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7

注意欠如多動症 - Wikipedia 주의 부족 다동증

注意欠如多動症 - Wikipedia


주의 부족 다동증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주의 부족 다동증
개요
진료과정신 의학 , 아동 정신 의학
분류 및 외부 참조 정보
ICD - 1090
ICD - 9-CM314.00 , 314.01
OMIM143465
DiseasesDB6158
MedlinePlus001551
eMedicinemed/3103 ped/177
Patient UK주의 부족 다동증
MeSHD001289

 ( 주 없는 결핍 다동증 ) , 혹은주의 부족 ·다동증 은, 다동성이나 충동성, 부주의를 증상의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증 ( 발달 장애 )이다 [ 1 ] . 이러한 증상은 교실 내에서 최연소라든가 [ 2 ] , 정상인, 다른 정신장애, 약물의 영향 등에서도 일반적이기 때문에 기능장애나 고통을 느끼는 등 중증으로 어린 시절부터 증상이 있는 등의 감별이 필요하다 [ 3 ] . 발달장애인지원법 에 근거하여, 각자에 따른 다양한 지원과 사회적 장벽의 제거(적절한 환경조정)가 이루어진다 [ 4 ] . 개개의 상태에 맞추어 다양한 지원기관의 제휴하에 환경조정·심리사회적 지원· 약물요법을 조합한 포괄적 지원을 실시하는 것이 유효하게 된다(“ #치료 ” 참조) [ 5 ] . 단, 「약 절임」이라고 형용되는, 이 질환의 과잉진단과 약물 투여에는 강한 비판이 있어, 약물에 의하지 않는 치료법도 모색되고 있다 [ 6 ] .

이름

편집 ]

ICD-11 에서의 진단명에 대한 번역어로서 「주의 부족 다동증」이라고 한다 [ 7 ] . 일본 내에서의 통계 조사나 의료 기관에서의 진료 기록의 관리는 ICD에 근거하고 있어 ICD-10 에 있어서의 명칭의 「다동성 장애」로부터 변경이 된다 [ 8 ] .

2013년 DSM-5 의 진단명(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에 대한 번역어로는 주의 부족·다동증 과 주의부족·다동성장애가 2014년에 일본정신신경학회 정신과 병명 검토 연락회에 의해 제시되었다 [ 9 ] . 「주의 부족・다동성 장애」라는 말은 2008년의 「제3판 주의 부족・다동성 장애-ADHD-의 진단・치료 가이드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의결함・다동성장애」라는 진단명은 1987년의 DSM-Ⅲ-R 에서 처음으로 제시된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라는 진단명에 대해 주어진 번역어이다 [ 10 [ 11 [ 12 ] . 이것은 1980년의 DSM-Ⅲ 에 있어서의 「주의 결함 장애( 영어 : attention-deficit disorder , ADD)」  계승해, 1983년 초판의 ICD-10에 있어서의 「다동성 장애( 영어 : hyperkinetic disorder )  에 상당하는 것으로, 구어적으로는 「 다동 증 영어 : hyper :

일반적으로 아스퍼거 증후군 과 혼동되기 쉽지만,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증의 일종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이다 [ 13 ] . 그러나 아스퍼거 증후군에는 ADHD의 병존도 적지 않다 [ 14 ] .

진단

편집 ]

그 증상이 정상적인 기능과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만 진단합니다 [ 1 ] . ICD-11에서는 '정상 경계'라는 항목이 있으며, 유년기 어린이나 청년기에 다동성이나 충동성이 정상 발달로 인정되기 때문에 진단에는 정상 발달과 비교하여 큰 문제가 있어 사회적으로 직접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 15 ] . DSM-5에서 성인에 대한 진단이 추가되었습니다.

증상은 6세 미만경에 발병하여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어 있어야 한다 [ 1 ] . DSM-5에서는 발병 연령을 지금까지의 7세에서 12세로 변경해, 지발성의 사례를 더했지만, 이것은 오진의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다 [ 3 ] . 또, 소아 발병이 성인 ADHD 의 중요한 진단 기준이었지만, 소아기 ADHD와 성인기 ADHD 는 다른 경과를 가지는 증후군이라고 시사한 연구예 [ 16 ] 도 있어, 아직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 진단은 많은 정신장애나 발달장애와 마찬가지로 문진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평가 척도가 진단 보조로 이용 가능하다 [ 17 ] . 생물학적 지표가 없기 때문에 오진도 많다고 생각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추정 유병률을 수배 웃도는 진단수 때문에 과잉진단이 지적되고 있다. 의학적 정의와 투약에 대한 논의 때문에 ADHD에 관한 논쟁이 있다.

성별에 의한 발병률 비교에서는 학동기까지를 비교한 경우는 1-6%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다 [ 18 ] . 특히 남자에서는 다동성과 충동성밖에 보이지 않고, 특히 여자에서는 부주의밖에 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 3 ] .

ICD-10에서의 다동성 장애의 발병률은 학령기로 3-7%이며, 그 중 30%는 청소년기에는 다동과 부주의는 눈에 띄지 않게 되고, 40%는 청소년기 이후에도 지장이 되는 행동이 지속되고, 나머지의 30%는 감정 장애나 알코올 중독증  의 보다 심각한 정신 장애가 한 조사에서는 약 30%가 어른이 되어도 증상이 계속되고 있었다 [ 20 ] . 또 다른 조사에서 ADHD 증상의 심각도는 보통 노화와 함께 감소하지만 약 90 %의 ADHD 환자는 성인기까지 여러 증상을 지속합니다 [ 21 ] .

증상

편집 ]

충동성 [ 22 ] ·과활동 [ 23 ] ·부주의 [ 24 ] 등의 증상이 확인된다 [ 25 ] . 일반적으로 태어나는 증상이 있습니다 [ 3 ] . 정형 발달자 에게도 나타나는 증상이기 때문에, 증상이 합치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고, 어린 시절부터 증상이 계속되어, 발달 과정에 있어서 부적절하게 지속되고 있어, 특정의 상황하 이외에서도 볼 수 있는 [ 3 ] .

어린이의 경우 ICD-10 에 의한 (26 ) 의 진단 이름  적용될 수 있습니다.

부주의 [ 27 ] 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습니다 [ 28 [ 29 ] .

  • 쉽게 신경 쓰이는, 케어리스 미스, 일을 잊어
  • 하나의 작업에 집중하기가 어렵습니다.
  • 그 일이 즐겁지 않으면 몇 분 후에 즉시 지루해집니다.

과활동 [ 23 ] · 충동성 [ 22 ] 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습니다 [ 29 ] .

  • 조용히 앉아있을 수 없다.
  • 끊임없이 말하기
  • 말없이 신체를 움직이지 않고 있을 수 없다.
  • 무목적으로 계속 말한다
  • 타인의 발언을 막고 말한다
  • 내가 말하는 순서를 기다릴 수 없다.

연령이 올라감에 따라 외모상의 ‘다동(침착이 없는, 좌절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등)’은 감소하기 때문에 한때는 아이만의 증상이며 성인이 됨에 따라 개선될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최근에는 어른이 되어도 남을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되고 있다 [ 25 ] . 그 경우, 대개, 보기에 알 수 있는 증상은 약해지고 있어 [ 3 ] 일이 빈발하는 등) 등이 눈에 띄게 된다고 한다 [ 30 ] .

어린 시절의 증상으로는 남성에서는 다동성과 충동성만, 특히 여자에서는 부주의만의 증후가 눈에 띄기 때문에, 그 이외의 증상이 간과되기 쉽고, 문제가 발각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 3 ] . 과활동, 충동성이 현저하지 않은 ADHD이며, 부주의만이 눈에 띄는 경우, 어린 시절에는 주위, 또는 자신이 ADHD인 것을 깨닫지 않는 경우도 많다.

원인

편집 ]

2023년 현재 결정적인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쌍둥이 연구는 원인을 유전 요인과 환경 요인으로 나눌 수 있지만 ADHD의 유전 요인 ( 유전율 )은 약 76 %이다 [ 31 [ 32 ] . ADHD의 아이의 형제 자매는 정형 발달자보다 3배에서 4배 ADHD가 되기 쉽다 [ 33 ] .  의 신경 회로의 일부에 정형 발달자와 다른 특징이 있다는 것은 확실하지만, 그 부위는 가설의 영역을 나오지 않는다 [ 30 ] . 유전 이외의 중요한 환경 요인은 태아기 약물, 알코올 및 담배 노출, 주산기 문제 및 머리 외상이다 [ 34 ] . 2020년에 발표된 ADHD의 환경 위험인자 , 보호인자, 바이오 마커  관한 메타분석  의하면 위험인자로서 확실성이 높은 것은 임신전 비만, 피부염, 자간전증, 임신기 아세트 아미노펜 노출 이었다 [ 35 ] . 위험 인자의 의심이 강한 것은 임신기의 흡연, 소아 천식, 임신기의 체중 초과 , 비타민 부족 등이었다 [ 35 ] . 그 외에도 빈곤, 교육양식, 사회복지, 성적 학대, 수면부족, 식품첨가물, 휴대전화의 사용 등 다양한 요인이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가설도 제시되어 있다 [ 36 ] .

뇌 부위

편집 ]

기능부전이 의심되는 뇌의 부위는 크게 3곳이다. ADHD의 아이들은 정형 발달의 아이에 비해 이러한 부위가 축소하고 있을 수 있다.

  • 오른쪽 앞머리 전피질 -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참는 것, 자의식이나 시간의 의식과 관련되어 있다
  • 대뇌 기저핵의 꼬리 핵과 담창구 - 반사 반응을 억제, 피질 영역에 대한 신경 입력을 조절
  • 소뇌충부 - 동기 부여

많은 연구자들은 여러 유전자 이상이 이러한 부위의 위축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30 ] .

2018년 후쿠이대학 의 연구그룹은 ADHD로 진단받은 120명의 남아의 뇌를 조사한 결과, 70%의 남아의 뇌에 안와 전두피질 의 두께가 늘어 표면적이 작아지는 등 뇌의 약 20곳에서 형태의 특징을 발견했다 [ 37 ] .

신경 기반설

편집 ]

1990년 미국 NIMH의 자메트킨(Zametkin) 등의 그룹은 PET 스캔을 이용하여 ADHD의 성인 25명의 뇌의 대사 활성을 측정하고 대상자군보다 저하되고 있음을 밝혀 ADHD가 신경학적 기반을 가지고 있음을 눈에 보이는 형태로 증명했다. 구체적으로는, 앞머리 전야가 행동을 주의깊게 선정해, 대뇌 기저핵 이 충동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담당하지만, ADHD의 경우에서는 그것이 잘 작동하고 있지 않다.

식사설

편집 ]

식사와 ADHD와의 관련성에 대해 지적하는 보고가 있으며,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식품첨가물 등을 제거한 식사의 비교가 이루어지고 있다. 2007년에 영국 정부는 식품첨가물 의 합성보존료 인 안식향산나트륨과 여러 종류의 합성착색료 가 아이에게 ADHD를 일으킨다는 연구를 받고, 이들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은 음료와 과자에 주의를 촉구하고 있다 [ 38 ] . 2008년 4월에는 영국 식품기준청 (FSA)은 ADHD와 관련 의심되는 합성 착색료의 타르 색소 에 대해 2009년 말까지 제조업체가 자주 규제하도록 권고했다 [ 39 ] . 선도적 인 제조 업체는 2008 년 동안 그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도되었다 [ 40 ] .

2006년, 5000명 이상과 규모가 큰 연구에서 설탕이 많은 청량음료의 섭취량과 다동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 41 ] .

수면

편집 ]

최근의 수면 과학에서는 수면이 ADHD의 증가에 크게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있다 [ 42 ] .

유기인계 화합물의 영향

편집 ]

미국의 어린이를 조사한 결과, 인과관계 는 불분명했지만, 소변 중의 디알킬인산염 영어판 ) 농도, 특히 대사물의 디메틸알킬포스페이트(DMAP) 농도와 ADHD의 진단율과 관련이 나타났다 [ 43 [ 44 ] .

진단

편집 ]

자주 사용되는 진단기준(통계조사용)은 미국정신의학협회가 정한 DSM-IV(1994)와 그 개정판의 DSM-IV-TR(2000)의 AD/HD이며, 부주의우세형과 다동충동성 우세형, 이들의 혼합형이라는 3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2013년에는 DSM-5가 출판되고 있다.

1994년에 개정된 WHO의 진단 기준인 ICD-10은 「다동성 장애」의 진단명이며, 주의의 장애와 다동이 기본적인 특징으로, 이 양자를 진단의 필요조건으로 하고 있다. ICD-10의 「다동성 장애」는, 세부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DSM-IV의 ADHD의 「혼합형」에 필적한다.

DSM-IV-TR 진단 기준

  1. 부주의(활동에 집중할 수 없는, 신경이 쓰이기 쉬운, 물건을 없애기 쉽다, 순서 세워 행동에 임할 수 없는 등)과 다동-충동성(지로 하고 있을 수 없는, 조용히 놀 수 없는, 기다리는 것이 약하고, 타인의 방해를 해 버리는 등)가 같은 정도의 나이의 발달 수준에 비해 보다 빈번하게, 강하게 인정
  2. 일부 증상이 7세 이전부터 인정됨
  3. 둘 이상의 상황에서 (가정, 학교 등) 장애가있는 것
  4. 발달에 따른 대인관계나 학업적·직업적인 기능이 현저하게 손상되고 있는 것
  5. 광범위한 발달 장애와 정신 분열증 과 같은 다른 발달 장애, 정신 장애로 인한 부주의, 다동성 - 충동성이 아님

위의 모든 것이 충족되면 진단됩니다. DSM-IV 에서는 MRI나 혈액 검사 등의 생물학적 데이터를 진단 항목으로 하고 있지 않다.

DSM-5(2013)의 진단 기준이 거의 답습되고 있지만, 일부에 변경이 있었다.

