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생명의 철학에! (쓰쿠마 선서)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생명의 철학에! (쓰쿠마 선서)
by 모리오카 마사히로
-
---
Top reviews from Japan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
TWIN
2.0 out of 5 stars
"지금 이 순간에 고통받는 자신"의 역할에는 서지 않았다
Reviewed in Japan on December 26, 2020
철학서로서의 우열이 아니라, 「자신에게 있어서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로의 평가입니다.
제목에 관심을 끌고 읽었지만,
“섭식 장애나 우울증 등으로 23년 끌어당긴 40세의 남자”인 나의 도움에는 서지 않았습니다.
어디까지나, 「철학을 좋아하는 사람을 위해서 쓰여진 철학서」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지금, 고통받고 있는 사람」을 위해서 쓰여진 테라피적인 책이 아닐까.
전반의 베네타나 쇼펜하우어의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
라는 사상과 논리 전개는 심플하고 알기 쉽고, 강한 공감을 기억했습니다.
야지냐발키야, 붓다의 고대 인도 철학의 해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단, 중반 이후의 니체의 분석당부터,
「알기 어려운 철학을, 알기 어려운 문장으로 해설한다」라고 하는 철학서에 흔한 전개가 되어,
개인적으로 지루하게 느껴 버렸습니다.
그래도 인내심을 짜서 읽었지만,
끊임없이 이어지는 "말 놀이"를 견딜 수 없었고, 마지막 장의 도중에 마음이 부러졌습니다.
Read less
84 people found this helpful
-----
Amazon 고객
5.0 out of 5 stars
이것을 읽는 '당신'을 위한 책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11, 2020
Verified Purchase
고금 동서에 모순되는 뿌리를 내는 세계사상으로서의 반출생주의(자신을 포함한 사람이나 생명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고, 새롭게 낳아서는 안 된다고 하는 사상)를 계보적으로 총괄하고, 저자가 제창하는 「생명의 철학」의 지도상에 위치해, 그들과 대조해 독자적인 「탄생 긍정」의 철학을 구상한다고 하는 혼신의 1권입니다.
저자 자신은 반출생주의와는 다른 "탄생 긍정"의 철학을 표명하고 탐구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던 것이 아닌가'라는 질문에 착취한 혼자서, 질문을 공유하는 입장으로서 반출생주의에는 크게 공감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생각 없이 일소에 붙도록 흔한 태도는 취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반출생주의자 분들도 안심하고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단순히 정서적으로 공감할 뿐만 아니라, 각 사상을 맞는 한 합리적으로 재구성해, 감옥을 찾아내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밝혀진 베네타의 결벽증, 쇼펜하우어의 "불순한 동기에 의한"자살의 비판, 불타의 해탈 기회로서 인간에게 태어난 이마, "한스 요나스는 인류가 '태어나서 좋았다 '라고 되돌아 보면서 멸망하는 길을 보여주지 못했다', 등등의 기술에는 특히 눈을 바라보았습니다.
다양한 검토 재료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어디를 취해도 재미있는 책입니다만, 굳이 하나 의문점을 다루면……, 저자는 베네타 비판으로서 존재와 생성의 구별을 도입되고 있어 에 대해서는 비·존재를 생각하는 것이 가능.그러나, 생성은 실제로 생성하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따라서 비·생성은 넌센스”라고 하는 기술을 하고 있습니다만, 그렇다면 존재에 대해서도 “존재는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그것을 가리키고, 따라서 비·존재는 넌센스”라고 말할 수 없을까요? 즉, 존재나 생성이 아니라, 「실제로」나 「현재」에야말로 포인트가 있는 것은 아닐까요?
시오란과 베네타, 그리고 인터넷에서 활동하는 익명의 사람들을 포함한 현대 반출생주의자의 큰 미질은 "자신을 선반으로 올리지 않는"곳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수로부터 말하면 압도적으로 많은 타인의 삶에 대해 “살지 않는 편이 좋았고, 낳아서는 안 된다”고 오로지 말모집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할 수 있겠지만, 어느 쪽도, 우선 자신의 삶, 우선 자신이 낳는 생에 대해 생각해, 무엇인가를 실천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우리가 반출생주의에 대해 매력이나 반감을 느끼고 있어도 갈 수 없는 것은, 거기에 피와 땀이 뿜어내는 듯한 생명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본서가 시리즈 제1작이 되는 현재 진행형의 모리오카 생명학에도 같은 숨결을 느끼지 않고는 있을 수 없습니다.
Read less
58 people found this helpful
-----
별빛
5.0 out of 5 stars 진한 내용이었습니다.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9, 2020
Verified Purchase
저자 특기의 정중한 논의와 기술에 의해, 기분 좋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저자도 말하는 바와 같이, P316 「탄생 긍정의 기반」을 채워도, 그것만으로는 「태어나서 좋았다」라고 하는 탄생 긍정은 성립하지 않겠지요. 즉, 탄생 긍정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How To)이 부족하다고 하는… 「생을 긍정한다」라고 간단히 말하지만, 어떻게 하면 그것이 할 수 있는지가 제일에 묻고 있는 것이며,( (니체처럼) 그 방법론이 부족한 것은 진정한 대답이라고 전혀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How To)라고 하는 방법론까지 완전하게 나타낼 수 있었을 때, 「인생의 의미의 철학」은 완성한다고 생각합니다.
본서는 반출생주의의 극복을 도모한 일본 최초의 책이라고 합니다만, 「생명의 철학」으로서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속편을 기대합니다!
18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Translate review to English
키타로
5.0 out of 5 stars 만남 「인간은, 무엇을 위해서 살아가는 것일까」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5, 2021
Verified Purchase
寅次郎「어려운 일을 듣지 말아라. 뭐라고 할까. 아- 태어나서 좋았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편하지 않아.
寅씨라면 이상으로 끝이지만, 저자와 같은 철학자라고 대답하는 것도 힘들군요.
게다가 이 저작은 시리즈 첫 번째 작품에 불과하고, 이에 이어지는 일련의 저작을 통해 저자는 철학계의 새로운 장르 "생명의 철학"구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베네타의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를 구입한 곳, 밸런스를 취할 생각이나 아마존의 AI에 의해 본서를 추천되었습니다.
어른스럽게 거기에 따라 구입했습니다만, 역시라고 할까 반출생주의에의 정면으로부터의 철학적 챌린지는 일근줄로는 가지 않는 모습으로 읽을 수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마화 없이 신중하게 이론을 진행하려고 하는 저자의 스타일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호의적으로 읽을 수 있었습니다.
또, 이 손의 책으로는 문장이 비교적 읽기 쉬워, 나와 같은 무학자에게도 스트레스 없이 읽을 수 있었습니다.
이 저작에 "과연"이라고 납득하는 대답과 같은 것을 기대해서는 안됩니다.
저작에 의해 제시되는, 「탄생 긍정의 철학」에 이르는 심리적인 차원에서의 2개 길(가능 세계 해석/반-반출생주의 해석)입니다만, 정직한 곳, 자신을 그러한 심경에 까지 도달하려면 상당한 어려움을 느낍니다.
그러므로 향후 계속되는 시리즈 중에서의 추가 논의에 대한 기대가 부풀어 오릅니다.
많은 분들에게 추천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10 people found this helpful
====
Tod
5.0 out of 5 stars 노작이라고는 생각하지만…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1, 2021
Verified Purchase
의지의 부정을 말한 쇼펜하우어에게 이 세상은 지옥이었고,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좋았다. 개개인에게 눈을 돌려도 인생에서 리얼한 것은 고통뿐이며, 행복과는 기껏해야 고통이 없는 상태에 불과하다. "가장 행복한 인간의 가장 행복한 순간은 잠에 빠진 순간이며, 가장 불행한 인간의 가장 불행한 순간은 깨어난 순간이다." 존재하는 것을 그만두는 것이다. 죽음은 생식이라는 죄장에 의해 좌절된 매듭을 괴롭히면서 풀어내는 것이다. 다른 개체라는 형태로 생을 반복한다는 의미에서의 생식행위는 생에 대한 의지의 궁극의 긍정이기 때문에 우리는 그 행위에 대해 수치와 죄책감을 느낀다. 성적 충동으로 개체를 움직이고 있는 것은 맹목적인 의지이기 때문에 그 행위를 끝낸 순간 우리는 실망과 환멸을 느낀다. ‘쾌락에 맞는 분개는 없다’는 것도 그때 개체는 종족의 의지에 춤추고 있었던 것이지만, 행위를 마친 순간 환상은 사라지고, 깨끗해진 것을 깨닫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기까지 인생을 부정하는 쇼펜하우어에서도 자살을 긍정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자살이란 의지의 부정이 아니라 의지의 강렬한 긍정이기 때문이다(단 아사에 의한 자살은 제외한다).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욕구는 살고 싶다는 욕구일 뿐이다. 그 욕망의 멸각이야말로 의지의 부정일 것인데.
이 책에 따르면 베네타의 견해도 비슷한 것 같다. 베네타는 매우 논리적으로, 「쾌락/고통」이 「존재하는 경우/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사상한으로 나누고, 쾌락도 고통도 존재하지 않는 not bad 상태는, 고통이 존재하는 bad 상태보다 나쁘지 않다”, 따라서 존재하지 않는 것이 “선한”이라는 결론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탄생해 악론을 주장하는 그 베네타도, 자살에 관해서는 소극적인 긍정에 머물고 있는 것 같다.
개관하면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는 반출생주의의 주장은 고금 동서에서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사죽음'이라는 자살옹호론은 극히 적다(예외도 있지만). 그리고 거기에는 실은 꽤 깊은 (부 또는 얕은?) 이유가 있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철학자는 행위가 아니라 말로 자신의 사상을 표현한다. 철학자에게는 말이 전부이며, 행위가 거기에 따를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철학자는 얻어 언행 불일치에 빠진다. 위대한 철학자만큼 그 경향이 강하다. 그것을 받아들여야 하는지 여부는 어려운 문제일지라도, 일반적으로는 자신의 말대로 행동하지 않는 인간은 '왓츠키'라고 불리며 비난된다.
여기에 자살을 추천하는 한 명의 철학자가 있다고 한다. '죽은 것이 낫다'는 것, 인간은 자살해야 하는 것, 그것이 이성이 도착하는 올바른 대답이라는 것을 그가 논리적으로 증명했다고 한다. 그러나 '여사사베시'라는 그의 주장은 다음 한마디로 쉽게 반박될 수 있다. 즉 「그럼 어째서 너는 살아 있는 거야」라고. 죽는 것이 그렇게 좋은 일이라면, 그것을 주장하고 있는 너가 우선 맨 먼저 죽어서는 안 되는 것인가.
객관적으로 보면 존재보다 비존재 쪽이 분이 좋은 것은 확실할 것이다. 많은 인간이 그 사실을 알고 있으며 때로는 그렇게 입을 달리기도 한다. 가벼운 농담으로. 아니, 그것은 농담이 아니라 진실이지만, 실제로 죽을 생각은 없다. 「죽은 것이 낫다」라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죽는 것의 사이에는, 하늘과 땅 정도의 열기가 있다.
그러므로 아무도 "죽은 것이 더 낫다"고 굳이 말하지 않는다. 「그럼 죽으면 좋겠다」라고 말하고 싶지 않고, 죽을 생각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래도 삶에 피곤할 때가 있다. 그럴 때 어떤 사람은 이렇게 말한다. "일단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는데"왜? 왜 「죽은 것이 낫다」라고는 말하지 않고 「태어나지 않았던 것이 낫다」라고 하는 것인가. 그것은 그렇게 말해두면, 누구로부터도 돌진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사람은 죽을 수 있지만 태어나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적어도 태어난 지금은.
