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고경중마방 - 퇴계선생이 엮은 옛사람들의 마음닦기
이황 (지은이),이광호,강경현,강희복,나대용,박지현,이영자,이치억,황상희 (옮긴이)
학자원2021-02-25
정가
25,000원
Sales Point : 154
10.0 100자평(0)리뷰(0)
양장본
304쪽
책소개
『고경중마방)』은 퇴계 이황이 옛 사람들이 남긴 찬, 잠, 명 가운데 자신의 학문과 수양에 절실한 70편의 작품을 필사하여 엮은 책이다. 59세에 지은 「고경중마방에 쓰다」라는 시를 통하여 편집이 완성된 시기와 책의 제목을 알 수 있다.
퇴계는 평생 동안‘자기완성의 학문’을 통하여 도리를 인식하고 실천함을 통하 여 자연의 진리와 하나 되는 삶을 살고자 노력하였다. 자신의 덕성을 함양하고 진리를 향한 학문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글이면 붓으로 써서 남겨두거나 제자들에게 써서 나누어 주기를 좋아 하였다. 고경중마방 도 퇴계가 읽은 책 가운데서 자신의 학문과 수양에 크게 도움이 되는 찬과 잠과 명을 필사해 둔 책이다.
목차
저자 및 역자소개
이황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1501년 11월 25일 안동 예안현 온계리에서 진사 이식(李埴)과 박씨 부인의 7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6세에 이웃 노인에게서 ≪천자문(千字文)≫과 ≪동몽선습(童蒙先習)≫, ≪명심보감(明心寶鑑)≫, ≪소학(小學)≫ 등을 배웠고 12세에는 숙부 송재공(松齋公) 이우(李?)에게 ≪논어(論語)≫를 배웠다. 15세에 게[蟹]를 보고 <부석천사자유가(負石穿沙自由家)> 등의 시를 지었고 20세에는 ≪주역(周易)≫을 탐독했다.
21세에 서울로 올라와 성균관에 유학한다. 27세에 경상도 향시에 2위로 합... 더보기
최근작 : <사단칠정을 논하다>,<김정희 외 4인의 한시 24수>,<[큰글씨책] 퇴계선집> … 총 63종 (모두보기)
이광호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국제퇴계학회 명예회장
강경현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강원대학교 교수
강희복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연세대 인문학연구원 전임연구원
나대용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동인문화원 동양철학연구원장
박지현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삼육대학교 강사
이영자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소소재학당 원장
이치억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황상희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한국효문화진흥원 연구원
출판사 제공 책소개
정가
25,000원
Sales Point : 154
10.0 100자평(0)리뷰(0)
양장본
304쪽
책소개
『고경중마방)』은 퇴계 이황이 옛 사람들이 남긴 찬, 잠, 명 가운데 자신의 학문과 수양에 절실한 70편의 작품을 필사하여 엮은 책이다. 59세에 지은 「고경중마방에 쓰다」라는 시를 통하여 편집이 완성된 시기와 책의 제목을 알 수 있다.
퇴계는 평생 동안‘자기완성의 학문’을 통하여 도리를 인식하고 실천함을 통하 여 자연의 진리와 하나 되는 삶을 살고자 노력하였다. 자신의 덕성을 함양하고 진리를 향한 학문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글이면 붓으로 써서 남겨두거나 제자들에게 써서 나누어 주기를 좋아 하였다. 고경중마방 도 퇴계가 읽은 책 가운데서 자신의 학문과 수양에 크게 도움이 되는 찬과 잠과 명을 필사해 둔 책이다.