  • 파괴적인 행동 장애 및 반항 도전성 장애와 병렬 분류에서 신경 발달 장애 (선천적인 뇌의 신경 발달 이상) 범주로 이동. 선행하여 일본에서 ' 발달장애인 지원법 '(2005)이 채용하는 분류와 동등해진다.
  • 어린이만의 장애라는 인상을 다시 연령을 불문하고 발병하는 장애로 하는 시점.
  • 7세 이전부터 12세 이전으로 징후가 보이던 나이를 끌어올렸다.
  •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와의 합병, 병존을 인정했다.
  • 부주의 우세형과 다동 충동성 우세형, 혼합형의 타입 분할을 폐지.
  • 지난 반년의 증상에서 혼합상태, 부주의우세상태, 다동성 충동성 우세상태를 평가하여 부분 관해도 있을 수 있다고 했다.
  • 중증도를 경도·중도·중증의 3단계로 평가하게 되었다.

한편, 프랑스의 아동정신과의사는 생물학적 의학에 지배된 생각이 아니라 DSM에 대항하는 진단 분류인 CFTMEA( 부처 : Classification Françaisedes Troubles Mentaux de L'Enfant et de L'Adolescent )를 이용하여 증상의 배경에 심리사회적인 원인을 본다 [ 45 ] .

성인 ADHD

편집 ]

ADHD가 보고되었을 무렵, ADHD는 어린이 특유의 질병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성장에 따라 다동이 눈에 띄지 않게 되기 때문에 ADHD의 특징도 사라지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그러나 ADHD의 아동 추적 조사에서 성인기에 이르더라도 많은 환자에서는 부주의 등의 증상이 남는 것이 밝혀졌다 [ 46 ] . 이것은 의학계에서도 논쟁을 불렀지만, 현재는 발달장애의 특성은 대체로 평생에 걸쳐 지속되는 것이라는 것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단, 우울증 등으로 ADHD와 유사한 증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발달장애와의 감별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평가 척도

편집 ]

진단을 보완하기 위한 평가 척도 에는 ADHD Rating Scale-IV나 그 일본어판 ADHD-RS 등이 있다 [ 47 ] .

성인 ADHD에서는 22%에 증상의 과장이 있으며, 오진을 피하기 위해 90% 이상의 감도가 있는 척도의 사용이 필요하다 [ 17 ] .

다른 장애와의 병존과 감별

편집 ]

명확한 기능 장애 또는 고통을 일으키지 않으면 증상이 정상 범위 일 수 있습니다 [ 3 ] . 4세에서는 정상적인 미숙이다 [ 3 ] . DSM-5에서는 발병 연령을 12세로 늦추었지만, 전형적으로 증상은 태어나기 때문에,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는 다른 원인으로 하는 오인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성인에서는 특히 신중해야 하고, 지발성에서는 약물이 원인의 증상이라고 하는 것도 의심한다 [ 3 ] . 혹은 다른 정신장애가 원인이 되고 있는 경우도 있다 [ 3 ] . 특히 성인에서는 약의 엔터테인먼트 목적, 재판매 목적으로 진찰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 3 ] . 마이클 무어는 영화 '시코'에서 심각한 질병을 안은 많은 국민이 치료를 받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는 가운데, 당신은 불안증이 아닌지, 주의 결함 장애가 아닌가, 언론이 국민의 불안을 부추기는 현상에도 접하고 있다.

적응 장애는 혼란스러운 학교 환경, 가정의 스트레스 등에 대한 반응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 3 ] . 부모나 교사 등 주위의 어른이 완벽주의, 혹은 아이에게 과도한 기대를 하고 있고, 그러한 파괴적인 환경하에서는 ADHD가 과잉 진단되기 쉽지만, 어른의 기대의 재구축, 환경 조정이 필요하다 [ 3 ] .

ADHD를 가진 아동은 다른 정신장애가 병존할 확률이 66% 증가한다 [ 48 ] . 관련 장애로서 특이적 발달 장애( 학습 장애 )나 경증 아스퍼거 장애 와의 합병을 나타낼 수 있다. 또 그 특성상 주위로부터의 동조압력 등에 의해 부정적인 타격을 받기 쉽고, 2차적으로 정서장애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어, 행위장애 , 반항도전성장애 , 불등교 나 히키코모리를 초래하기 쉽다 [ 49 ] .

불면증 , 폐색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과 같은 수면 장애 는 ADHD와 유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통증도 수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50 ] . ADHD에서의 수면 장애의 병존율은 25-50%로 한다 [ 51 ] .

기타 발달 장애
  • 학습 장애 (LD)는 ADHD를 가진 아이들의 대략20-30%에 보인다. 학습장애는 발음·언어의 발달과 학습 스킬의 장애를 포함한다 [ 52 ] .
기타 정서장애
  • 투렛 장애 는 ADHD를 가진 사람들에게 더 일반적입니다 [ 53 ] .
  • 반항 도전성 장애 (ODD)와 소행 장애 (CD)는 ADHD 환자에서 2 차적으로 병발 할 수있다 [ 54 ] . 장애에 대한 무이해 등에 의해 주위로부터 부정적인 타격을 받는 것 등에 기인한다. 소행장애에서는 규칙 위반을 일으키고, 반항 도전성 장애에서는 권력에 반대한다 [ 3 ] .
  • 야뇨증 - 일반 15세 이상에서 야뇨를 일으키는 비율은 1% 정도로 되어 있지만, ADHD에서 야뇨증을 발병하는 비율은 약 30%에 달한다고 한다.
기분 장애
  • 우울증은 주로 주위의 부정적인 반응에 대해 2차 장애로 병발한다. 우울증에 의한 주의력 산만과 감별할 필요가 있다.
  • 양극성 장애 는 우울증 상태에서의 주의력 산만, 조증 상태에서의 이노성 이나 충동성, 기분  파도 등 표면상의 증상은 유사 하다 . 또한 ADHD 환자의 11%는 양극성 장애를 병발하고 있다.
  • 중증 기분 조절증은 주로 어린이에 대한 양극성 장애의 과다 진단을 줄이기 위해 DSM-5에 게재된 기분 장애이다. ADHD, 양극성 장애, 반항 도전성 장애와 증상이 유사하다.

성격 장애

편집 ]
경계성 성격 장애
단시간에 기분이 급속히 변화하는, 대인관계의 장애, 강한 충동성이나 자기 파괴 행동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감별 방법으로는 ADHD의 경우는 어린 시절부터 특징이 보이는, 버림받아 불안이 눈에 띄지 않는 등의 차이가 있다 [ 55 ] . 경계성 퍼스널리티 장애의 환자의 16.1%에 성인 ADHD가 보였다고 하는 보고도 있다 [ 56 ] . 경계성 퍼스널리티 장애의 환자의 대부분은 학대를 경험하고 있어 ADHD인 것을 모르고 부모의 억압적인 교육을 받고 있는 것이 원인의 하나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병존하고 있다고 생각된 예에 ADHD에 대한 약물치료를 개시했는데, 적의나 의심이 소실되었다고 하는 보고도 있고 [ 57 ] , 실제로는 오진단되고 있는 경우도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사회성 성격 장애
반항 도전성 장애 (ODD)를 병발한 ADHD 환자 중, 그것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은 자의 일부는 관해 없이 반사회성 퍼스널리티 장애로 이행할 수 있다 [ 58 ] .

기타 질병

편집 ]

과도 진단 문제

편집 ]

제약회사에 의한 홍보활동의 영향도 있어 진단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 3 ] .

정상적인 사람이나 다른 원인에 의해 증상이 나오는 사람은 정신 자극제로 치료하면 문제가 악화될 수 있다 [ 61 ] .

DSM- IV 의 앨런 프란세스 편찬 위원장은 제약회사에 이용되는 진단명의 추가는 피했다고 생각했지만 마케팅은 쉽게 이를 돌파해버렸다 [ 61 ] 의 힘과 그때까지는 정상이라고 생각되어 온 많은 아이가 주의 결함 장애라고 진단된 것에 의한 것 "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 62 [ 63 ] .

태어난 아이의 학급에서의 침착하지 않은 행동이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등 [ 62 [ 63 ] 단순한 미숙성이 병처럼 취급되는 경우도 있다 [ 2 ] . 자세한 것은 「상대 연령 효과」를 참조.

아동의 15%가 ADHD의 진단을 받고 있는 미국에서는 2010년 ADHD로 진단된 아동 450만 중 100만명이 오진일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으며 [ 64 [ 65 ] 프란세스는 “ 미국 에서는  이 아닌 아이들이 과잉진단 돼 약물치료를 받고 있다” 고 말했다 .

주의 장애잡지를 창간하고 MTA 연구를 주도한 키스 코너스 도 과잉진단과 과잉처방에 주의를 촉구했다 [ 66 ] .

아동의 권리에 관한 조약은 주의 결함 다동성 장애(ADHD)가 약물 치료에 의해 치료되어야 하는 질환으로 간주되고 있는 것을 우려하고 진단수의 추이의 감시나 조사 연구가 제약회사와 독립적으로 행해질 것이라고 제언하고 있다 [ 67 ] .

미국 질병관리예방센터(CDC)는 행동치료가 우선되지만 75%가 투약을 받고 있음에 주의를 촉구하고 있다 [ 68 ] .

과도한 순종을 강제하는 것에 대한 비판

편집 ]

미국 에서는 아동에게 조금이라도 문제 행동이 있거나, 간질이 있거나 하면 주의 결함·다동성 장애나 행위 장애 등의 정신 질환이라고 진단되어, 리탈린 에 의한 약물 치료가 계속해서 행해지는 것(「약 절임」이라고 형용되는)이 문제가 되고 있다 [ 6 ] . 나라티브 어프로치 의 보급을 목표로 하는 의료 소셜 워커의 데이비드゠나일랜드는, 안이하게 아동을 정신 질환이라고 진단하는 것으로, 주위가 색안경으로 그 아동을 보게 되어, 아동 자신도 자기 암시 로 그 정신 질환의 특징으로 되는 행동 규칙으로부터 피할 수 없게 되어, 자기 긍정감도 내려가는 것을 비판 이들의 치료는 반항적 행동으로 간주되는 행위를 억제하는 것이 특히 강조되지만, 나일랜드는 일괄적으로 순종을 요구함으로써 그 인물의 개성을 파괴하게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나일랜드는 기성 사회의 가치관과 법률( 도망 노예법 )에 반대하여 흑인 노예의 체육관과 함께 노예제를 폐지한 자유주로 향하는 해클 베리 핀 (『해클베리 핀의 모험의 주인공)이 현대에 살고 있다면 . 나일랜드에 의하면, 옛날의 미국 사회에서는 아동이 그러한 문제 행동을 일으켜도, 매우 「보통」이라고 간주되고 있었다고 한다 [ 71 ] . 나일랜드의 생각은 의학박사 진゠컴즈도 찬성하고 있다 [ 72 ] .

치료

편집 ]

세계보건기구 나 일본의 가이드라인에서는, 아동청년의 ADHD에의 제일 선택사항은 심리요법 ( 심리교육 , 부모훈련 , 인지행동요법 등)이며 [ 47 [ 60 ] , 약물요법은 아동청년정신과의의 관리하에서만 실시할 수 있으며, 6세 미만에 대해서는 투여 하여야 한다 . 심리 요법에서는 인지 행동 요법 이나 소셜 스킬 트레이닝 , 또 부모의 접하는 방법의 연습인 페어런트 트레이닝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 . 아동에 있어서의 대규모 MTA 연구에서 1년 시점에서 보여진 투약의 우위성은, 2년 이상의 투약에서는 행동 치료법 등과 차이가 보이지 않고 의문이 제기되고 있고 [ 74 ] , 다른 장기 연구에서도 장기의 투약에 의한 이익은 보고되고 있지 않다 [ 36 ] .

미국 질병 예방관리센터 (CDC)는 4-5세 ADHD에 대해서는 약물치료 전에 우선 심리요법을 실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 75 ] . 한편 CDC는 6-17세 ADHD에 대해서는 약물요법과 심리요법을 모두 실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 76 ] .

한편 영국 국립의료기술평가기구 (NICE)는 미취학아에서는 약물치료를 권장하지 않고 [ 77 ] , 취학아동 및 청년에서는 제1선택이 아니라 중증의 경우의 선택으로 하고 있다 [ 78 ] .

일본에서의 2016년 ADHD의 치료 가이드라인 4판은, 약물요법이 중심이 되어 있던 이전의 2008년 3판에 비해, 심리사회적 치료가 대폭으로 충족되었다 [ 79 ] . 아동에 대한 소셜 스킬 트레이닝 (SST), 부모에 대한 부모 훈련 등 심리사회적 치료나 학교와의 제휴 등 환경조정이 우선되며, 약물요법 있는 자세는 권장되지 않는다 [ 47 ] .

미국 국립정신위생연구소 (NIMH)가 출자한 7세부터 9세의 600명 가까운 아이를 추적한 대규모 연구인 MTA 연구가 실시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일반적인 4개월 이내의 연구보다 장기적이며, 행동요법, 약물요법, 또 그 병용을 비교하기 위한 시험이었다 [ 80 ] . 14개월 시점에서는 약물요법과 병용했을 경우, 다른 방법보다 증상이 개선되고 있고, 또 이 시점에서 약물요법의 4%에 정신자극제의 심각한 부작용에 의한 중지가 있어, 식욕 상실, 수면 문제, 울음, 반복 운동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층 더 약물 요법에서는 신장과 체중 의 성장 . 3년 후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개선이 유지되고 있었지만, 행동요법 등과의 치료이익에는 차이가 보이지 않게 되었다 [ 74 ] . 병존 질환의 발생률도 3년 후에는 차이가 없다 [ 81 ] .

8년 후에도 투약한 군에 혜택이 있었다는 것은 아니었다 [ 82 ] . 8년에는 의약품을 사용하지 않은 사람도 같은 기능 수준이 있었기 때문에 2년 이상의 약물요법에는 의문이 있었다 [ 74 ] . 의약품을 이용한 사람의 의약품의 종류는 91%가 정신 자극제(메틸페니데이트 등)를 포함하는 치료이다 [ 82 ] . 14개월 시점에서 투약을 받고 있던 사람의 61.5%는 8년 동안 투약을 중지하고 있었다 [ 74 ] . 16년째에서는 장기적인 투약은 증상의 중증도의 저하에 관련되어 있지 않고, 1-2센티의 신장의 성장의 억제와 관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83 ] . 투약과 교육 서비스는 오히려 불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문제가 악화된 아이에서는 보다 많은 치료가 실시된 것이 아니라는 논의도 발생하고 있다 [ 82 ] .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든 피험자에게 개선 경향이 보였다 [ 82 ] . ( #경과 도 참조)

프랑스에서는 심리 요법이나 가족 상담을 실시하고 실제로 문제를 해결하면 진정으로 ADHD로 진단되는 아동은 적다(0.5%)라는 것이다 [ 45 ] . 프랑스에서의 심리사회적인 수법은 포괄적으로 다루어져 식사에서는 합성 착색료, 보존료, 음식 알레르기가 증상을 악화시키지 않았는가에 주목하고, 육아의 방침에서도 아이를 관리하기 위해 약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 뚜렷한 규칙 속에서 견디는 것을 배우게 된다 .

