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04

9] The Second Frame of Reference | The Noble Eightfold Path : 13 Meditation Talks 내가 이해하는 불교의 업이론이고 또 마음공부.

The Second Frame of Reference | The Noble Eightfold Path : 13 Meditation Talks

The Second Frame of Reference

September 21, 2009

As you sit here with this bundle of feelings, there are lots of different feelings you could focus on. There are pains in some parts of your body, pleasant feelings in other parts, and nondescript neutral feelings in still other parts. It’s not that you have just one feeling at any one time. It’s not the case that there’s nothing but pain. As Ajaan Lee once said, if your body were totally in pain with no pleasure at all, you’d die. You’re alive, so there is pleasure someplace. Ferret it out. Look for it.

In the beginning, it may not seem all that impressive, but there already are pleasant feelings in different parts of the body. The mind has a tendency to focus on the pains because that’s what its early warning system is for: to figure out where there’s pain that you’ve got to do something about. But you can cut that switch and focus instead on where the pleasure is instead.


It’s like that old book, Drawing on the Right Side of the Brain, where the author teaches you not to draw eyes, noses, mouths, or other recognizable features of the faces you’re trying to draw. Instead, you focus on drawing the space, say, between the eye and nose, the space between the nose and the mouth. And you end up with a much better likeness because you’re focusing on things you don’t normally focus on.

So it’s the same with the pleasures and pains in the body. Instead of complaining about where there’s stiffness or soreness or a sense of blockage in the body, focus on the areas where things are going well. Again Ajaan Lee: He says it’s like going into a house where you know some of the floorboards are rotten, so you don’t step there. You step where the floorboards are sound. Or when you’re eating a mango, you don’t eat the rotten spots. You eat the spots that are good. And you make the most of them. What this means is that you focus on the pleasure in a way that helps to maintain it and allow it to grow. When it feels good, you can spread it around. As the Buddha says, you want to suffuse the body with the sense of ease, the sense of fullness that grows as you focus on the breath.

All this comes under the second frame of reference: feelings in and of themselves as your frame of reference. 

If you read the Mahasatipatthana Sutta on the topic, it’s possible to understand it as telling you simply to stick with whatever feeling comes up, because there’s just a list of the different types of feeling you could focus on:

  •  pleasant feelings, 
  • painful feelings, and 
  • neutral feelings; 
  • pleasure of the flesh—i.e., pleasures, physical or mental, relating to sensuality
  • pleasure not of the flesh—related to the practice of concentration— pain of the flesh, pain not of the flesh, and so on. 


The way these things are simply listed makes it sound like you just watch these feelings as they arise and pass away, without getting involved in them, without trying to foster skillful feelings or abandon unskillful ones.

But if you read the Mahasatipatthana Sutta in context, you realize that the Buddha is not telling you just to focus on whatever comes up willy-nilly. There’s a sutta where he asks, 

“How do you develop the four establishings of mindfulness? 

You develop them by developing the eightfold path”—

and that includes everything from right view on down through right effort and right concentration. 

Right mindfulness builds on right effort and is a natural continuation of it; it’s meant to lead toward right concentration. 

The Mahasatipatthana Sutta itself talks about ardency as one of the qualities you bring to this practice. The sutta itself doesn’t explain ardency—that’s one of the reasons that it’s not a comprehensive treatment of mindfulness practice—but other passages in the Canon show that ardency means right effort, generating the desire to do what’s skillful and to abandon what’s unskillful. 

So in this context, 

  • some ways of focusing on pleasure are unskillful, and 
  • some ways of focusing on pleasure are skillful.

In some of the other suttas where the Buddha discusses feeling, he explicitly recommends ways to respond to different types of feelings. For example, with physical feelings

  • When pleasures of the flesh arise, you have to watch out for the tendency to get obsessed with passion around them. 
  • When pains of the flesh arise, watch out for the tendency to get obsessed with irritation around them. 
  • If you’re trying to find a good basis for a solid happiness inside, you want to develop the pleasures not of the flesh, i.e., the pleasure that comes from concentration.

So learn how to gain some control over your feelings. Now this may sound strange. How can you control your feelings? 

Sometimes we have the sense that our feelings are who we really are, and that they’re a given. 

But that’s not how the Buddha explains them. He says that 

  • in every feeling there’s an element of fabrication, i.e., an element of intention.
  • This applies to physical feelings as well as to mental feelings. 

You want to learn how to see where that element of intention is, and how to engage in that element skillfully.

As he says that, for the sake of having a feeling, we fabricate these feelings. We take a potential for a feeling and, through our intention to have a feeling, turn it into an actual experience of a feeling

You wouldn’t think that we would want to fabricate pain, but we’re not skillful in our fabrication, so that’s what we sometimes end up with. 

We want feelings of pleasure, but we often end up creating pain

Now there are certain givens: You’ve got a disease in your body, you’ve got aches and pains in your body that come from old kamma. You can’t do much about that.

But, as Ajaan Lee says, it’s not that your body is totally pained. 

And you do have the choice: 

  • Where do you want to focus your attention? 
  • What do you want to maximize? 
  • Do you want to maximize the pain or maximize the pleasure?

What we’re doing as we’re sitting here meditating is learning how to develop the skills for maximizing skillful kinds of pleasure, skillful ways of approaching the pleasure. 

There are even skillful forms of distress

The Buddha talks about household distress and renunciation distress.

 Household distress is when you’re not getting the physical feelings you want: You don’t see the sights you’d like to see or hear the sounds you’d like to hear, smell the smells, taste the tastes, get the physical contacts you’d like to feel.

Then you get upset. And for most of us, the way of dealing with this kind of distress is to try to find the things we want, i.e., replace household grief with household joy. That’s when you get the sights and sounds and smells and tastes and tactile sensations and ideas you’d like.

But the Buddha says that the better course is to abandon household grief by relying on renunciate grief. 

Renunciate grief is when you think about the fact that you haven’t gained awakening yet. 

You’d really like to gain the peace, you’d really like to gain the happiness and the freedom that come with awakening, and the fact disturbs you. 

Now this kind of grief actually goes someplace. It’s like the tension when you pull back on a bow to shoot an arrow. It’s what allows the arrow to fly. This kind of grief focuses you on what you really would like to do, and it focuses you on the fact that there is a path to that awakening.

So instead of just mucking around in the grief and joy that come from losing and then gaining, and losing and then gaining, and losing again the pleasures of the senses, you focus on developing the elements of the path. 

And notice: The Buddha says to 

  1. abandon household grief by relying on renunciate grief. And then he goes on to say, 
  2. abandon renunciate grief by relying on renunciate joy, i.e., when you finally do attain some of that freedom, some of that happiness, some of that peace, through the practice.

But how do you abandon a feeling? 

When the Buddha talks about abandoning, or letting go, it’s not that your mind has a hand that’s grasping things. 

You’re engaged in habitual activities, habitual ways of reacting, habitual ways of thinking, habitual ways of breathing, habitual ways of perceiving things, habitual ways of fashioning feelings. 

And as long as you keep repeating those habitual patterns, you’re holding on.

 To let go means to stop. You realize that those old habits are not getting you what you want, so you just stop

Or you learn how to stop. 