목차
해제_이광호/11
고경중마방서古鏡重磨方序_정구/29
1. 세숫대야에 새기다盤銘_성탕成湯 31
2. 의자의 네 모서리에 새기다席四端銘_무왕武王 32
3. 거울에 새기다鑑銘_무왕武王 34
4. 세숫대야에 새기다盤銘_무왕武王 35
5. 기둥에 새기다楹銘_무왕武王 36
6. 지팡이에 새기다杖銘_무왕武王 37
7. 동상에 새기다金人銘_무왕武王 38
8. 최원의 좌우명座右銘_최원崔瑗 42
9. 변란의 좌우명座右銘_변란卞蘭 44
10. 백거이의 좌우명座右銘_백거이白居易 47
11. 이지의 속좌우명續座右銘_이지李至 50
12. 누추한 방陋室銘_유우석劉禹錫 53
13. 물그릇에 새기다槃水銘_사마광司馬光 55
14. 사마공이 덮던 이불司馬公 布衾銘_범순인范純仁 56
15. 띠풀로 지붕을 덮은 집茅齋銘_위료옹魏了翁 59
16. 범충의 좌우명座右銘_범충范? 63
17. 다섯 가지를 경계하다五箴_한유韓愈 66
17-1. 놀이를 경계하다游箴 68
17-2. 말을 경계하다言箴 69
17-3. 행동을 경계하다行箴 71
17-4. 좋아하고 싫어함을 경계하다好惡箴 73
17-5. 이름이 알려짐을 경계하다知名箴 75
18. 닥종이 이불楮衾銘_진덕수眞德秀 78
19. 네 가지 예에 어긋나는 것을 하지 말라四勿箴_정이程? 84
19-1. 보는 것을 경계하라視箴 86
19-2. 듣는 것을 경계하라聽箴 87
19-3. 말하는 것을 경계하라言箴 89
19-4. 행동을 경계하라動箴 91
20. 서쪽 창에 걸어 놓다西銘_장재張載 92
21. 동쪽 창에 걸어놓다東銘_장재張載 101
22. 자신을 극복하라克己銘_여대림呂大臨 104
23. 장역의 좌우명座右銘_장역張繹 108
24. 마음을 경계하다心箴_범준范浚 112
25. 잃어버린 마음 되찾기求放心齋銘_주희朱熹 114
26. 덕성을 높이기尊德性齋銘_주희朱熹 116
27. 도에 뜻을 두다志道齋銘_주희朱熹 118
28. 덕에 근거하다據德齋銘_주희朱熹 119
29. 인에 의지하다依仁齋銘_주희朱熹 120
30. 예술에 노닐다游藝齋銘_주희朱熹 121
31. 덕성을 숭상하다崇德齋銘_주희朱熹 122
32. 사업을 넓히다廣業齋銘_주희朱熹 123
33. 인에 머물다居仁齋銘_주희朱熹 124
34. 의를 따르다由義齋銘_주희朱熹 125
35. 옛것을 배우다學古齋銘_주희朱熹 126
36. 역의 몽괘를 음미하다蒙齋銘_진덕수眞德秀 129
37. 경과 의를 함께 중시해야 한다敬義齋銘_진덕수眞德秀 135
38. 장식의 공경하라敬齋銘_장식張? 140
39. 마음이 하나 됨을 주로하다主一齋銘_장식張? 147
40. 글자를 쓸 때의 마음가짐書字銘_주희朱熹 150
41. 자신의 금琴에 새기다紫陽琴銘_주희朱熹 152
42. 창에 새기다窓銘_주희朱熹 153
43. 초상화에 쓰다寫照銘_주희朱熹 155
44. 주희의 공경하라敬齋箴_주희朱熹 156
45. 숨 쉬는 것에 관하여調息箴_주희朱熹 161
46. ?역易?을 배울 때 경계할 것에 관하여警學贊_주희朱熹 163
47. ?역易?의 복괘를 찬양하다復卦贊_주희朱熹 167
48. ?역易?의 복괘의 뜻을 찬양하다復卦義贊_장식張? 170
49. 마음이 하나되게 하라主一箴_장식張? 173
50. ?심경?을 찬양하다心經贊_진덕수眞德秀 176
51. 사물四勿을 경계하다勿齋箴_진덕수眞德秀 185
52. 진실하고자 생각하다思誠齋箴_진덕수眞德秀 190
53. 밤잠으로 양심을 기르다夜氣箴_진덕수眞德秀 196
54. 오징의 공경하라敬銘_오징吳澄 202
55. 온화하라和銘_오징吳澄 206
56. 자신을 새롭게 하라自新銘_오징吳澄 209
57. 자신을 수양하라自修銘_오징吳澄 214
58. 욕심을 줄여라消人欲銘_오징吳澄 218
59. 천리 가꾸기長天理銘_오징吳澄 222
60. 자신을 극복하라克己銘_오징吳澄 226
61. 진리는 하나이다理一箴_오징吳澄 231
62. 새벽부터 밤늦게까지夙興夜寐箴_진백陳柏 247
63. 은은히 드러나는 군자의 덕이여絅齋銘_진덕수眞德秀 253
64. 독서루에 새기다讀書樓銘_장식張? 257
65. 규헌에 있는 돌에 새기다葵軒石銘_장식張? 262
66. 전심각에 새기다傳心閣銘_장식張? 264
67. 자신을 잘 돌아보라顧齋銘_장식張? 269
68. 노둔하라魯齋箴_하기何基 272
69. 하루하루를 아껴라愛日箴_왕백王柏 279
70. 빈 배처럼虛舟銘_진덕수眞德秀 284
