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17

정동 (심리학) - 위키백과, 情動 Affect

정동 (심리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동 (심리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동(Affect)은 심리학(psychology)에서 감정(feeling), 정서(emotion), 기분(mood)에 대한 잠재된 경험을 말한다.[1]

정동의 측면[편집]

정동상태(Affective state)는 정신-생리학적 구성체이다. 이는 정신과 신체 과정을 연결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최근의 관점에서 정동은 감정가(valence), 각성(arousal), 동기적 강도(motivational intensity) 세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2]

  • 감정가(Valence)는 한 개인이 겪었던 일에 대한 그 자신의 정적 평가(positive evaluation) 혹은 부적 평가(negative evaluation)의 주관적 스펙트럼을 말한다. 정서적 감정가(Emotional valence)는 정서의 영향, 정서가 유발하는 환경, 주관적 감정이나 태도를 말한다.[3]
  • 각성(Arousal)은 교감신경계통(sympathetic nervous system)의 활성화로서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하지만, 자기보고서(self-report)를 통해서 주관적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 동기적 강도(Motivational intensity)는 행동하려는 충동[4] 즉 자극을 추구하거나 자극으로부터 멀어지려는 추동(urge)의 강도와 자극과의 상호작용 여부를 말한다. 단순히 움직임은 접근 동기(approach motivation)나 회피 동기(avoidance motivation)로 간주되는 것이 아니다.[5] 각성은 동기적 강도와 다르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은 중요하다. 각성이 동기적 강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구성체인 반면, 동기가 반드시 행동을 수반하는 반면 각성은 그렇지 않다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6]

정동 표현[편집]

정동은 정동 표현(affect display, 목소리, 표정, 몸짓 등으로 정서나 정동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의미한다(APA 2006).[7]

효과[편집]

심리학에서 정동은 유기체(organism)의 자극(stimuli)과의 상호작용을 초래한다.

정동은 인지 범위(cognitive scope, 인지과정의 폭[8])에 영향을 준다. 우선 정적 정동(positive affect)은 확장되지만 부적 정동(negative affect)은 인지 범위를 좁힌다.[2] 그러나 동기적 강도가 높은 정동은 인지 범위를 좁히지만 동기적 강도가 낮은 정동은 그것을 넓힌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다. 인지 범위 구성체는 인지심리학(cognitive psychology)에서 가치가 있다.[2]

정동 내성[편집]

정동 내성(affect tolerance)에 관한 정신과의사 제롬 사신(Jerome Sashin)의 한 연구논문에 의하면, 정동 내성은 주관적인 감정 경험에 의하여 정동을 환기시켜준다고 보는 자극에 반응하는 능력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9] 따라서 이는 정서와 감정에 반응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정동 내성이 낮은 사람은 어떠한 정서나 감정에 대한 반응이 거의 없을 것이다. 감정불감증(alexithymia)과도 연관되어 있다.

감정불감증은 정서 인지 부족, 감정의 정의와 묘사의 어려움, 정서적 각성의 신체 감각과 감정을 구분하는 것의 어려움을 포함하는 준임상적 현상을 말한다.[10] 즉 감정불감증이란 개인이 자신의 정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그것을 설명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아 사무르(Dalya Samur)와 동료들에 의하면[11] 감정불감증 환자는 높은 자살률,[12] 상당한 정신적 고통,[13] 높은 사망률[14]을 보여주었다.

정동 내성[15][16] 요소는 불안 민감도(anxiety sensitivity),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intolerance of uncertainty), 정서적 고통에 대한 내성(emotional distress tolerance)이 있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마음챙김(mindfulness)을 통해 보강될 수 있다.[17] 마음챙김은 부드럽고 유쾌한 방식으로 감정, 사고, 감각, 주변 환경 자극을 인식하는 훈련을 말한다. 마음챙김은 주관적 행복을 늘리고 정신적 증상과 정서적 반응성을 낮추며 행동의 자제력을 높인다.[18]

행동과 인지와의 관계[편집]

정동 영역(affective domain)은 현대 심리학에서 말하는 세 구역(division) 중 하나를 말한다. 다른 두 영역은 행동(behavior)과 인지(cognition)에 관한 것이다. 고전적으로 이 구역들은 '심리학의 ABC'라고 한다.[19] 그러나 어떤 관점의 경우 인지 영역은 정동 영역의 일부이거나, 정동 영역은 인지 영역의 일부라고 본다.[20] 정동 상태와 인지 상태는 단순한 분석적 범주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21]


정동의 원인에 관한 본능적 인지적 요인[편집]

정동은 전형적인 인지 과정이 한층 복잡한 정서 형성에 필요하다고 생각되기 전에 발생하는 자극에 대하여 발현하는 본능적 반응이라고도 볼 수 있다. 로버트 자욘스(Robert B. Zajonc)는 이러한 자극에 대한 반응이 인간에게 필수적으로 중요하며 인간이 아닌 다른 유기체에게 있어서도 지배적인 반응이라고 본다. 자욘스는 정동적 반응이 확장된 지각적 부호화(perceptual encoding)와 인지적 부호화(cognitive encoding) 없이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인지적 판단(cognitive judgment)보다 앞서 발생하고 인지적 판단보다 더 확신이 있다고 본다.(Zajonc, 1980).

라자러스(Lazarus)의 1982년 연구논문 등에서는, 정동이 후인지적(post-cognitive)이라고 본다. 즉 정동은 정보에 대한 인지적 처리 과정이 어느 정도 달성된 이후에야 유도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희노애락과같은 정동적 반응은 다양한 식별을 만들어내는 각각의 다른 사전적 인지 과정에서 유래하며, 특성들을 규명하고 그런 특성들이 가치를 발견할 수 있을지 시험하며, 공헌도에 따라 가치평가를 한다(Brewin, 1989). 러너 •켈트너(Lerner and Keltner)의 2000년 연구 등에서는 정동이 전인지적(pre-cognitive)이거나 후인지적(post-cognitive)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최초의 정서적 반응은 사고를 낳고, 사고는 정동을 낳는다. 일부 학자들은 더 나아가 정동은 인지의 합리적 모형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하다고 본다.(Damasio 1994).

정서의 협의적 강화 모델로부터의 분기는 정동이 정서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것과 관련한 관점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기질(temperament), 인지 발달(cognitive development), 사회화 유형(socialization pattern), 가족이나 하위문화의 관습(idiosyncrasy)은 비선형적으로 상호작용한다. 반응성이 높은데 비하여 자기 위안(self-soothing) 능력이 낮은 영아는 생후 몇 개월 동안 불균형적으로(disproportionately) 정서 조절 과정에 영향을 준다.(Griffiths, 1997)

지리학이나 인류학에서는 최근 정동 개념을 도입하였다. 프랑스 정신분석학에서, 정동 분야에 기여하는 요소는 정신분석학자 안드레 그린(André Green)이다.[22] 정동에 주목하는 것은 질 들뢰즈(Gilles Deleuze) 연구에서 유래하였으며, 지정학적, 도시 삶, 물질 문화와 같은 기존 담론에 정서적 감정적 관심을 가져다 주었다. 또한 객관적 실재성(objectivity) 소멸이라는 개념을 지배하는 신체적 힘(somatic power)를 강조함으로써 사회과학의 방법론에도 도전하고 있으며, 따라서 현대 비표상이론(non-representational theory)과도 연관되어 있다.[23]

역사[편집]

사람들이 무엇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지 등의 사회적 심리적 정동 선호(affective preference) 연구에서 많은 실험들이 수행되어 왔다. 특정 연구는 선호(preference), 태도(attitude), 인상 형성(impression formation), 의사결정(decision-making)과 같은 것에 수행되어 왔다. 이 연구는 인지 기억(recognition memory), (옛 판단, 새로운 판단)의 발견을 대비시켜, 연구자가 이 둘의 구분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정동 기반 판단(affect-based judgment)과 인지 과정은 두드러진 차이로 조사되었으며, 일부는 정동과 인지가 다양한 방향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분리되어 있거나 일부분 독립되어 있는 체계의 통제 하에 있다고 주장한다(Zajonc, 1980). 정동과 인지 모두 정보 처리 체계 내에서의 효과의 독립적 자원을 구성한다. 정서란 유기체와 환경 간의 적응 처리과정(adaptational transaction)이 예견되거나 실제로 경험되었거나 상상된 결과물이라고 보기도 한다. 따라서 인지적 평가 절차(cognitive appraisal process)는 정서 발달과 표현의 핵심이다(Lazarus, 1982).

심리 측정[편집]

정동은 모든 문화에 걸쳐 정적 부적 양 차원을 구성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어 왔다. 가장 흔한 학술연구 측정방식은 정적부적정동척도(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이다.[24] PANAS는 북미를 배경으로 개발된 어휘 측정 방식으로, 정적 정동으로 excitedalertdetermined이나 부적 정동으로 upsetguiltyjittery 등의 20개 단어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그러나 PANAS 항목 일부는 불필요하거나 북미 이외 문화권 영어시용자에게 모호하였다. 그 결과 짧은 형태의 I-PANAS-SF가 개발되었는데, 두 개의 5항목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적 신뢰성, 교차견본적 교차문화적 계승 불변성, 일시적 안정성, 수렴적 유효성, 기준 관련 유효성을 보인다.[25]

므로첵(Mroczek)과 콜라르츠(Kolarz)도 정적 부적 정동 측정 척도를 개발하였다.[26] 각 척도는 6힝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척도는 모든 문화에 걸쳐 수용 가능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보였다.[26][27][28]


무의식 정동과 지각[편집]

지각(perception)과 관련하여, 무의식 정동 유형은 환경적 자극의 인지 처리와 분리될 수 있다. 지각의 단일계층(monohierarchy of perception), 정동, 인지는, 선호와 차별의 감각 및 처리 과정 중에 각성(arousal), 주의력(attention) 경향, 정동적 수위(affective primacy) (Zajonc, 1980), 진화적 제약(evolutionary constraint) (Shepard, 1984; 1994), 은닉 지각(covert perception) (Weiskrantz, 1997)의 역할을 담당한다. 정서(emotion)는 특정 자극으로 촉발되는 사건의 복잡한 연쇄과정이다. 일부분만 아는 것으로 정서를 완벽하게 묘사할 수는 없다. 무엇을 정확히 느끼는지를 모르거나 동시에 다른 정서를 느끼기 때문에 감정(feeling)을 말로 표현하는 것은 부정확하다. 자기 감정을 숨기려는 상황도 있으며, 공적 시적 사건이 정확히 우연히 일치하는 경우는 없다거나, 감정을 의미하는 말이 사물이나 사건을 의미하는 말보다 모호하다고 믿는 사람도 있다. 따라서 무의식 정서는 Implicit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est (IPANAT; Quirin, Kazén, & Kuhl, 2009)와 같이, 자기보고를 꺼리는 측정방식으로 측정되어야 한다.

정동반응(affective response)은 평가항목에서 보다 근본적이고 문제가 덜하다. 브루윈(Brewin)은 다양한 정동 경험(affective experience) 사이의 비인지적 관계(non-cognitive relation)의 틀을 구성하는 경험적 과정 두 개를 제안하였다. 무의식 과정(non-conscious process)과 같은 선천적 기질(prewired disposition)은 전체 자극 집합체 중에 인과적 관계가 있는 자극을 선택할 수 있으며, 기억에 저장된 데이터와 관련하여 이러한 기준을 지각 돌출(perceptual salience), 시공간적 단서(spatiotemporal cue), 예측적 가치(predictive value)로 사용한다.(Brewin, 1989, p. 381) 다른 하나는 잠재의힉 처리과정(subconscious process)과 같은 자동적(automatic)인 것으로, 신속하고 비교적 덜 유연하며 수정하기 어려운 것으로, 최소의 주의력이 필요하며, 의도(intention)나 인식(awareness) 없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이다(1989 p. 381). 그러나 정동과 정서 간의 차이에 대해서 주목해야 한다.