심리 치료

편집 ]

가족은 심리 교육 , 부모 훈련을 실시한다 [ 60 ] . 본인의 증상을 통제하는 것보다 본인의 특성에 맞는 환경을 정돈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 훈련은 증상을 가진 아동과의 접촉 방법을 부모가 배운다는 것이다.

아동 청소년 ADHD는 WHO와 NICE 가이드 라인에서 인지 행동 요법 (CBT)과 소셜 기술 훈련 (SST)을 제안했다 [ 60 [ 84 ] . 또한 성인에서 NICE는 환자가 약물 요법을 원하지 않거나 약물 요법의 효과가 부족할 때 CBT를 고려한다 [ 85 ] .

인지 행동 요법에 관해서는 셀프 헬프를 할 수 있는 워크북도 이용할 수 있다. SST는 곤란한 일을 잘 해낼 수 있도록 실제로 연습해 본다는 것이다.

또한, ADHD를 가진 어린이에게는 Summer Treatment Program(STP) 등의 치료 프로그램의 실시가 유효하고, 참가한 모든 어린이에게 행동 개선이 인정되어 ADHD의 증상이 유의하게 개선된다고 되어 있다 [ 86 [ 87 ] . 또한 ADHD를 가진 성인에게도 약물요법 과 병행하여 심리교육 , 동기부여 면접기법 , 인지 행동요법 (활동 스케줄표 이용, 문제해결법, 인지재구성법 등 포함), 소셜 스킬 트레이닝 ( SST) 등 으로 구성된 영, 블랑햄, 프로그램 등의 치료 프로그램 을 실시하는 것이 증상 개선

덧붙여 2차적인 증상으로서 불안장애 나 우울증 , 불면증 등의 증상이 생기는 경우도 많아, 그 경우는 ADHD의 치료와 병행해 그 증상에의 치료를 실시해 본인을 서포트한다(「불안 장애 #치료」, 「우울증#치료」, 「불면증 #치료」등을 참조 .

인지 행동 요법

편집 ]

ADHD의 인지 행동 요법 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사용된다 [ 88 [ 90 ] . 치료나 지원을 할 때에는 본인의 증상·연령·환경·병존증의 유무 등에 따라 아래의 기법 등을 통합하여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개입 프로그램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 90 ] .

  • 인지 행동적 개입 : 수반성 경영, 소셜 스킬 트레이닝 (SST), 부모 교육 , 토큰 이코노미, 활동 스케줄표 이용, 문제 해결법, 동료 교시법, 행동 계약, 교실 행동 매니지먼트, 선행 조건 변경, 학업 스킬 훈련
  • 행동적 개입(후발 사건의 통제): 긍정적 인 강화 , 부정적인 강화 , 처벌, 타임 아웃, 지우기
  • 인지적 개입 : 인지재구성법, 셀프토크, 갈등해결, 분노 관리법(앵거 매니지먼트)

또한, 인지행동요법의 실시와 세트에서 ADHD 아동·자의 특성에 따른 합리적 배려나 환경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도 중요하다 [ 91 ] .

사회적 방법

편집 ]

환경상의 배려의 방법이나, 주위의 사람의 관계 방법에 의해, 본인의 곤란한 일도 달라진다. 따라서 문제의 원인을 본인 속에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주위의 관계방식이나 환경상의 배려의 방법을 개선하고, 지원을 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 92 ] .

환경변용법

주의를 끄는 물건을 주위에 두지 않는다.

문화적 배려

의학박사 진ㄠ컴즈는 문화학 박사· 의료복지사 (의료소셜워커)의 데이비드゠나일랜드에 의한 요법 을 높이 평가하고, 중요한 것은 “아무것도 의심 스럽지 않고 순종적 으로 자라는 것”이 아니라 “ 용기 와 문화  대한 반항심을 가지고 자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

약물 요법

편집 ]

WHO는 정확하게 진단된 ADHD에 대해서는 메틸페니데이트 제제의 약물요법을 이용한다고 하지만, 약물요법은 대증요법이며 근치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고, 전문의의 지시하에 실시하여야 하며, 상담 없이 1차 케어에서는 처방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 [ 73 ] . 약물치료는 지속적인 심리행동에 대한 포괄적 개입의 일부여야 한다 [ 73 ] , 특히 어린이의 경우에는 6세 이상으로 심리행동요법에 효과가 없을 경우에 신중하게 사용한다고 한다 [ 1 ] .

성인 ADHD의 경우 NICE는 약물 요법을 첫 번째 옵션으로 사용해야한다고 권고합니다 (환자가 심리 요법을 선호하는 경우 제외) [ 주 1 ] . 약물 남용 잠재력이있는 환자에게는 아토목세틴이 제안 되었다 [ 85 ] .

MTA 연구 이외의 장기적인 연구도 장기적인 의약품의 이익을 보고하지 않고 [ 36 ] , 3-5세의 아이를 6년 추적한 PATS 연구에서는, 투약의 혜택은 발견할 수 없었다 [ 94 ] .

코클란 공동 계획에 따른 소아 ADHD에서의 메틸페니데이트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에서, 치료 기간은 평균 75일로 매우 짧았고, 증거의 품질이 낮기 때문에 의약품의 영향의 크기를 확인할 수 없었다(유익한지 밝혀지지 않았다) [ 95 ] . 사망이나 치사적인 부작용은 증가하지 않았지만, 수면 장애가 1.6배, 식욕 저하가 3.6배이며, 부작용의 평가를 위해서는 보다 견고한 시험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성인 ADHD에서의 메틸페니데이트의 체계적인 검토는 비판을 위해 2016년에 철회되었으며, 불명확한 리스크 평가에 대해 신뢰성이 높다고 하거나, 11 연구 중 2개만이 우울증 등 병존 질환이 있는 피험자를 명확하게 남기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효과인지 여부는 타당성이 손상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어 증거가 낮아지는 것이 좋았기 때문에 평가를 위해 편향없는 장기 연구가 필요합니다 [ 96 ] .

어린이를위한 ADHD 치료제의 승인을위한 시험에서 정신병 과 조병은 1.48 %에 나타나고 벌레, 곤충 및 뱀의 환각이 흔했습니다 [ 83 ] . 다른 조건인 우울증, 양극성 장애, 정신분열증의 부모를 가진 아이에서는 정신자극제의 사용군(메틸페니데이트가 83%)에서는 62.5%가 정신병 증상을 나타내고, 복용하지 않은 군에서는 27.4%였다 [ 97 ] .

ADHD의 치료제의 사용과 골밀도의 저하가 보고되어 [ 98 ] , 이 우려로부터 실시된 동물 연구에서는 메틸페니데이트가 악영향을 주는 것이 관찰되었다 [ 99 ] . 성장 억제 이외에 장기적인 해가 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2017년에 동물 시험에 있어서의 체계적 검토를 실시한 결과, α2 수용체 작용제의 클로니딘 과, 메틸페니데이트에서 생식 기능을 손상시키고 있는 형적이 보였다 [ 100 ] .

정신 의료에서 ​​대마초의 효능이 널리 인지되게 된 최근에는 의료용 대마 의 ADHD에 대한 효능에 대해 현재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101 ] . 규제가 완화된 미국이나 캐나다, 영국 등에서 정신과 의사가 의료용 대마와 대마의 유효성분인 테트라 히드로칸나비놀 (THC)계 제제를 환자에게 처방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 중추 신경 흥분약  비해 부작용이나 의존 이 적은 유력한 대체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103 .

북미에서 소아의 약물 유해 반응 의 보고가 가장 많았던 것은 ADHD의 치료제와 여드름 치료제의 이소트레티노인이며, 북미 에서의 ADHD 치료제의 사용량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 105 ] .

ADHD에 대한 광토포그래피 로 약물 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106 [ 107 ] . (도상 기술인 광토포그래피 참조)

약물 요법의 실시에 있어서는, 계속적으로 복약함으로써 어떠한 이점이나 효과가 있는지를, 본인의 시점에 맞추어 알기 쉽게 전달해 나간다 [ 108 ] . 게다가 복약 지원 앱 등 정기적인 복약으로 이어지는 궁리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본인을 서포트한다 [ 108 ] .

의약품

편집 ]

의약품에는 각성 수준을 높이는 약물이 사용됩니다.

일본에서 ADHD에 적응이 있는 약은 메틸 페니데이트 서방제(콘서터), 아토목세틴 (스트라테라) , 구안파신(인투닙), 리스덱산페타민 (비반  )의 4종류.

일본에서 ADHD에 적응하는 제약 [ 109 ]
콘서터스트라테라인튜니브비반세
일반 이름메틸페니데이트아토목세틴관화신리스덱산페타민
종류중추신경자극제비중추신경자극제/선택적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비중추신경 자극제/선택적 α2A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중추 신경 자극제
모양삼투압을 이용한 방출 제어 서방 캡슐캡슐, 액체, 정제서방정캡슐
행동도파민 노르 아드레날린 재 흡수 억제노르 아드레날린 재 흡수 억제아드레날린 α2A 수용체 자극도파민 노르 아드레날린 재 흡수 억제 및 유리 촉진
효과 발현비교적 빨리천천히비교적 빨리비교적 빨리
효과 지속약 12시간, 효과에 틈이 있다종일종일약 12시간, 효과에 틈이 있다
하루 복용1회 아침두 번1회1회 아침
부작용식욕감소, 불면증, 체중감소 등두통, 식욕 감소, 졸음 등졸음, 혈압 저하, 두통 등식욕 감소, 불면증, 두통 등
적응 연령6세부터6세부터6세부터6세~17세(2023년 현재)
유통규제없음없음
개발 메이커楊仙勇(정할 완, 종 존 )엘리 릴리 , 타사 제네릭 있음다케다 약품 공업 (← 샤이어 ) [ 주 2 [ 110 ]다케다 약품 공업(←샤이어) [ 주 2 [ 110 ]
첨부 문서첨부 문서 , pdf첨부 문서 , pdf첨부 문서 , pdf첨부 문서 , pdf
비고즉방정 「리탈린」의 성분을, 알자사의 인수에 의해 얻은 기술로 서방 캡슐화.오래된 고혈압 치료제를 응용.샤이어는 암페타민 제제아데라-르 영어판 )」의 메이커.

특히 중추 신경 자극제의 효과가 높고, 종종 메틸 페니 데이트 ( 단시간형 : 리탈린 / 장시간형 : 콘서터)가 사용된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2014년 4월~2015년 3월에 ADHD 치료약이 처방된 환자 중 메틸페니데이트가 처방된 환자는 64%이며, 이는 영국(94%), 노르웨이(94%), 한국(94%), 터키(92%), 독일(75~100%)과 비교.

이러한 요인으로 일본에서는 단시간 작용형 메틸페니데이트(리탈린)의 ADHD에 대한 승인이 얻어지지 않고, 장시간 작용형(콘서터)만이 승인되고 있는 것, 아토목세틴(스트라테라)에 처방 제한이 없는 한편, 메틸페니데이트(콘서터)만 의사 의 등록이 필요한 등 처방제한 Sata)와 Atomoxetine (Stratera) 모두가 첫 번째 선택 약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 111 [ 112 ] .

마찬가지로 중추신경자극제인 리스덱산 페타민(비반세 )도 일본 이외에서는 제일선택약이 되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 113 [ 114 ] , 일본에서는 메틸페니데이트와 같은 처방제한이 있으며, 2025년 현재 6세부터 17세에 대한 적응뿐이며, 18세.

메틸페니데이트
한때 일본에서 메틸페니데이트 (상품명 리탈린)가 사용되고 있었지만, ADHD에의 사용은 허가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2차 장애의 우울증에 대해서 처방한다고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2007 년 10 월 남용으로 인해 리탈린 적응증에서 우울증이 제거되었습니다 [ 115 ] . 대신 메틸페니데이트의 서방제(상품명 콘서터)가 어린 시절 ADHD의 적응약으로 인가되어 [ 116 ] , 2013년에 성인으로 적응이 확대되었다 [ 117 ] .
메틸페니데이트는 장기 섭취에 의한 의존성이나 어떠한 부작용이 우려되지만, 적절히 사용되고 있는 한 약물 내성은 붙기 어렵다. 특히 사춘기 이전의 아동에 관한 투약도 의존의 위험은 없다고 하지만, 미국에서는 너무 안이하게 유년아에게도 처방하기 때문에, 2-3세아에의 처방에서는 실제로는 ADHD가 아닌 케이스가 상당히 포함되어 있는 것이라는 우려가 이루어지고 있다 [ 30 ] . 메틸페니데이트는 전두 전야피질의 노르아드레날린 트랜스포터(NAT)에 작용하여 세포외 도파민 의 농도가 상승, 치료 효과를 가져온다는 가설이 있다 [ 118 ] . 리탈린은 뇌 내의 도파민 트랜스포터와 노르아드레날린 트랜스포터에 작용하여 도파민과 노르아드레날린 양을 늘린다. 세로토닌 트랜스 포터에는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 30 ] . 콘서터 자물쇠는 12시간 정도 효과가 지속되는, 곧바로 효력이 나타나기 때문에 며칠 만에 효과가 보인다는 특징이 있지만, 콘서터 자물쇠 적정 유통 관리 위원회에 등록이 있는 의사 밖에 처방이 인정 되고 있다 [ 119 ] .
단시간 작용형 메틸페니데이트(리탈린)는 2025년 현재도 일본에서는 ADHD에 대한 승인을 얻지 못하고 있다. 한때 일본에서도 ADHD에 대해 실질적으로 처방되었지만, 과거에 남용의 문제가 있었고, 우울증에 대한 적응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우울증에 대한 적응을 이용한 ADHD에 대한 처방을 할 수 없게 되었다.
리스덱산페타민
리스덱산페타민 (상품명 비반세) 은 덱스트로암페타민의 프로드러그이며, 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방출 촉진 및 재흡수 저해에 의해 중추신경에 작용 한다 . 2019년 2월에 소아에게 허가되었다 [ 120 ] . 성인에 대해서는 2025년 현재에도 승인을 얻지 못하고 있다.
아토목세틴
아토목세틴 (상품명 스트라테라)은 노르아드레날린 의 재흡수 를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다. 2009년 4월에 인가되었다. 본제도 소아로 한정되어 있었지만, 2012년에 성인으로 적응이 확대되었다. 노르 아드레날린 트랜스 포터에 작용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도파민에도 작용하는 비중추 자극제이다 [ 121 ] . 메틸페니데이트와 달리 남용의 가능성은 없다.
관화신
구안화신 서방 제(상품명 인튜닙)가 2017년 3월 어린이에게 인가되었다. 비중추신경자극제로 α-2아드레날린작용약으로 분류되어 기전은 아직 미해명이지만 환자의 저하된 전두전피질 후 시냅스성 아드레날린α2 수용체에 작용하여 다동성·충동성을 개선한다고 한다. 연수에서는 아드레날린 2A 수용체의 자극에 의해 교감신경을 억제하여 혈압이 내려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작용을 가진 구안파신이나 크로니딘은 고혈압 치료약이었지만, 이전보다 ADHD 치료에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 122 [ 123 ] . 2019년 6월부터 성인에 대해 인가되었다 [ 124 ] .

