.
- ↑ Lenton, T. M.; Held, H.; Kriegler, E.; Hall, J. W.; Lucht, W.; Rahmstorf, S.; Schellnhuber, H. J. (2008). “Inaugural Article: Tipping elements in the Earth's climate system”.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5 (6): 1786. doi:10.1073/pnas.0705414105.
- ↑ 가나 다 라 마 KEVIN SCHAEFER, TINGJUN ZHANG, LORI BRUHWILER, ANDREW P. BARRETT (2011). “Amount and timing of permafrost carbon release in response to climate warming”. 《Tellus Series B》 63 (2): 165–180. Bibcode:2011TellB..63..165S. doi:10.1111/j.1600-0889.2011.00527.x.
- ↑ 가나 Romm, Joe (2011년 2월 17일). “NSIDC bombshell: Thawing permafrost feedback will turn Arctic from carbon sink to source in the 2020s, releasing 100 billion tons of carbon by 2100”. ThinkProgress. 2011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Thawing permafrost likely will accelerate global warming, study finds”. Sciencedaily.com. 2011년 2월 17일. doi:10.1111/j.1600-0889.2011.00527.x. 2011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Hunting for methane with Katey Walter Anthony》. Univ Alaska Fairbanks, Marketing and Communications. 2011년 5월 31일에 확인함.
- ↑ Isaksen, Ivar S. A.; Michael Gauss, Gunnar Myhre, Katey M. Walter, and Anthony and Carolyn Ruppel (2011년 4월 20일). “Strong atmospheric chemistry feedback to climate warming from Arctic methane emissions” (PDF).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25 (2). Bibcode:2011GBioC..25B2002I. doi:10.1029/2010GB003845.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일에 확인함.
- ↑ IPCC, Glossary A-D: "Climate Model", in IPCC AR4 SYR 2007.
- ↑ 가나 Meehl, G.A.; 외., 〈Ch 10: Global Climate Projections〉, Sec 10.5.4.6 Synthesis of Projected Global Temperature at Year 2100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in IPCC AR4 WG1 2007 - ↑ Karl, TR; 외., 편집. (2009), 〈Global Climate Change〉, 《Global Climate Change Impacts in the United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14407-0
- ↑ Hansen, James (2000). 〈Climatic Change: Understanding Global Warming〉. Robert Lanza. 《One World: The Health & Survival of the Human Species in the 21st century》. Health Press (New Mexico). 173–190쪽. ISBN 0-929173-33-3. 2007년 8월 18일에 확인함.
- ↑ Torn, Margaret; Harte, John (2006). “Missing feedbacks, asymmetric uncertainties, and the underestimation of future warming”.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 (10): L10703. Bibcode:2006GeoRL..3310703T. doi:10.1029/2005GL025540. 2007년 3월 4일에 확인함.
- ↑ Harte, John; et al. (2006). “Shifts in plant dominance control carbon-cycle responses to experimental warming and widespread drought”.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1 (1): 014001. Bibcode:2006ERL.....1a4001H. doi:10.1088/1748-9326/1/1/014001. 2007년 5월 2일에 확인함.
- ↑ Scheffer, Marten; et al. (2006). “Positive feedback between global warming and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 inferred from past climate change” (PDF).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 (10): L10702. Bibcode:2006GeoRL..3310702S. doi:10.1029/2005gl025044. 2007년 5월 4일에 확인함.
- ↑ Stocker et al., Chapter 7: Physical Climate Processes and Feedbacks, Section 7.2.2: Cloud Processes and Feedbacks, in IPCC TAR WG1 2001.
- ↑ Randall et al., Chapter 8, Climate Models and Their Evaluation, Sec. FAQ 8.1 in IPCC AR4 WG1 2007.
- ↑ IPCC, Technical Summary, p. 54, in IPCC TAR WG1 2001.
- ↑ Stroeve, J.; 외. (2007). “Arctic sea ice decline: Faster than forecas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 (9): L09501. Bibcode:2007GeoRL..3409501S. doi:10.1029/2007GL029703.
- ↑ Wentz,FJ; 외. (2007). “How Much More Rain Will Global Warming Bring?”. 《Science》 317 (5835): 233–5. Bibcode:2007Sci...317..233W. doi:10.1126/science.1140746. PMID 17540863.
