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31

"We need a metaphysical pandemic" — Universität Bonn

"We need a metaphysical pandemic" — Universität Bonn



Date: Mar 26, 2020

"We need a metaphysical pandemic"Signs of life: Philosopher Markus Gabriel speaks up in difficult times

— filed under: 
With the call for a metaphysical pandemic, a gathering of the peoples, the philosophy professor Markus Gabriel from the home office speaks up. Read in our new series " Signs of life – Keeping up the conversation!" what the well-known Bonn scholar, thinker and author has to say in the face of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Text: Prof. Dr. Markus Gabriel
 
The global order has been shaken. A virus, invisible to the eye and of yet unknown magni-tude, is spreading. How many people have been infected with the coronavirus, how many people might still die and when will we have developed a vaccine—these and many other questions remain unanswered. Just like the question of how the radical action currently tak-en around Europe will impact our economies and democracies.
 
The coronavirus is not just another infectious disease but a virus pandemic. The word “pan-demic” derives from the Greek words pan (all) and demos (people), and it is indeed all peo-ple who are affected by it to the same extent. Yet we seem oblivious to this truth, thinking that a reasonable answer is to restrain people within borders. Why would the virus care that the border between Germany and France has been closed? Why has Spain become some-thing to shun in our efforts to contain the virus? The answer you will get is: because health systems are national matters and each state must take care of its sick within its respective borders. While this is true, it is also the core problem. The pandemic affects all people. It shows that we are all connected by that invisible bond of being human. All people are equal before the virus. Indeed, it is only before the virus that people are once more becoming hu-mans, i.e. members of a certain animal species that happen to be good hosts for the replica-tion of an often deadly virus.
 
Generally speaking, viruses are an unsolved metaphysical problem. Nobody knows whether they are aliv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we are still lacking a clear definition of life. In fact, nobody knows where life really begins. Is it enough to have DNA and RNA or do we need cells with the ability to multiply autonomously? The truth is: we do not know, just like we do not know whether plants, insects or even our own livers are conscious beings. The Earth’s ecosystem might still turn out to be one giant living organism. Is the coronavirus a planetary immune response against human hubris leading to the destruction of countless creatures simply out of greed for profit?
 
The coronavirus is revealing the systemic weaknesses of the 21st century’s dominant ideology. These include the misbelief that we can drive human and moral progress through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ogress alone, which in turn leads us to believe that scientific experts can solve universal social problems. The coronavirus is to prove this point, plain for all to see. This will, however, turn out to be a dangerous misconception. Yes, we do need to consult virologists. It is only them who can help understand and contain the virus and save human lives. But who will listen when they tell us that every year, more than two hundred thousand children die from diarrhea caused by viruses caught from dirty water? Why does nobody care about these children? Sadly, the answer is quite simple: because these children do not live in Germany, Spain, France or Italy. This, of course, is note entirely true either. They live in European refugee camps, after fleeing from unjust situations that we as con-sumers are partly to blame for.
 
There is no real progress without moral progress. This is the lesson the pandemic teaches us, with racist prejudice being revealed everywhere. Trump does his best to paint the virus a Chinese problem; Boris Johnson takes the UK down a social-Darwinist path, trying to solve the problem by building up eugenic herd immunity. Many people in Germany be-lieve their health system to be superior to its Italian counterpart, trusting that Germany will somehow do better in handling the crisis. These are dangerous stereotypes coupled with foolish prejudice.
 
We are all in the same boat. This is hardly news. The 21st century in itself is a pan-demic, the result of globalization. All the virus does is reveal what has already been there: our need for an entirely new understanding of global awareness. Peter Sloterdijk provides us with a suitable term: instead of communism, we need co-immunism. This means that we must vaccine against intellectual poison dividing us into national cultures, races, age groups and classes competing with each other. Right now, Europeans are protecting their sick and elderly in an unprecedented effort of solidarity. To achieve this, we are locking in our chil-dren, closing our schools and creating a medical state of emergency. We are investing bil-lions to boost our economies. If we continue down the same route we were pursuing before the coronavirus outbreak, we will be facing even worse crises: more dangerous viruses, im-possible to prevent; a continued economic war with the USA currently fought by the Euro-pean Union; the spread of racism and nationalism aimed at people who seek refuge after we provided their executioners with weapons and the scientific knowledge to build chemical weapons. And let’s not forget about the climate crisis, which is worse than any virus because its result will be the gradual self-extinction of human life. The coronavirus has merely slowed this process down for a limited time. Before the coronavirus, the world order was not normal, it was lethal. Why can we not invest billions to change our mobility? Why can we not use the digital transformation to hold business meetings online instead of unnecessarily fly-ing all over the world in private jets? When will we finally understand that compared to our misbelief that we will be able to solve all modern-world problems with science and technol-ogy, the coronavirus is actually quite harmless?
 
This is a call to all of us, all human beings, not just Europeans: we need a new kind of awareness. Every human being must receive ethical training to be able to fully apprehend the enormous danger that lies in blindly following science and technology. Of course, fighting the virus with all means at hand is the right strategy for now. All of a sudden, we live solidarity and experience waves of morality. This is a good development. But at the same time, we must not forget that, within a few weeks, we have transitioned from a state of populist disdain for scientific expertise to what my friend from New York is calling a “science-obeying North Korea.” We must understand that the chains of infection of global capitalism, destroying our nature and dulling our national citizens‘ minds so that we become full-time tourists and consumers, will kill more people in the long run than any virus ever could. Why does a medical or virological finding yield solidarity while we widely ignore the philosophical conclusion that the only way out of suicidal globalization is a world order beyond an accumulation of competing national states driven by mindless and quantitative economic logic? After the virus pandemic, we will need a metaphysical pan-demic, a unification of all people under the all-embracing sky of which we will never be able to escape. We are, and will continue to be, part of this Earth. We are, and will continue to be, mortal and fragile. So let us become citizens of this Earth, cosmopolitans in a metaphysical pandemic. Everything else will be the end of us, and no virologist will be able to save us. 
 