요컨대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라고 하는 한숨은, 자살하는 용기가 없는 약자가, 타자로부터의 츳코미를 미리 회피하기 위한 방편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닐까. 그렇게 중얼거린 곳에서 「그럼 너 태어나지 말라」라고는 아무도 말하지 않는다. 말할 수 없다. 왜? 그런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시미스트는 안심하고 자신의 암캐를 들려줄 수 있다. 단적으로 말하면 그것은 단지 8개 당이다. 어떤 인물에 대해 불평하고 싶지만 직접 불평을 할 용기가 없기 때문에 그 인물의 부모에게 불평을 하는 것과 동단이다.
(여전히 논란하면서 니체는 생에의 의지를 긍정 등 하고 있지 않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하고 있다. 그는 쇼펜 아우어에 의한 「생에의 의지의 부정」을 부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부정의 부정」 (와)과 「긍정」은 다르다.존재나 탄생을 정말로 긍정하고 있는 인간이면, 원래 철학등이라고 하는 길에 헤매는 일은 없을 것)
이상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개인적 소감이며, 이하는 본서에 있어서의 모리오카의 논의에 대한 개인적 감상(낭비)이다.
모리오카는 말한다.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과 "내가 태어나지 않았던 것"은 다르다"고. 왜냐하면 「전자는 반사실적으로 상상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후자는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모리오카는 이 문제를 P.285 이후에 상세히 논의해 “이것은 새롭게 발견된 명제일 가능성이 있다”고까지 말하고 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자신에게는 이 두 가지의 차이를 잘 몰랐다. 확실히 전자는 현재 긍정형의 가정법이며, 후자는 과거 부정형의 가정법이라는 문법적인 차이는 있다. 그러나 결국은 같은 것이 아닐까.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내가 태어나지 않은 것"을 상상하는 것도 가능하고, "내가 태어나지 않은 것"을 상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것도 불가능할 것이다.
라고 어떤 즉 모리오카의 결론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던 것인가?」라는 질문은 「태어난 것」과 「태어나지 않은 것」이라고 하는 비교 불가능한 양자를 비교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부당한 질문이다 라고 하는 것 같다. 그러나 이만큼의 종이 폭을 나눈 끝에 도착한 결론이 "태어나 버린 것은 어쩔 수 없다"는 어리석은 대답이라는 것은 정직 어깨 워터 마크의 느낌을 닦을 수 없다.
엄격한 평가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모리오카가 J철학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서에 있어서 모리오카는 고금 동서에 있어서의 반출생주의의 사상을 망라해 음미하고 있다. 그것은 그것에 의미있는 것입니다. 노작이라고는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J철학일까. 일본 독자적인 철학일까.
무엇보다 모리오카에 의하면 본서는 아직 준비 단계에 불과해, 향후 「생명의 철학」이 본격적으로 전개하게 될 것 같다. 속편의 간행을 기다리고 싶다.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천자만홍
5.0 out of 5 stars 반출생주의에 대하여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5, 2021
Verified Purchase
반출생주의라는 들리지 않는 문구는,
실은 고대 그리스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면과 방어된 질문 중 하나입니다.
태어나지 않는 것이 더 좋았습니까? 와의 자문 자답은,
그 농담의 차이야말로, 누구나 한 번 정도는 입을 달릴 것 같은 감상을 포함하는 것이 아닐까요.
거기에는 심리학적인 인지와 철학적인 고찰이 혼재하고 있는데,
본서에서는 철학적인 관점에서 반출생주의를 반박하고, 반박하고 다한 곳에서,
「태어나서 좋았다」라고 하는 심리적 긍정이 태어나는 기전을 선명하게 나타내고 있어,
지적인 감동을 맛볼 수 있습니다.
속편이 기대됩니다.
3 people found this helpful
=======
TWIN
2.0 out of 5 stars 「지금, 이 순간에 고통받고 있는 자신」의 역에는 서지 않았다
Reviewed in Japan on December 26, 2020
철학서로서의 우열이 아니라, 「자신에게 있어서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로의 평가입니다.
제목에 관심을 끌고 읽었지만,
“섭식 장애나 우울증 등으로 23년 끌어당긴 40세의 남자”인 나의 도움에는 서지 않았습니다.
어디까지나, 「철학을 좋아하는 사람을 위해서 쓰여진 철학서」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지금, 고통받고 있는 사람」을 위해서 쓰여진 테라피적인 책이 아닐까.
전반의 베네타나 쇼펜하우어의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
라는 사상과 논리 전개는 심플하고 알기 쉽고, 강한 공감을 기억했습니다.
야지냐발키야, 붓다의 고대 인도 철학의 해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단, 중반 이후의 니체의 분석당부터,
「알기 어려운 철학을, 알기 어려운 문장으로 해설한다」라고 하는 철학서에 흔한 전개가 되어,
개인적으로 지루하게 느껴 버렸습니다.
그래도 인내심을 짜서 읽었지만,
끊임없이 이어지는 "말 놀이"를 견딜 수 없었고, 마지막 장의 도중에 마음이 부러졌습니다.
23 people found this helpful
=======
mountainside
HALL OF FAMETOP 10 REVIEWER
5.0 out of 5 stars 원시의 「긍정」과 「부정」의 변증법!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1, 2020
①마치 헤겔 철학으로 말하면, 생의 「긍정」과 「부정」의 변증법과 같은 「생의 철학」이다.
②생의 부정의 철학을 부정하는 것으로부터 생의 긍정의 철학(생의 철학)을 도출한다. 부부(남녀)의 성적 행위로부터 아이가 태어나기 때문에, 아이(생명)를 기르는 결정권은 부부(남녀)에 있다.
② 태어난 아이가 성장하고 자사를 선택하는 것은 「자기결정권」에 속한다.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고 자기 판단하고 자사를 선택하는 것은 본인의 자유이다.
③ 그러나 일신교적 세계에서 자살은 종교적 죄이다. 천지창조는 하나님의 의지이며, 이 세상에 태어난 이상은 살아야 한다. 인간이 노력하고 신앙에 사는 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늘리는 행위이다.
④불교는 삶이 ‘고’이며 번뇌를 끄고 깨달음을 여는 것이 윤회의 고통, 업(갈마)에서 해방되는 유일한 길이다.
여기에는 부처의 생의 무상감, 「고」를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는 페시미즘이 있다.
⑤ 서양근대철학, 실존주의는 생의 긍정론의 철학적 근거를 준다. 니체의 영복회귀의 사상, 운명애, 힘에 대한 의지는 삶을 긍정하는 철학이다. 사르트르의 자유로운 선택으로서의 사회참가(앙가주만)도 원시의 긍정론과 가치선택의 자유가 포함되어 있다.
⑥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운명」이며,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사는 '의미'(무의미, 부조리)를 찾는 '생의 철학'은 필요하다.
추천 한 권이다.
23 people found this helpful
======
뭐야, 遍路군
TOP 100 REVIEWERVINE VOICE
4.0 out of 5 stars ”생성”..., 매우 흥미롭게 읽어 주셨습니다.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23, 2021
Verified Purchase
철학적 관점에서 리뷰를 쓸 수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읽어 보는 감각적
인상을 썼습니다.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라는 말은, 자신 중에
들어오기 어려운 느낌이 듭니다. 불교의 생각으로 끌고 있는, “태어났다”
그런데 생각한다는 말은 순조롭게 들어옵니다. 아마도 내 자신에게 "죽음"
기피하는 마음이 그렇게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히로시마의 원폭 투하에 대해 생각할 때 일어난 일을 일으키지 않는 것과 비교
하고 생각하는 것은 철학적으로 잘못되었다는 기재가 있었던 것 같아요. 내 이해는 쫓아
붙어 있지 않습니다만, 여기는 “생성(일어나는 일)”과의 관계로, 매우 흥미롭게 읽게 해
받았습니다.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마루이치
1.0 out of 5 stars 예상치 못한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1, 2021
글꼴로 화제의 반출생주의에 대해서, 개설을 알고 싶었던 곳, 우연히 서점에서 보였으므로 구입.
「반출생주의를 동서의 철학 속에 위치시키면서, 이것에 대한 반론을 찾아 간다」라고 하는 목표는 매력적입니다만, 그 시도가 달성되고 있는가 하면 미묘… 읽은 단계에서는 매력적으로 보였지만, 읽는 동안 이야기를 씹는 구체적인 예가 적절하다고 생각되지 않거나 전반에서 고전적인 사상을 정리하고 있지만 최종 장의 필자의 주장에서는 그들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시리즈의 최초라고 하는 것은 있지만 「이 건에 관해서는 후의 논고에 양보한다」적인 표현이 많거나, "출생주의는 좋지 않다"는 소박하고 직관적이고 도덕적인 결론있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저자 트위터를 들여다 보면 일반인과 레스바하고 있어 약간 힘들어…
20 people found this helpful
=======
yusura
1.0 out of 5 stars 종합적으로 열악한 책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14, 2021
한마디로 말하면, 취급되는 주제가 저작자의 역량과 교양을 크게 넘고 있습니다.
저자는 청토사에서 발간된 '반출생주의를 생각한다'는 책에서
반출생주의를 「가상 적」이라고까지 말한 모리오카 씨.
자신이 포섭할 수 없는 장대하고 중후한 테마를 이러한 졸속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형식으로 출판해 주었으면 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치열한 시도를 초극 등이라는 미사려구로 학생에게 꾸미지 않게 하고 싶다.
저자는 자신도 반출생적인 질문에 얽힌 혼자라고 변명하면서 예에 따라 결론 있어 논의로 시종합니다.
이 저자는 『초식계 남자의 연애학』이라고 하는 "시대와 자는"서를 잇달아 간행하고 있었습니다.
나는 이 시점에서도 이 사람의 가벼움과 철학적 소양에 대해 전혀 신용할 수 없었다.
저자에게 추종하는 출판사에 대해서도 자연스럽습니다.
저자의 다음 먹이가 된 것이 요즘 주목을 받고 있는 이 주제일 것입니다.
세상에서 이목을 모으는 화제에 대해서는 민첩하고, 카피라이터적인 타이틀로 유도해, 밀도가 얇은 책을 발간하는 것이 이 저자의 특질이며 스타일일까 생각합니다.
현재 이미 행해지고 있습니다만, 일본에서는 반출생주의에 관한 제1인자다운 인물로서 인터뷰등도 받아, 넷상에서는 기사에도 되고 있습니다.
반출생주의가 되는 것이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고 사고되고 있는 현재, 아카데미즘의 장으로부터 이러한 경박한 악서가 발간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이 선도하고 선동할 위험성을 저자와 출판사 측은 냉정하게 고려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한 일본에서 아마존의 높은 평가가 불가해하지 않습니다.
같은 저자가 작성한 『무통문명론』이라는 저작의 일부가 고등학교용 「국어」교과서에 채용되고 있습니다.
저는 민간 학습 학원에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입장입니다만, 곤혹과 학생들에 대한 동정을 금할 수 없습니다.
현장에서 "왜, 이렇게 괴로워야 하는가?"라고 젊은 학생에게서 발해지는 절실한 질문에 대해 '무통문명론'을 읽는 것을 강요하는 사회적 광기에 대해 전혀 제안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질문은 특히 현재의 코로나 태에서 고통받고 있는 학생에 한하지 않고, 전국민, 인류가 공유하는 보편적인 질문일 것입니다.
이 저작은 '생존해야 한다는 폭력'에 대한 항변으로서 무력하다.
문부 과학성의 검열 레벨을 좋아하는 「건전한」도덕 의식을 가지고 계신 분은 ☆ 4 ~ 5 등으로 만족하실 수 있습니다.