미국에서는 암페타민 (아데롤, 일본법에 있어서의 각성제), 덱스트로암페타민(암페타민의 D체), 리스덱산페타민(체내에서 덱스트로암페타민이 된다)도 사용된다. 다소트랄 린 영어판 ) 의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셀트랄린의 활성 대사물이다.

ADHD 적응 외 제약

편집 ]

DNRI의 ADHD 치료약을 대 일본 스미토모 제약 의 미국 자회사인 사노비온 퍼머슈티컬즈 잉크  미국에서 임험 중이다 [ 125 ] . DNRI는 마찬가지로 노르 아드레날린 과 도파민 에 작용하는 중추신경 흥분제보다 완만하게 작용하며 의존성도 적다는 특징이 있다.

미국에서는 메니에르병 에 사용되고 있던 베타 히스틴 영어판 )  임상시험 중이다 [ 126 ] .

한약

편집 ]

ADHD 등 발달장애 에는 억간산 , 억간산가진피반여름 , 감밀대관탕 , 황련해독탕 , 향 소산 , 시호가룡골모탕탕 , 당귀작약산 등을 그 사람의 증거에 맞추어 구분한다 [ 127 ] . 또한 서양약의 보조로서 병용할 수도 있다 [ 128 ] .  간산 , 억간산 가진피 반여름에 관해서는 ADHD에 효과가 있는 것이 일본 동양의학회에서도 나타나 있다 [ 129 [ 130 [ 131 ] . Shanghai Journal of Acupuncture의 연구에 따르면, 어린이 592명을 침구그룹과 한방약그룹, 비교그룹으로 나누어 침구에서 84.45%의 효과율, 한방약에서 78.77%의 효과율이 되어 둘 다 증상과 뇌파에 개선이 나타났으며, 환자의 나이 가 2 . '라는 것이다.

침술

편집 ]

ADHD에는 침술이 유효하다는 의견이 있고 [ 133 ] , 일본에서도 ADHD에 침술을 하는 침구치료원이 존재한다. 또, 일본 소아 학회에서도 발달 장애를 테마로 한 것도 있어, 「ADHD와 진진의 벌레 는 동질환이다」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뉴잉글랜드 침구대학원대학 조교수, 쿠와하라 코유에 따르면 경도의 진충증은 폐허간 실증, 심한 ADHD는 755난형 간실증, 약제 과잉 투여로 비장간 실증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 치료 횟수는 일반적인 진충증으로 4일부터 5일 연속, 경증으로 2일부터 4일 연속, 중증이지만 ADHD약을 복용하고 있지 않으면 7일부터 10일의 연속, 매일의 복용이 10mg 이하의 ADHD는 주 1회로 1년부터 3년, 매일의 복용이 20mg 이상의 ADHD 가 . 미국에서 ADHD에 대한 침술은 인지도가 높아지고있다 [ 136 [ 137 ] . 한편, 중국 쓰촨 대학의 조사에서는 ADHD에 대한 효과는 불분명하다 [ 138 [ 139 ] .

연구 사례

작업 메모리 훈련

편집 ]

21세기가 되어 워킹 메모리의 장애 는 ADHD의 주요 장애 또는 중간 표현형인 것으로 밝혀졌다. 신경 생리학적으로 ADHD는 뇌의 전두엽과 도파민 시스템 의 기능 변화와 관계가 있을 수 있다. (Castellanos and Tannock, 2002 [ 142 ] ; Martinussen et al., 2005 [ 143 ] )

스웨덴, 칼로린스카 의과대학 의 클링버그 등은 컴퓨터에 의한 훈련 방법을 개발하고, 2개의 연구 (Klingberg et al. 2002 [ 144 ] , Klingberg et al., 2005 [ 145 ] ) 에서 워킹 메모리를 자극하는 정신에 증감하는 정신에 증감하는 적의 증상으로 적의 증상에 대한 경감증 당시의 동 대학 학장이며, 세계적인 에이즈 연구자인 한스 위그젤은 의학을 전문으로 하는 동 대학 벤처 펀드로서는 처음으로 신약 이외의 분야로서 사업화를 지원해 146 ] .

일본에서는, 2007년 여름보다 약 반년간의 에지 그만큼 [ 147 ] 에 의한 워킹 메모리 트레이닝 평가 프로젝트로서 개시되었다. 2008년 일본 발달장애 네트워크 연차대회에 부스 출전이 있어 관계방면에 대한 소개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2009년 코그메드 재팬이 워킹 메모리 트레이닝을 제공하고 있다 [ 148 ] .

영국 요크 대학의 개더콜, 영국 노던 브리아 대학의 홈즈 등은 코그메드의 워킹 메모리 훈련을 사용해 훈련 프로그램과 정신 자극제에 의한 약물 치료의 2종의 개입에서 ADHD를 가진 아동의 워킹 메모리 기능에 대한 영향을 평가했다. 약물치료가 시공간의 워킹메모리만 개선된 반면, 훈련은 모든 워킹메모리 요소(언어도 더한 워킹메모리와 단기기억)에서 대폭적인 개선을 가져오고 효과는 6개월 후에도 지속됐다. IQ 성적은 어느 개입에서도 변하지 않았다. 논의 속에서 “단연히 가장 드라마틱한 워킹 메모리의 개선은 워킹 메모리 트레이닝에서 관찰되었다. 킹 메모리에 무거운 부하를 견딜 수없는 아동에게 중요하고 실용적인 이익이 될 것입니다 (Joni Holmes, Susan E. Gathercole 2009 [ 149 ] ) .

다이어트

편집 ]

무작위 비교 시험에서 비타민 미네랄은 감정 조절, 공격성 및 부주의를 개선했지만 과활동과 충동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 150 ] .

핀란드 의 조사에서 장내 플로라 가 ADHD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 [ 151 [ 152 ] [ 요점 1차 자료 ] .

경과

편집 ]

367명의 소아 ADHD에서는 29.3%가 성인기까지 증상이 계속되었다 [ 20 ] .

역학

편집 ]

ADHD 아이들의 대부분은 정상적인 지능이다 [ 36 ] .

유병률

편집 ]

유병률은 DSM-5(2013)에서는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어린이의 약 5%, 성인의 약 2.5%, 남자: 여자비에서는 어린이로 2:1, 성인에서 1.6:1이라는 기재가 있다 [ 주3 ] . WHO 조사에서는 성인에서는 세계 전체에서 3.4%(국가에 따라 1.2% - 7.3%와 크게 다르다). 주증상 가운데, 다동은 9세부터 11세, 충동성은 12세에서 14세로 진단적 관해가 되는 경우가 많고, 부주의는 성인 후에도 계속되는 일이 많다고 하는 보고가 있다 [ 153 [ 154 [ 155 ] .

미국 CDC 통계에서는 4-17세 아동의 약 11%(640만명)가 ADHD로 진단되고 있으며(2011년), 남아가 13.2%, 여아가 5.6%로 남아에게 많다 [ 156 ] . 뉴욕 타임즈 는 고전적인 ADHD의 유병률은 아동의 5%이지만, 지금의 미국에서는 ADHD는 천식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소아 질환이며, 그것에는 과다 진단 이나 제약회사에 의한 병전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 157 ] . 영국 통계에서는 협의의 ICD-10에 의한 hyperkinetic에 대해서는 아동 청년의 1-2% 정도이고, 광의의 DSM-IV에 의한 ADHD에 대해서는 아동 청년의 3-9% 정도였다 [ 158 ] . 한편 프랑스에서는 증상을 나타내는 심리사회적 원인을 해소하려고 시도하고 있으며 진정으로 ADHD로 진단받는 아이는 0.5%이다 [ 45 ] .

일본의 유병률은 성인에서는 하마마츠시의 대규모 조사보다 1.65%로 추정되고 있다 [ 주 4 [ 159 ] .

쌍둥이에서의 연구

편집 ]

콜로라도 대학 의 재클린 제일리스 [ 160 ] 등의 연구에서는 ADHD를 발병한 일란성 쌍둥이 가 두 사람 모두 발병하는 위험은 ADHD를 발병한 일란성이 아닌 형제 자매의 경우의 11배 - 18배가 된다고 보고되었다. 노르웨이의 오슬로 대학 의 구요네 [ 주 5 ] 와 선데트 [ 주 6 ] , 영국의 사우샘프턴 대학 의 짐 스티븐슨  7 ] 등의 연구 에서는 526조의 일란성 쌍둥이와 389조의 이란성 쌍둥이를 조사한 결과 로 최대 80% 까지 발표

삶에 미치는 영향

편집 ]

일상생활에서

편집 ]

2005년에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ADHD를 안고 있는 인물은 건강한 인물에 비해, 학력에 관계없이 취업률이 낮고(실업률이 높아), 또 저수입이었다 [ 161 ] . 일본에서는 발달장애인 지원법 에 의해 발달장애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발달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협력이 국민의 책무로 되어 ADHD를 안고 있는 인물의 취학·취업을 위한 환경정비가 계속되고 있다.

ADHD의 인물은 인터넷 중독이 되기 쉽다. 2019년에 발표된 일본의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 의존도를 테스트하는 YIAT(Young's Internet Addiction Test)에서 70점 이상을 인터넷 의존증으로 했을 때 일반 인구와 비교하여 ADHD만의 경우 약 4.31배로 ADHD 이외에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진단된 것으로는 약 6.89 배나 그 비율  아스퍼거 증후군 만의 경우 는 약 3.72 배였다 [ 162 ] . 미국 의사회 잡지(JAMA)에 2018년 7월 17일 게재된 2500명의 10대 젊은이를 2년간 추적한 조사에 따르면 10대 젊은이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SNS) 사이트나 비디오 게임, 스트리밍 전달 서비스의 이용이 늘어날수록 ADHD 증상을 일으킬 위험 이 높다 . 디지털 미디어를 하루에 여러 번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한 약 500명의 십대 중 ADHD 증상(작업을 끝까지 계속할 수 없는, 정지하고 있는 것이 곤란 등)이 보이는 비율은 4.6%였지만, 질문한 14종류의 디지털 미디어의 모두를 매일 사용한다고 대답한 약 50명에서는 그 비율이 10.5 % 였다 .

앵글리아 러스킨 대학의 샤론 모레인 등은 ADHD 클리닉에 다니는 환자 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ADHD의 사람들은 일반인에 비해 침입증의 경향을 보다 강하게 나타내고 대조군의 2%에 대해 약 20%가 사고 장애의 유의한 증상을 보였다고 한다 [ 164 ] .

학업 등

편집 ]
ADHD를 안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 토마스 에디슨 . 어린 시절은 학교에 익숙하지 못하고 학교 측의 배려도 있어 학교를 퇴학하여 홈스쿨링 에서 자랐다 [ 165 ] .

프랑스의 한 연구에 따르면 ADHD의 아이는 일반 어린이에 비해 3.58배 유년하기 쉽고, 일본에서의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2차 스쿨에서는 중퇴가 2.41배 많다고 한다 [ 166 ] . 또한 CDC에 따르면 ADHD아를 가진 부모는 일반아들과 비교하여 부모와 자식관계가 트러블이 될 확률이 약 3배라고 한다(21.1%와 7.3%) [ 156 ] .

학습면에 있어서는 계산 등의 단순 작업에 있어서 장애가 원인으로 건강아와 비교하여 실수가 많아지는 경향은 있지만, 주위의 인간의 적절한 팔로우나 본인의 의식에 의해 실수를 줄이는 것은 가능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ADHD라는 이유로 레텔을 붙이거나 달콤하게 평가하는 등은 부적절한 대응이라는 의견도 있다 [ 18 ] . 그렇다고 해서, 현재는 일반 교사가 ADHD아에게 항상 적절한 대응을 취하는 것은 쉽다는 것은 아니다.

학습기능면 이외의 문제로서 ADHD아는 수업중에 서서 걷는다. 또 노트를 취하는, 숙제를 하는, 제출물을 내는 등의 행위를 ADHD의 아동이 서투른 경향이 있다(혹은 흥미가 있는 교과밖에 공부하지 않는 등). 애초에 교육 현장에서 ADHD가 주목되는 것은 학급 붕괴의 원인이 되는 문제아가 발생하는 것에 대한 설명으로서 ADHD가 창옥에 올랐다는 구조가 있다. 2014년에는 교토시립 초등학교에서 ADHD의 경향이 있는 남아동에 대해 여성교사가 점착 테이프를 보여 입에 붙여넣은 것이 판명되어 아동의 보호자가 "ADHD아에 대한 차별적인 취급"이라고 항의하는 사태가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유식자로부터는 「교사 한 사람의 문제가 아니고, 학교가 아동 한 사람 한 사람의 교육 기회를 충분히 보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는 의견이 있다 [ 167 ] .