It’s not always automatic, but that’s what you’re aiming for: learning to see where your habitual ways of fabricating your experience are causing stress and pain, realizing that you can develop some alternative skills that don’t produce that pain, and then focusing more and more on those skills. 


As I said earlier, there is an element of fabrication, an element of intention in all of our feelings, and so you want to focus on that.

There’s bodily fabrication, the way you breathe; 

verbal fabrication, the way you direct your thoughts to a topic, such as a feeling, and then 

evaluate that feeling: Is it potentially skillful? Potentially not? What are you going to do with it? 

And then there’s mental fabrication, which consists of the feelings themselves plus the perceptions that you hold in mind. 


Now all those fabrications are things you can learn how to manipulate, learn how to shape. You’ve got the raw materials. Sometimes the raw materials are a little recalcitrant, but there are things you can do with them. 

So even though there’s a pain or a weakness in the body, you don’t have to obsess about the pain or the weakness. 

You can focus on where your strengths are; you can focus on where your pleasures are. 

Focus on different ways of breathing: What kind of breathing would give you more strength? What kind of breathing would give you more pleasure? Experiment. Learn about these things. 

Which ways of thinking about the breath and evaluating the breath give more pleasure? 

Which perceptions of the breath give more pleasure, give you more strength?

 These are all things you can manipulate, things you can play with. 

And just knowing that you’re not simply a hapless victim of your pains helps get you on the right side.


Sometimes a useful perception is seeing the pain as something receding from you. 

Think of yourself as sitting in the back of one of those old station wagons where the back seats face back. 

You’re sitting there watching the road recede away from you as you’re actually headed in the direction behind your back. 

So when a pain comes, it’s not that it’s actually coming at you. 

The pain is going, going, going, going away. 

You’re watching it go, go, go away. 


 Another pain may come to replace it, but that’s just another pain that you’re going to watch go, go, go. Hold that perception in mind, that you’re not on the receiving end of a lot of this stuff, and things will be a lot easier to take. Because you do see that the individual moments of pain do go, go, go, go, go. And as you focus on that, it gives you less of a sense of being a victim, of being a target, and more of a sense of being in charge, of the choices you have.


I was involved in a psych experiment years back when I was in college. They had computers generating random numbers, and if your number came up for a particular psych experiment, you had to go. It was as if everyone in the whole college was a guinea pig for the Psych Department. And so it happened that during my four years as a student at the college, my name came up only once. But then when I returned after my time in Thailand, the fellowship that had sent me to Thailand gave me a free year back. In the course of that one year, I came up for experiments twice. And both of the experiments were related to meditation—which was useful because I had been meditating already.


The relevant experiment was this: They would have you put your hand in a bucket of ice water with lots of ice, very cold. And then you were told to imagine that the cold in your hand, in this case it was my right hand, could somehow travel over to the left hand, and the warmth in the left hand could travel back to the right hand. “Just visualize that happening,” they said, “and see how long you can keep your hand in the bucket.” That’s what I was told. So I sat there with my hand in the bucket for five minutes. The experimenter finally said, “Okay, you can stop now. You’re breaking the curve.”

It turned out that I was in one of three groups. And fortunately I had been put in the group where you were given a handle on the pain. The first group was told, “Put your hand in the ice water and then take it out as soon as it gets unpleasant, as soon as you can’t stand it any longer.” The second group was told, “Put your hand in the bucket and just try to hold it there as long as you can.” And the third group was told what I was told. They gave you something to do with the pain, using your perception, using your breath, and a sense of the breath energy. They wouldn’t have explained it that way, but that’s what it was. And sure enough, the people in the third group could keep their hands in the ice water a lot longer than the other two.

So simply having that perception that you have a role to play in how much pain there’s going to be, and how much suffering there’s going to be: That gives you the confidence to face down a lot of pains that otherwise you couldn’t stand.


This is what mindfulness of feelings is all about:

learning how to see the intentional element in the feeling you’re focusing on, and 

learning how to change the intentional element so that you’re not suffering so much, so that you can abandon unskillful ways of dealing with feelings and replace them with more skillful ones.


 Instead of jumping back and forth between household grief and household joy, or householder distress and householder joy, you jump over to renunciate grief, which, as I said, is like pulling back the bow that shoots the arrow over to renunciate joy. 

It’s what allows you to give rise not only to physical pleasure but also to mental pleasure, mental ease. 


Even when there are pains that you can’t change, you can still have a sense of mental ease around them. This is what that second frame of reference, feelings in and of themselves, is all about.

So always keep in mind the fact you do have some control over these things, that you want to find where the control is, and that you want to maximize it for the purpose of what’s skillful. That’s how you bring ardency to the practice of mindfulness.


And that’s how mindfulness is part of the path, because mindfulness is not just a matter of bringing bare attention to things. It’s a matter of keeping something in mind. In this case, you’re keeping in mind the fact that there is an intentional element in your feelings, and you can do something about it. You don’t want to forget that. You’ve got to keep that in mind at all times. That’s what you’re being mindful of. When you combine that with ardency and alertness, you get closer and closer to the point where you develop renunciate joy, seeing the results of your practice, seeing that the Buddha really did know what he was talking about: that we can find a peace, a freedom, and a happiness that are deathless. These aren’t just things written in books, or words in Dhamma talks. They’re things you can actually find inside.


希修

Author

Admin

1. 느낌의 구분: 쾌 vs. 불쾌, 육체적 vs. 정신적, 세속적 vs. 탈세속적.
.
2. 어떤 사건에 대한 우리의 느낌이나 해석에는 우리 자신의 태도/의도가 개입됨. 즉, 과거 업의 영향으로 형성된 ‘조건’을 ‘경험’으로 확정짓는 것은 우리 자신의 fabrication. 그렇기 때문에 설사 누군가가 내게 ‘잘못’을 한다 해도, 잘못은 상대의 업이고 상대의 잘못으로 인한 분노/짜증은 나의 업. 삶과 ‘운명’의 결정은 우리 자신의 fabrication에 의해 확정되는 것임을 기억할 것.
.
3. 우리는 보통 쾌락이 느껴질 때는 집착을 하고, 불쾌감이 느껴질 때는 화/짜증을 일으키며, 이 화/짜증을 쾌락의 추구를 통해 해소하고자 함. 그러나 쾌락이 일어날 때도 탐닉하지 않고, 불쾌감이 일어날 때는 ‘해탈하지 않는 한 괴로움은 피할 수 없음’을 기억하는 것이 수행자의 자세. 명상을 하면 괴로움이 joy로 바뀔 수 있음.
.
4. 호흡에 집중하다가 편안한 느낌이 들면 그 느낌이 몸전체로 퍼지도록 이렇게 저렇게 해 봄. Perception 중요. 얼음통에 손넣기 실험.

.
[참고] ‘마음공부라는 것
https://www.facebook.com/keepsurfinglife/posts/1237079003330847


希修 added 67 new photos to the album First Things First by Venerable Ṭhānissaro.

