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16

알라딘: 화엄의 세계와 혁명

알라딘: 화엄의 세계와 혁명



화엄의 세계와 혁명 - 동아시아의 루쉰과 한용운  | 중국학술총서 21 

유세종 (지은이)차이나하우스2009-12-25







화엄의 세계와 혁명



수험서.외국어.컴퓨터.대학교재 4만원 이상, 라떼 유리컵/스톱워치/본투리드 볼펜

정가

15,000원

판매가

13,500원 (10%, 1,500원 할인)

마일리지

7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61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무료

Sales Point : 31

 0.0100자평(0)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스프링 분철

선택안함

스프링 분철 서비스 대상도서입니다.자세히 보기

품절 출판사/제작사 유통이 중단되어 구할 수 없습니다.

품절

보관함 +

- 품절 확인일 : 2018-08-22



새상품 eBook 중고상품 (1)

판매알림 신청 출간알림 신청 98,700원

중고모두보기

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반양장본283쪽148*225mm368gISBN : 9788992258012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국내도서 > 인문학 > 사상가/인문학자

시리즈중국학술총서 (총 24권 모두보기)

신간알림 신청



전체선택



보관함 담기



장바구니 담기





당대사회언어학



중국어 이야기 - 새롭게 다시 쓰는



중국현대문학발전사 - 상



중국현대통속문학사 - 상



[품절] 중국 도교사

더보기

이벤트



수험서.외국어.컴퓨터.대학교재 - 라떼 유리컵/스톱워치/본투리드 볼펜/분철 라벨스틱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루쉰과 한용운은 모든 판단과 실천을, 미래에 대한 전망과 희망을,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현실을 떠나서는 조금도 시도하지 않았다. 화엄적 세계가 일상 속의 혁명과 만나 공존하였다. 영원한 혁명가로서의 루쉰, 우주적 혁명가로서의 한용운을 만나볼 수 있는 책이다.

목차

1장서론



2장진화

1.진화론

2.우승열패의세계

3.결핍의세계

4.후진문명,아시아

5.공리의세계,서양



3장회의와반항

1.방법론적지혜

2.모순과부조리,세계성

3.회의와부정,인식방법론

4.반항,실천방법론



4장민족

1.영원한곤경

2.생성소멸하는‘민족’

3.저항적민족주의

4.혁명적민족주의

5.민족주의를넘어



5장혁명

1.‘혁명’재론

2.허무의힘

3.신념문제

4.혁명의일상성

5.혁명의가치

6.실천문제



6장자유

1.생명,상상력의원점

2.자유,생명의법리

3.어린양,빼앗긴자유

4.전투적자유주의



7장도시숲속에서의유격전

1.무외의자유

2.주변인의역동성

3.월경의정치학

4.화엄의세계와혁명



8장결론



부록

1.다케우치요시미(竹內好)의『루쉰』을읽고

2.히야마히사오(檜山久雄)의

『동양적근대창출-루쉰과소세키』를읽고

3.루쉰에세이의세계



참고문헌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유세종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유년기에서 청년기까지 화가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이젤과 팔레트를 들고 강과 산, 마을과 교외를 돌아다녔다. 물감이 귀할 때였으나 수채화, 유화, 파스텔화로 자유롭게 그렸다. 지는 해와 고요한 숲을 그리러 돌아다니다 강둑에 혼자 멍하니 어둑해지도록 앉아 있기도 했다. 고독했지만 나쁜 사람들을 무서워하지 않아도 되는 평화로운 시절이었다. 당시엔 그림 그리기가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신성하고 즐거운 노동이라고 치기 어린 생각을 했다. 그러다 미학이론에 꽂혀 한.중.일 미론 공부를 시작했지만 종잡을 수 없던 가슴 밑바닥의 갈증은 여전했다. 중도에 그만두었다. 대학원에 들어가 불교의 정신세계와 당시(唐詩)의 미학세계에 한걸음씩 깊이 빠져들었다. 마치 무언가를 초월한 듯한 정신적 조로현상을 겪었다. 가짜 초월이었으나 마음은 편안하고 고요해졌다. 선후배들이 최루탄 맞으며 결사항전을 외치고 감옥엘 들락거려도 나는 당시와 불경을 외우며 색즉시공(色卽是空)의 논리로 자신을 ‘무장’했다.