각성[편집]

각성(arousal)은 자극 발생에 대한 기본적인 생리학적 반응이다. 각성이 발생하면 무의식적 정동 과정은 작동(mobilizing)과 비작동(immobilizing) 두 통제 기제(control mechanism)를 취한다. 인간의 두뇌에서 편도체(amygdala)는 각성 과정을 발동하는 본능적 반응을 조절, 각성 중지(freezing)나 동작 가속화(accelerating mobilization)한다.

각성 반응(arousal response)은 음식 탐색 행동을 조절하는 보상체계(reward system)에 주목한 연구에서 묘사되어 있다(Balleine, 2005). 연구자들은 목표치(goal value) 부호화와 후퇴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 과정(learning process)과 조절 과정(modulatory process)에 주목하였다. 한 유기체가 음식을 찾을 때, 환경적 사건에 기반한 보상의 예측은 음식 자체가 주는 보상과는 다른 음식 탐색 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된다. 따라서 보상을 얻거나 예측하는 것은 분리된 처리과정이고 둘 다 보상 관련 단서의 흥분성 영향력을 만든다. 두 처리과정 모두 편도체 수준에서 해리되며 더 큰 신경체계(neural system) 내에서 기능적으로 통합된다.


동기적 강도와 인지 범위[편집]

인지 범위 측정[편집]

인지 범위는 주의력, 지각, 범주화(categorization), 기억력 등의 과업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인지 범위가 확장되거나 축소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플랭커 주의력 과업(flanker attention task, 플랭커는 미식축구의 좌우 측면 공격수를 의미, 가운데 글자와 양 옆에 서 있는 두 글자를 맞추는 시험이라서 이런 이름을 붙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H"와 "N"을 사용하여, 참가자들은 "HHHHH"처럼 5개의 문자가 모두 같을 때 혹은 "HHNHH"처럼 양쪽 플랭킹 문자(flanking letter)들이 가운데 글자와 다른 경우 가운데 글자가 무엇인지 가급적 빨리 맞춰야 한다.[29] 가운데 글자가 나머지 4개보다 다를 때에 비하여 5개 모두 같을 때반응시간이 크게 다를 경우, 인지 범위가 확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29] 다른 연구에서는 네이본 주의력 과업(Navon attention task)을 사용한다. 큰 글씨는 작은 글씨들로 이뤄지는데, 작은 L이나 F가 모여 T나 H 모양을 이루거나 반대로 작은 T나 H가 모여 L과 F 모양을 이루기도 한다.[30] 작은 문자보다 큰 문자에 먼저 반응하면 인지범위 확장이라고 하는 반면, 큰 문자를 이루고 있는 작은 문자에 먼저 반응하면 인지범위가 축소되었다고 본다.[30] 자원 감시 패러다임(source-monitoring paradigm)도 얼마나 많은 맥락 정보를 감지하는지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참가자들은 스크린을 보고 3초마다 한 단어씩 연속적으로 단어를 보여주고 이를 암기하고, 단어가 스크린 좌측에서 나왔는지 우측에서 나타났는지 기억해야 한다.[31] 단어들은 색칠한 상자에 들어가 있지만, 참가자들은 어떤 색의 상자에 어떤 단어가 들어가 있는지를 질문 받는 것을 미리 알지 못한다.[31]

주요 연구 성과[편집]

동기 강도(Motivation intensity)는 특정 자극에 다가가거나 멀어지려는 충동(urge)의 강도를 밀한다.[2]

분노 정동 상태(anger affective state)와 공포 정동 상태(fear affective state)는 방송용 영화 필름(film clip)을 통해 유도되고, 많이 다르지 않은 반응시간의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플랭커 과업(flanker task)에 더 많은 선택적 주의력(selective attention)을 부여하고, 플랭킹 문자가 중간 글자와 다를 때에도 그렇다.[2][29] 분노와 공포 모두 높은 동기적 강도가 있는데, 고함지르는 사람이나 똬리를 튼 뱀과 같은 분노 혹은 공포 자극을 직면할 때 행동에 필요한 추진력(propulsion)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기적 강도가 높은 정동은 인지범위를 축소시켜서 표적정보(target information)에 더 집중하도록 만든다.[2][29] 슬픈 그림을 본 후에 참가자들은 네이본 주의력 과업에서 큰 문자를 더 빨리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인지범위가 전체적(global)이고 확장된 것을 의미한다.[2][30] 슬픔의 정서는 동기적 강도가 낮다고 보기도 한다. 그러나 역겨운 사진을 본 후에 참가자들은 큰 문자를 이루고 있는 작은 문자들을 먼저 알아차리게 되는데 이는 인지범위가 지엽적(localized)이고 축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2][30] 역겨움(disgust)은 동기적 강도가 높다. 따라서 동기적 강도가 높은 정동은 인지 범위를 축소시켜 중심정보(central information)에 더 집중하게 만든다.[2][29][30] 반면 동기적 강도가 낮은 정동은 인지범위를 넓혀서 전체적 해석(global interpretation)을 하게 한다.[30] 동작과 행동이 필요한 자극이 유도하는 높은 동기적 강도의 정동에 초점을 맞추는 '목표지향적 행동(goal-directed behavior)'으로 인하여, 각각의 정동 상태에 따라 인지범위가 변화하는 것은 진화적으로 적응적 행동에 해당한다.[32] 예를 들어, 인류 초기에, 두려운 자극에 해당하는 사자를 발견하는 것은 부적이고도 높은 동기의 정동 상태인 공포를 유도하고, 이로 인해 인류는 도망치게 되었다. 이 경우 목표는 죽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

부적 정동 상태를 넘어서서, 연구자들은 부적 혹은 정적 정동 상태가 동기적 강도의 고저 사이에서 다양한지 여부를 실험하고자 하였다. 이 이론을 평가하고자, 하몬-존스(Harmon-Jones), 게이블(Gable), 프라이스(Price)는 실험을 만들어 내었다. 식욕을 돋구는 그림물감과 네이본 과업을 이용하였는데, 이는 네이본 문자 탐지 실험과 함께 주의력 범위(attentional scope)를 측정하게 하였다. 네이본 과업은 중립 정동 비교 조건(neutral affect comparison condition)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중립 상태(neutral state)는 중립적 자극과 함께 주의력을 확장시키게 한다.[33] 이들은 넓은 주의력 범위는 큰 문자를 먼저 탐지하게 하는 반면 주의력 범위가 축소되면 작은 문자를 먼저 탐지하게 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실험 결과 식욕을 돋구는 자극은 주의력 범위를 축소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나아가 실험주도자들은 참가자들에게 그림에 보이는 디저트를 먹어도 된다고 이야기함으로써 식욕을 돋구는 자극에 대한 주의력 범위를 더 좁혔다. 결과는 주의력 범위가 넓어지면 큰 문자를 빨리 탐지하고 좁아지면 작은 문자들늘 빨리 탐지한다고 나옴으로써, 이들의 가설이 옳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나아가 브래들리(Bradley), 코디스포티(Codispoti), 커스버트(Cuthbert), 랑(Lang)은 물감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식욕 자극 대신 국제 정동 그림 시스템(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에 있는 자극들을 사용하였다. 이미지 세트는 뱀, 벌레, 공격장면, 사고, 질병, 상실에 관한 불유쾌한 그림들이었다. 이들은 불쾌한 그림이 방어적 동기 강도 반응(defensive motivational intensity response)을 자극하고, 이것이 땀샘 반응(skin gland response)이나 심장박동 저하(cardiac deceleration) 등의 강한 정서적 각성을 불러온다고 보았다.[34] 참가자들은 정서적 역가(emotional valence), 각성, 자기평가 마네킹 평가척도(Self-Assessment Manikin (SAM) rating scale)에 근거한 그림들을 평가하였다. 결과는 가설과 일치하였으며, 정서는 식욕이나 방어체계 활성화의 강도를 통하여 동기적으로 조직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34]

2013년 연구에 앞서, 하몬-존스와 게이블은 접근동기강도(approach-motivation intensity) 혹은 좌측전두골 중간 활성화(left frontal-central activity)와 관련된 신경 활성화(neural activation)가 주의력 축소에 메치는 식욕 자극 효과를 촉발하는지를 검사하는 실험을 하였다. 또한 이들은 접근동기의 개인별 차이가 주의력 축소와 연관되어 있는지도 시험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연구자들은 식욕을 돋구는 중립적인 사진을 사용한 네이본 과업을 사용하여 참가자들이 마지막으로 밥 먹은 이후로 몇 분이 되었는지를 말하게 하였다. 신경 활성화 측정을 위해 연구자들은 뇌파검사(electroencephalography)와 인구운동 기록(recorded eye movement)을 이용하여 접근동기에서 어느 뇌영역을 사용하는지 알아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좌측 측두엽 중반구(left frontal-central hemisphere)가 접근동기 과정과 주의력 축소와 관련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가설을 증명하였다.[33] 일부 심리학자들은 공복인 사람은 좌절감(frustration)으로 인하여 좌측 전두골-중두골(left frontal-central)이 증가된 것이라고 우려하였다. 그러나 연구가 디저트 그림은 공복인 참가자들에게서도 정적 정동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이런 언급이 틀렸음이 증명되었다.[33] 연구결과는 인지범위 축소가 목표 성취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임상 적용[편집]

이후 언구자들은 동기적 강도를 임상 적용과 연결지었고, 알코올 관련 그림이 알코올 섭취 동기가 강한 사람들에게 주의력을 축소시켰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들은 알코올과 관련된 중립적 그림들에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참가자들을 실험하였다. 그림이 스크린에 나온 후 참가자들은 주의력 초점(attentional focus)을 평가할 테스트를 마쳤다. 연구결과는 알코올 그림에 노출되면 알코올 섭취에 동기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에게 주의력 초점 축소를 야기시켰다.[35] 그러나 중립적 그림은 주의력 초점을 조종할 알코올 동기와 연관이 없었다. 알코올 근시 이론(Alcohol Myopia Theory, AMT)에 의하면, 알코올 섭취가 기억 내 저장 가능 정보량을 감소시키고, 또한 주의력을 축소시켜서 몸에 가까운 물체나 눈에 띄는 자원들만이 주의력 범위에 포함되게 된다고 말한다.[35] 주의력 축소는 술에 취하지 않았을 때보다 술에 취했을 때 더 극단적인 결정을 내리게 한다. 연구자들은 약물 관련 자극이 약물 복용 동기가 강렬하고 높을 때 주의력을 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동기적 강도와 단서 유도 주의력 축소(cue-induced narrowing of attention)는 알코올 섭취에 대한 최초 결정을 형성하는 독특한 역할을 수행한다.[35] 2013년, 미주리대학(University of Missouri) 심리학자들은 스포츠 성취 지향과 알코올 결과물 간에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이들은 대학팀 선수들에게 스포츠 지향 설문(Sport Orientation Questionnaire)을 작성할 것을 요청하였다. 설문은 경쟁성(competitiveness), 승리지향(win orientation), 목표지향(goal orientation)이라는 세가지 척도로 스포츠 성취 지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참가자들은 알코올 사용과 알코올 관련 문제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목표지향은 알코올 사용과 관련있으나 알코올 문제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36]

정신병리학적 차원에서, 우울증상을 보이는 대학생들은 자원 감시 패러다임 과업에서 무관한(nonrelevant) 것으로 보이는 맥락 정보들을 더 잘 찾아냈다.[31] 즉 우울증상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라여 단어가 들어간 상자 색깔을 더 잘 맞췄다.[31] 낮은 동기적 강도인 슬픔은 보통[37] 우울과 관련되어 있어, 슬픔이 더 큰 학생들이 맥락 정보에 더 폭넓은 주목을 보인다는 것은, 동기적 강도가 높은 정동은 인지 범위를 축소시키는 반면, 동기적 강도가 낮은 정동은 인지 범위를 확장한다는 것을 증명한다.[2][31]

동기적 강도 이론에서는 성공의 중요성과 얽힌 과업의 어려움은 에너지 투입 정도를 좌우한다고 말한다.[38] 이론은 세 개의 주층이 있다. 최내부층(innermost layer)은 인간의 행동이 가능한 많은 에너지를 보존하려는 욕구로 유도된다는 것이다. 인간은 에너지 낭비를 피하여서 과업 완수에 필요한 정도의 에너지만을 사용한다. 중간층(middle layer)은 성공의 중요성과 연관된 과업의 어려움과 이것이 에너지 보존에 영향을 주는 방식에 주목한다. 명료하거나 명료한 않은 과업 난도의 상황에 에너지를 투입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최후층(last layer)은 각각 다른 과업 난도에서 가능한 옵션이 있을 때 투입되는 에너지를 예측하는데 중점을 둔다.[38] 가능한 과업 난도 옵션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한다. 동기적 강도 이론은 연구에 있어 논리적이고 일관된 틀을 제공한다. 연구자들은 노력이란 에너지 투입이라는 것을 상정하는 방식으로 한 개인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동기적 강도 이론은 목표 주목성(goal attractiveness) 변화와 에너지 투입이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보여주는데 이용된다.

