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16

알라딘: 한용운과 근대성

알라딘: 한용운과 근대성


한용운과 근대성 |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민족문화연구총서 130
김종인 (지은이)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2020-05-15







264쪽
152*223mm (A5신)
370g
ISBN : 9788971551752

책소개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민족문화연구총서 130권. 한용운은 한국사회 일반에서는 주로 대중적 시인이요 민족지사요, 불교계에서는 불교개혁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한국 근대사사상에서 매우 의미 있는 인물로 비중 있게 평가받아야 할 인물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시적 논의 틀을 가지고 말하면, 한용운은 사회적 실천면에서는 문명개화론의 입장에 선 것처럼 보이지만, 사상적으로는 전통 철학인 불교의 철학체계를 근간으로 하면서 서양의 근대사상들을 수용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사상적 특징과 태도 덕분에, 대부분의 근대초기의 문명개화론자들이 서구의 문화와 풍속만을 맹목적으로 추종하거나 일본제국주의의 지배를 합리하게 된 것과 달리, 그는 가장 지조 있는 민족주의자로 남아 있었으며, 또 전통 사상가들이 맹목적 수구에 집착하여 후대 사실상 아무런 실질적 영향을 주지 못한 것과 달리, 그는 지금까지도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그의 사상체계가 한국 근대사사상에서 어떠한 위상과 의미를 지니는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목차


제Ⅰ장. 한용운 연구에 대한 평가
1. 서론
2. 『韓龍雲全集』의 출간과 문학 방면에서의 연구
3. 전기적 연구
4. 종합적 연구의 필요성

제Ⅱ장. 만해와 간디: 근대와 반현대
1. 서론
2. 종교적 진리 실천으로서의 민족독립운동
3. 근대 문명에 대한 만해의 수용과 간디의 비판
4. 만해의 욕망에 대한 긍정과 간디의 금욕주의
5. 근대적 교육과 정치에 대한 만해의 수용과 간디의 부정
6. 근대와 반현대

제Ⅲ장. 만해와 성철: 근대성과 전근대성 속에서의 긴장과 갈등
1. 서론
2. 근대와 현대
3. 유신(維新)과 회귀(回歸)
4. 욕망과 계율
5. 전통과 미래
6. 정체성과 변화

제Ⅳ장. 한용운 선(禪) 사상의 근대성
1. 서론
2. 불교개혁론과 선불교의 대립적 구도를 넘어서
3. 근대의 정신적 환경 속에서 선을 바라보다
4. 선의 상식화
5. 결론

제Ⅴ장. 만해의 근대성 수용과 ‘님’
1. 서론
2. ‘님’의 초월성과 절대성의 부정
3. 근대 민주주의의 정체(政體)로서의 ‘님’
4. 근대인의 에로스에 대한 열망과 ‘님’
5. 근대인의 자아에 대한 탐구와 ‘님’
6. 결론

제Ⅵ장. 한용운의 한시(漢詩)
1. 서론
2. 일상의 삶-『님의 침묵』과의 비교
3. 선의 이데올로기를 벗어난 선사(禪師)
4. 뿌리를 잃은 근대인의 정서
5. 의지의 표현과 내면의 표현

제Ⅶ장. 한용운의 정치사상
1. 머리말
2. 정치적 활동
3. 종교와 정치
4. 정치적 단위로서의 국가와 민족
5. 자유와 평등
6. 사회주의
7. 결론

제Ⅷ장. 한용운의 승가교육 개혁론
1. 서론
2. 한국불교 승가교육의 전통
3. 한용운의 교육관과 근대적 종교관
4. 한용운의 승가교육 개혁론
5. 결론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김종인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동양철학과 대학원 석사
Stony Brook University 박사 (영문학)
2020년 현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객원교수
International Lay Buddhist Forum 창립
조계종 국제교류위원 역임

논저
『한국의 대학과 지식인은 왜 몰락하는가』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 만해 한용운 『님의 침묵』 평설』
『Philosophical Contexts for Wonhyo's Interpretation of Buddhism』
『Buddhism in East Asia』(공저) 등
이외 30여 편의 논문이 있음 접기


최근작 : <한용운과 근대성>,<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재활복지개론> … 총 5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한용운은 한국사회 일반에서는 주로 대중적 시인이요 민족지사요, 불교계에서는 불교개혁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한국 근대사사상에서 매우 의미 있는 인물로 비중 있게 평가받아야 할 인물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시적 논의 틀을 가지고 말하면, 한용운은 사회적 실천면에서는 문명개화론의 입장에 선 것처럼 보이지만, 사상적으로는 전통 철학인 불교의 철학체계를 근간으로 하면서 서양의 근대사상들을 수용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사상적 특징과 태도 덕분에, 대부분의 근대초기의 문명개화론자들이 서구의 문화와 풍속만을 맹목적으로 추종하거나 일본제국주의의 지배를 합리하게 된 것과 달리, 그는 가장 지조 있는 민족주의자로 남아 있었으며, 또 전통 사상가들이 맹목적 수구에 집착하여 후대 사실상 아무런 실질적 영향을 주지 못한 것과 달리, 그는 지금까지도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그의 사상체계가 한국 근대사사상에서 어떠한 위상과 의미를 지니는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