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18

한중일 정원 공간형태의 특성 연구 : 다양한 사용자의 생활문화 중심으로

RISS 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


한중일 정원 공간형태의 특성 연구 : 다양한 사용자의 생활문화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6066480
저자
후핑리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 2022. 2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한국어

DDC
745 판사항(23)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garden spatial form in Korea, China and Japan : focusing on the lifestyle culture of diverse users

형태사항
xi, 265: 삽화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최경란
참고문헌 : p.

UCI식별코드
I804:11014-200000605111

소장기관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138

상세조회
151

다운로드
15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논문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정원 공간의 정신적 기능 특성에 대한 연구로 다양한 사용자가 유사한 동아시아 사상(유(儒), 불(佛), 도(道), 신(神)과 자연 철학 사상 포함)이 있다.

한중일 사상은 사용자의 생활공간 사용행태 유형에 따라 다양한 자연사상을 표현하는 방식을 택하고, 공간의 정신적 기능적 특징은 사용자의 사상과 생활, 취미를 반영하여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특화된 요소형태적 특성을 다양한 각도로 구성하고 있다.

한중일의 유사와 차이, 공간재료, 요소유형, 공간질서 표현, 물애, 실적, 유현, 식물의 흥망성쇠는 자연의 우주순환을 상징한다는 철학적 도리, 풍화된 자연천석, 산석과 실적의 미학이 보여주는 시공간의 환경, 질서, 축선, 중심성, 교통동선관념은 인간의 욕구기능을 주제로 한 인공질서를 표현한다.

유학과 신학의식, '하늘' '도' 관계, 유교 불교 도교의 세 가지 문화 형태, 유가의 교육교화 기능과 사회, 윤리와 민간신앙이 한중일의 동아시아 생활방식을 구성한다.한국이 주희를 받아들인 유학사상 사림학자의 형이상학문은 '이(理)' '기(氣)' 자연철학 사상을 둘러싼 형이하적 실천은 실학으로, 중국 유학은 공자·맹자를 핵심으로 한 '천인합일(天人合一)' '치중화(致中和)' 등 형이상적 자연철학 사상이 사용자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난다.

한중일 정원 공간 형태는 사용자의 지역 문화와 연관된다. 역사문화, 민간 신앙 및 사용자의 사회 신분 특징에서 구현되며, 사림(士林), 문인(文人), 무사의 세계관, 자연 사상, 심미 사상과 개인 취향이 정신적 욕구를 형성하여 서원(書院), 문인(文人) 정원, 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의 공간 배치, 경관 요소,시각적 화면과 정신적 사용 기능 등 형태 특성을 구성하였다. 이런 사용자의 문화 특성으로 15-17세기 한중일 지역 공간의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공간 형태는 사용자의 정신과 물질적 삶을 담고 있으며,전통공간을 비교 분석하는 목적은 사회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공간 형태에 대한 영향이며,현대의 새로운 생활의 공간욕구 방향에 대한 탐색이다. 한중일의 서원, 문인정원,가레산스이 정원은 공간 사상과 정원 형태에서 객관적 차이가 두드러진다.

서적,문헌,회화 자료를 바탕으로 한중일 사용자 생활과 관련된 사례 3개씩 총 9개의 공간을 선정해 사용자 유형의 정원 공간 사용 행태를 자세히 그려 분석한다.
정원 사용자의 공간 사용 유형은 사상 유형, 생활 유형, 취향 유형이다. 문헌 조사 연구는 사용자 행위, 공간 배경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한중일 분석 연구와 고대 회화(繪畵) 자료에 대한 연구로 사용자 생활방식을 찾고, 공간 현장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추(Analogy)’라는 인지모델과 이론을 사용해 정원공간 내 사용자와 공간유형의 유사성과 차이의 특성관계를 분석 연구한다.유추의 주요 기능에는 이미 알고 있는 유추 내원의 개념 액세스, 이미 알고 있는 유추 내원을 목적물과 비교, 유추물 및 목적물간의 매칭 접합도 평가, 나의 액세스 유추물과 목적물간의 추론, 유추물과 목적물간의 공통성과 차별성 추출이 있다.

