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2/22

알라딘: 초기불교 - 붓다의 근본 가르침과 네 가지 쟁점 박광준 2020

알라딘: 초기불교

초기불교 - 붓다의 근본 가르침과 네 가지 쟁점 
박광준 (지은이)민족사2020-12-30




전자책
17,000원 
446쪽

책소개

초기불교에 관심을 가진 독자들을 위한 책이 출간되었다. 《초기불교-붓다의 근본 가르침과 네 가지 쟁점》, 이 책은 초기불교를 만들어 낸 사회‧문화적 바탕과 역사적 배경을 논리적 ‧ 합리적으로 설명하고, 그 교리에 관련된 몇 가지 쟁점을 명료화함으로써 초기불교에 관한 새로운 논의 마당을 만들려는 의도에서 집필 ‧ 출간되었다.

저자는 초기불교와 관련된 많은 물음을 제기하고, 그에 대한 나름의 해명을 시도하는데, 이는 많은 논란거리를 포함하고 있다. 또 인간 붓다의 가르침을 실천해 가면서 전에 없이 평화를 느끼게 된 저자의 체험담이 소개되기도 한다. 이런 개인적 체험담은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부록에는 저자가 인도에서 찍은 사진 46점의 컬러 사진도 수록되었다. 초기불교의 사실성을 뒷받침해 주는 사진들만을 가려 뽑은 것이다. 본문 내용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그때그때 사진과 해설을 참고하면 본문의 내용을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다.
===
목차
머리말·5

서장: 초기불교를 어떻게 탐구할 것인가?

1. 초기불교에의 접근·21
비교종교적 관점·21 비교경전적 관점·24
경전 활용과 한역 경전 문제·28
2. 초기불교에 관련된 네 가지 쟁점·29
쟁점 ①: 깨달음의 조건은 무엇인가?·29
쟁점 ②: ‘육년고행설’이라는 오해는 어떻게 고착화되었는가?·31
쟁점 ③: 붓다는 윤회를 어떻게 보았는가?·33
쟁점 ④: 붓다 업론과 바라문 업론은 어떻게 다른가?·35
3. 초기불교 관련 용어·37
불교·37 한국 역사에서 본 불교라는 용어·38
불교의 시작·40 초기불교란?·43
4. 초기불교 경전과 참고문헌·46
초기불교 경전이란: 남전과 북전·46
초기불교 경전 번역본과 참고문헌·50

제1부: 연기론적 관점에서 본 붓다와 불교 경전

제1장 붓다 탄생의 땅, 고대 인도·57

1. 인도의 역사·문화적 풍토·57
붓다 사상을 연기론적으로 보기·57
인도의 종교 및 사상들과 공유한 핵심 용어들·59
불교 경전의 문화적 해석·61 인도의 역사·문화적 풍토·64
2. 아리안, 베다 및 우파니샤드·66
아리안의 이동·66 ‘베다’란?·68
바라문 출가자·70 우파니샤드·73
3. 바라문교와 인간 차별의 사회문화·76
바라문계급과 ‘진정한 바라문’·76 인간 차별의 풍토: 카스트제도·79
수행자로서의 바라문·81 지배 이데올로기로서의 바라문교·84
4. 베다질서에의 도전·88
이단설에 대한 관용성·88 해탈사상의 대두·90
슈라마나의 기본 수행법: 고행과 명상·92
베다에 도전한 사상가들·95 자이나교·97
5. 불교 탄생의 정치·경제적 배경·100
정치적 배경의 중요성·100 신분제 동요와 공화제·103
농업발전과 상인계급의 대두·105