교육에서의 배려로는 공부를 할 때 외적 자극을 줄이거나, 아이의 주의가 버렸을 때에 적절한 인도를 주거나, 시합을 가늠해 과제를 주는, 칭찬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등을 들 수 있다. 일례로서 「공부하라」라고 하는 것보다, 책상 위에 그 아이의 주의를 끌 것 같은 학습 의욕을 향상시키는 책을 자연스럽게 두어 두는 등이다.

일본의 공립학교에는 발달장애를 안고 있는 아동이 보통 학급에서 배울 수 있도록 그것을 안는 아동에게 '합리적 배려'를 할 의무가 학교에 부과되고 있다. 그러나 대인관계를 싫어하는, 그것을 안는 아동이 끌어당기고, 프리스쿨이나 특별지원학교 로의 진학 등을 선택하면, (고등학교) 졸업 자격을 얻지 못하고 진학이나 취직으로 핸디가 된다 [ 168 [ 169 ] . 그러나 최근 설치가 진행되고 있는 배움의 다양화학교 는 학교교육법 시행규칙에 근거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졸업자격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170 ] .

범죄 행동과의 관계

편집 ]

ADHD의 인물과 범죄행위의 상관관계는 일반인보다 높은 확률이라는 연구와 거의 동등하다는 연구가 있다 [ 171 ] . 현재의 정신의학계에서는 ADHD나 광범성 발달장애 등 발달장애 그 자체가 촉법행위의 원인이 된다고 생각하는 견해보다 그 인물을 둘러싼 주위환경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촉법행위에 이르렀다고 생각하는 견해가 우위가 되고 있다 [ 172 ] .

ADHD의 인물의 범죄율이 건강한 사람보다 높다고 생각하는 연구에서는 ADHD의 인물은 셀프 컨트롤 능력이 낮은 것이 원인이라고 분석하고 [ 173 ] , 세계 의 소년감별소, 유치소, 감옥의 수용자로 ADHD의 인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고 지적한다 [ 174 ] . 일본에서의 2022년 조사에서는 신규 수형자 700명에 대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약 12%가 ADHD와의 판정으로 일반 성인 집단에서 차지하는 ADHD의 비율보다 높은 비율이었다. ADHD 양성자 중 치료가 필수 불가결하다고 생각되는 수형자로, 치료를 희망하는 인물에게, 약물요법( 메틸페니데이트 의 투여) 등을 포함한 치료를 실시한 결과, 약 70%로 증상의 개선이 보였다. 아바시리 형무소 교정 의관의 도미타 타쿠는 적절한 치료를 받고 있던 ADHD의 인물은, 그렇지 않은 ADHD의 인물보다 범죄율이 낮다고 하는 해외의 연구 결과를 예로 들어, 감옥에서의 ADHD를 가지는 수형자의 치료 체제의 구축과 출소 후의 백업 체제의 구축이 필요 하다고 주장 한다 .

마치자와 시즈오는 ADHD의 특징은 공격성이라고 말했다 [ 176 ] . 그에 따르면 주의 결함·다동성 장애의 증상은 공격성과 비행이며, 여러가지 작은 악사를 거듭, 만성화하면 행위 장애가 되고, 18세 이상이 되면 반사회성 퍼스널리티 장애가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177 ] . 그러나 마치자와가 ADHD로 진단한 환자 중 메틸페니데이트의 효과가 있었던 것은 5% [ 178 ] 이다. 이것은 다른 연구에 의해 일반적으로 60% - 80%로 여겨지는 결과와는 거리가 멀고, 마치자와의 진단한 ADHD는 전형적인 ADHD가 아닐 수 있다. 이에 대해, 마치자와는 미국인과 일본인의 특성의 차이로부터 약물의 효과에 차이가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97년 11월, 아사히신문이 고베 연속 아동살상 사건 에 관해 ADHD가 범죄와 관련된 것 같은 인상을 주었다고 정신 발달 지도 교육 협회 등으로부터 사과를 요구받고, 지면에서 사과했다.

사회활동가에서 전중의원의원 야마모토 양사 는 자신이 정치자금규정법 위반으로 체포되어 복역하고 있었을 무렵의 체험을 바탕으로 저서 『누범장애인』에서 사회복지제도의 불충분함에 의해 정신장애인이 감옥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복지의 대체시설과 같았다. 야마모토는 자저에 대한 인터뷰에서 “지적장애인이나 발달장애가 있는 수형자의 대부분이 복지나 가족으로부터 놓쳐져 꼼짝, 며칠 식사를 할 수 없을 정도의 곤궁상태에 빠져, 절도나 무전음식 등에 손을 염색하게 된다” “무거운 죄를 범한 사람의 계속 학대되어 온 괴로움이 어떠한 자극에 의해 범죄에 연결 되어 있다 . 야마모토에 의하면, 장애를 안은 수형자의 대부분은 실사회에서의 차별로부터 피하기 위해 형무소에 고의로 입소하거나 머무르기를 원하는 인물 이 많다 [ 180 . 야마모토는 센보호 등과 함께 정신질환을 안은 출소자 복지의 본연의 자세를 묻는 연구위원회를 발족시켰다. 아카시시장 에 취임한 샘은 정신질환을 안은 출소자를 지원하는 행정부서를 설치하고, 또 「아카시시 갱생지원 및 재범방지 등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 182 ] .

일본의 진단·치료 환경

편집 ]

ADHD라는 분류가 타당한가 하는 것은 ADHD의 개념을 확립한 미국에서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에서는 ADHD의 특징은 아직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다 [ 183 ] . 최근에는 일반용 서적의 증대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보도에 의한 인지도의 상승의 영향으로, 「자신이 ADHD가 아닌가」라고 진찰해 오는 환자가 늘었다 [ 183 ] .

2013년 일본 정신신경학회 학술총회가 시즈오카 현 하마마츠시 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10000명 중 196명이 결과 ADHD의 '의심이 있다'고 인정을 받았다 [ 183 ] .

문부과학성은 ADHD의 특징으로서 “연령 또는 발달 정도에 불균형한 주의력, 충동성, 다동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 184 ] . 문부과학성은, 2005년 3월에 행해진, 「특별지원교육의 본연의 방법에 관한 조사연구협력자회의」에 있어서, 판단기준이나 지도방법에 대해 제시했다 [ 184 ] . 또한 같은 해부터 고기능 자폐증 이나 학습장애를 포함하여 지원을 목적으로 한 '특별지원교육추진체제모델사업'을 개시하였다 [ 184 ] .

병명·개념의 변천

편집 ]

다동적이고 침착하지 않은 아이의 존재는 옛날부터 알려져 있으며 ADHD의 질병 개념은 최근에 나타나지 않았다. 나중에 소아신경의학 등의 분야에서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1775년 독일의 의사인 멜히올 바이카르도는 의학교과서에 ADHD적인 행동을 기재하고, 현재의 ADHD의 「부주의」 측면과의 일치로부터, 아마 의학문헌상의 ADHD 최초출로 된다 [ 185 ] .

1902년 소아과의 스틸이 왕립내과의협회의 강연에서 '도덕적 통제의 결손'이라는 개념을 이용하면서 공격적·반항적이 되기 쉽고, 주의 기능에 이상이 있는 43명의 아동의 증례를 분석해, 강의록이 란셋지에 게재된다. 이 중 일부는 현재 ADHD "혼합 유형"과 일치하는 예를 보여줍니다 [ 186 ] . 1908년, 트레드 골드가 조기에 발생한 미탐지의 경도 뇌 손상 ‘뇌 미세 손상(MBD, minimal brain damage)’이라는 원인 가설을 발표한다. 게다가 북미에서 이코노모 뇌염(1917-18년)의 유행이 있고, 그 후 유증(뇌염 후 행동 장애)과의 유사성이, 어떤 뇌 손상을 배경으로 한 병태라는 추측을 낳는다.

이 흐름으로부터 「뇌 손상아(brain-injured child)」(1947년)의 개념이 제창되었지만, 50-60년대는, 확실한 손상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ADHD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서 「뇌 미세 손상 (MBD,minimal brain damage )」로부터, 약간 표현을 억제했다 했다. 1970년대에는 MBD 개념도 원인이 되는 뇌기능장애를 특정할 수 없어 의문이 생기면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된다.

행동 이상 아동의 뇌의 형태적 이상을 찾아내려는 움직임 속에서 1937년 찰스 브래들리 영어판 ) 는 약물요법을 발견했다. 그는 요추에서 뇌척수액을 빼고 기체를 넣어 뇌를 촬영하는 수법( 기뇌 조영 )을 받았지만, 아이에게는 힘든 두통이 남았다. 완화를 위해 중추신경자극제 ( 암페타민 )를 시도했더니 두통에는 효과가 없었지만, 이상행동이나 학력에 극적인 개선이 보였다. 한층 더 연구를 진행해, 치료법으로서의 중추 자극약을 발견해, 약의 성질과는 반대로 침착이 나오는 아이가 있는 이유를 고찰했다. 또한 중추 자극제가 효과적인 어린이 그룹의 특징 [ 주 8 ] 을 지적했다. 거의 오늘 ADHD의 병태였다.

이는 ADHD에 대한 약물요법 연구의 선구자였으나 정신분석의 영향이 넓어져 심리요법이 중시된 것 등으로부터 고민 되지 않았다 . 드디어 1950년대가 되어 장애의 생물학적 식별은 아직 할 수 없었지만, 발병 메커니즘의 이해나 신약 개발을 위해 응용되기 시작한다. 이와는 별도로 1954년에 암페타민을 닮은 중추자극제, 메틸페니데이트 (리탈린)가 발매되어, 당초는 우울증이나 나르코렙시의 증상에 사용되었지만, 가장 경이적인 효과를 나타낸 것은 ADHD의 증상이며, 또한 부작용은 보다 적었기 때문에 사용되게 되었다. 현재 ADHD의 치료는 주로 이러한 흐름을 갖는 중추 신경 자극제에 의한 약물 요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메틸 페니 데이트는 가장 자주 처방되고있다 [ 187 [ 188 ] .

뇌손상을 원인으로 하는 MBD의 흐름과는 별도로, 50-60년대, 원인을 불문하고 주증상이 있는 장애라고 파악해 「다동아, 과활동아」, 「다동(충동성) 장애」라고 하는 개념이 제안되었다(조작적 진단의 선구). DSM-II(1968년)에서 진단 개념으로 '다동성'이 처음으로 나타나 '어린이의 과활성 반응'이 기재된다. 이 연장상에서 WHO도 ICD-9(1977년)에서 「다동증후군(과활동증후군)」이 기재되었다.

1971년, 웬더는 MBD의 증상에 '짧고 부족한 주의 집중'이라는 후 '주의 부족'이라고 불리는 장애의 특징을 발견했다. DSM-III(1980년)은, 웬더 등의 성과를 도입해, 「주의 결함 장애(다동 있음·없음)」(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and without Hyperactivity)라고 기재해, 어디까지나 부주의를 중심 증상으로 보고 있었다.

DSM-III-R(1987년)에서는 「다동을 수반하는」장애에 한정해 「주의 결함 다동성 장해」로 변경해, 약간 중점을 「다동」으로 되돌린다.

DSM-IV(1994년)는 부주의, 충동성, 다동성이 반드시 맞지 않는 장애를 다시 인정하고 하위 분류에서 우세, 혼합을 진단하도록 변경했다. 성인과 특히 부주의한 면이 간과되기 십상인 여아 등의 장애 이해를 반영해 다시 '다동' 편중을 억제했다.

성인 ·여성 ADHD를 다룬 양서 번역으로 단적인 병태를 방제로 사용한 ' 정리할 수 없는 여자들 '(2000년)이 발매되면 이를 계기로 성인 ADHD를 의심하는 사람들이 전문 의료기관에 밀려 일본에서 제1차 성인 ​​ADHD 붐과 같은 상황이 일어났다. 이 일본제는 강한 인상을 주고, 정리된다면 ADHD가 아닌, 쓰레기 저택 이콜 ADHD 등으로 하는 오해가 계속되고 있다 [ 189 ] .

일본의 발달장애자 지원법 (2005년)에서 발달장애란 “자폐증, 아스퍼거 증후군 그 외의 광범위 발달장애, 학습장애, 주의결함 다동성장애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뇌기능의 장애로서 그 증상이 통상 저연령에 있어서 발현하는 것으로 정령으로 정하는 것” 이라고 정의 하고 AD 국제적으로는 '발달장애'에 대한 공식적인 의학적 정의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ADHD는 행동과 충동성(DSM) 혹은 정서와 행동(ICD)의 장애로 여겨졌다. 한편 일본에서는 특히 복지영역에서는 DSM-5의 분류를 선취하도록 ADHD도 발달장애로 인지되어 있어 법률에도 반영되었다.

DSM-5(2013년)에서는 용어나 진단 기준의 골자는 DSM-IV를 거의 답습하고 있다. 최근의 뇌기능연구의 지견을 바탕으로, DSM-III 이후 일관되게 계속된 반항성 도전성장애, 소행장애의 그룹이라고 하는 분류로부터, 처음으로 신경발달장애의 그룹에 자리매김했다 [ 191 [ 192 ] .

2013년경부터 내원자가 늘어나 일본에서는 제2차 어른의 ADHD 붐의 상황이 되었다. 이전과의 차이점은 커뮤니케이션의 부조의 면에서 집단 안에서 넘쳐나고 진찰을 요구하는 사람이나 기업이 부조에 눈치채고 진찰을 권유받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 189 ] .

공표하는 유명인

편집 ]

역사적인 인물

편집 ]

ADHD 같다고 생각되는 역사상의 인물로서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알려져있다 [ 225 ] .