< 마음공부라는 것 >
.
불교수행을 흔히 마음공부라 표현하고, 이 마음공부라는 것을 (i) 매사를 오로지 긍정적으로만 생각하기 (사실은 단순한 wishful thinking, 즉 delusion에 불과할 수도 있는), (ii) 무조건 '착하게' 호구로 살기 (타인의 악업을 방조함으로써 상대의 운도 나쁘게 하고 자신의 인생도 낭비하는 결과가 될 수도 있는), (iii) 성격 고치기 등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불교수행의 본질은, 자신의 의식과 잠재의식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한 후 매순간 fully mindful한 선택을 내리는 것이라고 나는 이해한다. 이렇게 되고 나면 자신의 이기심이나 천성을 제어 못해 문제를 일으키는 일들은 저절로 줄어들고 처신도 인간관계도 당연히 원만해질 테지만, 상식적인 '착함'이나 '온화함'이 불교수행의 본질/목적인 것은 아니다. (성격적인 특징으로 그 사람의 의식/지혜 수준을 판단할 수는 없다고 초기불교는 말한다.)
.
(1) 인간 각자의 뇌는 특정 종류의 자극을 찾아 헤매고 (자신의 업때문에 자신이 경험해야 하는 자극을 자신의 잠재의식이 적극적으로 찾아 나선다고 초기불교는 설명. 초기불교의 잠재의식은 프로이드가 말한 잠재의식이 아니라, 전생의 업으로부터 상속받아 각자가 타고난 '경향성'), (2) 매순간 감각기관에 와닿는 무수한 자극들 중에서 극히 일부분에만 집중하며, (3) 나름의 선택과정을 거쳐 수용하거나 거부하고, (4) 나아가 그에 대한 해석을 함으로써 (5) 감정이나 그 이후의 다른 선택 (생각, 말, 행동)들로 이어지게 되며, 이렇게 새로운 업을 짓게 되는 것인데.. 1~4번에는 잠재의식이 아주 지대한 역할을 한다고 초기불교는 설명한다. 즉, 특정 방향으로의 동력과 속도를 장착한 채 달리고 있는 기차, 혹은 MS Windows 같은 컴퓨터 운영체제에 비유할 수 있을 듯. 1~4번이 잠재의식에서 일어나기에 이 과정들을 당사자는 '선택'이라 느끼지 않고 절대시하는 것. 타인에겐 '고집'이라 보이지만, 당사자에게는 '그렇게밖에 생각이 안 되는' 것.
.
다시 말해, 부처님 수준으로 '깨어서' 완전한 메타인지를 갖고 하는 행동 (생각과 말 포함)이 아닌 한, 아무리 자신은 '합당하다 여겨지는 대로' 행동한들, 실은 좀비처럼 잠재의식대로 사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 바로 불교의 업이론이라고 나는 이해한다. 자기 나름은 '열심히' 생각해서 얻은 결론이라 해도, 그 결론으로 몰아가는 지극히 강력한 힘/관성이 잠재의식에 이미 조건지어 있는 것이라는 얘기. 그러니 '운명'이라는 것이, 몇 월 몇 일날 내게 무슨 일이 일어난다는 구체적 시나리오가 아니라, (a) 내가 타고난 잠재의식과 (b) 부모나 적성 등의 선천적 조건들 및 성장과정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운명은 전부 전생의 나=A (편의상 '나'라고 부를 뿐 이승의 나=B와 완벽하게 동일 인물인 것도 완벽하게 별개의 인물인 것도 아닌)의 업의 산물인 것. 그렇기에, 각자 자신은 aware하게 산다고 나름 생각하지만, mindful 하지 않는 한 운명=잠재의식대로 좀비처럼 살게 되는 것. 점성술이 대다수 사람들의 삶에 얼추 들어맞는 것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삶의 대부분의 시간을 운명의 '주인'이 아닌 운명의 '노예'로 살고 있기 때문.
.
이승의 나=B의 선택/컨트롤과 무관하게 형성된 운명으로 인한 결과를 B가 옴팡 감당하고 책임까지 져야 한다는 삶의 이 조건이 한편으론 섬짓하지만, B에게 주어진 삶라는 것은 전생의 나=A의 업을 상속한 결과일 뿐이기에, 유산을 상속하면 부채도 함께 상속되는 것과 동일한 원리라고 생각하면 또 억울해 할 수만도 없는 일. 부처님 같은 분만 100% 깨어서 자기 삶의 온전한 주인으로 사는 것이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자신의 탐진치에 취해 잠재의식에 휘둘리며 사는 것이 너나 할 것 없는 '정상적인' 인간의 모습. 그러니 우리 삶의 질은 어쩌면 우리가 타고난 잠재의식의 역량을 반영할 뿐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나름 '치열하게' 생각한다는 건 그저, 어떤 결정을 내릴 때 그 잠재의식을 갖고 10번의 시뮬레이션을 하느냐 100번의 시뮬레이션을 하느냐 정도의 차이일 뿐. 그렇다면, 누군가가 '잘 나가는' 것은, 100% 그가 잘났기 때문도 100% 그의 노력 덕분도 아니고 그의 잠재의식 덕이 크니 그래서 겸손해야 하는 것. (후천적 의식적 노력이 작용하긴 하지만, 온전히 깬 상태에서 하는 노력이 아니라면 결국 잠재의식의 방향대로 나아가는 노력에 불과하니, 결국은 자신이 타고난 기본 프로그램 혹은 운명의 수혜자인 측면이 큰 셈.) 또 내가 보기에 누군가가 '어리석게' 행동하고 있다면, 그는 자신의 잠재의식의 노예로 살고 있을 뿐 '깨어서' 자기 운명의 주인으로 살고 있는 것이 아니며, 내가 비판하지 않아도 그 '깨어 있지 못함'의 댓가를 스스로 치를 수 밖에 없고, 실은 나 역시 그렇게 살고 있는 것인지 모른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주는 것이기도 하니, 그러므로 동병상련의 연민을 가져야 하는 것.
.
운명의 주인으로 살으려면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가? 우선은 탐진치에 취해 있는 의식을 깨워야 할 테고, 그 의식의 힘으로 1~4번의 과정을 분석, 이해한 후, '선업' (탐진치 없는 생각/말/행동)을 mindful 하게 매찰나 선택해야 하는 것. 이것이 바로 수행이고 마음공부이며 또 운명개척이고 OS 자체의 업그레이드일 듯. 과거 무수한 전생들로부터 형성된 업이 현재에서의 노력으로 갑자기 180도 바뀔 리는 물론 없고 부모나 적성 같은 것들처럼 이 생 안에서는 뭘 해도 절대 달라지지 않을 부분들도 있지만, 탐진치에 취해 살거나 운명의 노예로 살고 싶지 않다면 수행만이 유일한 선택지. 그러다 보면 그 효과가, 때로는 노력하는 순간부터 즉시 작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몇 달 혹은 몇 년 후 가시화되기도 하며, 때로는 몇 생 후 결실을 맺기도 하는 것.
.
바로 이것이, 내가 이해하는 불교의 업이론이고 또 마음공부. (#73~107: The Karma of Now)
.-
--
'Mindfulness' (2020.10.29)
https://www.facebook.com/photo/?fbid=1248721142166633&set=a.777942775911141
.














+63


8박정미, 이인자 and 6 others


Hanjin Kang
·
希修








Like


·
Reply
· 25 w



希修








Like


·
Reply
· 25 w

-
'Mindfulness' (2020.10.29)
https://www.facebook.com/photo/?fbid=1248721142166633&set=a.777942775911141
.

