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11

0807 밤 都鄙問答 石田梅岩 '도청문답' 이시다 우메이와

0807 밤 '도청문답' 이시다 우메이와
都鄙問答
石田梅岩

岩波文庫 1935
이시다 우메이와

이와나미 문고 1935

 차야마치의 연못을 오른다. 지금의 교토라면 중경의 한가운데다. 우호 14년(1729), 그 동쪽에 이시다 우메이와가 거택을 물었다(약 230년 후, 거기에서 동쪽으로 4개 진행된 다카쿠라 거리의 미이케를 오른 히라기초에, 우리 마츠오카 일가와 마츠오카 상점이 이사했습니다).
 거택을 물린 것은 우메이와가 도청문답 답장을 시작한 신호발신에 해당하고 있지만, 그때까지의 우메이와의 경력에 ​​대해서는 거의 알 수 없다. 단바에 태어나 11세 때 교토에 나와 23세부터 쿠로야나기야라는 오복집에 봉공해 20년 가까이를 거기의 번두로 근무한 것만이 알려져 있다.
 대체로 23세는 봉공에 나오기에는 늦은 나이로, 그다음 또 20년도 같은 일가에 머물러 있다고 하는 것은(검은 버드나무를 그만둔 것은 43세이다), 태연하다고 하면 평연, 추기라고 하면 너무 참기다 라고, 이런 곳에 슬로우 스타터의 매암의 삶의 일단이 벌써 나타나고 있는 것이지만, 거기에는 마음에 숨긴 결의도 있었다. 그 결의라는 게 무려 '늦은 피'를 사랑하고, 그로 인해 천천히 자신의 '깨를 낳는다'는 것이었다.
 그러한 결의를 한 데는 원인이 있다. 매화는 부모의 탓인지, 환경 때문인지는 모르지만, 유아로부터 상당히 변한 성격의 소유자였던 것 같다.
 
 우메이와의 『이시다 선생님 어록』에는, 자신이 어린 시절부터 주위에 미움받고 있던 것이 뽀뽀라고 말해지고 있다. 아무래도 사람에 대해 의지악이 되어 버린 것 같다(이런 아이, 꽤 많다). 15세 무렵 그것이 슬프게 되어 그것을 어떻게든 고치려고 하는데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하지만 좀처럼 고칠 수 없다).
 이 '성격을 바꾸고 싶다'는 생각이 그대로 우메이와의 사상의 골격이 되는 곳에서 당시에는 이런 것을 묘자나 흄은 아니지만 정리해 '인성을 보는' '인성에 사귀는다'고 말했다. 나중에 우메이와는 이것을 ‘심오지루’, 혹은 쭉 ‘발명’이라고도 한다. 자신을 발명한다는 것이다.
 자주 「성격은 바꿀 수 없다」등이라고 한다. 다른 것은 바뀌어도 성격만은 변하지 않는다. 그래, 생각된다. 모두, 그렇게 포기하고 있다. 아마 이것은 전혀 실수로, 그런 일은 없다 (우메이와도 그렇게 확신한 것 같지만, 나도 계속 그렇게 생각해 왔다). 단지, 그 전에 하는 일이 있다. 이렇게, 매화는 생각했다.
 자신의 성격의 적층 구조를 아는 것이다. 운모처럼 겹치는 성격의 지층(지층?)을 하나하나 아는다. 그것도 오복 가게에서 여러 노인과 남녀를 만나면서 천천히 확인해 간다 (그 때문에 오복 가게에서 20년을 보냈을 것이다). 그리고, 도대체 어느 층에 자신의 평소의 악버릇이 반사하고 있는지를 밝힌다. 게다가, 그 익숙해 버린 성격층을 다른 성격층 등에서의 반사로 바꾸어 본다. 그런 일을 했다. 우메이와의 「심학」이란 바로 이것으로, 그것을 우메이와는 「앞에 오기아케루」라고 말했다.
 