기분[편집]

기분(Mood)은 정서(emotion)처럼 정동 상태(affective state)에 해당한다. 그러나 정서가 명료한 초점이 있어 원인이 자명한 반면, 기분은 초점이 없고 산만한 편이다.[39] 베이트슨(Batson), 쇼(Shaw), 올레슨(Oleson)의 1992연 연구에 의하면, 기분은 톤과 강도, 장래에 겪게 될 희노애락의 경험이나 부적 정적 정동에 대한 일반적인 기대에 관한 신념 구조가 있다. 정동이나 정서를 만들고 미래의 희노애락에 대한 기대에 따라 변하는 즉각 반응(instant reaction)과 달리, 기분은 모호하고 초점이 흐릿하여 다루기 힘들며 며칠, 몇달, 몇년까지 지속될 수 있다(Schucman, 1975). 기분은 개인의 정서 상태를 설명하는 가설적 구성요소이다. 연구자들은 보통 다양한 행동 지시대상(behavioral referent)으로부터 기분의 존재를 추론한다(Blechman, 1990). 상습적인 부적 정동(negative affect)과 부적 기분(negative mood)은 신경증(neuroticism) 정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40]

정적 정동과 부적 정동(PANAS)은 각각 독립적인 영역을 형성하며, 정적 정동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적 혹은 부적 일상 사건은 주관적 행복과는 거리가 먼 관계를 보이며, 정적 정동은 사회활동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기능적 지지(functional support)가 높으면 정적 정동이 높다고 밝혀졌다. 부적 정동 각성과 백색소음(white noise)에 관한 연구에서, 세이드너(Seidner)는 타인종의 말을 폄하하는 부적 정동 각성 기제에 대한 증거를 발견하였다.[41]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가 정적 정동과 연관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는 과정은 분명하지 않다. 이러한 과정은 예측가능하고 조절되는 사회적 상호작용, 긴장완화나 정적 기분을 위한 레저 활동, 공동 활동 참여로부터 얻는 기쁨에서 유래한다. 부적 기분을 정적 기분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기법을 기분 회복 전략(mood repair strategy)이라 한다.

사회적 상호작용[편집]

정동 표현(affect display)은 대인관계 의사소통(interpersonal communication)에서 중요한 측면이다. 진화심리학자(Evolutionary psychologist)들은 인류의 조상인 원인(原人, hominid)들은 정동 표현을 읽는 능력을 발달시켜 왔다는 가설을 발전시켜왔다.[42]

정서는 끊임없이 변하는 사회 환경에 대한 개인의 관계를 매개해주는 동적인 과정들로 설명한다.[43] 즉 정서란 인간에게 유의미한 문제 위에 유기체와 환경의 관계를 구축, 유지, 단절하는 과정이다.[44]

사회적 심리적 현상 대다수는 장시간 여러 개체 간의 반복되는 상호작용들의 결과물로 발생한다. 이러한 상호작용들은 다양한 동인(agent)들 간에 혹은 동인과 환경 간에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체계인 다동인체계(multi-agent system)로 보아야 한다. 각 동인의 행동의 결과물은 서로 의존해 있다. 각 동인들의 목표 성취 능력은 자신이 하는 것은 물론 다른 동인이 하는 것에 따라 좌우된다.[45]

정서는 상호작용의 주 자원이다. 한 개인의 정서는 타인의 정서, 사고, 행동에 영향을 준다. 그리하여 타인의 반응은 원래 정서를 표현한 개인과의 장래 상호작용은 물론 그 개인의 정서와 행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정서는 다양한 사람들이 호혜적 영향(reciprocal influence) 과정에 들어오게 하는 순환 속에서 작동한다.[46]

정동, 정서, 감정은 표정, 손짓, 자세, 목소리, 기타 신체적 표현에 따라 타인에게 보여진다. 이러한 정동 표현은 문화에 따라 다양하며, 표정의 추상성에서 극적이고 다양한 몸짓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넓다.[47]

관찰자(observer)는 행위자(agent)의 정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이 정서들이 전달하는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들은 행위자의 정서에 반응하고 이를 추론한다. 행위자가 보이는 정서는 실제 행위자의 상태를 있는 그대로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이 대표적이다.

행위자의 정서는 네 요소에 효과를 줄 수 있다.

  1. 타인에 대한 정서(Emotions of other persons)
  2. 타인에 대한 추론(Inferences of other persons)
  3. 타인에 대한 행동(Behaviors of other persons)
  4. 행위자와 타인의 상호작용과 관계(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agent and other persons)

정서는 그것이 목표로 하는 사람뿐 아니라 행위자의 정서를 바라보는 제3자에게도 영향을 끼친다. 게다가 정서는 어느 한 집단이나 팀과 같은 사회적 독립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정서는 메시지 같은 것이기에 정서, 속성, 이에 수반될 타인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원 행위자에게 피드백을 가져다 준다.

행위자의 감정은 두 가지 기제에 의하여 타인의 감정을 환기시킨다.

  • 정서 전염(Emotion contagion) : 사람들은 자동적 무의식적으로 비언어적 표현을 따라하는 경향이 있다.[48] 정서 모방은 텍스트 교환으로만 이뤄진 상호작용에서도 가능하다.[49]
  • 정서 해석(Emotion interpretation) : 한 개인은 다른 한 행위자가 어떤 특정한 정서를 느낀다고 감지하면, 상호보완적이거나 상황상 적절한 정서를 가지고 반응한다. 타인의 감정은 원 행위자의 감정으로부터 벗어나 있지만, 몇몇 방식에서는 원 행위자의 감정을 보완하기도 한다.

사람은 정서적으로만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를 자극하는 행위자(emotive agent)의 사회적 지위나 힘, 유능, 신뢰성 등에 관하여서 추론하기도 한다.[50] 예를 들어 분노한 것으로 간주되는 행위자는 높은 권력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51]

각주[편집]

