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ine grace
Divine grace is a theological term present in many religions.
It has been defined as the divine influence[1] which operates in humans to regenerate and sanctify, to inspire virtuous impulses, and to impart strength to endure trial and resist temptation;[2] and as an individual virtue or excellence of divine origin.[3]
Eastern religions[edit]
Hinduism[edit]
Hindu devotional or bhakti literature available throughout India and Nepal is replete with references to grace (kripa) as the ultimate key required for spiritual self-realization.[4] Some, such as the ancient sage Vasistha, in his classical work Yoga Vasistha, considered it to be the only way to transcend the bondage of lifetimes of karma.[5] One Hindu philosopher, Madhvacharya, held that grace was not a gift from God, but rather must be earned.[6]
Buddhism[edit]
While many schools of Buddhism emphasize self-discipline and effort as the path to enlightenment, something akin to the concept of divine grace is present as well.
One of the most prominent examples of this is the doctrine of the Jōdo Shinshū branch of Pure Land Buddhism, founded by the 12th-century Japanese monk, Shinran. In Buddhism, the concept of "merit" refers to the power of good karma built up over time through meditation, effort and spiritual practice- in Japanese, "Jiriki," or "self-power." This merit can be transferred to other sentient beings by a spiritual adept or bodhisattva, motivated by compassion for all beings cultivated through attaining bodhicitta. For Shinran, this ability to muster up genuine self-directed spiritual attainment is lacking in almost all humans, who are in reality "bombu," or foolish beings lost in a sea of delusion and selfishness such that even their good actions are tainted by selfish motivations. The only hope for spiritual advancement is giving up on Jiriki and, through faith, or "shinjin," embracing the Tariki, or "other-power" of an infinitely-compassionate being. This being is Amida Buddha, who countless millennia ago made a primal vow to save all sentient beings by building up enough merit to establish a pure land, into which beings could be reborn simply by invoking his name, and in which they could easily attain full enlightenment. The key difference between Shinran's school and other schools of Pure Land Buddhism is the idea that even this faith and the resulting small effort of reciting Amida's name is impossible without the intervening grace of Amida Buddha working in the deluded human being through the power of Amida's primal vow. Therefore, the recitation of Amida's name is seen more as an expression of gratitude for already-existing grace rather than the self-induced catalyst for a grace not yet present.[7]
Abrahamic religions[edit]
Judaism[edit]
In Judaism, divine grace is an attribute of the God of Israel that signifies his chesed (loving-kindness and mercy) for his chosen people and his compassion for sinners, the weak, and the less fortunate. Divine grace is granted even to those unworthy of it. In the Old Testament, the prophets promise divine grace for penitent Jews.[8]
In the Talmud, divine grace is designated by the term "mercy," which is in contrast to divine justice. The divine name Elohim implies mercy, while the Tetragrammaton implies justice. Grace, according to the Jewish sages, is given to merciful people, students of the Torah, and people whose ancestors or descendants merited grace for them. Righteous people can change divine justice to divine mercy.[9]
While medieval Jewish philosophers did not mention divine grace, the Jewish liturgy includes many references to it, especially on Rosh Hashanah and Yom Kippur. The God of Israel is called merciful in many prayers, including the Wehu Raḥum, Ahabah Rabbah, and Shemoneh 'Esrch.[10]
Western Christianity[edit]
Grace in Christianity is the free and unmerited favour of God as manifested in the salvation of sinners and the bestowing of blessings.[11] Common Christian teaching is that grace is unmerited mercy (favor) that God gave to humanity by sending his Son, Jesus Christ, to die on a cross, thus securing man's eternal salvation from sin.