- ↑ Liepert, Beate G.; Previdi (2009). “Do Models and Observations Disagree on the Rainfall Response to Global Warming?”. 《Journal of Climate》 22 (11): 3156. Bibcode:2009JCli...22.3156L. doi:10.1175/2008JCLI2472.1.
Recently analyzed satellite-derived global precipitation datasets from 1987 to 2006 indicate an increase in global-mean precipitation of 1.1%–1.4% decade−1. This trend corresponds to a hydrological sensitivity (HS) of 7% K−1 of global warming, which is close to the Clausius–Clapeyron (CC) rate expected from the increase in saturation water vapor pressure with temperature. Analysis of two available global ocean evaporation datasets confirms this observed intensification of the atmospheric water cycle. The observed hydrological sensitivity over the past 20-yr period is higher by a factor of 5 than the average HS of 1.4% K−1 simulated in state-of-the-art coupled atmosphere–ocean climate models for the twentieth and twenty-first centuries.
- ↑ IPCC, Glossary A-D: "Detection and attribution", in IPCC AR4 WG1 2007. See also Hegerl et al., Section 9.1.2: What are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Attribution?, in IPCC AR4 WG1 2007.
- ↑ Rosenzweig et al., Chapter 1: Assessment of Observed Changes and Responses in Natural and Managed Systems Section 1.2 Methods of detection and attribution of observed changes, in IPCC AR4 WG2 2007.
- ↑ 가나 IPCC, Synthesis Report Summary for Policymakers, Section 1: Observed changes in climate and their effects, in IPCC AR4 SYR 2007.
- ↑ 2007년 발표된 IPCC 보고서에서, 전문가의 판단으로 이 현상은 약 90% 확률로 예측한다. IPCC, Synthesis Report Summary for Policymakers, Introduction Archived 2013년 3월 9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SYR 2007
- ↑ 2008년 발표된 미국 국립연구위원회 보고서 "기후 변화의 이해와 대응"에 따르면,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최근 수십년간의 온난화가 주로 인간이 배출한 온실 기체의 배출 때문이라는 것에 동의한다"라고 작성했다.
- ↑ IPCC, Synthesis Report Summary for Policymakers, Section 2: Causes of change, in IPCC AR4 SYR 2007.
- ↑ 가나 다 IPCC, Synthesis Report Summary for Policymakers, Section 3: Projected climate change and its impacts, in IPCC AR4 SYR 2007.
- ↑ IPCC, WG2 Summary for Policymakers, Magnitudes of impact, in IPCC AR4 WG2 2007.
- ↑ Wang, M; J.E. Overland (2009). “A sea ice free summer Arctic within 30 years?”. 《Geophys. Res. Lett》 36 (7). Bibcode:2009GeoRL..3607502W. doi:10.1029/2009GL037820. 2011년 5월 2일에 확인함.
- ↑ 이유진 (2008년 4월 28일). “<올여름 북극서 얼음 사라질 수도>”. 연합뉴스.
- ↑ James Hansen; Makiko Sato; Reto Ruedy (August 2012).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9 (32). doi:10.1073/pnas.1205276109. 2012년 8월 18일에 확인함.
- ↑ Emanuel, Kerry; Sundararajan, Williams (2008). “Hurricanes and Global Warming: Results from downscaling IPCC AR4 Simulation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ibcode:2008BAMS...89..347E. doi:10.1175/BAMS-89-3-347. 2012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Fischlin, et al., Chapter 4: Ecosystems, their Properties, Goods and Services, Executive Summary, p. 213, in IPCC AR4 WG2 2007. Executive summary not present in on-line text; see pdf.
- ↑ Schneider et al., Chapter 19: Assessing Key Vulnerabilities and the Risk from Climate Change, Section 19.3.4: Ecosystems and biodiversity, in IPCC AR4 WG2 2007.
