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28

希修 |사람을 비난하면 '미움', 죄를 비난하면 '이해'

(20+) 希修 | Facebook



希修  < 사람을 비난하면 '미움', 죄를 비난하면 '이해' >

.

청정도론』이라는 책에서는 사람의 성격적 특징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명상을 추천하는데, 그 성격적 특징에 대한 묘사 중 흥미로운 부분을 우연히 발견했다. Hate와 understand에 대한 대조..

.

“Hate seeks out only unreal faults, while understanding seeks out only real faults. And hate occurs in the mode of condemnining living beings, while understanding occurs in the mode of condemnining formations/fabrications.”

-- 『Visuddhimagga』


.

보통 '이해'라고 하면 '저 사람은 이러 저러 해서 그렇게 한 것이겠지'라고 어떤 사람의 어떤 생각/말/행동을 최대한 '좋은' 쪽으로 합리화해 주는 것을 의미할 때가 많다. 이게 '공감' 혹은 '사랑'이라고 흔히들 생각하고. 하지만 초기불교는 대승불교를 포함한 여타 종교들과 다른 독특한 점들이 몇 가지 있는데, 이것도 그 중 하나. 즉, 부처님은 'metta' (goodwill)는 목숨걸고 지키라고 강조하셨지만, 'pema' (love)에 대해서는 밥을 먹으면 똥이 남고 사랑을 하면 미움과 괴로움과 흐려진 정신이 남는다고 말씀하셨다. 누군가 뭔가를 잘못할 때, 애써 모른 척 하거나 그 생각/말/행동에 대해 변명해 주지 말고, 사람 자체를 비난하지도 말며, 문제가 되는 생각/말/행동 하나만을 impersonal하게 비판!하고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이해!라는 말.

.

불교에서 해탈에 이르는 유일한 길은 '지혜' (탐진치 없는 분별력/통찰력)를 계발하는 것이다. 탐貪과 진瞋도 치癡의 다른 형태일 뿐이니 결국 '치' (어리석음=unskillfulness)의 제거가 핵심. 따라서, 어리석은 생각/말/행동이 발견될 때 그것이 어리석다는 판단과 인지를 정확하게 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그 행위자가 나인가 남인가, 아군인가 적군인가, 윗사람인가 아랫사람인가, 혹은 강자인가 약자인가에 따라 판단이 달라지면 안 된다 - 약자에게 좀더 너그러워야 한다는 것이 사회적으로는 바람직한 관점이지만. 나의 생각/말/행동뿐 아니라 남의 생각/말/행동도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나의 지혜 계발을 위한 일종의 케이스 스터디. 누가 더 잘났냐?의 비교/판단이 목적이 아니며, 선정 외에 일상 속에서의 이런 분별도 병행되어야 지혜가 계발된다.) 

치를 묵인, 부인, 은폐, 두둔해서는 치의 제거가 아예 불가능해지기에, 치는 치라고 보는 것만이, 치에 대해 진을 불태우는 치
(i), 치를 알아차리지도 못하는 치
(ii), 치를 방치/합리화하는 치
(iii)들 사이에서 中道를 지키면서 치를 제거해 나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된다. 

(中道라는 게 무조건 중간값을 취하라는 얘기가 아니고, 극단을 모두 파악한 후 상위 목적에 도움이 되는 건설적인 방법을 택하라는 것으로 나는 이해한다.)

.

그러므로, 뉴질랜드 외교관의 성추행에 대해 강경화 장관이 사과를 거부한 것은, 한국의 국격과 한국의 도덕 수준 둘 다를 낮추는 한국 모독.

.

=============================

.

