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26

希修 | '영성'? '깨달음'? '道'?

希修 | Facebook





希修  < '영성'? '깨달음'? '道'? >
.
'영성', '깨달음', '道' 같은 단어들은 그야말로 텅 빈 기표가 된 것 같다. 말하는 이마다 뜻하는 바가 각기 다르고, 때로는 그저 신비주의만 풍길 뿐 자신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본인조차 설명을 못 하기 때문. 그런 것들이 상식이나 논리의 차원을 초월하기에 언어만으로 설명하기는 '부족'하다 해도 설명이 아예 '불가능'하다면, '벌거벗은 임금님의 멋진 옷' 같은 詐欺나 환상/망상과 어떻게 구분하겠는지. 그래서 나는, 어디까지나 나의 현재 이해 수준에서의 초기불교 관점을 소개하려고 한다.
.
타인의 심리가 어떤 상태인지, 기가 몸안 어디서 어떻게 막혀 있는지, 어느 하늘나라에 어떤 용이 있는지 등을 보는 것을 '得道'라 표현하는 이들이 있다. 하지만 그들도, 한 번 재배하고 나면 땅의 힘을 소진시켜 몇 년간 땅을 쉬게 해야 한다는 인삼을 아침 저녁으로 챙겨 먹어 가며 건강/젊음에 집착하는, 마치 보톡스 중독자의 젊음 집착과도 전혀 다르지 않은 자기 자신의 그 이기적 욕심은 보지 못 한다. 신통력은 '선정' (정신의 집중으로 인한 고요함)에 수반될 수도 안 될 수도 있는 side effect일 뿐이고 '지혜'와는 무관하다고 초기불교는 분명하게 못을 박고 있건만, 예외적인 감각이나 질병 치유 능력을 이들은 '영성'/'지혜'라고 부른다.
.
또 어떤 이들은 자기 내부의 '참 나'를 찾는 것이 '깨달음'이라고 얘기하는데, 결국 인도 베다전통에서 말하는 브라만-아트만이 그 뿌리. 대승불교에서는 이것을 '불성'이라고 단어만 바꿨고. 각 개인이 神의 '일부' (일부라고는 하지만 프랙탈 개념)인데 자신이 神이라는 것을 망각하고 있기에 그 망각만 일깨우면 된다는 얘기. 그렇기에 Advaita 혹은 Nondualism이라고도 불리는 전통에서의 '수행'이라는 것은 '이승에 국한된 자아인 ego'가 하는 모든 생각을 비우고 'I am'을 되뇌임으로써 잠자고 있는 神性을 깨우는 것. 그리고 이런 철학을 이어 받은 뉴에이지는 미국에서 자기계발과 결합하여 "너는 신이기 때문에 너 자신의 감정을 신뢰해야 하고, 너는 신이기 때문에 니가 스스로를 믿기만 하면 며칠 안에 백만장자도 될 수 있다!"는 '복음'을 낳기도 했다.
.
반면 초기불교에서의 '깨달음'이란, '팔정도' (초기불교에서 '道'는 팔정도를 가리킬 뿐 '대자연의 신비/섭리'가 아님)의 전과정을 차근차근 밟아가면서 부처님의 가르침이 사실임을 깨닫는 것을 말한다. 즉, '부처님은 이렇다고 했는데 진짜 그런지 안 그런지 어디 한 번 보자'의 단계를 지나 '아~ 이래서 부처님이 그런 얘기를 하셨구나! 그게 바로 이 얘기였구나! 이제 보니 진짜네!'하고 direct knowledge를 얻는 것을 말한다. 45년간 부처님이 남긴 가르침을 '사성제'라는 단어로 대표하기도 하고, 그러나 가장 핵심 교리는 '12연기'이기에, "사성제를 깨닫는다", "12연기를 깨닫는다"고 해도 틀린 얘기는 아닌데, 암튼 중요한 것은 현상 속에서 부처님의 가르침 전체를 '재발견' 혹은 '확인'하는 것 - 단순히 '논리적 이해'에서 그치지 않고. 다시 말해, 신비적인 게 전혀 아니라는 얘기다. (당신의 가르침은 "쥔 주먹"이 아니라 "편 손바닥" 같은 것이어서, 비밀스러운 것도 신비적인 것도 없다고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Direct knowledge까지 얻고 난 후! 모든 관념과 노력마저도 놓는 것은 '강의 건너편인 해탈에 다다랐으니 이제 뗏목에서 내림'인 것이고. (무조건 생각/이성을 놓으라고 말하는 다른 전통들과 달리, 아직 강의 이쪽편에 있으면서 무작정 생각부터 놓으면 축생으로 윤회할 뿐이라고 아비담마는 가르친다.) 요약하여, 선정의 도움을 받아 '지혜를 계발'( =탐진치 감소)해 나가다 보면 direct knowledge를 거쳐 해탈하는 것이고, 신통력은 지혜나 해탈과는 별개라는 것이 초기불교의 입장이다.
.
You, 崔明淑 and 3 others
2 comments
Like
Comment

Comments

Hanjin Kang

명쾌합니다! 아직도 불교 공부하려면 한자를 잘하고 불교한자를 제대로 익혀야한다고 믿는 분들이 태반이니... 한국어로 초기불교 소개하시는 분들도 결국 한자어에 의존 안 할수는 없는 노릇이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