 자신이라고 하는 성을 만들고 있는 것은, 연대를 쫓아 겹쳐 온 자신의 지층과 같은 것이다. 만일 명명하여 인성층이라 할까.
 그 층을 한 장씩 앞으로 향해 벗겨 간다. 그러면 그 어딘가에 비유한 성격층이 보인다. 불안과 비굴과 증오가 분명해진다. 거기서 실망하고 있어서는 좋지 않다. 거기를 더 깨뜨리도록 진행한다. 그러면 좀 더 엄청난 지층이 보인다. 이것은 인지층이라고 해야 하는가. 거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다른 성격으로 바꾼다고 해도, 별종의 신규 인격으로 뛰어들거나 변신하려고 하거나 위장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안쪽에 숨어있을 순수한 인성층에 반영하고 있는 성격을 상대로 한다. 인지층의 앞쪽으로 꺼낼 수 있을지 어떨지를 매화는 제안한다.
 이렇게 익숙한 성격을 벗기거나 새로운 성격을 되찾는 것, 그것이 「앞의 먼을 열어 간다」인 것이다.
 
 우메이와가 살았던 무렵의 교토는 한때의 호화 21가사가 다카모리를 자랑했던 아즈치 모모야마기와 다르며, 마을에는 선사와 정토계의 절이 모여 마을중도 호화문도의 힘보다 선 그리고 정토의 문도의 힘이 증가하고 있었다. 우메이와가 다니던 쿠로야나기 가문도 혼간지 문도에서 깊이 조조를 숭배하고 있었지만, 우메이와는 왠지 처음부터 신사에 관심을 갖고 신도에 주목하고 있었다.
 그 무렵의 신도는 「신 유이치 여」라고도 말해야 할 것이고, 키노시타 순안에서 야마자키 암사이까지, 신도적인 것과 유학적인 것이 겹쳐져 있었다. 어둠사이는 유자이지만, 수가신도를 제창했다. 그러므로 우메이와의 신사 신도로의 경도도 그런 것이었을지도 모르지만, 나는 반드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주지와 같이, 우메이와의 심학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상인이 배울 수 있는 학」을 만들었다고 한다. 주저 『도청문답』에는 정직이나 절약을 중시한 상인을 위한 철학이 다음부터 다음으로 선지되고 있고, 최근에도 교세라의 이나모리 카즈오 씨가 돌문심학에 기울여 이나모리학원을 각지에서 열려 평판이 되고 있는 것처럼, 분명히 심학은 오늘날의 사업가나 상가에도 잘 잘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풍부하다. 말도 평명하다.
 '도청문답'에는 그러한 상인철학과 함께 매화가 자신의 뒤틀린 성격을 돌파하기 위해 굳이 신사 신앙에서 심학에 이르는 과정도 썼다.
 
 우메이와에는 시간의 권력이 얼마나 훌륭하고, 심지어 끔찍하게 되자, 그들에 관계없이 국토 사회의 어딘가에 위치하고 있다고 우는 "신"이나 "하늘"을 경외하는 곳이 있었다 .
 매화는 이 '신'과 '하늘'을 매일 아침 기도했다. 가미타나의 중심에는 아마테루 황대신궁이 봉사되고는 있었지만, 동시에 쑤의 신이나 산토신을 존경하고 있었다. 존경해야 할 것은 특정한 신격이 아니었다. 그런 큰 ‘신’이나 ‘하늘’을 자신의 마음에 대해 두는 것이, 조정이나 도쿠가와 장군이나 번주나 그 외의 위정자에 대해 아는 것으로부터의 자유의 보증이었던 것이다. 의외로 라디컬한 사상이다.
 게다가 자신을 포함한 하늘 밑에 늘어선 '인성'이라는 것을 평평하게 보이게 했다. 세상을 평평하게 보듯이 '인성'을 말하는 곳이 매화같다. 이것은 후쿠자와 사키요시의 선취라고도 해야 하고, 이윽고 「사람 밑에 사람도 없고 사람 위에 사람도 없다」라고 하는 사상이 되어 갔다.
 이렇게 하여 우메이와는 스스로 자신을 비하하거나 자신을 교만하게 해 온 인생의 흐름을 역사에 비추어 여기에 학장을 체험하기로 결의한다. 그것이 「앞에 오기아케루」라고 하는 것이다. 자신의 과거에 학장을 친다. 꼬인 층에 의한 자기 반사 벽을 차례로 부수십시오. 「埒」이란 울타리로 둘러싸인 장소를 말하지만, 그 「埒」을 하나하나 열어 간다. 그렇게 매화는 생각하고 그것을 실행으로 옮긴 것이다.

