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02

금강반야바라밀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강반야바라밀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강반야바라밀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강경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금강반야바라밀경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산스크리트어: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바즈라체디카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 영어: Diamond Sūtra)은 한국의 대표 불교 종단인 조계종소의 경전이다. 줄여서 금강경 또는 금강반야경이라고도 부른다. 석가모니에 의해 설해진, 공사상이 깊이 있게 다루어진 대승불교의 대표경전이다. 402년 중국의 구마라집(鳩摩羅什)에 의해 한자로 번역되었다. 그 후에도 여러차례 번역되었으나, 현재 유행하는 금강경은 구마라집본이다. 조계종 뿐 아니라 많은 선종 계통의 종단은 금강경을 소의 경전으로 삼고 있다.[1]


목차
1명칭
2내용
3주요 경구
4대한민국의 문화재
4.1대한민국의 국보
4.2대한민국의 보물
4.2.1보물 제1408호
5각주
명칭[편집]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원래 산스크리트어로 쓰였으며 구마라습이 한역하였다. 금강은 다이아몬드를 뜻하며 견고하고 날카롭다는 의미를 지녔다. 반야는 지혜를 뜻하고 바라밀은 바라밀다의 줄임말로 '저쪽 언덕으로 건너가는 것' , 즉 도피안(到彼岸) 또는 열반을 뜻하는 말이다. 그러므로 금강반야바라밀다경은 금강석과 같이 견고한 지혜를 얻어 무명을 타파하고 열반에 이르라는 부처님의 말씀이다.[2]
내용[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금강경


석가모니사위국기수급고독원에서 제자인 수보리와 문답 형식의 대화를 주고받는 것으로 되어있다. 석가모니는 수보리의 질문에 답하여 보살이 마땅히 이루어야 할 것에 대해 답하고 여러 가지 예를 들어 세상이 공(空)임을 설명한다.
주요 경구[편집]

금강경의 주요 경구는 석가모니가 수보리에게 들려준 다음의 사구게로 꼽힌다.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해석1: 무릇 존재하는 모든 (相)은 모두 허망한 것이니 모든 아님[非相]을 안다면 바로 여래(부처)를 보리라.
해석2: 무릇 있는 바 모든 현상[相]은 다 이것이 허망하니 만약 모든 현상진실상아닌[非相] 줄을 보면 곧 여래(부처)를 보느니라.

— 《금강경》 사구게
대한민국의 문화재[편집]

대한민국에서는 금강경이 국보 3점, 보물 10점 지정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국보[편집]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 금강반야바라밀경이 국보 제206-5호, 6호, 20호로 지정되었다.
대한민국의 보물[편집]

고려 공민왕 시기에 두루마리 형태로 제작된 금강경이 대한민국의 보물 제696호[3], 877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 고려 우왕 시기에 목판을 새기고 조선초에 간행간 금강경이 제721호, 919호, 1172호이고, 고려 충숙왕대에 간행된 두루마리 금강경이 제775호이며, 고려 충렬왕대에 간행된 두루마리 금강경이 제1408호, 조선 태종대에 간행된 책 형태의 금강경이 제1082호, 1223호이다.
보물 제1408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1408호)입니다.

이 책은 목판본으로 구마라즙(鳩摩羅什)이 번역한 금강경을 바탕으로 육조 혜능(六祖 慧能)이 금강 경에 대해 해석한 내용을 붙인 것으로 1305년(고려 충렬왕 31)에 청주 원흥사에서 육구거사 박지요 (六具居士 朴知遙) 등이 발원하여 판각한 것이다.

조선시대 초기에 간행된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편성과정을 밝히는 교량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서지학 및 인쇄문화사 연구자료로 높이 평가된다.
각주[편집]

〈한국의불교〉, 디지털한국학 홈페이지
“〈경전이야기〉, 법화사 홈페이지”. 2003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7일에 확인함.
문화공보부장관 (1981년 3월 18일). “문화공보부고시제489호(문화재지정)”. 1981년 3월 20일 관보 제8784호. 11-13쪽. 12쪽.

접기

v
t
e
불교 경전
대장경


삼장경장 · 율장 · 논장》 · 티베트 대장경 · 팔리어 대장경 · 한역대장경고려대장경 · 대정신수대장경 · 팔만대장경
상좌부 · 소승 불교


아함경장아함경 · 중아함경 · 잡아함경 · 증일아함경》 · 법구경 · 밀린다왕문경 · 본생경 · 백유경 · 과거현재인과경
대승 불교


반야경 · 반야심경 · 금강경 · 화엄경 · 법화경 · 열반경 · 해심밀경 · 점찰경 · 능가경 · 승만경 · 영락경 · 원각경 · 유마경 · 인왕경 · 정토삼부경대무량수경 · 관무량수경 · 아미타경》 · 지장경 · 미륵경
선불교


육조단경
티베트 불교 · 밀교


대일경 · 금강정경 · 능엄경 · 이취경


펼치기

v
t
e
불교 논서 · 주석서


펼치기

v
t
e
불교

분류:
수트라
금강반야바라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