  1.  Hogg, M.A., Abrams, D., & Martin, G.N. (2010). Social cognition and attitudes. In Martin, G.N., Carlson, N.R., Buskist, W., (Ed.), Psychology (pp 646-677). Harlow: Pearson Education Limited.
  2. ↑ 이동:          Harmon-Jones, Eddie; Gable, Philip A.; Price, Tom F. (2013년 8월 5일). “Does Negative Affect Always Narrow and Positive Affect Always Broaden the Mind?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Motivational Intensity on Cognitive Scope”.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2 (4): 301–307. doi:10.1177/0963721413481353.
  3.  Harmon-Jones, Eddie; Harmon-Jones, Cindy; Amodio, David M.; Gable, Philip A. (2011). “Attitudes toward emo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1 (6): 1332–1350. CiteSeerX 10.1.1.661.6663doi:10.1037/a0024951PMID 21843012.
  4.  “Emotion”. 《The Penguin Dictionary of Psychology》. Credo Reference: Penguin. 2009.
  5.  Harmon-Jones, Eddie; Harmon-Jones, Cindy; Price, Tom F. (2013년 6월 11일). “What is Approach Motivation?”. 《Emotion Review》 5 (3): 291–295. doi:10.1177/1754073913477509.
  6.  Gable, Philip A.; Harmon-Jones, Eddie (April 2013). “Does arousal per se account for the influence of appetitive stimuli on attentional scope and the late positive potential?”. 《Psychophysiology》 50 (4): 344–350. doi:10.1111/psyp.12023PMID 23351098.
  7.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dictionary.apa.org》. 2019년 11월 12일에 확인함.
  8.  Summerell, Elizabeth; Harmon-Jones, Cindy; Kelley, Nicholas J.; Peterson, Carly K.; Krstanoska-Blazeska, Klimentina; Harmon-Jones, Eddie (2019년 1월 8일). “Does Cognitive Broadening Reduce Anger?”. 《Frontiers in Psychology》 9: 2665. doi:10.3389/fpsyg.2018.02665PMC 6332929PMID 30671003.
  9.  Sashin, Jerome I. (1985년 4월 1일). “Affect tolerance: A model of affect-response using catastrophe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Biological Structures》 8 (2): 175–202. doi:10.1016/0140-1750(85)90008-9ISSN 0140-1750.
  10.  Singer, Tania; Tusche, Anita (2014년 1월 1일), Glimcher, Paul W.; Fehr, Ernst, 편집., “Chapter 27 - Understanding Others: Brain Mechanisms of Theory of Mind and Empathy”, 《Neuroeconomics (Second Edition)》 (Academic Press), 513–532쪽, doi:10.1016/b978-0-12-416008-8.00027-9ISBN 978-0-12-416008-8, 2019년 12월 3일에 확인함
  11.  Samur, Dalya; Tops, Mattie; Schlinkert, Caroline; Quirin, Markus; Cuijpers, Pim; Koole, Sander L. (2013). “Four decades of research on alexithymia: moving toward clinical applications”. 《Frontiers in Psychology》 4: 861. doi:10.3389/fpsyg.2013.00861ISSN 1664-1078PMC 3832802PMID 24312069.
  12.  Hintikka, Jukka; Honkalampi, Kirsi; Koivumaa-Honkanen, Heli; Antikainen, Risto; Tanskanen, Antti; Haatainen, Kaisa; Viinamäki, Heimo (2004). “Alexithymia and suicidal ideation: A 12-month follow-up study in a general population”. 《Comprehensive Psychiatry》 45 (5): 340–345. doi:10.1016/j.comppsych.2004.06.008PMID 15332196.
  13.  Lane, Richard D. (2008). “Neural Substrates of Implicit and Explicit Emotional Processes: A Unifying Framework for Psychosomatic Medicine”. 《Psychosomatic Medicine》 70 (2): 214–231. doi:10.1097/PSY.0b013e3181647e44ISSN 0033-3174PMID 18256335.
  14.  Tolmunen, Tommi; Lehto, Soili M.; Heliste, Maria; Kurl, Sudhir; Kauhanen, Jussi (2010). “Alexithymia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Middle-Aged Finnish Men”. 《Psychosomatic Medicine》 72 (2): 187–191. doi:10.1097/PSY.0b013e3181c65d00ISSN 0033-3174PMID 19949161.
  15.  Bernstein, Amit; Zvolensky, Michael J.; Vujanovic, Anka A.; Moos, Rudolf (September 2009). “Integrating Anxiety Sensitivity, Distress Tolerance, and Discomfort Intolerance: A Hierarchical Model of Affect Sensitivity and Tolerance”. 《Behavior Therapy》 40 (3): 291–301. doi:10.1016/j.beth.2008.08.001PMID 19647530.
  16.  Sashin, J. (1985). “Affect tolerance: A model of affect-response using catastrophe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Biological Systems》 8 (2): 175–202. doi:10.1016/0140-1750(85)90008-9.
  17.  O'Bryan, Emily M.; Luberto, Christina M.; Kraemer, Kristen M.; McLeish, Alison C. (2018년 9월 11일). “An examination of mindfulness skills in terms of affect tolerance among individuals with elevated levels of health anxiety”. 《Anxiety, Stress, & Coping》 31 (6): 702–713. doi:10.1080/10615806.2018.1521515PMC 6540987PMID 30205718.
  18.  Keng, Shian-Ling; Smoski, Moria J.; Robins, Clive J. (2011). “Effects of mindfulness on psychological health: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1 (6): 1041–1056. doi:10.1016/j.cpr.2011.04.006PMC 3679190PMID 21802619.
  19.  “Attitudes and Behavior | Simply Psychology”. 《www.simplypsychology.org》. 2019년 10월 24일에 확인함.
  20.  Duncan, Seth; Barrett, Lisa Feldman (September 2007). “Affect is a form of cognition: A neurobiological analysis”. 《Cognition & Emotion》 21 (6): 1184–1211. doi:10.1080/02699930701437931PMC 2396787PMID 18509504.
  21.  Maxwell, Bruce (April 2008).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Studies in Compassionate Empath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7쪽. ISBN 978-1-4020-6889-8.
  22.  Green, Andre (1973), The Fabric of Affect in the Psychoanalytic Discourse, The New Library of Psychoanalysis, London and NY, 1999
  23.  Zembylas, Michalinos (2017년 7월 1일). “The Contribution of Non-representational Theories in Education: Some Affective, Eth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Studies in Philosophy and Education》 (영어) 36 (4): 393–407. doi:10.1007/s11217-016-9535-2ISSN 1573-191X.
  24.  Watson, D.; Clark, L. A.;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6): 1063–1070. doi:10.1037/0022-3514.54.6.1063PMID 3397865.
  25.  Thompson, Edmund R. (2016년 7월 26일).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tionally Reliable Short-Form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8 (2): 227–242. doi:10.1177/0022022106297301.
  26. ↑ 이동:  Mroczek, Daniel K.; Kolarz, Christian M. (1998). “The effect of age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happ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5): 1333–1349. doi:10.1037/0022-3514.75.5.1333hdl:2027.42/144245PMID 9866191.
  27.  Joshanloo, Mohsen; Bakhshi, Ali (October 2016). “The Factor Structure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Study in Iran and the USA”.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32 (4): 265–272. doi:10.1027/1015-5759/a000252.
  28.  Joshanloo, Mohsen (2015년 12월 16일). “Factor Structure of Subjective Well-Being in Ira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8 (4): 435–443. doi:10.1080/00223891.2015.1117473PMID 26673220.
  29. ↑ 이동:     Finucane, Anne M. (2011). “The effect of fear and anger on selective attention.”. 《Emotion》 11 (4): 970–974. doi:10.1037/a0022574PMID 21517166.
  30. ↑ 이동:      Gable, Philip; Harmon-Jones, Eddie (2010년 1월 14일). “The Blues Broaden, but the Nasty Narrows”. 《Psychological Science》 21 (2): 211–215. doi:10.1177/0956797609359622PMID 20424047.
  31. ↑ 이동:     von Hecker, Ulrich; Meiser, Thorsten (2005). “Defocused Attention in Depressed Mood: Evidence From Source Monitoring.”. 《Emotion》 5 (4): 456–463. doi:10.1037/1528-3542.5.4.456PMID 16366749.
  32.  Harmon-Jones, Eddie; Price, Tom F.; Gable, Philip A. (April 2012). “The Influence of Affective States on Cognitive Broadening/Narrowing: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Motivational Intensity”.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6 (4): 314–327. doi:10.1111/j.1751-9004.2012.00432.x.
  33. ↑ 이동:   Harmon-Jones, Eddie; Gable, Philip A. (April 2009). “Neural Activity Underlying the Effect of Approach-Motivated Positive Affect on Narrowed Attention”. 《Psychological Science》 20 (4): 406–409. CiteSeerX 10.1.1.710.6913doi:10.1111/j.1467-9280.2009.02302.xPMID 19298263.
  34. ↑ 이동:  Bradley, Margaret M.; Codispoti, Maurizio; Cuthbert, Bruce N.; Lang, Peter J. (2001). “Emotion and motivation I: Defensive and appetitive reactions in picture processing.”. 《Emotion》 1 (3): 276–298. doi:10.1037/1528-3542.1.3.276PMID 12934687.
  35. ↑ 이동:   Hicks, Joshua A.; Friedman, Ronald S.; Gable, Philip A.; Davis, William E. (June 2012). “Interactive effects of approach motivational intensity and alcohol cues on the scope of perceptual attention”. 《Addiction》 107 (6): 1074–1080. doi:10.1111/j.1360-0443.2012.03781.xPMID 22229816.
  36.  Weaver, Cameron C.; Martens, Matthew P.; Cadigan, Jennifer M.; Takamatsu, Stephanie K.; Treloar, Hayley R.; Pedersen, Eric R. (December 2013). “Sport-related achievement motivation and alcohol outcomes: An athlete-specific risk factor among intercollegiate athletes”. 《Addictive Behaviors》 38 (12): 2930–2936. doi:10.1016/j.addbeh.2013.08.021PMC 4249648PMID 24064192.
  37.  Harmon-Jones, Eddie; Gable, Philip A.; Price, Tom F. (2012). “The influence of affective states varying in motivational intensity on cognitive scope”. 《Frontiers in Integrative Neuroscience》 6: 73. doi:10.3389/fnint.2012.00073PMC 3437552PMID 22973207.
  38. ↑ 이동:  Richter, M. (2013). “A closer look into the multi-layer structure of Motivational Intensity theory”.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7 (1): 1–12. doi:10.1111/spc3.12007.
  39.  Martin, Brett A. S. (2003). “The Influence of Gender on Mood Effects in Advertising” (PDF). 《Psychology and Marketing》 20 (3): 249–273. doi:10.1002/mar.10070. 2012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7일에 확인함.
  40.  Jeronimus, Bertus F.; Riese, Harriëtte; Sanderman, Robbert; Ormel, Johan (2014). “Mutual reinforcement between neuroticism and life experiences: A five-wave, 16-year study to test reciprocal caus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7 (4): 751–764. doi:10.1037/a0037009PMID 25111305.
  41.  Seidner, Stanley S. (1991). 《Negative Affect Arousal Reactions from Mexican and Puerto Rican Respondents》. Washington, D.C.: ERIC.
  42.  Nesse, R.M. (1990). “Evolutionary explanations of emotions”. 《Human Nature》 1 (3): 261–289. CiteSeerX 10.1.1.334.7497doi:10.1007/bf02733986PMID 24222085.
  43.  Keltner, D.; Haidt, J. (1999). “Social Functions of Emotions at Four Levels of Analysis”. 《Cognition and Emotion》 13 (5): 505–521. CiteSeerX 10.1.1.337.4260doi:10.1080/026999399379168.
  44.  Campos, J.; Campos, R. G.; Barrett, K. (1989). “Emergent themes in the study of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5 (3): 394–402. doi:10.1037/0012-1649.25.3.394.
  45.  Smith, R.; Conrey, F.R. (2007). “Agent-Based Modeling: A New Approach for Theory Building in Social Psycholog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1 (1): 87–104. doi:10.1177/1088868306294789PMID 18453457.
  46.  Rafaeli A. & Hareli S. (2007) Emotion cycles: On the social influence of emo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47.  Ekman, P (1992). “An argument for basic emotion”. 《Cognition and Emotion》 6 (3/4): 169–200. CiteSeerX 10.1.1.454.1984doi:10.1080/02699939208411068.
  48.  Hatfield, E., Cacioppo, J. T., & Rapson, R. L. 1994. Emotional contag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Cheshin, A.; Rafaeli, A.; Bos, N. (2011). “Anger and happiness in virtual teams: Emotional influences of text and behavior on others' affect in the absence of non-verbal cu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16: 2–16. doi:10.1016/j.obhdp.2011.06.002.
  50.  Frijda, N.H. (1986). The emo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Tiedens, L. (2001). “Anger and advancement versus sadness and subjugation: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 expression on social status conferra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 (1): 86–94. doi:10.1037/0022-3514.80.1.86PMID 11195894.

========

情動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情動(じょうどう、emotion[1])とは、

概説[編集]

個体・個人を動機づけるものとしての英語affectの訳語としての「情動」は様々な議論を呼んでいる[要出典]」。英語affectの訳語として選択された「情動」は、元来の日本語の用法とは異なっている。[要出典]

専門用語としては学問ごとに意味が異なる場合がある。

主に「興奮」が中心的であるが、「不安」「快不快」も情動として扱える。一般的な「怒り」「喜び」「悲しみ」を情動とするか、感情とするかは、心理学脳科学医学認知科学、それぞれの立場により異なる。

人間の感情はきわめて複雑であり、簡単に区別・分類できるものではない。ただし、「基本的には食欲性欲など本能的な欲求にかかわる感情と、人間が独特にもっている尊敬慈しみなどの感情に大別することができる[要出典]」とされることがある[誰?]

医学脳科学の専門用語としては「情動」は前者の感情を指し[要出典]、人間的な感情とは区別して考えられている。情動を構成するものは「快情動」と「不快情動」であり、食料を得るための「接近行動」は快情動、敵に対する「攻撃行動」や「回避行動」は不快情動によって引き起こされるものであり、生物として生存するためにきわめて重大な役割を持っている。の中で情動の根源的な部分は扁桃体であると考えられており、1937年米国精神科医ハインリッヒ・クリューバードイツ語版英語版ポール・ビューシー英語版は、側頭葉を損傷したサルの実験で、サルが不快情動を失い、食べられるものと食べられないものを区別できなくなり、ヘビなどの敵に対しても警戒心を持たなくなってしまった症例が報告されている。これはネコやサルの扁桃体だけを破壊しても起こる症状であることが確認されており、「クリューバー・ビューシー症候群英語版」と呼ばれている。

神経科学[編集]

情動と感情

アントニオ・ダマシオによると、「情動と定義が似ている感情は、高次の機能である」としている。自律神経に反映される身体反応や状況判断、予測などの高次認知機能(大脳皮質前頭前野などで処理される)を含む。それゆえ、処理とその作用時間が比較的長時間にわたる「認知ラベル」である[2]。したがって、認知確認後の影響によって評価された状態を表す[2][3]。また、大脳皮質には、種々のホルモンによる主食作用が関与するため、情動よりも個人差が大きい。しかし、最新の研究では情動を基本として認知影響を脳の前頭前野の活動の分析から解析する研究が進んでいる[4]

生理学的説明[編集]

生理学的には、情動とは短時間で強く作用する脳とホルモンや免疫系生体物質での興奮の状態としての「生理反応」である。反応にはあまり個人差が出ないと考えられる[2]

情動を巡る論争[編集]

情動の原因を何とするかについては、学問において議論が交わされてきた歴史がある。

情動の原因を巡る主張の相違に関して有名な歴史論争として、ジェームズ・ランゲJames-Lange(1890年)、キャノン・バードCannon-Bard(1927年)、シャクター・シンガーSchachter-Singer(1964年)らの論争がある。「感情は生理要素の認知からくる」とするジェームズ・ランゲ説英語版と, 「脳神経系からくる」とするキャノン・バート説英語版と、「周囲の環境で人は自分の感情ですら勘違いしてしまう」とするシャクター・シンガー理論(情動の二要因説英語版)がある。この三説間の論争である。

脳が原因であるか、ホルモンや免疫系などの生体物質が原因であるのか、何らかの外的要因(誘発)や内的要因(創発)を原因とした身体反応であるのかは、全ての生理信号(脳、生体分泌物質ホルモン、身体反応など)をリアルタイムに同時計測する方法以外では検証・実証が難しい。感情の起源については、現在でも科学では明確な答えが出ていない。情動・感情の基本問題ともされている。

  • ジェームズ・ランゲ説身体変化の認知が情動を生むという説。ウィリアム・ジェームズカール・ランゲデンマーク語版英語版による。
    • 情動は(1)外部刺戟→(2)身体反応→(3)身体反応の意識化の順に生じる。身体反応は状況認知の直接結果であり,主観情動体験の付属物ではない。情動は身体反応(の認知)の影響を受ける。アルコールを飲むと気分が変わる、女性犯罪の62%は月経直前の1週間に起こり、月経直後は2%しか起こらないことを根拠にする。
  • キャノン・バート説:中枢起源説。視床が情動反応を調整する中枢であると生理学者ウォルター・B・キャノンが提唱、フィリップ・バードスペイン語版動物実験で実証した。
  • シャクター・シンガー理論 : 情動は身体反応とその原因の認知の両方が不可欠(情動の二要因説)とする。社会心理学スタンレー・シャクタージェローム・シンガー英語版によって提唱された。
    • 大学生に興奮剤としてアドレナリンを投与して実験した。実験の結果,身体反応が同じでも、状況によって喜び、怒りは異なることを確認した。感情は(ランゲの主張する)身体反応の知覚そのものではなく、身体反応の原因を説明するためにつけた認知解釈のラベルであるとする。
    • 実験の詳細:6つの被験者グループを作り実験を行った。身体に与える影響(心拍上昇など)について、「1. 正しく教示された」「2. 偽の影響が教示された」「3. 影響について教示されない」の3つの教示グループを作り、それぞれアドレナリンと生理食塩水注射したグループを作った。注射後、「サクラ」のいる部屋に被験者は入れられた。この「サクラ」は,怒りを誘う「サクラ」と、喜びを誘う「サクラ」である。部屋を出た被験者(主体)に感情を聞き、身体反応が同じでも、状況によって感情が違うことを突き止めた。

