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철학
인도 철학(印度哲學 · Indian philosophy) 또는 인도의 사상(印度의 思想 · Indian thoughts)은 인도 아대륙에서 전개된 철학 또는 사상을 가리킨다.
기원전 1200년 경에 아리아족이 서북인도의 펀자브 지방에 침입하여 원주민을 정복하고 정착하였는데, 힌두교의 가장 오랜 성전인 《리그베다》의 종교, 철학 사상이 이 시기에 성립되었다. 그 후 전통적이고도 정통적(正統的)인 인도 사상은 이슬람교가 침입하기 시작한 8세기 경까지의 시대 동안 완전한 모습을 갖추었다. 이 때까지의 인도의 사상은 다음과 같은 6단계의 시대로 나눌 수 있다.[1]
- 베다 시대
- 브라만교 시대
- 비브라만교 시대
- 불교 흥륭 시대
- 힌두교 시대
- 인도 사상의 확립 시대
제6기 이후 중세와 근세에 들어서면서 이슬람교, 기독교, 기타 여러 서구적 사상들이 인도에 들어오자 인도 고유의 여러 사상들은 외래의 비(非)인도 사상들에 대하여 서로 힘을 모아 대항하였다. 인도 고유의 종교, 철학적 사상들이 정치적으로 한데 묶어져서 영국의 지배에 저항하며 인도의 독립을 추동하는 사상으로 나타났는데, 마침내 간디(1869~1948)는 인도 고유의 종교적 · 철학적 · 영적 포기(Sannyāsa)와 무저항(Ahiṃsā)의 정신을 바탕으로 한 비폭력 저항으로는 영국의 무력 지배에 대항하였다.[1]
철학 사상으로서 현대에도 가장 유력한 것은 베단타 학파 계통의 한 분파인 아드바이타 베단타의 불이일원론(不二一元論)이다. 이밖에도 타고르의 심미주의, 아우로빈도(1872~1950)의 신비주의, 라다크리슈난(1888~1975)의 사해동포주의가 있다. 종교로서는 힌두교가 가장 우세하고 그 다음으로 이슬람교 · 기독교 · 불교 · 자이나교 · 시크교 등이 있다.[1]
기원[편집]
적어도 기원전 3000여년전 인더스강 유역에 드라비다족 등이 이룩한 고도의 동기시대문명(銅器時代文明)이 있었으며, 또한 이 때에 이미 인도사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는 성기 숭배 · 나무 숭배 · 뱀 숭배 · 소 숭배 등의 숭배 의식과 선정(禪定)과 신성한 목욕 등의 수행 등이 있었다.[1]
기원전 1200년경에 아리아족이 서북인도의 비옥한 펀자브 지방에 침입하여 원주민을 정복하여 정착하였고, 그 무렵에 힌두교의 가장 오랜 성전인 《리그베다》의 종교철학사상이 성립되었다. 《리그베다》에는 다신교 · 단일신교 · 교체신교 · 유일신교 · 범신론적인 요소들이 모두 들어 있다.[1] 베다서로는 《리그베다》 이외에 《사마베다》·《야주르베다》·《아타르바베다》를 포함한 총 4종의 베다가 있는데, 자연에 대한 찬가, 여러 신에 대한 제사, 의식에 관한 예법, 축문, 주문 등이 실려 있다.[1]
전통적이고도 정통적인 인도사상은 《리그베다》가 성립된 후부터 이슬람교가 침입하기 시작한 8세기경까지의 긴 시간에 걸쳐서 완전히 확립되었다.[1]
특징[편집]
인도사상은 한 마디로 종교적이고 철학적인데 다음과 같은 사상적 특징을 가진다.[1]
- 신앙과 지식이 밀착되어 있다.
- 다르마를 중시하는 율법적인 사회제도와 정치관을 가지고 있다.
- 염세적이면서도 이상적인 인생관을 가지고 있다.
- 신비적이면서도 인식론적인 종교적 해탈관(解脫觀)을 가지고 있다.
- 범신론적이고 영혼불멸론적인 내세관, 즉 윤회전생(輪廻轉生)의 사상을 가지고 있다.