세세한 일본의 학술 마을의 논의 등, 무엇보다 상대로하지 않을 차세대 분들을 위해서 부언해 둡니다
시오란 등의 고전과 차분히 마주 보게됩니다.
Reddit의 Antinatalism 기사를 읽는 것이 훨씬 흥미롭고 공정한 것 같습니다.
13 people found this helpful
===
Amazon 고객
=======
키타로
5.0 out of 5 stars 만남 「인간은, 무엇을 위해서 살아가는 것일까」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5, 2021
Verified Purchase
寅次郎「어려운 일을 듣지 말아라. 뭐라고 할까. 아- 태어나서 좋았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편하지 않아.
寅씨라면 이상으로 끝이지만, 저자와 같은 철학자라고 대답하는 것도 힘들군요.
게다가 이 저작은 시리즈 첫 번째 작품에 불과하고, 이에 이어지는 일련의 저작을 통해 저자는 철학계의 새로운 장르 "생명의 철학"구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베네타의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를 구입한 곳, 밸런스를 취할 생각이나 아마존의 AI에 의해 본서를 추천되었습니다.
어른스럽게 거기에 따라 구입했습니다만, 역시라고 할까 반출생주의에의 정면으로부터의 철학적 챌린지는 일근줄로는 가지 않는 모습으로 읽을 수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마화 없이 신중하게 이론을 진행하려고 하는 저자의 스타일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호의적으로 읽을 수 있었습니다.
또, 이 손의 책으로는 문장이 비교적 읽기 쉬워, 나와 같은 무학자에게도 스트레스 없이 읽을 수 있었습니다.
이 저작에 "과연"이라고 납득하는 대답과 같은 것을 기대해서는 안됩니다.
저작에 의해 제시되는, 「탄생 긍정의 철학」에 이르는 심리적인 차원에서의 2개 길(가능 세계 해석/반-반출생주의 해석)입니다만, 정직한 곳, 자신을 그러한 심경에 까지 도달하려면 상당한 어려움을 느낍니다.
그러므로 향후 계속되는 시리즈 중에서의 추가 논의에 대한 기대가 부풀어 오릅니다.
많은 분들에게 추천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10 people found this helpful
=====
Tod
5.0 out of 5 stars 노작이라고는 생각하지만…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1, 2021
Verified Purchase
의지의 부정을 말한 쇼펜하우어에게 이 세상은 지옥이었고,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좋았다. 개개인에게 눈을 돌려도 인생에서 리얼한 것은 고통뿐이며, 행복과는 기껏해야 고통이 없는 상태에 불과하다. "가장 행복한 인간의 가장 행복한 순간은 잠에 빠진 순간이며, 가장 불행한 인간의 가장 불행한 순간은 깨어난 순간이다." 존재하는 것을 그만두는 것이다. 죽음은 생식이라는 죄장에 의해 좌절된 매듭을 괴롭히면서 풀어내는 것이다. 다른 개체라는 형태로 생을 반복한다는 의미에서의 생식행위는 생에 대한 의지의 궁극의 긍정이기 때문에 우리는 그 행위에 대해 수치와 죄책감을 느낀다. 성적 충동으로 개체를 움직이고 있는 것은 맹목적인 의지이기 때문에 그 행위를 끝낸 순간 우리는 실망과 환멸을 느낀다. ‘쾌락에 맞는 분개는 없다’는 것도 그때 개체는 종족의 의지에 춤추고 있었던 것이지만, 행위를 마친 순간 환상은 사라지고, 깨끗해진 것을 깨닫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기까지 인생을 부정하는 쇼펜하우어에서도 자살을 긍정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자살이란 의지의 부정이 아니라 의지의 강렬한 긍정이기 때문이다(단 아사에 의한 자살은 제외한다).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욕구는 살고 싶다는 욕구일 뿐이다. 그 욕망의 멸각이야말로 의지의 부정일 것인데.
이 책에 따르면 베네타의 견해도 비슷한 것 같다. 베네타는 매우 논리적으로, 「쾌락/고통」이 「존재하는 경우/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사상한으로 나누고, 쾌락도 고통도 존재하지 않는 not bad 상태는, 고통이 존재하는 bad 상태보다 나쁘지 않다”, 따라서 존재하지 않는 것이 “선한”이라는 결론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탄생해 악론을 주장하는 그 베네타도, 자살에 관해서는 소극적인 긍정에 머물고 있는 것 같다.
개관하면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는 반출생주의의 주장은 고금 동서에서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사죽음'이라는 자살옹호론은 극히 적다(예외도 있지만). 그리고 거기에는 실은 꽤 깊은 (부 또는 얕은?) 이유가 있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철학자는 행위가 아니라 말로 자신의 사상을 표현한다. 철학자에게는 말이 전부이며, 행위가 거기에 따를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철학자는 얻어 언행 불일치에 빠진다. 위대한 철학자만큼 그 경향이 강하다. 그것을 받아들여야 하는지 여부는 어려운 문제일지라도, 일반적으로는 자신의 말대로 행동하지 않는 인간은 '왓츠키'라고 불리며 비난된다.
여기에 자살을 추천하는 한 명의 철학자가 있다고 한다. '죽은 것이 낫다'는 것, 인간은 자살해야 하는 것, 그것이 이성이 도착하는 올바른 대답이라는 것을 그가 논리적으로 증명했다고 한다. 그러나 '여사사베시'라는 그의 주장은 다음 한마디로 쉽게 반박될 수 있다. 즉 「그럼 어째서 너는 살아 있는 거야」라고. 죽는 것이 그렇게 좋은 일이라면, 그것을 주장하고 있는 너가 우선 맨 먼저 죽어서는 안 되는 것인가.
객관적으로 보면 존재보다 비존재 쪽이 분이 좋은 것은 확실할 것이다. 많은 인간이 그 사실을 알고 있으며 때로는 그렇게 입을 달리기도 한다. 가벼운 농담으로. 아니, 그것은 농담이 아니라 진실이지만, 실제로 죽을 생각은 없다. 「죽은 것이 낫다」라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죽는 것의 사이에는, 하늘과 땅 정도의 열기가 있다.
그러므로 아무도 "죽은 것이 더 낫다"고 굳이 말하지 않는다. 「그럼 죽으면 좋겠다」라고 말하고 싶지 않고, 죽을 생각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래도 삶에 피곤할 때가 있다. 그럴 때 어떤 사람은 이렇게 말한다. "일단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는데"왜? 왜 「죽은 것이 낫다」라고는 말하지 않고 「태어나지 않았던 것이 낫다」라고 하는 것인가. 그것은 그렇게 말해두면, 누구로부터도 돌진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사람은 죽을 수 있지만 태어나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적어도 태어난 지금은.
요컨대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라고 하는 한숨은, 자살하는 용기가 없는 약자가, 타자로부터의 츳코미를 미리 회피하기 위한 방편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닐까. 그렇게 중얼거린 곳에서 「그럼 너 태어나지 말라」라고는 아무도 말하지 않는다. 말할 수 없다. 왜? 그런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시미스트는 안심하고 자신의 암캐를 들려줄 수 있다. 단적으로 말하면 그것은 단지 8개 당이다. 어떤 인물에 대해 불평하고 싶지만 직접 불평을 할 용기가 없기 때문에 그 인물의 부모에게 불평을 하는 것과 동단이다.
(여전히 논란하면서 니체는 생에의 의지를 긍정 등 하고 있지 않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하고 있다. 그는 쇼펜 아우어에 의한 「생에의 의지의 부정」을 부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부정의 부정」 (와)과 「긍정」은 다르다.존재나 탄생을 정말로 긍정하고 있는 인간이면, 원래 철학등이라고 하는 길에 헤매는 일은 없을 것)
이상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개인적 소감이며, 이하는 본서에 있어서의 모리오카의 논의에 대한 개인적 감상(낭비)이다.
모리오카는 말한다.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과 "내가 태어나지 않았던 것"은 다르다"고. 왜냐하면 「전자는 반사실적으로 상상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후자는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모리오카는 이 문제를 P.285 이후에 상세히 논의해 “이것은 새롭게 발견된 명제일 가능성이 있다”고까지 말하고 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자신에게는 이 두 가지의 차이를 잘 몰랐다. 확실히 전자는 현재 긍정형의 가정법이며, 후자는 과거 부정형의 가정법이라는 문법적인 차이는 있다. 그러나 결국은 같은 것이 아닐까.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내가 태어나지 않은 것"을 상상하는 것도 가능하고, "내가 태어나지 않은 것"을 상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것도 불가능할 것이다.
라고 어떤 즉 모리오카의 결론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던 것인가?」라는 질문은 「태어난 것」과 「태어나지 않은 것」이라고 하는 비교 불가능한 양자를 비교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부당한 질문이다 라고 하는 것 같다. 그러나 이만큼의 종이 폭을 나눈 끝에 도착한 결론이 "태어나 버린 것은 어쩔 수 없다"는 어리석은 대답이라는 것은 정직 어깨 워터 마크의 느낌을 닦을 수 없다.
엄격한 평가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모리오카가 J철학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서에 있어서 모리오카는 고금 동서에 있어서의 반출생주의의 사상을 망라해 음미하고 있다. 그것은 그것에 의미있는 것입니다. 노작이라고는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J철학일까. 일본 독자적인 철학일까.
무엇보다 모리오카에 의하면 본서는 아직 준비 단계에 불과해, 향후 「생명의 철학」이 본격적으로 전개하게 될 것 같다. 속편의 간행을 기다리고 싶다.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천자만홍
5.0 out of 5 stars 반출생주의에 대하여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5, 2021
Verified Purchase
반출생주의라는 들리지 않는 문구는,
실은 고대 그리스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면과 방어된 질문 중 하나입니다.
태어나지 않는 것이 더 좋았습니까? 와의 자문 자답은,
그 농담의 차이야말로, 누구나 한 번 정도는 입을 달릴 것 같은 감상을 포함하는 것이 아닐까요.
거기에는 심리학적인 인지와 철학적인 고찰이 혼재하고 있는데,
본서에서는 철학적인 관점에서 반출생주의를 반박하고, 반박하고 다한 곳에서,
「태어나서 좋았다」라고 하는 심리적 긍정이 태어나는 기전을 선명하게 나타내고 있어,
지적인 감동을 맛볼 수 있습니다.
속편이 기대됩니다.
3 people found this helpful
=====
TWIN
2.0 out of 5 stars 「지금, 이 순간에 고통받고 있는 자신」의 역에는 서지 않았다
Reviewed in Japan on December 26, 2020
철학서로서의 우열이 아니라, 「자신에게 있어서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로의 평가입니다.
제목에 관심을 끌고 읽었지만,
“섭식 장애나 우울증 등으로 23년 끌어당긴 40세의 남자”인 나의 도움에는 서지 않았습니다.
어디까지나, 「철학을 좋아하는 사람을 위해서 쓰여진 철학서」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지금, 고통받고 있는 사람」을 위해서 쓰여진 테라피적인 책이 아닐까.
전반의 베네타나 쇼펜하우어의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
라는 사상과 논리 전개는 심플하고 알기 쉽고, 강한 공감을 기억했습니다.
야지냐발키야, 붓다의 고대 인도 철학의 해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단, 중반 이후의 니체의 분석당부터,
「알기 어려운 철학을, 알기 어려운 문장으로 해설한다」라고 하는 철학서에 흔한 전개가 되어,
개인적으로 지루하게 느껴 버렸습니다.
그래도 인내심을 짜서 읽었지만,
끊임없이 이어지는 "말 놀이"를 견딜 수 없었고, 마지막 장의 도중에 마음이 부러졌습니다.
