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29

[신학의 정의]기독교 신학이란 무엇인가? : 네이버 블로그

[신학의 정의]기독교 신학이란 무엇인가? : 네이버 블로그 
[신학의 정의]기독교 신학이란 무엇인가?

2014. 12. 22. 


‘신학’의 사전적 의미는 “신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기독교 신학은 다른 종교 신학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일반 종교에서 신은 스스로 어떠한 말을 하여 인간에게 계시하는 것이 아니라 구별된 행위나 인간들의 제의를 통해 나타난다. 또한 사회와 개인의 삶을 지도하는 의도로 만든 율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으며, 계시의 말씀은 종교의 구성요소도 아니다. 그러나 기독교는 다른 종교와는 달리 인간에게 전혀 알려지지 않은 신이 아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경험한 역사 속에서 자기를 소개함으로(cf. 창 15:7; 출 20:2; 신 5:6시 81:10; 호 12:9; 13:4) 이스라엘(또는 개인)과 인격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다.

더 나아가 그 하나님은 인간 세계에 오셔서 자신을 드러내시고, 인간들의 죄를 위하여 자기 아들을 희생시키기 까지 인간들을 사랑하는 신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기독교 신학은 하나님이 스스로 계시한 것을 인간이 체계적으로 묵상하고 추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기독교 신학은 하나님의 모든 것을 알려고 하는 시도가 아니라, 하나님의 계시를 연구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계시는 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것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에 지켜야할 지침을 준다. 때문에 기독교의 신학은 필연적으로 하나님을 위하여, 인간을 향하여 시행되어야 한다. 

기독교 신학은 크게 성서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의 4개의 분과로 나뉜다.

 

성서신학

‘성서신학’이라는 말은 1787년 요한 필립 가블러(Johann Philipp Gabler)에서 처음 사용된 말이다. 가블러는 성서신학과 조직신학을 서로 구분하는 가운데, “교리가 주석에 종속되어야 하지, 역으로 주석이 교리에 종속되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성서신학은 나머지 3개의 분과의 기초 및 근거이며 지침이 된다. 우리는 성서신학을 통해 하나님의 계시의 역사성을 확인하며, 이스라엘의 역사와 당신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가운데 자신을 계시한 하나님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성서의 문학적 이해는 하나님의 계시가 인간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오늘날 우리는 교리적 이데올로기 팽배한 시대에 살고 있다. 성서는 이러한 이데올로기에 이용되어서는 안되며, 오직 그 자체의 기초하여 바로 설 때, 궁극적으로 하나님과 인간에게 봉사할 수 있다.

 

조직신학

조직신학이란 다양한 신학 이론들을 하나의 체계로 통일하려는 목적을 가진 기독교신학의 한 분과를 의미한다. 또는 기독교 신앙의 여러 가지 교리를 조직적으로 제시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신학의 근원은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다. 하나님은 성경을 통해서 스스로 드러내셨으며,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이신 성경을 통해 여러 가지 신학의 체계를 세웠다.

성경을 통해 파생된 여러 가지 종교가 있지만 우리는 참 신앙이 교회(기독교)안에 있다고 믿으며, 교회 안에서 조직신학의 근원을 찾는다. 하나님이 주신 우주적 세계에는 시스템(system)이 반드시 존재하며, 우리는 조직신학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기독교 신앙의 체계를 세운다. 우리는 이에 근거해 실천신학을 시작할 수 있다.

조직신학의 최종 목적은 복음전파에 있다. 즉 참 하나님께 돌아오게 하는 일이다. 조직신학은 우리가 갖고 있는 신앙을 정리하고, 신학의 내면을 기술하며, 개인과 사회에게 대답하는 것이다. 조직신학은 신앙의 학문이며, 인간의 이성에 설명되어 질 수 있도록 전개하는 학문이다. 즉, 조직신학은 신앙보다는 좀 더 객관성을 갖는다. 조직신학의 의무는 지금 이 시대, 이 자리에서 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직신학은 교회 신앙의 대한 물음에 답해야 하며 세상 문제에 대한 물음에 답해야 한다. 그러므로 조직신학은 항상 변증적이어야 한다.

 

실천신학

실천신학은 성서 속에 인간에게 보여준 하나님의 행위에 관한 해석과 현대 상황에 대한 해석 사이의 상호 비판적 연관성을 구체화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실천신학이란 복음과 상황에서 믿음과 실천을 시행하는 신학적인 삶, 그 자체이다. 실천신학의 과제는 우리들의 실천이 하나님의 말씀에 기초했는지, 안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역사신학

역사신학이란 1차적으로 성서 속에 나타난 개인과 공동체의 신앙, 교리의 기원과 발전에 대하여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즉 성서 속에 나타난 인간의 행위들을 통해 반성 혹은 교훈을 얻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역사신학의 독특성은 성서 안의 역사에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성서 안의 역사를 기초로 교회가 태동되고부터 현대의 교회에 이르기까지의 교회의 역사, 신앙고백, 교리, 신학을 역사적으로 연구한다. 우리는 간혹 성서 안의 역사와 성서 이후의 교회 역사를 (지나친 이해력을 가지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거나 (현대의 제한된 시각으로)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자세는 역사신학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