- ↑ Washington Post, 9 July 2012, "US Official: Higher Ocean Acidity Is Climate Change’s ‘Evil Twin,’ Major Threat to Coral Reefs," http://www.washingtonpost.com/world/us-official-higher-ocean-acidity-is-climate-changes-evil-twin-major-threat-to-coral-reefs/2012/07/09/gJQAVAvRXW_story.html
- ↑ In 2010, the worlds oceans were 30% more acidic than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 - see Morello, Lauren (22 February 2010) Oceans Turn More Acidic Than Last 800,000 Years Scientific American, Retrieved 23 July 2012
- ↑ Hönisch, Bärbel; Ridgwell, Schmidt, Thomas, Gibbs, Slujis, Zeebe, Kump, Martindale, Greene, Kiessling, Ries, Zachos, Royer, Barker, Marchitto Jr, Moyer, Pelejero, Ziveri, Foster, Williams (2012). “The Geological record of ocean acidification”. 《Science》. Bibcode:2012Sci...335.1058H. doi:10.1126/science.1208277. 2012년 5월 1일에 확인함.
- ↑ Wilbanks et al., Chapter 7: Industry, Settlement and SocietyArchived 2013년 3월 16일 - 웨이백 머신, Executive SummaryArchived 2013년 3월 12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WG2 2007.
- ↑ 가나 x Schneider et al., Chapter 19: Assessing Key Vulnerabilities and the Risk from Climate Change, Section 19.3.3: Regional vulnerabilities Archived 2013년 3월 12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WG2 2007.
- ↑ Schneider et al., Chapter 19: Assessing Key Vulnerabilities and the Risk from Climate Change, Section 19.3.7: Update on ‘Reasons for Concern’ Archived 2013년 3월 12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WG2 2007.
- ↑ 가나 x Schneider et al., Chapter 19: Assessing Key Vulnerabilities and the Risk from Climate Change, Table 19.1 Archived 2013년 3월 12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WG2 2007.
- ↑ IPCC, Synthesis Report Summary for Policymakers, Section 5.2: Key vulnerabilities, impacts and risks – long-term perspectives Archived2013년 5월 27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SYR 2007.
- ↑ Yohe, et al., Chapter 20: Perspectives on Climate Change and Sustainability Archived 2013년 6월 8일 - 웨이백 머신, Figure 20.3Archived 2011년 11월 8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WG2 2007.
- ↑ Stern, N. (2006). 〈6.2 What existing models calculate and include〉. 《6 Economic modelling of climate-change impacts》 (PDF). Stern Review Report on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pre-publication edition). HM Treasury website. 147–148쪽. 2013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Lobell, David; Burke, Tebaldi, Mastrandrea, Falcon, Naylor (2008). “Prioritiz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needs for food security in 2030”. 《Science》 319 (5863): 607–10. doi:10.1126/science.1152339. PMID 18239122. 2012년 4월 13일에 확인함.
- ↑ “Global warming and agriculture” (PD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March 2008. 2012년 5월 5일에 확인함.
- ↑ Schneider et al., Chapter 19: Assessing Key Vulnerabilities and the Risk from Climate Change, Section 19.3.2.1: Agriculture Archived 2012년 8월 19일 - 웨이백 머신, in IPCC AR4 WG2 2007.
- ↑ IPCC AR4 SYR 2007. 〈3.3.3 Especially affected systems, sectors and regions〉. Synthesis report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syr/en/mains3-3-3.html.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 Mimura, N.; 외. (2007). 〈Executive summary〉. Parry, M.L., et al. (eds.). 《Chapter 16: Small Islands》.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Cambridge, UK: Print version: CUP. This version: IPCC website. ISBN 0521880106. 2011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Climate change and the risk of statelessness” (PDF). May 2011. 2012년 4월 13일에 확인함.
- ↑ IPCC, Glossary J-P Archived 2010년 5월 1일 - 웨이백 머신: "Mitigation", in IPCC AR4 WG3 2007.
- ↑ 가나 다 IPCC, Synthesis Report Summary for Policymakers, Section 4: Adaptation and mitigation options, in IPCC AR4 SYR 2007.
- ↑ 틀:AR4
- ↑ Rom, Joe (2011년 5월 12일). “National Academy calls on nation to 'substantially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starting ASAP”. 《ThinkProgress》. 2013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7일에 확인함.
- ↑ IEA (2011년 5월 30일). “Prospect of limiting the global increase in temperature to 2 °C is getting bleaker”. International Energy Agency. 2012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7일에 확인함.
- ↑ Robinson, Simon (2010년 1월 22일). “How to reduce Carbon emmissions: Capture and Store It?”. 《Time》. 2010년 8월 9일에 확인함.
- ↑ Smit et al., Chapter 18: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quity, Section 18.2.3: Adaptation Types and Forms, in IPCC TAR WG2 2001.