-
'Mindfulness' (2020.10.29)
https://www.facebook.com/photo/?fbid=1248721142166633&set=a.777942775911141
.




希修
Favourites · eg30h OctutontbcSiphoodetrhnhsoi 2r02s0ed ·


< Mindfulness 마음챙김 >
.

종교 유무/종류에 대한 문제도, 선의/호의나 평정심의 문제도, 성격적 특징에 대한 문제도, 가방끈 길이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대한 문제도 아님. 자신이든 타인이든 모든 인간이 갖고 있는 탐진치에 대한 경계심을 매순간, 매찰나, 갱신하는 부단한 노력이 바로 mindfulness. 분별 못/안 하는 평정심이나 무조건 긍정적인 사고, carpe diem 식의 낭만주의 등은 오히려 초기경전에서 말하는 mindfulness와 180도 정반대. 6감각 (5감 + 의식)에 집중하는 것은 감각적 자극에 휘둘려 탐진치가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일 뿐, 흔히 오해되듯 현재를 fully enjoy/appreciate 하기 위해서가 결코 아님. (현재를 감각적으로 fully enjoy/appreciate하는 종류의 'mindfulness'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원래와는 전혀 다르게 변용한 '힐링 상품'일 뿐.)
.

자동차 여행과도 같은 삶에서 나 자신 포함 모든 운전자들은 음주운전자. 각자의 탐진치가 바로 알콜인지라, 남에게 상처/피해주려는 의도를 갖지 않아도 교통사고는 늘상 무수하게 일어남. 상대의 실수로 사고에 휘말리면 나도 억울하지만, 상대방도 술취한 정도가 심할수록 잦은 사고를 통해 부상과 소송 등의 골칫거리를 끊임없이 스스로 야기하니 결국 본인도 다칠 수밖에 없고 그러니 과실자도 불쌍한 것. 그러므로 내 자신 술에서 깨도록 노력해야 함과 동시에, 많이 취한 사람에 대해서는 연민을 갖되 감당할 수 있을 만큼만 다가갈 것. 물론, 내가 경계와 주의를 늦추지 않는다고 해서 사고가 100% 예방되지는 않으며, 이런 위험은 인간계의 본질적 조건.
.

또 모든 인간은 에너지 뱀파이어이기도 함. (종의 차원에서 지구에 행하는 일을 봐도 그렇고 개개인의 차원에서 봐도 그렇고.) 인간은 단 1초도 끊임없이 무한정으로 에너지를 추구하는데, 우리가 추구하는 에너지는 대개 감각적 쾌락이나 타인의 관심 (우정과 사랑 포함)의 형태를 취하지만, 스스로도 의식 못 하는 차원에서 불건강한 에너지를 추구하는 경우들도 많음, e.g., 드라마 퀸, 드라마 킹, 피해의식을 정체성으로 삼은 이들. 그러니, 내가 '타인을 위해' 한다는 일이 실은 내 자신 모종의 에너지 (타인의 칭찬이든 나 혼자의 보람이든)를 원해서 하는 일임을 자각하고, 그 에너지의 추구 방법이 무례, 부당, 이기적이 되지 않도록 늘 주의해야.
.
.

* Sn 2:4 lists "not associating with foolish people" ('foolish' meaning 'having no understanding/discernment of causality/conditionality') as one of the best "protective charms" for you.
.

* The Buddha said that there are two factors which are most helpful with awakening or discernment: appropriate attention and friendship with admirable people.
https://www.dhammatalks.org/.../0211n2b2%20M1%20Admirable...
.

* "We praise companionship - yes! Those on a par, or better, should be chosen as friends. If they're not to be found, living faultlessly, wander alone like a rhinoceros." -- Khaggavisana Sutta: A Rhinoceros.

.
.

[추가]
.

부처님은 당신을 의사에 인간들을 탐진치라는 병에 걸려 있는 환자에 비유하셨음. 
탐과 진의 뿌리도 치이기에 결국 저 말은 모든 인간은 의식이 병든 환자라는 얘기.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너나 할 것 없이 치매환자이고 
너나 할 것 없이 음주운전자인데 믿긴 뭘 믿나. 
이런 낭만적인 생각이라니..
.

인간은 신뢰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이해와 연민/동병상련의 대상일 뿐
인간 사이에 소중한 것은 환상이 아니라, 상대의 단점들을 그 밑바닥까지 적나라하게 파악한 후에도 기울이는 이해와 연민의 노력 아니겠는지. 
이런 자세라야, 불쾌하고 상처되는 일들을 take personally한 결과 증오/원한을 품는 일을 피할 수 있고.
.

많은 종교들이 인간의 '神聖한 본성'을 말하지만 
(개인적으론 이런 믿음은 자기중심적 인간의 소망사고적 자기미화에 불과하다고 생각),

 정작 부처님은 인간의 의식은 
defiled 할 수도 (조두순 이춘재 같은 이들이 80억 인구 중 100명은 넘지 않을까)
 luminous 할 수도 (이태석 신부님 같은 분들은 80억 인구 중 열손가락이 남아돌지 않겠는지) 있다고 하셨을 뿐, 
선한 본성이든 악한 본성이든 '본성'이라는 것 자체의 존재를 부정하셨음. 
('佛性'은 대승불교에서 만든 개념이지 부처님이 하신 얘기가 아님.) 

저 두 가지 가능성 중 어떤 부분이 더 두드러질지는 각자의 선택과 노력에 달린 것이며, 저 두 가능성 중 하나만 보겠다는 건 스스로 인간에 대한 무지를 선택하는 일.
.

내 자신도 내 맘대로 안 되는 마당에 타인에 대해 내 멋대로 "믿는다"는 둥 "믿었는데 실망했다"는 둥 하는 게 얼마나 자기중심적이며 실은 오만하기도 한 일인지..



Comments

希修

https://nypost.com/.../homeless-man-charged-with-killing.../


NYPOST.COM
Homeless man charged with killing taco shop worker who fed him ‘every day’Homeless man charged with killing taco shop worker who fed him ‘every day’
Homeless man charged with killing taco shop worker who fed him ‘every day’
By Joshua Rhett MillerOctober 30, 2020 | 1:45pm | Updated
Enlarge Image
Angel Martinez, left, and Ciro Vasquez Jr.

Beware would-be Manhattan DAs who think the job is about protecting criminals
'DWI Dude' lawyer jailed for scamming Colombian drug cartels out of $1.5M
Georgia man confesses to wife's murder before killing himself: reports
Rep. Nicole Malliotakis asks feds to help restore law and order in NYC
A homeless man is accused of fatally stabbing a Las Vegas taco shop worker who befriended him and regularly gave him food, police and relatives said.

Ciro Vasquez, a 31-year-old Army veteran who worked at his family’s Taqueria Del Paisano, was stabbed Sunday outside the Mexican restaurant by Angel Martinez, 29, after the homeless man went inside and asked for “money and food” from the owner, according to an arrest report obtained by the Las Vegas Review-Journal.

Vasquez then escorted Martinez outside, where a fight between the pair ensued, leaving the taco shop employee stabbed in the chest and the homeless man with a stab wound to his shoulder, police said.

Vasquez’s death was later ruled a homicide, despite Martinez’s claims to police that he was acting in self-defense and “never took his knife out of his pocket” during the fatal feud, according to an arrest report.