"우리는 흔히 마음을 이해할만 하면 행동까지 이해해주곤 한다. 특히 자기와 관련한 일이 아닐 때면 쉽게 너그러워진다. 상대에게 공감할 요소가 있거나 나와 닮은 점이 있다면 너그러움은 더욱 커진다. 그러나 딱 거기까지여야 한다. 마음은 이해해주지만, 그리고 용서도 할 수 있지만, 잘못된 행동은 잘못된 행동이다. ... ... 그렇게 행동한 마음은 이해하지만 그 행동은 절대로 안 된다고 말해야 한다. 법적인 책임을 지울 일이라면 책임을 지워야 한다. 마음의 이해와 행동에 대한 대응. 쉽지 않지만 꼭 나눠볼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아이를 제대로 키우고, 세상 문제에도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다."

https://www.facebook.com/drsuh/posts/1372911782729839
서천석의 행복한아이연구소 updated their status.
2tocgS7Spol nlFseobrrutdSadarongymedS 201hc7  · 
<충분히 그럴만 하죠. 이해합니다.>
누군가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말이 그의 행동까지 용납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행동에 이른 과정은 이해할 수 있다. 그의 감정도, 생각도, 마음의 흐름도 이해할 수 있다. 그럴만했겠다며 끄덕일 수도 있다. 그렇다고 행동을 용납해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봐주고 넘어가야 할 것도 아니다.
이해를 하자고 치면 누구의 마음인들 이해를 못하겠는가? 하는 일이 정신과 의사다 보니 어지간한 마음은 다 이해가 간다. 내 앞에 앉아 일대 일로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 그들의 이야기에 늘 고개를 끄덕인다. 그렇다고 그가 범죄를 저지르거나 누군가에게 피해를 입혔을 때 그럴만 하다고 두둔하지는 않는다. 마음은 상대가 없지만 행위는 상대가 있다. 당한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그의 마음만 보고 그의 행동까지 이해할 수는 없다. 그의 행동을 이해해줄 사람은 내가 아니다. 그의 행동에 의해 피해를 입은 사람이고, 누구도 피해 입은 당사자에게 이해하라고 요구할 수 없다.
게다가 마음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럴 수도 있겠다고 생각한다는 의미다. 그럴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조건과 상황은 같아도 반응과 결과는 다를 수 있다. 충분히 그럴 수 있겠다 싶지만 반드시 그래야만 했던 것은 아니다. 살아봐서 누구나 느끼지만 인생의 대부분의 상황에서 우리는 다른 선택을 할 여지를 갖고 있다. 그리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에 이른 과정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그래도 잘못된 선택이라면 선택에 대해 동의할 수는 없다.
우리는 흔히 마음을 이해할만 하면 행동까지 이해해주곤 한다. 특히 자기와 관련한 일이 아닐 때면 쉽게 너그러워진다. 상대에게 공감할 요소가 있거나 나와 닮은 점이 있다면 너그러움은 더욱 커진다. 그러나 딱 거기까지여야 한다. 마음은 이해해주지만, 그리고 용서도 할 수 있지만, 잘못된 행동은 잘못된 행동이다. 용서는 당사자가 하기 전에 남이 먼저 할 일은 아니다. 하지 말아야 할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해야 하고 책임질 일은 책임지게 해야 한다. 그가 책임을 지면 그때는 위로하고 도울 수 있다. 하지만 책임을 면제해선 곤란하다.  
부모교육을 할 때도 부모들이 종종 혼란을 느끼는 부분이 있다. '아이 마음은 받아주지만, 행동은 용납하지 않아야 합니다.' 아이가 자기 마음대로 안 된다고 속상해하고 떼를 쓴다. 그 마음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얼마나 갖고 싶고, 놀고 싶고, 먹고 싶을까? 나도 그때라면 이렇게 떼를 쓰고 싶을지도 모르겠다. 아이의 속상한 마음이 충분히 공감된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다. 공감된다고 아이의 떼를 받아서 요구를 들어주면 곤란하다. 그러면 아이의 떼는 점점 심해진다. 모든 문제를 떼쓰기로 풀려고 한다. 아이를 안타까운 표정을 보면서도 요구만은 들어주지 않는 것. 속상해하면 인정해주고 토닥여도 주지만 부탁은 들어주지 않는 것. 떼쓰는 아이를 다룰 때 가장 중요한 부모의 자세다.
마찬가지다. 마음과 행동은 다르다. 마음은 이해해주자. 오죽하면 그렇게 했겠냐고 위로할 수 있다. 하지만 해선 안 되는 행동은 해선 안 되는 것이다. 그렇게 행동한 마음은 이해하지만 그 행동은 절대로 안 된다고 말해야 한다. 법적인 책임을 지울 일이라면 책임을 지워야 한다. 마음의 이해와 행동에 대한 대응. 쉽지 않지만 꼭 나눠볼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아이를 제대로 키우고, 세상 문제에도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다.
.