 실행이라고 하는 것은, 「자신과의 문답」을 계속해, 거기에 우연히 사람이 나타나면, 그 사람과도 문답을 계속해 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질문은 계속 될수록 자신을 반영합니다. 「도정문답」의 문답이란 것을 말한다.
 이렇게 서두에 썼던 것처럼, 차야마치 미이케가미루에 우메이와는 강석을 마련한 것이다. 늦은 피는 45세 때의 것, 나중에 「심학학원」이라든가 「석문심학강사」라고 불렸다. 무료 학원이다. 이야기를 듣지 않는 사람은 처음에는 적다. 혼자 온 적도 있다. 죄송한 청강자가 돌아가려고 하면 “나는 아무도 없을 때는 책상을 향해 말하고 있다. 당신이 있으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매암의 「심학」은 「성학」이기도 하다. '인성'을 도장하는 것을 장사와 연결시켰다. 이익이나 부를 얻는 것의 「정말」(정당성)을 설명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계속성(倹約性)'이어야 한다고 했다. 선의 후리가 상업의 길이라고 강조한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돈벌이'를 선행시키지 않고 '무엇에 쓸까'를 생각하라고 가르쳤다.
 이 사고방식은 드디어 제자들에게 전파하고, 우선은 테지마 堵庵이 일어나 우메이와의 문답을 적어, 우메이와의 '성학'을 깔아주는 작업에 향했다. 역시 교토에 거점을 두고, 토미코지 산조하루에서는 고라쿠샤를, 안영년에는 고조 동동원에 옆 정사를, 한층 더 이마데가와 센본에 시습사, 천명기에는 가와라마치 산조에 메이린사를 강학의 학사로 했다. 평판은 좋다. 드디어 이것이 퍼지고, 고기 칠도 27개국을 순강한 나카자와 길 2나 그 문하생들, 특히 시바타 하토시에 계승되었다. 이 단계에서 '심학강사'는 2일사가 되어, 마을인이나 상인뿐만 아니라 무가에도 침투해 갔다.
 이 무렵부터, 우메이와는 생전에 한번도 사용한 적이 없었지만, 언제나 「심학」이나 「도화」라는 말이 퍼져 갔다. 모두가 모두, 앞의 埒의 개삭에 잡기 시작한 것이다. 여기에 에도의 감 비즈니스의 싹이 불었다.
 늦게 피고, 이것 또한 좋은 것이다. 그래서 좋겠다고 우메이와는 오복점에 있는 사이에 반드시 결의했음에 틀림없다. 오옷가게에 있었다는 게 미소였고, 그곳은 그 무렵 교토에서 가장 사람이 출입하는 곳이었고, 가장 유행이 움직이는 곳이자 사람의 생각이 보이는 곳이었던 것이다. 그런 일하고 있던 장소를 활용한 것이다.

 둘, 셋, 덧붙여 두자.
 하나 매화암은 평생 동안 독신이었다. 둘째, 석문심학사가 오사카에 파급되어 거기서 회덕당 등이 태어났다. 셋째, 읽어보면 '도정문답'에서 가장 멋있는 말은 '이치오사 테즈, 이치니 진짜 마즈'였다. 자신이 버릴 수 없는 것에는 친숙하지 않고, 자신이 익숙하지 않은 것은 버려 버리는 것, 심학이란 이것을 말한다.

최신 천야 천권열다

==

岩波文庫 1935

 車屋町の御池を上がる。いまの京都なら中京のド真ン中だ。享保14年(1729)、その東側に石田梅岩が居宅をかまえた(約230年後、そこから東に四本進んだ高倉通りの御池を上がった柊町に、わが松岡一家と松岡商店が引っ越しました)。
 居宅をかまえたのは梅岩が都鄙問答もどきを始めた信号発信にあたっているのだが、それまでの梅岩の経歴についてはほとんどわかっていない。丹波に生まれ11歳のとき京都に出てきて、23歳から黒柳家という呉服屋に奉公し、20年近くをそこの番頭として勤めたことだけが知られる。
 だいたい23歳は奉公に出るには遅い年齢で、そのうえまた20年も同じ一家に留まるというのは(黒柳を辞したのは43歳である)、平然といえば平然、暢気といえばあまりに暢気であって、こういうところにスロースターターの梅岩の生き方の一端がすでにあらわれているのではあるが、しかし、そこには心に秘めた決意もあった。その決意というのがなんと「遅咲き」を愛し、それによってゆっくり自分の「埒をあける」ということだった。
 そういう決意をしたのには原因がある。梅岩は親のせいだか、環境のせいだかはわからないが、幼児からかなり変わった性格の持ち主だったらしい。
 