제2장 인간 붓다와 초기불교·108

1. 인간 붓다·108
길 위의 사람, 붓다·108 완전히 건넌 사람, 붓다·112
깨달음과 전법(傳法)의 삶·115 법(다르마)·118 승가와 계율·120
2. 초기불교 경전 성립과정·123
경전 결집의 경위·123 암송에 의한 법의 전승·125
근본분열과 2차 결집·127 비중앙집권 전통과 승가의 다양성·130
1차 결집 이후 경전 편집·133 부파불교를 거쳐서 전해진 경전·135
3. 초기경전 시기 구분과 경전 내용 차이: 출가와 입멸·137
초기경전 시기 구분과 그 필요성·137 초기경전 시기 구분의 방법·139
출가 동기에 관하여: 설화와 초기경전·141
최고층 경전으로 본 출가 동기·144
붓다 입멸에 관련된 경전과 그 해석·147 춘다의 공양에 관하여·151
4. 초기불교의 특성·156
인간 평등의 승가·158 불가촉천민 및 여성의 수용·160
교리의 합리성과 객관성·164 현실주의 내지 현장주의·166
도덕적 행위론, 그리고 전통과 개혁의 조화·169

제3장 경전의 중국 전파와 한역·172

1. 설법 기록과 대기설법·172
대기설법이 담긴 경전·172 엄격한 계급사회와 설법·174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설법·178 선택적 설법·180
질문만 있고 대답이 없는 경우: 무기(無記)·183

2. 불교의 중국 전파·188
경전 언어와 전파·188 불교의 중국 전파·191
인도와의 문화교류와 중국 독자적 발전·193
3. 중국 전파를 전후한 인도불교: 대승불교의 발흥·196
인도불교의 역사·196
불교 교리는 왜 이론화되었는가: 내부경쟁과 타종교와의 경쟁·198
대승불교와 밀교·202 인도에서의 불교 소멸과 그 시사·206
재가신자의 성격 변화·209
4. 경전 한역과 한역 경전의 문제·211
인도 경전의 한역: 용어 문제·212
불교에 대한 중국의 파격적 예우·215
한문 번역의 과정과 절차·217 가부장적 내용의 주입·221
지의(智顗) 교판론의 악영향·223 한반도불교에의 영향·226

제2부: 초기불교에 관한 네 가지 쟁점

제4장 깨달음의 조건 및 의미·231
1. 붓다 및 깨달음의 조건·231
붓다의 조건 ①: 깨달음·231
붓다의 조건 ②: 자비와 완전한 인격·233
깨달음의 조건 ①: 철학적 지식과 소양·236
깨달음의 조건 ②: 태만 및 바르지 않은 수행방법 멈추기·240
2. 연기법과 그 사회성·244
연기법의 의의·244 깨달음의 사회성·247
연기론적 신체관: 오온가화합·250
3. 문제 해결 방법 발견으로서의 깨달음: 팔정도와 사성제·253
문제 해결 방법의 발견·253 완전한 깨달음·255
사성제·257 달라이 라마의 사성제론·259 팔정도·261
4. 신앙이자 수행방법으로서의 팔정도·263
수행의 전제와 실천수행·263 신앙으로서의 정견·266

제5장 ‘육년고행설’에 관하여·270

1. 고행과 수행에 관한 두 가지 쟁점·270
육년고행설의 오해·270 계율이 의미하는 것·273
2. 고행의 의미와 붓다의 고행관·277
고행의 내용과 관련 개념·277 초기경전에 나타난 고행·280
붓다가 행한 고행·283 극단적 고행을 버린 이유는 무엇인가?·287
육년고행설은 왜 고착화되었는가?·290
3. 붓다의 신체관과 수행·293
붓다의 신체관·293 유물론‘적’ 신체관·295
신체는 바른 수행의 조건·297
4. ‘악마’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깨달음 이후의 수행·300
악마는 왜 등장하는가·300
유혹을 뿌리친다는 것: 붓다 만년에 등장하는 악마·302