 
Prof. Dr. Markus Gabriel 
 
Prof. Dr. Markus Gabriel holds the chair of epistemology, philosophy of modern times and the present at the University of Bonn. He heads the International Center for Philosophy NRW and the Center for Science and Thought. He became known as the founder of New Realism with books such as "Why the World Does Not Exist", "I Am Not Brain" and "The Sense of Thought". He is currently writing his new book entitled "Moral Progress in Dark Times" and, while in his home office, he is worried that he seems to be right about the title of his book.
 
 
Signs of life – Keeping up the conversation!
 
The Department of University Communication is publishing a series of online articles entitled: "Lebenszeichen - Wir bleiben im Gespräch!" (Signs of life – Keeping up the conversation!) with contributions from members the University of Bonn written under the impression of the fight against the coronavirus and the resulting conditions. The University of Bonn remains in the discourse this way even in difficult times and tries and strengthens the University community. Any University member wishing to contribute to this work should contact the Department of University Communication at kommunikation@uni-bonn.de.

한겨레 수행·치유 전문 웹진 - 휴심정 - 이제 멈추고 돌아봐야 할때다





한겨레 수행·치유 전문 웹진 - 휴심정 - 이제 멈추고 돌아봐야 할때다







이제 멈추고 돌아봐야 할때다

보내기



조현 2020. 03. 05

조회수 3831 추천수 0









‘우리는 너무도 바삐 살았습니다. 이제 잠시 멈추고, 고요한 시간을 가져봅니다/ 우리는 너무 혼자만 생각했습니다. 고통받고 아파하는 사람들을 생각해봅니다./ 우리는 너무 인간만 생각했습니다. 다른 생명과 자연,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우리는 너무 물질만 생각했습니다. 돈이 아니라 생명이 소중한 것임을 생각해봅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막기 위해 권장되는 2주간의 ‘자가격리’ 기간을 그냥 허비하지 말고 ‘멈추고 돌아보기’를 하자는 캠페인이 등장했다. 이번 사태로 값비싼 대가를 치른 만큼 잠시 멈추고 우리 삶을 근본적으로 점검해 전화위복이 되게 하자는 것이다. 제안자 유정길(60) 불교환경연대 운영위원장을 지난 4일 만나 왜 지금 ‘멈춤과 돌아봄’이 필요한지 들어봤다.



“이 사태는 우리가 서로 얼마나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뼈저리게 느끼게 한다. 바이러스를 매개로 한두 다리만 건너면 전 세계가 연결된다. 다른 나라 일이라고 안심할 수 없는 세상이다. 중국의 문제가 곧 세계의 문제가 됐다. 우리나라에서 31번 확진자로 인해 엄청 퍼졌다. 이는 한명의 선한 영향력도 엄청나게 클 수 있다는 반증이다.”



 그는 환경운동가다. 너와 나, 나와 세상이 둘이 아니므로 환경이 죽으면 나도 살 수 없다는 자타불이의 깨달음을 현실화해서 펼쳐가는 운동가다.





그는 27년간 정토회에서 에코붓다 대표 등을 지냈다. 또 수경 스님이 초기에 이끈 불교환경연대와 도법 스님이 주도하는 인드라망 생명공동체 둘 다 준비위원장을 해 탄생시켰다. 불교계의 3대 환경생명운동 단체가 모두 그를 거쳐 태어난 셈이다. 또 평화재단 초기 기획실장을 했고, 9·11 사태 이후엔 정토회에서 아프가니스탄에 파견돼 4년간 고도 3000m에서 봉사활동을 했다. 지금은 생산소비자협동조합 한살림 산하 모심과살림연구소 이사와 전국귀농본부 귀농정책연구소장도 맡고 있다.









 “우리는 너무 자신만 생각하며 살았다. 기후변화 위기가 심각해 지금 이대로 10년이 지나면 더는 돌이키기 어렵다 해도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바이러스도 기후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돼있다. 지구 위 400만~500만종의 바이러스 가운데 밝혀낸 것은 1%도 안 된다고 한다. 원래 인간과 야생동물 사이에 자연이란 완충공간이 있었는데 산림과 자연이 파괴되고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잠식당하면서 인간과 야생동물이 만나게 되어 인수공통전염병이 증가하고 있다. 항생제나 농약 때문에 바이러스 저항력도 강해지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시베리아와 남극 등 언 땅이 녹으면 수만 년 동안 갇혀있는 바이러스가 창궐하고 메탄이 발생해 온난화가 더욱 가속할 수 있다. 이런데도 더 빨리 성장해야만 하는가. 어디로 가는지가 분명해지는데도.”



 그는 그러면서 그가 대학 학생운동으로 1년간 옥살이를 하고 법륜 스님과 함께 정토회에서 사회운동을 벌이다가 1990년 사회주의 붕괴를 목도하면서, 3년 동안 근본부터 성찰했던 일화를 들려줬다.



 “당시 법륜 스님과 정토회 초기 멤버들이 ‘내 생각만이 옳다’는 것을 다 내려놓고 새로운 관점과 안목들을 공부해봤다. 해오던 운동을 다 접고 3년간 폐문 정진했다. 사회주의의 비효율성과 자본주의의 비인간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찾으면서 협동조합과 생태와 환경을 공부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자신만을 과신하면서 분노의 에너지까지 이용해 상대를 의식화시키고 변화시키는 기존 사회운동의 한계를 넘어서야 한다고 봤다. 변화는 남의 변화가 아니라 자신의 변화와 함께해야 한다고 본 것이다. 당시는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데 불교가 대안이 안 된다면 불교조차도 내려놓을 생각이었다. 그런데 불교는 자신을 변화시키는 노하우가 축적돼 있어 불교를 기반으로, 적어도 만일은 가보자는 만일결사를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이 무색하게 ‘코로나19’에도 근본을 돌아보자는 움직임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대신 경제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의 소리가 높다. “계속 치지 않으면 팽이가 쓰러진다고 한다. 그렇게 더 불안하게 하고 경쟁하고 소비하게 하는 게 자본주의 방식이다. 그래서 더 많이 소비하고 소유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힌다. 하지만 공유를 해보면 덜 소비하고 덜 소유해도 충분히 살 수 있다. 어려울수록 지역 커뮤니티에서 공유경제가 필요하다.”