 梅岩の『石田先生語録』には、自分が幼年のころから周囲に嫌われていたことがぽつぽつと語られている。どうしても人に対して意地悪になってしまうらしい(こういう子供、けっこう多い)。15歳のころそれが悲しくなり、それをなんとか改めようとして時間がかかったという(でも、なかなか改められない)。
 この「性格を変えたい」という思いがそのまま梅岩の思想の骨格にもなるところで、当時はこういうことを、孟子やヒュームではないが、まとめて「人性を見る」「人性に付き合う」と言った。のちに梅岩はこれを「心ヲ知ル」、あるいはずばり「発明」とも言っている。自分自身を発明するということだ。
 よく「性格は変えられない」などという。他のことは変えられても、性格だけは変わらない。そう、思われている。みんな、そう諦めている。おそらくこれはまったくの誤りで、そんなことはない(梅岩もそう確信したようだが、ぼくもずっとそう思ってきた)。ただ、その前にすることがある。そう、梅岩は考えた。
 自分の性格の積層構造を知ることだ。雲母のように重なっている性格の地層(知層?)をひとつひとつ知る。それも呉服屋でいろいろの老若男女と出会いながら、ゆっくり確かめていく(そのため呉服屋で20年を送ったのだろう)。そして、いったいどの層に自分のふだんの悪癖が反射しているかを突きとめる。そのうえで、その使い慣れてしまった性格層を異なる性格層などでの反射に変えてみる。そういうことをした。梅岩の「心学」とはまさにこのことで、それを梅岩は「手前ヲ埒アケル」と言った。
 
 自分という性をつくっているのは、年代を追って重なってきた自分の地層のようなものである。仮りに名付けて人性層というべきか。
 その層を一枚ずつ手前に向かって剥がしていく。そうすると、そのどこかに卑しい性格層が見えてくる。不安や卑屈や憎悪がはっきりしてくる。そこでがっかりしていてはまずい。そこをさらに埒をあけるように、進んでいく。そうするともっとナマな地層が見えてくる。これは人知層というべきか。そこを使うのだ。
 異なる性格に変えるといっても、別種の新規な人格に飛び移ろうとか変身しようとか偽装しようとかいうのではない。自分の奥にひそむであろう純粋な人性層に反映している性格を相手にする。人知層の前のほうに取り出せるかどうかということを、梅岩は提案する。
 このように使い慣れた性格を剥がすこと、あるいは新たな性格を取り戻すこと、それが「手前の埒をあけていく」なのである。
 
 梅岩が生きていたころの京都はかつての法華二十一ヶ寺が隆盛を誇った安土桃山期とちがい、町には禅寺と浄土系の寺がふえ、町衆も法華門徒の力よりも禅と浄土の門徒の力が増していた。梅岩が通った黒柳家も本願寺門徒で深く宗祖を崇めていたが、梅岩はなぜか最初から神社に関心をもち、神道に注目していた。
 そのころの神道は「神儒一如」ともいうべきもので、木下順庵から山崎闇斎まで、神道的なるものと儒学的なるものがかなり重なっていた。闇斎は儒者ではあるが、垂加神道を提唱した。それゆえ梅岩の神社神道への傾倒もそういうものだったのかもしれないのだが、ぼくは必ずしもそうは思わない。
 周知のごとく、梅岩の心学は日本で初めて「商人が学べる学」をつくりあげたと言われている。主著『都鄙問答』には正直や倹約を重視した商人のための哲学が次から次へと披瀝されていて、最近も京セラの稲盛和夫さんが石門心学に傾倒して稲盛塾を各地で開いて評判になっているように、たしかに心学は今日のビジネスマンや商家にもよくよく適用しうる記述に富んでいる。言葉も平明である。
 『都鄙問答』にはそういう商人哲学とともに、梅岩が自分のねじくれた性格を突破するために、あえて神社信仰から心学に至ったプロセスも書いてある。
 