고경중마방발古鏡重磨方跋_정구/287
부록_지은이 소개/289찾아보기/297번역자 소개/299
저자 및 역자소개
이황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1501년 11월 25일 안동 예안현 온계리에서 진사 이식(李埴)과 박씨 부인의 7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6세에 이웃 노인에게서 ≪천자문(千字文)≫과 ≪동몽선습(童蒙先習)≫, ≪명심보감(明心寶鑑)≫, ≪소학(小學)≫ 등을 배웠고 12세에는 숙부 송재공(松齋公) 이우(李?)에게 ≪논어(論語)≫를 배웠다. 15세에 게[蟹]를 보고 <부석천사자유가(負石穿沙自由家)> 등의 시를 지었고 20세에는 ≪주역(周易)≫을 탐독했다.
21세에 서울로 올라와 성균관에 유학한다. 27세에 경상도 향시에 2위로 합... 더보기
최근작 : <사단칠정을 논하다>,<김정희 외 4인의 한시 24수>,<[큰글씨책] 퇴계선집> … 총 63종 (모두보기)
이광호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국제퇴계학회 명예회장
강경현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강원대학교 교수
강희복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연세대 인문학연구원 전임연구원
나대용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동인문화원 동양철학연구원장
박지현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삼육대학교 강사
이영자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소소재학당 원장
이치억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황상희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한국효문화진흥원 연구원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 책은 퇴계선생이 엮은 옛사람들의 마음닦기를
수정하고 보완하여 양장본으로 재출간한 책입니다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은 퇴계(退溪) 이황(1501~1570)이 옛 사람들이 남긴 찬(贊), 잠(箴), 명(銘) 가운데 자신의 학문과 수양에 절실한 70편의 작품을 필사하여 엮은 책이다. 59세에 지은 「고경중마방에 쓰다(題古鏡重磨方)」라는 시를 통하여 편집이 완성된 시기와 책의 제목을 알 수 있다. 퇴계는 평생 동안‘자기완성의 학문(爲己之學)’을 통하여 도리를 인식하고 실천함을 통하 여 자연의 진리와 하나 되는 삶을 살고자 노력하였다. 자신의 덕성을 함양하고 진리를 향한 학문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글이면 붓으로 써서 남겨두거나 제자들에게 써서 나누어 주기를 좋아 하였다. 고경중마방 도 퇴계가 읽은 책 가운데서 자신의 학문과 수양에 크게 도움이 되는 찬과 잠과 명을 필사해 둔 책이다.
이황 李滉 1501~1570,
조선을 대표하는 유학자이다.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그는 수십 차례 관직을 받고 사양하며 여러 차례 서울을 오르내렸지만 벼슬살이에는 큰 뜻이 없었다. 벼슬에서 물러나 제자들과 강학하며 3000여 통의 편지와 2500여 수의 시를 남기고 있다, 그가 지향한 학문은 ‘인간완성의 학문(爲己之學)’ 또는 ‘성인이 되는 학문(聖學)’이라 불린다. 그는 우주 자연의 진리가 도를 진지(眞知) 역행(力行)하는 인간의 삶에 의하여 드러난다고 생각하며 진지 역행의 삶을 살았다. 시와 편지 이외에도 다양한 문체의 글과 주자서절요, 송계원명이학통록 ,자성록, 계몽전의, 성학십도 등의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가 남긴 심오한 학문과 삶의 세계는 과학적 진리를 넘어 인간의 마음과 정신의 근원을 밝혀주는 이 시대의 길잡이가 될 것이다.