 그는 늘 말에 그치지 않는다. 오는 6월에는 조계사에서 ‘거저의 축제’란 나눔 장터를 기획 중이다. 이를 전국 사찰로 확대해서 자기에겐 필요 없지만 남에게 필요할 수 있는 물건들을 나누는 공유행사를 확대해 갈 생각이다.



 그는 공유의 선구자다. 2014년엔 그가 사는 경기도 고양시 대화동에 지혜공유협동조합을 만들어 누구든지 지혜와 재능을 기부해 나눠주고, 이를 배우게 하고 있다. 유 위원장은 “불교계와 스님들이 세상변화에 관심이 없다고 비판만 하면 아무것도 안된다”며 “생각을 가지고 있어도 어떻게 할지 몰라 안 하고 있을 뿐”이라고 말한다. 그렇게 선의를 끌어내 지난해부터 35개 사찰을 녹색사찰로 등록시켜 환경운동 사찰로 변화시켰고, 2015년 150명에 불과하던 불교환경연대 후원회원도 500명으로 확대했다. 사무실 하나 없이 전전하던 불교환경연대 사무실 마련을 위해서도 동분서주했다. 평생 월급 한 번 받아본 적 없이 ‘환경운동’만 해왔으니 ‘무슨 재미로 살겠느냐’는 건 기우다.



중·고교 때 교회에서 어깨너머로 피아노를 배워 못 치는 곡이 없을 정도다. 클래식 기타와 클라리넷 등으로도 끼를 발휘한다. 그래서 그가 기획한 워크숍과 프로그램에선 즉흥 공연이 빠지지 않는다. 그가 있는 곳은 비장하기보다는 ‘기쁨의 운동판’이 된다. 그는 2009년 병을 치료하러 정토회를 잠시 떠난 것을 계기로 불교 엔지오 일을 하고 있지만 그의 아내 이지현 전 좋은벗들 사무국장은 정토회의 본부 격인 경북 문경 정토수련원에서 덕생법사로 활동하고 있다. 부부는 아이 없이 평생 수행을 하며 세상을 돕는 보살의 삶을 자청한 도반이다.



그는 “소유한 것이 거의 없지만 선의를 가진 사람들과 관계 속에서 행복하다”고 말한다. ‘멈추고 돌아보기’를 해보면 그렇게까지 불안해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그 말이 허언이 아니라는 듯 그의 얼굴이 누구보다 밝고 평화롭다.





관련글

불교공동체 세미나가 열린다

함께 사는 행복이 공동체 성패 좌우

자본주의에 맞설 불교의 힘은

법일스님이 암자로 들어간 까닭은

어두운 방안에서 느끼는 행복

The Virtual Body of Christ in a Suffering World: Thompson, Deanna A.: 9781501815188: Amazon.com: Books



The Virtual Body of Christ in a Suffering World: Thompson, Deanna A.: 9781501815188: Amazon.com: Books



We live in a wired world where 24/7 digital connectivity is increasingly the norm. Christian megachurch communities often embrace this reality wholeheartedly while more traditional churches often seem hesitant and overwhelmed by the need for an interactive website, a Facebook page and a twitter feed. This book accepts digital connectivity as our reality, but presents a vision of how faith communities can utilize technology to better be the body of Christ to those who are hurting while also helping followers of Christ think critically about the limits of our digital attachments.    

This book begins with a conversion story of a non-cell phone owning, non-Facebook using religion professor judgmental of the ability of digital tools to enhance relationships. A stage IV cancer diagnosis later, in the midst of being held up by virtual communities of support, a conversion occurs: this religion professor benefits in embodied ways from virtual sources and wants to convert others to the reality that the body of Christ can and does exist virtually and makes embodied difference in the lives of those who are hurting.
    
The book neither uncritically embraces nor rejects the constant digital connectivity present in our lives. Rather it calls on the church to a) recognize ways in which digital social networks already enact the virtual body of Christ; b) tap into and expand how Christ is being experienced virtually; c) embrace thoughtfully the material effects of our new augmented reality, and c) influence utilization of technology that minimizes distraction and maximizes attentiveness toward God and the world God loves.

Editorial Reviews

About the Author


Dr. Deanna A. Thompson is professor of Religion at Hamline University in St. Paul, Minnesota. She teaches classes in African American Studies, Women's Studies, and Social Justice. During her almost twenty years at Hamline, in addition to being awarded Faculty of the year by faculty and students, she has also received awards for her advising. She is a respected scholar in the study of Martin Luther and feminist theology. Thompson is also an active member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where she served for eight years on the Board of Directors, six years as Director of the Upper Midwest Region, and six years as co-chair of the Martin Luther and Global Lutheran Traditions Program Unit.


Product details

Paperback: 142 pages
Publisher: Abingdon Press (November 1, 2016)
Language: English
5 star 100%


Top Reviews

Craig L. Nessan

5.0 out of 5 stars Paying Attention to Virtual Relationships as Genuine Ministry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December 24, 2016

"The body of Christ has always communicated virtually from the times of the New Testament epistles to today's multiple means of virtual connectivity. Thompson is discerning in making her case for the value of these contemporary forms. She is fully aware of how online involvements can create dependency, be shallow, or even cause harm. Illness, however, was the occasion for her conversion from skepticism to critical appreciation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to extend neighborliness.

Thompson makes clear the indispensable value of embodied relationships. Nothing can replace face-to-face encounters with other persons. And where we already have 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se can be nurtured and deepened with the ongoing contact made possible over distance. Yet Thompson also testifies how messages from persons previously unknown to her established bonds of affection and care even though these relationships were only formed through virtual means. At their best e-communications can provide a deepening of relationships through thoughtfully composed mutual sharing.

Very balanced and compelling in her argument, Thompson would have us take the time to pay attention to one another at the heart of the matter."