23 people found this helpful
=======
mountainside
HALL OF FAMETOP 10 REVIEWER
5.0 out of 5 stars 원시의 「긍정」과 「부정」의 변증법!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1, 2020
①마치 헤겔 철학으로 말하면, 생의 「긍정」과 「부정」의 변증법과 같은 「생의 철학」이다.
②생의 부정의 철학을 부정하는 것으로부터 생의 긍정의 철학(생의 철학)을 도출한다. 부부(남녀)의 성적 행위로부터 아이가 태어나기 때문에, 아이(생명)를 기르는 결정권은 부부(남녀)에 있다.
② 태어난 아이가 성장하고 자사를 선택하는 것은 「자기결정권」에 속한다.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고 자기 판단하고 자사를 선택하는 것은 본인의 자유이다.
③ 그러나 일신교적 세계에서 자살은 종교적 죄이다. 천지창조는 하나님의 의지이며, 이 세상에 태어난 이상은 살아야 한다. 인간이 노력하고 신앙에 사는 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늘리는 행위이다.
④불교는 삶이 ‘고’이며 번뇌를 끄고 깨달음을 여는 것이 윤회의 고통, 업(갈마)에서 해방되는 유일한 길이다.
여기에는 부처의 생의 무상감, 「고」를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는 페시미즘이 있다.
⑤ 서양근대철학, 실존주의는 생의 긍정론의 철학적 근거를 준다. 니체의 영복회귀의 사상, 운명애, 힘에 대한 의지는 삶을 긍정하는 철학이다. 사르트르의 자유로운 선택으로서의 사회참가(앙가주만)도 원시의 긍정론과 가치선택의 자유가 포함되어 있다.
⑥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운명」이며,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사는 '의미'(무의미, 부조리)를 찾는 '생의 철학'은 필요하다.
추천 한 권이다.
23 people found this helpful
========
뭐야, 遍路군
TOP 100 REVIEWERVINE VOICE
4.0 out of 5 stars ”생성”..., 매우 흥미롭게 읽어 주셨습니다.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23, 2021
Verified Purchase
철학적 관점에서 리뷰를 쓸 수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읽어 보는 감각적
인상을 썼습니다.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라는 말은, 자신 중에
들어오기 어려운 느낌이 듭니다. 불교의 생각으로 끌고 있는, “태어났다”
그런데 생각한다는 말은 순조롭게 들어옵니다. 아마도 내 자신에게 "죽음"
기피하는 마음이 그렇게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히로시마의 원폭 투하에 대해 생각할 때 일어난 일을 일으키지 않는 것과 비교
하고 생각하는 것은 철학적으로 잘못되었다는 기재가 있었던 것 같아요. 내 이해는 쫓아
붙어 있지 않습니다만, 여기는 “생성(일어나는 일)”과의 관계로, 매우 흥미롭게 읽게 해
받았습니다.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마루이치
1.0 out of 5 stars 예상치 못한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1, 2021
글꼴로 화제의 반출생주의에 대해서, 개설을 알고 싶었던 곳, 우연히 서점에서 보였으므로 구입.
「반출생주의를 동서의 철학 속에 위치시키면서, 이것에 대한 반론을 찾아 간다」라고 하는 목표는 매력적입니다만, 그 시도가 달성되고 있는가 하면 미묘… 읽은 단계에서는 매력적으로 보였지만, 읽는 동안 이야기를 씹는 구체적인 예가 적절하다고 생각되지 않거나 전반에서 고전적인 사상을 정리하고 있지만 최종 장의 필자의 주장에서는 그들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시리즈의 최초라고 하는 것은 있지만 「이 건에 관해서는 후의 논고에 양보한다」적인 표현이 많거나, "출생주의는 좋지 않다"는 소박하고 직관적이고 도덕적인 결론있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저자 트위터를 들여다 보면 일반인과 레스바하고 있어 약간 힘들어…
20 people found this helpful
======
yusura
1.0 out of 5 stars 종합적으로 열악한 책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14, 2021
한마디로 말하면, 취급되는 주제가 저작자의 역량과 교양을 크게 넘고 있습니다.
저자는 청토사에서 발간된 '반출생주의를 생각한다'는 책에서
반출생주의를 「가상 적」이라고까지 말한 모리오카 씨.
자신이 포섭할 수 없는 장대하고 중후한 테마를 이러한 졸속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형식으로 출판해 주었으면 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치열한 시도를 초극 등이라는 미사려구로 학생에게 꾸미지 않게 하고 싶다.
저자는 자신도 반출생적인 질문에 얽힌 혼자라고 변명하면서 예에 따라 결론 있어 논의로 시종합니다.
이 저자는 『초식계 남자의 연애학』이라고 하는 "시대와 자는"서를 잇달아 간행하고 있었습니다.
나는 이 시점에서도 이 사람의 가벼움과 철학적 소양에 대해 전혀 신용할 수 없었다.
저자에게 추종하는 출판사에 대해서도 자연스럽습니다.
저자의 다음 먹이가 된 것이 요즘 주목을 받고 있는 이 주제일 것입니다.
세상에서 이목을 모으는 화제에 대해서는 민첩하고, 카피라이터적인 타이틀로 유도해, 밀도가 얇은 책을 발간하는 것이 이 저자의 특질이며 스타일일까 생각합니다.
현재 이미 행해지고 있습니다만, 일본에서는 반출생주의에 관한 제1인자다운 인물로서 인터뷰등도 받아, 넷상에서는 기사에도 되고 있습니다.
반출생주의가 되는 것이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고 사고되고 있는 현재, 아카데미즘의 장으로부터 이러한 경박한 악서가 발간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이 선도하고 선동할 위험성을 저자와 출판사 측은 냉정하게 고려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한 일본에서 아마존의 높은 평가가 불가해하지 않습니다.
같은 저자가 작성한 『무통문명론』이라는 저작의 일부가 고등학교용 「국어」교과서에 채용되고 있습니다.
저는 민간 학습 학원에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입장입니다만, 곤혹과 학생들에 대한 동정을 금할 수 없습니다.
현장에서 "왜, 이렇게 괴로워야 하는가?"라고 젊은 학생에게서 발해지는 절실한 질문에 대해 '무통문명론'을 읽는 것을 강요하는 사회적 광기에 대해 전혀 제안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질문은 특히 현재의 코로나 태에서 고통받고 있는 학생에 한하지 않고, 전국민, 인류가 공유하는 보편적인 질문일 것입니다.
이 저작은 '생존해야 한다는 폭력'에 대한 항변으로서 무력하다.
문부 과학성의 검열 레벨을 좋아하는 「건전한」도덕 의식을 가지고 계신 분은 ☆ 4 ~ 5 등으로 만족하실 수 있습니다.
세세한 일본의 학술 마을의 논의 등, 무엇보다 상대로하지 않을 차세대 분들을 위해서 부언해 둡니다
시오란 등의 고전과 차분히 마주 보게됩니다.
Reddit의 Antinatalism 기사를 읽는 것이 훨씬 흥미롭고 공정한 것 같습니다.
13 people found this helpful
======
Amazon.co.jp:Customer Reviews: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생명의 철학에!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생명의 철학에! (쓰쿠마 선서)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생명의 철학에! (쓰쿠마 선서)
by 모리오카 마사히로
-
내용(「BOOK」데이터베이스에서)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다"는 사상은 인류 2500년의 역사를 가진다. 본서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문학, 고대 인도의 종교 철학, 붓다의 원시 불교, 괴테와 쇼펜하우어, 니체 등 근대의 문학과 철학, 그리고 '탄생해 악론'을 설명하는 베네타 등 현대의 분석 철학을 다루고 철저히 으로 고려. 인간이 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은 잘못이며, 태어나지 않게 하는 편이 좋다고 하는 반출생주의를 세계사상사 속에 자리매김하고, 그 초극의 길을 찾아간다. 반출생주의의 전체상을 알 수 있는 본방 최초의 책이다.
저자 약력 ( "BOOK 저자 소개 정보"에서)
모리오카 / 마사히로
1958년, 고치현 출생. 도쿄 대학 대학원 인문 과학 연구과 박사 과정 단위 취득 퇴학. 오사카 부립 대학에서 박사 (인간 과학). 도쿄대학,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오사카부립대학 현대시스템과학역을 거쳐 와세다대학 인간과학부 교수. 철학, 윤리학, 생명학을 중심으로, 학술서에서 에세이까지 폭넓은 집필 활동을 실시한다(본 데이터는 이 책이 간행된 당시에 게재되고 있던 것입니다)
Product Details
Publisher : 쓰쿠마 서방 (October 15, 2020)
Publication date : October 15, 2020
Language : Korean
Tankobon Softcover : 353 페이지
---
Top reviews from Japan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
TWIN
2.0 out of 5 stars
"지금 이 순간에 고통받는 자신"의 역할에는 서지 않았다
Reviewed in Japan on December 26, 2020
철학서로서의 우열이 아니라, 「자신에게 있어서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로의 평가입니다.
제목에 관심을 끌고 읽었지만,
“섭식 장애나 우울증 등으로 23년 끌어당긴 40세의 남자”인 나의 도움에는 서지 않았습니다.
어디까지나, 「철학을 좋아하는 사람을 위해서 쓰여진 철학서」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지금, 고통받고 있는 사람」을 위해서 쓰여진 테라피적인 책이 아닐까.
전반의 베네타나 쇼펜하우어의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
라는 사상과 논리 전개는 심플하고 알기 쉽고, 강한 공감을 기억했습니다.
야지냐발키야, 붓다의 고대 인도 철학의 해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단, 중반 이후의 니체의 분석당부터,
「알기 어려운 철학을, 알기 어려운 문장으로 해설한다」라고 하는 철학서에 흔한 전개가 되어,
개인적으로 지루하게 느껴 버렸습니다.
그래도 인내심을 짜서 읽었지만,
끊임없이 이어지는 "말 놀이"를 견딜 수 없었고, 마지막 장의 도중에 마음이 부러졌습니다.
Read less
84 people found this helpful
-----
Amazon 고객
5.0 out of 5 stars
이것을 읽는 '당신'을 위한 책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11, 2020
Verified Purchase
고금 동서에 모순되는 뿌리를 내는 세계사상으로서의 반출생주의(자신을 포함한 사람이나 생명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고, 새롭게 낳아서는 안 된다고 하는 사상)를 계보적으로 총괄하고, 저자가 제창하는 「생명의 철학」의 지도상에 위치해, 그들과 대조해 독자적인 「탄생 긍정」의 철학을 구상한다고 하는 혼신의 1권입니다.
저자 자신은 반출생주의와는 다른 "탄생 긍정"의 철학을 표명하고 탐구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던 것이 아닌가'라는 질문에 착취한 혼자서, 질문을 공유하는 입장으로서 반출생주의에는 크게 공감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생각 없이 일소에 붙도록 흔한 태도는 취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반출생주의자 분들도 안심하고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단순히 정서적으로 공감할 뿐만 아니라, 각 사상을 맞는 한 합리적으로 재구성해, 감옥을 찾아내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밝혀진 베네타의 결벽증, 쇼펜하우어의 "불순한 동기에 의한"자살의 비판, 불타의 해탈 기회로서 인간에게 태어난 이마, "한스 요나스는 인류가 '태어나서 좋았다 '라고 되돌아 보면서 멸망하는 길을 보여주지 못했다', 등등의 기술에는 특히 눈을 바라보았습니다.
다양한 검토 재료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어디를 취해도 재미있는 책입니다만, 굳이 하나 의문점을 다루면……, 저자는 베네타 비판으로서 존재와 생성의 구별을 도입되고 있어 에 대해서는 비·존재를 생각하는 것이 가능.그러나, 생성은 실제로 생성하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따라서 비·생성은 넌센스”라고 하는 기술을 하고 있습니다만, 그렇다면 존재에 대해서도 “존재는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그것을 가리키고, 따라서 비·존재는 넌센스”라고 말할 수 없을까요? 즉, 존재나 생성이 아니라, 「실제로」나 「현재」에야말로 포인트가 있는 것은 아닐까요?