=============================

.

*업이론과 사무량심: 사회적 아닌 개인적 차원에서의 얘기.

.

(A) khanti / forgiving / 용서: '정의 실현'은 karma가 할 것이므로 내 손으로 복수/처벌하고 싶은 마음은 깨끗이 버림. 재발 방지를 통해 타인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의 법적 처리가 필요하다면 하되, 미움이나 恨같은 personal한 감정은 갖지 말라는 뜻. 관계 회복/화해와 전혀 별개.

.

(B) metta / goodwill / 慈: 상대방이 지혜를 통해( =업의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탐진치를 줄여 나감으로써) 스스로! 진정한 행복에 도달하기를 기원하는 것. 

누군가를 좋아하거나, 긍정적으로 평가하거나, 기분을 맞춰 주거나, 편한/친밀한/즐거운 관계를 유지하는 등의 일은 metta의 본질과는 무관. 서로를 옭아매는 온갖 기대, 원망, 집착, 소유욕 등으로 귀결되기가 너무나 쉽고 본질적으로 감정적인 pema / love / 사랑을 부처님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으셨음. 그래서 밥을 먹으면 똥이 남고 사랑을 하면 미움과 고통과 흐려진 정신이 남는다고 말씀하신 것. (뉴에이지에서는 heart가 head보다 우월하다 말하지만, 부처님은 냉철한 이성과 비판적 사고를 중시하셨음. 탐과 진도 실은 치/무지/망상에서 기인하는 것이니 당연한 결과. 물론, 팔정도를 완성!한 후에는 모든 관념/이성마저 초월.) 하지만 동시에, 강도가 자신의 팔다리를 하나씩 잘라내고 있는 와중에도 상대에 대해 유지해야 하는 태도가 metta임. 즉, metta는 감정 앞에서 약해지는 유교적 仁이 아니라 오히려 이성적 의지에 가까움.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72471653124917&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

(C) karuna / compassion / 悲: 상대방이 지혜를 통해 스스로! 고통/불운을 종식시키기를 바라는 마음 or 그 과정에서 상대방을 돕고자 하는 의지. 아기가 죽어 울고 있는 여인 Kisa Gotami에게 부처님은 따뜻한 위로 대신 "마을에 내려가 일가 친척 누구 하나 죽은 적 없는 가문을 찾아 내어 그 집에서 겨자씨를 빌려 가져오라"는 말씀을 하셨음. 그동안 윤회해 온 억겁의 세월에 비하면 이승에서의 100년은 찰나에 불과하고 앞서거니 뒤서거니 비교하는 자체도 무의미하니, 이런 괴로움이 싫다면 더이상 헤매지 말고 어서 해탈하라는 뜻. 불교의 'karuna'는 상식적으로 흔히 생각하는 '공감'과 다름.

.

(D) mudita / empathetic joy / 喜: 상대방이 지혜를 통해 스스로! 복을 짓기를 기원하는 마음 or 그런 과정을 통해 얻은 상대방의 행복에 대해 함께 기뻐하는 것.

.