脚注[編集]

  1. a b 広辞苑第六版【情動】
  2. a b c Antonio R Damasio."Looking for Spinoza: Joy, Sorrow, and the Feeling Brain"(日本語版は、アントニオ・R・ダマシオ著、田中三彦訳『感じる脳――情動と勘定の脳科学 よみがえるスピノザ』ダイヤモンド社、2005年11月)
  3. ^ Stanley Schachter and J.E.Singer."Cognitive, social and physiological determinants of emotional state."
  4. ^ Joseph LeDoux."The Emotional Brain: The mysterrious Underpinnings of Emotional Life" (日本語版は、ジョゼフ・ルドゥー著 松本元、小幡邦彦、湯浅茂樹、川村光毅、石塚典生 訳『エモーショナル・ブレイン―情動の脳科学』東京大学出版会、2003年)

参考文献[編集]

  • 水谷仁編『Newtonムック ここまで解明された 脳と心のしくみ』ニュートンプレス(2006年4月20日発行、2006年7月10日2版)
  • ダニエル・ゴールマン英語版著『EQ―こころの知能指数』講談社 1996年。
  • ジョゼフ・ルドゥー著 松本元、小幡邦彦、湯浅茂樹、川村光毅、石塚典生 訳『エモーショナル・ブレイン―情動の脳科学』東京大学出版会 2003年 IBNN 4130633198
  • 光吉俊二「音声感情認識及び情動の脳生理信号分析システムに関する研究」(博士論文)2006年
    • 英語表記 Shunji Mitsuyoshi Research on the Phonetic Recognition of Feelings and A System for Emotional Physiological Brain Signal Analysis.

関連項目[編集]

関連文献[編集]

日本語のオープンアクセス文献

  • 藤井俊勝、平山和美、深津玲子、大竹浩也、大塚祐司、山鳥重「ヒトの脳損傷研究から見た情動のメカニズム」『日本薬理学雑誌』第125巻第2号、2005年2月1日、83-87頁、doi:10.1254/fpj.125.83NAID 10014465501

外部リンク[編集]


===

정동

출처: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

정동 (조도, emotion [1] )이란,

개요 편집 ]

개체·개인을 동기 부여하는 것으로서의 영어 affect 의 번역어로서의 「정동」은 여러가지 논의를 부르고 있다 요출전 ]」. 영어 affect 의 번역어로 선택된 「정동」은, 원래의 일본어의 용법과는 다르다. 요출전 ]

전문 용어 로는 학문 마다 의미가 다를 수 있다.

주로 ' 흥분 '이 중심적이지만 '불안' '쾌불쾌'도 정동으로 취급할 수 있다. 일반적인 '분노', '기쁨', '슬픔'을 정동으로 할지 감정으로 할지는 심리학,  과학 , 의학 , 인지 과학 , 각각 의 입장에 따라 다르다.

인간 의 감정은 매우 복잡하며 쉽게 구별·분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 기본적으로는 식욕 이나 성욕 등 본능적 인 욕구에 관계되는 감정과 인간이 독특하게 가지고 있는 존경  자비  의 감정으로 대별할 수 있는 요출전 ] ”이라고 할 수 있다 누구? ] .

의학 이나 뇌과학 의 전문 용어로는 '정동'은 전자의 감정을 가리키며 요출전 ] , 인간적인 감정과는 구별하여 생각되고 있다. 정동을 구성하는 것은 '쾌정동'과 '불쾌정동'이며, 식량을 얻기 위한 '접근행동'은 쾌정동, 적에 대한 '공격행동'과 '회피행동'은 불쾌정동에 의해 발생 하는 것으로 이고 생물 로 생존하기 위하여 아주 긴요한 역할이 있다.  속에서 정동의 근원적인 부분은 편도체 라고 생각되고 있으며, 1937 년 미국 의 정신과 의사 하인리히 클루버 독일어판 , 영어판 ) 와 폴 뷰시 영어판 ) 는 측두엽을 손상시킨 원숭이 실험으로 원숭이가 불쾌정동을 잃어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을 구별할 수 없게 되어 뱀 등의 적에 대해서도 경계심을 가지지 않게 되어 버린 증례  보고 되었습니다. 이것은고양이 와 원숭이의 편도체만을 파괴해도 일어나는 증상인 것이 확인되고 있어 「클루버 뷰시 증후군(영어판) 이라고 불리고 있다 .

신경과학 편집 ]

정동과 감정

안토니오 다마시오 에 따르면 “정동과 정의가 비슷한 감정 은 고차의 기능이다”고 한다. 자율신경 에 반영되는 신체반응이나 상황 판단, 예측 등의 고차인지 기능( 대뇌피질 · 전두전야 등으로 처리됨)을 포함한다. 따라서, 처리와 그 작용 시간이 비교적 장시간에 걸친 " 인지 라벨 "이다 [2] . 따라서, 인지 확인 후의 영향에 의해 평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2] [3] . 또한, 대뇌 피질에는 다양한 호르몬 에 의한 주식 작용이 관여하기 때문에 정동보다 개인차가 크다. 그러나, 최신의 연구에서는 정동을 기본으로 인지 영향을 뇌의 전두 마에노 나  의 활동의 분석으로부터 해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4] .

생리학적 설명 편집 ]

생리학적 으로는, 정동이란 단시간에 강하게 작용하는 뇌와 호르몬이나 면역계, 생체 물질 에서 의 흥분 상태로서의 「생리 반응」이다. 반응에는별로 개인차가 나오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2] .

정동을 둘러싼 논쟁 편집 ]

정동의 원인을 어떻게 하는가에 대해서는 학문에서 논의가 나온 역사가 있다.

정동의 원인을 둘러싼 주장의 차이에 관하여 유명한 역사 논쟁으로서 제임스 랭게 James-Lange(1890년), 캐논 버드 Cannon-Bard(1927년), 셔터 싱어 Schachter-Singer(1964년) 등의 논쟁 있다. 「감정은 생리 요소의 인지 로부터 온다」라고 하는 제임스 랭게설 영어판 ) 과, 「뇌신경계 에서 온다」라고 하는 캐논 바트설 영어판 ) 과, 「주위 환경에서 사람은 자신의 감정 조차 착각해 버린다”라고 하는 셔터·싱어 이론( 정동의 2 요인설 영어판 ) )이 있다. 이 삼설간의 논쟁이다.

뇌가 원인인지, 호르몬이나 면역계 등의 생체 물질 이 원인인지, 어떤 외적 요인(유발)이나 내적 요인( 창발 )을 원인으로 한 신체 반응인지는 모든 생리 신호 (뇌, 생체분비물질 , 호르몬 , 신체반응 등)을 실시간으로 동시 계측하는 방법 이외에는 검증·실증이 어렵다. 감정의 기원에 대해서는, 지금도 과학에서는 명확한 대답이 나오지 않았다. 정동·감정의 기본 문제라고도 한다.

  • 제임스 랭게설 : 신체 변화의 인지가 정동을 낳는다는 설. 윌리엄 제임스 와 칼 랑게 덴마크어판 , 영어판 ) 에 의한다.
    • 정동은 (1) 외부 자극 → (2) 신체 반응 → (3) 신체 반응의 의식화의 순서로 발생한다. 신체 반응은 상황인지의 직접적인 결과이며 주관정동체험의 부속물이 아니다. 정동은 신체 반응(의 인지)의 영향을 받는다. 알코올을 마시면 기분이 바뀌는 여성 의 범죄 의 62%는 월경 직전의 1주일에 일어나고 월경 직후는 2%밖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근거로 한다.
  • 캐논 바트설 : 중추기원설. 시상이 정동반응을 조정하는 중추라고 생리학자 월터 비 캐논이 제창, 필립 버드 ( 스페인어판  동물 실험 에서 실증했다.
  • 셔터 싱어 이론  : 정동은 신체 반응과 그 원인의 인지 모두 불가결(정동의 2요인설)으로 한다. 사회 심리학자 스탠리 셔터 와 제롬 싱어 영어판 ) 에 의해 제창되었다.
    • 대학생 에게 흥분제로서 아드레날린을 투여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신체 반응이 동일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기쁨과 분노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감정은 (랑게의 주장하는) 신체 반응의 지각 그 자체가 아니라, 신체 반응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붙인 인지 해석의 라벨이라고 한다.
    • 실험 세부사항: 6개의 피험자 그룹을 만들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신체에 미치는 영향(심박 상승 등)에 대해 '1. 정확하게 가르쳐졌다', '2. 가짜 영향이 가르쳐졌다', '3. 영향에 대해 가르쳐지지 않음'의 3개의 가르침 그룹을 만들어 각각 아드레날린과 생리 식염수를 주사  그룹을 만들었다. 주사 후 ' 사쿠라 '가 있는 방에 피험자는 넣었다. 이 "사쿠라"는 분노를 초대하는 "사쿠라"와 기쁨을 초대하는 "사쿠라"이다. 방을 나온 피험자(주체)에게 감정을 듣고 신체 반응이 같아도 상황에 따라 감정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각주 편집 ]

  1. ↑ b 광사원 제6판【정동】
  2. c Antonio R Damasio."Looking for Spinoza: Joy, Sorrow, and the Feeling Brain " 스피노자」다이아몬드사 , 2005년 11월)
  3. ^ Stanley Schachter 및 JESinger. "감정 상태의 인지적, 사회적 및 생리학적 결정 요인."
  4.  Joseph LeDoux."The Emotional Brain: The mysterrious Underpinnings of Emotional Life" 과학」도쿄대학 출판회, 2003년)

참고 문헌 편집 ]

  • 미즈타니 히토시 『Newton 무크 여기까지 해명된 뇌와 마음의 구조』 뉴턴 프레스(2006년 4월 20일 발행, 2006년 7월 10일 2판)
  • 다니엘 골먼 영어판 ) 저 『EQ―마음의 지능 지수』 코단샤 1996년.
  • 조제프 루두 의 마츠모토 모토, 코하타 쿠니히코, 유아사 시게키, 가와무라 미츠요시, 이시즈카 전생역 “이모셔널 브레인-정동의 뇌과학” 도쿄대학 출판회 2003년 IBNN 4130633198
  • 미츠요시 슌지「음성 감정 인식 및 정동의 뇌 생리 신호 분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박사 논문) 2006년
    • 영어 표기 Shunji Mitsuyoshi Research on the Phonetic Recognition of Feelings and A System for Emotional Physiological Brain Signal Analysis .

관련 항목 편집 ]

관련 문헌 편집 ]

일본어 오픈 액세스 문헌

  • 후지이 토시카츠, 히라야마 카즈미, 후카츠 레이코, 오오타케 히로야, 오오츠카 유지, 야마토리 시게루 「인간의 뇌 손상 연구로부터 본 정동의 메카니즘」 「일본 약리학 잡지」 제125권 제2호, 2005년 2월 1일, 83-87 페이지, doi : 10.1254/fpj.125.83 , NAID  10014465501

외부 링크 편집 ]


===

Affect (psycholog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 mother and her child showing affect.