시오란과 베네타, 그리고 인터넷에서 활동하는 익명의 사람들을 포함한 현대 반출생주의자의 큰 미질은 "자신을 선반으로 올리지 않는"곳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수로부터 말하면 압도적으로 많은 타인의 삶에 대해 “살지 않는 편이 좋았고, 낳아서는 안 된다”고 오로지 말모집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할 수 있겠지만, 어느 쪽도, 우선 자신의 삶, 우선 자신이 낳는 생에 대해 생각해, 무엇인가를 실천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우리가 반출생주의에 대해 매력이나 반감을 느끼고 있어도 갈 수 없는 것은, 거기에 피와 땀이 뿜어내는 듯한 생명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본서가 시리즈 제1작이 되는 현재 진행형의 모리오카 생명학에도 같은 숨결을 느끼지 않고는 있을 수 없습니다.
Read less
58 people found this helpful
-----
별빛
5.0 out of 5 stars 진한 내용이었습니다.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9, 2020
Verified Purchase
저자 특기의 정중한 논의와 기술에 의해, 기분 좋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저자도 말하는 바와 같이, P316 「탄생 긍정의 기반」을 채워도, 그것만으로는 「태어나서 좋았다」라고 하는 탄생 긍정은 성립하지 않겠지요. 즉, 탄생 긍정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How To)이 부족하다고 하는… 「생을 긍정한다」라고 간단히 말하지만, 어떻게 하면 그것이 할 수 있는지가 제일에 묻고 있는 것이며,( (니체처럼) 그 방법론이 부족한 것은 진정한 대답이라고 전혀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How To)라고 하는 방법론까지 완전하게 나타낼 수 있었을 때, 「인생의 의미의 철학」은 완성한다고 생각합니다.
본서는 반출생주의의 극복을 도모한 일본 최초의 책이라고 합니다만, 「생명의 철학」으로서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속편을 기대합니다!
18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Translate review to English
키타로
5.0 out of 5 stars 만남 「인간은, 무엇을 위해서 살아가는 것일까」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5, 2021
Verified Purchase
寅次郎「어려운 일을 듣지 말아라. 뭐라고 할까. 아- 태어나서 좋았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편하지 않아.
寅씨라면 이상으로 끝이지만, 저자와 같은 철학자라고 대답하는 것도 힘들군요.
게다가 이 저작은 시리즈 첫 번째 작품에 불과하고, 이에 이어지는 일련의 저작을 통해 저자는 철학계의 새로운 장르 "생명의 철학"구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베네타의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를 구입한 곳, 밸런스를 취할 생각이나 아마존의 AI에 의해 본서를 추천되었습니다.
어른스럽게 거기에 따라 구입했습니다만, 역시라고 할까 반출생주의에의 정면으로부터의 철학적 챌린지는 일근줄로는 가지 않는 모습으로 읽을 수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마화 없이 신중하게 이론을 진행하려고 하는 저자의 스타일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호의적으로 읽을 수 있었습니다.
또, 이 손의 책으로는 문장이 비교적 읽기 쉬워, 나와 같은 무학자에게도 스트레스 없이 읽을 수 있었습니다.
이 저작에 "과연"이라고 납득하는 대답과 같은 것을 기대해서는 안됩니다.
저작에 의해 제시되는, 「탄생 긍정의 철학」에 이르는 심리적인 차원에서의 2개 길(가능 세계 해석/반-반출생주의 해석)입니다만, 정직한 곳, 자신을 그러한 심경에 까지 도달하려면 상당한 어려움을 느낍니다.
그러므로 향후 계속되는 시리즈 중에서의 추가 논의에 대한 기대가 부풀어 오릅니다.
많은 분들에게 추천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10 people found this helpful
====
Tod
5.0 out of 5 stars 노작이라고는 생각하지만…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1, 2021
Verified Purchase
의지의 부정을 말한 쇼펜하우어에게 이 세상은 지옥이었고,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좋았다. 개개인에게 눈을 돌려도 인생에서 리얼한 것은 고통뿐이며, 행복과는 기껏해야 고통이 없는 상태에 불과하다. "가장 행복한 인간의 가장 행복한 순간은 잠에 빠진 순간이며, 가장 불행한 인간의 가장 불행한 순간은 깨어난 순간이다." 존재하는 것을 그만두는 것이다. 죽음은 생식이라는 죄장에 의해 좌절된 매듭을 괴롭히면서 풀어내는 것이다. 다른 개체라는 형태로 생을 반복한다는 의미에서의 생식행위는 생에 대한 의지의 궁극의 긍정이기 때문에 우리는 그 행위에 대해 수치와 죄책감을 느낀다. 성적 충동으로 개체를 움직이고 있는 것은 맹목적인 의지이기 때문에 그 행위를 끝낸 순간 우리는 실망과 환멸을 느낀다. ‘쾌락에 맞는 분개는 없다’는 것도 그때 개체는 종족의 의지에 춤추고 있었던 것이지만, 행위를 마친 순간 환상은 사라지고, 깨끗해진 것을 깨닫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기까지 인생을 부정하는 쇼펜하우어에서도 자살을 긍정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자살이란 의지의 부정이 아니라 의지의 강렬한 긍정이기 때문이다(단 아사에 의한 자살은 제외한다).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욕구는 살고 싶다는 욕구일 뿐이다. 그 욕망의 멸각이야말로 의지의 부정일 것인데.
이 책에 따르면 베네타의 견해도 비슷한 것 같다. 베네타는 매우 논리적으로, 「쾌락/고통」이 「존재하는 경우/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사상한으로 나누고, 쾌락도 고통도 존재하지 않는 not bad 상태는, 고통이 존재하는 bad 상태보다 나쁘지 않다”, 따라서 존재하지 않는 것이 “선한”이라는 결론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탄생해 악론을 주장하는 그 베네타도, 자살에 관해서는 소극적인 긍정에 머물고 있는 것 같다.
개관하면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는 반출생주의의 주장은 고금 동서에서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사죽음'이라는 자살옹호론은 극히 적다(예외도 있지만). 그리고 거기에는 실은 꽤 깊은 (부 또는 얕은?) 이유가 있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철학자는 행위가 아니라 말로 자신의 사상을 표현한다. 철학자에게는 말이 전부이며, 행위가 거기에 따를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철학자는 얻어 언행 불일치에 빠진다. 위대한 철학자만큼 그 경향이 강하다. 그것을 받아들여야 하는지 여부는 어려운 문제일지라도, 일반적으로는 자신의 말대로 행동하지 않는 인간은 '왓츠키'라고 불리며 비난된다.
여기에 자살을 추천하는 한 명의 철학자가 있다고 한다. '죽은 것이 낫다'는 것, 인간은 자살해야 하는 것, 그것이 이성이 도착하는 올바른 대답이라는 것을 그가 논리적으로 증명했다고 한다. 그러나 '여사사베시'라는 그의 주장은 다음 한마디로 쉽게 반박될 수 있다. 즉 「그럼 어째서 너는 살아 있는 거야」라고. 죽는 것이 그렇게 좋은 일이라면, 그것을 주장하고 있는 너가 우선 맨 먼저 죽어서는 안 되는 것인가.
객관적으로 보면 존재보다 비존재 쪽이 분이 좋은 것은 확실할 것이다. 많은 인간이 그 사실을 알고 있으며 때로는 그렇게 입을 달리기도 한다. 가벼운 농담으로. 아니, 그것은 농담이 아니라 진실이지만, 실제로 죽을 생각은 없다. 「죽은 것이 낫다」라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죽는 것의 사이에는, 하늘과 땅 정도의 열기가 있다.
그러므로 아무도 "죽은 것이 더 낫다"고 굳이 말하지 않는다. 「그럼 죽으면 좋겠다」라고 말하고 싶지 않고, 죽을 생각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래도 삶에 피곤할 때가 있다. 그럴 때 어떤 사람은 이렇게 말한다. "일단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는데"왜? 왜 「죽은 것이 낫다」라고는 말하지 않고 「태어나지 않았던 것이 낫다」라고 하는 것인가. 그것은 그렇게 말해두면, 누구로부터도 돌진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사람은 죽을 수 있지만 태어나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적어도 태어난 지금은.
요컨대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라고 하는 한숨은, 자살하는 용기가 없는 약자가, 타자로부터의 츳코미를 미리 회피하기 위한 방편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닐까. 그렇게 중얼거린 곳에서 「그럼 너 태어나지 말라」라고는 아무도 말하지 않는다. 말할 수 없다. 왜? 그런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시미스트는 안심하고 자신의 암캐를 들려줄 수 있다. 단적으로 말하면 그것은 단지 8개 당이다. 어떤 인물에 대해 불평하고 싶지만 직접 불평을 할 용기가 없기 때문에 그 인물의 부모에게 불평을 하는 것과 동단이다.
(여전히 논란하면서 니체는 생에의 의지를 긍정 등 하고 있지 않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하고 있다. 그는 쇼펜 아우어에 의한 「생에의 의지의 부정」을 부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부정의 부정」 (와)과 「긍정」은 다르다.존재나 탄생을 정말로 긍정하고 있는 인간이면, 원래 철학등이라고 하는 길에 헤매는 일은 없을 것)
이상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개인적 소감이며, 이하는 본서에 있어서의 모리오카의 논의에 대한 개인적 감상(낭비)이다.
모리오카는 말한다.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과 "내가 태어나지 않았던 것"은 다르다"고. 왜냐하면 「전자는 반사실적으로 상상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후자는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모리오카는 이 문제를 P.285 이후에 상세히 논의해 “이것은 새롭게 발견된 명제일 가능성이 있다”고까지 말하고 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자신에게는 이 두 가지의 차이를 잘 몰랐다. 확실히 전자는 현재 긍정형의 가정법이며, 후자는 과거 부정형의 가정법이라는 문법적인 차이는 있다. 그러나 결국은 같은 것이 아닐까.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내가 태어나지 않은 것"을 상상하는 것도 가능하고, "내가 태어나지 않은 것"을 상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것도 불가능할 것이다.
라고 어떤 즉 모리오카의 결론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던 것인가?」라는 질문은 「태어난 것」과 「태어나지 않은 것」이라고 하는 비교 불가능한 양자를 비교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부당한 질문이다 라고 하는 것 같다. 그러나 이만큼의 종이 폭을 나눈 끝에 도착한 결론이 "태어나 버린 것은 어쩔 수 없다"는 어리석은 대답이라는 것은 정직 어깨 워터 마크의 느낌을 닦을 수 없다.
엄격한 평가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모리오카가 J철학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서에 있어서 모리오카는 고금 동서에 있어서의 반출생주의의 사상을 망라해 음미하고 있다. 그것은 그것에 의미있는 것입니다. 노작이라고는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J철학일까. 일본 독자적인 철학일까.
무엇보다 모리오카에 의하면 본서는 아직 준비 단계에 불과해, 향후 「생명의 철학」이 본격적으로 전개하게 될 것 같다. 속편의 간행을 기다리고 싶다.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천자만홍
5.0 out of 5 stars 반출생주의에 대하여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5, 2021
Verified Purchase
반출생주의라는 들리지 않는 문구는,
실은 고대 그리스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면과 방어된 질문 중 하나입니다.
태어나지 않는 것이 더 좋았습니까? 와의 자문 자답은,
그 농담의 차이야말로, 누구나 한 번 정도는 입을 달릴 것 같은 감상을 포함하는 것이 아닐까요.