“Martinez was the aggressor and initiated the fight,” the report states, adding that the homeless man had a history of being “aggressive” toward nearby business owners.

Vasquez’s cousin who works at the restaurant said Vasquez regularly had issues with Martinez, but did what he could to help him.

“They were friends,” Jackelin Vasquez told the Review-Journal. “He fed him like every day. I always kind of knew it would end up happening, but I never thought it would be my cousin.”

“He was literally the kindest person I knew,” she added of her late cousin. “He always tried to make everyone happy. He made everyone smile.”

Vasquez started working at the taco shop after briefly serving in the Army, according to an online fundraiser set up to offset his funeral costs.

“He was a kind, funny and easy-going soul,” the website reads. “He had a huge heart & was always trying to help people that crossed his path.”

Martinez fled the shop after Sunday’s fight, but was arrested later that day by police who found him with stab wounds, the Review-Journal reported.

Martinez remained held without bail Friday at the Clark County Detention Center on a charge of open murder with a deadly weapon. He’s due in court Wednesday, online records show.
希修

https://news.lawtalk.co.kr/2935


NEWS.LAWTALK.CO.KR
4년간 돌봐준 은인 무참히 살해한 노숙인의 범행 이유 "다른 사람에게 잘해줘서⋯"4년간 돌봐준 은인 무참히 살해한 노숙인의 범행 이유 "다른 사람에게 잘해줘서⋯"

4년간 돌봐준 은인 무참히 살해한 노숙인의 범행 이유 "다른 사람에게 잘해줘서⋯"

로톡뉴스 성소의 기자
soy@lawtalknews.co.kr
2020년 11월 8일 14시 33분 작성


[지나간 판결 훑어보기] 자신이 호의 베풀었던 노숙인에게 살해당한 60대
범행 동기 물었더니 "다른 노숙인에게 잘해주는 게 불만이었다"
4년간 돌봐준 은인 무참히 살해한 노숙인의 범행 이유 "다른 사람에게 잘해줘서⋯" 기사 관련이미지
없는 처지에도 여러 노숙인을 물심양면으로 도와주기로 소문난 60대 노인이 무참히 살해된 채 발견됐다. /그래픽=조소혜 디자이너
부산의 대표적인 번화가, 서면이 있는 부산진구. 지난해 9월 이곳의 한 옥탑방 주변이 비통함에 잠겼다. 없는 처지에도 여러 노숙인을 물심양면으로 도와주기로 소문난 60대 노인 A씨가 무참히 살해된 채 발견되면서다.

A씨는 옥탑방에 살면서 그 건물을 관리해주는 대가로 약간의 월급을 받았고, 노점에서 작은 화분을 팔아오며 소소하게 생계를 꾸려왔다. 넉넉지 않은 사정이었지만 길거리를 배회하는 노숙자들을 보면 그냥 지나치는 법이 없었다.

로톡 브랜드 이미지 입니다.
한 손에 꼬깃꼬깃한 만 원짜리 한 장을 쥐여주고, 잘 곳이 없다면 옥탑방 한 켠을 기꺼이 내어줬다. 모두가 더럽다고 피하는 노숙인들을 위해 선뜻 다가갔던 '노숙인들의 천사'였다. 그런 그의 목숨을 앗아간 건, 다름 아닌 그가 수년간 호의를 베풀어오던 노숙인 B씨였다.

B씨는 30대 후반의 젊은 나이였지만 일정한 수입과 거주지가 없었다. 이를 딱하게 여긴 A씨는 B씨에게 4년 가까이 매일 용돈을 주고, 필요할 때면 옥탑방에 재워주면서 허물없이 지냈다. 하지만 노숙인 B씨는 이런 은혜를 무자비한 폭행과 살인으로 갚았다.

약 4년간 자신을 돌봐준 은인 때려죽인 '배은망덕' 노숙인
두 사람의 인연은 지난 2015년 겨울로 거슬러 올라간다. 평소 노숙인들에게 용돈을 주고 머물 곳을 제공해주던 A씨는 노숙인 B씨를 알게 됐다. A씨는 B씨에게도 다른 노숙인들에게처럼 똑같이 호의를 베풀었다.

판결문에는 A씨가 B씨에게 '매일' 용돈으로 1만원을 주었다고 적었다. 2015년 겨울부터 B씨에게 피살당한 2019년 9월까지 말이다. 다 합하면 적지 않은 돈이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 "A씨는 계속하여 호의를 베풀었다"고 특별히 언급했다.

비극은 그 호의를 당연하게 여긴 노숙인 B씨가 변심하면서 시작됐다. 어느 날부터 노숙인 B씨는 A씨에게 "건물 관리 일을 넘겨달라"고 요구했다. 주요 수입원을 넘겨달라는 무리한 요구를 받은 A씨는 거절했다.

이런 불편한 과정이 있고 난 뒤에도 A씨는 여전히 B씨에게 호의를 베풀었다. A씨가 일하는 시간에 옥탑방이 비면 B씨가 그 공간을 쓰게 허락했고, B씨는 다른 노숙인들과 함께 옥탑방을 자주 찾아 휴식을 취했다. 살인 사건이 발생한 날에도 노숙인 B씨는 그 옥탑방에서 시간을 보냈다. A씨가 퇴근할 시간이 되자 옥탑방을 나와 다른 노숙인과 술을 마셨다. 그리고 새벽 1시 다시 B씨 옥탑방을 찾았다.

다음날 다시 일해야 하는 A씨는 옥탑방에서 자야 했지만, 예고 없이 찾아온 노숙인 B씨는 "좀 자다가 갈게"라고 말하며 방에 누웠다. A씨가 "네 방에 가서 자라"고 말하자 느닷없이 구타가 시작됐다.

폭행의 정도는 차마 글로 쓰기 어려울 정도였다. 폭행이 계속된 도중에 A씨가 구토를 하며 쓰러졌지만 B씨는 멈추지 않았다. 식칼과 전선, 끌 등이 동원된 무차별적인 폭력 끝에 A씨는 사망했다. 재판부조차 "그 방법이 매우 무자비하고 흉포하다"고 할 정도였다.

B씨는 범행 이후 4시간에 걸쳐 범행에 사용된 도구들을 은폐하고 범행 현장을 깨끗하게 치웠다.

범행 동기 "건물 관리 일 넘겨달라고 했는데 거절해서⋯"
은인과도 다름없는 A씨를 무참하게 살해한 죄로 결국 법정에 선 B씨.

재판 과정에서 밝혀진 B씨의 범행 동기는 이랬다.

"A씨가 하던 건물 관리 일을 자신에게 넘겨달라고 요구했지만 거절당하자 '무시당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또 평소에 A씨가 다른 노숙자들에게 잘해주는 것도 불만스러웠다."

1심을 맡은 부산지법 제6형사부(재판장 최진곤 부장판사)는 B씨에게 징역 15년을 선고했다. B씨에게 적용된 '보통 동기 살인' 유형의 최고형에 가까운 형량이었다. 대법원 산하 양형위원회 권고안에 따르면, 이 유형의 범죄는 최대 16년까지 선고할 수 있다.