Excerpt from review in Currents in Theology and Mission.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Lydia Christopher

5.0 out of 5 stars A touching, important, intelligent book that gives you tons to ponder.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4, 2017
Format: Kindle Edition
This is a touching, important, intelligent book that gives you tons to ponder. It would work for a church book group, a graduate theology class or a wine and cheese party with old friends. Whatever the setting it will give you plenty to laugh, cry and talk about. Deanna Thompson's last book HOPING FOR MORE is one of the best I have ever read about living with cancer, and this follow up does not disappoint, but enlarges the conversation. Stop surfing amazon and read this book instead!


HelpfulComment

2020/03/29

알라딘: 도교문화 15강



알라딘: 도교문화 15강

도교문화 15강 - 당신이 궁금해 하는 도교에 관한 모든 것
잔스촹 (지은이),안동준,런샤오리 (옮긴이)알마2011-08-15원제 : 道敎文化十五講




























































































































































35,000원

712쪽
152*223mm (A5신)
1282g
----

책소개

베이징대학의 교양강의 교재로 선정된 도교 정통 입문서. 

도교는 그저 없었던 것, 얼토당토않은 허무맹랑한 그 무엇이 아니다. 오늘날에 되살려야 하는 소중한 문화다. 이 책은 친근하고 담담한 어조로 수천 년에 걸친 도교의 온갖 방대한 지식을 망라한다. 또한 두 번의 과정을 거친 번역 작업도 믿음직스럽다.
한국에 유학을 온 중국인 학자 런샤오리가 한국어로 번역한 초역본을,
안동준 교수가 이어 받아 적확한 번역은 물론 충실한 감수를 통해 완역했다.

제대로 된 도교 입문서라고 할 만한 게 없는 국내 실정에서 <도교문화 15강>은 가뭄의 단비와 같다. 국내에서는 거의 처음으로 도교문화의 전반에 관해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 잔스촹은 방대한 도교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한편, 초심자들을 위해 까다롭고 복잡한 내용을 강의식으로 친근하게 설명했다. 주요 출처와 서지사항들을 꼼꼼히 갈무리했으며, 나아가 실용적인 도교 공부법(제5강)까지 안내한다.

-----------


목차


제1강 도교문화,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제2강 도교사상의 연원

제3강 도교 교단의 형성과 계파조직

제4강 은유로서의 신선신앙

제5강 도교경전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제6강 도교철학의 주제와 사유방법

제7강 생명사상과 도교윤리

제8강 자신을 고치고 남을 구제하는 도교의학

제9강 내 목숨은 내가 책임지는 양생사상

제10강 천년의 비결을 담은 도교수련법

제11강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부르는 도교법술

제12강 사람과 귀신을 소통시키는 코드, 도교 의례절차

제13강 신선의 세계를 노래하는 도교문학

제14강 자유분방한 삶을 꿈꾸는 도교예술

제15강 동천복지, 신선들이 사는 곳

--------------


책속에서

제1강 도교 문화,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도교사를 한눈으로 꿰뚫어볼 때, 불사不死에 대한 이해는 시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물론 어느 시대건 불사해 신선이 되는 것을 지상 최대의 목표로 삼았다는 점만은 의심할 여지가 없지요. 물론 도교에서 이르는 불사는 ‘육신의 영원한 존속’이라는 뜻으로만 말해진 게 아니었지만, 후대로 오면서 ‘정신의 영원한 존속’이라는 데 의미의 무게를 두었지요._36쪽

개인적인 의견을 보탠다면 도교문화 연구는 상상력과 창조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중략) 예컨대 어느 지방의 산수풍경이나 개인적으로 잘 아는 조용한 곳을 상상할 수도 있고, 변화막측한 신선의 모습이나 우주의 일월성신을 머릿속에 그려볼 수도 있습니다. 도교 존상법의 중요한 특징은 자아를 범속적인 생활 속에서 해방시켜 주의력을 이상세계로 향하게 하는 겁니다. 이때의 산수풍경이나 거처는 단순히 객체의 재현에 그치는 게 아니라 이상화된 것이지요. 따라서 존상의 과정은 상상력을 발휘하는 과정이자 동시에 이미지를 창조하는 과정입니다._47쪽 접기


제2강 도교사상의 연원

도교조직의 발전에 따라 도교는 역학의 응용과 표현에 대해서도 빈번하게 다뤘습니다. 총체적으로 보면 역학의 상수와 의리 이론은 이미 도교의 의례절차, 내단법, 부적 사용법 등 여러 영역에 스며들었습니다. 도교에 대한 역학의 영향은 가히 총체적이라 할 만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도교인들이 역학을 응용하고 풀이하면서 거꾸로 역학의 발전에 기여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면 역학 가운데 도설圖說은 주로 도교계통의 인물들이 창안하고 완성한 것입니다. 이처럼 도교문화와 전통 역학과의 관계가 매우 긴밀했다는 사실을 새삼 확인할 수 있습니다._66쪽

나는 도교경전을 20년 가까이 연구해왔습니다. 그 가운데 깨달은 사실하나는 도교문화 속에 무수히 많은 군사학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도교는《손자》를 주석하고 군사전략을 설명함으로써 군사활동에 이바지한 것은 물론이고, 더욱 중요하게는 병가사상을 본받아 산란한 마음을 제압하는 것을 일종의 전투로 간주해, 전통 군사학과 도문道門의 양생수련 이론을 하나로 융합시켜 정신세계의 전투인 ‘신병학新兵學’을 창안했습니다._81~82쪽

그 당시 궁정의 제왕과 상층 귀족들은 부처를 일종의 신선으로 여기고, 황제나 노자와 대등한 외국의 교주 정도로 생각했습니다. 한나라의 환제 때까지 부처는 황제나 노자와 같은 지위로서 제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또한 초기 불교의 일부 전설 가운데 등장하는 부처의 신통력은 신선의 방술 정도로 여겼습니다. (중략) 심지어 불교의 전래 초기에는 또 하나의 전설이 생겨나기도 했습니다. 바로 도가의 창시자인 노자가 이적夷狄의 땅에 들어가 부처가 되었다는 겁니다. (중략) 이는 불교가 전통 도가의 학설과 서로 교섭하고 융합할 가능성을 열어주었습니다._93~94쪽 접기