Within Christianity, there are differing concepts of how grace is attained. In particular, Catholics and Reformed Protestants understand the attainment of grace in substantially different ways. It has been described as "the watershed that divides Catholicism from Protestantism, Calvinism from Arminianism, modern liberalism from conservatism".[12] Catholic doctrine teaches that God has imparted Divine Grace upon humanity and uses the vehicle of sacraments, which are carried out in faith,[13] as a primary and effective means to facilitate the reception of his grace.[14] For Catholics and Liturgical Protestants, sacraments (carried out in faith) are the incarnational or tangible vehicle through which God's grace becomes personally and existentially received.[15] Evangelical Protestants, generally, do not share this sacramental view on the transmittal of grace,[16] but instead favor a less institutionalized mechanism. For example, in the Catholic Church and the earlier Protestant churches (Lutheran, Reformed, Presbyterian, Anglican, etc.), the primary initiation into a state of grace is granted by God through infant baptism (in faith)[17] instead of by a simple prayer of faith (sinner's prayer); although, Catholics would not deny the possible efficacy of even a simple prayer for God's grace to flow (Baptism by desire[18][19]).
In another example, for Catholics, the sacrament of reconciliation (in faith) is the primary means of transmitting grace after a mortal sin has been committed.[20]
In the New Testament, the word translated as grace is the Greek word charis (/ˈkeɪrɪs/; Ancient Greek: χάρις), for which Strong's Concordance gives this definition: "Graciousness (as gratifying), of manner or act (abstract or concrete; literal, figurative or spiritual; especially the divine influence upon the heart, and its reflection in the life; including gratitude)".[21][22] Spiritual gifts or charismata which comes from the word family charis, is defined in the New Bible Dictionary as "grace coming to visible effect in word or deed."[23] A Greek word that is related to charis is charisma (gracious gift). Both these words originated from another Greek word chairo (to rejoice, be glad, delighted).[24]
In the Old Testament, the Hebrew term used is chen[25][26] (חֵן), which is defined in Strong's as "favor, grace or charm; grace is the moral quality of kindness, displaying a favorable disposition".[27] In the King James translation, chen is translated as "grace" 38 times, "favour" 26 times, twice as "gracious",[28] once as "pleasant",[29] and once as "precious".[30]
Islam[edit]
Salafi scholar Umar Sulayman al-Ashqar, dean of the Faculty of Islamic Law at Zarqa Private University in Zarqa, Jordan, wrote that "Paradise is something of immense value; a person cannot earn it by virtue of his deeds alone, but by the Grace and Mercy of Allah."[31] This stance is supported by hadith: according to Abu Huraira, Muhammad once said that "None amongst you can get into Paradise by virtue of his deeds alone ... not even I, but that Allah should wrap me in his grace and mercy."[32]
The Quran says "God is the Possessor of Infinite Grace" [33] and "He bestows this grace upon whomsoever He wills (or desires)."[34] Grace is something attainable by those here on earth from God who meet certain Quranic criteria. For example, they "believe in God and His messengers", and they "race toward forgiveness from their Lord and a Paradise whose width encompasses the heavens and the earth."[35]
See also[edit]
References[edit]
- ^ Blackmore, Richard Doddridge (1900). Lorna Doone. Ryerson Press. ISBN 0-665-26503-4. OCLC 1084383140.
- ^ OED, 2nd ed.: grace(n), 11b
- ^ OED, 2nd ed.: grace(n), 11e
- ^ Descent of divine grace The Hindu, June 30, 2005.
- ^ venkatesananda. "Yoga Vasistha - Daily Readings - Swami Venkatesananda". www.venkatesaya.com.
- ^ Great Thinkers of the Eastern World, Ian McGreal.
- ^ "Amazing Grace: Christian and Buddhist | Shin Dharma Net".
- ^ Jewish Encyclopedia: Divine Grace
- ^ Jewish Encyclopedia: Divine Grace
- ^ Jewish Encyclopedia: Divine Grace
- ^ OED, 2nd ed.: grace(n), 11a
- ^ Charles C. Ryrie, The Grace of God (Chicago: Moody Press, 1963), pp. 10-11.
-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127. Vatican City-State.