- ↑ 〈Appendix I. Glossary〉, "adaptive capacity"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in IPCC AR4 WG2 2007 - ↑ 〈Synthesis report〉, Sec 6.3 Responses to climate change: Robust findings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in IPCC AR4 SYR 2007 - ↑ “Workshop on managing solar radiation” (PDF). NASA. April 2007. 2009년 5월 3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Stop emitting CO2 or geoengineering could be our only hope” (보도 자료). The Royal Society. 2009년 8월 28일. 2011년 6월 14일에 확인함.
- ↑ 김주홍 (2009년 2월 12일). “농진청,효율높은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 개발”. 아시아투데이. 200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유용하 (2009년 2월 10일). “[세상을 바꾸는 첨단기술의 힘] 바이오 연료의 무한 진화”. 매일경제. 2012년 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14일에 확인함.
|제목=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 가나 김경석 (2009년 1월 27일). “"바다에 철분 뿌려 지구온난화 해결"”. 연합뉴스. 2009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가나 안동환 (2007년 3월 31일). “‘우주거울’ 온난화 해결방안으로 추진… 윤리논쟁 점화”. 서울신문. 2009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이혜운 (2009년 2월 12일). “英, 바다 밑에 이산화탄소 묻는다”. 조선일보. 2009년 2월 15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민철 (2007년 12월 11일). ““수몰 위기의 투발루를 구해주세요””. 조선일보. 2009년 2월 15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고뉴스TV (2007년 12월 27일). “기후 협정을 위해 ‘로드맵’”. 고뉴스. 2009년 2월 15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위기에 빠진 북극곰 살리기,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해결방안”. 《그린피스》. 2018년 1월 2일에 확인함.
- ↑ 카밀라 툴민 (2008년 12월 11일). “[해외 칼럼] 강대국이 주도하는 기후변화회의”. 중앙일보. 2009년 2월 15일에 확인함.
|제목=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 남재일 (2007년 4월 12일). “[판] 거꾸로 가는 미국, 뜨거워지는 지구”. 경향신문. 2009년 2월 15일에 확인함.
|제목=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 김주현 (2007년 8월 27일). ““中 발전한만큼 기후대책을”… 訪中 메르켈, 원자바오에 촉구”. 경향신문. 2009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지구 온난화, 지구 자정 능력 범위 벗어나]”. 연합뉴스(매일경제). 2008년 4월 28일. 2012년 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30일에 확인함.
|제목=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 김유진 (2007년 11월 18일). ““2~3년내 온난화대책 없으면 재앙””. 경향신문. 2009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Banuri, et al., Chapter 3: Equity and Social Considerations, Section 3.1.2: Concepts of equity, p. 85 et seq. in IPCC SAR WG3 1996.
- ↑ Banuri, et al., Chapter 3: Equity and Social Considerations, Section ??, p. 83, in IPCC SAR WG3 1996.
- ↑ Boykoff, M.; Boykoff, J. (July 2004). “Balance as bias: global warming and the US prestige press” (PDF). 《Global Environmental Change Part A》 14 (2): 125–136. doi:10.1016/j.gloenvcha.2003.10.001. 2015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일에 확인함.
- ↑ Oreskes, Naomi; Conway, Erik. 《Merchants of Doubt: How a Handful of Scientists Obscured the Truth on Issues from Tobacco Smoke to Global Warming》 fir판. Bloomsbury Press. ISBN 978-1-59691-610-4.
- ↑ Julie Brigham-Grette; 외. (2006년 9월). “Petroleum Geologists' Award to Novelist Crichton Is Inappropriate” (PDF). 《Eos》 87 (36). 2012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월 23일에 확인함.
The AAPG stands alone among scientific societies in its denial of human-induced effects on global warming.
- ↑ DiMento, Joseph F. C.; Doughman, Pamela M. (2007). 《Climate Change: What It Means for Us, Our Children, and Our Grandchildren》. The MIT Press. 68쪽. ISBN 978-0-262-54193-0.