제3강 도교 교단의 형성과 계파조직

장각이 선도善道로써 천하를 교화했다고 하는데, 불과 10여 년 사이에 추종자가 수십만 명이나 되었다고 합니다. 그의 조직은 36방方으로 나뉘는데 큰 방은 1만여 명이고, 작은 방은 6,000명 내지 7,000명이나 되었으며, 각각을 통솔하는 우두머리를 두었습니다. 장각은 태평도를 봉기군으로 삼고, “창천蒼天이 죽었으니 황천黃天이 나서야 한다. 때는 갑자년으로 천하가 대길하다”는 구호를 내세워 184년 3월 15일에 황건적의 봉기를 일으켜 ‘태평’의 대망을 실현하려 했습니다._105쪽

오두미도의 다섯 말의 쌀은 보통의 쌀이 아니라 ‘신미’, 즉 믿음의 소식을 전하는 쌀입니다. 쌀 다섯 말을 바침으로써 한 사람 또는 한 집안의 신앙을 표명합니다. 쌀 다섯 말은 천지만물과 목·화·토·금·수의 오행 그리고 인·의·예·지·신의 다섯 가지 덕행을 상징하는 동시에 한 가정의 성명호적의 근본이기 때문이지요. 다른 하나는 쌀 다섯 말의 경제적 의의를 반영합니다. 신자들이 쌀 다섯 말을 바침으로써 사회적 제도가 미비한 시절에 흉년의 식량난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왕래하는 행인들에게도 편의를 제공해 오두미도가 대외적으로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_108쪽

진대도교의 가르침을 공고히 하기 위해, 유덕인은 제자들에게 농사를 부지런히 지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자신의 노동력으로 일상적 수요를 해결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그는 비승우화飛昇羽化의 화려한 술법을 이야기하지 않고 마음수련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그가 남의 병을 고칠 때는 주로 묵도默禱했다고 하지요. 향을 피워놓고 정좌한 뒤 하늘에 기도했는데, 진실된 마음으로 예를 갖추어 간절히 고했다고 합니다._139~140쪽 접기


제4강 은유로서의 신선신앙

고대인들은 죽음의 슬픔에 대면해 죽음과 투쟁하려는 의식을 싹틔우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이야기를 통해 각양각색의 신선을 형상화했습니다. 어떤 신선은 땅속에 들어가 은신하는가 하면 어떤 신선은 날개 없이 날아다니고, 어떤 신선은 앉아서 비바람을 몰고 오는가 하면 어떤 신선은 땅을 그어 강을 만들기도 합니다. (중략) 고대의 신선설화는 드러난 형식을 보면 대부분 황당무계하지만, 이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확대하고 생명을 연장시키려는 욕구를 엿볼 수 있습니다._164쪽

도교의 여러 신들은 그 권능에 따라 전문직업으로 분화합니다. (중략) 도교신선이 그 권능에 따라 직업화된 데는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사회적 분업화와 생활영역의 계층화에 있습니다. 인류사회 초기에는 사람의 활동에 명확한 분업의식이 없었습니다. 신명의 기능도 비교적 모호했지요. 사회의 분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신선들도 그에 걸맞은 직능을 맡게 되었습니다._187쪽 접기


제5강 도교경전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독파하는 순서는 《도덕경》을 먼저 읽고《남화진경》과《충허진경》은 그다음에 읽고, 《주역》은 맨 나중에 읽는 게 좋습니다.

《주역》은 진시황 이전 시대의 도가경전보다 어렵기 때문입니다. (중략) 그다음에 다시 진시황 이전 시대의 도가저작을 읽어야 합니다.

《주역》이 진시황 이전 시대의 도가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면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한나라 이후의 도교경전을 읽습니다. (중략)

먼저《태평경》을 읽어야 합니다.
그다음에 차례차례 《황제음부경》《주역참동계》《황정경》《오진편》을 읽습니다. (중략)
이 과정을 거치고 나면 도교의 부적과 주술, 의례절차에 관한 저술을 읽을 수 있습니다.
_234~235쪽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잔스촹 (지은이)

샤먼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쓰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푸젠사범대학교 중문과 교수를 거쳐 현재 샤먼대학교 철학부 주임교수로 재직중이며, 샤먼대학교 종교학연구소 소장, 쓰촨대학교 노자연구원 원장, 푸젠성 노자연구회 회장, 중국종교학회 부회장, 국가사회과학기금 평가심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펴낸 책으로는 《역학과 도교사상 관계 연구》 《도교풍수학》 《도교문학사》 《도교와 여성》 《신국공치》 《도교과학기술과 문화양생》 등 30여 권이 있다.


최근작 : <중국종교사상통론>,<도교문화 15강>,<도교문화 15강> … 총 3종 (모두보기)



안동준 (옮긴이)


저자파일

경상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작 : <국어 교육 지역화의 실천방안>,<소나무>,<진주 옛이야기> … 총 8종 (모두보기)

런샤오리 (옮긴이)

루동(魯東) 대학 중문과를 졸업하고 한국으로 유학해 경상대학교 국어교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주보건대학교와 신구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루동 대학 한국어과 교수, 동대학 부학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작 : … 총 3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베이징대학의 교양강의 교재로 선정된 도교 정통 입문서
광신과 혐오의 극단을 넘어 수천 년 도교의 지혜를 직시한다

기획의도

“기나 도를 아십니까? 정말 아십니까?”
저자 잔스촹은 책의 초반부에서 도교에 대한 세간의 인식을 둘러보더니 이렇게 토로한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도교는 꽤 오랜 세월 동안 냉대를 받았습니다. 스스로가 고결하다고 느끼는 많은 사람들조차 도교 이야기가 나오기만 하면 코웃음을 칩니다.”(44쪽)

오늘날 도교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맹목과 무시, 열광과 냉대, 광신과 혐오의 두 극단에 위치해 있다. 서양문명의 영향을 받은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도교를 비합리적이라고 간단히 밀어버리는 반면, 소수의 도교인들은 이에 대한 별다른 반박을 제시하지 못하고 과거의 유산을 맹신적으로 밀어붙인다.