(E) upekkha / equanimity / 捨: 현재의 노력만으로 당장 달라질 수 없는 부분 (예: 현재에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도 더이상 희석되지 않는 과거 업의 결과, 타인의 선택 등)에 대한 인내심, 어리석음을 고집하는 이에 대한 평정심. (도박 끊을 생각조차 아예 없는 사람 때문에 속 끓이지 말고 도박을 끊으려는 노력을 하기는 하는데 아직 못 끊고 있는 사람이나 도와 주라는 말.)

.

(F) 31 윤회계의 모든 존재들에 대해 무한정으로 베풀어야 하는 마음이라는 뜻에서 자비희사의 넷을 四無量心이라고 부르는데, 이 넷과 용서는, 업의 인과관계를 정확히 이해만 하면 의식적으로 노력하지 않아도 자연스레 귀결되는 태도임. '착함', '상대가 바라는 대로 해 주기' 등과 무관하고, 감정적/'인간적' 차원 아닌 업으로 관통해야 바른 해석이라는 것이 타니사로 스님의 가르침. 당신의 업/해탈에 대한 문제는 당신 자신의 수행에 달렸을 뿐 그 누구도, 심지어 부처님조차 어떻게 도와 줄 방도가 없다는 것이 불교의 기본 전제. 궁극적인 의미에선 부처님도 나를 도와 줄 수 없으니, 인간들 사이에서 주고 받는 '도움'이라는 것은 '근본적' 아닌 '부수적'/'일시적'일 뿐이라는 얘기.

.

(G) karuna / compassion을 '상대의 감정을 무조건 옹호해 줌' or '함께 슬퍼함'으로 해석하는 것은 '悲'라는 번역에서 기인하는 오해:

.

(G-i) 'Compassion' usually means that you suffer together, but 'karuṇā' does not. A physician needs to understand his patients, but, if he suffers with his patients, he won't be able to help them. ... ... A bodhisattva should be able to have the kind of love (such) that (she) can (be) happy for her and understand the suffering of other people, in order to be able to help them out ... ... If you are a psychotherapist and if you have enough joy, love, patience and understanding in you, ... you won't be overwhelmed by the suffering of those who come to you. 

-- Thich Nhat Hanh

https://www.youtube.com/watch?v=C-wa1cvoJI0

.

(G-ii) A true compassion is not about commiserating. Avoid commiserating with other people’s problems, so that you don’t get caught in their mental construct. 

-- Eckhart Tolle

https://www.eckharttollenow.com/new-home-video/default.aspx?shortcode=y1f1yo

.




希修



7tn SApoaprnsurotifolodred ·



#78. [Source] "Metta Means Goodwill" (Not Lovingkindness) https://www.dhammatalks.org/books/BeyondAllDirections/Section0007.html?fbclid=IwAR3fWTy5Yd1Wz_SGCgB3R2FAbgbeiNRERBDrr2tk7_glbUfghUWlzY2e6Uc

[Extract] ... ... Metta is a wish for happiness—true happiness. ... ... Many people define it as “lovingkindness,” implying a desire to be there for other people: to cherish them, to provide them with intimacy, nurture, and protection. ... ... But ... there are a lot of them who—like the snake—would react to your lovingkindness with suspicion and fear. Rather than wanting your love, they would rather be left alone. Others might try to take unfair advantage of your lovingkindness, reading it as a sign either of your weakness or of your endorsement of whatever they want to do. In none of these cases would your lovingkindness lead to anyone’s true happiness.

... metta is not necessarily an attitude of lovingkindness. It’s more an attitude of goodwill—wishing the other person well, but realizing that true happiness is something that each of us ultimately will have to find for him or herself, and sometimes most easily when we go our separate ways.

... ... The Buddha never recommends developing universal pema—for, as he notes, love can easily lead to hatred when the people you love are ill-treated by others—but he does recommend developing universal metta: friendliness for all. The fact that this friendliness equates with goodwill is shown in the four passages in the Canon where the Buddha recommends phrases to hold in mind when developing thoughts of metta.

