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29

각묵 스님의 아비담마 왕초보 입문 (Ⅰ) : 초기불교

각묵 스님의 아비담마 왕초보 입문 (Ⅰ) : 네이버 블로그



각묵 스님의 아비담마 왕초보 입문 (Ⅰ)  아비담마 / 수행의 길 

2017. 7. 22. 8:33

복사https://blog.naver.com/hrsmc/221057062376

번역하기









아비담마 왕초보 입문 (Ⅰ)





이 글은 초기불전연구원의 아비담마 게시판에 각묵스님께서 2002년 12월 24일부터 2003년 1월 21일까지 기간 동안 올리신 글을 정리한 것입니다.



아비담마(Abhi dhamma)란 ‘부처님의 가르침(담마)에 대하여(아비)’라는 뜻으로 

부처님께서 평생 설하신 가르침을 체계적으로 핵심만을 골라서 이해하려는 제자들의 노력이 정착된 것이다.



아비담마의 주제는 ‘내 안에서’ 벌어지는 물物‧심心의 현상이다.

이것이 바로 불교에서 말하는 법(dhamma)이며

내 안에서 벌어지는 여러 현상(dhamma)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관찰하고 사유하여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법의 특상을 여실히 알아서

괴로움을 끝내고 열반을 실현하려는 것이 아비담마다.





Δ 7. 아비담마 소개 글들을 올리면서...





어떻게 하면 아비담마를 조금 더 쉽게 설명해볼 수 있을까 고심하였습니다. 그러다 문득 전에 미얀마에 있을 때 아비담마 입문서를 만들어보자면서 몇 십 쪽 글을 써둔 것이 떠올라 노트북의 파일들을 확인해보았는데 아직 남아있었습니다. 지금 부터 하나하나 올려보려 합니다. 거칠기도 하고 잘못 적은 부분이 있을 것 같아서 조심스럽습니다. 읽다가 잘못된 부분을 발견하시면 알려주시면 고치도록 하겠습니다. 까페 법우님들의 아비담마 이해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각묵 합장





Δ 8. 준비운동





아비담마는 차디찬 얼음물과 같다. 여기서 차다는 말은 냉냉하다, 냉정하다, 감정이 없는 냉혈인간과 같다, 그래서 재미없고 무미건조하다는 등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저 언덕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 차디찬 얼음물을 건너가야만 한다. 다른 경치 좋고 따뜻하고 사람을 끄는 물도 많이 있다. 그러나 그런 물에는 반드시 악어나 상어나 뱀들이 또아리고 있어서 산천경계에 속고 따뜻함을 즐기는 사이에 저 언덕은 고사하고 그 물에서 죽임을 당하기 십상일 것이다. 그러니 이 차디찬 물을 건너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쉬운 방법이라 아니할 수 없다.





그래서 어떤 미얀마 사야도께서는 아비담마를 공부하는 것이 최신형 보잉777 비행기의 수퍼퍼스트 클라스 자리에 열반행涅槃行 티켓을 예매해 두는 것이라고 침을 튀기며 말씀하시고 나서 이것은 농담 같지만 진담이라고 하시는 것을 들었다. 그러나 이 차디찬 얼음물에 아무런 사전 준비 없이 들어가면 십중팔구는 발가락정도 담그고 튀어나오기 마련이고 들어가 있다 하더라도 그 차디차고 냉엄한 맛을 즐기기란 도저히 어려울 것이다. 아니 마음으로는 뭐 이런 게 있나, 아이 골치야, 아이 재미없어, 차라리 어려운 의학서적을 읽는 게 낫겠어, 옛날 남방 스님들이 날은 더워 밖에 나가기는 싫고 절간에서 밥 먹고 할 일이 없어서 이런 골치 아픈 것을 만들어 사람을 괴롭히네, 이게 불교 수행하고 무슨 상관이 있어 머리로 알음알이를 굴리는 짓거리지, … 등등 온갖 불선법不善法을 다 일으킬 것이다.