제6장 윤회에 관하여·306
1. 윤회의 의미와 관점·306
윤회적 사고·306 붓다의 삶을 도외시한 윤회 논의·308
윤회의 개념·310 경전상의 첫 용례·313
2. 바라문교의 윤회관·315
오화이도설·315 인도의 죽음 문화·317 아트만이란 무엇인가·320
3. 무아설과 비아설·324
삼법인과 무아·324 초기경전의 비아·326
붓다는 왜 무아를 명언하지 않았는가?·330
버려야 할 자기와 추구해야 할 자기·332
4. 붓다의 윤회관·334
대승불교 및 밀교의 입장·334 초기경전의 윤회관·338
붓다 윤회관의 추정·340 윤회를 수용한다는 것·343
윤회에 대한 무기가 의미하는 것·346

제7장 업론과 ‘인-연-과’·349

1. 업의 정의와 그 구속력·349
바라문교 업론·349 붓다가 본 업의 주체·351
카스트를 설명하다·353
2. 붓다 업론의 특징·356
보편적 규범을 지킨다는 것·356 이숙인 이숙과의 논리구조·359
과거업을 수용한다는 것: 업의 소멸·361
3. 붓다 업론의 구조와 시사점·362
‘인-연-과’(因-緣-果)·362 한 열차사고로 본 업론·364
현재 중심의 업론·366 자기 책임론과 『신 없는 사회』의 시사점·368
4. 문화의 관점에서 본 업·372
문화로서의 생활 습관·372 공업과 문화전승·375

종장: 붓다의 길 따라 걷는다는 것

1. 자신(自信)을 가진 삶·386
2. 인간과 사회를 연기적으로 보기·392
3. 오직 법의 길만을 걷기·398
4. 멈추기에 도전하기·403
5. 타인의 고통 해소에서 가치 찾기·409
6. 제념(諦念)하기·414

• 찾아보기·419
• 사진과 해설·433

====
책속에서
P. 5 초기불교란 붓다 재세기(在世期)를 포함하여, 붓다 입멸 후 약 100~200년까지 존재했던 모습의 불교이다. 인도불교는 초기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순으로 발전했으므로, 초기불교란 부파불교 혹은 대승불교에 대한 용어이며 한국에서는 주로 대승불교의 상대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부파불교는 불법 해석을 둘러싸고 승가가 분열되면서 생겨난 불교이므로 초기불교와는 그 성격을 달리하며, 대승불교는 그 후 다시 200년 이상 흐른 뒤에 생겨난 불교이다.  접기

P. 6 초기불교를 논의한다는 것은 초기불교 사상에 관하여 논자 자신의 관점에서 이야기하는 것이다. 논의란 경전에 설해진 내용을 독자들에게 그대로 전하는 것이 아니다. 혹은 선행연구들의 주장을 그대로 반복하는 것도 아니다. 이미 한국에는 방대한 초기경전이 우리말로 번역되어 누구나 손쉽게 읽을 수 있고, 불자들의 식견도 예전과 비할 수 없을 만큼 높아져 있다. 불교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은, 이미 불교에 대한 자신들만의 입장과 시각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그들이 가진 지적 호기심은 경전 내용 소개만으로 충족될 리가 없다. 독자들은 자기와는 다른 관점에서 불교를 설명하는 목소리를 듣고 싶어 할 것이다.  접기

P. 22 붓다는 젊은 시절 베다나 우파니샤드 철학 등 당시 주류적 인도사상을 학습했으므로, 29세에 출가하여 본격적인 수행을 시작하기 이전에 이미 높은 수준의 철학적 식견을 갖추고 있었다.(제1장) 고대 인도의 교육체제를 보면, 붓다와 같은 크샤트리아계급(왕족, 무사계급) 자녀들은 바라문을 교사로 초빙하여 학습시키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었다. 그러한 연유로 붓다 설법 내용이나 표현 방법에는 우파니샤드와 유사점이 많다.  접기