거기에는 심리학적인 인지와 철학적인 고찰이 혼재하고 있는데,
본서에서는 철학적인 관점에서 반출생주의를 반박하고, 반박하고 다한 곳에서,
「태어나서 좋았다」라고 하는 심리적 긍정이 태어나는 기전을 선명하게 나타내고 있어,
지적인 감동을 맛볼 수 있습니다.
속편이 기대됩니다.
3 people found this helpful
=======
TWIN
2.0 out of 5 stars 「지금, 이 순간에 고통받고 있는 자신」의 역에는 서지 않았다
Reviewed in Japan on December 26, 2020
철학서로서의 우열이 아니라, 「자신에게 있어서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로의 평가입니다.
제목에 관심을 끌고 읽었지만,
“섭식 장애나 우울증 등으로 23년 끌어당긴 40세의 남자”인 나의 도움에는 서지 않았습니다.
어디까지나, 「철학을 좋아하는 사람을 위해서 쓰여진 철학서」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지금, 고통받고 있는 사람」을 위해서 쓰여진 테라피적인 책이 아닐까.
전반의 베네타나 쇼펜하우어의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
라는 사상과 논리 전개는 심플하고 알기 쉽고, 강한 공감을 기억했습니다.
야지냐발키야, 붓다의 고대 인도 철학의 해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단, 중반 이후의 니체의 분석당부터,
「알기 어려운 철학을, 알기 어려운 문장으로 해설한다」라고 하는 철학서에 흔한 전개가 되어,
개인적으로 지루하게 느껴 버렸습니다.
그래도 인내심을 짜서 읽었지만,
끊임없이 이어지는 "말 놀이"를 견딜 수 없었고, 마지막 장의 도중에 마음이 부러졌습니다.
23 people found this helpful
=======
mountainside
HALL OF FAMETOP 10 REVIEWER
5.0 out of 5 stars 원시의 「긍정」과 「부정」의 변증법!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1, 2020
①마치 헤겔 철학으로 말하면, 생의 「긍정」과 「부정」의 변증법과 같은 「생의 철학」이다.
②생의 부정의 철학을 부정하는 것으로부터 생의 긍정의 철학(생의 철학)을 도출한다. 부부(남녀)의 성적 행위로부터 아이가 태어나기 때문에, 아이(생명)를 기르는 결정권은 부부(남녀)에 있다.
② 태어난 아이가 성장하고 자사를 선택하는 것은 「자기결정권」에 속한다.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고 자기 판단하고 자사를 선택하는 것은 본인의 자유이다.
③ 그러나 일신교적 세계에서 자살은 종교적 죄이다. 천지창조는 하나님의 의지이며, 이 세상에 태어난 이상은 살아야 한다. 인간이 노력하고 신앙에 사는 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늘리는 행위이다.
④불교는 삶이 ‘고’이며 번뇌를 끄고 깨달음을 여는 것이 윤회의 고통, 업(갈마)에서 해방되는 유일한 길이다.
여기에는 부처의 생의 무상감, 「고」를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는 페시미즘이 있다.
⑤ 서양근대철학, 실존주의는 생의 긍정론의 철학적 근거를 준다. 니체의 영복회귀의 사상, 운명애, 힘에 대한 의지는 삶을 긍정하는 철학이다. 사르트르의 자유로운 선택으로서의 사회참가(앙가주만)도 원시의 긍정론과 가치선택의 자유가 포함되어 있다.
⑥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운명」이며,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사는 '의미'(무의미, 부조리)를 찾는 '생의 철학'은 필요하다.
추천 한 권이다.
23 people found this helpful
======
뭐야, 遍路군
TOP 100 REVIEWERVINE VOICE
4.0 out of 5 stars ”생성”..., 매우 흥미롭게 읽어 주셨습니다.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23, 2021
Verified Purchase
철학적 관점에서 리뷰를 쓸 수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읽어 보는 감각적
인상을 썼습니다.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라는 말은, 자신 중에
들어오기 어려운 느낌이 듭니다. 불교의 생각으로 끌고 있는, “태어났다”
그런데 생각한다는 말은 순조롭게 들어옵니다. 아마도 내 자신에게 "죽음"
기피하는 마음이 그렇게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히로시마의 원폭 투하에 대해 생각할 때 일어난 일을 일으키지 않는 것과 비교
하고 생각하는 것은 철학적으로 잘못되었다는 기재가 있었던 것 같아요. 내 이해는 쫓아
붙어 있지 않습니다만, 여기는 “생성(일어나는 일)”과의 관계로, 매우 흥미롭게 읽게 해
받았습니다.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마루이치
1.0 out of 5 stars 예상치 못한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1, 2021
글꼴로 화제의 반출생주의에 대해서, 개설을 알고 싶었던 곳, 우연히 서점에서 보였으므로 구입.
「반출생주의를 동서의 철학 속에 위치시키면서, 이것에 대한 반론을 찾아 간다」라고 하는 목표는 매력적입니다만, 그 시도가 달성되고 있는가 하면 미묘… 읽은 단계에서는 매력적으로 보였지만, 읽는 동안 이야기를 씹는 구체적인 예가 적절하다고 생각되지 않거나 전반에서 고전적인 사상을 정리하고 있지만 최종 장의 필자의 주장에서는 그들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시리즈의 최초라고 하는 것은 있지만 「이 건에 관해서는 후의 논고에 양보한다」적인 표현이 많거나, "출생주의는 좋지 않다"는 소박하고 직관적이고 도덕적인 결론있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저자 트위터를 들여다 보면 일반인과 레스바하고 있어 약간 힘들어…
20 people found this helpful
=======
yusura
1.0 out of 5 stars 종합적으로 열악한 책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14, 2021
한마디로 말하면, 취급되는 주제가 저작자의 역량과 교양을 크게 넘고 있습니다.
저자는 청토사에서 발간된 '반출생주의를 생각한다'는 책에서
반출생주의를 「가상 적」이라고까지 말한 모리오카 씨.
자신이 포섭할 수 없는 장대하고 중후한 테마를 이러한 졸속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형식으로 출판해 주었으면 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치열한 시도를 초극 등이라는 미사려구로 학생에게 꾸미지 않게 하고 싶다.
저자는 자신도 반출생적인 질문에 얽힌 혼자라고 변명하면서 예에 따라 결론 있어 논의로 시종합니다.
이 저자는 『초식계 남자의 연애학』이라고 하는 "시대와 자는"서를 잇달아 간행하고 있었습니다.
나는 이 시점에서도 이 사람의 가벼움과 철학적 소양에 대해 전혀 신용할 수 없었다.
저자에게 추종하는 출판사에 대해서도 자연스럽습니다.
저자의 다음 먹이가 된 것이 요즘 주목을 받고 있는 이 주제일 것입니다.
세상에서 이목을 모으는 화제에 대해서는 민첩하고, 카피라이터적인 타이틀로 유도해, 밀도가 얇은 책을 발간하는 것이 이 저자의 특질이며 스타일일까 생각합니다.
현재 이미 행해지고 있습니다만, 일본에서는 반출생주의에 관한 제1인자다운 인물로서 인터뷰등도 받아, 넷상에서는 기사에도 되고 있습니다.
반출생주의가 되는 것이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고 사고되고 있는 현재, 아카데미즘의 장으로부터 이러한 경박한 악서가 발간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이 선도하고 선동할 위험성을 저자와 출판사 측은 냉정하게 고려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한 일본에서 아마존의 높은 평가가 불가해하지 않습니다.
같은 저자가 작성한 『무통문명론』이라는 저작의 일부가 고등학교용 「국어」교과서에 채용되고 있습니다.
저는 민간 학습 학원에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입장입니다만, 곤혹과 학생들에 대한 동정을 금할 수 없습니다.
현장에서 "왜, 이렇게 괴로워야 하는가?"라고 젊은 학생에게서 발해지는 절실한 질문에 대해 '무통문명론'을 읽는 것을 강요하는 사회적 광기에 대해 전혀 제안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질문은 특히 현재의 코로나 태에서 고통받고 있는 학생에 한하지 않고, 전국민, 인류가 공유하는 보편적인 질문일 것입니다.
이 저작은 '생존해야 한다는 폭력'에 대한 항변으로서 무력하다.
문부 과학성의 검열 레벨을 좋아하는 「건전한」도덕 의식을 가지고 계신 분은 ☆ 4 ~ 5 등으로 만족하실 수 있습니다.
세세한 일본의 학술 마을의 논의 등, 무엇보다 상대로하지 않을 차세대 분들을 위해서 부언해 둡니다
시오란 등의 고전과 차분히 마주 보게됩니다.
Reddit의 Antinatalism 기사를 읽는 것이 훨씬 흥미롭고 공정한 것 같습니다.
13 people found this helpful
===
Amazon 고객
=======
키타로
5.0 out of 5 stars 만남 「인간은, 무엇을 위해서 살아가는 것일까」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5, 2021
Verified Purchase
寅次郎「어려운 일을 듣지 말아라. 뭐라고 할까. 아- 태어나서 좋았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편하지 않아.
寅씨라면 이상으로 끝이지만, 저자와 같은 철학자라고 대답하는 것도 힘들군요.
게다가 이 저작은 시리즈 첫 번째 작품에 불과하고, 이에 이어지는 일련의 저작을 통해 저자는 철학계의 새로운 장르 "생명의 철학"구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베네타의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를 구입한 곳, 밸런스를 취할 생각이나 아마존의 AI에 의해 본서를 추천되었습니다.
어른스럽게 거기에 따라 구입했습니다만, 역시라고 할까 반출생주의에의 정면으로부터의 철학적 챌린지는 일근줄로는 가지 않는 모습으로 읽을 수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마화 없이 신중하게 이론을 진행하려고 하는 저자의 스타일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호의적으로 읽을 수 있었습니다.
또, 이 손의 책으로는 문장이 비교적 읽기 쉬워, 나와 같은 무학자에게도 스트레스 없이 읽을 수 있었습니다.
이 저작에 "과연"이라고 납득하는 대답과 같은 것을 기대해서는 안됩니다.
저작에 의해 제시되는, 「탄생 긍정의 철학」에 이르는 심리적인 차원에서의 2개 길(가능 세계 해석/반-반출생주의 해석)입니다만, 정직한 곳, 자신을 그러한 심경에 까지 도달하려면 상당한 어려움을 느낍니다.
그러므로 향후 계속되는 시리즈 중에서의 추가 논의에 대한 기대가 부풀어 오릅니다.
많은 분들에게 추천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10 people found this helpful
=====
Tod
5.0 out of 5 stars 노작이라고는 생각하지만…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1, 2021
Verified Purchase
의지의 부정을 말한 쇼펜하우어에게 이 세상은 지옥이었고,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좋았다. 개개인에게 눈을 돌려도 인생에서 리얼한 것은 고통뿐이며, 행복과는 기껏해야 고통이 없는 상태에 불과하다. "가장 행복한 인간의 가장 행복한 순간은 잠에 빠진 순간이며, 가장 불행한 인간의 가장 불행한 순간은 깨어난 순간이다." 존재하는 것을 그만두는 것이다. 죽음은 생식이라는 죄장에 의해 좌절된 매듭을 괴롭히면서 풀어내는 것이다. 다른 개체라는 형태로 생을 반복한다는 의미에서의 생식행위는 생에 대한 의지의 궁극의 긍정이기 때문에 우리는 그 행위에 대해 수치와 죄책감을 느낀다. 성적 충동으로 개체를 움직이고 있는 것은 맹목적인 의지이기 때문에 그 행위를 끝낸 순간 우리는 실망과 환멸을 느낀다. ‘쾌락에 맞는 분개는 없다’는 것도 그때 개체는 종족의 의지에 춤추고 있었던 것이지만, 행위를 마친 순간 환상은 사라지고, 깨끗해진 것을 깨닫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기까지 인생을 부정하는 쇼펜하우어에서도 자살을 긍정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자살이란 의지의 부정이 아니라 의지의 강렬한 긍정이기 때문이다(단 아사에 의한 자살은 제외한다).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욕구는 살고 싶다는 욕구일 뿐이다. 그 욕망의 멸각이야말로 의지의 부정일 것인데.