그래서 사전 준비운동이 아주 필요하다 하겠다. 그 준비운동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그리고 여기서 꼭 하고 싶은 말은 아비담마 공부를 하면서 가능한 한 많이 통밥을 굴려보라는 것이다. 한참 통밥을 굴리다가 조금 지나면 이제 통밥도 통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것이다. 나는 처음 아비담마를 접하며 수 없는 알음알이가 일어나 무수한 통밥을 굴리면서 대림 스님을 괴롭혔다. 대림 스님은 너무나 얼토당토않은 질문에 어이가 없다는 표정이었지만 잘 설명해주었다. 그러나 나는 나대로 통밥을 멈추지 않았다.





그렇지만 그런 통밥으로는 도저히 아비담마의 냉엄함은 해결이 되지 않음을 마침내 절감했다. 나로서는 아주 중대한 순간이었다. 드디어 나는 좌정하고 앉는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내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보기로 들며 아비담마의 가르침을 적용시켜 보았다. 길이 보였다. 법우님들도 좌정하고 앉아서 차근차근 아비담마의 가르침대로 자기 마음을 들여다보시라. 그러면 거기서 길이 보일 것이다. 일단 이해하고 나면 아비담마보다 쉬운 게 없다 싶을 것이다. 진리란 알고 나면 너무나 당연한 것이란 것을 나는 아비담마의 가르침을 감상(監)하고 나 자신을 닦으면서(修) 재삼 느꼈다. 어쨌든 준비운동은 많으면 많을수록 얼음장과 같은 이바담마의 차가움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가급적 감정(=온기, 열기)을 많이 담은 준비운동을 도와주는 글을 써야겠다고 고심하다가 대화체로 적는 것이 제일 읽기 쉽겠다고 생각했다. 이 글이 법우님들께 조그마한 길잡이라도 된다면 더할 나위 없이 기쁘겠다. 준비운동이 필요 없는 분은 곧바로 저 얼음물로 들어가서 어서 저 언덕으로 건너가시기를!





Δ 9. 아비담마와 아비달마





문: 스님, 요즘 초기불교니 근본 불교니 남방 불교니 아비담마니 위빳사나(vipassanā)니 하면서 그동안 우리가 알던 불교 즉 대승불교나 선불교를 위시한 북방 불교 전통과는 다른 불교 체계를 알게 되면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것들은 과연 북방에는 이때까지 전혀 소개되지 않은 것인가요?





답: 좋은 질문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려서 이런 가르침은 중국불교를 통해서 이미 우리나라에도 알려진 것입니다. 예를 들면 초기불교는 아함경(阿含經, Agama)으로서 우리에게 이미 잘 알려진 것이고, 아비담마는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Sarvativada)라던지 특히 구사론(阿毘達摩俱舍論, Abhidharmakosa)으로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것이고 위빠사나는 관觀이란 말로 즉 사마타(samatha)-위빠사나(vipassanā)는 지관止觀이란 말로 잘 알려진 것들입니다. 증도가證道歌로 유명한 영가永嘉 현각玄覺 스님의 영가집에서 이런 사마타와 위빳사나와 우필차upekkhaa, 사捨라는 말이 4장과 5장과 6장의 제목으로까지 등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 불교가 국교였던 신라와 고려를 지나서 조선조 오백 년 간 엄청난 탄압을 받으며 선불교만으로 겨우 명맥을 유지해오다 보니 우리나라 지성인들이 천년 이상을 깊이 사유해오던 이런 불교 용어들이 그만 우리에게 낯설게 여겨지는 슬픈 현상이 발생했을 뿐입니다. 그리고 그런 전통이 아직 살아있는 남방에서 생생하게 전승되어오다 보니 남방불교라 이름하는 것일 뿐입니다. 이미 우리 선조들께서는 천년이상을 심도 깊게 사유하고 생활 속에서 실현하려하시던 것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물론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기도 합니다)





문: 그렇군요. 그런데 스님께서는 줄곧 아비담마란 용어를 쓰시는데 한문권인 우리나라에서는 아비달마阿毗達摩란 용어를 쓰지 않았습니까. 또 아비다르마란 용어도 쓰는 것 같은데요. 그리고 남방 불교 국가에서 수행하신 분들은 스님처럼 아비담마란 용어를 사용하시는 것 같고요. 그런데 이들 단어들이 차이가 있습니까?