- ↑ Aaron M. McCright and Riley E. Dunlap, "Challenging Global Warming as a Social Problem: An Analysis of the Conservative Movement's Counter-Claims," Social Problems, November 2000, Vol. 47 Issue 4, pp 499–522 in JSTOR
참조[편집]
- IPCC AR4 SYR (2007), Core Writing Team; Pachauri, R.K; and Reisinger, A., 편집.,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ISBN 92-9169-122-4
- IPCC AR4 WG1 (2007), Solomon, S.; Qin, D.; Manning, M.; Chen, Z.; Marquis, M.; Averyt, K.B.; Tignor, M.; and Miller, H.L., 편집.,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8009-1 (pb: ISBN 978-0-521-70596-7)
- IPCC AR4 WG2 (2007), Parry, M.L.; Canziani, O.F.; Palutikof, J.P.; van der Linden, P.J.; and Hanson, C.E., 편집.,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8010-7 (pb: ISBN 978-0-521-70597-4)
- IPCC AR4 WG3 (2007), Metz, B.; Davidson, O.R.; Bosch, P.R.; Dave, R.; and Meyer, L.A., 편집., 《Climate Change 2007: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8011-4 (pb: ISBN 978-0-521-70598-1)
- IPCC SAR SYR (1996), 《Climate Change 1995: A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econ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pdf. The "Full Report", consisting of "The IPCC Second Assessment Synthesis of Scientific-Technical Information Relevant to Interpreting Article 2 of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the Summaries for Policymakers of the three Working Groups.
- IPCC SAR WG3 (1996), Bruce, J.P.; Lee, H.; and Haites, E.F., 편집., 《Climate Change 1995: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s of Climate Change》,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Secon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56051-9 (pb: ISBN 0-521-56854-4 ) pdf.
- IPCC TAR WG1 (2001), Houghton, J.T.; Ding, Y.; Griggs, D.J.; Noguer, M.; van der Linden, P.J.; Dai, X.; Maskell, K.; and Johnson, C.A., 편집.,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0767-0, 2016년 3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2일에 확인함 (pb: ISBN 0-521-01495-6)
- IPCC TAR WG2 (2001), McCarthy, J. J.; Canziani, O. F.; Leary, N. A.; Dokken, D. J.; and White, K. S., 편집., 《Cl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0768-9, 2016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2일에 확인함 (pb: ISBN 0-521-01500-6)
- IPCC TAR WG3 (2001), Metz, B.; Davidson, O.; Swart, R.; and Pan, J., 편집., 《Climate Change 2001: Mitigation》,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0769-7, 2017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2일에 확인함 (pb: ISBN 0-521-01502-2)
- IPCC TAR SYR (2001), Watson, R. T.; and the Core Writing Team, 편집., 《Climate Change 2001: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0770-0 (pb: ISBN 0-521-01507-3)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0), 《America's Climate Choices: Panel on Advancing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ISBN 0-309-14588-0
- US NRC (2012), 《Climate Change: Evidence, Impacts, and Choices》, US National Research Council (US NRC). Also available as PDF
추가 읽기[편집]
- Association of British Insurers (2005–06). 《Financial Risks of Climate Change》 (PDF).
- Ammann, Caspar; et al. (2007). “Solar influence on climate during the past millennium: Results from transient simulations with the NCAR Climate Simulation Model” (PDF).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4 (10): 3713–3718. Bibcode:2007PNAS..104.3713A. doi:10.1073/pnas.0605064103. PMC 1810336. PMID 17360418.
Simulations with only natural forcing components included yield an early 20th century peak warming of ≈0.2 °C (≈1950 AD), which is reduced to about half by the end of the century because of increased volcanism
- Barnett, Tim P.; Adam, JC; Lettenmaier, DP; Adam, J. C.; Lettenmaier, D. P. (2005년 11월 17일). “Potential impacts of a warming climate on water availability in snow-dominated regions” (abstract). 《Nature》 438 (7066): 303–309. Bibcode:2005Natur.438..303B. doi:10.1038/nature04141. PMID 16292301.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last1=
및|last=
(도움말);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first1=
및|first=
(도움말) - Behrenfeld, Michael J.; O'malley, RT; Siegel, DA; Mcclain, CR; Sarmiento, JL; Feldman, GC; Milligan, AJ; Falkowski, PG; Letelier, RM; et al. (2006년 12월 7일). “Climate-driven trends in contemporary ocean productivity” (PDF). 《Nature》 444 (7120): 752–755. Bibcode:2006Natur.444..752B. doi:10.1038/nature05317. PMID 17151666. 2016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last1=
및|last=
(도움말);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first1=
및|first=
(도움말) - Choi, Onelack; Fisher, Ann (May 2005). “The Impact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on Severe Weather Catastrophe Losses: Mid-Atlantic Region (MAR) and the U.S”. 《Climate Change》 58 (1–2): 149–170. doi:10.1023/A:1023459216609.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Dyurgerov, Mark B.; Meier, Mark F. (2005). 《Glaciers and the Changing Earth System: a 2004 Snapshot》 (PDF). Institute of Arctic and Alpine Research Occasional Paper #58. ISSN 0069-6145.