관련 항목

편집 ]

각주

편집 ]

주석

편집 ]
  1. ^ 원문 :For adults with ADHD, drug treatment should be the first-line treatment unless the person would prefer a psychological approach.
  2. b 인치닙과 비반세는 판매 개시 이래, 샤이어 와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한 시오노 요시 제약의 양자에 의한 프로모션이 행해지고 있어, 2019년 에 샤이어가 다케다 약품 공업에 인수된 후에도 시오노 요시와 다케다의 양자에 의한 프로모션이 계속되고 있었지만, 2023년 4월. 시오노 요시가 취득하고 있던 제조 판매 승인에 대해서도 다케다에 승계되고 있다.
  3.  DSM-IV-TR(2000)에서는 학동의 3% - 7%라고 기재하고 있었다
  4. ^ 역학조사는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의 18세부터 49세의 남녀 10000명을 대상으로 하고, 그 중 3910명으로부터 조사 협력이 있어, 그 중 196명이 스크리닝에 있어서 ADHD의 의심이 있는 양성군이 된다. 2차 조사에서 이 양성군 중에서 41명의 진단 면접을 실시해 14명이 성인기 ADHD로 진단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산출되는 유병률의 추정치는, 1.65%(95% 신뢰 구간=1.25 - 2.05). 스크리닝으로 ADHD의 의심이 있던 양성군 196명은 음성군에 비해 남성이 많고, 20대에 많이 40대 후반에 적은, 미혼, 혼자 생활/부부 + 친동거가 많다, 미혼 때문에 없는, 무직, 수입 200만엔 미만이 많은, 건강에 해로운, 통원중, 고민이나 고민
  5. ↑ 노르웨이어 : Helene Gjone
  6. ↑ 노르웨이어 : Jon M. Sundet
  7. ↑ 영국 : Jim Stevenson
  8. ^ 짧은 집중력, 계산할 수 없는, 기분이 바뀌기 쉬운, 과활동, 충동성, 약한 기억력
  9. ^ 또, 키노시타가 받았다고 하는 ADHD의 진단은 일본 정신의학회 등에 있어서, 인정된 방법은 아니고, 키노시타 자신도 「정식적인 진단을 받았다」라고 명언하고 있지 않다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199 ] .
  10. ^ 진단명과 강한 조건·청각의 과민 등을 호소하지만 오늘의 ADHD의 주증상은 호소하지 않는 것에 일정한 주의 [ 201 ] .