답: 아닙니다. 차이가 없습니다. 한문 아비달마阿毗達摩는 산스끄리뜨 Abhidharma(아비다르마)를 음역한 것입니다. 그리고 제가 사용하는 아비담마는 빠알리 Abhidhamma를 한글로 적은 것입니다. 그러니 원 의미에서는 하등의 차이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굳이 아비담마란 빠알리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제가 지금 설명하고자하는 체계가 남방불교 즉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에서 특히 미얀마에서 전승되어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구사론을 번역하게 된다면 그때는 아비다르마 꼬샤(Abhidharmakosa)나 아비다르마 구사론 혹은 아비달마구사론이라 표기하겠지요. 구사론은 북방에 전승된 부파 불교 소전의 산스끄리뜨로 표기된 책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남방 소전의 아비담마를 소개할 때는 아비담마라는 용어를 사용해야하고 북방소전의 아비다르마를 소개할 때는 아비다르마란 용어를 사용해야만 오해의 소지가 없다는 점입니다.





남방 아비담마와 북방 아비다르마가 큰 줄거리는 같지만 용어의 정의나 제법諸法(dhamma)을 분류하고 그들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는 데는 견해의 차이가 분명히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제가 설명하는 체계는 남방 아비담마(Abhidhamma)이기 때문에 아비담마란 용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Δ 10. 아비담마는 초기불교인가? (1)





문: 그러면 아비담마 불교가 초기불교나 근본불교입니까? 요즘 남방불교를 근본불교라 소개하고 위빳사나 수행법을 부처님이 직접 가르치신 수행법이라고 아주 강한 톤으로 주장하는 분들이 계신 것 같은데요.





답: 너무 중요한 질문을 단도직입적으로 질문하시는 것 같습니다. 저도 단도직입적으로 대답하자면 ‘아니다’입니다. 우리가 초기불교나 근본불교 혹은 원시불교 기본불교 등의 용어를 사용할 때는 현존해 있는 남방의 4부 니까야 즉 디가니까야((Dīgha Nikāya, 長部)), 맛지마니까야(Majjhima Nikāya, 中部) 상윳따니까야(Saṃyutta Nikāya, 相應部) 앙굿따라니까야(Aṅguttara Nikāya, 增支部), 숫따니빠따(Suttanipāta, 經集), 담마빠다(Dhammapāda, 法句經), 우다나(Udāna, 自說經), 이띠웃따까(Itivuttaka, 如是語經)와 여기에 대응할 수 있는 북전北傳의 4아함 즉 장아함長阿含, 중아함中阿含, 잡아함雜阿含, 증일아함增一阿含과 의족경佛說義足經 법구경 등과 남북전 율장 중 초기 전승 등에 제한되어야 합니다.





아비담마는 분명 불멸후에 발전되어 오다가 남방불교 국가에서 전승 발전되어온 체계입니다. 그러니 남방불교 더 자세히 말하자면 남방 상좌부 불교의 이론적이 토대라는 것입니다. 그들은 이런 이론체계를 갈고 닦아서 이를 통해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해하고 실천하고 전승해온 것입니다. 위빳사나 수행법도 분명히 후대에 발달한 기법입니다. 물론 위빳사나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이 빠알리어이고 그 용어들은 대부분 초기 경들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기법 자체를 부처님의 직접 가르치신 수행법이라 하는 것은 무리가 큽니다. 부처님 당시를 포함해서 B.C. 3세기경에 불교가 스리랑카로 전래되어 남방에서 역사적으로 전해내려 오던 수행 기법은 청정도론淸淨道論(Visuddhimagga)의 정품에서 40가지 명상주제로 체계화되고 혜품慧品에서 10가지 혹은 14/16가지 위빳사나냐나로 철저하게 이론화되어 있습니다.