Affect, in psychology, refers to the underlying experience of feelingemotionattachment, or mood.[1]

History[edit]

The modern conception of affect developed in the 19th century with Wilhelm Wundt.[2] The word comes from the German Gefühl, meaning "feeling".[3]

A number of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study of social and psychological affective preferences (i.e., what people like or dislike). Specific research has been done on preferencesattitudesimpression formation, and decision-making. This research contrasts findings with recognition memory (old-new judgments), allowing researchers to demonstrate reliable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Affect-based judgments and cognitive processes have been examined with noted differences indicated, and some argue affect and cognition are under the control of separate and partially independent systems that can influence each other in a variety of ways (Zajonc, 1980). Both affect and cognition may constitute independent sources of effects within systems of information processing. Others suggest emotion is a result of an anticipated, experienced, or imagined outcome of an adaptational transaction between organism and environment, therefore cognitive appraisal processes are keys to the development and expression of an emotion (Lazarus, 1982).

Dimensions[edit]

Affective states vary along three principal dimensions: valence, arousal, and motivational intensity.[4]

  • Valence is the subjective spectrum of positive-to-negative evaluation of an experience an individual may have had. Emotional valence refers to the emotion's consequences, emotion-eliciting circumstances, or subjective feelings or attitudes.[5]
  • Arousal is objectively measurable as activa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but can also be assessed subjectively via self-report.
  • Motivational intensity refers to the impulsion to act;[6] the strength of an urge to move toward or away from a stimulus and whether or not to interact with said stimulus. Simply moving is not considered approach (or avoidance) motivation[7]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rousal is different from motivational intensity. While arousal is a construct that is closely related to motivational intensity, they differ in that motivation necessarily implies action while arousal does not.[8]

Affect display[edit]

Affect is sometimes used to mean affect display, which is "a facial, vocal, or gestural behavior that serves as an indicator of affect" (APA 2006).[9]

Cognitive scope[edit]

In psychology, affect defines the organisms' interaction with stimuli. It can influence the scope of the cognitive processes.[10] Initially, researchers had thought that positive affects broadened the cognitive scope, whereas negative affects narrowed it.[4] Thereafter, evidences suggested that affects high in motivational intensity narrow the cognitive scope, whereas affects low in motivational intensity broaden it. The construct of cognitive scope could be valuable in cognitive psychology.[4]

Affect tolerance[edit]

According to a research article about affect tolerance written by psychiatrist Jerome Sashin, "Affect tolerance can be defined as the ability to respond to a stimulus which would ordinarily be expected to evoke affects by the subjective experiencing of feelings."[11] Essentially it refers to one's ability to react to emotions and feelings. One who is low in affect tolerance would show little to no reaction to emotion and feeling of any ki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alexithymia.

"Alexithymia is a subclinical phenomenon involving a lack of emotional awareness or, more specifically, difficulty in identifying and describing feelings and in distinguishing feelings from the bodily sensations of emotional arousal"[12] At its core, alexithymia is an inability for an individual to recognize what emotions they are feeling—as well as an inability to describe them. According to Dalya Samur and colleagues,[13] people with alexithymia have been shown to have correlations with increased suicide rates,[14] mental discomfort,[15] and deaths.[16]

Affect tolerance[17][18] factors, including anxiety sensitivi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may be helped by mindfulness.[19] Mindfulness refers to the practice of being hyper aware of one's own feelings, thoughts, sensations, and the stimulus of the environment around you—not in an anxiety-inducing way, but in a gentle and pleasant way. Mindfulness has been shown to produce "increased subjective well-being, reduced psychological symptoms and emotional reactivity, and improved behavioral regulation."[20]

Relationship to behavior and cognition[edit]

The affective domain represents one of the three divisions described in modern psychology: the other two being the behavioral, and the cognitive. Classically, these divisions have also been referred to as the "ABC's of psychology",[21] However, in certain views, the cognitive may be considered as a part of the affective, or the affective as a part of the cognitive;[22]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cognitive and affective states … [are] merely analytic categories."[23]

Instinctive and cognitive factors in causation of affect[edit]

"Affect" can mean an instinctual reaction to stimulation that occurs before the typical cognitive processes considered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a more complex emotion. Robert B. Zajonc asserts this reaction to stimuli is primary for human beings and that it is the dominant reaction for non-human organisms. Zajonc suggests that affective reactions can occur without extensive perceptual and cognitive encoding and be made sooner and with greater confidence than cognitive judgments (Zajonc, 1980).

Many theorists (e.g. Lazarus, 1982) consider affect to be post-cognitive: elicited only after a certain amount of cognitive processing of information has been accomplished. In this view, such affective reactions as liking, disliking, evaluation, or the experience of pleasure or displeasure each result from a different prior cognitive process that makes a variety of content discriminations and identifies features, examines them to find value, and weighs them according to their contributions (Brewin, 1989). Some scholars (e.g. Lerner and Keltner 2000) argue that affect can be both pre- and post-cognitive: initial emotional responses produce thoughts, which produce affect. In a further iteration, some scholars argue that affect is necessary for enabling more rational modes of cognition (e.g. Damasio 1994).

A divergence from a narrow reinforcement model of emotion allows other perspectives about how affect influences emotional development. Thus, temperament, cognitive development, socialization patterns, and the idiosyncrasies of one's family or subculture might interact in nonlinear ways. For example, the temperament of a highly reactive/low self-soothing infant may "disproportionately" affect the process of emotion regulation in the early months of life (Griffiths, 1997).

Some other social sciences, such as geography or anthropology, have adopted the concept of affect during the last decade. In French psychoanalysis a major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affect comes from André Green.[24] The focus on affect has largely derived from the work of Deleuze and brought emotional and visceral concerns into such conventional discourses as those on geopolitics, urban life and material culture. Affect has also challenged methodologies of the social sciences by emphasizing somatic power over the idea of a removed objectivity and therefore has strong ties with the contemporary non-representational theory.[25]

Psychometric measurement[edit]

Affect has been found across cultures to comprise both positive and negative dimensions. The most commonly used measure in scholarly research is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26] The PANAS is a lexical measure developed in a North American setting and consisting of 20 single-word items, for instance excitedalertdetermined for positive affect, and upsetguilty, and jittery for negative affect. However, some of the PANAS items have been found either to be redundant or to have ambiguous meanings to English speakers from non-North American cultures. As a result, an internationally reliable short-form, the I-PANAS-SF, has been developed and validated comprising two 5-item scales with internal reliability, cross-sample and cross-cultural factorial invariance, temporal stability, convergen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ies.[27]

Mroczek and Kolarz have also developed another set of scales to measur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28] Each of the scales has 6 items. The scales have shown evidence of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across cultures.[28][29][30]

Non-conscious affect and perception[edit]

In relation to perception, a type of non-conscious affect may be separate from the cognitive processing of environmental stimuli. A monohierarchy of perception, affect and cognition considers the roles of arousalattention tendencies, affective primacy (Zajonc, 1980), evolutionary constraints (Shepard, 1984; 1994), and covert perception (Weiskrantz, 1997) within the sensing and processing of preferences and discriminations. Emotions are complex chains of events triggered by certain stimuli. There is no way to completely describe an emotion by knowing only some of its components. Verbal reports of feelings are often inaccurate because people may not know exactly what they feel, or they may feel several different emotions at the same time. There are also situations that arise in which individuals attempt to hide their feelings, and there are some who believe that public and private events seldom coincide exactly, and that words for feelings are generally more ambiguous than are words for objects or events. Therefore, non-conscious emotions need to be measured by measures circumventing self-report such as the Implicit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est (IPANAT; Quirin, Kazén, & Kuhl, 2009).

Affective responses, on the other hand, are more basic and may be less problematic in terms of assessment. Brewin has proposed two experiential processes that frame non-cognitive relations between various affective experiences: those that are prewired dispositions (i.e. non-conscious processes), able to "select from the total stimulus array those stimuli that are causally relevant, using such criteria as perceptual salience, spatiotemporal cues, and predictive value in relation to data stored in memory" (Brewin, 1989, p. 381), and those that are automatic (i.e. subconscious processes), characterized as "rapid, relatively inflexible and difficult to modify... (requiring) minimal attention to occur and... (capable of being) activated without intention or awareness" (1989 p. 381). But a note should be consider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affect and emotion.

Arousal[edit]

Arousal is a basic physiological response to the presentation of stimuli. When this occurs, a non-conscious affective process takes the form of two control mechanisms: one mobilizing and the other immobilizing. Within the human brain, the amygdala regulates an instinctual reaction initiating this arousal process, either freezing the individual or accelerating mobilization.

The arousal response is illustrated in studies focused on reward systems that control food-seeking behavior (Balleine, 2005). Researchers have focused on learning processes and modulatory processes that are present while encoding and retrieving goal values. When an organism seeks food, the anticipation of reward based on environmental events becomes another influence on food seeking that is separate from the reward of food itself. Therefore, earning the reward and anticipating the reward are separate processes and both create an excitatory influence of reward-related cues. Both processes are dissociated at the level of the amygdala, and are functionally integrated within larger neural systems.

Motivational intensity and cognitive scope[edit]

Measuring cognitive scope[edit]

Cognitive scope can be measured by tasks involving attention, perception, categorization and memory. Some studies use a flanker attention task to figure out whether cognitive scope is broadened or narrowed. For example, using the letters "H" and "N" participants need to identify as quickly as possible the middle letter of 5 when all the letters are the same (e.g. "HHHHH") and when the middle letter is different from the flanking letters (e.g. "HHNHH").[31] Broadened cognitive scope would be indicated if reaction times differed greatly from when all the letters were the same compared to when the middle letter is different.[31] Other studies use a Navon attention task to measure difference in cognitive scope. A large letter is composed of smaller letters, in most cases smaller "L"'s or "F"'s that make up the shape of the letter "T" or "H" or vice versa.[32] Broadened cognitive scope would be suggested by a faster reaction to name the larger letter, whereas narrowed cognitive scope would be suggested by a faster reaction to name the smaller letters within the larger letter.[32] A source-monitoring paradigm can also be used to measure how much contextual information is perceived: for instance, participants are tasked to watch a screen which serially displays words to be memorized for 3 seconds each, and also have to remember whether the word appeared on the left or the right half of the screen.[33] The words were also encased in a colored box, but the participants did not know that they would eventually be asked what color box the word appeared in.[33]

Main research findings[edit]

Motivation intensity refers to the strength of urge to move toward or away from a particular stimulus.[4]

Anger and fear affective states, induced via film clips, resulted in more selective attention on a flanker task compared to controls as indicated by reaction times that were not very different, even when the flanking letters were different from the middle target letter.[4][31] Both anger and fear have high motivational intensity because propulsion to act would be high in the face of an angry or fearful stimulus, like a screaming person or coiled snake. Affects which are high in motivational intensity, and thus are narrow in cognitive scope, enable people to focus more on target information.[4][31] After seeing a sad picture, participants were faster to identify the larger letter in a Navon attention task, suggesting more global or broadened cognitive scope.[4][32] Sadness is thought to sometimes have low motivational intensity. But, after seeing a disgusting picture, participants were faster to identify the component letters, indicative of a localized and narrower cognitive scope.[4][32] Disgust has high motivational intensity. Affects which are high in motivational intensity narrow one's cognitive scope, enabling people to focus more on central information,[4][31][32] whereas affects which are low in motivational intensity broadened cognitive scope, allowing for faster global interpretation.[32] The changes in cognitive scope associated with different affective states is evolutionarily adaptive because high motivational intensity affects elicited by stimuli that require movement and action should be focused on, in a phenomenon known as goal-directed behavior.[34] For example, in early times, seeing a lion (a fearful stimulus) probably elicited a negative but highly motivational affective state (fear) in which the human being was propelled to run away. In this case the goal would be to avoid getting killed.

Moving beyond just negative affective states, researchers wanted to test whether or not negative or positive affective states varied between high and low motivational intensity. To evaluate this theory, Harmon-Jones, Gable and Price created an experiment using appetitive picture priming and the Navon task, which would allow them to measure the attentional scope with detection of the Navon letters. The Navon task included a neutral affect comparison condition. Typically, neutral states cause broadened attention with a neutral stimulus.[35] They predicted that a broad attentional scope could cause faster detection of global (large) letters, whereas a narrow attentional scope could cause faster detection of local (small) letters. The evidence proved that the appetitive stimuli produced a narrowed attentional scope. The experimenters further increased the narrowed attentional scope in appetitive stimuli by telling participants they would be allowed to consume the desserts shown in the pictu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ir hypothesis was correct, in that the broad attentional scope led to quicker detection of global letters, while narrowed attentional scope led to quicker detection of local letters.

