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08

이병철 - -노겸 김지하 시인 1주기

이병철 - -노겸 김지하 시인 1주기

-노겸 김지하 시인 1주기/
세상에 김지하시인으로 알려진 노겸형님의 1주기 추모 학술 심포지움과 문화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어제 새벽차로 서울을 거쳐 행사장인 이곳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왔다. 연구원이 숲속에 자리잡은 것처럼 주변이 온통 진초록으로 뒤덮혀 있다. 깊고 조용하다. 학문의 전당답다.
이번 생의 큰 인연 중의 한 분을 보낸지 어느새 한 해가 훌쩍 지났다. 이 오월에 떠난 두 사람, 무위당선생과 노겸형님이 새삼 떠오른다.

'김지하의 문학•예술과 생명사상'이란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심포지움은 1박2일로 어제부터 시작되었는데, '김지하'의 시와 사상' 에 대한 발표자와 토론자의 열기가 상당하다. 이번 심포지움이 노겸 김시인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의 시발이 될 것이라 싶다.

어제까지 1부, '김지하의 문학 • 예술과 미학'을 마치고 오늘은 2부로 '김지하의 정치적 고난과 생명사상의 태동'을 중심으로 심포지엄을 이어간다.

2부, 몇 사람의 발제 중에 외우 사발 주요섭님의 발제 '김지하의 생명사상과 생명운동의 전개'가 있다.
이 주제의 발표자로서는 적임자라 싶다. 나는 마지막 지정토론 '생명운동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 종합토론자의 한 사람으로 참가한다. 마지막 지정토론은 발제자 없이 몇 사람들이 자유롭게 발표하는 자리다. 이 자리를 통해 몇 가지 하고 싶은 말이 있다.

어제 저녁에는 1주기 추모공연으로 '노래가 된 긴지하의 시 - '젊은 날, 빛을 뿜던 아, 모든 꽃들'이 임진택 명창의 창작 판소리 '소리 내역' 등과 '빈산', '타는 목마름' 등의 노래가 공연 되었다. 30, 40여 년전에 목이 터져라 불렸던 그 노래들이 아픔처럼 가슴을 적셔온다.

1주기 추모행사로 김시인을 따르던 문화운동패들과 김시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 그리고 생전의 인연을 그리워하는 이들이 많이 모였다. 나도 그 덕분에 옛 문화패들을 오랫만에 한 곳에서 만날 수 있었다. 한때 이 문화패들과 현장 작업을 함께한 적이 있어 나도 절반의 문화패로 어울리고 있다. 모두 늙어가고 있지만 그런대로 나름의 신명을 이어가며 이제는 김시인을 뒤이어 문화운동 1세대로써 자기 역할을 잘하고 있는 것 같다.

이번 심포지엄에 실무를 맡고 있는 임진택명창, 마당극, 굿판의 교주 채희완교수, 지난해 추모제를 이어 이번에도 대형 걸게 그림으로 문화운동의 역사와 인물을 담아낸 김봉준 화백과 정희섭 등 이 땅의 마당극 1세대들이 그들이다. 그리고 이번 추모심포지엄과 김시인 서예전을 준비하고 김시인의 미술가, 문인화의경지와 의미를 새롭게 알려준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인 유홍준 동지, 그밖에 원주와 광주, 전주, 제주 등에서도 반가운 얼굴들의 함께 했다.

저녁에는 행사를 마치고 가까운 거리에 나가 오랫만에 한 잔 나누며 모처럼 옛 기억들을 떠올리며 지난 시절의 이야기를 즐겁게 나누었다. 금새 70, 80년 대로 돌아간 것 느낌이었다.
함께 할 수 있었다면 더 좋았으리라 싶은 얼굴들이 떠 올랐지만 이런 자리가 마련 된 것에 깊이 감사드리는 마음이다.
노겸형님도 좋아하셨으리라 싶다.
곧 이어 오늘 2부 심포지움이 이어진다.















Like
Comment
Share

2 comments

  • 박정미
    오늘 함께 하지 못하여 송구스럽습니다. 제가 대학시절에 하늘의 별처럼 바라보았던 민족문학예술계의 인사들이 많이 보이시네요. 사진만으로도 김시인의 생애 어느 시점에 포커스를 맞춘 추모행사였을지 짐작이 갑니다. 너무나 멀리 앞서간 김시인은 이제 돌아가신 그 자리에 계시겠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른 숭모의 대상으로 새롭게 달리 해석되시리라 생각됩니다.
    (근데 선생님. 글 첫머리에 오타가 있습니다. '노경형님' 이라 쓰셨어요^^)
    • 이병철
      박정미 밤에 술 한잔 먹고와서 썼더니 평소 실력이 드러나네. 담엔 자윤이 고처주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