지금 남방에서 위빳사나라는 이름으로 통용되고 있는 몇 가지 기법들 즉 마하시 사야도께서 주창하신 기법이나 레디 사야도께서 체계화한 기법이 우바킨 거사님에게로 전해지고 그것을 인도의 고엥카 거사님이 전 세계적으로 유통시킨 수행기법 등은 모두 청정도론淸淨道論에는 나타나는 사마타와 위빳사나에 대한 설명을 토대로 해서 더 후대에 미얀마에서 완성된 기법입니다. 청정도론이야말로 아비담마 교학체계에 입각해서 경장을, 그 중에서도 4부 니까야를 중점적으로 주석한 주석서이니 남방불교의 실체가 아닙니까. 여기에 뿌리를 두고 더 후대에 발전되어온 수행 기법을 부처님이 직접 가르치신 수행법이라 한다면 너무 무리한 이야기입니다.





Δ 12. 아비담마는 초기불교인가? (2)





여기서 분명히 하고 싶은 것은 어떤 수행기법이 부처님이 직접 가르치신 것인가 아닌가 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청정도론에서는 부처님께서는 출입식념出入息念(anapanasati)을 통해서 깨달음을 얻으셨다고 격찬을 하고 있고 이 출입식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세존 당시에도 수많은 스님들이 출입식념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도와 과를 얻었습니다. 이렇게 수행 방법과 명상주제는 벌써 그 사람의 기틀에 따라서 부처님 당시부터도 다양하게 가르쳐진 것입니다.





그러므로 북방의 간화선이나 묵조선 나아가서는 염불선까지 아니 염불이나 기도나 주력까지도 그리고 남방의 위빳사나와 사마타 기법은 물론이고 이 모든 수행법들이 불교의 가르침 체계에 튼튼히 뿌리한 수행법이라면 자기에 맞는 방법을 택해서 열심히 정진하면 된다고 봅니다. 거기서 오는 문제점은 여러 경들이나 논서들을 보면서 점검하고 널리 다른 수행하는 분들과 함께 진지하게 탁마하면 된다고 봅니다.





청정도론에서도 벌써 40가지로 명상주제를 정리해서 설명하고 있지 않습니까. 우리나라 절에서 일상으로 행하는 염불, 기도, 간경, 축원 보시 등의 모든 실천이나 수행이나 의식이 이 40가지 안에 다 포함된다고 저는 받아들입니다. 그리고 남방의 의식이 있는 스님들은 결코 아비담마를 부처님 직설이라고 강조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분들은 아비담마야말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가장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집대성한 가르침이라고 자랑합니다. 그리고 그런 아비담마를 몇 천 년 전승해온 자기 전통에 대해서 무한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불교역사에서 남방 아비담마보다 더 부처님의 근본 가르침을 수행을 염두에 두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려 노력한 곳은 없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간화선이야말로 불교의 최상승 수행이라고 주장하려면 튼튼한 이론적인 뒷받침이 되어야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렇게 될 때 우리는 우리나라에 지금까지 전승되어오는 간화선이야말로 부처님 수행법의 골수 중의 골수라고 무한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 감사합니다, 스님. 제가 너무 외람되이 주제넘은 질문을 했습니다. 그러나 스님의 말씀을 들으니 가슴 한편이 시원하기도 하고 뭔가 가닥이 잡히는 것 같습니다. 우리의 주제로 돌아와서... 그러니까 스님께서 지금 설명하고자 하시는 게 남방에서 전승되어 발전되어온 아비담마 교학체계라는 것이지요?





답: 그러합니다. 그래서 제가 아비다르마나 아비달마란 용어대신에 아비담마란 용어를 사용한 것입니다.





Δ 13. 아비담마와 위빳사나는 어떤 관계가 있나?





문: 또 주제넘게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너무 궁금한 게 많거든요.





답: 좋습니다. 무엇이던 질문해보세요. 단 아비담마와 관련이 있는 것이어야 합니다.