연구결과로 보면 사용자 사상은 서원,문인정원,가레산스이 정원 공간유형을 형성하면서 사용자의 생활습관과 풍속,개인적 취향 등이 공간의 차이를 이루고,또 사회계층과 구조의 변화가 새로운 생활방식을 가져오고 생활방식의 변화가 삶의 사용방법에 영향을 미쳐 공간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사한 사상 배경, 상이한 생활 방식과 상이한 사용자 정신적 기능에 대한 욕구에서 서원(書院), 문인(文人) 정원, 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 유형의 형태가 나타났다.본 논문이 공간 문화 차이 특징에 대한 연구를 형성하였으며, 공간 문화 특성의 구성요소를 발생하여 공간의 정신적 기능의 디자인 구성 요소의 가상을 제출하였다.

서원(書院), 문인(文人) 정원, 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 공간의 4개 요소인 공간, 공간 배치, 경관 요소, 시각적 화면의 사용 기능에 대한 분석 연구 결과, 
한중일 각이한 유형의 정원 공간이 모두 공동한 정신적 기능이 있고, 정원 공간 내에서 사용자는 보편적으로 유사한 유불도(儒佛道) 사상이 있어 문화적 심리의 “은(隱)” “일(逸)” “의(義)” “리(理)”가 거주 생활 기능에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사림(士林), 문인(文人), 무사의 자아 정신의 실현이기도 하다. 

동시에 유정(幽靜)한 산수(山水) 경관에서의 생활방식에 대한 사용 욕구에서도 반영된다. 사림(士林)이 산림에 은거하여 “자연과 즐긴다”의 공간 행위는 우주 자연 본원과 인간 간의 관계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다. 

문인(文人) “도시 은거”의 은퇴는 도시에서 산거(山居)하는 유토피아식의 전원 생활에 대한 추구이고, 
무사가 정신적 생활을 선수(禪修)하는 것은 “생사일여(生死一如)” “검산일여(剑禪一如)”의 마음속에서 질리를 추구하고 각오하는 정신을 구현한다. 