국제퇴계학연구회 소개
국제퇴계학연구회(회장 이광호, 前연세대 교수)는 2015년부터 퇴계학연구원에서 이루어진 고전강독모임(古鏡重磨方, 연구자와 일반인 약 20명)을 모태로 하여 2016년 11월에 퇴계학의 세계화·현대화·대중화를 위하여 창립되었으며, 2017년 8회, 2018년 4회, 2019년 2회 학술논문 발표를 하였고 제10회(2018년 6월) 때는 〈퇴계학과 율곡학의 소통과 융합〉이라는 주제로 공동학술회의를 하였으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동양고전을 강독하고 번역(출판)하려고 한다. 접기
===
퇴계 선생이 엮은 옛사람들의 마음 닦기
이황 (엮은이),이광호 (옮긴이)학자원2019-10-31
Sales Point : 66
10.0 100자평(1)리뷰(0)
구판절판 개정판 출간에 따라 유통중단, 개정판 구입만 가능합니다.
절판
보관함 +
개정판이 새로 출간되었습니다.
개정판 보기
304쪽
책소개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은 퇴계(退溪) 이황(1501~1570)이 옛 사람들이 남긴 찬(贊), 잠(箴), 명(銘) 가운데 자신의 학문과 수양에 절실한 70편의 작품을 필사하여 엮은 책이다. 59세에 지은 「고경중마방에 쓰다(題古鏡重磨方)」라는 시를 통하여 편집이 완성된 시기와 책의 제목을 알 수 있다. 퇴계는 평생 동안‘자기완성의 학문(爲己之學)’을 통하여 도리를 인식하고 실천함을 통하 여 자연의 진리와 하나 되는 삶을 살고자 노력하였다.
자신의 덕성을 함양하고 진리를 향한 학문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글이면 붓으로 써서 남겨두거나 제자들에게 써서 나누어 주기를 좋아 하였다. 고경중마방 도 퇴계가 읽은 책 가운데서 자신의 학문과 수양에 크게 도움이 되는 찬과 잠과 명을 필사해 둔 책이다.
목차
해제_이광호/11
고경중마방서古鏡重磨方序_정구/29
1. 세숫대야에 새기다盤銘_성탕成湯 31
2. 의자의 네 모서리에 새기다席四端銘_무왕武王 32
3. 거울에 새기다鑑銘_무왕武王 34
4. 세숫대야에 새기다盤銘_무왕武王 35
5. 기둥에 새기다楹銘_무왕武王 36
6. 지팡이에 새기다杖銘_무왕武王 37
7. 동상에 새기다金人銘_무왕武王 38
8. 최원의 좌우명座右銘_최원崔瑗 42
9. 변란의 좌우명座右銘_변란卞蘭 44
10. 백거이의 좌우명座右銘_백거이白居易 47
11. 이지의 속좌우명續座右銘_이지李至 50
12. 누추한 방陋室銘_유우석劉禹錫 53
13. 물그릇에 새기다槃水銘_사마광司馬光 55
14. 사마공이 덮던 이불司馬公 布衾銘_범순인范純仁 56
15. 띠풀로 지붕을 덮은 집茅齋銘_위료옹魏了翁 59
16. 범충의 좌우명座右銘_범충范冲 63
17. 다섯 가지를 경계하다五箴_한유韓愈 66
17-1. 놀이를 경계하다游箴 68
17-2. 말을 경계하다言箴 69
17-3. 행동을 경계하다行箴 71
17-4. 좋아하고 싫어함을 경계하다好惡箴 73
17-5. 이름이 알려짐을 경계하다知名箴 75
18. 닥종이 이불楮衾銘_진덕수眞德秀 78
19. 네 가지 예에 어긋나는 것을 하지 말라四勿箴_정이程頤 84
19-1. 보는 것을 경계하라視箴 86
19-2. 듣는 것을 경계하라聽箴 87
19-3. 말하는 것을 경계하라言箴 89
19-4. 행동을 경계하라動箴 91
20. 서쪽 창에 걸어 놓다西銘_장재張載 92
21. 동쪽 창에 걸어놓다東銘_장재張載 101
22. 자신을 극복하라克己銘_여대림呂大臨 104