- Emanuel, Kerry A. (2005년 8월 4일). “Increasing destructiveness of tropical cyclones over the past 30 years” (PDF). 《Nature》 436 (7051): 686–688. Bibcode:2005Natur.436..686E. doi:10.1038/nature03906. PMID 16056221.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last1=
및|last=
(도움말);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first1=
및|first=
(도움말) - Hansen, James; et al. (2005년 6월 3일). “Earth's Energy Imbalance: Confirmation and Implications” (PDF). 《Science》 308 (5727): 1431–1435. Bibcode:2005Sci...308.1431H. doi:10.1126/science.1110252. PMID 15860591. 2009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Hinrichs, Kai-Uwe; Hmelo, Laura R.; Sylva, Sean P. (2003년 2월 21일). “Molecular Fossil Record of Elevated Methane Levels in Late Pleistocene Coastal Waters”. 《Science》 299 (5610): 1214–1217. Bibcode:2003Sci...299.1214H. doi:10.1126/science.1079601. PMID 12595688.
- Hirsch, Tim (2006년 1월 11일). “Plants revealed as methane source”. BBC.
- Hoyt, Douglas V.; Schatten, Kenneth H. (1993–11). “A discussion of plausible solar irradiance variations, 1700–1992”.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8 (A11): 18,895–18,906. Bibcode:1993JGR....9818895H. doi:10.1029/93JA01944.
- Karnaukhov, A. V. (2001). “Role of the Biosphere in the Formation of the Earth's Climate: The Greenhouse Catastrophe” (PDF). 《Biophysics》 46 (6).
- Kenneth, James P.; et al. (2003년 2월 14일). 《Methane Hydrates in Quaternary Climate Change: The Clathrate Gun Hypothesis》.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11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Keppler, Frank; et al. (2006년 1월 18일). “Global Warming – The Blame Is not with the Plants”. Max Planck Society.
- Lean, Judith L.; Wang, Y.M.; Sheeley, N.R. (2002–12). “The effect of increasing solar activity on the Sun's total and open magnetic flux during multiple cycles: Implications for solar forcing of climat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abstract) 29 (24): 2224. Bibcode:2002GeoRL..29x..77L. doi:10.1029/2002GL015880.
- Lerner, K. Lee; Lerner, K. Lee; Wilmoth, Brenda (2006년 7월 26일). 《Environmental issues: essential primary sources》. Thomson Gale. ISBN 1-4144-0625-8.
- McKibben, Bill (2011). 《The Global Warming Reader》. OR Books. ISBN 978-1-935928-36-2.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Muscheler, Raimund, R; Joos, F; Müller, SA; Snowball, I; et al. (2005년 7월 28일). “Climate: How unusual is today's solar activity?” (PDF). 《Nature》 436 (7012): 1084–1087. Bibcode:2005Natur.436E...3M. doi:10.1038/nature04045. PMID 16049429. 2006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last1=
및|last=
(도움말) - Oerlemans, J. (2005년 4월 29일). “Extracting a Climate Signal from 169 Glacier Records” (PDF). 《Science》 308 (5722): 675–677. Bibcode:2005Sci...308..675O. doi:10.1126/science.1107046. PMID 15746388.
- Purse, Bethan V.; Mellor, PS; Rogers, DJ; Samuel, AR; Mertens, PP; Baylis, M; et al. (February 2005). “Climate change and the recent emergence of bluetongue in Europe” (abstract). 《Nature Reviews Microbiology》 3 (2): 171–181. doi:10.1038/nrmicro1090. PMID 15685226.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last1=
및|last=
(도움말);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first1=
및|first=
(도움말) - Revkin, Andrew C (2005년 11월 5일). “Rise in Gases Unmatched by a History in Ancient Ice”. 《The New York Times》.
