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29

신학 - 위키백과, 神学

신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학(神學, 영어theology 띠올러지[*])은 전통적으로 하나님(, The Divine, The God) 그 자체를 정경이나 이성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연구하거나 신과 관련된 교리와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서방 기독교에서 쓰이는 신학이라는 낱말은 테오스(고대 그리스어θεός→신)에 로고스(고대 그리스어λόγος→학문, 말)가 결합된 단어이다. 한국어에서 특별한 수식어 없이 신학이라는 낱말을 쓸 때는 일반적으로 기독교 신학을 가리킨다. 단어 의미로는 종교적 초월자로서 신 개념이 존재하는 모든 종교에서 다루는 신에 관한 학문을 신학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종교로는 기독교유대교이슬람교조로아스터교힌두교시크교바하이교 등이 있다.

기독교 신학[편집]

신학은 신을 뜻하는 "Θεο(theo)"와 학문을 뜻하는 "λογία(logy)"의 합성어로서 용어 그대로 기독교의 신과 율법, 교리에 대한 모든 연구이며, 좁은 의미로서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연구를 의미한다. 기독교의 성장과 함께 2-3세기부터 학문으로서 틀을 갖추기 시작하여, 중세시대에 유럽인의 관점에서 기독교의 신과 관련된 일체 문제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신학이라는 용어는 원칙적으로 기독교 신학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대개 기독교 신학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학문체계에서의 신학 역시 흔히 기독교 신학을 가리킨다[1]. 교파에 따라 개신교 신학, 로마 가톨릭 신학, 정교회 신학, 성공회 신학 등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기독교 신학은 좀더 세밀하게 분류가 된다. 구약신학, 신약신학, 조직신학역사신학실천신학, 선교신학, 기독교 상담학 등으로 나뉜다.

유대교 신학[편집]

유대교에서는 역사적으로 전문 학문 기관보다는 유대교 공동체 중심으로 유대교 신학의 발달이 이루어져 왔다. 유대교 신학이 기독교 신학이나 이슬람 신학에 미친 영향은 적지 않다.[출처 필요] 그러나, 기독교 신학에 대응될 만한 유대교 신학은 주로 할라카와 미드라쉬에 대한 랍비들의 논의와 주석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슬람교 신학[편집]

이슬람교에서 기독교의 신학에 견줄 만한 학문적 논의를 가리키는 용어는 "칼람"(Kalam)이다. 그러나 이슬람교에서 칼람은 기독교에서 신학이 차지하는 위치에 비해 그 역할이 작은 편이다. 일부 이슬람 신학자들은 기독교 신학의 발달에 특기할 만한 영향을 미쳤다.[출처 필요]

힌두교 신학[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 안명준, 한눈에 보는 성경조직신학 (서울:기쁜날, 2014)

각주[편집]

  1.  “신학”.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201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21일에 확인함학문체계에서의~
====

신학  神学 일어한역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신학 (신갈, 영어 : theology, 독일어 : Theologie, 라틴어 : theologia)은 신앙을 전제로 한 하나님을 비롯한 종교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는 학문이다.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객관적 으로 연구하는 종교학과 는 다르다.
신도 나 불교 에서는 교학 (쿄가쿠)이나 종학 (슈가쿠)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호교학 (고쿄가쿠)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주석 1] . 각 종교마다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신앙을 고찰하는 학문으로서 일반적인 신학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이해도 가능하다 [주석 2 ] . Theology의 어원은 그리스어 의 θεολογια. θεος (신)과 λογος (말)의 합성어. 「하나님에 대한 논의(학문)」라는 의미.

정의 편집 ]

현재 일본의 사상사 연구의 관례에서는 신학의 말로 기독교 신학 을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것은 다른 종교에서의 신학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타종교에서의 신학은 ' 이슬람교 신학' 등과 종교명을 씌우는 것이 보통이다. 신도에 있어서는, 마노 토시츠나「고금 신학류편」이라고 서명에 사용되는 것처럼, 에도 시대부터 사용되고 있는 말이지만, 현대의 신도에서는 「교학」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예: 「신사 본청교학연구소”). 불교에서는 「종학」이나 「교학」이 이용되고 있다.

방법론적 으로는 철학과 거의 동일하며, 철학의 부문시될 수도 있다. 그러나 신학은 이성 에 따라서는 연역 불가능한 신앙 의 유지 및 신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 것으로, 일체의 사상적 전제를 세우지 않는 이성의 학으로서의 철학과는 다르다는 견해가 일반적 이다 . 이러한 입장에 서는 사상가의 예로 토마스 아퀴나스 등을 들 수 있다.

또 예수 그리스도 에 대한 믿음을 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종교학과 도 다르다 [1] . 기독교학과 의 차이에 대해서는 대상은 변하지 않지만 접근 방식이 다르다는 의견과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는 의견이 있다.

덧붙여 특정 신학자 의 이름을 씌워서 「발트 신학」등이라고 하는 경우나, 어느 사상명을 씌워 그 사상과의 융합·발전을 의미하는 경우(예: 페미니스트 신학)도 있다 .

역사 편집 ]

교육 기관에서의 "교학" 편집 ]

대학 등의 교육기관 등에서는 ' 교육 '과 ' 학문 '을 합쳐 '교학'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이것은 구미의 기독교 신학 등과는 다른 것이다.

또 당시 문부성 에서도 1937년 에 교학국이 설치되어 있지만 종교적인 관점이 아니라 교육·학술 행정을 담당 하는 부국 이라는 의미이다 .

기독교 신학 편집 ]

각주 편집 ]

주석 편집 ]

  1. ^ 문맥에 따라서는 호교학이라는 말은 신학의 입장을 비판하는 의미를 담아 사용된다.
  2.  일부 기독교 대학의 신학부에서는 신자 이외의 입학도 인정하고 있으며, 신학부를 졸업한 불교 스님도 있다.

출처 편집 ]

  1. ^ 마스다 유우지편 「처음에」 「가톨릭 신학에의 초대」가미치 대학 출판, 2009년 4월 10일. 3 페이지.
  2.  브리타니카 국제대백과사전소항목사전 교학.

참고 문헌 편집 ]

  • 『기독교 신학 입문』 앨리스터·E. 맥그래스
  • 마스다 유우지편 「가톨릭 신학에의 초대」가미치 대학 출판, 제1판 제1쇄, 2009년 4월 10일. 304쪽. ISBN 978-4-324-08637-7 .

관련 항목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