Celebrated worthily in faith, the sacraments confer the grace that they signify.
- ^ "Justification by Grace". www.saintaquinas.com.
- ^ Edward Schillebeeckx, Christ, the Sacrament of Encounter with God (Rowman & Littlefield, 1963), Foreword pp. 16
- ^ "Heaven: Encyclopedia II - Heaven - Heaven in Protestant Christian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1-24. Retrieved 2010-12-14.
-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992. Vatican City-State.
Justification is conferred in Baptism, the sacrament of faith.
-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260. Vatican City-State.
-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281. Vatican City-State.
... those who ... seek God sincerely and strive to fulfill his will, are saved even if they have not been baptized.
-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446. The Vatican.
Christ instituted the sacrament of Penance for all sinful members of his Church: above all for those who, since Baptism, have fallen into grave sin, and have thus lost their baptismal grace and wounded ecclesial communion. It is to them that the sacrament of Penance offers a new possibility to convert and to recover the grace of justification. The Fathers of the Church present this sacrament as "the second plank [of salvation] after the shipwreck which is the loss of grace."
- ^ "Strong's Greek: 5485. χάρις (charis) -- grace, kindness". strongsnumbers.com.
- ^ Strong (2001) Grk entry number 5485 (p. 1653)
- ^ "Spiritual Gifts: Listed by Paul, Motivated by Love". Crosswalk.com.
- ^ Strong (2001) Grk entry numbers 5486 and 5463
- ^ Blue Letter Bible entry for Strongs Hebrew term 2580, Blue Letter Bible institute, retrieved 2011-01-01
- ^ "Chen - Old Testament Hebrew Lexicon - New American Standard". Bible Study Tools.
- ^ Strong (2001) Hebrew entry number 2580 (p. 1501)
- ^ Proverbs 11:16 and Ecclesiastes 9:11
- ^ Proverbs 5:19
- ^ Proverbs 17:8
- ^ Bassam Zawadi; Mansur Ahmed, Answering Common Questions on Salvation That Christians Pose to Muslims, retrieved 2011-01-01
- ^ "Chapter 15: None Would Attain Salvation Because of his Deeds but it is Through Lord's Mercy, Number 6764", Sahih Muslim, Book 39,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enter for Jewish-Muslim engage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1-02, retrieved 2011-01-01
- ^ Quran 62:4
- ^ Source: Quran 57:29
- ^ see Quran 57:21
Sources[edit]
- Strong, James (2001), The Strongest Strong's Exhaustive Concordance of the Bible, Zondervan, ISBN 978-0-310-23343-5
- Stongnumbers.com, Online Parallel Bible Project (Biblos.com)
- Biblestudytools.com, Salem Web Network
Further reading[edit]
- Chisholm, Hugh, ed. (1911).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12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09–310.
신의 은총
신의 은총, 신의 은혜, 하나님 은혜는 많은 종교에 존재하는 신학 용어이다. 거듭나고 성결하게 하며, 덕스러운 충동을 불러일으키고, 시련을 견디고 유혹에 저항할 수 있는 힘을 주기 위해 인간 안에서 작용하는 신성한 영향력으로, 그리고 신성한 기원의 개인적인 미덕이나 탁월성으로서 정의 (논리학)되어 왔다.
동양 종교[편집]
힌두교[편집]
인도와 네팔 전역에서 구할 수 있는 힌두교 신앙 또는 박티 문헌에는 영적 자아 실현에 필요한 궁극적인 열쇠로서 은혜(크리파)에 대한 언급이 가득하다. 고대 현자 바시스타(Vasistha)와 같은 일부는 그의 고전에서 요가 바시스타(Yoga Vasistha)는 그것이 일생의 카르마의 속박을 초월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한 힌두교 철학자 마드바차리야(Madhvacharya)는 은혜는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 아니라, 얻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불교[편집]
아브라함계 종교[편집]
유대교[편집]
유대교에서 하나님의 은혜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의 속성으로, 자신이 선택한 백성에 대한 헤세드(사랑의 친절과 자비)와 죄인, 약자, 불운한 사람에 대한 연민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은혜는 받을 자격이 없는 사람에게도 주어진다. 구약성경에서 선지자들은 회개하는 유대인들에게 하나님의 은혜를 약속했다.