《도교문화 15강》은 이런 맹목과 혐오의 공통된 뿌리는 바로 ‘무지’라는 듯, 도교와 관련된 지식과 정보를 전반적이고 포괄적으로 아우른다. 도교의 철학과 사상, 역사, 윤리, 예술에서부터 도교 법술과 수련법, 의학, 제의에 이르기까지 이론과 실용을 막론하고 온갖 방대한 지식을 망라한다. 저자 잔스촹은 도교와 관련된 거의 모든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소개하며, 사상계에서 도교가 차지하고 있는 위상 및 그 현대적 의미까지 다룬다. 이를 통해 그는 동양문화를 근본부터 떠받치는 세 솥발 중의 하나인 도교를 무시하고서는 동양의 과거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을뿐더러, 서양문명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도 없다는 당연한 진실을 학자적인 담담한 어조로 조용하게 웅변한다.

도교는 과거에도 있었고, 현재에도 있고, 미래에도 있을 것이다

뱀처럼 허물을 벗으며 800살이 되도록 아기 피부를 유지한 도인 팽조, 말가죽에 싸여 거대한 비단 누에고치가 된 한 여인의 사연, 몸은 남겨두고 혼백만 들락날락하며 세상을 자유자재로 노니는 신비한 법술, 수목을 진동시키고 맹수를 공포에 질리게 한 휘파람 노인의 정체……

도교는 서구의 합리주의적 사고로는 이해할 수 없는 환상적인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다. 그것이 현대 문명세계가 도교를 멀리하게 된 근본 이유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비합리성’을 이유로 간단히 무시해버리기에는 도교의 존재감이 너무나 크다. 저자 잔스촹은 이를 다양한 방면에서 차근차근 설명한다.

우선 고대 사상의 형성에 있어서 도교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끼쳤다(제2강). 예컨대 도교는 역학의 팔괘 부호를 자신의 체계 안에 받아들이고 나서, 그것을 더욱 체계적이고 복잡하게 발전시켜 ‘경방역학’이라는 진일보된 역학을 탄생시켰다. 또 유가의 윤리사상을 도교 특유의 이상적 목표인 연년익수延年益壽와 우화등선羽化登仙과 연결 지어 유가 윤리를 권선징악적으로 한층 더 강화시키기도 했다. 고대의 도교는 다른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한편, 역으로 그 자신이 다른 사상을 형성시키는 연원이 되기도 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도교’라는 키워드를 제외한 채 오늘날 고대의 동양사상을 연구하게 되면 어딘가 빈 구석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는 이성적 차원에만 그치는 게 아니다. 도교적 상상력을 빼고는 근대 이전의 문학(제13강)이나 예술(제14강)을 거론조차 할 수 없을 것이다. 이백이나 소동파처럼 굳이 도교신자가 아닌 경우라도 도교는 수천년 동안 수많은 예술가들의 상상력을 지배해왔다. 다음과 같은 시는 도교적 배경지식이 없으면 온전히 이해할 재간이 없다. “같이 온 조카를 돌아보며 물었지/ 얘야, 썩었겠구나/ 네 허리춤에 있는 도낏자루가”(소동파蘇東坡, 〈만정방滿庭芳〉중). 소동파의 예술세계에 들어가는 입구에 도교에서 전해 내려오는 왕질王質의 고사(664쪽)가 떡 하니 버티고 있다. 신선들의 바둑판을 구경하다보니 어느새 100년 남짓의 세월이 지나 있더라는 이야기를 알지 못하면 시에서 감흥을 느낄 수도 없다. 이른바 ‘아는 만큼 보이는’ 동양의 예술세계에서 도교적 앎은 필수 교양인 셈이다.

우리가 흔히 ‘역사’라고 부르는 정치사회의 전개 양상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교는 큰 역할을 한다. 가령 한나라 때에는 국가의 대사를 황로학에 기대어 처리하는 분위기가 조성됐고, 수당시기의 제왕들은 정권을 탈취하는 데에 도교의 도참설을 적극적으로 이용했다. 특히 당나라 황제는 노자를 직계 조상으로 확신하기까지 했다(제3강). 이는 제왕을 비롯해 당대의 지식인 그룹과 귀족, 일반 평민들까지 도교를 엄연한 사회적 비전으로 삼았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요컨대 사회를 조직하고 운영하고 이끌어나가는 데에 도교는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역사 이해에 도교적 관점이 꼭 도입되어야 하는 이유다.

아울러 도교는 한계에 부딪힌 현대문명에 대안적 시각을 제공해준다. 반생명적인 현대문명에 도교의 생명사상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 저자 잔스촹이 신선신앙의 본질을 설명하면서(제4강), 또 도교의 생명사상을 분석하고 서술하면서(제7강) 역설하듯이, 도교는 생명을 지극히 중요시하는 사상이다. 도교사상의 현대적 해석을 통해 반생명적 흐름에 맞서는 대안적 이론을 구성하는 것은 단순히 몽상적 이야기가 아닐 것이다. 장수 또는 불사를 목표로 개발된 갖가지 법술(제11강)과 수련법(제10강)을 실천하며 내공을 쌓아나가다 보면, 도교에서 미래의 비전을 점차 구체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베이징대학이 선택한 단 하나의 도교 정통 입문서

본래 이 책은 ‘21세기 중국의 대학 교육을 혁신하기 위해 기획된 국가 차원의 교양교육 사업’의 하나이다(6쪽). 베이징대학을 비롯한 중국의 16개의 주요 대학들이 이 책을 도교과목의 공통교재로 사용하고 있다. 말하자면 이 책은 현시점에서 도교에 관한 중국 대륙의 정통적 관점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제대로 된 도교 입문서라고 할 만한 게 없는 국내 실정에서 《도교문화 15강》은 가뭄의 단비와 같다. 국내에서는 거의 처음으로 도교문화의 전반에 관해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 잔스촹은 방대한 도교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한편, 초심자들을 위해 까다롭고 복잡한 내용을 강의식으로 친근하게 설명했다. 주요 출처와 서지사항들을 꼼꼼히 갈무리했으며, 나아가 실용적인 도교 공부법(제5강)까지 안내한다. 가히 최상의 도교 정통 입문서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번역을 맡은 안동준 교수는 국내에서 최고로 손꼽히는 도교 전문가로서, 이런 원서의 무게를 온전히 감당해냈다. 적확한 번역은 물론 충실한 감수를 통해 원서의 오류도 여럿 바로 잡았다. 한국 독자들은 중국어 원서보다 더욱 정확하고 뛰어난 《도교문화 15강》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의 과정을 거친 번역 작업도 믿음직스럽다. 한국에 유학을 온 중국인 학자 런샤오리가 한국어로 번역한 초역본初譯本을, 안동준 교수가 이를 이어 받아 완역했다.
루쉰은 일찍이 ‘중국의 바탕은 완전히 도교에 있다’(45쪽)고 말한 바 있다. 이 말은 단지 중국뿐만 아니라, 도교의 자장 아래에 있는 동양 문화권 전부에 해당되는 얘기일 것이다. 도교의 과거와 현재가 단절되어 있는 한국의 상황에서 이 책이 훌륭한 교량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접기