- Royal Society (2005). “Joint science academies' statement: Glob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2009년 4월 19일에 확인함.
- Ruddiman, William F. (2005년 12월 15일). 《Earth's Climate Past and Future》. New York: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7167-3741-8. 2006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Ruddiman, William F. (2005년 8월 1일). 《Plows, Plagues, and Petroleum: How Humans Took Control of Climat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12164-8.
- Solanki, Sami K.; Usoskin, IG; Kromer, B; Schüssler, M; Beer, J; et al. (2004년 10월 23일). “Unusual activity of the Sun during recent decades compared to the previous 11,000 years” (PDF). 《Nature》 431 (7012): 1084–1087. Bibcode:2004Natur.431.1084S. doi:10.1038/nature02995. PMID 15510145.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last1=
및|last=
(도움말);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first1=
및|first=
(도움말) - Solanki, Sami K.; et al. (2005년 7월 28일). “Climate: How unusual is today's solar activity? (Reply)” (PDF). 《Nature》 436 (7050): E4–E5. Bibcode:2005Natur.436E...4S. doi:10.1038/nature04046.
- Sowers, Todd (2006년 2월 10일). “Late Quaternary Atmospheric CH4 Isotope Record Suggests Marine Clathrates Are Stable”. 《Science》 311 (5762): 838–840. Bibcode:2006Sci...311..838S. doi:10.1126/science.1121235. PMID 16469923.
- Svensmark, Henrik; et al. (2007년 2월 8일). “Experimental evidence for the role of ions in particle nucleation under atmospheric condition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FirstCite Early Online Publishing) 463 (2078): 385–396. Bibcode:2007RSPSA.463..385S. doi:10.1098/rspa.2006.1773. (online version requires registration)
- Walter, K. M.; Zimov, SA; Chanton, JP; Verby la, D; Chapin Fs, 3rd; et al. (2006년 9월 7일). “Methane bubbling from Siberian thaw lakes as a positive feedback to climate warming”. 《Nature》 443 (7107): 71–75. Bibcode:2006Natur.443...71W. doi:10.1038/nature05040. PMID 16957728.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last1=
및|last=
(도움말);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first1=
및|first=
(도움말) - Wang, Y.-M.; Lean, J.L.; Sheeley, N.R. (2005년 5월 20일). “Modeling the sun's magnetic field and irradiance since 1713” (PDF). 《Astrophysical Journal》 625 (1): 522–538. Bibcode:2005ApJ...625..522W. doi:10.1086/429689. 2007년 6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지구 온난화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기관
- (영어)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 연구용
- NASA Goddard Institute for Space Studies – 세계적 변화 연구
- NOAA State of the Climate Report – 미국과 세계의 월간 기후 보고서
- Climate Change at the National Academies– 보고서 저장소
- Nature Reports Climate Change – 웹 출처
- Met Office: Climate change – 영국 국립 기상 연구소
- Global Science and Technology Sources on the Internet – 목록 리스트
- Educational Global Climate Modelling (EdGCM) – 연구 수준의 기후 변화 시뮬레이터
- DISCOVER –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제공하는 1979년부터의 위성 기반의 해양 기후 데이터
- Global Warming Art – 그림 및 이미지 저장소
- 교육용
- What Is Global Warming? – 내셔널 지오그레픽
- Global Climate Change Indicators– NOAA
- NOAA Climate Services – NOAA
- Global Warming Frequently Asked Questions – NOAA
-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Frequently Asked Questions – UCAR
- Global Warming: Center for Global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Illinois
- Global Climate Change: NASA's Eyes on the Earth – NASA's JPL와 칼텍
- OurWorld 2.0 – 유엔 대학
- Center for Climate and Energy Solutions – 비즈니스와 정치 영향
- Best Effort Global Warming Trajectories– Wolfram Demonstrations Project – Harvey Lam
- Koshland Science Museum– Global Warming Facts and Our Future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그래픽적 소개
- Climate Change: Coral Reefs on the Edge – 오클랜드 대학의 Ove Hoegh-Guldberg교수의 비디오 프렌젠테이션
- Climate Change Indicators in the United States 미국 환경 보호국에서 발표한 80쪽의 보고서
- Global Warming
- Video on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on St. Lawrence Island in the Bering Sea
- 주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