한중일 정원 공간 형태는 상이한 사용자의 사상에서 생겨나는 공간 유형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여 사용자의 사용 방식에 따라 정원 공간 형태의 특성을 형성하였다. 전통적인 생활방식과 현대 도시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개인 취향, 사회 교류, 자연 체험 등 생활 행위에 대한 욕구는 자연적인 지속성이 존재한다. 한중일 3국 전통적인 사용자 생활방식과 공간 형태 특징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사상, 생활, 취미 행위 유형과 생활방식에 영향주는 공간 형태를 제출하였다. 이상적인 생활방식 디자인 구조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aper aim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life and cul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in which the space usage mode and architecture space configurati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gardens were compared focusing on the users life and conception through the analysis on the features of space usage mode and space configuration of classical academies, literati gardens and Japanese rock gardens. It can be know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thoughts and space forms reflected the East Asian though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gional folk custom and life cul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Amid the cases in this study, the user’s life culture was affected by the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and regional life culture. As is known, the East Asian thoughts originated from hundreds of philosophical thoughts in ancient China.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the ideological basis of similarity among China, Korea and Japan has a long-term impact on users social values and spatial life cognition. In the Middle Ages, Korea, China and Japan blended local culture and foreign thoughts together, thus the main life culture thoughts of three countries under the change of their own society, namely, Neo-Confucianism, Confucian humanism and Buddhism, were formed. Owing to different user’s thoughts,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demand were varied. Therefore, the garden living space forms of classical academies, literati gardens and Japanese rock gardens with different functions were developed. In the 15th–17th century, the social environment of Second Literati Purge, factional struggle between bureaucratic groups and samurais’ war in Korea, China and Japan affected the space lifestyle of users. During this period, ancient intellects who wanted seclusion lived in mountain forests from the city center for learning and education, and scholars retired to the urban pastoral life, during which Zen Buddhism and Samurai Thought merged together and people began to pursue the life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ir inner essential spirit. Besides, the thoughts of diverse users also made the types and spatial elements of classical academies, literati gardens and Japanese rock gardens form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use, the spatial forms of traditional classical academies, literati gardens and Japanese rock gardens were understood, compared and studied, and an analog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patial life behaviors, usage modes and usage types of diverse users. Under the background of similar East Asian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natural concepts, different users thoughts, behaviors and lifestyles presented different needs of garden types, as well as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garden space elements and life cultur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Korean, Chinese and Japanese users in space use ideas and garden forms. Therefore, analyzing the behavior demand characteristics of users for traditional garden space is also the significance of studying the inherent and uniqu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space culture design. The space form involv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ra. The cases like classical academy, literati gardens and Japanese rock gardens are unique living and cultural space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are also regarded as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These cultural forces, which are hidden in the way of life and widely used, have gone beyond the functional scope of use and become the driving force of social innovation. Since ancient intellects, literati and samurais in the cases were the main social strata in the 15th–17th century, th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ere taken as a common basis for comparison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thoughts, usage and spatial forms of different types of users in the garden space by combining with regional culture, lifestyle and philosophical values. In terms of space though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concluded: among Korean scholars, the natural philosophy of “reason” and “spirit” and the order of life style under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were shown,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propriety” and “true character” was reflected in their use behavior. In China, the spirit of Chinese literati came from Confucian classics, history, literary aesthetics and Taoist natural attitude towards life, which shows the importance of “morality” and “art” in life behavior. From the aspect of Japanese samurai,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native deity thought and foreign religion and life culture thought were shown, and samurai’s spiritual life highlighted the inner nature. Above elements composed the space demand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had a direct correspondence with the space use types of the educational learning space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lassical academies, the living space of scholars’ families, and the living space in monasteries. In addition to these, the study also focuses on the significance of studying the lifestyle of living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e users.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behavior of space users not only reflected the space Neo-Confucianism, Confucian humanism, Buddhism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gardens, but also reflected the specific design elements of the garden space form demand by the types of space use thoughts, life types and interest type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users space usage, space types and element forms constitute the garden forms of academy education, literati life and belief life. Changes in social class and structure will bring new lifestyles, and changes in lifestyles will also affect the use of life and change the spatial form. Therefore, the research on the change of users spatial behavior provided a reference and a new perspective for the design of users use demand and spatial form.
Conclusion: Through the analogy analysis on the spatial form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lassical academies, literati garden and Japanese rock gardens, the analysis on users spatial use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forms, the natural and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users ideology and culture and spatial forms can be obtained, thereby the research methods for the features of garden space usage and spatial form elements, and for the spatial form design feature elements were developed. Similar ideological background, different regional lifestyles and different users demands for spatial thought function have produced the types and usage modes of classical academies, literati gardens and Japanese rock gardens. Through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cultural differences, the element features of space life culture were learned, and the elements for functional design features of space spirit in Korea, China and Japan were put forwar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user’s hidd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pace percep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traditional culture inheritance were analyzed. Besides, the use type of space forme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demand elements, the use thought reflected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the life type showed the regional life culture, and the interest type made the inherent differences of individual perception clear, which forms the demand difference tendency of users for space as a whole under the influence of regional life style.
In Korea, the spatial characteristics reflected the overall order, and the outward tendency of using culture. Under the guidance of social system features, the overall system of the users can be reflected in their thoughts. As a result, social features, lifestyles, individuals and collectives were in the overall system, and spatial forms were realized through users.
The diversity in China’s spatial characteristics is not only reflected in the appearance differences and shape features, but also refers to the extended influence of thought, forming invisible and unique cultural marks. Spatial characteristics showed the user’s behavior, and thoughts led to the characteristics of usage. It was know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usage types have a direct impact on space, which is convertible accordingly and appreciable, and also indicates the cognitive law of individualist, collective sprit and anatman to natur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space life shows the independent space form,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the tendency of users to use space freely. The consistency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inward orientation of users form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inheritan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1.1 논문 챕터 구조 관계 5
1.1.2 한중일 선행 연구 9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9
1.2.1 연구 범위와 대상 19
1.3 연구 진행 구조 21