1심 재판부는 "피고인은 피해자를 수차례 폭행하고 줄로 목을 조르는 방법으로 피해자를 살해했는데, 범행의 내용과 수법 등에 비추어 그 죄책이 매우 무겁다"며 "피해자가 느꼈을 공포와 육체적 고통을 가늠하기 힘들다"고 했다.

2심 재판부, 형량 더 높여 18년 선고 "석연치 않은 이유로 생명 짓밟아"
1심 직후 노숙인 B씨와 검찰은 모두 항소했다. B씨는 "형이 너무 무겁다" 했고, 검찰은 "형이 너무 가볍다" 했다. 지난 6월 부산고법에서 열린 2심 재판부는 검찰 손을 들어줬다. 그러면서 형량을 18년으로 올렸다. 상한선(16년)을 2년 초과한 형량이었다.

부산고법 제2형사부(재판장 오현규 부장판사)는 양형위원회가 정한 상한선을 넘어선 형량을 선고한 이유를 이렇게 밝혔다.

"피해자는 자신도 넉넉하지 않은 형편이었음에도 평소 주위 상인들이나 노숙인들에게 물심양면으로 호의를 베풀어 왔고, 피고인 역시 그동안 피해자로부터 용돈과 잠자리를 제공받는 등 적지 않은 도움을 받아왔다. 그럼에도 피고인은 피해자가 피고인뿐 아니라 다른 노숙인들에게도 잘 대해 주고, 피해자의 생업인 건물 관리 일을 피고인에게 넘겨달라는 피고인의 억지 요구를 거절한 것이 불만이었다는 등의 석연치 않은 이유를 들어 피해자의 생명을 짓밟았다."

2심 재판부는 그 이외에도 ①피해자가 범행에 취약한 60대 후반 노인이었다는 점 ②B씨의 범행수법이 잔혹하다는 점 ③B씨가 살인을 은폐하고 도주하려 했다는 점 등도 중요하게 고려했다.

2심 재판부는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원심이 선고한 형은 너무 가벼워서 부당하다"고 결론 지었다.

이후 B씨는 2심 판결이 너무 가혹하다며 대법원에 상고했지만, 대법원 제3부(주심 민유숙 대법관)은 이를 기각하며 징역 18년형을 확정했다.
관련기사


Hanjin Kang

최고의 강의입니다 ^^
· 24 w



希修

Hanjin Kang 근데 이런 얘기는 시장성은 전혀 없죠. 그러니 대승불교가 시장성 있는 '따뜻하고 희망적이고 comforting'한 방향으로 점점 발전한 것이구요.

Hanjin Kang

혜민스님은 잘 팔리는 걸 선별해서 세일즈 잘 한 유능한 비즈니스맨이네요 ^^

----------------------------

Admirable Friendship
Thanissaro Bhikkhu

November 13, 2002

Practicing the Dhamma is primarily an issue of looking at yourself, looking at
your own thoughts, your own words, your own deeds, seeing what’s skillful,
seeing what’s not. It’s not so much an issue of self-improvement as one of actionimprovement, word-improvement, and thought-improvement. This is an
important distinction, because people in the modern world—especially in the
modern world—seem to be obsessed with self-image. We’ve spent our lives
bombarded with images, and you can’t help but compare your image of yourself to the images of people you see outside you. And for the most part there’s no comparison: You’re not as strong, as beautiful, as wealthy, as stylish, and so forth. I noticed in Thailand that, as soon as television became rampant, teenagers became very sullen. I think it’s largely this issue of people’s looking at themselves in comparison to the images broadcast at them. And the whole question of self-image becomes very sensitive, very painful. So when we say that you’re looking at yourself, remember you’re not looking at your “self.” You’re looking at your thoughts, words, and deeds. Try to look at them as objectively as possible, get the whole issue of “self” out of the way, and then it becomes a lot easier to make improvements.

The same applies to your dealings with other people. The Buddha said there
are two factors that help most in the arising of discernment, that help you most along the path. The foremost internal factor is appropriate attention. The
foremost external factor is admirable friendship. And it’s important that you
reflect on what admirable friendship means, because even though you’re
supposed to be looking at your own thoughts, words, and deeds, you’re also
looking at the thoughts, words, and deeds of the people around you. After all,
your eyes are fixed in your body so that they point outside. You can’t help but
see what other people are doing. So the question is how you can make this
knowledge most useful to yourself as you practice. And this is where the
principle of admirable friendship comes in.

To begin with, it means associating with admirable people, people who have
admirable habits, people who have qualities that are worthy of admiration. One list puts these qualities at four: Admirable people have conviction in the
principle of kamma, they’re virtuous, they’re generous, and they’re discerning.
There’s a well-known line from Dogen where he says, “When you walk through
the mist, your robe gets wet without your even thinking about it.” That’s his
description of living with a teacher. You pick up the teacher’s habits without
thinking about it, but that can be a double-edged sword because your teacher can have both good and bad habits, and you need to be careful about which ones you pick up.
So in addition to associating with admirable people, the Buddha says there
are two further factors in admirable friendship. One is that you ask these people about issues of conviction, virtue, generosity, discernment. And this doesn’t necessarily mean just asking the teacher. You can ask other people in the community who have admirable qualities as well. See what special insights they have on how to develop those qualities. After all, they’ve obviously got
experience, and you’d be wise to pick their brains.
The second factor is that if you see anything in other people worth emulating,
you emulate it, you follow it, you bring that quality into your own behavior. So
this makes you responsible for your end of admirable friendship, too. You can’t
sit around simply hoping to soak up the mist, waiting for it to blow your way.
You have to be active. Remember that passage in the Dhammapada about the
spoon not knowing the taste of the soup, while the tongue does know the taste.
But again, when looking at people around you, it’s important that you get
away from your sense of competitiveness, of this person versus that person. You look, not at them, but at their activities. Otherwise you start comparing yourself to the other person: “This person’s better than I am. That person’s worse than I am.” And that brings in questions of conceit, resentment, and competition, which are not really helpful because we’re not here to compete with each other. We’re here to work on ourselves. So again, look at other people simply in terms of their thoughts, their words, their actions. And see what’s an admirable action, what are admirable words, what are admirable ideas, ones you can emulate, ones you can pick up. In this way the fact that we’re living together becomes a help to the practice rather than a hindrance.
The same is true when you notice people around you doing things that are
not so admirable. Instead of judging the other person, simply judge the actions by their results: that that particular action, that particular way of thinking or speaking is not very skillful, for it obviously leads to this or that undesirable result. And then turn around and look at yourself, at the things you do and say:
Are those unskillful words and actions to be found in you? Look at the behavior
of other people as a mirror for your own behavior. When you do this, even the
difficulties of living in a community become an aid to the practice.
The Buddha designed the monkhood so that monks would have time alone
but also have time together. If you spent all of your time alone, you’d probably
go crazy. If you spent all of your time together, life would start getting more and more like dorm life all the time. So you have to learn how to balance the two.
Learn how to develop your own good qualities on your own and at the same
time use the actions and words of other people as mirrors for yourself, to check yourself, to see what out there is worth emulating, to see what out there is clearly unskillful. And then reflect on yourself, “Do I have those admirable qualities? Do I have those unskillful qualities in my thoughts, words and deeds?” If you’ve got those unskillful qualities, you’ve got work to do. If you don’t have the admirable ones, you’ve got work to do there as well.
What’s interesting is that in both of thes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both
in appropriate attention and in admirable friendship—one of the crucial factors is questioning. In other words, in appropriate attention you learn how to ask
yourself questions about your own actions. In admirable friendship you ask the
other people you admire about the qualities they embody. If you find someone
whose conviction is admirable, you ask that person about conviction. If you find someone whose effort and persistence are admirable, you ask him about
persistence. In other words, you take an interest in these things. The things that we ask questions about, those are the things we’re interested in, those are the things that direct our practice. And it’s the combination of the two, the internal questioning and the external questioning, that gets us pointed in the right direction.
So this is something to think about as you go through the day and you see
someone else doing something that gets you upset or something that offends
you. Don’t focus on the other person; focus on the action in and of itself, as part of a causal process, and then turn around and look at yourself. If, in your mind, you create other people out there, you create a lot of problems. But if you simply see life in the community as an opportunity to watch the principle of cause and effect as it plays itself out, the problems vanish.
The same with admirable people: You don’t get jealous of their good
qualities; you don’t get depressed about the fact that you don’t have their good qualities. Where do good qualities come from? They come from persistence, from effort, from training, which is something we can all do. So again, if you see something admirable in other people, ask them about it, and then try to apply those lessons in your own life. If we go through life without asking questions, we learn nothing. If we ask the wrong questions, we go off the path. If, with practice, we learn how to ask the right questions, that’s the factor that helps us get our practice right on target.
I once read a man’s reminiscences about his childhood in which he said that
every day, when he’d come home from school, his mother’s first question would be, “What questions did you ask in school today?” She didn’t ask, “What did you learn? What did the teacher teach?” She asked, “What questions did you ask?”
She was teaching him to think. So at the end of the day when you stop to reflect on the day’s activities, that’s a good question to ask yourself: “What questions did I ask today? What answers did I get?” That way you get to see which direction your practice is going
---


