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6

헤시카즘 - 나무위키

헤시카즘 - 나무위키

헤시카즘

최근 수정 시각: 
1. 개요

1. 개요[편집]

Hesychasm
ἡσυχασμός

헤시카즘위키백과 w 아이콘(이시하즈모스)이란 동방 기독교, 특히 정교회권의 영성 전통을 가리킨다. 그 어원은 그리스어로 고요, 정적 등을 뜻하는 ἡσυχία(이시히아). 헤시카즘의 전통은 3세기 북아프리카에서 은둔하며 수도 생활을 실천하던 사막의 교부들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도 매듭 문서도 참고.

환경, 호흡법 등을 통해 외면과 내면을 평온하게 한 상태로 기도와 묵상을 거듭하여 궁극적으로는 신과의 합일에 이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로마 제국 후반에는 그리스 북부의 아토스 산에서 수행하는 수사들에 의해 행해졌으며, 묵상을 통해 신이 내뿜는 빛을 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세계사에서 헤시카즘을 말할 때는 동로마 제국 말기의 헤시카즘 논쟁을 가리킬 경우가 많다. 14세기의 동로마 제국에서 헤시카즘은 큰 논쟁거리가 되었다. 이탈리아 반도 남부 칼라브리아 출신으로 스콜라 철학의 영향을 받은 수사 발람은 예수 기도위키백과 w 아이콘와 같은 헤시카즘의 신비주의적인 접근을 규탄하고 이단이라고 비난하였다. 또한 헤시카스트들의 대표인 그리고리오스 팔라마스위키백과 w 아이콘는 하느님의 본질(우시아)와 활동(에네르기아)를 구분하여 헤시카즘을 통해 하느님의 우시아는 이해할 수 없지만 에네르기아는 경험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우시아와 에네르기아가 구분된다는 설명은 토마스 아퀴나스를 비롯한 서방 스콜라 신학자들의 관점과는 배치되는 것이었다.

헤시카즘 논쟁은 초기에는 교리 논쟁으로 출발했던 것이, 당대에 벌어지던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와 섭정 요안니스 칸타쿠지노스 사이의 내전이 맞물리면서 정치 싸움으로 번졌던 것이다. 팔레올로고스 왕조를 지지하던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요안니스 14세는 헤시카즘 반대파였기 때문에 제국 내에서 헤시카즘이 잠시 이단으로 단죄된 적도 있었지만, 이윽고 요안니스 칸타쿠지노스가 요안니스 6세로 황제로 즉위하면서 헤시카즘 반대파는 구심점을 잃게 된다. 물론 이러한 치열한 종교적, 정치적 내전은 가뜩이나 기울어가는 제국의 국력을 소모했다.

그 후 1351년 제5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통해 정통 신앙으로 인정받았다. 이러한 움직임에는 서방 라틴 신학에 맞서 동방 신학을 지키려는 가톨릭 세력과의 역학관계도 작용했다. 어쨌든 요안니스 6세가 퇴위당하고 팔레올로고스 왕조가 정권을 잡은 후에도 헤시카즘은 정교회의 전통으로 계속 존속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으며, 오늘날에는 가톨릭을 비롯한 서방 교회에서도 이러한 동방 교회의 영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헤시카즘의 대표적인 문서로는 필로칼리아위키백과 w 아이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