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07

Philo Kalia - *현영학의 탈춤 미학 야곱은 밤새 하느님과 악을 쓰면서 씨름하다가 축복을 받았지만 이제 저도... | Facebook

Philo Kalia - *현영학의 탈춤 미학 야곱은 밤새 하느님과 악을 쓰면서 씨름하다가 축복을 받았지만 이제 저도... | Facebook


야곱은 밤새 하느님과 악을 쓰면서 씨름하다가 축복을 받았지만 이제 저도 하느님하고 어떤 씨름을 해볼까 하는데, 이제 늙어 기운이 없어서 할 수가 없습니다. 다행히 한국 사람으로 태어나서 우리 조상들이 가르친 민중들의 춤! 우리 학생들이 즐겨 추는 탈춤, 이제 그거나 배워야지 그런 생각입니다. 
- 1985년 11월, 이화여대 교수 정년 퇴임 강연에서 하신 말씀이다. 하느님과 탈춤 추기를 소망했다고 말할 수 있겠지.

1921년 생이신 현영학 교수


학부 2-3학년(1977-78년) 무렵, 목요강좌에 강사로 오셔서 봉산탈춤의 신학적 의미라는 제목으로 특강을 하셨다. 매우 특별한 강연이어서 지금까지 인상에 남는다. 그동안 예술신학, 기독교 미학이라는 이름으로 글을 쓰면서 두어 번 언급한 바 있지만, 짧은 글이었고 성서에서 언급된 춤의 사례에서 출발하여 서양적 관점에서 성찰했을뿐, 한국의 민족-민중 미학의 연구를 공부하지 못한 상태였다. 성서, 신학 사전에 '춤'(dance, Tanz) 항목을 찾을 수 없다. 성서와 신학 연구자들이 얼마나 춤에 대해 인색한가. 이제 채희완, 조동일, 김지하 등의 연구를 읽고 현영학의 탈춤 신학을 한국의 민족-민중미학사에서 자리매김하고 싶은 생각이다. 최근 도올 김용옥 교수께서 안병무의 신학을 조선사상사에 좌정시키지 않았던가.

현영학 교수의 경험을 나 자신도 공감한다.

이분이 음악을 좋아해서 음악회를 다닐 정도였지만, 우리나라 음악은 지금도 잘 모른다고 말씀한다. 이유인즉 자랄 때 그렇게 자랐으니까, 라고 말한다. 이중 차단을 당한 셈이다. 하나는 일본 사람들이 그런 것을 배우면 민족의식이 계속된다고 못 배우게 했고, 둘은 기독교의 영향이다. 예수 믿는 사람들은 우리나라 민요라든지 타령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배우면 나쁜 걸로 알아서 그건 저속한 것, 술하고 여자하고 관계되는 것이기 때문에 못 배우게 했습니다. 협소한 교리와 청교도적 도덕관이 전통 종교 및 문화와 예술에 접근할 수 있는 길 자체를 차단하는 경우가 많다. 

장신대 박사학위 논문 심사를 갔을 때, 학부에서 영문학을 공부하신 모교수도 고등학교 때까지 청교도를 그리 중하게 생각하면서 자랐는데, 대학 1년 한 교수가 청교도 때문에 영문학이 발전, 성장하지 못했다는 말을 듣고 충격을 받은 적이 있다고 했다.
 
현영학은 동시대 민중 신학자인 안병무와 서남동에 비해 연구가 적다. 그의 저술 활동이 이 책 한 권 분량이니 그럴 것이라고도 생각되지만, 서남동의 저술도 많지 않다, 다작은 아니다. 그리고 사상의 고유성과 우수성은 양(量)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다. 알아주는 후학들과 영향력이 관건이다. 이 책 안에서도 탈춤과 직간접 연결된 글은 서너 개뿐이지만, 제목은 유일무이한 의미 주름으로 다가오는 『예수의 탈춤』이고 전공 분야는 그리스도교 사회윤리다. 접음과 펼침의 운동을 할 때다.

현영학이 한국인의 몸을 깨우친 경험.

“하루는 우리 대강당에서 학생들이 한국 무용을 하는 걸 구경하고 있는데 갑자기 제 어깨하고 엉덩이 근육이 움직거리는 거였지요. 그때 제가 느낀 게 ‘아! 내 머리는 서양 머리이고 내 몸은 한국 몸이구나! 였습니다.” 서양과 한국, 한국과 서양의 구분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 서양 것들이 더 친숙하고 한국 것이라는 것들이 더 낯설다는 것이다. 事情이 그렇다는데 어쩌랴, 무가내(無可奈)다. 그래도 살과 피와 땅이 그리운 사람들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탈근대적 상황과 지구적 실정(實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그렇지만 한국조직신학회에서 1년 세 차례 학술발표회를 하는데 20여 편의 논문 중, 한국이나 동양 관련 논문은 두세 편에 지나지 않는다. 사정은 여전히 짜다.

현영학은 당대 신학자들의 어휘에 등장하지 않는 말을 한다. 민중의 恨만이 아니라 민중적인 삶의 ’힘과 아름다움‘, “삶과 예술”, 몸, 구체적으로 오장육부의 신학, 몸과 노래와 춤으로 경축할 수 있는 종교 그리고 “믿음과 웃음”이다.







All reactions:90You, Sung-Deuk Oak, 강주영 and 87 others


6 comments

2 shares

Like




Comment


Share


Most relevant

김판임
현영학 교수야말로 제가 이대기독교학과에서 만난 교수 중에 가장 존경하는 분입니다.
좋은 글감사합니다
4
Philo Kalia
김판임 아 그러시군요. 가까이에서 만난 현영학 선생님에 관한 얘기를 듣고 싶어요.
정인현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몸이 먼저 말을 하지요. 저도 그렇습니다. 언젠가 명동성당 바로 밑 어느 교회의 국악 예배를 참여한 적이 있는데요, 몸이 씰룩씰룩거렸습니다.
Philo Kalia
정인현 몸살이, 몸신앙, 修, 守身이 참 중요합니다.
Nambutas Kim
”내 머리는 서양 머리고 내 몸은 한국 몸이구나!“
심플하면서 탁월한 말씀이십니다. … 
See more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