이 책에 따르면 베네타의 견해도 비슷한 것 같다. 베네타는 매우 논리적으로, 「쾌락/고통」이 「존재하는 경우/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사상한으로 나누고, 쾌락도 고통도 존재하지 않는 not bad 상태는, 고통이 존재하는 bad 상태보다 나쁘지 않다”, 따라서 존재하지 않는 것이 “선한”이라는 결론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탄생해 악론을 주장하는 그 베네타도, 자살에 관해서는 소극적인 긍정에 머물고 있는 것 같다.
개관하면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는 반출생주의의 주장은 고금 동서에서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사죽음'이라는 자살옹호론은 극히 적다(예외도 있지만). 그리고 거기에는 실은 꽤 깊은 (부 또는 얕은?) 이유가 있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철학자는 행위가 아니라 말로 자신의 사상을 표현한다. 철학자에게는 말이 전부이며, 행위가 거기에 따를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철학자는 얻어 언행 불일치에 빠진다. 위대한 철학자만큼 그 경향이 강하다. 그것을 받아들여야 하는지 여부는 어려운 문제일지라도, 일반적으로는 자신의 말대로 행동하지 않는 인간은 '왓츠키'라고 불리며 비난된다.
여기에 자살을 추천하는 한 명의 철학자가 있다고 한다. '죽은 것이 낫다'는 것, 인간은 자살해야 하는 것, 그것이 이성이 도착하는 올바른 대답이라는 것을 그가 논리적으로 증명했다고 한다. 그러나 '여사사베시'라는 그의 주장은 다음 한마디로 쉽게 반박될 수 있다. 즉 「그럼 어째서 너는 살아 있는 거야」라고. 죽는 것이 그렇게 좋은 일이라면, 그것을 주장하고 있는 너가 우선 맨 먼저 죽어서는 안 되는 것인가.
객관적으로 보면 존재보다 비존재 쪽이 분이 좋은 것은 확실할 것이다. 많은 인간이 그 사실을 알고 있으며 때로는 그렇게 입을 달리기도 한다. 가벼운 농담으로. 아니, 그것은 농담이 아니라 진실이지만, 실제로 죽을 생각은 없다. 「죽은 것이 낫다」라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죽는 것의 사이에는, 하늘과 땅 정도의 열기가 있다.
그러므로 아무도 "죽은 것이 더 낫다"고 굳이 말하지 않는다. 「그럼 죽으면 좋겠다」라고 말하고 싶지 않고, 죽을 생각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래도 삶에 피곤할 때가 있다. 그럴 때 어떤 사람은 이렇게 말한다. "일단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는데"왜? 왜 「죽은 것이 낫다」라고는 말하지 않고 「태어나지 않았던 것이 낫다」라고 하는 것인가. 그것은 그렇게 말해두면, 누구로부터도 돌진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사람은 죽을 수 있지만 태어나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적어도 태어난 지금은.
요컨대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라고 하는 한숨은, 자살하는 용기가 없는 약자가, 타자로부터의 츳코미를 미리 회피하기 위한 방편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닐까. 그렇게 중얼거린 곳에서 「그럼 너 태어나지 말라」라고는 아무도 말하지 않는다. 말할 수 없다. 왜? 그런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시미스트는 안심하고 자신의 암캐를 들려줄 수 있다. 단적으로 말하면 그것은 단지 8개 당이다. 어떤 인물에 대해 불평하고 싶지만 직접 불평을 할 용기가 없기 때문에 그 인물의 부모에게 불평을 하는 것과 동단이다.
(여전히 논란하면서 니체는 생에의 의지를 긍정 등 하고 있지 않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하고 있다. 그는 쇼펜 아우어에 의한 「생에의 의지의 부정」을 부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부정의 부정」 (와)과 「긍정」은 다르다.존재나 탄생을 정말로 긍정하고 있는 인간이면, 원래 철학등이라고 하는 길에 헤매는 일은 없을 것)
이상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개인적 소감이며, 이하는 본서에 있어서의 모리오카의 논의에 대한 개인적 감상(낭비)이다.
모리오카는 말한다.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과 "내가 태어나지 않았던 것"은 다르다"고. 왜냐하면 「전자는 반사실적으로 상상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후자는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모리오카는 이 문제를 P.285 이후에 상세히 논의해 “이것은 새롭게 발견된 명제일 가능성이 있다”고까지 말하고 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자신에게는 이 두 가지의 차이를 잘 몰랐다. 확실히 전자는 현재 긍정형의 가정법이며, 후자는 과거 부정형의 가정법이라는 문법적인 차이는 있다. 그러나 결국은 같은 것이 아닐까.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내가 태어나지 않은 것"을 상상하는 것도 가능하고, "내가 태어나지 않은 것"을 상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것도 불가능할 것이다.
라고 어떤 즉 모리오카의 결론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던 것인가?」라는 질문은 「태어난 것」과 「태어나지 않은 것」이라고 하는 비교 불가능한 양자를 비교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부당한 질문이다 라고 하는 것 같다. 그러나 이만큼의 종이 폭을 나눈 끝에 도착한 결론이 "태어나 버린 것은 어쩔 수 없다"는 어리석은 대답이라는 것은 정직 어깨 워터 마크의 느낌을 닦을 수 없다.
엄격한 평가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모리오카가 J철학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서에 있어서 모리오카는 고금 동서에 있어서의 반출생주의의 사상을 망라해 음미하고 있다. 그것은 그것에 의미있는 것입니다. 노작이라고는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J철학일까. 일본 독자적인 철학일까.
무엇보다 모리오카에 의하면 본서는 아직 준비 단계에 불과해, 향후 「생명의 철학」이 본격적으로 전개하게 될 것 같다. 속편의 간행을 기다리고 싶다.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천자만홍
5.0 out of 5 stars 반출생주의에 대하여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5, 2021
Verified Purchase
반출생주의라는 들리지 않는 문구는,
실은 고대 그리스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면과 방어된 질문 중 하나입니다.
태어나지 않는 것이 더 좋았습니까? 와의 자문 자답은,
그 농담의 차이야말로, 누구나 한 번 정도는 입을 달릴 것 같은 감상을 포함하는 것이 아닐까요.
거기에는 심리학적인 인지와 철학적인 고찰이 혼재하고 있는데,
본서에서는 철학적인 관점에서 반출생주의를 반박하고, 반박하고 다한 곳에서,
「태어나서 좋았다」라고 하는 심리적 긍정이 태어나는 기전을 선명하게 나타내고 있어,
지적인 감동을 맛볼 수 있습니다.
속편이 기대됩니다.
3 people found this helpful
=====
TWIN
2.0 out of 5 stars 「지금, 이 순간에 고통받고 있는 자신」의 역에는 서지 않았다
Reviewed in Japan on December 26, 2020
철학서로서의 우열이 아니라, 「자신에게 있어서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로의 평가입니다.
제목에 관심을 끌고 읽었지만,
“섭식 장애나 우울증 등으로 23년 끌어당긴 40세의 남자”인 나의 도움에는 서지 않았습니다.
어디까지나, 「철학을 좋아하는 사람을 위해서 쓰여진 철학서」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지금, 고통받고 있는 사람」을 위해서 쓰여진 테라피적인 책이 아닐까.
전반의 베네타나 쇼펜하우어의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
라는 사상과 논리 전개는 심플하고 알기 쉽고, 강한 공감을 기억했습니다.
야지냐발키야, 붓다의 고대 인도 철학의 해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단, 중반 이후의 니체의 분석당부터,
「알기 어려운 철학을, 알기 어려운 문장으로 해설한다」라고 하는 철학서에 흔한 전개가 되어,
개인적으로 지루하게 느껴 버렸습니다.
그래도 인내심을 짜서 읽었지만,
끊임없이 이어지는 "말 놀이"를 견딜 수 없었고, 마지막 장의 도중에 마음이 부러졌습니다.
23 people found this helpful
=======
mountainside
HALL OF FAMETOP 10 REVIEWER
5.0 out of 5 stars 원시의 「긍정」과 「부정」의 변증법!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1, 2020
①마치 헤겔 철학으로 말하면, 생의 「긍정」과 「부정」의 변증법과 같은 「생의 철학」이다.
②생의 부정의 철학을 부정하는 것으로부터 생의 긍정의 철학(생의 철학)을 도출한다. 부부(남녀)의 성적 행위로부터 아이가 태어나기 때문에, 아이(생명)를 기르는 결정권은 부부(남녀)에 있다.
② 태어난 아이가 성장하고 자사를 선택하는 것은 「자기결정권」에 속한다. "태어나지 않는 것이 좋았다"고 자기 판단하고 자사를 선택하는 것은 본인의 자유이다.
③ 그러나 일신교적 세계에서 자살은 종교적 죄이다. 천지창조는 하나님의 의지이며, 이 세상에 태어난 이상은 살아야 한다. 인간이 노력하고 신앙에 사는 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늘리는 행위이다.
④불교는 삶이 ‘고’이며 번뇌를 끄고 깨달음을 여는 것이 윤회의 고통, 업(갈마)에서 해방되는 유일한 길이다.
여기에는 부처의 생의 무상감, 「고」를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는 페시미즘이 있다.
⑤ 서양근대철학, 실존주의는 생의 긍정론의 철학적 근거를 준다. 니체의 영복회귀의 사상, 운명애, 힘에 대한 의지는 삶을 긍정하는 철학이다. 사르트르의 자유로운 선택으로서의 사회참가(앙가주만)도 원시의 긍정론과 가치선택의 자유가 포함되어 있다.
⑥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운명」이며,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사는 '의미'(무의미, 부조리)를 찾는 '생의 철학'은 필요하다.
추천 한 권이다.
23 people found this helpful
========
뭐야, 遍路군
TOP 100 REVIEWERVINE VOICE
4.0 out of 5 stars ”생성”..., 매우 흥미롭게 읽어 주셨습니다.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23, 2021
Verified Purchase
철학적 관점에서 리뷰를 쓸 수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읽어 보는 감각적
인상을 썼습니다.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라는 말은, 자신 중에
들어오기 어려운 느낌이 듭니다. 불교의 생각으로 끌고 있는, “태어났다”
그런데 생각한다는 말은 순조롭게 들어옵니다. 아마도 내 자신에게 "죽음"
기피하는 마음이 그렇게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히로시마의 원폭 투하에 대해 생각할 때 일어난 일을 일으키지 않는 것과 비교
하고 생각하는 것은 철학적으로 잘못되었다는 기재가 있었던 것 같아요. 내 이해는 쫓아
붙어 있지 않습니다만, 여기는 “생성(일어나는 일)”과의 관계로, 매우 흥미롭게 읽게 해
받았습니다.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마루이치
1.0 out of 5 stars 예상치 못한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1, 2021
글꼴로 화제의 반출생주의에 대해서, 개설을 알고 싶었던 곳, 우연히 서점에서 보였으므로 구입.