역사[편집]
베다 시대[편집]
제1기인 베다 시대는 《리그베다》를 비롯한 베다 문헌이 성립된 시기이다. 《리그베다》의 종교 철학적 사상이 이 시대를 대표한다.[1]
브라만교 시대[편집]
제2기인 브라만교 시대에서는 베다서들에 대한 주석서인 브라마나와 우파니샤드가 만들어지고 《리그베다》의 종교 철학 사상이 더 깊고 넓게 조직 체계화되었다. 또 성직자 계급인 브라만, 왕족과 군인 계급인 크샤트리아, 일반 서민 계급인 바이샤, 노예 계급인 수드라로 이루어진, 인도 고유의 종교적 계급 사회 제도인 4성제도(四姓制度)가 확립되었으며, 최상층 계급인 브라만 계급은 자신들의 계급만이 영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1]
브라만 계급은 사람의 행복과 불행은 여러 신들에게 드리는 제사와 기도 등에 달려 있다고 보았고 또한 중성적 · 원리적 최고신인 우주적 영혼으로서의 브라만과 하나 하나의 개인인 아트만은 본래 동일한 존재이며 하나인 것을 명상적으로 깨닫게 되면 최고의 영적 · 정신적 행복에 도달하며 윤회의 수레바퀴로부터 해탈하게 된다고 보았다.[1]
비브라만교 시대[편집]
제3기인 비브라만교 시대는 전통적 브라만교와는 다른 입장과 견해를 가진 종교와 철학이 일어난 시대이다. 전통적 브라만교는 유신론적인 입장을 지녔으며 베다의 절대성을 주장하고 내세를 인정하며 자파 중심의 낙관적 제사 만능주의와 수정주의(修定主義)를 내세웠는데, 이러한 브라만교의 전통적인 견해와 철학을 반대하는 불교 · 자이나교 · 육사외도 등의 무신론 · 유물론 · 회의론 · 금욕주의 · 현세적 쾌락주의 등이 이 시대에 일어났다.[1]
불교 흥륭 시대[편집]
제4기인 불교 흥륭 시대는 불교, 특히 부파불교 또는 소승불교가 흥기한 시대이다. 당시의 불교는 고행과 쾌락에 치우치지 않는 중도와 카스트의 4성의 평등을 주장하였으며 인간의 행복과 불행은 인간 자신의 영적 · 정신적 · 육체적 행동에 달려 있다는 연기설(緣起說)과 업사상(業思想)을 주장하였다. 아소카왕은 이러한 불교 사상을 크게 신봉하여 정치적으로 후원하였고 인도 문화의 황금 시대를 이루었다.[1]
힌두교 시대[편집]
제5기인 힌두교 시대는 전통적 브라만교가 자신들에 반대하는 불교 · 자이나교 등의 흥륭에 대항하여 시바 · 비슈누 · 크리슈나의 숭배 등 자파 이외의 여러 토속 신앙을 최대한으로 포섭하여 힌두교라는 만신전(萬神殿)적인 모습의 종교를 성립시킨 시대이다.[1]
인도사상의 확립 시대[편집]
제6기인 인도사상의 확립시대는 정통 힌두 철학인 육파철학(六派哲學)이 확립된 시대이다. 《라마야나》와 〈바가바드 기타〉를 포함하고 있는 《마하바라타》의 인도의 2대 서사시와 마누법전이 모두 이 시대에 만들어졌고 또한 이 시대의 말기에 대승불교가 흥기하였다.[1]
이 시대는 대략 굽타 왕조 시대(4세기~6세기)에 해당하는데, 그전까지의 여러 종교적 · 철학적 · 정치적 사상들이 완성되어 인도사상의 정수라고 할 수 있는 육파철학, 즉 삼키아 · 요가 · 니야야 · 바이셰시카 · 미맘사 · 베단타의 정통 여섯 힌두 철학이 확립되었다.[1]
평가[편집]
독일의 유명한 인도 철학자 도이센(Paul Deussen: 1845~1919)은 "《리그베다》를 알지 못하는 사람과는 종교 이야기를 할 수 없다"고 하였고 또 세계적으로 유명한 산스크리트어-영어 사전을 만든 영국의 인도학자 모니어 윌리엄(Monier Williams)은 "인도사람은 스피노자보다도 2000여 년 전에 이미 스피노자였다"고 하였다.[1]
쇼펜하우어는 자기의 인도철학의 연구를 "그것은 내 일생 동안의 위안이었으며, 또 죽은 뒤에도 그러리라"라고 하고, 또 우파니샤드를 평하여 "이 세상에서 있을 수 있는 가장 값어치 있고 고상한 책"이라고 하였다.[1]
라다크리슈난은 영국과 함께 인도에 들어온 서구적 · 역사적 기독교 사상을 평하면서 "진정한 기독교인은 단 한 사람이었는데 그마저 십자가에 못박혀 버렸다"는 니체의 말을 인용하면서 예수는 동양적이고 인도적인 종교사상가이며 예수의 종교와 서구적 · 역사적 기독교와는 전혀 다르다고 할 정도로 예수의 종교는 기독교화되고 서구화되었다고 하였다.[1]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인도 철학インド哲学
철학 |
---|
포털 카테고리 _ |
인도 철학 (인도 테츠쿠, darśana , 다르샤나 )은 철학 중에서도 인도 를 중심으로 발달한 철학으로, 특히 고대 인도를 기원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인도에서는 종교 와 철학의 경계가 거의 없고, 인도 철학의 기초가 되는 책은 종교성전이기도 하다 . 인도 종교에도 철학적이지 않은 범위도 넓기 때문에 인도 종교가 모두 인도 철학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종교적인 사람들은 철학적인 논의를 하고 그 종교성을 닦고 있는 전통이 있다.