오랜 ‘편안함’ 속에 중국 고전을 뒤적이다 『묵자』를 만났다. 난생 처음으로 가슴이 환해지는 느낌을 받았다. 민중에게 이로운 것이 미(美)이며 민중에게 이롭지 못하고 민중을 빈곤하게 하는 것은 아름답지 않다는 간단명료한 주장 앞에 의식의 빙판에 금이 쩍 가는 느낌이었다. 만민의 이로움을 미의 기준으로 내세운 묵자 앞에서 그동안의 모든 공부를 한 점 미련 없이 내려놓을 수 있었다. 그리고 묵자의 연장선에서 루쉰을 만나고 중국을 만나고 중국영화를 만났다. 루쉰과 중국, 중국영화는 민중미학과 그림 그리기, 불교가 다 어우러져 있는 거대한 화엄세계 같았다. 비슷한 시기 동아시아의 한용운과 나쓰메 소세키도 마찬가지였다. 루쉰, 한용운, 나쓰메 소세키, 지아장커에게는 조용하지만 도저하고 도발적인 ‘저층’의 미학, ‘패배’의 미학이 관통하고 있다. 그들을 통해 패배와 고통이 깨달음에 이르는 지름길이란 걸 알았다.

몇 해 전 허우샤오셴(侯孝賢)의 '자객 섭은낭'(刺客?隱娘)을 보았다. 허우샤오셴은 자신의 평생 공부 영화로 ‘득도’를 하였구나 하는 생각에 잠시 절망감 같은 걸 느꼈다. 나의 공부는 지금 어디쯤 와 있는 것인가, 생각하고 있는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사회주의 미학 연습』, 『함께 가는 친구에게』, 『루쉰전』 등이 있고, 『루쉰전집』 번역에 참여했다. 『루쉰식 혁명과 근대중국』, 『화엄의 세계와 혁명』을 썼다. 접기

최근작 : <지아장커, 세계의 그늘을 비추는 거울>,<육효대학 9권>,<육효대학 8권> … 총 23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2010년 석학대담] 루쉰과 한용운 대담



(다음은『화엄』의 내용을 각색한 것입니다.)

魯 : 저는 전통을 증오합니다. 중국의 근대화를 막은 것은 전통이라는 수갑과 족쇄입니다. 아Q식의 기형적인 자존심, 약자의 현실을 눈감아버리는 식인(食人)문화 전통, 그러한 전통에 안주하는 중국인의 마비된 정신이 그것이지요. 韓선생님도 개혁과 혁명을 중요시하지 않으셨습니까. 젊었을 때 이미 변화를 세상의 근본원리라 인식하고 세계여행을 계획하셨다고 들었습니다.

韓 : 28세에 러시아를 통해 중구(中歐)와 미국을 유람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블라디보스토크의 선진문화를 보고 놀랐던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저는 魯선생님처럼 반전통이 아니라 전통을 계승해 개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꼭 물질문명이 구비된 후에야 독립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독립할 만한 자존의 기운과 정신적 준비만 있으면 충분합니다. 조선은 당당한 독립국민의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魯 : 하지만 韓선생님도 ‘후진적인 조선’이라 했습니다. 백리를 감에 있어 조선인은 시작이 반이라고 생각하여 시작만 하여 놓고 이미 반은 완성된 듯 쉬엄쉬엄 하는 반면, 서양인은 구십 리로 반을 삼는다 했습니다. 그 원인을 한두 가지로 헤아릴 수가 없다 개탄하셨고요.

韓 : 바로 ‘님’이 없는 세상입니다. 저는 이 고통과 슬픔에서 힘을 얻습니다. ‘내’가 나의 길을 만들고 쉼 없이 가야 ‘님’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일을 꾀하는 것도, 일을 이루는 것도 ‘나’에게 있습니다. 오직 자아를 통해서만 이룰 수 있습니다. 자아는 고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타인과 物과의 관계 속에 있는 존재입니다. 바로 화엄적 세계의 인드라망(indra's net) 속 존재이지요. 魯선생님의 작품에서도 마지막에는 화자가 늘 현실로 돌아오더군요.

魯 : 혁명은 ‘나’의 주인으로서의 ‘나’를 인식하고 있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자기를 살피고 자기를 바꾸어내는 일이 가장 어려운 혁명입니다. 개인의 각성 없이 진정한 혁명을 할 수 없습니다. 세상이 아무리 부조리해도 일상, 그 속에서 혁명을 실천해야 합니다.

韓 : 魯선생님 작품에는 ‘나’의 열기를 다시 타오르게 하고 수레바퀴에 깔려 죽는 ‘죽은 불’이 나옵니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위해 자기를 희생한다는 의미인가요.

魯 : 그렇습니다. 韓선생님의 ‘나’가 ‘님’을 만나기 위해 생명의 옷까지도 벗겠다고 한 것과 같습니다. 韓선생님이 자유와 평등을 위해 계몽하고 계몽했던 것처럼 저도 절망에 반항하며 들풀(민중)에 대한 희망을 놓지 않았습니다.

韓 : 오늘에 있어서 우리의 희망, 박애를 말하는 것이 너무 우원(迂遠)한 말이라 할지 모르나 이것이 진리인 이상 반드시 현실로 현현될 것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기다리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기다려지는 것이니까요.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