탈무드에서 하나님의 은총은 하나님의 정의와 대조되는 "자비"라는 용어로 지정된다. 하나님의 이름 엘로힘은 자비를 의미하는 반면, 신명사문자는 정의(justice)를 의미한다. 유대 현자들에 따르면 은혜는 자비로운 사람들, 토라를 연구하는 사람들, 그리고 조상이나 후손이 그들을 위해 은혜를 받은 사람들에게 주어진다. 의로운 사람들은 신성한 정의를 신성한 자비로 바꿀 수 있다.
중세 유대 철학자들은 하나님의 은총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유대 전례에는 특히 나팔절과 욤 키푸르에 대한 언급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서방 기독교[편집]
기독교에서 은혜는 죄인을 구원하고 축복을 베푸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거저 주시는 은총이다. 일반적인 기독교 가르침은 은혜란 하나님이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어 십자가에 죽게 하심으로써 인간을 죄로부터 영원한 구원을 보장하심으로써 인류에게 베푸신 과분한 자비(호의)라는 것이다.
같이 보기[편집]
출처[편집]
- Strong, James (2001), 《The Strongest Strong's Exhaustive Concordance of the Bible》, Zondervan, ISBN 978-0-310-23343-5
- 《Stongnumbers.com》, Online Parallel Bible Project (Biblos.com)
- 《Biblestudytools.com》, Salem Web Network
은
23개의 언어 버전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은이란 다른 사람으로부터 주어지는 은혜, 언제 힘든 일 [1] .
개요 [ 편집 ]
은은 이미 후한 시대의 허신 의 ' 설문해자 '에서 '혜(메구미)'라는 의미라고 해설되어 있었다.
일본에서도 『일본서기』나 『 고어 픽유』 등에서도 ‘은’은 ‘메구미’, ‘미우츠쿠시미’, ‘미이츠쿠시미’ 등을 읽는 방법이 있었다.
그런데 '메구미'라는 말의 어원은 '유채꽃이 새싹' 등으로 표현할 때의 '싹싹'이라는 말을 명사 형태로 한 것으로 되어 있다. 나무와 잔디가 싹트는 것은 겨울 동안 잠자고 있던 초목의 생명력이 봄의 쾌활함에 의해 빠져나와 깨어나는 것에 의한 것이다. 즉, 다른 사람에게 생명을 주거나 생명의 성장을 돕는 것이 「메구미」를 주는 것이며, 은혜를 긁는 것인 것이다. 그 반대의 입장이 메구미를 받는 것, 은혜를 받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은이라는 것은, 좁은 의미에서는, 사람으로부터 사로잡는 은혜를 가리키고 있지만, 광의로는, 신불 혹은 이 세계 모든 존재로부터 사즈카르는 은혜도 가리키고 있다.
불교에서는 자신이 받고 있는 은혜를 깨닫고 그것에 감사하는 것을 중시하고 있다(후술). 기독교에서도 하나님께서 전해지는 은혜를 느끼는 것이 중시되고 있다(후술). 자신에게 메구미가 도착하고 있다고 반복적으로 의식하는 것은 행복감을 가져오는 것이며, 여러 종교에서 중시되고 있다.
은혜를 받는 것은 '수은'이라 할 수 있으며, 자신이 메구미를 받고 있는 것을 자각하는 것은 '지은'이라고 말한다. 또, 메구미에게 보답하는 것을 「보은」이라고 한다.