제 2 장 한중일 정원 공간 생활문화 특정 22
2.1 한중일 다양한 사상문화 23
2.1.1 한국 성리학 사상 23
2.1.2 중국 인문 사상 28
2.1.3 일본 종교 신앙 사상 32
2.2 한중일 사용자 생활문화 39
2.2.1 성리학에 기초한 생활문화적 특징 39
2.2.2 '문덕(文德) '에 기초한 생활문화적 특징 45
2.2.3 선종 사상에 기초한 생활문화적 특징 51
2.3 한중일 정원 생활공간 특징 57
2.3.1 한국 서원 공간 특징 57
2.3.2 쑤저우 고전원림 공간 특징 67
2.3.3 교토 신사·사원 공간 특징 74
2.4 한중일 정원 공간 사상과 생활문화 특성 82
2.4.1 공간 사상 특징 83
2.4.2 생활방시 문화 특징 84
2.4.3 정원 공간 특징 85
2.4.4 한중일 정원공간 사용자의 사상와 생활문화 특성 87

제 3 장 정원 공간과 사용자 행위의 특정한 비교 92
3.1 한중일 정원공간 내 사용방식과 공간형태 특성 93
3.1.1 한국 사례 93
3.1.2 중국 사례 108
3.1.3 일본 사례 134
3.2 정원 공간 내 사용 방식 유형 분석 158
3.2.1 한국 사례 사용 방식 158
3.2.2 중국 사례 사용 방식 165
3.2.3 일본 사례 사용 방식 174
3.3 한중일 정원 사용 방식 비교 183
3.3.1 한중일 정원 공간내의 사용방식 유형 분석 183
3.3.2 한중일 사상과 공간 요소 분석 186
3.3.3 한중일 정원 공간 형태 차이 특징 188
3.4 한중일 사용 유형와 공간 형태 요소 특성 194

제 4 장 15-17세기 한중일 정원 공간의 디자인 특성 분석 196
4.1 서원·문인정원·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 공간 형태 요소 198
4.1.1 공간 배치 199
4.1.2 경관 원소 202
4.1.3 시각 화면 205
4.1.4 사상기능 208
4.1.5 정원 시각 공간 특징 요소 211
4.2 한중일 정원 공간 사용 방식 분석 213
4.2.1 사용자 공간 사용 유형 특성 213
4.2.2 생활 문화과 사용자 행위 관계 217
4.2.3 공간 사용자 사용 방식 유형 분석 219
4.2.4 한중일 공간 사용 방식의 특성 비교 226
4.3 사용 방식과 공간 형태 디자인 특성 연구 229
4.3.1 사용자 사상 및 정원 공간형태 관계 229
4.3.2 공간사상의 특징 유형 236
4.3.3 자연 사상와 공간형태 특성 요소 240
4.4 한중일 사용자 행위과 공간형태 디자인 특성 241
4.4.1 정원 공간 형태 요소 분석 241
4.4.2 한중일 정원 공간 디자인 특성 243

제 5 장 결론 248
5.1 한중일 정원 공간 자연 사상, 생활문화 특성 249
5.1.1 공간 기능 형성 요인 250
5.1.2 공간 사용자의 사상 특성 251
5.2 한중일 사용유형과 공간형태 요소 특성 252
5.3 한중일 사용자 행위과 공간형태 디자인 특성 253
5.4 사용자 사상문화와 공간형태의 유기적 관계 25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