고래의 전통이라고 생각되는 종교회의가 현재도 각지에서 자주 행해지고 있는 모습으로, 회의에서는 때로는 종파를 따로 하는 저명한 사람들이 종교적인 논의를 실시한다. 이것은 수만 명의 관중을 앞두고 행해질 수도 있고, 백열한 논의가 며칠에 걸쳐 승패가 드러날 때까지 행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판정을 하는 인물이 있는 것은 아니고, 논의를 하는 당인이 논의의 성행을 보고, 스스로의 패를 인정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 같다.
인도의 종교, 철학은 이러한 전통 속에서 닦은 것으로 보인다. 자이나교 , 불교 , 요가학파 , 시바파 , 베단타 학파 등의 학파는 현재까지 살아남았지만, 아자나파 , 순 세파 , 아지비카교 등의 학파는 살아남지 못했다.
인도 철학의 연구, 특히 인도 불교학 ( 티벳 불교학 도 내포한다)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독일이 리드하고 있었지만, 현대에서는 일본의 학회가 세계의 연구를 리드하고 있다.
공통 테마 [ 편집 ]
인도철학은 다르마 (법), 카르마 (업), 윤회 , 두카 (고), 환생 , 명상 등 많은 개념을 공유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철학이 다양한 정신적 수행을 통해 두카와 윤회 에서 개인을 해방하는 궁극의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해탈 , 열반 ) [1] . 존재의 본질 에 관한 가정이나, 궁극의 해방에의 길의 구체성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의견이 다른 많은 학파가 존재하게 되었다. 그들의 고대 교리는 다른 고대 문화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철학의 범위에 걸쳐있다 [2] .
정통파 [ 편집 ]
중세에서 정통파로 분류된 것은 이하 6개의 학파로, 6파 철학(로파테가쿠, 梵: Ṣad - darśana [ 샤드 다르 샤나 ]))이라고 불리며 인도 에서는 가장 정통적인 고전 적 다르샤나로되어 왔다. 육파 철학이라는 말은 낡지만, 다루어지는 육파는 일정하지 않다 [3] .
현대에서는 이하의 6파의 총칭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 선택은 아마도 프리드리히 맥스 뮐러 와 키무라 야스시 에서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3]
- 미만서 학파 -제사의 해석
- 베단타 학파 - 우주 원리와의 일체화를 전하는 신비주의
- 잔키야 학파 - 정신 원리·비정신 원리의 이원론
- 요가학파 -신심의 훈련으로 해탈을 목표로 한다.
- 니야야 학파 - 논리학
- 바이셰시카 학파 - 자연 철학
미만서와 베단타, 잔키야와 요가, 니야야와 바이셰시카는 각각 보완하는 관계가 되고 있다.
이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는 학파를 아스티카 ( āstika आस्तिक, 정통파, 유신론자)라고 부른다. 한편, 베다에서 떠나간 불교 , 자이나교 , 순세파 등의 선행하는 사상파벌을 간호사 ( nāstika नास्तिक, 비정통파, 무신론자)로 구별한다.