P. 23 붓다 사상의 특징을 논하기 위해서는 베다사상이나 자이나교사상 등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원래 특징이라는 용어 자체가 비교를 전제로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대표적 불교 교리인 사성제(제4장), 즉 고성제·집성제·멸성제·멸도성제(滅道聖諦) 중에서 그 첫 번째, ‘삶이 고’[苦, 두카(du?kha)]라는 진리는 당시 인도사상계에서는 일반화되어 있던 인식이었다. 고를 멸하는 길, 즉 해탈이 있다는 것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랬기 때문에 당시 출가하여 사문(슈라마나)이 되는 것이 마치 사회운동처럼 확산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사성제가 불교의 핵심적 교리임에는 틀림없지만, 사성제에 관련된 모든 것이 붓다 발명품이라고 말하는 것은 무리이다. 붓다가 설한 사성제의 독창성은, 다른 사상이나 다른 종교 교리와 비교했을 때 비로소 분명해지고, 나아가 그 위대성이 명백해지는 것이다. 그 점을 탐구하여 밝히려 하지 않고, 고에 관한 교리 전부를 붓다의 독창적 교의로 간주하고, 기존 논의만을 되풀이하는 안이한 태도야말로 불교적 사성제 탐구의 걸림돌이다.  접기

P. 31 내가 보기에, 오늘날 동아시아불교 교리 중에서, 가장 사실과 멀어져 있는 것이 육년고행설이다. 그것은 붓다가 출가 후 6년간 고행했고 그것이 깨달음으로 이끌어 주지 못했기 때문에, 고행을 포기함으로써 깨달음을 성취했다는 설명이다. 이 설에 의하면, 고행이란 향락(애욕)과 함께 양극단의 하나이며, 오로지 버려야 할 것으로 간주된다.

====
박광준 (지은이) 

1958년 통영에서 출생했다. 부산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붓쿄佛教대학에서 페이비안사회주의사상 연구로 사회학박사 학위(1990)를 받았다. 12년간 신라대학교(전 부산여자대학교) 교수를 거쳐 2002년 이후 붓쿄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사회과학원 방문학자, (중국)시베이西北대학 객좌교수, (중국)옌볜延邊대학 대학원 객원교수, 그리고 동국대학교(서울)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영국을 중심으로 한 복지사상사를 연구했으나 2000년경부터 주로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사회정책(역사) 비교연구, 그리고 불교사상, 유교와 법... 더보기
최근작 : <여자정신대, 그 기억과 진실>,<초기불교>,<조선왕조의 빈곤정책> … 총 11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인간 붓다와 초기불교에서 배우는
지혜로운 삶에 대하여

초기불교에 관심을 가진 독자들을 위한 책이 출간되었다. 《초기불교-붓다의 근본 가르침과 네 가지 쟁점》, 이 책은 초기불교를 만들어 낸 사회‧문화적 바탕과 역사적 배경을 논리적 ‧ 합리적으로 설명하고, 그 교리에 관련된 몇 가지 쟁점을 명료화함으로써 초기불교에 관한 새로운 논의 마당을 만들려는 의도에서 집필 ‧ 출간되었다.
저자는 초기불교와 관련된 많은 물음을 제기하고, 그에 대한 나름의 해명을 시도하는데, 이는 많은 논란거리를 포함하고 있다. 또 인간 붓다의 가르침을 실천해 가면서 전에 없이 평화를 느끼게 된 저자의 체험담이 소개되기도 한다. 이런 개인적 체험담은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부록에는 저자가 인도에서 찍은 사진 46점의 컬러 사진도 수록되었다. 초기불교의 사실성을 뒷받침해 주는 사진들만을 가려 뽑은 것이다. 본문 내용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그때그때 사진과 해설을 참고하면 본문의 내용을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다.

초기불교와 관련한 네 가지 쟁점

이 책은 초기불교와 관련하여 학계에서 아직까지 합의되지 않은 핵심 쟁점들 네 가지를 정리한 뒤 그에 관한 저자의 견해를 제시하는 데 내용 절반을 할애한다.