(1) "May these beings—free from animosity, free from oppression, and free from trouble—look after themselves with ease." — AN 10:176

... ... You’re not saying that you’re going to be there for all beings all the time. ... ... “May all beings be happy. May they be able to look after themselves with ease.” That way they can have the happiness of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2) "Let no one deceive another
or despise anyone anywhere,
or through anger or resistance
wish for another to suffer." — Karaṇīya Metta Sutta


... you wish not only that beings be happy, but also that they avoid the actions that would lead to bad karma, to their own unhappiness. ... For people to find true happiness, they have to understand the causes for happiness and act on them. They also have to understand that true happiness is harmless. If it depends on something that harms others, it’s not going to last.

So again, when you express goodwill, you’re not saying that you’re going to be there for them all the time. You’re hoping that all beings will wise up about how to find happiness and be there for themselves.

(3) "As a mother would risk her life
to protect her child, her only child,
even so should one cultivate a limitless heart
with regard to all beings." — Karaṇīya Metta Sutta


... ... instead of drawing a parallel between protecting your only child and protecting other beings, he draws the parallel between protecting the child and protecting your goodwill. This fits in with his other teachings in the Canon. Nowhere does he tell people to throw down their lives to prevent every cruelty and injustice in the world, but he does praise his followers for being willing to throw down their lives for their precepts. ... ... This is why the Buddha explicitly recommends developing thoughts of metta in two situations where it’s especially important—and especially difficult—to maintain skillful motivation: when others are hurting you, and when you realize that you’ve hurt others. ... ...

(4) "I have made this safeguard,
I have made this protection.
May the beings depart." — AN 4:67


... the truth that living together is often difficult ... and the happiest policy for all concerned is often to live harmlessly apart.

... ... Metta is better thought of as goodwill, and for two reasons. 
The first is that goodwill is an attitude you can express for everyone without fear of being hypocritical or unrealistic. It recognizes that people will become truly happy not as a result of your caring for them but as a result of their own skillful actions, and that the happiness of self-reliance is greater than any happiness that comes from dependency. 
The second reason is that goodwill is a more skillful feeling to have toward those who would react unskillfully to your lovingkindness. ... ... people you’ve harmed in the past ... ... people who, when they see that you want to express lovingkindness, would be quick to take advantage of it. ... ...

... ... If you truly feel metta for yourself and others, you can’t let your desire for warm feelings of love and intimacy render you insensitive to what would actually be the most skillful way to promote true happiness for all.

[cf.] Mettā (Goodwill)

(i) #78.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72471653124917&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ii) #169.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3916179980464&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iii) #170.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3917406647008&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iv) #171.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3917983313617&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v) #180.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3963433309072&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vi) #181.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4038103301605&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vii) #182.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4735436565205&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cf.] Whom, when, how and how much to help:

(viii) #111.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81575188881230&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ix) #149.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
1094889330883149&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x) #44~#51.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68501266855289&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xi) #172.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3918676646881&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

[希修] You don't even have to try hard to like, please, pamper, think positively of, take care of or maintain a 'happy' personal relationship with someone. As long as you wish the person to reach true happiness on her own! by thinking, speaking and acting 'skillfully' (with no or less greed, anger and delusion/ignorance), it is goodwill (metta). As long as you drop your desire to revenge, it is forgiving. The essence of all these five (forgiving and the four sublime states) is in fact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karma; they are not about being gullible or self-sacrificing but about cause and effect.

Why does anyone help other beings? 
(a) Because goodness or virtue helps to mitigate the consequences of one's own past bad karmas; 
(b) Because suffering tends to spill over and spreads to everyone around; 
(c) Because even those who made some bad karmas in the past deserve compassion. 

Although Buddhism says that everyone deserves compassion (the kind of mind a medical doctor would have toward a patient), Buddhism does not say everyone deserves love automatically.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89258058112943&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 metta, goodwill, not lovingkindness, true happiness, action, skillful, harmless, independence, self-reliance.


4You, 崔明淑 and 2 others

1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