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룬트비의 평민교육사상
한글로보기
http://www.riss.kr/link?id=T13835365
저자
정해진
발행사항
서울 :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학위논문사항
學位論文(博士)-- 高麗大學校 大學院 : 敎育學科 2015. 8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그룬트비 ; 평민교육 ; 삶을 위한 교육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ii, 108 p.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姜善甫
참고문헌: p. 96-108
소장기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국립중앙도서관
376상세조회
381다운로드
24내보내기서지정보 열기
원문보기
https://dcollection.korea.ac.kr/public_resource/pdf/000000060729_20220524002301.pdf
국문 초록 (Abstract)
http://www.riss.kr/link?id=T13835365
저자
정해진
발행사항
서울 :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학위논문사항
學位論文(博士)-- 高麗大學校 大學院 : 敎育學科 2015. 8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그룬트비 ; 평민교육 ; 삶을 위한 교육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ii, 108 p.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姜善甫
참고문헌: p. 96-108
소장기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국립중앙도서관
376상세조회
381다운로드
24내보내기서지정보 열기
원문보기
https://dcollection.korea.ac.kr/public_resource/pdf/000000060729_20220524002301.pdf
국문 초록 (Abstract)
- 활용도 분석
- 논문 주제 분석
- 연구자 주제 분석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이 연구는 18세기~19세기에 형성된 국가차원의 근대적, 계몽주의적 공교육을 비판하고, 평민의 삶 자체를 교육의 기초로 삼을 것을 주장한 덴마크 사상가 그룬트비의 평민교육사상을 소개하고, 그것이 오늘날 우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중심이 되는 “평민” 개념을 다각도로 조망하여 그 의미를 도출하고, “평민적 가치”와 교육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평민교육사상의 원리를 다섯 가지로 도출하였다.
그룬트비의 평민교육사상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개념인 “평민”, 그리고 “평민적 가치”와 관련된 개념들은 그룬트비가 추구하는 “삶을 위한 교육”의 중심을 이룬다. 평민은 그들의 삶 속에서 인간정신의 대표적 표현인 모국어와 민족적 삶의 양식을 유지하며, 나아가 그것을 계속해서 발전시키고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평민교육의 목적은 평민적 삶을 교육의 바탕으로 삼아, 한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들이 살아있는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삶과 더불어 타인의 삶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내면적 이해를 바탕으로 할 때 사람들은 스스로 자유로운 가운데 공공선을 추구하고. 더 이상적인 공동체적 삶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룬트비는 더 나은 사회는 삶을 통해 계몽된 사회구성원 개개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7
Ⅱ. 평민개념의 이해 12
1. 역사적 맥락에서 본 평민의 계층적 의미 13
2. 이념적 맥락에서 본 평민의 존재적 의미 17
Ⅲ. 평민교육사상의 등장배경 22
1. 계몽주의 22
2. 신인문주의 27
3. 근대화와 평민교육의 요청 34
1) 정치적 혁명과 평민 34
2) 경제적 혁명과 평민 41
Ⅳ. 평민교육사상 48
1. 계몽주의적?근대적 교육에 대한 비판 48
2. 평민교육의 이념 52
1) 평민교육의 목적 52
2) 평민교육의 인간상 57
(1) 정신적 계몽을 통한 도덕적 자유인 57
(2) 일상의 노동을 통한 독립적 생활인 60
(3) 공동체적 가치관을 기반으로 더불어 사는 인간 63
3. 평민교육의 원리 66
1) 평민적 가치와 문화에 기초한 교육 66
2) 살아있는 말을 통한 교육 70
3) 삶의 계몽을 위한 실제적 교육 77
4) 살아있는 상호작용을 통한 교육 81
5) 평민계몽을 위한 공동체 교육 84
Ⅴ. 요약과 결론 90
1. 요약 90
2. 결론 92
참고문헌 9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유재천, "민중",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4
2 박현채, "민족경제론", 서울: 한길사, 1978
3 허경진, "조선평민열전", 서울: 알마, 2014
4 이동수, "시민은 누구인가", 인간사랑, 고양: 인간사랑, 2013
5 김성오, "“그룬트비 읽기”", 「처음처럼」. 36. 66-83, 2003
6 백승종, "그 나라의 역사와 말", 서울: 궁리, 2002
7 신창호, "톨스토이 서민교육론", 서울: 도서출판 써네스트, 2011
8 김정훈, 유팔무, "시민사회와 시민운동2", 서울: 한울, 2002
9 정창렬, "“백성ㆍ평민ㆍ민중”", 「역사비평」. 74. 277-278, 2006
10 송순재, "“덴마크의 자유교육”", 監理敎神學大學, 송순재 외 편. 위대한 평민을 기르는 덴 마크의 자유교육 . 서울: 민들레. 17-65, 2010
11 고병헌, "교사, 대안의 길을 묻다", 서울: 이매진, 2009