저자가 제시하는 핵심 쟁점 네 가지는 다음과 같다.

쟁점 ①: 깨달음의 조건은 무엇인가?
쟁점 ②: ‘육년고행설’이라는 오해는 어떻게 고착화되었는가?
쟁점 ③: 붓다는 윤회를 어떻게 보았는가?
쟁점 ④: 붓다 업론과 바라문 업론은 어떻게 다른가?

각각의 쟁점과 관련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쟁점 ①: 깨달음의 조건은 무엇인가?>

이 책에서는 붓다 깨달음이 첫째, 지식과 소양, 둘째, 멈추기의 도전이라는 두 가지 기본적 조건 위에서, 선정을 통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밝혀서 깨달음을 합리적으로 설명한다.
붓다 깨달음은 ‘완전한 깨달음’이었다. 완전하다는 의미는 자신의 고통 문제를 해결하는 깨달음이었던 것과 동시에, 중생의 고통 문제 해결 방법을 발견한 것이라는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깨달음의 조건뿐만 아니라 깨달음 이후의 수행에 관한 의미 해석과도 관련된다.
저자가 이 문제를 초기불교 쟁점 중 첫째 항목으로 제시하는 이유는, 한국불교에 ‘깨달음지상주의’라는 현상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저자는 ‘깨달음지상주의로부터의 출가’ 또한 붓다 깨달음에 포함되어 있음을 명확히 한다.
저자는 붓다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 그리고 깨달음에는 선정 이전에 필요조건이 있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기 위하여, 이 문제를 초기불교의 첫 번째 쟁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쟁점 ②: ‘육년고행설’이라는 오해는 어떻게 고착화되었는가?>

저자가 보기에, 오늘날 동아시아불교 교리 중에서 가장 사실과 멀어져 있는 것이 바로 육년고행설이다. 그것은 붓다가 출가 후 6년간 고행했고 그것이 깨달음으로 이끌어 주지 못했기 때문에, 고행을 포기함으로써 깨달음을 성취했다는 설명이다. 이 설에 의하면, 고행이란 향락(애욕)과 함께 양극단의 하나이며, 오로지 버려야 할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저자는 이것이 초기불교에 관한 매우 그릇된 이해임을 강조한다. 붓다의 깨달음은 고행을 포함한 6년간 수행으로 얻어진 것이며, 그 바탕에 철학적 소양과 지식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년고행설이 마치 붓다법인 양 오전(誤傳)된 것은 초기경전이 고행주의를 부정하는 부파불교를 통하여 전해졌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저자의 판단이다.
게다가 고행이 무엇을 뜻하는가에 대하여 경전 분석을 통해서 철저하게 규명하려 하지 않고, 한 번 정형화된 설이라면 그것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퍼뜨리는 연구풍토 역시 육년고행설을 오랫동안 고착화시켰다고 본다.
저자는 이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이 책에서 붓다가 고행을 어떻게 설했는가를 밝히고,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난 고행 개념을 자이나교 및 바라문교와 비교 관점에서 고찰한다. 또한 난행(難行), 범행(梵行), 두타행(頭陀行), 사의(四依) 등 고행과 관련된 개념들을 비교 검토한다. 나아가, 붓다가 고행을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겼음에도 불구하고 깨달음 직전에 극단적 고행을 그만두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를 설명한다.

<쟁점 ③: 붓다는 윤회를 어떻게 보았는가?>

붓다는 윤회에 관련된 질문에 무기(無記: 질문에 침묵하는 것)로 일관했다. 그러므로 붓다 윤회관을 탐구하는 것은 그 침묵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추론해 내는 작업이다. 저자는 붓다가 윤회가 없다는 말을 입에 올릴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침묵했다고 본다. 불필요한 논쟁을 피하려고 했을 수도 있으나, 붓다는 윤회를 믿는 사람에게도 불법을 전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저자는 출가자든 재가자든 윤회를 믿는 것은 개인적 자유이지만, 붓다가 윤회를 설했다고 말하는 것은 잘못된 주장임을 분명히 한다.
저자는 초기불교가 아트만을 인정했느냐 아니냐에 관해서는, 무아설과 비아(非我)설을 초기경전에 기초하여 가능한 한 자세히 검토한다.