이단파 [ 편집 ]
기원전 6세기 이전에는 몇 가지 사마나(사문)운동이 존재하여 인도철학의 아스티카와 간호사 의 전통에 영향을 주었다 [4] . 사마나 운동에 의해, 아트맨의 수용/부정, 원자론, 반지성주의, 유물론, 불가지론, 운명론으로부터 자유 의지, 극단적인 금욕주의로부터 가정 생활의 이상화, 가혹한 아힌서와 채식주의로부터 폭력 이나 육식 의 용인 까지 다양한 이교도적 신념을 낳고 있다.
사마나 운동에서 태어난 저명한 철학은 자이나교, 초기 불교, 순세파 , 아지비카교 였다 [5] .
비교 [ 편집 ]
인도의 전통에서는 다양한 철학을 신봉하고, 아스티카와 간호사, 정통파에서의 육파 철학 등의 형태 와 같이 서로 크게 의견을 달리하고 있었다. 그 차이는, 모든 개인이 아트맨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파도 있으면, 아트맨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파도 있고 금욕 생활을 설하는 파도 있으면 쾌락주의파도 있고, 윤회 는 있다고 설하는 파도 있다면, 소멸하면 설교하는 파도 있어, 다종다양했다 [6] .
아지비카교 | 초기 불교 | 순세파 | 자이나교 | 정통파 육파 철학 ( 비사문 ) | |
---|---|---|---|---|---|
업 (카르마) | 부정하다 [7] [8] | 긍정한다 [6] | 부정하다 [6] | 긍정한다 [6] | 긍정하다 |
윤회 와 재생 | 긍정하다 | 긍정한다 [9] | 부정하다 [10] | 긍정한다 [6] | 긍정하는 학파도 있고, 부정하는 학파도 있다 [11] |
금욕 생활 | 긍정하다 | 긍정하다 | 부정하다 [6] | 긍정하다 | 산냐사 로 긍정 [12] |
헌신주의 박티 | 긍정하다 | 하나의 선택으로 긍정 [13] ( 파리어 : Bhatti ) | 부정하다 | 하나의 선택으로 긍정 [14] | 유신론파: 하나의 선택으로 긍정 [15] 기타: 부정 [16] [17] |
어힌서 와 채식주의 | 긍정하다 | 긍정한다. 육식에 대해서는 불명 [18] | 아힌서를 지상으로 한다. 동물에 대한 어힌서를 위해 채식주의 [19] | 최고의 미덕으로 긍정하지만 정전론을 인정한다. 채식주의는 장려되지만 선택은 임의 [20] [21] | |
자유 의지 의 존재 | 부정하다 [22] | 긍정 [23] | 긍정하다 | 긍정하다 | 긍정 [24] |
마야 | 긍정 [25] | 긍정하다 ( prapañca ) [26] | 부정하다 | 긍정하다 | 긍정 [27] [28] |
아트맨 (우리) | 긍정하다 | 부정하다 [29] | 부정하다 [30] | 긍정 [31] :119 | 긍정 [32] |
창조신 | 부정하다 | 부정하다 | 부정하다 | 부정하다 | 유신론파는 긍정 [33] , 그 외는 부정 [34] [35] |
인식론 ( 프라마나 ) | Pratyakṣa, Anumāṇa, Śabda | Pratyakṣa, Anumāṇa [36] [37] | Pratyakṣa [38] | Pratyakṣa, Anumāṇa, Śabda [36] | 바이셰시카 학파 ( 6원론 )부터 베단타 학파 ( 2원론 )까지 다양하다. [36] [39] Pratyakṣa (perception), Anumāṇa (inference), Upamāṇa (comparison and analogy), Arthāpatti (postulation, derivation), Anupalabdi (non-perception, negative/cognitive proof), Śabda (Reliable |
인식론적 권위 | 베다의 부정 | 불전을 긍정 [40] 베다의 부정 | 베다의 부정 | 아가마를 긍정 베다의 부정 | 베다 와 우파니 샤드 의 긍정 [note 1] 다른 문헌을 긍정 [40] [42] |
구원, 구제론 | Samsdrasuddhi [43] | 涅槃 ( 슈냐 이해) [44] | 시다 , [45]涅槃 | 해탈, 涅槃, 카이바리야 후지이치 원론 , 요가 , 지반 무크티 [46] 두바이타 , 이신 해탈 | |
형이상학 (궁극의 현실) | 슈냐 [47] [48] | 아네칸 타바다 [49] | 브라프만 [50] [51] |
주요 주제 [ 편집 ]
- 베다 - 가장 오래된 문서화 된 네 가지 경전 ( " 리그 베다 ", " 사마 베다 ", " 야쥬르 베다 ", " 아탈바 베다 ")의 이름. 베다의 본서( 산히터 )는 더욱 오래된 시대부터 문서화를 피하고 구전으로 전해지고 있던 것을 문서화한 것으로, 인도 철학의 가장 오래된 층이라고 할 수 있다.