12 문동환, "“의식화 교육의 과제”", 한완상ㆍ허병섭 외 한국민중교육론 . 학민사. 105-106, 1983
13 김정환, "우리교육 이야기 백가지", 서울: 박영사, 2007
14 오연호,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서울: 오마이북, 2014
15 고병헌, "“그룬트비와 풀무학교”", 「처음처럼」. 36. 84-93, 2003
16 강선보, Sun-Bo ), "“그룬트비의 성인교육사상”",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11(1). 25-52, 2005
17 김성재, "“민중교육의 한 방법론 연구.”", 한완상ㆍ허병섭 외. 한국 민중 교육론: 그 이념과 실천 전 . 서울: 학민사. 73-101, 1985
18 김정환, "인간화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내일을 여는 책, 1997
19 야나기, "히사오 임상희 옮김. 교육사상사", 서울: 백산서당, 1985
20 김대권, "“헤르더의 민요집 비교ㆍ분석”", 「괴테연구」. 26. 5-37, 2013
21 김완균, "J.G. 헤르더의 '민족Nation' 개념 이해", 「독어교육」. 39. 183-207, 2007
22 윤재민, "“중인ㆍ평민ㆍ위항의 개념한계”", 「어문논집」. 27(1). 319-339, 1987
23 김정환, "페스탈로치의 생애와 사상(개정판)", 서울: 박영사, 2008
24 신명직, "“협동 공동체와 폴케 호이스콜레”",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석당논총」. 53. 83-127, 2012
25 강선보 ( Sun Bo Kang ), 정해진 ( Hae Jin Chung ), "그룬트비의 평민교육사상과 그 실제",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 연구」. 18(2). 5-23, 2012
26 Badiou, A., "Qu'est-ce qu'un peuple? . 서용순 외 역(2014)", 인민이란 무 엇인가 서울: 현실문화, 2013
27 사토르, 우메네, "지음 김정환ㆍ심성보 역. 세계교육사", 서울: 풀빛, 1990
28 김삼웅, "“계몽사상시대를 연 진보주의자들”", 「기독교 사상」. 617. 174-183, 2010
29 미츠루, 시미즈, "김경인ㆍ김형수 옮김. 삶을 위한 학교", 서울: 녹색평 론사, 2014
30 Palmer, P. J., "To know as we are known: A Spirituality of Education", 이종, 1993
31 이광주, "지식인과 권력 : 근대 독일 지성사 연구", 문학과지성사,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2
32 Rousseau, J. J., "(1762). mile ou de l' ducation . 박은수 역 에밀", 서울: 인폴리오, 1998
33 Smith, A., "(1776). The Wealth of Nations . 유인호 역 국부론", 서울: 동 서문화사, 2008
34 송순재, "위대한 평민을 기르는 덴마크의 자유교육", 서울: 민들레, 2010
35 송순재, "“기독교적 삶의 형성을 위한 일상성 문제”", 「신학과 세계」. 48. 59-89, 2003
36 문경협, "민주시민 자질에 대한 교육주체의 인식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강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7 金恩山, "“교육개혁 성공적 실시 학교들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敎育硏究所, 「교육연구논총」. 13. 39-63, 1996
38 Aegidius K. K., "김자경 역. “덴마크 사회와 그룬트비의 사상”", 「처음처 럼」, 23, 67-77, 2001
39 홍태영, "프랑스 혁명과 프랑스 민주주의의 형성(1789-1884)", 「한국 정치학회보」. 38(3). 435-457, 2004
40 유상덕, "“영성의 보고로부터 배우는 근대교육의 성찰”",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 연구」. 5(2). 91-114, 2006
41 김영희, "『대한민국 엄마들이 꿈꾸는 덴마크식 교육법』", 서울: 명진 출판사, 2010
42 박명규, "국민ㆍ인민ㆍ시민: 개념사로 본 한국의 정치주체", 서울: 소 화, 2014
43 이동렬, "빛의 세기, 이성의 문학 : 프랑스 계몽사상과 문학", 문학과지성사, 서울: 문 학과 지성사, 2008
44 김혜선, "톨스토이의 자유민중교육에서의 문학예술의 의미",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감리교신 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5 정영근, "“독일 신인본주의 교육사상과 인간도야의 이념”",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9. 169-184, 1991
46 Albert, R., "Geschichte der Padagogik. . 정영근 외 역(2002). 서양교육 사", 서울: 문음사, 1951
47 김용민, "“에밀에 나타난 새로운 인간상으로서의 민주적 인간”", 한국정치학회, 「한국정 치학회보」. 27(2). 59-74, 1994
48 박의경, "“헤르더의 문화민족주의-열린 민족주의를 위한 시론”", 「한국 정치학회보」. 29(1). 331-352, 1995
49 Chris, H., "A People's History of the World . 천경록 역(2004). 민중의 세 계사", 서울: 책갈피, 1999
50 서용선, "“존 듀이 철학에 나타난 시민성 개념의 교육적 재해석”", 한국교 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51 Cassirer, E., "Die Philosophie der Aufklarung . 박완규 역(1995). 계몽주 의의 철학", 서울: 민음사, 1932
52 박의경, "“헤르더의 자유, 인본성 그리고 휴머니티 공동체(Humanit t)”", 「 한국정치학회보」. 31(4). 7-25, 1997
53 정해진, "대안교육의 사상적 기반으로서의 그룬트비 교육사상과 실천", 高麗大學校 大學院,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54 이군호, "“천재와 민중 :헤르더의 천재관과 그의 민요 수집의 이념.”", 한국카프카학회, 「카 프카 연구」. 13. 211-235, 2005