<쟁점 ④: 붓다 업론과 바라문 업론은 어떻게 다른가?>

이 책에서 업론을 초기불교의 쟁점으로 제시하는 이유는, 붓다 업론이 인(因: 직접 원인)과 과(果: 결과) 사이에 연(緣)이라는 간접원인을 설정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연은 사회적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교리적 근거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분명히 해두기 위해서이다. 붓다 업론은 ‘인-연-과’ 체계로 되어 있다. 붓다는 인-과를 직접적으로 연결하거나 그 관계를 규명하려 하지 말라고 설했다.
저자는 붓다 업론은 ‘인-과’가 아닌 ‘이숙인-이숙과’의 관계임을 분명히 하고, 그것은 ‘현재’ 중심의 업론이며 한마디로 자기 책임론임을 강조한다. 붓다 업론이 바라문교 업론과 다른 점, 붓다 업론이 가진 희망적 성격에 대해 이야기한다.

초기불교의 다섯 가지 특징

초기불교는 붓다 재세기(在世期)를 포함하여, 붓다 입멸 후 약 100~200년까지 존재했던 모습의 불교를 가리킨다. 인도불교는 초기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순으로 발전했다. 부파불교는 불법 해석을 둘러싸고 승가가 분열하면서 생겨난 불교이므로 초기불교와는 그 성격을 달리하며, 대승불교는 그 후 다시 200년 이상 흐른 뒤에 생겨난 불교이다.
《초기불교-붓다의 근본 가르침과 네 가지 쟁점》, 이 책은 붓다의 근본 가르침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는 초기불교에 주목한다. 저자는 오늘날 불교가 가진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붓다의 근본 가르침으로 돌아가 생각해야 할 것들이 많다고 주장한다.

이 책에서는 초기불교의 특징을 다섯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는, 평등주의이다. 붓다는 행복이란 절대자가 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노력해야만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계급과 성별에 상관없이 누구라도 자신이 가진 무한한 가능성을 믿고 해탈을 향하여 정진하도록 하는 것이 중생에 대한 인간 붓다의 관심사였다. 이런 점에서 초기불교는 인간 평등주의를 실천한다.

둘째는, 초기불교의 교리가 합리적이고 객관적이라는 점이다. 저자는 붓다 설법이 주로 고통을 가진 사람을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이었지만, 눈앞의 고통 해소를 위하여 초자연적인 것이나 주술, 기도(무엇인가를 실현하기 위한 기도를 말함), 마력 등을 동원하지는 않았다는 점에 주목한다.

셋째는, 초기불교가 현실주의 내지 현장주의라는 점이다. 붓다의 관심은 지금 여기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의 현실 문제였다. 그래서 문제를 가진 이의 상태나 신분계급, 종교적 배경에 따라 그에 대한 대처 방법이 달랐다. 설법도 대중의 언어로 이루어졌다. 붓다가 설한 열반도 사후세계가 아니라 이 생에서의 행복이었다.

넷째는, 초기불교의 도덕적 행위의 실천, 즉 윤리성이다. 붓다는 ‘바라문이란 출생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행위에 의해 정해진다’라는 말은 거듭 되풀이하였다. 인간은 신분이나 성별 등에 관계없이 열반에 도달할 수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두 가지 생활태도가 있었다. 하나는 자신의 노력으로 열반에 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지도 믿지도 않고,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지 않는 태도였다. 두 번째는, 허황된 믿음이나 미신에 사로잡힌 나머지 해탈을 추구하면서도 정작 해탈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수행을 거듭하는 태도였다.