Researchers Bradley, Codispoti, Cuthbert and Lang wanted to further examine the emotional reactions in picture priming. Instead of using an appetitive stimulus they used stimulus sets from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The image set includes various unpleasant pictures such as snakes, insects, attack scenes, accidents, illness, and loss. They predicted that an unpleasant picture would stimulate a defensive motivational intensity response, which would produce strong emotional arousal such as skin gland responses and cardiac deceleration.[36] Participants rated the pictures based on valence, arousal and dominance on the Self-Assessment Manikin (SAM) rating scale. Th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and proved that emotion is organized motivationally by the intensity of activation in appetitive or defensive systems.[36]

Prior to research in 2013, Harmon-Jones and Gable performed an experiment to examine whether neural activation related to approach-motivation intensity (left frontal-central activity) would trigger the effect of appetitive stimuli on narrowed attention. They also tested whether individual dissimilarities in approach motivation are associated with attentional narrowing.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e researchers used the same Navon task with appetitive and neutral pictures in addition to having the participants indicate how long since they had last eaten in minutes. To examine neural activation, the researchers used electroencephalography and recorded eye movements in order to detect what regions of the brain were being used during approach motivation. Th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left frontal-central brain region is related to approach-motivational processes and narrowed attentional scope.[35] Some psychologists were concerned that the individuals who were hungry had an increase in activity in the left frontal-central region due to frustration. This statement was proved false because the research showed that dessert pictures increased positive affect even in hungry individuals.[35] The findings revealed that narrowed cognitive scope has the ability to assist us in goal accomplishment.

Clinical applications[edit]

Later on, researchers connected motivational intensity to clinical applications and found that alcohol-related pictures caused narrowed attention for persons who had a strong motivation to consume alcohol. The researchers tested the participants by exposing them to alcohol and neutral pictures. After the picture was displayed on a screen, the participants finished a test evaluating attentional focus. The findings proved that exposure to alcohol-related pictures led to a narrowing of attentional focus to individuals who were motivated to use alcohol.[37] However, exposure to neutral pictures did not correlate with alcohol-related motivation to manipulate attentional focus. The Alcohol Myopia Theory (AMT) states that alcohol consumption reduces the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in memory, which also narrows attention so only the most proximal items or striking sources are encompassed in attentional scope.[37] This narrowed attention leads intoxicated persons to make more extreme decisions than they would when sober. Researchers provided evidence that substance-related stimuli capture the attention of individuals when they have high and intense motivation to consume the substance. Motivational intensity and cue-induced narrowing of attention has a unique role in shaping people's initial decision to consume alcohol.[37] In 2013, psychologists from the University of Missouri investigated the connection between sport achievement orientation and alcohol outcomes. They asked varsity athletes to complete a Sport Orientation Questionnaire which measured their sport-related achievement orientation on three scales—competitiveness, win orientation, and goal orientation. The participants also completed assessments of alcohol use and alcohol-related problem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oal orientation of the athlet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cohol use but not alcohol-related problems.[38]

In terms of psychopathologic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college students showing depressive symptoms were better at retrieving seemingly "nonrelevant" contextual information from a source monitoring paradigm task.[33] Namely, the stud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were better at identifying the color of the box the word was in compared to nondepressed students.[33] Sadness (low motivational intensity) is usually[39] associated with depression, so the more broad focus on contextual information of sadder students supports that affects high in motivational intensity narrow cognitive scope whereas affects low in motivational intensity broaden cognitive scope.[4][33]

The motivational intensity theory states that the difficulty of a task combined with the importance of success determine the energy invested by an individual.[40] The theory has three main layers. The innermost layer says human behavior is guided by the desire to conserve as much energy as possible. Individuals aim to avoid wasting energy so they invest only the energy that is required to complete the task. The middle layer focuses on the difficulty of tasks combined with the importance of success and how this affects energy conservation. It focuses on energy investment in situations of clear and unclear task difficulty. The last layer looks at predictions for energy invested by a person when they have several possible options to choose at different task difficulties.[40] The person is free to choose among several possible options of task difficulty. The motivational intensity theory offers a logical and consistent framework for research. Researchers can predict a person's actions by assuming effort refers to the energy investment. The motivational intensity theory is used to show how changes in goal attractiveness and energy investment correlate.

Mood[edit]

Mood, like emotion, is an affective state. However, an emotion tends to have a clear focus (i.e., its cause is self-evident), while mood tends to be more unfocused and diffuse.[41] Mood, according to Batson, Shaw and Oleson (1992), involves tone and intensity and a structured set of beliefs about general expectations of a future experience of pleasure or pain, or of positive or negative affect in the future. Unlike instant reactions that produce affect or emotion, and that change with expectations of future pleasure or pain, moods, being diffuse and unfocused and thus harder to cope with, can last for days, weeks, months or even years (Schucman, 1975). Moods are hypothetical constructs depicting an individual's emotional state. Researchers typically infer the existence of moods from a variety of behavioral referents (Blechman, 1990). Habitual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mood is characteristic of high neuroticism.[42]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PANAS) represent independent domains of emot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positive affect is strongly linked to social interaction. Positive and negative daily events show independent relationships to subjective well-being, and positive affect is strongly linked to social activity.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high functional support is related to higher levels of positive affect. In his work on negative affect arousal and white noise, Seidner found support for the existence of a negative affect arousal mechanism regarding the devaluation of speakers from other ethnic origins.[43] The exact process through which social support is linked to positive affect remains unclear. The process could derive from predictable, regularized social interaction, from leisure activities where the focus is on relaxation and positive mood, or from the enjoyment of shared activities. The techniques used to shift a negative mood to a positive one are called mood repair strategies.

Social interaction[edit]

Affect display is a critical facet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Evolutionary psychologists have advanced the hypothesis that hominids have evolved with sophisticated capability of reading affect displays.[44]

Emotions are portrayed as dynamic processes that mediate the individual's relation to a continual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45] In other words, emotions are considered to be processes of establishing, maintaining, or disrup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organism and the environment on matters of significance to the person.[46]

Most social and psychological phenomena occur as the result of repeated interactions between multiple individuals over time. These interactions should be seen as a multi-agent system—a system that contains multiple agent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and/or with their environments over time. The outcomes of individual agents' behaviors are interdependent: Each agent's ability to achieve its goals depends on not only what it does but also what other agents do.[47]

Emotions are one of the main sources for the interaction. Emotions of an individual influence the emotions, thoughts and behaviors of others; others' reactions can then influence their future interactions with the individual expressing the original emotion, as well as that individual's future emotions and behaviors. Emotion operates in cycles that can involve multiple people in a process of reciprocal influence.[48]

Affect, emotion, or feeling is displayed to others through facial expressions, hand gestures, posture, voice characteristics, and other physical manifestation. These affect displays vary between and within cultures and are displayed in various forms ranging from the most discrete of facial expressions to the most dramatic and prolific gestures.[49]

Observers are sensitive to agents' emotions, and are capable of recognizing the messages these emotions convey. They react to and draw inferences from an agent's emotions. The emotion an agent displays may not be an authentic reflection of his or her actual state (See also Emotional labor).

Agents' emotions can have effects on four broad sets of factors:

  1. Emotions of other persons
  2. Inferences of other persons
  3. Behaviors of other persons
  4.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agent and other persons.

Emotion may affect not only the person at whom it was directed, but also third parties who observe an agent's emotion. Moreover, emotions can affect larger social entities such as a group or a team. Emotions are a kind of message and therefore can influence the emotions, attributions and ensuing behaviors of others, potentially evoking a feedback process to the original agent.

Agents' feelings evoke feelings in others by two suggested distinct mechanisms:

  • Emotion contagion – people tend to automatically and unconsciously mimic non-verbal expressions.[50] Mimicking occurs also in interactions involving textual exchanges alone.[51]
  • Emotion interpretation – an individual may perceive an agent as feeling a particular emotion and react with complementary or situationally appropriate emotions of their own. The feelings of the others diverge from and in some way complement the feelings of the original agent.