--------------------



9.6



도교에 대하여 알 수 있다. 그리 어렵지도 않고...
거북이 2013-07-06 공감 (0) 댓글 (0)


-03 공감 (1) 댓글 (0)


이 책을 읽으니 종교로서의 도교에 대해 너무 몰랐다는 생각이 든다. 중국에 가보면 불교 사찰이나 이슬람 사원처럼 종종 볼 수 있는 도관이 이젠 낯설지 않고 친숙하게 느껴진다. 


가시광선 2018-07-09 공감 (0) 댓글 (0)

   

도교에 관한 모든 것을 강의 한 책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유교, 불교, 도교는 동양사상과 문화의 뿌리를 이루고 있기에, 이에 대한 이해 없이 우리의 삶과 문화를 제대로 파악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가 도교에 대해 물어본다면, 대답할 수 있는 말이 하나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렇게 스스로를 변명했다. ‘서양인에게 소크라테스나 플라톤에 대해 물어보거나 기독교에 대해 물어보라. 그들이 제대로 대답할 수 있을까?’ 어쨌든 이런 궁색한 변명을 하지 않기 위해, 북경대학의 교양강의 교재로 선정된 도교 정통 입문서인 <도교문화 15강>에 도전했다. 교양 강의 교재라고 해서 도전했는데, 생각보다 만만하지가 않다. 먼저 책의 두께에 압도당했다. 부록까지 합치면 700페이지가 넘는다. 도교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수준이 아니라, 도교의 다양한 영역, 종교로서의 도교, 사상과 철학으로서의 도교, 도교의 역사와 계파, 도교의 경전, 도교의학, 양생사상, 심지어 도교 수련법과 도술, 도교의례절차까지 자세히 강의를 풀어 놓았다. 저자는 도교문학과 예술, 더 나아가 도교에서 신선들이 살았다고 전하는 동천복지까지도 자세히 연구하여 정리하였다.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한 강의, 한 강의 경청하듯 읽어 내려갔다. 종교로서의 도교를 이해하고, 문화로서의 이해가 있어야 제대로 도교의 사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저자 잔스촹의 설명에 고개가 저절로 끄덕여 졌다. 도교의 근본적인 취지, 연년익수(延年益壽 - 현실세계에서 생명을 연장시키는 것)와 우화등선(羽化登仙 - 수행과 수련을 통해 영생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통해 도교의 생명 존중 사상을 배울 수 있었다. 도교의 양생학(養生學)도 건강과 장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도교의 신선이나 그들의 도술 이야기는 무협 소설이나 옛 이야기에 나오는 허무맹랑한 망상이 아니라, 생명에 대한 관심의 구현인 것이다.


토정비결이나 점괘를 하나의 미신으로 치부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복희씨(伏羲氏)의 괘효(卦爻)는 세상과 삶에 대해 마음으로는 깨달았지만 말로는 도무지 전달할 수 없는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괘상부호(卦象符號)로, 나름대로의 진리를 담고 있음도 인정하게 되었다. 이 책에서 아쉬운 점은 복희의 괘효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지만, 그 부호들을 도식으로 표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 제 3강 도교 교단의 형성과 계파조직 같은 것은 너무나 상세해서 중국 역사에 문외한들에게는 너무나 벅찬 내용들이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은 제 2장 도교사상의 연원이다. 도교의 형성에 황로사상이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 도교와 유가, 묵가, 병가, 불교가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 받았는지 매우 흥미롭게 배웠다. 그러다 보니, 오늘날 음양의 조화를 말하고, 토정비결과 오늘의 운세를 보고, 풍수지리설을 따르고, 복기술(服氣術)과 태식법(胎息法)이라 말하는 오늘날의 복식호흡을 하는 것들은 모두 도교의 영향인 것이다. 이런 우리의 문화 중 많은 것들은 나름대로 생명존중과 건강하고 바른 삶에 대한 관심에서 나온 것으로, 단순히 미신이라고 무시하기에는 너무나 깊은 도교적 사상이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지나치게 합리적인 서양 철학과 사상의 잣대로 동양철학을 평가하는 우(愚)를 범했다. 이제는 동양의 세계관으로 도교와 같은 동양종교와 그 문화를 이해하고 가치를 판단해야 하리라 생각한다. 도교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들, 인내를 가지고 이 책을 읽으면 도교에 관해 많은 것을 배우고 유익을 얻으리라 생각한다. 도교에 대한 소개를 넘어 정말 방대하고 철저한 도교문화 강의들이었다.

life7joy 2011-09-04 공감(1) 댓글(0)

----


도교이해하기 

도교는 무엇인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줄수 있는 책이다.도교는 하나의 종교이다 조상을 숭배하고 예절을 지키는 것으로부터 시작할수도 있으나 그보다는 조금더 깊이있다는 것을 알수가 있다 그래서 도교는 농민으로부터 퍼져나갔다 그리고 그것은 중국의 농민봉기와도 관계가 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민간으로부터 퍼져나갔기 때문에 민간의 사상과 다른 사상에도 큰 영향을 주고 받은 것을 우리는 책을 통하여 충분히 이해할수가 있을 것이다 도교의 우주론과 생명론은 현대의 서양의 유명한 철학자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헤겔등 유명한 사상가조차에게도