- 우파니샤드 - 종교적인 성전 중에서도 보다 철학적 요소가 많은 서적류의 총칭으로 200종류를 넘어 기원전 800년에 쓰여진 것부터 16세기에 쓰여진 것까지 있다. 비밀서와도 번역된다.
- 인도 신화
- 인도 종교
- 인도 문학
- 문법학파
- 인도 논리학
- 인도 수학
- 인도 문화
- 인도 이슬람 철학
사상가 [ 편집 ]
마하빌라 , 석가 , 가우다파다 , 샹 카라 , 라마난다 , 마다 바 , 발라 바 , 카빌 , 나낙 , 라마 크리슈나 , 비베카난다 , 오로빈드 고슈 , 타골
집단 [ 편집 ]
인도 철학 연구 [ 편집 ]
일본 [ 편집 ]
일본에 있어서의 「인도철학」( 인도철학 , 인철 )의 연구는, 서양의 인도학 (인도로지)과는 달리, 인도 그 자체 연구가 아니라 불교 연구를 중심으로 발달해 왔다 [52] . 도쿄 대학 에서는 이러한 불교 연구를 중심으로 한 "인도 철학"연구가 이루어졌다 [52] [53] . 동대인철의 주된 교수에는 무라카미 전정 , 우이 백수 , 나카무라 모토가 있다 [52] .
한편 교토대학 은 서양의 인도학을 모범으로 하여 실증적인 문헌학을 지향하여 프랑스의 실반 레비와 루이 르누(모두 일불 회관 관장 ) 의 영향 을 볼 수 있다 [52] . 경대인철의 주된 교수에는 여명기의 나가오 마사토 와 아시카가 씨 외에 'munitraya'('삼성'의 뜻)로 불리는 카지야마 유이치, 핫토리 마사아키 , 오지 하라 유타카 가 있다 . 52] .
주요 실험실 [ 편집 ]
- 홋카이도 대학 종교학 인도 철학 강좌
- 도호쿠대학 인도문화학 강좌
- 동양대학 문학부 동양사상문화학과
- 도쿄 대학 인도 철학 불교학 연구실
- 나고야대학 인도문화학연구실
- 교토대학 인도고전학연구실
- 오사카 대학 인도학 불교학 연구실
- 히로시마 대학 인도 철학 연구실
- 규슈대학 인도철학사연구실
- 다이쇼 대학 불교학 연구과 범문학 연구실
- 류야 대학 현대 인도 연구 센터
각주 [ 편집 ]
주석 [ 편집 ]
- ↑ Elisa Freschi (2012): The Vedas are not deontic authorities and may be disobeyed, but still recognized as an epistemic authority by a Hindu. [41] Such a differentiation between epistemic and deontic authority is true for all India.
출처 [ 편집 ]
- ↑ Kathleen Kuiper (2010). The Culture of India . The Rosen Publishing Group. pp. 174–178. ISBN 978-1-61530-149-2
- ↑ Sue Hamilton (2001). Indian Philosophy: A Very Short Introduc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pp. 1–17, 136–140. ISBN 978-0-19-157942-4
- ↑ a b “ 육파 철학 ”. 브리타니카 국제대백과사전 소항목사전. 2020년 8월 23일 열람.