은혜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받고 있는 은혜를 깨닫지 못하는 것, 은혜에 감사하지 않는 것, 은혜에 보답하려고 하지 않는 것 등을 '은익하지 않고'라고 말한다[2 ] .
불교의 개념 [ 편집 ]
고대 인도의 원시 불교 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위해 한 일을 알고 그것을 감사하는 것이 중요한 사회 윤리라고 설명했다. 이 설명에서 사용되는 고대 인도의 표현 'krta(한정)', 'upakara(원조·이익)'는 중국에서 '은'으로 번역되게 되었다.
이 원시불교의 사회윤리의 개념은 이윽고 ' 사은 '의 개념으로 발전했다.
『정법념 처경 』(쇼보 넨 넨쿄)에서는, 어머니, 아버지, 여래 , 설법 해 주시는 법사 로부터의 은의 사은이 설되었다.
『대승본 생 마음관경』(다이조 혼쇼신지칸교)에서는 부모, 중생 , 국왕 , 삼보 의 사은이 전해졌다.
중국에서는 유교 가 침투하고 있어, 거기서는, 부모의 은, 부모의 은에 보답하는 「효」의 윤리 가 중시되고 있었다. 따라서 부모의 은혜와 효를 전하는 ' 부모은 중난보경 '을 중국인은 중시했다.
불교에서는, 자신이 메구미를 받고 있는 것을 깨닫는 것, 자각하는 것을 「지은」이라고 말해, 이것을 중시한다. 절의 명칭 등에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불교에서는 위와 같이 은은 긍정적으로 파악되고 있다.
다만, 고대 인도의 말로 「trsna(갈증)」나 「priya(부모의 정애)」도 한어로 「은」이라고 번역되는 일이 있어, 그쪽은, 불교의 수행의 방해가 되는 것과 이해된다.
기독교의 개념 [ 편집 ]
기독교 에서 다루어지는 은혜의 개념에서 무엇보다도 중시되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이다. 이것은 무조건 인간을 구하려고 하는 하나님의 무상적인 일을 말한다.
그리스어로 ἀπολυτρώσεως(아폴리트로시스), λυτρόω(류트로오)로 표현한다. 일본어에 있어서는 「속죄」라고 번역되어 혹은 「그리스도의 쇄형」이라고도 표현되고 있다.
하나님의 사랑은 인간의 사랑과는 다르고, 상대의 성질을 조건으로 하지 않고 오히려 죄 많은 인간에게 먼저 은사를 주고 인간 측의 자유로운 응답을 기다리려고 한다. 따라서 은총은 신약성서 에서는 '의인'이라는 번역어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아우구스티누스 는 은총론을 전개했다. 13세기에는 토마스 아퀴나스 가 은총론을 정교하게 탐구했고, 은총이 인간의 자유의지 능력에 작용(현행적 은총), 그에 의해 인간 존재 그 자체를 고양시키고 성성한다고 말했다.