다섯 번째는, 초기불교가 지닌 전통과 개혁의 조화이다. 초기불교는 반드시 필요한 개혁에 힘을 집중하면서, 다른 한편에서는 전통을 존중하는 태도를 견지했다. 저자는 붓다가 인간 고통의 원천인 카스트에 대해서는 언제 어디서나 분명한 반대 입장을 표했지만, 인도 사회에서 카스트에 큰 변화를 가져오기 어려운 현실 역시 있는 그대로 보고 있었다고 말한다. 현실이 그렇다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 그것이 이 책에서 제안하는 용어, 제념(諦念)의 태도이다.
저자는 포기와 좌절의 의미를 내포한 ‘체념’이란 말 대신 ‘제념’이라고 쓰길 제안한다. 그리고 한정된 시간 내에는 바꿀 수 없는 일이 있다는 것, 다른 일들은 자신의 바람과는 다른 원리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깨닫는 마음이 곧 제(諦)의 마음이라고 설명한다. 사성제(四聖諦)란 바로 이러한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진리일 것이라는 설명도 덧붙인다.

이 책은 초기불교를 고대 인도의 역사문화 및 사회사상과 가능한 한 비교 관점에서 기술함으로써 그 독자성을 분명히 밝힌다. 저자는 붓다 사상을 소개할 때, 그것이 바라문교나 자이나교와 어떤 점에서 다르고 어떤 점에서 유사한지를 가능한 한 자세히 규명하려고 노력했다.
또 이 책에서는 초기경전 중에서 오래된 경전과 후대의 경전으로 다시 구분하거나, 혹은 하나의 초기경전 안에서 최초에 만들어진 부분과 후대에 추가된 부분으로 구분해 내어, 양자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초기불교의 특징을 찾아내려고 시도한다. 이로써 초기경전을 시기 구분해야지만 비로소 발견할 수 있는 사실이 무엇인가를 밝힌다.
초기불교에 관해서는 이미 국내외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다. 이 책에서는 한국 선행연구는 물론, 일찍부터 초기불교를 연구한 유럽 선행연구, 남방불교 선행연구, 일본 선행연구들을 두루 참조함으로써 논의의 객관성을 높였다.

붓다의 근본 가르침,
그 가르침을 따라 걷는 길

붓다는 인간 붓다이며 역사적 붓다이다. 즉 가공인물도 초인적 인물도 아니다. 인간의 몸으로 태어났고, 젊은 날에는 고뇌했고, 인간의 몸으로 깨달음에 도전하여 목표를 달성했다. 그리고 깨달음의 지혜를 수많은 고통 속 중생을 구제했고, 인간의 몸으로 입멸했다. 그는 길 위의 사람이다. 깨달음을 얻은 후 그는 45년 동안 우안거를 제외하고는 끊임없이 유행(遊行)했다. 설법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지 걸어 다가갔다.
- 108쪽

한 종교의 교조(敎祖)를 인간으로 보는 것과 초인간적 존재로 보는 것 사이에는 세계관에 큰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초기불교는 ‘인간 붓다’의 가르침이다. 인간 붓다가 만난 개별 인간의 고통 문제 해소를 위한 설법을 그 주된 내용으로 하는 것이 바로 초기경전이다. 초기경전에서는 설법 대상이 누구인가에 따라 가르침 내용이 다르고 교리나 설법이 체계화되어 있지도 않다. 심지어 한 경전 안에도 서로 모순적으로 보이는 내용이 섞여 있어서 해석의 여지도 많다.
이에 반해 오늘날 한국불교가 표방하는 대승불교는 신앙을 중시하여, 붓다를 신격화된 존재로 숭상한다. 교리도 체계적이다. 이미 신격화된 존재로서의 붓다는 모든 유혹을 초월한 절대자이기 때문에 우러러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초기불교에서 그리는 붓다는 정각자이면서 수행자이기 때문에 그의 가르침을 누구나 따라갈 수가 있다.

