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03

‘한국불교의 상명하복식 유교적 관습’

(1) Facebook



Namgok Lee

oa2 tAufSggpunsnonsforhhtt c2uetdd016 ·

현각 스님의 한국 불교에 대한 비판이 불교계에서 찬반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것 같다.

나도 그 글을 보았다.

승가의 현실과 종단의 내막을 모르는 나 같은 사람이 뭐라 말하는 것은 부적절하지만, 그 비판 가운데 ‘한국불교의 상명하복식 유교적 관습’이란 말이 나오는데, ‘유교적 관습’과 ‘공자’를 함께 떠올릴 수 있을 것 같아서, 그 점은 내가 아는 것과 다르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런 ‘유교적 관습’이 한국 사회의 도처에 있다는 것을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유교의 창시자로 알려진 공자의 사상이나 실천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다.



나는 60이 넘어 공자의 사상에 접한 말하자면 아마츄어지만, 내가 접한 공자는 신분‧ 계층‧ 나이를 그 당시로는 상상하기 힘든 차원으로 넘어선 소통의 달인(?)이었다는 점을 이야기하고 싶다.

그리고 제자들이 본 공자의 모습은 다음의 문장 속에 표현되어 있다.

‘공자는 네 가지를 끊었다. 毋意‧ 毋必 ‧ 毋固 ‧ 毋我가 그것이다’

석가의 깨달음과 표현은 달라도 비슷한 것으로 내게는 다가왔다.

내가 굳이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이 聖人들의  깨달음이나 가르침이 2500여년 간 인류 정신의 축(軸)으로 작용해 왔지만, 실제로는 그의 후계자들과 권력이나 기득권층 등에 의해 왜곡되어온 것으로부터 그 본래의 정신으로 돌아가는 것이 지금의 시대정신의 하나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Comments

이병철



이른바 축의 시대의 스승들의 깨우침과 그 메시지가 그후 어떻게 왜곡되고 어떻게 이용되어왔는가는 새삼 논할 필요가 없겠지요. 문제는 지금도 종교집단이나 권력이나 사회집단들이 이를 이용하여 자신들의 기득권과 체제유지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선각자들의 가르침에 다가가는 통로를 차단하고 있다는 것에 있다 싶습니다.



공자의 깨우침이 유교라는 체계에 갇두어질 때 유교주의라는 폐단이 발생하는 것이겠지요. 그런 대표적인 병폐가 종교와 종파주의일텐데

붓다나 예수의 깨달음이 종교화될 때

거기에서 붓다와 예수의 참모습을 만나기란 숲에서 물고기를 구하는 것보다 쉽지 않으리라 싶습니다.



현각스님에 대해 잘 모르지만 그의 지적은 불교계 안에서 이미 수없이 제기되었던 문제라 싶습니다. 차제에 대개혁의 계기가 될 수 있다면 이땅의 불자들에게도 큰 복연이되리라 싶습니다. 그럴 수 있기를 함께 마음 모읍니다.

 · Reply · 4 y

진영우

이른바'역사적 예수'연구는 많이 되어 그의 참모습을 어느 정도 알 수 있는데 '역사적 석가' '역사적 공자'연구는 매우 부족하더군요^^

 · Reply · 4 y

이병철

진영우 붓다에 대한 것은 팔리어로 기록되어 남아있는 아함경을 중심으로 읽어도 좋겠네.

근래에 팔리어 초기경전에 대한 역경작업이 많이 진행되었지.

몇해전에 모임에서 예수공부를 할 땐 도마경을 중심으로 했던 적이 있네.



 · Reply · 4 y · Edited

Write a reply...



한채영

저도 기사 중 그 부분이 딱 걸렸는데 이렇게 설명해주시니ᆢ감사합니다^^

 · Reply · 4 y

Namgok Lee

최근에 소개를 받은 책인데, H.G.크릴의 '공자, 인간과 신화'라는 책을 감명 깊게 읽었습니다.

 · Reply · 4 y

문현동

저는종교가 세속적인 사람과 정치사회문제와더불어 자연적 순리의 양단에치우치지않고 중용의 입장에서 각종교의 교리에 충실해야된다고보는데 너무세속적인면에 치우처다보니 이런사단이....

 · Reply · 4 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