출처

편집 ]
  1. d 세계 보건기구 2010 , BEH.
  2. ↑ b 알렌 프란세스 (2016년 5월 23일). “ ADHD Is Overdiagnosed, Here's Proof ”. Psycology Today. 2018년 3월 10일에 확인함.
  3. d e 알렌 프란 세스 ' 정신 질환 진단의 에센스-DSM-5의 능숙한 사용법' 금강 출판, 2014년 3월, 24-29쪽. ISBN  978-4772413527 .
  4. “ “발달장애자 지원법” 개정, 누르고 싶은 7개의 포인트 정리 ”. LITALICO. 2021년 10월 25일 열람.
  5. ^ 뿌리 히데키 (2011). “주의 부족 · 다동성 장애 ADHD)의 포괄적 치료 · 지원”. 아동 청소년 정신 의학과 그 근접 영역
  6. ↑ b 나일랜드 2006 , p. 33-46.
  7. ↑ “ ICD-11(2023년 1월판)의 대표어의 화역안의 확정에 대해서 ICD-11의 분류의 표기에 사용하는 용어의 화역안에 대해서(2024년 7월 24일 ICD전문위원회 자료 등으로부터) ”. 2024년 9월 19일 열람.
  8. “ 성 동일성 장애는 “성별 불합”에 신질환 분류의 화역, 후로성 부회가 승낙: 아사히 신문 디지털”.아사히 신문 디지털 ( 2024 년 9월 19일). 2024년 9월 20일 열람.
  9. 정신과 병명 검토 연락회 (2014년). “ DSM‒5 병명·용어 번역 가이드라인(초판) ”. 2024년 9월 20일 열람.
  10. “ ADHD Throughout the Years ” .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4년 9월 19일에 확인함.
  11. ↑ “ 제1부 ADHD와 관련된 각종 평가법 ”. 독립행정법인 국립특수교육종합연구소(2004년). 2024년 9월 19일 열람.
  12. ↑ “ 발달 장애의 진단명에 대해 - 소장 블로그 ”. CRN 아이는 미래이다 . 2024년 9월 20일 열람.
  13. ↑ 자폐 스펙트럼증을 가지는 분의 타자 이해
  14. ↑ “ ASD(자폐 스펙트럼증,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서 ”. e-헬스넷 . 후생 노동성 (2020년 5월 28일). 2022년 7월 22일 열람.
  15. 모리노 유리코, 에비시마 켄 (2021). “ICD-11 에서의 신경 발달증군의 진단에 대해 -ICD-10과의 차이점으로부터 생각한다-” . ICD-11 “정신, 행동, 신경 발달의 질환” 분류와 병명의 해설 시리즈: 각론① .
  16. ↑ Caye, Arthur; Rocha, Thiago Botter - Maio ; Anselmi, Luciana; 등 (2016).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rajectories From Childhood to Young Adulthood  . 0383. ISSN 2168-622X . PMID 27192050 .   
  17. b Marshall, Paul; Schroeder, Ryan; O'Brien, Jeffrey; et al. (2010). 37. doi : 10.1080 13854046.2010.514290 . PMID 20845231 . 
  18. b 보리 섬 (2006) , p.54
  19. ↑ 오카노 타카아키 (2007) p. 106
  20. b Barbaresi, WJ; Colligan, RC; Weaver, AL; et al. (2013). “ Mortality , ADHD , and Psychosocial Adversity in Adults With Childhood ADHD: A Prospective Study ” PMC 3821174 . PMID 23460687 .  
  21. ↑ Willoughby , Michael T. (2003-1). “Developmental course of ADHD symptomatology during the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 review with recommendations” .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6-40 PMID 12553414 .  
  22. b  : impulsive
  23. b  : hyperactive
  24. 영어 : inattentive
  25. b 영국 국립 의료 기술 평가기구 2008 , Information for the public.
  26. 영어 : hyperkinetic disorders , F90
  27. 영어 : inattention
  28. ↑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08년).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 미국 국립 위생 연구소 .
  29. b “ ADHD: Symptoms and Diagnosis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2018년 7월 22일에 확인함.
  30. f R.A. 버클리(매사추세츠 대학 의료 센터) 저 이시우라 쇼이치이치 「집중할 수 없는 아이들 주의 결함 다동성 장애」 「닛케이 사이언스 「뇌에서 본 마음의 세계」」
  31. ↑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Mental Health (2009).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DHD in Children, Young People and Adults . NICE Clinical Guidelines. 72 . Leicester: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ISBN 978-1-8 에서 아카이브  
  32. ↑ Neale, BM; Medland, SE; Ripke, S et al. (9월 2010).  Meta - analysis of genome wide association studie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10.06.008 PMC 2928252. PMID 20732625 .  
  33. ↑ Nolen-Hoeksema S (2013). Abnormal Psychology (Sixth ed.). p. 267. ISBN 978-0-07-803538-8 
  34. ↑ Durston, Sarah (2003). “A review of the biological bases of ADHD: What have we learned from imaging studies?” (영어).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9 ( 3 ): 184-195. doi : 10 013 . 
  35. ↑ b Kim, Jae Han; Kim, Jong Yeob; Lee, Jinhee; Jeong, Gwang Hun; Lee, Eun; Lee, San; Lee, Keum Hwa; Kronbichler, Andreas et al. (2020-11-01). glish ). The Lancet Psychiatry 7 (11): 955–970. doi : 10.1016/S2215-0366(20)30312-6 . ISSN 2215-0366 . PMID 33069318 .  
  36. d te Meerman, Sanne ; Batstra, Laura; Grietens, Hans; et al. (2017). “ ADHD : a critical update for educational professionals  . .1298267 PMC 5510202 . PMID 28532329 .  
  37. 일본 방송 협회. “주의 결함·다동성 장애의 자 뇌에 공통의 특징 발견 후쿠이 대학 | NHK 뉴스” (일본어). NHK 뉴스 . 오리지날 의 2018년 12월 3일 시점에 있어서의 아카이브. 2018년 12월 4일에 확인함.
  38. Agency revises advice on certain artificial colours (영어) (Food Standards Agency, 11 September 2007)
  39. ↑ Board discusses colours advice (Food Standards Agency, Friday 11 April 2008)
  40. ↑ EU plans warning labels on artificial colours (The Guardian, August 11 2008)
  41.  Lars Lien et al. "Consumption of Soft Drinks and Hyperactivity, Mental Distress, and Conduct Problems Among Adolescents in Oslo, Norwa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6, No.10 2006, pp . 
  42. ^ 포 브론슨, 애슐리 메리먼, 고마츠 아츠코역, 「제2장 수면을 깎지 말라」 「실수 투성이의 육아-육아의 상식을 바꾸는 10의 최신 룰」인터시프트사, 2011년 6월, 42페이지. ISBN 978-4-7726-9523-7 . 원제 Nurture Shock .
  43. ↑ Bouchard MF, Bellinger DC, Wright RO, Weisskopf MG. (2010-6). “Attention -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urinary metabolites of organophosphate pesticides.” . en Pediatrics . 9-3058 PMC 3706632. PMID 20478945 .  
  44. ↑ “ Organophosphate Pesticides Linked to ADHD. ”. en :Medscape Today . (2010년 5월 17일). 2016년 8월 10일에 확인함.
  45. ↑ d Marilyn Wedge (2012년 5월 8일). “ Why French Kids Don't Have ADHD ”. Psycology Today. 2018년 3월 10일에 확인함.
  46. ↑ 성인기  ADHD―병리와 치료
  47. c 사이토 만비고 「주의 부족·다동증-ADHD-의 진단·치료 가이드 라인 제4판」(제4판) 지호;, 2016년, 목차, 21, 49페이지. ISBN 978-4-8407-4881-0 . 
  48. Walitza, S; Drechsler, R; Ball, J (August 2012). “Das schulkind mit ADHS [The school child with ADHD]” (ドイツ語). Ther Umsch 69 (8): 467-73. doi : 10.1024/0040-5930/a000316 . PMID 22851461 . 
  49. ↑ 시바시 히데오 「성인에 있어서의 ADD, ADHD - 나의 치료 수기」 「정신과 치료학」 제19권 제5호, 2004년 5월, 547-552페이지.
  50. ↑ Lynne Lamberg (2014-09). “Children With ADHD Benefit From Sleep-Focused Treatment” . Gun Violence and Mental Health 49 (8): 1 .
  51. 후쿠스이도로 「주의 부족·다동증(ADHD)과 수면 장애」 「뇌와 발달」 제54권 제3호, 일본 소아 신경 학회, 2022년, 170-175쪽, doi : 10.11251/ojjscn.54.170 .
  52. ↑ Bailey, Eileen. “ ADHD and Learning Disabilities: How can you help your child cope with ADHD and subsequent Learning Difficulties? There is a way. ”. Remedy Health Media, LLC.. 2013년 11월 15일에 확인함.
  53. ↑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 The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 . 2013년 11월 15일에 확인함.
  54. ↑ McBurnett, K; Pfiffner, LJ (November 2009). “Treatment of aggressive ADH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of comorbid behavior disorders”. Postgrad Med 121 ( 6): 158-162.0 84. PMID 19940426 . 
  55. ↑ 나리타 요시히로 (2006) p.24
  56. Philipsen, A., Limberger, MF, Lieb, K. et al., (2008).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s a potentially aggravating factor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57. 오카노 고명, 타카나시 야스코, 미야시타 백용 외 “성인에 있어서의 ADHD, 고기능 광범성 발달 장애 등 발달 장애의 퍼스널리티 형성에의 영향 - 성인 퍼스널리티 장애와의 관련-” 『정신과 치료학』 제19권 제4호, 2004년 4월, 433-442. 
  58. ↑ AD/HD - NPO 일본 차세대 육성 지원 협회
  59. ↑ 보리 지마, (2006) , p56
  60. e 세계 보건기구 2010 , BEH1.
  61. b 알렌 프란세스 저, 오노 유(감수) 편 「<정상>을 구해-정신 의학을 혼란시키는 DSM-5에의 경고」아오키창(번역), 코단샤, 2013년 10월, 219-220,285-286페이지. ISBN 978-4062185516 .  ' Saving Normal , 2013.
  62. ↑ a c 사토 미츠코전 「DSM의 공죄 소아의 장애가 20배!」 「정신 의료 르네상스」, 요미우리 신문의 의료 사이트 yomiDr.(요미 닥터), 2012년 10월 24일 .
  63. ↑ c 「정신의학」편집실 2012 , pp. 819–821
  64. ↑ 데이비드 힐리 (2014년 1월 8일). “ Drug Traffic Accidents: ADHD ”. Dr. David Healy 공식 사이트. 2018년 3월 10일에 확인함.
  65. ↑ “ Nearly 1 million children potentially misdiagnosed with ADHD ”. Michigan State University (2020년 8월 17일). 2010년 8월 20일 시점의 오리지널 보다 아카이브. 2022년 12월 6일에 확인함.
  66. ↑ Carroll, Bernard J (2018). “Carmen Keith Conners” . Neuropsychopharmacology 43 (2): 455-455. doi : 10.1038/npp.2017.240 . PMID 29230032 . 
  67. ^ 유엔 어린이 권리원회 [in 영어] (20 June 2010). Consideration of reports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44 of the Convention - Concluding observations: Japan CRC/C/JPN/CO/3 (pdf) (Report) .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3 일본 번역: 유엔 어린이 권리 위원회: 총괄 소견: 일본 제3회
  68. ↑ Ariana Eunjung Cha (2016년 5월 3일). “CDC warns that Americans may be overmedicating youngest children with ADHD” . The Washington Post 2018년 3월 10일에 확인함.
  69. ↑ 나일랜드 2006 , p. 48-49.
  70. ↑ 나일랜드 2006 , p. 29-30.
  71. ↑ 나일랜드 2006 , p. 8.
  72. ↑ 나일랜드 2006 , p. 3-6.
  73. c 세계 보건기구 2010 , BEH3.
  74. d “ Short-term Intensive Treatment Not Likely to Improve Long-term Outcomes for Children with ADHD ”. 미국 국립 정신 위생 연구소 (2009년 3월 26일 ) .
  75. ↑ ADHD Treatments For Preschoolers (ages 4-5) (Report). 미국 질병 예방 관리 센터 . 2 April 2015.
  76. ↑ ADHD Treatments For Preschoolers (ages 6-17) (Report). 미국 질병 예방 관리 센터 . 2 April 2015.
  77. ↑ 영국 국립 의료 기술 평가기구 2008 , Chapt.1.5.1.1.
  78. ↑ 영국 국립 의료 기술 평가기구 2008 , Chapt.1.5.2.1.
  79. 다나카 테츠미 「ADHD의 진단・치료 지침에 관한 연구회, 사이토 만비고(편) 『주의 부족・다동증─ADHD─의 진단・치료 가이드 라인 제 판 NAID 130005708247 . 
  80. b “ The Multimodal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tudy (MTA):Questions and Answers ”. 미국 국립 정신 위생 연구소 ( 2009 년 11월) .
  81. ↑ Jensen PS, Arnold LE, Swanson JM, et al. (August 2007) . “3-year follow-up of the NIMH MTA stud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46 ( 8): 989-1002 ID 17667478 . 
  82. d Molina BS, Hinshaw SP, Swanson JM, et al. (May 2009). “The MTA at 8 years: prospective follow-up of children treated for combined-type ADHD in a multisite study” . J Am Acad Child Adolesc P8 1097 CHI.0b013e31819c23d0 . PMC  3063150 . PMID 19318991 . 
  83. ↑ Swanson , James M.; Arnold, L. Eugene; Molina, Brooke SG; et al. (2017). “Young adult outcomes in the follow-up of the multimodal treatment study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b and Psychiatry 58 (6): 663-678. doi : 10.1111/jcpp.12684 . PMID 28295312 .  
  84. ↑ 영국 국립 의료 기술 평가기구 2008 , Chapt.1.5.2.
  85. b 영국 국립 의료 기술 평가기구 2008 , Chapt.1.7.1.
  86. ^ 야마시타 히로시로, 무카사 쇼코, 마츠시시 토요지로, 「ADHD의 Summer Treatment Program : 일본의 3 년간의 실천 , 일본 행동 분석 학회
  87. ^ 다카하시 에미코, 야마시타 카즈야, 아가와 케이코, 코무라 토모코, " ADHD를 가진 어린이를위한 Summer Treatment Program의 의의 : 이즈모 여름 학교 실시를 향해 " "시마네 현립 대학 단기 대학부 이즈모 캠퍼스 연구 기요"
  88. b 수잔, 영, 제시카, 블랑햄, 다나카 야스오, 이시카와 미카. (2015). 성인 ADHD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당사자의 삶에 맞는 심리 교육적 접근. 아카시 서점, ISBN 978-4750342450 4 페이지.
  89.  Susan Young, Jessica Branham 다나카 야스오 (감수) 이시카와 미카 (역) (2015). 성인 ADHD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 당사자의 삶에 맞는 심리교육적 접근
  90. b 가토 미로 (2010). 「발달장애의 임상심리학」 제4장 ADHD의 심리사회적 개입:인지행동요법을 중심으로 히가시 슈요시쿠니, 오로쿠 이치시, 단노 요시히코(편) (pp.112-113) 도쿄대학 출판회
  91. ↑ 일본인지·행동요법학회 편『인지행동요법사전』 마루젠 출판, 2019년, 478-479쪽.
  92. 『아이의 발달이 신경이 쓰이면 처음으로 읽는 발달 심리·발달 상담의 책』 대추사, 2019년, 83-85페이지.
  93. ↑ 나일랜드 2006 , p. 4.
  94. ↑ Riddle, Mark A.; Yershova, Kseniya; Lazzaretto, Deborah; et al. (2013). “The Preschool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reatment Study (PATS) -Year Follow-Up” .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5 2. doi : 10.1016 /j.jaac.2012.12.007 . PMC 3660093 . PMID 23452683 .  
  95. ↑ Storebø, Ole Jakob; Ramstad, Erica; Krogh, Helle B.; et al. (2015). “Methylphenidat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 009885.pub2 PMID 26599576 . 
  96. ↑ Boesen, Kim; Saiz, Luis Carlos; Erviti, Juan; 등 (2017). “ The Cochrane Collaboration withdraws a review on methylphenidate for adul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Evidence Based Medicine 22 (4): 143-14 16. PMC 5537554. PMID 28705922 .  
  97. ↑ MacKenzie, Lynn E .; Abidi , Sabina ; Fisher, Helen L.; 등 (2016). “Stimulant Medication and Psychotic Symptoms in Offspring of Parents With Mental Illness” . Pediatrics 137 (1): 8 2486. PMID 26719291 . 
  98. ↑ Howard, Jeffrey T .; Walick, Kristina S .; Rivera, Jessica C.; et al. (2017). “Preliminary Evidence of an Association Between ADHD Medications and Diminished Bone Heal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097 BPO.0000000000000651 . PMID 26398435 .  
  99. ↑ Uddin, Sardar MZ; Robison , Lisa S .; Fricke, Dennis; et al. (2018). “ Methylphenidate regulation of osteoclasts in a dose- and sex -dependent manner adversely affects skeletal mechanical integrity” . 98-018-19894 -x . PMC 5784171. PMID 29367750 .   
  100. ↑ Danborg, Pia Brandt; Simonsen, Anders Lykkemark; Gøtzsche, Peter C.; et al. (2017). “Impaired reproduction after exposure to ADHD drugs: Systematic review of animal studies” . International Journal of Risk & Safety in Medicine 21 3 / JRS -170743 . PMC  5611805 . PMID 28885224 . 
  101. ↑ ADHD, cannabis and cannabinoids Scientific References... in evolution 논문이 여러 개 소개된 사이트
  102. ↑ Research Showcase (School of Child & Youth Care University of Victoria)
  103.  Kort E Patterson, Marijuana and ADD , 2000. 논문이 소개되었다.
  104. ↑ Peter Strohbeck-Kuehner, Gisela Skopp, Rainer Mattern (2008). “Case report:Cannabis improves symptoms of ADHD” (pdf). Cannabinoids (1): 1-3 .
  105. ↑ Cliff-Eribo KO, Sammons H, Choonara I. (2016-10). “ Systematic review of paediatric studies of adverse drug reactions from pharmacovigilance databases  . 338.2016.1221921 PMID 27501085 . 
  106. ↑ ADHD 치료제의 효과를 광토포그래피 뇌기능검사로 시각화