People may not only react emotionally, but may also draw inferences about emotive agents such as the social status or power of an emotive agent, his competence and his credibility.[52] For example, an agent presumed to be angry may also be presumed to have high power.[53]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Hogg, M.A., Abrams, D., & Martin, G.N. (2010). Social cognition and attitudes. In Martin, G.N., Carlson, N.R., Buskist, W., (Ed.), Psychology (pp 646-677). Harlow: Pearson Education Limited.
  2. ^ Barrett, Lisa Feldman (August 11, 2021). "Wilhelm Wundt's conception of affect"How Emotions are Made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5-08.
  3. ^ Wundt, Wilhelm (1897). Outlines of Psychology. Thoemmes Press (1998 publication). p. 2.
  4.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Harmon-Jones, Eddie; Gable, Philip A.; Price, Tom F. (5 August 2013). "Does Negative Affect Always Narrow and Positive Affect Always Broaden the Mind?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Motivational Intensity on Cognitive Scope".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22 (4): 301–307. doi:10.1177/0963721413481353S2CID 145683703.
  5. ^ Harmon-Jones, Eddie; Harmon-Jones, Cindy; Amodio, David M.; Gable, Philip A. (2011). "Attitudes toward emo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101 (6): 1332–1350. CiteSeerX 10.1.1.661.6663doi:10.1037/a0024951PMID 21843012.
  6. ^ "Emotion"The Penguin Dictionary of Psychology. Credo Reference: Penguin Books. 2009.
  7. ^ Harmon-Jones, Eddie; Harmon-Jones, Cindy; Price, Tom F. (11 June 2013). "What is Approach Motivation?". Emotion Review5 (3): 291–295. doi:10.1177/1754073913477509S2CID 145612159.
  8. ^ Gable, Philip A.; Harmon-Jones, Eddie (April 2013). "Does arousal per se account for the influence of appetitive stimuli on attentional scope and the late positive potential?". Psychophysiology50 (4): 344–350. doi:10.1111/psyp.12023PMID 23351098.
  9. ^ "Affect display"APA Dictionary of Psycholog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n.d. Retrieved 2019-11-12.
  10. ^ Summerell, Elizabeth; Harmon-Jones, Cindy; Kelley, Nicholas J.; Peterson, Carly K.; Krstanoska-Blazeska, Klimentina; Harmon-Jones, Eddie (8 January 2019). "Does Cognitive Broadening Reduce Anger?"Frontiers in Psychology9: 2665. doi:10.3389/fpsyg.2018.02665PMC 6332929PMID 30671003.
  11. ^ Sashin, Jerome I. (1985-04-01). "Affect tolerance: A model of affect-response using catastrophe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Biological Structures8 (2): 175–202. doi:10.1016/0140-1750(85)90008-9ISSN 0140-1750.
  12. ^ Singer, Tania; Tusche, Anita (2014-01-01), Glimcher, Paul W.; Fehr, Ernst (eds.), "Chapter 27 - Understanding Others: Brain Mechanisms of Theory of Mind and Empathy"Neuroeconomics (Second Edition), Academic Press, pp. 513–532, doi:10.1016/b978-0-12-416008-8.00027-9ISBN 978-0-12-416008-8, retrieved 2019-12-03
  13. ^ Samur, Dalya; Tops, Mattie; Schlinkert, Caroline; Quirin, Markus; Cuijpers, Pim; Koole, Sander L. (2013). "Four decades of research on alexithymia: moving toward clinical applications"Frontiers in Psychology4: 861. doi:10.3389/fpsyg.2013.00861ISSN 1664-1078PMC 3832802PMID 24312069.
  14. ^ Hintikka, Jukka; Honkalampi, Kirsi; Koivumaa-Honkanen, Heli; Antikainen, Risto; Tanskanen, Antti; Haatainen, Kaisa; Viinamäki, Heimo (2004). "Alexithymia and suicidal ideation: A 12-month follow-up study in a general population". Comprehensive Psychiatry45 (5): 340–345. doi:10.1016/j.comppsych.2004.06.008PMID 15332196.
  15. ^ Lane, Richard D. (2008). "Neural Substrates of Implicit and Explicit Emotional Processes: A Unifying Framework for Psychosomatic Medicine". Psychosomatic Medicine70 (2): 214–231. doi:10.1097/PSY.0b013e3181647e44ISSN 0033-3174PMID 18256335.
  16. ^ Tolmunen, Tommi; Lehto, Soili M.; Heliste, Maria; Kurl, Sudhir; Kauhanen, Jussi (2010). "Alexithymia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Middle-Aged Finnish Men". Psychosomatic Medicine72 (2): 187–191. doi:10.1097/PSY.0b013e3181c65d00ISSN 0033-3174PMID 19949161S2CID 37601155.
  17. ^ Bernstein, Amit; Zvolensky, Michael J.; Vujanovic, Anka A.; Moos, Rudolf (September 2009). "Integrating Anxiety Sensitivity, Distress Tolerance, and Discomfort Intolerance: A Hierarchical Model of Affect Sensitivity and Tolerance". Behavior Therapy40 (3): 291–301. doi:10.1016/j.beth.2008.08.001PMID 19647530.
  18. ^ Sashin, J. (1985). "Affect tolerance: A model of affect-response using catastrophe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Biological Systems8 (2): 175–202. doi:10.1016/0140-1750(85)90008-9.
  19. ^ O'Bryan, Emily M.; Luberto, Christina M.; Kraemer, Kristen M.; McLeish, Alison C. (11 September 2018). "An examination of mindfulness skills in terms of affect tolerance among individuals with elevated levels of health anxiety"Anxiety, Stress, & Coping31 (6): 702–713. doi:10.1080/10615806.2018.1521515PMC 6540987PMID 30205718.
  20. ^ Keng, Shian-Ling; Smoski, Moria J.; Robins, Clive J. (2011). "Effects of mindfulness on psychological health: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Clinical Psychology Review31 (6): 1041–1056. doi:10.1016/j.cpr.2011.04.006PMC 3679190PMID 21802619.
  21. ^ "Attitudes and Behavior | Simply Psychology"www.simplypsychology.org. Retrieved 2019-10-24.
  22. ^ Duncan, Seth; Barrett, Lisa Feldman (September 2007). "Affect is a form of cognition: A neurobiological analysis"Cognition & Emotion21 (6): 1184–1211. doi:10.1080/02699930701437931PMC 2396787PMID 18509504.
  23. ^ Maxwell, Bruce (April 2008).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Studies in Compassionate Empath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27ISBN 978-1-4020-6889-8.
  24. ^ Green, Andre (1973), The Fabric of Affect in the Psychoanalytic Discourse, The New Library of Psychoanalysis, London and NY, 1999
  25. ^ Zembylas, Michalinos (2017-07-01). "The Contribution of Non-representational Theories in Education: Some Affective, Eth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Studies in Philosophy and Education36 (4): 393–407. doi:10.1007/s11217-016-9535-2ISSN 1573-191XS2CID 151738869.
  26. ^ Watson, D.; Clark, L. A.;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54 (6): 1063–1070. doi:10.1037/0022-3514.54.6.1063PMID 3397865S2CID 7679194.
  27. ^ Thompson, Edmund R. (26 July 201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tionally Reliable Short-Form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38 (2): 227–242. doi:10.1177/0022022106297301S2CID 145498269.
  28. Jump up to:a b Mroczek, Daniel K.; Kolarz, Christian M. (1998). "The effect of age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happiness" (PDF)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75 (5): 1333–1349. doi:10.1037/0022-3514.75.5.1333hdl:2027.42/144245PMID 9866191S2CID 14394086.
  29. ^ Joshanloo, Mohsen; Bakhshi, Ali (October 2016). "The Factor Structure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Study in Iran and the USA".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32 (4): 265–272. doi:10.1027/1015-5759/a000252.
  30. ^ Joshanloo, Mohsen (16 December 2015). "Factor Structure of Subjective Well-Being in Ira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98 (4): 435–443. doi:10.1080/00223891.2015.1117473PMID 26673220S2CID 45734600.
  31. Jump up to:a b c d e Finucane, Anne M. (2011). "The effect of fear and anger on selective attention". Emotion11 (4): 970–974. doi:10.1037/a0022574PMID 21517166.
  32. Jump up to:a b c d e f Gable, Philip; Harmon-Jones, Eddie (14 January 2010). "The Blues Broaden, but the Nasty Narrows". Psychological Science21 (2): 211–215. doi:10.1177/0956797609359622PMID 20424047S2CID 13541753.
  33. Jump up to:a b c d e von Hecker, Ulrich; Meiser, Thorsten (2005). "Defocused Attention in Depressed Mood: Evidence From Source Monitoring". Emotion5 (4): 456–463. doi:10.1037/1528-3542.5.4.456PMID 16366749.
  34. ^ Harmon-Jones, Eddie; Price, Tom F.; Gable, Philip A. (April 2012). "The Influence of Affective States on Cognitive Broadening/Narrowing: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Motivational Intensity".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6 (4): 314–327. doi:10.1111/j.1751-9004.2012.00432.x.
  35. Jump up to:a b c Harmon-Jones, Eddie; Gable, Philip A. (April 2009). "Neural Activity Underlying the Effect of Approach-Motivated Positive Affect on Narrowed Attention". Psychological Science20 (4): 406–409. CiteSeerX 10.1.1.710.6913doi:10.1111/j.1467-9280.2009.02302.xPMID 19298263S2CID 2005697.
  36. Jump up to:a b Bradley, Margaret M.; Codispoti, Maurizio; Cuthbert, Bruce N.; Lang, Peter J. (2001). "Emotion and motivation I: Defensive and appetitive reactions in picture processing". Emotion1 (3): 276–298. doi:10.1037/1528-3542.1.3.276PMID 12934687.
  37. Jump up to:a b c Hicks, Joshua A.; Friedman, Ronald S.; Gable, Philip A.; Davis, William E. (June 2012). "Interactive effects of approach motivational intensity and alcohol cues on the scope of perceptual attention". Addiction107 (6): 1074–1080. doi:10.1111/j.1360-0443.2012.03781.xPMID 22229816.
  38. ^ Weaver, Cameron C.; Martens, Matthew P.; Cadigan, Jennifer M.; Takamatsu, Stephanie K.; Treloar, Hayley R.; Pedersen, Eric R. (December 2013). "Sport-related achievement motivation and alcohol outcomes: An athlete-specific risk factor among intercollegiate athletes"Addictive Behaviors38 (12): 2930–2936. doi:10.1016/j.addbeh.2013.08.021PMC 4249648PMID 24064192.
  39. ^ Harmon-Jones, Eddie; Gable, Philip A.; Price, Tom F. (2012). "The influence of affective states varying in motivational intensity on cognitive scope"Frontiers in Integrative Neuroscience6: 73. doi:10.3389/fnint.2012.00073PMC 3437552PMID 22973207.
  40. Jump up to:a b Richter, M. (2013). "A closer look into the multi-layer structure of Motivational Intensity theory".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7 (1): 1–12. doi:10.1111/spc3.12007.
  41. ^ Martin, Brett A. S. (2003). "The Influence of Gender on Mood Effects in Advertising" (PDF)Psychology and Marketing20 (3): 249–273. doi:10.1002/mar.1007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10-25. Retrieved 2012-07-07.
  42. ^ Jeronimus, Bertus F.; Riese, Harriëtte; Sanderman, Robbert; Ormel, Johan (2014). "Mutual reinforcement between neuroticism and life experiences: A five-wave, 16-year study to test reciprocal caus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107 (4): 751–764. doi:10.1037/a0037009PMID 25111305.
  43. ^ Seidner, Stanley S. (1991). Negative Affect Arousal Reactions from Mexican and Puerto Rican Respondents. Washington, D.C.: ERIC.
  44. ^ Nesse, R.M. (1990). "Evolutionary explanations of emotions". Human Nature1 (3): 261–289. CiteSeerX 10.1.1.334.7497doi:10.1007/bf02733986PMID 24222085S2CID 6521715.
  45. ^ Keltner, D.; Haidt, J. (1999). "Social Functions of Emotions at Four Levels of Analysis". Cognition and Emotion13 (5): 505–521. CiteSeerX 10.1.1.337.4260doi:10.1080/026999399379168.
  46. ^ Campos, J.; Campos, R. G.; Barrett, K. (1989). "Emergent themes in the study of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25 (3): 394–402. doi:10.1037/0012-1649.25.3.394.
  47. ^ Smith, R.; Conrey, F.R. (2007). "Agent-Based Modeling: A New Approach for Theory Building in Social Psycholog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11 (1): 87–104. doi:10.1177/1088868306294789PMID 18453457S2CID 5802565.
  48. ^ Rafaeli A. & Hareli S. (2007) Emotion cycles: On the social influence of emo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49. ^ Ekman, P (1992). "An argument for basic emotion". Cognition and Emotion6 (3/4): 169–200. CiteSeerX 10.1.1.454.1984doi:10.1080/02699939208411068.
  50. ^ Hatfield, E., Cacioppo, J. T., & Rapson, R. L. 1994. Emotional contag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 Cheshin, A.; Rafaeli, A.; Bos, N. (2011). "Anger and happiness in virtual teams: Emotional influences of text and behavior on others' affect in the absence of non-verbal cu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116: 2–16. doi:10.1016/j.obhdp.2011.06.002S2CID 35638329.
  52. ^ Frijda, N.H. (1986). The emo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 Tiedens, L. (2001). "Anger and advancement versus sadness and subjugation: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 expression on social status conferra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80 (1): 86–94. doi:10.1037/0022-3514.80.1.86PMID 11195894.

Bibliography[edit]

  • APA (2006). VandenBos, Gary R., ed.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age 26.
  • Balliene, B. W. (2005). "Dietary Influences on Obesity: Environment, Behavior and Biology". Physiology & Behavior86 (5): 717–730.
  • Batson, C.D., Shaw, L. L., Oleson, K. C. (1992). Differentiating Affect, Mood and Emotion: Toward Functionally based Conceptual Distinctions. Emotion. Newbury Park, CA: Sage
  • Blechman, E. A. (1990). Moods, Affect, and Emoti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illsdale, NJ
  • Brewin, C. R. (1989). "Cognitive Change Processes in Psychotherapy". Psychological Review96 (45): 379–394. doi:10.1037/0033-295x.96.3.379PMID 2667012.
  • Damasio, A., (1994). *Descartes' Error: Emotion, Reason, and the Human Brain, Putnam Publishing
  • Griffiths, P. E. (1997). What Emotions Really Are: The Problem of Psychological Categorie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 Hommel, Bernhard (2019). "Affect and control: A conceptual clar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144 (10): 1–6.
  • Lazarus, R. S. (1982). "Thoughts on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s and Cognition". American Physiologist37 (10): 1019–1024.
  • Lerner, J.S.; Keltner, D. (2000). "Beyond valence: Toward a model of emotion-specific influences on judgement and choice". Cognition and Emotion14 (4): 473–493. CiteSeerX 10.1.1.318.6023doi:10.1080/026999300402763S2CID 397458.
  • Nathanson, Donald L. Shame and Pride: Affect, Sex, and the Birth of the Self. London: W.W. Norton, 1992
  • Quirin, M.; Kazén, M.; Kuhl, J. (2009). "When nonsense sounds happy or helpless: The Implicit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est (IPANA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97 (3): 500–516. doi:10.1037/a0016063PMID 19686004.
  • Schucman, H., Thetford, C. (1975). A Course in Miracle. New York: Viking Penguin
  • Shepard, R. N. (1984). "Ecological Constraints on Internal Representation". Psychological Review91 (4): 417–447. doi:10.1037/0033-295x.91.4.417.
  • Shepard, R. N. (1994). "Perceptual-cognitive Universals as Reflections of the World"Psychonomic Bulletin & Review1 (1): 2–28. doi:10.3758/bf03200759PMID 24203412.
  • Weiskrantz, L. (1997). Consciousness Lost and Found. Oxford: Oxford Univ. Press.
  • Zajonc, R. B. (1980). "Feelings and Thinking: Preferences Need No Inferences"American Psychologist35 (2): 151–175. doi:10.1037/0003-066x.35.2.151.

External links[edi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