저자는 이런 인간 붓다의 가르침을 따라가며 전에 없이 평화를 느끼게 된 자신의 체험담을 소개한다. 그리고 불자는 붓다를 단지 숭상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붓다처럼 질문하고, 생각하고, 해답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는 삶을 사는 자임을 분명히 한다.

‘노력해서 바꿀 수 있는 것이 무엇이며, 노력해도 바꿀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바꿀 수 있는 것과 바꿀 수 없는 것을 구분해 낼 수 있는 지혜의 눈을 어떻게 하면 가질 수 있는가?’ 이것을 끊임없이 붓다에게 묻고, 자기 스스로에게 묻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해답을 구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붓다의 삶을 살펴보고, 또 자신의 삶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 노력하는 사람, 그 사람이야말로 불자라는 이름에 어울리는 사람이라 할 것이다.
- 418쪽

붓다의 가르침은 각자의 삶 속에서 실천될 때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인간 붓다는 사람들이 자신을 신앙의 대상으로 숭배하기보다, 자신이 가르친 내용을 각자의 삶 속에서 실천하기를 더 바랄 것이다.
저자는 붓다가 법을 어떻게 실생활에 반영하고 있는가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을, 아마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을 거라 말하며, 불교에서 무엇이 중심이 되어야 하는지 돌아보게 한다.
이 책은 독자들도 붓다를 의식하면서 살아가는 것, 어떤 선택에 앞서 보다 평화로운 선택이 어느 쪽인가 하고 붓다의 가르침에 비추어 스스로 물어보는 습관을 몸에 붙이려고 노력함으로써 각자의 삶이 평화로워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바로 《초기불교-붓다의 근본 가르침과 네 가지 쟁점》을 통해 저자가 이야기하고 싶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구성

이 책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이 책의 제1부는 초기불교의 사상적 토대를 가능한 한 폭넓게 검토한다.
붓다 사상을 고대 인도의 정치적·경제적·사상적 풍토와 연기적 관계로 파악하여 그 특징을 밝힌다. 여기에는 초기불교 경전에 관한 논의가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다. 초기불교 경전을 최초기 경전과 후대에 추가된 경전으로 다시 분류하여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강조했다. 또한 인도 경전이 한역되는 과정을 비교적 상세히 기술했으며 한역 경전의 문제와 한계도 지적했다.

둘째, 이 책의 제2부에서는 초기불교에 관련된 쟁점을 4가지로 유형화하여 제시하고 그 각각을 하나의 장으로 만들어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깨달음에는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 육년고행설이라는 오해는 어떻게 정착되었는가, 인간 붓다는 윤회를 어떻게 보았는가, 붓다 업론은 바라문 업론과 어떻게 다른가’라는 네 가지가 그 쟁점들이다. 이 문제제기에 대해서는 불교계나 불교인, 불교학계로부터 이론(異論)이 제기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저자는 이런 문제제기와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힌다.

셋째, 종장이다. 이 책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다. 인간 붓다를 만난 저자의 이야기로 가득 채워져 있다. 붓다가 제시한 길을 따라 걸어 보니, 전에 없이 평화를 느낀다는 체험담이다. 저자의 붓다의 가르침이 어떻게 각자의 삶에 적용될 수 있는지 보여 준다. 저자는 초기불교의 특성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이 바로 실천성임을 강조하고, 의도적으로 자신의 불교 실천담을 소개한다.

넷째, 사진과 해설이다. 이 책의 끝에는 인간 붓다와 관련된 사진 46점이 실려 있다. 초기불교의 사실성을 뒷받침해 주는 사진들만을 가려 뽑은 것이다. 약 10년 전 저자가 직접 인도 현지에서 담은 것들인데, 본문 내용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그때그때 사진과 해설을 참고하면 본문의 내용을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