  107. ↑ 동대, 주의 부족 다동성 장애의 약물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객관적인 지표 개발
  108. ↑ b 『불등교의 이해와 지원을 위한 핸드북』 미네르바 서방, 2022년, 159-160쪽.
  109. 비반세란 어떤 약? ADHD가 있는 아이에게 처방되는 약 비반세의 효과나 부작용 등을 자세하게 해설!
  110. b “ 주의결함/다동성장애치료제 “인치닙® 정제 1mg·3mg”·“비반세® 캡슐 20mg·30mg”에 관한 옵션권의 행사와 공동 개발·상업화에 관한 라이센스 계약 종료에 대해”. 24년 4  23 일 열람 .
  111. ↑ 오쿠무라 야스유키 (2018-08-03), 처방전 데이터와 NDB를 이용한 처방 동향 조사
  112. ↑ 일본의 아동 · 사춘기에서 ADHD 치료제의 처방율에 관한 연구 , CareNet, (2018-06-18)
  113. ↑ 다이아몬드 편집부(2023-03-04), 「ADHD는 약이 효과가 있는데 놓쳐져 있다」발달 장애 치료의 제1인자가 호소하는 큰 문제
  114. 시오노 요시 제약 주식회사 ,
  115.  헤세이 19년 10월 26일자 후생 노동성 의약 식품국 총무 과장, 심사 관리 과장, 안전 대책 과장, 감시 지도·마약 대책 과장 통지 약식 총발 제1026001호, 약식 심사발 제1026002호, 약식 안발 제1026001호, 약식 감마발 제 1
  116. 얀센 파마 「콘서터 자물쇠 첨부 문서」 (1 ed.), 의약품 의료기기 종합 기구 , (2007년 12월 작성) 2009년 6월 1일 열람.
  117. ↑ 공식 보도자료 얀센 파마 ( 2014년 4월 30일에 확인함)
  118. ^ 소라 이치로 「뇌의 발달 장애 ADHD는 어디까지 알았는가? 』 p5
  119. ↑ 콘서터, 스트라테라의 효과와 부작용은? 주의 부족 다동성 장애(ADHD)의 약물 치료란? MEDLEY
  120. ↑ 약식심· 제일부회 시오노 요시의 소아 AD/HD 치료약 등 9 제품 심의, 승인 승낙 믹스 Online 2019년 2월 22일
  121. ↑ "주의 결함/다동성 장애(AD/HD) 치료제"스트라테라", 일본에서 처음으로, 성인기의 AD/HD에의 적응 승인" (일본 엘리 릴리)
  122.  「주의・부족 다동증-ADHD-의 진단・치료 가이드 라인 제4판」ISBN 4840748810
  123. ↑ 시오노 요시 제약 인튜니브 첨부 문서
  124. 주의 결함/다동성 장애 치료제 「인투니브 정제 성인 환자에 대한 적응 추가에 의한 일부 변경의 승인에 대해서 - 시오노 요시 제약
  125. ↑ 신규 DNRI 제제에 의한 증상에의 개선 효과를 확인
  126.  임상 시험 번호 NCT00829881 연구명 "Effects of Using Betahistine to Treat Adul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ClinicalTrials.gov
  127.  『정신장애・발달장애에 효과가 있는 한약』 내해 사례 사례 발달장애 P42-P50
  128. ↑ 전통의학 임상 세미나 「억간산의 응용」
  129. ↑ 『일본 동양의학 잡지』 제62권 제3호, 2011년, 479-508페이지, doi : 10.3937/kampomed.62.479 , NAID 40018899757 . 
  130. ↑ 「주의결함 다동성장애(ADHD)에 대한 한방처방의 효과(소아과질환, 일반연제, 전통의학이 있어야 하는 형태와는-세계의 조류와 일본의 역할-, 제59회 일본 동양의학회 학술 총회」 「일본 동양 양학 첩지」59(별책) 제201호 2008 . 
  131. 전통 의학 임상 세미나 「억간산의 응용」
  132. ↑ Acupuncture Improves Outcomes For Children With ADHD
  133. 두침+날척 치소아 다동증
  134. 월간 『내러티브 메디카』 5월호(VOL.19) P45-48 발달 장애로의 소아 벌레 효과를 검토 ADHD의 약제 투여로 개성 말살의 우려도 일본 소아 하리 학회 특별 강연회
  135. ↑ “미국에서의 자폐증, 주의 결함·다동증 등의 발달 장애아의 벌레 치료 ” 일본 소아 하리 학회 특별 강습회
  136. ↑ Treating ADHD with Acupuncture | Pacific College
  137. ↑ Parents say acupuncture has alleviated boy's ADHD
  138. 아이의 침 치료 「오네쇼」에 효과, 틱 장애를 포함한 5개의 문제에 유망 Med 엣지
  139. Efficacy and safety of acupuncture in children: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140. ↑ Logan Ellis, H .; Zaman , R. (2013). “1671 - Use of transcranial magnetic stimuaiation (TMS and RTMS) in ADHD”. European Psychiatry 28 : 1. doi : 10.1016/S0924-9338(13 ) 
  141. ↑ 주의 発陷多动障碍的中医治疗研究进展
  142. ↑ Castellanos FX , Tannock R (2002) . “Neuroscience of attention-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 the search for endophenotypes”. Nat. Rev. Neurosci. ) : 617-28. 
  143. ↑ Martinussen R, Hayden J, Hogg-Johnson S, Tannock R (2005). “A meta-analysis of working memory impairment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44 (1 ) : 00153228.72591.73 . PMID 15782085 . 
  144. ↑ Klingberg T, Forssberg H, Westerberg H (2002).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J Clin Exp Neuropsychol 24 ( 6 ): 781-91. doi : 10.1076/jcen.24.6.781.835 
  145. ↑ Klingberg T, Fernell E, Olesen PJ, Johnson M, Gustafsson P, Dahlström K, Gillberg CG, Forssberg H, Westerberg H (2005). “Computerized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a randomized, A4 77-86 . doi : 10.1097 00004583-200502000-00010 . PMID 15689731 . 
  146. ^ 시나가와 유카.【찾았다! 모두가 빛나는 교육] 트레이닝으로 워킹 메모리 향상 . 산케이 신문 칼럼, 2008.10.7
  147. ↑ NPO 법인 에지 그렇게
  148. ↑ ADHD, 주의 장해나 다동은 워킹 메모리 트레이닝에 의해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합니다 , 코그메드·재팬 공식 web 페이지(2009년 9월 30일 열람).
  149. ↑ Holmes, Joni; Gathercole, Susan E.; Place, Maurice; Dunning, Darren L.; Hilton, Kerry A.; Elliott, Julian G. (2010). 827 - 836. doi : 10.1002 /acp.1589 . ISSN 08884080 . 
  150. ↑ Rucklidge, Julia J.; Eggleston, Matthew JF; Johnstone, Jeanette M.; 등 (2018). “Vitamin-mineral treatment improves aggression and emotional regulation in children with ADHD: a fully blinded, randomized, Child 9 3 ): 232-246. doi : 10.1111/jcpp.12817 . PMID 28967099 . 
  151. “프로바이오틱스가 아이들의 ADHD를 예방할지도 모른다, 13 년간 추적 조사” . Med 가장자리 . (2015년 5월 31일)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152. ^ Pärtty A et al. A possible link between early probiotic intervention and the risk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later in childhood: a randomized trial. Pediatr Res. 2015 Jun;77:823-8.
  153. 히구치 테루히코, 사이토 만비고 『성인기 ADHD 진단 가이드북』 지호, 2013년. ISBN 978-4840744706 . 
  154. J. Fayyad, et al. (2007-04). “Cross~national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dult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0 ( 5 .
  155. J. Biederman, et al. (2000-05). “Age-Dependent Decline of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Impact of Remission Definition and Symptom Typ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7 (5). doi : 10.1176/appi.ajp.157.5.816 .
  156. b “ Data & Statistics - Attention-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ADHD) ”. 미국 질병 예방 관리 센터 .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157. ↑ “The Selling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 NYTimes . (2013년 12월 14일)
  158. ↑ 영국 국립 의료 기술 평가기구 2008 , Introduction.
  159. 나카무라 카즈히코, 오오니시 마사시 「성인기의 ADHD의 역학 조사」(PDF) 「정신 신경학 잡지」 제115권, 정신 신경 학회, 2013년, 2015년 8월 2일 열람 .
  160. ↑ 영국 : Jacquelyn J. Gillis
  161. ↑ Biederman, J; Faraone, SV (2005-04-15). The economic impact of adult ADHD . pp. 42S-42S .
  162. b 송 류헤이, 마키노 카즈키, 후지와라 마사키, 히로타 토모야, 오시게 코조, 이케다 신, 츠보우치 마사코, 이나가키 마사토시 :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에 병존하는 인터넷 중독의 스크리닝 및 개입의 필요성 2, 5-7 신경 지
  163.  Ra, Chaelin K.; Cho, Junhan; Stone, Matthew D.; Cerda, Julianne De La; Goldenson, Nicholas I.; Moroney, Elizabeth; Tung, Irene; Lee, Steve S. et al. (2018-07-17). “ Association of Digital Media Uset Adolescents” (영어). JAMA 320 (3): 255-263. doi : 10.1001/jama.2018.8931 . ISSN 0098-7484 .  
  164. ↑ Morein-Zamir, Sharon; Kasese, Michael; Chamberlain, Samuel R.; Trachtenberg, Estherina (2022-01-01). “ Elevated levels of hoarding in ADHD: A special link with inattention” (영어).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161 jpsychires.2021.12.024 . ISSN 0022-3956 . 
  165. ↑ 나일랜드 2006 , p. 194-195.
  166. ↑ Galéra, C.; Melchior, M.; Chastang, J.-F.; Bouvard, M.-P.; Fombonne, E. (2009-11). “ Childhood and adolescent hyperactivity-inattention symptoms and academic achievement 8 years later: the GAZEL 1895-1906 doi : 10.1017/S0033291709005510 . ISSN 0033-2917 . PMC 2797029 . PMID 19335935 .   
  167. ↑ 접착 테이프 : 다동 경향의 ​​아동에게 교토·시립 소의 교사 매일 신문 2014년 6월 5일
  168. “ 발달 장애의 아이를 배제하는 엄격한 “학교 룰” “보통으로 성장한 아이” 밖에 있을 수 없는 통상 학급에 ”. 동양 경제 온라인(2022년 4월 8일). 2024년 3월 20일 열람.
  169. “ 학습의 새로운 선택지 “학습의 다양화 학교”란? ”. NHK (2024년 1월 26일). 2024년 3월 20일 열람.
  170. “ 학습의 새로운 선택지 “학습의 다양화 학교”란? ”. NHK (2024년 1월 26일). 2024년 3월 20일 열람.
  171. ↑ Iwawa 2017 , p. 197.
  172. 모리야 켄지 「발달 장애가 있는 아이의 촉법 행위와 교육 심리학」2018년.
  173. ↑ Unnever, James D.; Cullen, Francis T.; Pratt, Travis C. (2003-9). “Parental management, ADHD, and delinquent involvement: Reassessing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 영어 ). Justice Quarterly 20 ( 0 300095591. ISSN 0741-8825 . 
  174. ↑ Rösler, Michael; Retz, Wolfgang; Retz-Junginger, Petra; Hengesch, Georges; Schneider, Marc; Supprian, Tilman; Schwitzgebel, Petra; Pinhard, Katrin 등 (2004-12). “Prevalence of attention deficit-/hyperact mates” .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54 ( 6 ): 365-371. doi : 10.1007/ s00406-004-0516 -z . ISSN 0940-1334 .  
  175. 도미타, 타쿠 (2023-12). 재범 예방을위한 감옥 수감자에 대한주의가 부족한 다동증 스크리닝 및 치료 시도 .
  176. ↑마치자 와 (2000)
  177. ↑ 마치자와 (2000) , pp.20-21
  178. ^ ''아이가 가장'은 그만하라'' 해룡사, p.168
  179. “ 복역하고 처음으로 알게 된 감옥의 '현실' '감옥 밖에 있을 곳이 없는 사람들 학교에서는 가르쳐주지 않는 장애와 범죄 이야기' ”. 다빈치 뉴스(2018년 6월 20일 ) .
  180. “ “수형자의 20%는 지적장애자” 일본에서는 감옥이 복지시설화라는 리얼 ”. 데일리 신조(2018년 7월 20일). 2024년 3월 20일 열람.
  181. “ 복역하고 처음으로 알게 된 감옥의 '현실' '감옥 밖에 있을 곳이 없는 사람들 학교에서는 가르쳐주지 않는 장애와 범죄 이야기' ”. 다빈치 뉴스(2018년 6월 20일 ) .
  182. “ 야마모토 양사씨에게 들었다: “죄를 저지른 장애인”을, 사회는 어떻게 받아들일까 ”. 매거진 9 (2019년 1월 9일). 2024년 3월 20일 열람.
  183. ↑ a c 나카무라 카즈히코, 오오니시 마사시, 우치야마 토시 외 「 일본 정신 신경 학회 학술 총회:성인기의 ADHD의 역학 조사」(pdf) 「정신 신경 잡지」2013년.
  184. ↑ c “ 제1부 개론(도입):문부 과학성 ”.문부 과학성 홈페이지 (2010년 10월 15일). 2018년 10월 1일 열람.
  185. ↑ Barkley, RA; Peters, H (November 2012). “The earliest reference to ADHD in the medical literature? Melchior Adam Weikard's description in 1775 of attention deficit (Mangel der Aufmerksamkeit, Attentio Volubilis )  . 177/1087054711432309 PMID 22323122 . 
  186. ↑ Still , George F (1902-04-12). “ The Goulstonian Lectures On Some Abnormal Psychical Conditions in Children” . Lancet 159 ( 4102): 1008-1013 . Paid subscription required
  187. ↑ Lange KW , Reichl S, Lange KM, Tucha L, Tucha O (2010).  The histor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tten Defic Hyperact Disord 2 ( 4): 241-55 PMID 21258430 .  
  188. ↑ Strohl MP (2011). “Bradley's Benzedrine studies on children with behavioral disorders” . Yale J Biol Med 84 (1): 27-33. PMC  3064242 . PMID 21451781 . 
  189. ↑ b 「내일부터 할 수 있는 어른의 ADHD 진료」-ISBN 978-4-7911-0858-9
  190. ↑ “ 발달장애인 지원법(헤세이 16년 법률 제167호) ” e-Gov법령 검색 . 총무성 행정 관리국 (2016년 6월 3일). 2020년 1월 25일 열람. “2016년 8월 1일 시행분”
  191. 사이토 만비코 (감), 히구치 히데히코 『성인기 ADHD 진료 가이드북』 지호, 2013년 8월. ISBN 484074470X . 
  192. 가미오 요코(편집)『DSM-5를 읽어 풀다─전통적 정신병리, DSM-IV, ICD-10을 근거로 한 신시대의 정신과 진단』나카야마 서점, 2014년 9월 25일. ISBN 4521739733 . 
  193. “ 인기 유튜버 밴비가 ADHD를 살짝 고백 “1개의 가방 밖에 사용하지 않는다” ”. 도쿄 스포츠 (2024년 11월 28일). 2024년 11월 29일 열람.
  194. ↑ 만성질환이나 질병 과 공존하는 유명인 15명 “이 병은 나의 일부…” Esquire 2018년 11월 28일
  195. ↑ 에 하라가 채널 (2024-02-24), ADHD와 자폐 스펙트럼증이었습니다 2024년 10월 10일 열람.
  196. ↑ “ 「발달장애」의사와 환자의 대화 #1--이와나미 아키라×카츠마 카즈요 ”. 분춘 온라인 . 문예춘추 (2017년 10월 14일). 2018년 9월 29일 열람.
  197. 카노/카녹스타 (2022-09-04), 형제에서 발달장애로 진단받았기 때문에 돼지를 먹으면 너무 슬펐습니다. 2024년 10월 10일에 확인함.
  198. “ 『게임 오브 스론즈』 존 스노우 역 배우가 「ADHD」라고 진단된 것을 밝힌다 . 프론트 로우 ( 2024 년 1월 15일) .
  199. 가와구치 穣 (2022년 8월 11일). “ 키노시타 유키나 씨 “뇌파로 ADHD를 알았다” 발언으로 물의 의사들은 전부정 ”. AERA dot. (아에라닷) . 2022년 8월 12일 열람.
  200. “ 키노시타 유키나 “ADHD, 발달 장애”라고 공표 전 남편 후지몬은 “좌절”한 것도/일일 스포츠 online ”. 일일 스포츠 online . 2022년 7월 26일 열람.
  201. ↑ “구리하라류씨, 발달장애를 고백 “어린 시절, 선생님이 역길레...”” . 허 핑턴 포스트 일본 .
  202. “ 구리하라류가 말하는 “발달장애 의 제가 직면한 현실” “공기를 읽을 수 없다”는 본인도 힘들다 ” . 동양 경제 온라인 .
  203. ↑ “ 코지마 케이코 40 지나 ADHD로 진단받아 자신 알았다 ”. 코지마 케이코의 DUAL인 본심 . 닛케이 BP (2018년 7월 2일). 2023년 3월 11일 열람.
  204. ↑ '뉴스위크 ' 2012년 12월 26일호
  205. 토요사키 유미(2024년 7월 11일). “ 수면 장애가 악화된 '소설가'가 진단을 받으면 ADHD였다… 정중하게 철자된 경험에서 전해지는 것 ”. Book Bang . 신쵸샤. 2024년 7월 16일 열람.
  206. “ “나는 ADHD. 하지만 숨기지 않는다” 체조 여자 금메달리스트, 도핑 의혹에 확연히 고백” . 허프포스트 (2016년 9월 14일). 2021년 8월 4일 열람.
  207. Oba, Mina (2023년 3월 3일). “ ‘에브에브’ 감독 다니엘 콴 , 영화 제작이 계기로 ADHD와 진단 ”. Vogue Japan . 2023년 3월 14일 열람.
  208. 사이토 유스케(2022년 12월 11일). “ [서예가 다케다 쌍운씨](상) ADHD라고 알고 기분이 편해졌다… 회사원 시절, 전화의 메모를 모필로 써서 일어난 일 ”. 요미닥터 . 요미우리 신문. p. 1. 2024년 8월 .
  209. 하시모토 무네요 (2024년 5월 24일). “ 발달장애를 공표해 짱요타의 본심 “기분이 조금 편해졌다” 섹시 여배우 레슬러가 마주한 “개성” “(경찰 시대는 ) 일할 수 없어 …
  210. “ “지각하게 화나는 사람은 능력치가 낮다” 히로유키가 “근면함에는 그다지 의미가 없다”고 말하는 이유 | ”. 신 R25 . 2023년 12월 16일 열람.
  211. ↑ “ 발달장애가 강함 니트리 회장의 “오, 네단 이상.”인 이야기 ”. 아사히 신문 (2021년 7월 5일). 2021년 7월 19일 열람.
  212. “ aespa 마늘, ADHD를 첫 공표 ”. 모델 프레스 (2023년 11월 25일). 2023년 11월 26일 열람.
  213. ↑ “ 패리스 힐튼, 약 20년 만에 새 앨범으로 “자성적인 여행” ”. ORICON NEWS (2024년 9월 6일). 2024년 9월 8일 열람.
  214. ↑ “ 패리스 힐튼, ADHD가 아니면 성공하지 못했다 ”. FRONTROW (2024년 9월 7일). 2024년 9월 8일 열람.
  215. ↑ fukase (SEKAINOOWARI) 2020년 4월 14일 오전 13시 40분
  216. ↑ fukase (SEKAINOOWARI) 2020년 4월 14일 오전 13:43
  217. “ ADHD로 콤비 해산, 동대 졸업생·후지모토 아츠시씨가 고백한 고통의 날들 “자신은 뭐 안 되는 인간이야” Yahoo! JAPAN 2022년 2월 28일 7:00 전달 ” .
  218. “ 홀리에몬 「『ADHD』라고 하는 것보다 『다동력 있어요』라고 말하면 물건에 긍정적이 될 수 있다」 (2019년 8월 11일) ”. 엑사이트 뉴스 (2019년 8월 11 일) .
  219. ↑ Michael Phelps' Parents: 5 Fast Facts You Need to Know Heavy, August 5, 2016
  220. ↑ “마나베 냄새가 어른이 되어 ADHD 경향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 닛케이 WOMAN. (2018년 11월 27일) 2021년 12월 4일 열람.
  221. “다른 곳에 구해진 마나베 카를리씨 “자신의 가치관에서 튀어나와”… STOP 자살 #신도이 너에게” . 요미우리 신문 ( 요미우리 신문사 ) .
  222. “ 사회를 바꾸는 발달장애 : 인터뷰 “기업가 낳는 발달장애의 특성이 과로와 우울증 리스크에도” 이와나미 아키라·쇼와대학 부속 우산병원 병원장 ”. 주간 이코노미스트 Online . 2023년 12월 16일 열람.
  223. “발달 장애 있는 여자 프로 복서 “고민하고 있는 용감하게 하고 싶다” 다음달 이후에 “발달 여자회”” . 도쿄 신문 . (2020년 3월 28일). 오리지널 의 2020년 3월 28  시점에 있어서의 아카이브 .
  224. “ 공연자의 몸이 압력? 섭식장애를 극복한 유명인들 ”. 사이조 (2012년 4월 2일). 2012년 6월 1일 열람.
  225. 하야카와 토모(2016년 5월 30일). “ 사카모토 료마는 주의 결함·다동성 장애(ADHD)였다!? 현대의 의사가 진단 ”. AERA dot. . 아사히 신문 출판. 2023년 5월 21일 열람.
  226. “ 가정내에서 분노 가 폭발해 버리는 것은 왜?:아사히 신문 디지털 ”.아사히 신문 디지털 2019년 10월 27일 열람.
  227.  「충동성의 신경심리학」카토 타카시, 카토 모토이치로, p311-315, 2009년
  228. “ 이마무라 아키라 선생님에게 “ADHD”를 묻는다 | 공익 사단법인 일본 정신 신경 학회 ”. www.jspn.or.jp . 2019년 10월 27일 열람.

참고문헌

편집 ]
진료 가이드라인
기타

외부 링크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