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09

봉한학설 - 나무위키

봉한학설 - 나무위키

봉한학설

최근 수정 시각: 

분류

 
1. 개요2. 발단3. 상세4. 기타

1. 개요[편집]

동물의 몸에는 신경과 혈관, 림프계 이외에 제 3의 관이 있다고 주장하는 학설.

2. 발단[편집]

순환계통(혈관+림프관)과 신경조직 외의 제3의 미세관이 전신(앞서 말한 혈관과 림프관의 내강을 포함해서)에 있다는 주장. (이 문서 아래의 내용 참조)

처음 주장한 것은 북한의 김봉한 박사로, 이 미세관을 '봉한관'이라고 이름지었다. 처음 발표 당시 이는 의학계에서 상당한 센세이션이었고, 서양 과학계를 엿먹였다는 것에 고무된 북한은 대대적으로 김봉한 박사의 연구를 지원하게 되었다.

그러나 북한의 논문답게(...) 실험 방법에 대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로 일관한 논문이었던지라, 덕분에 진위 논란이 더 가열된 측면이 있다. 현대 과학에서 모든 논문은 기본적으로 실험을 통해 증명이 재현될 수 있어야 하는데, 원본 논문부터가 이 지경이었기 때문에(...) 재현자들은 실험 방법을 정확히 알지 못한 상태에서 불확실한 실험을 해야 했던 것. 원본 논문에 게재된 사진을 보면 진짜같긴 한데 꽤 오랫동안 아무도 재현 실험에 성공하지 못했다. 당시 봉한관을 염색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의외로 구하기 쉬운 메틸렌블루로 추정. 실제로 이후 일본과 한국에서 이를 사용해 염색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다.

그러나 김봉한 박사의 연구가 진행되며 봉한학설은 점점 더 기존 과학과 충돌하게 되었고, 때마침 정치적인 숙청이 이루어지면서 줄을 잘못 선 김봉한 박사 본인도 숙청되어버렸다,[1] 이에 대해서는 봉한관 연구가 숙청당하는 죄인 등을 이용한 인간 생체실험을 통해 이루어졌고, 북한이 이것이 세계적으로 드러나는 것을 막기 위해 연구 자체를 덮고 연구진을 숙청했다는 견해도 있다.

이후 봉한학설은 절반쯤 묻힌 상태로 몇십 년간 잠자게 된다.

그러다 20세기 말, 일본에서 이 논문을 발견하고 실험한 결과 정말 '이상한 관이 있다'라는 것을 발견하고 발표하여, 봉한학설을 연구하던 그룹에는 난리가 났다.

3. 상세[편집]

봉한학설을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새로운 명칭은 모두 이봉한 박사 명명)
  • 생물체의 몸에는 봉한관이라는 또 다른 순환체계가 있다. 이는 경락과 일치한다.
  • 봉한관은 봉한소체라는 특정 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뻗어나간다. 이 봉한소체가 바로 경혈의 위치와 같은 곳에 위치한다.
  • 봉한관과 봉한소체에는 산알(살아있는 )이라는 것이 흐른다.
  • 산알은 미분화 줄기 세포와 유사하여, 상처가 난 곳 등에 공급되어 그 부분을 재생한다.
  • 생물체가 사망하면 봉한관은 사라진다. 즉 해부로는 검증이 불가능하다.

2010년 물리학자인 소광섭 명예교수와 서울대학교 연구진이 봉한관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관을 특수기법으로 염색하여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 연구진은 이 관을 프리모(primo)로 명명했다. 프리모는 중심이라는 뜻의 이탈리아어다. 염색법은 트라이판 블루를 이용한 것이라고. 하지만 관은 림프관에서 나타나는 특정 마커가 나타나지 않아 림프관과도 다르고 혈관과도 다른 제3의 체계임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4. 기타[편집]

한때는 많은 관심을 받았으나, 2022년 시점까지 확실히 발견된 것이 없어서 학설 단계에 머물러 있다. 학계의 연구도 정체된 상태이다.

[1] 이때쯤 '사실 김봉한 박사는 살아서 한국에서 복귀한다'는 대체역사물이 발표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