‘그것이 알고싶다’, 이춘재→조두순 근황 사진 단독 공개
2019.10.25 11:52
‘그것이 알고 싶다’가 최근 대한민국을 충격에 빠트린 
화성연쇄살인사건의 진범 이춘재부터 
과거 충격적인 연쇄살인으로 세간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유영철, 강호순, 조두순 등을 심층 분석한다. 

▶화성연쇄살인사건의 진범 이춘재. 그리고 2004년, 한 연쇄살인범의 예언

지난 9월, 한국 최악의 미제사건으로 손꼽혔던 ‘화성연쇄살인사건’의 범인이 특정되었다. 그는 1994년 자신의 처제를 잔혹하게 강간 살해한 혐의로 부산교도소에 수감 중인 ‘이춘재’였다.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2회에 걸쳐, 화성연쇄살인사건과 용의자 이춘재에 대해 다룬 바 있다.  

이춘재 어린 시절을 잘 아는 주민들, 그리고 교도소에서 함께 수감 생활을 했던 동기들의 증언에 따르면, 그는 조용하고 평이한 성격이었다고 증언했다. 한 마디로, ‘그럴 사람’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잔혹한 범죄의 용의자가 평범한 이웃이었다는 증언이 모두를 충격에 빠뜨린 가운데 우리는 15년 전 한 사람의 예언에 주목했다.  

연쇄살인범 이춘재에 대해 정확하게 예언했던 한 사람. 그는 무려 20명을 살해한 또 다른 연쇄살인범, 유영철이었다. 

가까이서 이춘재를 지켜봐 왔지만 그의 실체를 알지 못했던 사람들의 증언, 단 한 번도 그를 마주치지 않았지만 정확하게 꿰뚫어 본 유영철의 예언. 그 증언과 예언 사이의 어떤 지점에서 연쇄살인범이 태어난 것일까? 2000년에서 2009년까지, 10년간 한국을 공포에 빠뜨렸던 동년배 연쇄살인범 정두영, 유영철, 정남규, 강호순. 이들에 대해서도 이춘재 못지않게 많은 증언과 예언이 쏟아져 나왔던 때가 있었다. ‘그것이 알고 싶다’ 또한 몇 차례에 걸쳐 이들 4인을 추적해왔다.
---
도대체, 평범한 남성이었던 그들은 왜 52명을 살해한 ‘연쇄살인범’이 되었을까? 살인은 정말, 유영철의 말처럼 ‘중독’되는 걸까. 

▶그들은 어떤 사람이었나? - 사건 당시 형사 4인, 동창·이웃 등 지인의 증언. 그리고 유영철이 들려준 이야기

제작진은 사건 당시 이들 4인을 검거하고 자백을 이끌어낸 담당 형사 4인을 비롯, 동네 이웃과 동창 등 다수의 지인을 만났다. 이들의 증언을 통해 그려나간 연쇄살인범의 얼굴은 그동안 언론을 통해 세상에 비친 ‘악마’의 모습과는 사뭇 달랐다. 

교도소 관계자들과 동료 수감자들이 들려준 이들의 근황 또한 놀라웠다. 연쇄살인범이라는 이름을 완전히 지워버린 채 소탈하게 지내는 강호순, 이춘재부터 2016년 탈옥을 시도했던 정두영, 교도소 내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한 정남규. 한편 그와 달리, 교도관의 팔을 부러뜨리거나 라면을 끓여오라며 난동을 부린다는 유영철까지. 

오랜 교도소 생활에도 불구하고 유영철이 지속해서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런데 유영철이 제작진의 접견 신청을 수락했다. 공식적으로 언론과 성사된 첫 접견이었다. 십분 남짓의 짧은 접견에서 유영철은 마치 찾아올 것을 알고 있었다는 듯 15년 전 자신의 화성연쇄살인사건 범인에 대한 예견과 이춘재에 대한 생각을 밝혀 제작진을 놀라게 했다.

자신의 범행에 대해서 후회하냐는 제작진 질문에 유영철은 어떤 대답을 했을까? 

▶ ‘그것이 알고 싶다’의 전문가 4인이 분석한 “연쇄살인범”

‘살인은 중독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그것이 알고 싶다’의 전문가 4인과 MC 김상중이 최초로 한자리에 모였다. 범죄심리학자 표창원 의원,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이수정 교수, 한국 1호 프로파일러 권일용 교수, 숙명여대 사회심리학과 박지선 교수, 그리고 오랜 기간 연쇄살인범을 추적해 온 MC 김상중.  

이들 전문가는 1968-70년생인 정두영, 유영철, 정남규, 강호순 4인이 나고 자란 사회적 배경부터 범행 이전의 삶을 되짚어보았다. 이 과정에서 한국에서 ‘연쇄살인’이라는 범죄가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의 범행이 정말로 막을 수 없는 ‘중독’이었는지 각자의 의견을 내놓았다. 또한 제작진이 이들의 교도소 동기, 종교 관계자, 교정위원을 만나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이들이 자신의 범죄 행적에 대해 가진 생각이 무엇인지 분석해볼 수 있었다. 

네 명의 범죄자를 직접 면담했던 전문가 4인, 그들이 제시한 연쇄살인범의 출현을 막을 방안은 무엇일까? 