23. 장역의 좌우명座右銘_장역張繹 108
24. 마음을 경계하다心箴_범준范浚 112
25. 잃어버린 마음 되찾기求放心齋銘_주희朱熹 114
26. 덕성을 높이기尊德性齋銘_주희朱熹 116
27. 도에 뜻을 두다志道齋銘_주희朱熹 118
28. 덕에 근거하다據德齋銘_주희朱熹 119
29. 인에 의지하다依仁齋銘_주희朱熹 120
30. 예술에 노닐다游藝齋銘_주희朱熹 121
31. 덕성을 숭상하다崇德齋銘_주희朱熹 122
32. 사업을 넓히다廣業齋銘_주희朱熹 123
33. 인에 머물다居仁齋銘_주희朱熹 124
34. 의를 따르다由義齋銘_주희朱熹 125
35. 옛것을 배우다學古齋銘_주희朱熹 126
36. 역의 몽괘를 음미하다蒙齋銘_진덕수眞德秀 129
37. 경과 의를 함께 중시해야 한다敬義齋銘_진덕수眞德秀 135
38. 장식의 공경하라敬齋銘_장식張栻 140
39. 마음이 하나 됨을 주로하다主一齋銘_장식張栻 147
40. 글자를 쓸 때의 마음가짐書字銘_주희朱熹 150
41. 자신의 금琴에 새기다紫陽琴銘_주희朱熹 152
42. 창에 새기다窓銘_주희朱熹 153
43. 초상화에 쓰다寫照銘_주희朱熹 155
44. 주희의 공경하라敬齋箴_주희朱熹 156
45. 숨 쉬는 것에 관하여調息箴_주희朱熹 161
46. 역易을 배울 때 경계할 것에 관하여警學贊_주희朱熹 163
47. 역易의 복괘를 찬양하다復卦贊_주희朱熹 167
48. 역易의 복괘의 뜻을 찬양하다復卦義贊_장식張栻 170
49. 마음이 하나되게 하라主一箴_장식張栻 173
50. 심경을 찬양하다心經贊_진덕수眞德秀 176
51. 사물四勿을 경계하다勿齋箴_진덕수眞德秀 185
52. 진실하고자 생각하다思誠齋箴_진덕수眞德秀 190
53. 밤잠으로 양심을 기르다夜氣箴_진덕수眞德秀 196
54. 오징의 공경하라敬銘_오징吳澄 202
55. 온화하라和銘_오징吳澄 206
56. 자신을 새롭게 하라自新銘_오징吳澄 209
57. 자신을 수양하라自修銘_오징吳澄 214
58. 욕심을 줄여라消人欲銘_오징吳澄 218
59. 천리 가꾸기長天理銘_오징吳澄 222
60. 자신을 극복하라克己銘_오징吳澄 226
61. 진리는 하나이다理一箴_오징吳澄 231
62. 새벽부터 밤늦게까지夙興夜寐箴_진백陳柏 247
63. 은은히 드러나는 군자의 덕이여絅齋銘_진덕수眞德秀 253
64. 독서루에 새기다讀書樓銘_장식張栻 257
65. 규헌에 있는 돌에 새기다葵軒石銘_장식張栻 262
66. 전심각에 새기다傳心閣銘_장식張栻 264
67. 자신을 잘 돌아보라顧齋銘_장식張栻 269
68. 노둔하라魯齋箴_하기何基 272
69. 하루하루를 아껴라愛日箴_왕백王柏 279
70. 빈 배처럼虛舟銘_진덕수眞德秀 284
고경중마방발古鏡重磨方跋_정구/287
부록_지은이 소개/289
찾아보기/297
번역자 소개/299
접기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9년 11월 1일 학술 새책
저자 및 역자소개
이황 (엮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1501년 11월 25일 안동 예안현 온계리에서 진사 이식(李埴)과 박씨 부인의 7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6세에 이웃 노인에게서 ≪천자문(千字文)≫과 ≪동몽선습(童蒙先習)≫, ≪명심보감(明心寶鑑)≫, ≪소학(小學)≫ 등을 배웠고 12세에는 숙부 송재공(松齋公) 이우(李?)에게 ≪논어(論語)≫를 배웠다. 15세에 게[蟹]를 보고 <부석천사자유가(負石穿沙自由家)> 등의 시를 지었고 20세에는 ≪주역(周易)≫을 탐독했다.