동방 그리스 교부 의 사상에서는 창조 및 인간·우주의 영위 일체가 은총적인 에너게이어의 영향하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마르틴 루터 는 은총 전에 적나라한 사람의 존재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하느님 의 은혜 참조
恩
出典は列挙するだけでなく、脚注などを用いてどの記述の情報源であるかを明記してください。 |
恩(おん)とは、他の人から与えられた恵み、いつくしみのこと[1]。
概説[編集]
恩は、すでに後漢時代の許慎の『説文解字』において、「恵(めぐみ)」という意味だと解説されていた。
日本でも『日本書紀』や『古語拾遺』などでも「恩」は「めぐみ」「みうつくしみ」「みいつくしみ」などの読み方がされていた。
ところで「めぐみ」という言葉の語源は、「菜の花が芽ぐむ」などと表現する時の「芽ぐむ」という言葉を名詞の形にしたものとされている。木や草が芽ぐむのは、冬の間は眠っていた草木の生命力が春の陽気によってはぐくまれて目覚めることによる。つまり、他の者に命を与えたり命の成長を助けることが「めぐみ」を与えることであり、恩をほどこすことなのだということなのである。その逆の立場が、めぐみを受けること、恩を受けることである、と理解される。
恩というのは、狭い意味では、人からさずかる恵みを指しているが、広義には、神仏あるいはこの世界全ての存在からさずかる恵みも指している。
仏教では、自分が受けている恵みに気づき、それに感謝することを重視している(後述)。キリスト教でも、神から届けられている恵みを感じることが重視されている(後述)。自分にめぐみが届いているのだと繰り返し意識することは、幸福感をもたらすことであり、様々な宗教で重視されている。
恵みを受けることは「受恩」と言うことがあり、自分がめぐみを受けていることを自覚することは「知恩」と言う。また、めぐみに報いることを「報恩」と言う。
恵みを受け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自分が受けている恵みに気付かないこと、恵みに感謝しないこと、恵みに報いようとしないことなどを「恩知らず」と言う[2]。
仏教での概念[編集]
古代インドの原始仏教においては、他者によって自分のためになされたことを知り、それに感謝することが重要な社会倫理である、と説かれていた。この説明で用いられる古代インドの表現「krta(なされたる)」、「upakara(援助・利益)」は、中国で「恩」と翻訳されることになった。
この原始仏教の社会倫理の概念はやがて「四恩」の概念へと発展した。
『正法念処経』(しょうぼうねんじょきょう)では、母親、父親、如来、説法してくださる法師からの恩、の四恩のことが説かれた。
『大乗本生心地観経』(だいじょうほんしょうしんじかんぎょう)では、父母、衆生、国王、三宝の四恩のことが説かれた。
中国では儒教が浸透しており、そこでは、親の恩、親の恩に報いる「孝」の倫理が重視されていた。よって、親の恩と孝を説く『父母恩重難報経』を中国人は重視した。
仏教では、自分がめぐみを受けていることに気づくこと、自覚することを「知恩」と言い、これを重視する。寺の名称などにもしばしば用いられている。
仏教では上記のように恩は肯定的に捉えられている。
ただし、古代インドの言葉で「trsna(渇愛)」や「priya(親の情愛)」も漢語で「恩」と訳されることがあり、そちらのほうは、仏教の修行の妨げになるものと理解されている。
キリスト教での概念[編集]
キリスト教において扱われている恩の概念で何より重視されているのは神の恩である。これは、無条件に人間を救おうとする神の無償の働きかけのことをいう。
ギリシャ語でἀπολυτρώσεως(アポリュトローシス)、λυτρόω(リュトロオー)と表現する。日本語においては「贖い」と訳され、あるいは「キリストの磔刑」とも表現されている。
神の愛は、人間の愛とは異なっていて、相手の性質を条件とはせず、むしろ罪深い人間に対してまず賜物を与えて、人間の側の自由な応答を待つとする。よって恩寵は、新約聖書では「義認」という訳語になっていることがある。
アウグスチヌスは、恩寵論を展開した。13世紀には、トマス・アクィナスが恩寵論を精緻に探究し、恩寵が、人間の自由意志の能力に働きかけ(現行的恩寵)、それによって人間存在そのものを高揚させ成聖することを語った。
東方ギリシャ教父の思想では、創造および人間・宇宙の営為一切が恩寵的なエネルゲイアの影響のもとにあると理解されている。
マルティン・ルターは、恩寵の前に赤裸に存在する人間のあり方の重要性を説いた。
脚注[編集]
参考文献[編集]
- 「Yahoo百科事典」[1]
- 仏教思想研究会編『仏教思想4 恩』平楽寺書店、1979
- 平凡社『世界大百科事典』
関連項目[編集]
- 恩返し - 誰かから受けた恩を直接その人に返すこと。
- 恩送り - 誰かから受けた恩を直接その人に返すのではなく、別の人に送ること。
- 仏教関連
- キリスト教関連
- その他
- 作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