- ↑ Reginald Ray (1999), Buddhist Saints in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34834 , pages 237-240, 247-249
- ↑ AL Basham (1951), History and Doctrines of the Ajivikas - a Vanished Indian Religion,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2048 , pages 94-103
- ^ a b c d e f Randall Collins (2000). The sociology of philosophies: a global theory of intellectual change . Harvard University Press. pp. 199–200. ISBN 9780674001879
- ↑ Ajivikas World Religions Project, University of Cumbria , United Kingdom
- ↑ Gananath Obeyesekere (2005), Karma and Rebirth: A Cross Cultural Study,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26090 , page 106
- ↑ Damien Keown (2013), Budd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2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663835 , pages 32-46
- ↑ Haribhadrasūri (Translator: M Jain, 1989), Saddarsanasamuccaya, Asiatic Society, OCLC 255495691
- ↑ Halbfass, Wilhelm (2000), Karma und Wiedergeburt im indischen Denken, Diederichs, München, ISBN 978-3896313850
- ↑ Patrick Olivelle (2005),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Editor: Flood, Gavin), Wiley-Blackwell, ISBN 978-1405132510 , pages 277-278
- ↑ Karel Werner (1995), Love Divine: Studies in Bhakti and Devotional Mysticism, Routledge, ISBN 978-0700702350 , pages 45-46
- ↑ John Cort, Jains in the World : Religious Values and Ideology in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pages 64-68, 86-90, 100-112
- ↑ Christian Novetzke (2007), Bhakti and Its Public, International Journal of Hindu Studies, Vol. 11, No. 3, page 255-272
- ↑ [a] Knut Jacobsen (2008), Theory and Practice of Yoga : 'Essays in Honour of Gerald James Larson,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32329 , pages 15-16, 76-78; Pb] and Power in Yogasutra, in Theory and Practice of Yoga (Editor: Knut Jacobsen),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32329 , pages 38-39
- ↑ [a] Karl Potter (2008),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 III,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3107 , pages 16-18, 220; [b] Basant Pradhan (2014), Yoga and Mindfulnes Academic, ISBN 978-3319091044 , page 13 see A.4
- ↑ U Tahtinen (1976), Ahimsa: Non-Violence in Indian Tradition, London, ISBN 978-0091233402 , pages 75-78, 94-106
- ↑ U Tahtinen (1976), Ahimsa: Non-Violence in Indian Tradition, London, ISBN 978-0091233402 , pages 57-62, 109-111
- ↑ U Tahtinen (1976), Ahimsa: Non-Violence in Indian Tradition, London, ISBN 978-0091233402 , pages 34-43, 89-97, 109-110
- ↑ Christopher Chapple (1993), Nonviolence to Animals, Earth, and Self in Asian Tradition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7914-1498-1 , pages 16-17
- ↑ James Lochtefeld, "Ajivika",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1: A–M, Rosen Publishing. ISBN 978-0823931798 , page 22
- ↑ Karin Meyers (2013), Free Will, Agency, and Selfhood in Indian Philosophy (Editors: Matthew R. Dasti, Edwin F. Bryant),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922758 , pages 41-61
- ↑ Howard Coward (2008),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in Eastern and Western Though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73368 , pages 103-114; Harold Coward (2003), Encyclopedia of, Science see Karma, ISBN 978-0028657042
- ↑ AL Basham (1951), History and Doctrines of the Ajivikas - a Vanished Indian Religion,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2048 , pages 237
- ↑ Damien Keown (2004), A Dictionary of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605607 , Entry for Prapañca , Quote: "Term meaning 'proliferation', in the sense of the multiplication of erroneous con the true nature of reality".
- ↑ Lynn Foulston and Stuart Abbott (2009), Hindu Goddesses: Beliefs and Practices, Sussex Academic Press, ISBN 978-1902210438 , pages 14-16
- ↑ Wendy Doniger O'Flaherty (1986), Dreams, Illusion, and Other Realit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618555 , page 119
- ↑ [a] Steven Collins (1994), Religion and Practical Reason (Editors: Frank Reynolds, David Tracy),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22175 , page 64; "Central to Buddhist soteriology is the doc self (Pali: anattā, Sanskrit: anātman, the opposed doctrine of ātman is central to Brahmanical thought). Put very briefly, this is the [Buddhist] doctrine that human beings have no soul, no self, no unching b] KN Jayatilleke (2010), Early Buddhist Theory of Knowledge, ISBN 978-8120806191 , pages 246-249, from note 385 onwards; [c] John C. Plott et al. (2000), Global Histo Age,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1585 , page 63, Quote: "The Buddhist schools reject any Ātman concept. As we have already observed, this is the basic and ineradicable distinction betwe Javanaud (2013), Is The Buddhist 'No-Self' Doctrine Compatible With Pursuing Nirvana? , Philosophy Now; [e] Anatta Encyclopædia Britannica, Quote:"In Buddhism, the doctrine that there is in humans no permanent, underly be called the soul. (...) The concept of anatta, or anatman, is a departure from the Hindu belief in atman (self)."