21세에 서울로 올라와 성균관에 유학한다. 27세에 경상도 향시에 2위로 합... 더보기
최근작 : <사단칠정을 논하다>,<김정희 외 4인의 한시 24수>,<[큰글씨책] 퇴계선집> … 총 63종 (모두보기)
이광호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동서철학을 배우고, 민족문화추진회 한학연수과정과 한국고등교육재단 태동고전연구소 한학연수과정을 수료했다. 《주자의 격물치지설에 관한 고찰》로 석사학위를, 《이퇴계 학문론의 체용적 구조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림대학교 철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퇴직했다. 서암학술(SBS) 재단 해외파견교수로 선발되어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방문교수가 되었고, 절강대학교 한국연구소 초빙교수를 지냈다. 태동고전연구소 소장,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부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한국동양철학회 회장, 국제퇴계... 더보기
최근작 : <퇴계의 길에서 길을 묻다>,<다산학 공부>,<고전 강연 3> … 총 32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국제퇴계학연구회 소개
국제퇴계학연구회(회장 이광호, 前연세대 교수)는 2015년부터 퇴계학연구원에서 이루어진 고전강독모임(古鏡重磨方, 연구자와 일반인 약 20명)을 모태로 하여 2016년 11월에 퇴계학의 세계화·현대화·대중화를 위하여 창립되었으며, 2017년 8회, 2018년 4회, 2019년 2회 학술논문 발표를 하였고 제10회(2018년 6월) 때는 〈퇴계학과 율곡학의 소통과 융합〉이라는 주제로 공동학술회의를 하였으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동양고전을 강독하고 번역(출판)하려고 한다.
역자소개
이광호(국제퇴계학회 회장)
강경현(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강희복(연세대 철학연구소 연구원)
나대용(동인문화원 원장)
박지현(삼육대학교 강사)
이영자(소소재 학당 원장)
이치억(충남역사문화연구원 수석연구원)
황상희(성균관대학교 강사)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1)
읽고 있어요 (0)
읽었어요 (1)
구매자 (1)
전체 (1)
공감순
제목에 이끌려 저도 좋은 글로 마음을 닦으려고 구매했답니다. 그런데 받고 보니 옛 서당에서 글 읽듯 따라 읽을 수 있도록 내용이 잘 되어있어요. 글의 풀이가 첫째로 쓰여있고 그 아래로 한자 원문과 따라 읽을 수 있는 음이 함께 쓰여있습니다.
뜻을 새겨가며 낭독하면 마음이 밝아집니다.
youngjoon 2020-08-0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퇴계 선생이 엮은 옛사람들의 마음 닦기
이황 (엮은이),이광호 (옮긴이)학자원2019-10-31
Sales Point : 66
10.0 100자평(1)리뷰(0)
구판절판 개정판 출간에 따라 유통중단, 개정판 구입만 가능합니다.
절판
보관함 +
개정판이 새로 출간되었습니다.
개정판 보기
304쪽
책소개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은 퇴계(退溪) 이황(1501~1570)이 옛 사람들이 남긴 찬(贊), 잠(箴), 명(銘) 가운데 자신의 학문과 수양에 절실한 70편의 작품을 필사하여 엮은 책이다. 59세에 지은 「고경중마방에 쓰다(題古鏡重磨方)」라는 시를 통하여 편집이 완성된 시기와 책의 제목을 알 수 있다. 퇴계는 평생 동안‘자기완성의 학문(爲己之學)’을 통하여 도리를 인식하고 실천함을 통하 여 자연의 진리와 하나 되는 삶을 살고자 노력하였다.
자신의 덕성을 함양하고 진리를 향한 학문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글이면 붓으로 써서 남겨두거나 제자들에게 써서 나누어 주기를 좋아 하였다. 고경중마방 도 퇴계가 읽은 책 가운데서 자신의 학문과 수양에 크게 도움이 되는 찬과 잠과 명을 필사해 둔 책이다.