▶ 하나 둘 드러나는 여죄, 그 뒤에 숨어있던 악마의 얼굴을 비추다

최근 경기남부지방경찰청이 이춘재를 피의자로 정식 입건한 가운데, 그에 대한 현행법 처벌이 이루어질 수 있을지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지난달 화성연쇄살인사건에 대한 공소시효를 폐지하라는 특별법이 발의되자, 이에 더불어 국민의 알 권리 차원에서 이춘재에 대한 신상공개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화성연쇄살인사건은 공소시효가 끝나 현실적으로 처벌이 어렵다 해도, 지난 33년간 미제로 남은 사건인 만큼 국민적 공분이 크다. 특히 이춘재는 8차 사건, 초등생 실종 사건 등을 추가로 자백하며, 이제껏 알려지지 않았던 여죄가 드러나며 더욱 신상공개 요구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것이 알고 싶다’ 제작진은 교도소 수감자 동기들로부터 이춘재를 비롯해 정두영, 유영철, 정남규, 강호순의 최근 사진을 단독 입수했다. 더불어, 2008년 12월 아동을 잔혹하게 성폭행하고 영구 장애를 입힌 후 내년이면 출소할 아동성폭행범 조두순까지. 이들을 실제로 만났던 4인의 전문가들은 그들의 현재 얼굴을 보고 ‘본질은 바뀌지 않았다’며 ‘너무 편안한 느낌이라 불편하다’는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오는 26일 방송되는 SBS ‘그것이 알고 싶다’ 특집 1188회에서는, 제작진이 유영철, 강호순을 실제로 접견한 내용과 단독 입수한 연쇄살인범 4인 이춘재, 조두순의 최근 사진을 공개하며 흉악범의 마지막을 이야기한다. 또한 오랜 기간 ‘그것이 알고 싶다’와 함께해 온 전문가 4인이 한자리에 모여서 한국의 연쇄살인범들을 짚어보며, 이들의 범죄가 우리 사회에 던진 질문에 대해 고민해본다.

홍혜민 기자 hhm@hankookilbo.com
---

‘마우스’ 이승기의 연쇄살인, 조두순·이춘재를 타깃 삼은 걸까

기자명 정덕현 칼럼니스트
입력 2021.04.16 16:10

‘마우스’ 속 사건들, 어딘지 실제 사건이 연상되는 까닭





[엔터미디어=정덕현] ‘본 드라마는 픽션이며, 등장하는 인물, 기업, 지명, 종교, 사건 등은 실제와 관련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tvN 수목드라마 <마우스>는 드라마 시작 전 이런 사전고지를 해놨다. 그래서 이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사건들은 분명한 허구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드라마 속 사건이 낯설지가 않다. 그 광경만 봐도 어디선가 봤던 실제 사건이 떠오른다. 성폭행범으로 검거되었다 심신미약이 인정되어 비교적 짧은 형기를 마치고 출소한 강덕수(정은표)는 누가 봐도 지난해 12월 12일 출소한 조두순을 떠올리게 한다. 그가 출소하는 날 많은 시위자들이 남부교도소 앞으로 몰려가 반대시위와 비판의 목소리를 냈던 그 풍경 역시 고스란히 드라마 속에 등장했다.

물론 이런 장면이 <마우스>에만 등장하는 건 아니다. 연쇄살인범이 등장하는 범죄스릴러에 이런 장면은 흔하다. 강력범죄를 저지른 인물이 법망을 빠져나와 빨리 출소해 또 다른 사건을 저지르는 이야기는 범죄스릴러에서 흔하디흔한 클리셰처럼 나오는 장면이니 말이다.



하지만 <마우스> 속 강덕수의 사례는 그 범죄가 성 폭행범, 그것도 아동 성 폭행범이라는 사실 때문에 조두순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드라마는 이런 인물을 세워놓고 전혀 다른 이야기를 풀어낸다. 그것은 법이 풀어준 강덕수를, 사이코패스가 되어 살인본능을 통제하기 어려운 정바름(이승기)이, 그가 피해자에게 했던 방식 그대로 되돌려주는 이야기로 풀어낸 것.

이런 실제 사건과 유사한 사례는 그 후에 정바름이 예고 살인을 하게 되는 이른바 ‘수성연쇄살인사건’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누가 봐도 ‘화성연쇄살인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이 에피소드는 ‘화성연쇄살인사건’에서 억울하게 누명을 쓴 채 20년간이나 복역을 한 윤성여씨와 후에 진범으로 붙잡힌 이춘재를 떠올리게 한다.

어려서 앓은 소아마비로 다리를 저는 장애를 갖고 쉽지 않은 삶을 버텨왔던 윤성여씨가, 그 장애를 갖고 담을 넘어 10대 소녀를 강간하고 죽였다는 건 사실 애초 불가능한 이야기였지만 죄를 뒤집어쓴 안타까운 사연은, <마우스>에서도 비슷한 이야기로 전개된다. 누명을 쓰고 감옥에 간 김씨는 언어 장애와 청각 장애가 있는 인물로 설정되어 있다. 그래서 수성연쇄살인사건의 유일한 생존자였던 성지은(김정난)이 증언한 것처럼 “차라리 날 죽이라”는 말에 대꾸를 한 살인범일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결국 진범인 이재식이 출소하는 날, 정바름은 기다렸다는 듯이 자신이 예고한대로 그를 풀숲으로 끌고 가 그가 했던 그대로 살해한다. 뒤늦게 그 사실을 알고 풀숲을 찾아간 고무치(이희준)가 그 광경을 보게 되면서 드라마는 극적 긴장감을 높여 놓았다.

그런데 <마우스>가 꺼내 온 살인사건들이 물론 고지대로 실제 사건과 관련이 없다고 해도, 너무나 그 실제 사건들을 떠올리게 그려낸 건 작가의 의도를 읽어낼 수 있는 대목이다. 사람을 처참하게 살해하고도 전혀 죄책감을 느끼지 않고 따라서 진실된 사죄를 하지도 않는 범죄자들과, 이들을 제대로 처벌하지 못하는 법의 한계 속에서 온전히 고통은 피해자들의 몫일 수밖에 없는 현실을 애써 드라마 속으로 끌어온 것. 그것은 이런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것이다.

<마우스>가 뇌 이식이라는 상상을 통해 반은 사이코패스지만 반은 바른 청년인 정바름이라는 인물을 창조해낸 건, 이 결코 풀어내기가 쉽지 않은 현실을 풀어내기 위함이다. 그래서 그건 허구로 각색된 사건들이지만, 너무나 익숙하게 실제 사건들을 떠오르게 한다. 정바름이라는 허구의 인물이 겨냥한 칼이 현실의 저들을 향해 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관련기사
문제작 ‘마우스’, 작가가 이승기를 사이코패스로 만든 이유
‘마우스’, 이승기여서 가능해진 쫄깃한 기억상실 반전 스릴러
‘마우스’, 이승기가 프레데터? 이 캐스팅 미쳤다
‘마우스’ 이희준 연기폭발, 시청자들 내 한 시간 어디 갔어?
오리무중 ‘마우스’, 이승기는 먹구렁이일까 쥐일까
‘마우스’ 이승기에게 또 뚜드려 맞은 뒤통수, 기분 좋게 얼얼하네
이승기 시점으로 본 ‘마우스’, 이 정도는 돼야 진짜 스페셜이지
소름 돋는 잇단 반전 ‘마우스’, 이걸 해내는 이승기가 놀랍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