55 Coffin, J. G., Stacey, R. C., "Western Civilizations . 손세호 역(2014). 새로운 서양문명의 역사, 하", 고양: 소나무, 2011
56 김재준, "“대안학교의 교육이념에 나타난 ‘대안교육’의 성격 분석”",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57 강정구, 김종회, "평민문학의 ㆍ “ 전통화화 민족문학적인 글쓰기의 재창 조”", 「비평문학」. 36(1). 33-56, 2010
58 Berlin, I., "The roots of romanticism . 강유원ㆍ나현영 역(2005) . 낭만 주의의 뿌리", 서울: 이제이북스, 2001
59 안성찬, "전인교육으로서의 인문학- 독일 신인문주의의 '교양(Bildung)'사상", 「인문논총」. 6. 99-128, 2009
60 오혁진,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의 전개과정과 의의", 「평생교육학연구」. 14(4). 1-28, 2008
61 Barnard, H. C., "Education and french revolution . 서정복 역(1993). 프랑 스 혁명과 교육개혁", 서울: 삼지원, 1922
62 Wolin, S. S., "Democracy Incorporated : Managed Democracy and the Specter of Inverted Totalitarianism ,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우, 2008
63 金裕慶(Kim Yu-Kyong), "“1525년의 독일 농민전쟁: 초기 부르주아 혁명인가? 평민혁명 인가?”", 歷史學會, 「역사학보」. 17. 301-334, 2002
64 김애진, "“N.F.S. Grundtvig의 “살아있는 말(Living Word)”에 대한 교육학 적 고찰”",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감리교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5 Hobsbawm, E. J., "The Age of Revolution: Europe. 1789-1848 . 정도영ㆍ 차명수 역(1998). 혁명의 시대", 서울: 한길사, 1962
66 고요한, "가르침과 배움에서 영성형성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 「교육철학연구」. 33(3). 1-23, 2011
67 Engels, F., "(1845). Die Lage der Arbeitenden Klasse in England . 이재만 역 영국 노동계급의 상황", 서울: 라티오, 2014
68 Kant, I., "(1784).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 이한구 편역 칸트 의 역사철학", 파주: 서광사. 13-22, 2009
69 고일,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 에 나타난 헤르더의 “변형설”과 “영혼 불멸설”", 한국노어노문학회, 「노어노문학」. 3. 1-17, 1990
70 Mommsen, W. J., "1848 die ungewollte Revolution :die revolutionaren Bewegungen in Europa 1830-1849 . Frankfurt: Fischer (Tb.)", 최호근, 2000
71 Gay, P., "The enlightenment: an interpretation, the rise of modern paganism . 주명철 역(1998). 계몽주의의 기원", 서울: 민음사, 1966
72 Goldmann, L., "The philosophy of the enlightenment : the Christian burgess and the enlightenment . London: Routledge & K. Paul", 문학과 사회연, 1973
73 이진우, "현대 대안교육운동의 기원으로서 덴마크의 자유교육 : N.F.S. Grundtvig와 Chr.M. Kold을 중심으로",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4
74 Giesecke, H., "Das Ende der Erziehung : Neue Chance fur Familie und Schule . Stuttgart: Klett-Cotta. 조상식 역(2002). 근대 교육의 종말", 강화: 내일을 여는 책, 1993
75 심성보, "(인간과 사회의 진보를 위한) 민주시민교육 : 평화 인권 참여 의 학습을 통한 민주적 시민 되기의 길잡이", 서울: 살림터, 2011
76 성호경, "“조선 후기 “평민시가( )”의 통속예술적 성격 -조선 후 기 “평민시가”의 시적 초점과 통속예술적 성격(2)”", 「한국고전연구」. 20. 5-37, 2009
77 Herder, J. G., ": Werke. 10 Bde. Hrsg. v. Martin Ballacher u. a. Frankfurt/M. f. (1769). Journal meiner Reise im Jahr 1769 . 김대권 역(2009). 1769년, 여행일지", 서울: 인터북스, 1985
78 황대현, "“농민전쟁기 라인강 상류지역(Oberrhein)에서의 도시-농촌 관 계 : P. Blickle의 ‘평민혁명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대학교서양사연구회, 「서양사연구」. 13(0). 131-171, 1992
79 Grundtvig, N.F.S., "(1832). “Introducion to North Mythology”. in Knudsen, J.(Trans. & Eds.). Selected writings: N.F.S. Grundtvig . Philadelphia: Fortress ; 김성오 역", 미간행출판물, null
80 Stuke, H., "Geschichtliche Grundbegriffe :historisches Lexikon zur politisch-sozialen Sprache in Deutschland . 남기호 역(2014). 코젤렉 의 개념사 사전 6: 계몽", 서울: 푸른역사”,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