목차
해제_이광호/11
고경중마방서古鏡重磨方序_정구/29
1. 세숫대야에 새기다盤銘_성탕成湯 31
2. 의자의 네 모서리에 새기다席四端銘_무왕武王 32
3. 거울에 새기다鑑銘_무왕武王 34
4. 세숫대야에 새기다盤銘_무왕武王 35
5. 기둥에 새기다楹銘_무왕武王 36
6. 지팡이에 새기다杖銘_무왕武王 37
7. 동상에 새기다金人銘_무왕武王 38
8. 최원의 좌우명座右銘_최원崔瑗 42
9. 변란의 좌우명座右銘_변란卞蘭 44
10. 백거이의 좌우명座右銘_백거이白居易 47
11. 이지의 속좌우명續座右銘_이지李至 50
12. 누추한 방陋室銘_유우석劉禹錫 53
13. 물그릇에 새기다槃水銘_사마광司馬光 55
14. 사마공이 덮던 이불司馬公 布衾銘_범순인范純仁 56
15. 띠풀로 지붕을 덮은 집茅齋銘_위료옹魏了翁 59
16. 범충의 좌우명座右銘_범충范冲 63
17. 다섯 가지를 경계하다五箴_한유韓愈 66
17-1. 놀이를 경계하다游箴 68
17-2. 말을 경계하다言箴 69
17-3. 행동을 경계하다行箴 71
17-4. 좋아하고 싫어함을 경계하다好惡箴 73
17-5. 이름이 알려짐을 경계하다知名箴 75
18. 닥종이 이불楮衾銘_진덕수眞德秀 78
19. 네 가지 예에 어긋나는 것을 하지 말라四勿箴_정이程頤 84
19-1. 보는 것을 경계하라視箴 86
19-2. 듣는 것을 경계하라聽箴 87
19-3. 말하는 것을 경계하라言箴 89
19-4. 행동을 경계하라動箴 91
20. 서쪽 창에 걸어 놓다西銘_장재張載 92
21. 동쪽 창에 걸어놓다東銘_장재張載 101
22. 자신을 극복하라克己銘_여대림呂大臨 104
23. 장역의 좌우명座右銘_장역張繹 108
24. 마음을 경계하다心箴_범준范浚 112
25. 잃어버린 마음 되찾기求放心齋銘_주희朱熹 114
26. 덕성을 높이기尊德性齋銘_주희朱熹 116
27. 도에 뜻을 두다志道齋銘_주희朱熹 118
28. 덕에 근거하다據德齋銘_주희朱熹 119
29. 인에 의지하다依仁齋銘_주희朱熹 120
30. 예술에 노닐다游藝齋銘_주희朱熹 121
31. 덕성을 숭상하다崇德齋銘_주희朱熹 122
32. 사업을 넓히다廣業齋銘_주희朱熹 123
33. 인에 머물다居仁齋銘_주희朱熹 124
34. 의를 따르다由義齋銘_주희朱熹 125
35. 옛것을 배우다學古齋銘_주희朱熹 126
36. 역의 몽괘를 음미하다蒙齋銘_진덕수眞德秀 129
37. 경과 의를 함께 중시해야 한다敬義齋銘_진덕수眞德秀 135
38. 장식의 공경하라敬齋銘_장식張栻 140
39. 마음이 하나 됨을 주로하다主一齋銘_장식張栻 147
40. 글자를 쓸 때의 마음가짐書字銘_주희朱熹 150
41. 자신의 금琴에 새기다紫陽琴銘_주희朱熹 152
42. 창에 새기다窓銘_주희朱熹 153
43. 초상화에 쓰다寫照銘_주희朱熹 155
44. 주희의 공경하라敬齋箴_주희朱熹 156
45. 숨 쉬는 것에 관하여調息箴_주희朱熹 161
46. 역易을 배울 때 경계할 것에 관하여警學贊_주희朱熹 163
47. 역易의 복괘를 찬양하다復卦贊_주희朱熹 167
48. 역易의 복괘의 뜻을 찬양하다復卦義贊_장식張栻 170
49. 마음이 하나되게 하라主一箴_장식張栻 173
50. 심경을 찬양하다心經贊_진덕수眞德秀 176
51. 사물四勿을 경계하다勿齋箴_진덕수眞德秀 185
52. 진실하고자 생각하다思誠齋箴_진덕수眞德秀 190
53. 밤잠으로 양심을 기르다夜氣箴_진덕수眞德秀 196
54. 오징의 공경하라敬銘_오징吳澄 202
55. 온화하라和銘_오징吳澄 206
56. 자신을 새롭게 하라自新銘_오징吳澄 209
57. 자신을 수양하라自修銘_오징吳澄 214
58. 욕심을 줄여라消人欲銘_오징吳澄 218
59. 천리 가꾸기長天理銘_오징吳澄 222
60. 자신을 극복하라克己銘_오징吳澄 226
61. 진리는 하나이다理一箴_오징吳澄 231
62. 새벽부터 밤늦게까지夙興夜寐箴_진백陳柏 247
63. 은은히 드러나는 군자의 덕이여絅齋銘_진덕수眞德秀 253
64. 독서루에 새기다讀書樓銘_장식張栻 257
65. 규헌에 있는 돌에 새기다葵軒石銘_장식張栻 262
66. 전심각에 새기다傳心閣銘_장식張栻 264
67. 자신을 잘 돌아보라顧齋銘_장식張栻 269
68. 노둔하라魯齋箴_하기何基 272
69. 하루하루를 아껴라愛日箴_왕백王柏 279