 梅岩には、時の権力がいかにすばらしかろうと、たとえひどかろうと、それらにかかわりなく国土社会のどこかに位置しているとおぼしい「神」や「天」を畏敬するようなところがあった。
 梅岩はこの「神」や「天」を毎朝、祈った。神棚の中心には天照皇大神宮が奉られてはいたが、同時に竃の神や産土神を敬っていた。敬うべきは特定の神格ではなかった。そのような大いなる「神」や「天」を自分の心に戴いておくことが、朝廷や徳川将軍や藩主やその他の為政者に対して阿ることからの自由の保証だったのである。案外にラディカルな思想だ。
 そのうえで、自分を含めた天の下に居並ぶ「人性」というものを平たく見えるようにした。世を平たく見るようにして「人性」を語るところが梅岩らしい。これは福澤諭吉の先取りともいうべきで、やがて「人の下に人もなく人の上に人もない」という思想になっていった。
 こうして梅岩は、自分で自分を卑下したり自分を高慢にしてきた人生の流れを歴史に見立て、ここに鶴嘴をふるうことを決意する。それが「手前ヲ埒アケル」ということである。自分の過去に鶴嘴を打つ。ねじくれた層による自己反射の壁を次々に砕く。「埒」とは柵で囲われた場所のことをいうのだが、その「埒」をひとつひとつあけていく。そのように梅岩は考えて、それを実行に移したのである。

 実行というのは、「自分との問答」をしつづけて、そこにたまたま人が現れれば、その人とも問答をしつづけていくことをいう。このような問答は、続ければ続けるほどに自身を反映するものとなる。『都鄙問答』の問答とはこのことをいう。
 こうして冒頭に書いたように、車屋町御池上ルに、梅岩は講席を設けたのである。遅咲きの45歳のときのこと、のちに「心学塾」とか「石門心学講舎」とよばれた。無料塾だ。話を聞きにくる者は最初は少ない。一人しか来なかったこともある。恐縮した聴講者が帰ろうとすると「私は誰もいないときは机に向かって話している。あなたがいれば十分です」と言った。 

 梅岩の「心学」は「性学」でもある。「人性」を陶冶することを商売と結びつけた。利益や富を得ることの「まっとう」(正当性)を説いた。そのためには「つづまやか」(倹約性)であるべきだとした。先義後利が商いの道だと強調したのである。そのためには「儲ける」を先行させず、「何に使うか」を思いなさいと教えた。
 この考え方はしだいに弟子たちに伝播して、まずは手島堵庵が立ち上がり梅岩の問答を記し、梅岩の「性学」を敷衍するという作業に向かった。やはり京都に拠点をおき、富小路三条下ルでは五楽舎を、安永年間には五条東洞院に脩正舎を、さらに今出川千本に時習舎、天明期には河原町三条に明倫舎を講学の学舎とした。評判はいい。しだいにこれが広がって、五畿七道二七ヵ国を巡講した中沢道二やその門下生たち、とりわけ柴田鳩翁に継承された。この段階で「心学講舎」は二一舎になり、町人や商人のみならず武家にも浸透していった。
 このころから、梅岩は生前に一度も使ったことがなかったのだが、おのずから「心学」や「道話」という言葉が広まっていった。みんながみんな、手前の埒の開削にとりくみはじめたのである。ここに江戸の感ビジネスの芽が吹いたのだった。
 遅咲き、これまた、いいものだ。それでいいだろうと梅岩は呉服屋にいるあいだにきっと決意したにちがいない。呉服屋にいたというのがミソで、そこはそのころの京都で最も人が出入りするところであって、最も流行が動くところで、かつ、人の思いが見えるところだったわけである。そういう働いていた場を活用したわけである。

 二つ、三つ、付け加えておこう。
 一つ、梅岩は生涯にわたって独身だった。二つ、石門心学舎が大坂に波及してそこから懐徳堂などが生まれていった。三つ、読んでみて『都鄙問答』で最もカッコいい言葉は「一ヲ舎テズ、一ニ泥マズ」だった。自分が捨てられないものには馴染まず、自分が馴染めないものは捨ててしまうこと、心学とはこのことを言う。

最新の千夜千冊開く
全読譜開く
総覧帖開く
画像
連環リンク
Keyword
Keype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