- ↑ Ramkrishna Bhattacharya (2011), Studies on the Carvaka/Lokayata, Anthem, ISBN 978-0857284334 , page 216
- ↑ Padmanabh S. Jaini (2001). Collected papers on Buddhist studies . Motilal Banarsidass Publications. ISBN 9788120817760
- ^ Anatta Encyclopædia Britannica, Quote:"In Buddhism, the doctrine that there is in humans no permanent, underlying substance that can be called the soul. (...) The concept of anatta, or anatman, is a departure from the Hindu belief in atman (self)."
- ↑ Oliver Leaman (2000), Eastern Philosophy: Key Readings, Routledge, ISBN 978-0415173582 , page 251
- ↑ Mike Burley (2012), Classical Samkhya and Yoga - An Indian Metaphysics of Experience, Routledge, ISBN 978-0415648875 , page 39
- ↑ Paul Hacker (1978), Eigentumlichkeiten dr Lehre und Terminologie Sankara: Avidya, Namarupa, Maya, Isvara, in Kleine Schriften (Editor: L. Schmithausen), Franz Steiner Verlag, Weisbaden, pages 101-109 (in German) 69-99
- ↑ a b c John A. Grimes,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30675 , page 238
- ↑ D Sharma (1966), Epistemological negative dialectics of Indian logic — Abhāva versus Anupalabdhi, Indo-Iranian Journal, 9(4): 291-300
- ↑ MM Kamal (1998), The Epistemology of the Carvaka Philosophy, 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46(2), pages 13-16
- ↑ Eliott Deutsche (2000), in Philosophy of Religion : Indian Philosophy Vol 4 (Editor: Roy Perrett), Routledge, ISBN 978-0815336112 , pages 245-248
- ↑ a b Christopher Bartley (2011), An Introduction to Indian Philosophy, Bloomsbury Academic, ISBN 978-1847064493 , pages 46, 120
- ↑ Elisa Freschi (2012), Duty, Language and Exegesis in Prabhakara Mimamsa , BRILL, ISBN 978-9004222601 , page 62
- ↑ Catherine Cornille (2009), Criteria of Discernment in Interreligious Dialogue, Wipf & Stock, ISBN 978-1606087848 , pages 185-186
- ↑ AL Basham (1951), History and Doctrines of the Ajivikas - a Vanished Indian Religion,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2048 , pages 227
- ↑ Jerald Gort (1992), On Sharing Religious Experience: Possibilities of Interfaith Mutuality, Rodopi, ISBN 978-0802805058 , pages 209-210
- ↑ John Cort (2010), Framing the Jina: Narratives of Icons and Idols in Jai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85021 , pages 80, 188
- ↑ Andrew Fort (1998), Jivanmukti in Transform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39043
- ↑ Masao Abe and Steven Heine (1995), Buddhism and Interfaith Dialogue,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17527 , pages 105-106
- ↑ Chad Meister (2009), Introducing Philosophy of Religion, Routledge, ISBN 978-0415403276 , page 60; Quote: "In this chapter, we looked at religious metaphysics and saw two different can be understood as an absolute state of being. Within Hindu absolutism, for example, it is Brahman, the undifferentiated Absolute. Within Buddhist metaphysics, fundamental reality is Sunyata, or the Void."
- ↑ Christopher Key Chapple (2004), Jainism and Ecology: Nonviolence in the Web of Life,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20456 , page 20
- ↑ PT Raju (2006), Idealistic Thought of India, Routledge, ISBN 978-1406732627 , page 426 and Conclusion chapter part XII
- ↑ Roy W Perrett (Editor, 2000), Indian Philosophy: Metaphysics, Volume 3, Taylor & Francis, ISBN 978-0815336082 , page xvii; AC Das (1952), Brahman and Māyā in Advaita Metaphys. 2, No. 2, pages 144-154
- ^ a b c d e 가타오카 케이 (2008). “인철”은 무엇을 목표로 해 왔는가?” 남아시아 연구 제20호 .
- ↑ “ 도쿄대학 인도철학 불교학 연구실 ”. www.lu-tokyo.ac.jp . 2022년 5월 31일 열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