문: 스님, 남방에서 발전되고 지금까지 잘 전승되어온 이 두 체계 즉 아비담마와 위빳사나는 서로 연관이 있습니까? 아비담마는 남방의 교학체계고 위빳사나는 그런 남방 교학체계에 튼튼히 뿌리한 수행법일거라는 생각이 스님과 대화하면서 강하게 드는데요?





답: 참 잘 말씀하셨습니다. 한마디로 그렇습니다. 아비담마 없는 위빳사나는 생각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요즘 상당수의 한국 분들이 아비담마에 대해서 전혀 사유해보지도 않고 위빳사나를 체험위주의 신비주의로 접근하는 것은 위험천만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아비담마를 배울 기회가 없어서이겠지만 그렇게 되면 위빳사나는 극단의 신비주의로 흐를 위험이 많습니다. 그래서 위빳사나 수행법에서는 인터뷰를 중시합니다. 그러나 솔직히 (절대 비방이 아님) 한국에서 위빳사나를 지도하는 분들 가운데서 제대로 인터뷰를 할 수 있는 분이 몇 분이나 되는지 걱정이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벌써 온 몸에 기가 도는 것을 느낀다든지 몸속이 보인다든지 힘을 몸의 특정부분으로 모을 수 있다든지 하는 경계에 빠져 그런 유희를 즐기는 것쯤으로 위빠사나를 호도하는 이야기를 자랑삼아 해대는 분들이 많거든요. 또 잘못 경계에 집착하고 있는 것을 삐띠(pīti, 喜悅)이라느니 행복(sukha, 幸福)라느니 평온(upekkhā, 平穩)이라느니 초선初禪의 경지라느니 이선二禪 ... 사선四禪 ... 무소유처無所有處라느니 하면서 인터뷰하는 분들이 오히려 부추기고 있기도 하지요.





경계는 대부분 위빳사나를 하지 않고 집중(禪定)에 맛들이려는 데서 생깁니다. 이것은 사마타의 경지에도 못 들어가는 것이지요. 이런 것쯤은 아비담마 길라잡이의 9장에서 설명하고 있는 열 가지 위빳사나의 경계 축에도 들지 못하는 참으로 가소로운 경계입니다. 남방의 제대로 공부하고 수행한 스님들은 아비담마가 위빳사나요 위빳사나가 아비담마라고 거듭 설하고 계십니다. 초기불전연구원에서 아비담마 길라잡이를 제일 먼저 출판한 이유도 위빳사나 수행법에 대한 튼튼한 이론 체계인 아비담마를 평이하지는 않지만 그러나 중요한 핵심을 거듭 강조하면서 한국에 소개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진지하게 위빳사나 수행을 하시는 몇 몇 한국 스님들과 재가 불자님들은 아비담마를 바르게 이해하지 못하면 결코 위빳사나 수행은 진전이 없다면서 격려해주시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위빳사나 수행이 없는 아비담마는 그야말로 메마른 고담준론일 뿐입니다. 수행을 통한 확인이 없다면 그것은 그냥 어려운 빠알리어나 그것을 그냥 한문으로 옮긴 무슨 뜻인지도 전혀 알 수 없는 기호들의 나열인 듯한 무미건조한 것이 될 소지가 너무 많습니다. 위빳사나 수행이 뒷받침 될 때 아비담마는 지금 여기에서 살아있는 생생한 가르침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입니다.





실제로 자기 자신에서 벌어지고 있는 물物-심心의 현상에 대입하여 관찰하지 않고서는 결코 아비담마를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아비담마 길라잡이를 공동번역하면서 제가 절감한 것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서양 학자들도 아비담마를 Philosophical Psychology(철학적 심리학)라고 소개하는데 이런 지적 탐구를 자신의 심리상태를 돌이켜보는데 적용시키는 가르침이라 이해하고 싶습니다.





출처: 초기불전연구원 http://cafe.daum.net/chobul



[출처] 각묵 스님의 아비담마 왕초보 입문 (Ⅰ)|작성자 향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