또한 도교의학은 나의 몸을 건강하게 하는 것을 뛰어넘어 남을 구제하는 기본적인 사상을 지니고 있어서 여러가지 방편인 몸동작 그리고 방중술이라는 것까지 변형이 된것을 알수가 있는 것이다우리의 현대는 중국의 많은 문화가 스며들었다 도교의 옥황상제문화도 우리의 불교라는 신앙과 혼합된것이다 그리고 도교는 개인적인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느낄수가 있을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살펴보면 나를 뛰어넘어 만물과 하나가 된다는 사상을 지니고 있음을 알수가 있을 것이다 우리는 도교는 도를 중시하고 생명을 귀하게 여기지만 서양의 종교처럼 단일신을 뛰어넘는 다신교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책은 도교의 경전 이해방법 그리고 도교의 우주관 거시적인 윤리적 관점에서의 도교를 우리의 삶과 연결하여 세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비록 책을 통하여 도교를 전부 이해하였다고 할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도교의 근본적인 맥은 충분히 이해하고 나아가 도교와 삶을 유추해볼수가 있도록 우리들을 인도해줄 교과서적인 책이라고 평가하고 싶다.그리고 도교의 추상보호는 우리들은 물론 서양의 학자들에게도 신비적인 요소로 작용한듯하다 추상부호는 암호화될수가 있으며 도인들을 우리가 신비스러운 존재로 보는 또다른 요인이 되기때문이다 마지막부분의 동천복지와의 일체는 우리에게 상상력의 능력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해주고 있다 종교와 상상력이 결합에서 발생할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는 것을 마음적으로 알려주기 때문이다 우리의 정신적 능력에서 벗어나 새솔운 상상력은 우리의 신체의 감정적 능력을 뛰어넘고 면역력의 증가및 좌우뇌의 활성화를 통하여 새로운 창조력과 연결되어 새로운 문화를 만들기 때문이다

화이팅 2011-09-08 공감(1) 댓글(0)
----


[서평] 도교문화 15강 

책을 처음으로 접하는 사람들에게 또는 어린아이들에게 먼저 권장하는 것은 인문학 관련 서적이다.

이런말은 여기저기에서 많이들 들어봤을 것이다. 인문학 관련 서적을 많이 읽게 되면 정서적으로 안정되며, 사고력 증진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다.

이런 말을 조금만 더 빨리 알았다면 지금의 나는 이렇게 힘들게 공부하고 있지 않았을 것이다. 하는 후회가 든다.
도교문화... 이 책을 처음 접하고 일단은 책의 두께에 놀라고 또 내용에 놀랐다. 지금도 책 내용의 절반 이상은 이해불가이다. ㅠ
그래도 다시 한번 도전하여 읽어보고 싶다. 인문학 책은 대부분이 한번 읽어서 다 이해하는 책은 거의 없다. 그래서 자꾸 자꾸 읽어보고
거기에서 또 따른 깨달음을 알게된다. 그런것이 인문학 서적의 장점이자 단점이다.
이 책은 도교에 관해 어떤식으로 이해를 도울 수 있을지 상세히 나와있다. 마치 강의를 듣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친근한 어구로 쓰여졌다.
책 제목 그래로 총 15강으로 구성되어졌다. 1강은 도교문화의 이해를 돕기위하여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에 대한 설명이고,
2강부터는 도교의 발전과 도교는 어떤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이루어졌다.
맨 뒤에는 각주와 이 책에 나온 인명, 책명, 용어에 대한 찾아보기도 있다.
그래서 조금 더 이해를 할 수 있게 구성되어졌다. 하지만 그렇게 쉽게 풀이되었더라고 지금 내 머리 속에 남아있는 기억은 거의 없다.
그래도 마음 한 구석에 무언가 불쑥 나오는 것이 생겼다. 그 생김으로 인해 또 다른 지식이 생겼으며, 또 다른 사고가 생겼기 때문이다.
이렇게 조금씩 하나 하나 알아가게 하는 것이 인문학의 매력이 아닐까 싶다.

처음 읽었을 때는 막연함이 들고, 두 번째로 읽었을 때는 처음에 읽었을 때 이런 구절이 있었나? 할 정도로 또 다른 감동을 주기 때문이다.

내 방 책장에 차곡 차곡 인문학 관련 서적이 쌓여져 가며 나의 지식이 쌓여가는 느낌이 들어 아주 좋다. 또한 이번에 잃으면 어떤 내용들이 나의 눈을 황홀하게 하며, 또 다른 사고를 불러올까? 하는 기대감 마져 들게 된다.

비록 지금의 지식은 작은 시냇물에 불과하지만 그 시냇물이 모이고 모여 커다란 바다를 이룰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서 조급하게 생각하지 않고 천천히 조금씩 깊이를 더해 갈 것이다. 단순히 지식만을 위해 인문학 관련 서적을 접한다면 엄청난 고통이 따를 것이다.

자신의 의지에 의해서 읽어 내려가야지 강요에 의해 내려간다면 결코 깨달음은 있을 수 없을 것이다. 자신이 느끼는 그것이 결국에는 깨달음일 것이다. 사소한 것 하나도 다 깨달음 이라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나에게 또 다른 즐거움을 안겨준 도교문화 15강... 계속해서 새로움을 나에게 안겨주길 바라며...

초심 2011-09-09 공감(1) 댓글(0)

---

개인적으로 기대하는 신간입니다. 그.. 로지코믹스를 읽고 난 뒤에는 계속 이렇게 만화로 된 책을 하나씩 밀고 있는데 선정하고는 거리가 멀 듯 하네요. 파인만을 수식하는 말들은 많지요. 천재, 아인슈타인 이후의 물리학의 거두.. 악동. 그런데 파인만은 화가이기도 했습니다. 아마추어 화가로 그림을 그려서 술집에 팔아넘겼다는 일화는 유명하지요. 그 때문인지는 몰라도 파인만은 그의 물리학에서 파인만 다이어그램이라는 기법을 사용합니다. 그림과 도표를 써서 개념을 와닿게 만드는 방법이지요. 그런... + 더보기


가연 20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