70. 빈 배처럼虛舟銘_진덕수眞德秀 284
고경중마방발古鏡重磨方跋_정구/287
부록_지은이 소개/289
찾아보기/297
번역자 소개/299
접기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9년 11월 1일 학술 새책
저자 및 역자소개
이황 (엮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1501년 11월 25일 안동 예안현 온계리에서 진사 이식(李埴)과 박씨 부인의 7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6세에 이웃 노인에게서 ≪천자문(千字文)≫과 ≪동몽선습(童蒙先習)≫, ≪명심보감(明心寶鑑)≫, ≪소학(小學)≫ 등을 배웠고 12세에는 숙부 송재공(松齋公) 이우(李?)에게 ≪논어(論語)≫를 배웠다. 15세에 게[蟹]를 보고 <부석천사자유가(負石穿沙自由家)> 등의 시를 지었고 20세에는 ≪주역(周易)≫을 탐독했다.
21세에 서울로 올라와 성균관에 유학한다. 27세에 경상도 향시에 2위로 합... 더보기
최근작 : <사단칠정을 논하다>,<김정희 외 4인의 한시 24수>,<[큰글씨책] 퇴계선집> … 총 63종 (모두보기)
이광호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동서철학을 배우고, 민족문화추진회 한학연수과정과 한국고등교육재단 태동고전연구소 한학연수과정을 수료했다. 《주자의 격물치지설에 관한 고찰》로 석사학위를, 《이퇴계 학문론의 체용적 구조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림대학교 철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퇴직했다. 서암학술(SBS) 재단 해외파견교수로 선발되어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방문교수가 되었고, 절강대학교 한국연구소 초빙교수를 지냈다. 태동고전연구소 소장,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부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한국동양철학회 회장, 국제퇴계... 더보기
최근작 : <퇴계의 길에서 길을 묻다>,<다산학 공부>,<고전 강연 3> … 총 32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국제퇴계학연구회 소개
국제퇴계학연구회(회장 이광호, 前연세대 교수)는 2015년부터 퇴계학연구원에서 이루어진 고전강독모임(古鏡重磨方, 연구자와 일반인 약 20명)을 모태로 하여 2016년 11월에 퇴계학의 세계화·현대화·대중화를 위하여 창립되었으며, 2017년 8회, 2018년 4회, 2019년 2회 학술논문 발표를 하였고 제10회(2018년 6월) 때는 〈퇴계학과 율곡학의 소통과 융합〉이라는 주제로 공동학술회의를 하였으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동양고전을 강독하고 번역(출판)하려고 한다.
역자소개
이광호(국제퇴계학회 회장)
강경현(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강희복(연세대 철학연구소 연구원)
나대용(동인문화원 원장)
박지현(삼육대학교 강사)
이영자(소소재 학당 원장)
이치억(충남역사문화연구원 수석연구원)
황상희(성균관대학교 강사)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1)
읽고 있어요 (0)
읽었어요 (1)
구매자 (1)
전체 (1)
공감순
제목에 이끌려 저도 좋은 글로 마음을 닦으려고 구매했답니다. 그런데 받고 보니 옛 서당에서 글 읽듯 따라 읽을 수 있도록 내용이 잘 되어있어요. 글의 풀이가 첫째로 쓰여있고 그 아래로 한자 원문과 따라 읽을 수 있는 음이 함께 쓰여있습니다.
뜻을 새겨가며 낭독하면 마음이 밝아집니다.
youngjoon 2020-08-0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