「반출생주의를 동서의 철학 속에 위치시키면서, 이것에 대한 반론을 찾아 간다」라고 하는 목표는 매력적입니다만, 그 시도가 달성되고 있는가 하면 미묘… 읽은 단계에서는 매력적으로 보였지만, 읽는 동안 이야기를 씹는 구체적인 예가 적절하다고 생각되지 않거나 전반에서 고전적인 사상을 정리하고 있지만 최종 장의 필자의 주장에서는 그들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시리즈의 최초라고 하는 것은 있지만 「이 건에 관해서는 후의 논고에 양보한다」적인 표현이 많거나, "출생주의는 좋지 않다"는 소박하고 직관적이고 도덕적인 결론있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저자 트위터를 들여다 보면 일반인과 레스바하고 있어 약간 힘들어…
20 people found this helpful
======
yusura
1.0 out of 5 stars 종합적으로 열악한 책
Reviewed in Japan on January 14, 2021
한마디로 말하면, 취급되는 주제가 저작자의 역량과 교양을 크게 넘고 있습니다.
저자는 청토사에서 발간된 '반출생주의를 생각한다'는 책에서
반출생주의를 「가상 적」이라고까지 말한 모리오카 씨.
자신이 포섭할 수 없는 장대하고 중후한 테마를 이러한 졸속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형식으로 출판해 주었으면 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치열한 시도를 초극 등이라는 미사려구로 학생에게 꾸미지 않게 하고 싶다.
저자는 자신도 반출생적인 질문에 얽힌 혼자라고 변명하면서 예에 따라 결론 있어 논의로 시종합니다.
이 저자는 『초식계 남자의 연애학』이라고 하는 "시대와 자는"서를 잇달아 간행하고 있었습니다.
나는 이 시점에서도 이 사람의 가벼움과 철학적 소양에 대해 전혀 신용할 수 없었다.
저자에게 추종하는 출판사에 대해서도 자연스럽습니다.
저자의 다음 먹이가 된 것이 요즘 주목을 받고 있는 이 주제일 것입니다.
세상에서 이목을 모으는 화제에 대해서는 민첩하고, 카피라이터적인 타이틀로 유도해, 밀도가 얇은 책을 발간하는 것이 이 저자의 특질이며 스타일일까 생각합니다.
현재 이미 행해지고 있습니다만, 일본에서는 반출생주의에 관한 제1인자다운 인물로서 인터뷰등도 받아, 넷상에서는 기사에도 되고 있습니다.
반출생주의가 되는 것이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고 사고되고 있는 현재, 아카데미즘의 장으로부터 이러한 경박한 악서가 발간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이 선도하고 선동할 위험성을 저자와 출판사 측은 냉정하게 고려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한 일본에서 아마존의 높은 평가가 불가해하지 않습니다.
같은 저자가 작성한 『무통문명론』이라는 저작의 일부가 고등학교용 「국어」교과서에 채용되고 있습니다.
저는 민간 학습 학원에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입장입니다만, 곤혹과 학생들에 대한 동정을 금할 수 없습니다.
현장에서 "왜, 이렇게 괴로워야 하는가?"라고 젊은 학생에게서 발해지는 절실한 질문에 대해 '무통문명론'을 읽는 것을 강요하는 사회적 광기에 대해 전혀 제안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질문은 특히 현재의 코로나 태에서 고통받고 있는 학생에 한하지 않고, 전국민, 인류가 공유하는 보편적인 질문일 것입니다.
이 저작은 '생존해야 한다는 폭력'에 대한 항변으로서 무력하다.
문부 과학성의 검열 레벨을 좋아하는 「건전한」도덕 의식을 가지고 계신 분은 ☆ 4 ~ 5 등으로 만족하실 수 있습니다.
세세한 일본의 학술 마을의 논의 등, 무엇보다 상대로하지 않을 차세대 분들을 위해서 부언해 둡니다
시오란 등의 고전과 차분히 마주 보게됩니다.
Reddit의 Antinatalism 기사를 읽는 것이 훨씬 흥미롭고 공정한 것 같습니다.
13 people found this helpful
======
진분당 TOP
철학·사상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지? 철학자·모리오카 마사히로씨와 「반출생주의」를 생각하는
2020.11.11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지? 철학자 모리오카 마사히로 씨와 「반출생주의」를 생각하는 iStock.com/portishead1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은 잘못이며, 태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이 "반출생주의"의 사상이 지금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철학자·모리오카 마사히로씨(와세다대학 인간과학부 교수)에 의하면, 실은 이 사상은, 인류 25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유럽에서 아시아까지를 시야에 담아 반출생주의의 전체상을 나타내, 그 극복을 도모한 일본 최초의 책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쓰쿠마 선서)보다, 소개를 발췌해 소개하겠습니다.
책 정보는 이쪽 Share
나는 태어나지 않는 것이 더 좋았습니까?
「생명의 철학」이 커버하는 폭넓은 테마 중에서, 본서에서는 우선 하나의 질문을 거론하고,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그것은 "나는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라는 것이다. 옛날부터 이 질문은 여러 번 반복해서 물려왔다. 「생명의 철학」의 중심에 있는 통절한 질문의 하나이다. 나 자신,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라고 생각하는 것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내가 지금까지의 인생에서 친한 사람들로 해 온 여러가지 일을 생각할 때마다, 「아, 이런 나 등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던 것이다」라고 생각해 버린다. 혹은, 자신이 어느 쪽은 죽어야 하는 것에 생각을 느끼게 할 때마다, 「나는 왜 죽어야 하는 인생으로 태어나 온 것일까. 이런 인생이라면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라고 생각해 버린다. 평소에는 그런 일을 잊어버렸지만, 문득했을 때 그 생각이 나를 덮쳐 불안에 빠진다. 그러나 만약 정말로 내가 태어나지 않았다고 하면, 나의 친한 사람들도 나와 관계를 가질 수 없었던 것이 된다. 물론 나는 친한 사람들에게 힘든 생각을 하게 된 적이 많지만, 그 반대로 저와 관련하여 그들이 행복과 기쁨을 느낀 순간도 분명 많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들에게 즐거운 시간이었을 것입니다. 만약 내가 태어나지 않았다면, 내가 그들에게 가져온 고통의 시간은 우주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지만, 그와 동시에, 내가 그들과 공유한 행복과 기쁨의 시간도 우주에 존재 하지 않았던 것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추천 기사
【편집자 좌담회】
인문 서 담당 편집자들이 말하는 “히트 책의 뒷면과 버즈 하는 방법과 하심” 진부도 기획실
내가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고 마음 밑에서 생각할 때, 나는 자신이 그들과 공유한 행복과 기쁨의 시간도 또한 없었다고 하고 싶으면 된다. 이것은 나와 보내는 것만으로도 행복이나 기쁨을 느껴준 그들에 대한 일방적이고 심한 폭력처럼도 보인다. 「태어난 것」도 긍정할 수 없고,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라고 생각하는 것도 긍정할 수 없다고 하면, 나는 도대체 어떻게 하면 좋을까. 한 가지 가능성은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는 암흑을 일단 빠져나가면서 그 앞에 '태어나 정말 좋았다'는 광명을 보려는 길이다. 나는 그것을 "탄생 긍정"이라고 부르고, 철학적으로 고찰해 왔다. 이에 대해서는 이 책의 끝에서 또 다시 돌아오기로 하자.
인류 250년의 역사를 가진 '반출생주의'의 사상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는 시위는 문학 속에서 자주 표현되어 왔다. 일본 문학에 있어서는, 다자이 오사무의 「태어나서 죄송합니다」(『20세기 기수』)가 유명하다. 『사양』에는, 「아아, 인간의 생활은, 그다지 미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다고 모두가 생각하고 있는 이 현실」이라는 말이 있다. 21세기 철학에서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는 사상은 널리 '반출생주의 anti-natalism'으로 불리고 있다. 반출생주의란 인간이 태어나거나 인간을 낳는 것을 부정하는 사상이다. 인간들이 이 세계로 태어나는 것은 잘못된 일이기 때문에 인간들이 태어나지 않도록 하는 편이 좋다는 생각이다. 반출생주의에는 몇 가지 변형이 있으며 한마디로 그 사상을 정리할 수 없다. 나중에 자세하게 검토하게 되지만, 데이비드 베네타의 「탄생해 악론」도 그 하나이다.
베네타는 인간이 태어나는 것은 예외없이 나쁘다고 주장한다. 태어난 사람이 친구와 가족에게 축복받은 인생을 보내고 일이 성공하고 행복으로 가득 차 있다고해도 그 사람이 태어난 것은 그 사람이 태어나지 않은 것에 비해 라고 말한다. 그리고 베네타는 인류의 단계적 멸종을 제창한다. 자살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인류가 서서히 출산을 포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이 세상에서 사라져가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본서에서는 반출생주의 가운데 자신이 태어난 것을 부정하는 사상을 「탄생 부정」이라고 부르고, 인간을 새롭게 낳는 것을 부정하는 사상을 「출산 부정」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두 가지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내가 본서에서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싶은 것은 전자의 「탄생 부정」의 사상에 대해이다. 즉, "나는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다"는 생각이다.
실은, 탄생 부정의 사상은, 문학에 있어서, 철학에 있어서, 종교에 있어서, 고대부터 면면하게 설해져 왔다.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다」는, 인류 25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현대에 있어서 갑자기 나온 것이 아니다. 본서에서는 우선 근현대 유럽의 문학과 철학, 고대 그리스 문학, 고대 인도의 종교 철학, 현대의 분석 철학을 독자적인 관점에서 다시 읽어 간다. 그를 통해 탄생 부정에 대해 지금까지 무엇이 말해 왔는지, 그리고 어떤 철학적 논점이 고찰되어 왔는지를 떠올리게 한다. 그 영업 속에서 '생명의 철학'의 하나의 윤곽선을 그려보고 싶다.
그와 동시에 태어난 것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에도 눈을 나눠가고 싶다. 아까 인용한 다자이 오사무의 「사양」에는, 다음의 말이 계속되고 있다. "그래서 매일 아침부터 밤까지, 갑자기 뭔가를 기다리고 있다. 너무 낯설다. 태어나서 좋았다고, 아, 생명을, 인간을, 세상을, 되살려 보겠습니다." 태어나서 좋았다는 것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한 걸음 한 걸음 계단을 오르게 하고 그 질문에 다가가고 싶다.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간행 기념 살기 어려운 시대의 「반출생주의」, 그 극복은 가능한가? 스기타 슌스케 × 모리오카 마사히로 온라인 토크 이벤트 11/24 개최!
이 책을 쓴 사람
모리오카 마사히로(모리오카·마사히로) 와세다대학 인간과학부 교수
1958년생. 도쿄 대학 대학원 인문 과학 연구과 박사 과정 단위 취득 퇴학. 오사카 부립 대학에서 박사 (인간 과학). 현재, 와세다대학 인간과학부 교수. 철학, 윤리학, 생명학을 중심으로 학술서에서 에세이까지 폭넓은 집필 활동을 실시한다. 저서에 「생명학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호초 서방), 「증보 결정판 뇌사의 사람」 「완전판 종교 없는 시대를 살기 위해서」(이상, 호랑관), 「무통 문명론」(트랜스뷰 ), 「결정판 느끼지 않는 남자」(치쿠마 문고), 「만화 철학 입문」(고단샤 현대 신서) 등이 있다. Twitter: @Sukuitohananika
===
우리는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철학자 모리오카 마사히로씨가 "반출생주의"를 신저로 취급하는 이유
마키우치 승평
Oct. 21, 2020, 11:00 AM LIFE31,888
트위터
…
모리오카 마사히로 · 와세다 대학 교수의 신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지? 』. 철학의 관점에서 반출생주의에 자신도 공감을 느끼면서도 거기에서 벗어나는 사고방식을 논하는 화제의 책이다.
모리오카 마사히로 · 와세다 대학 교수의 신저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지? 』. 철학의 관점에서 반출생주의에 자신도 공감을 느끼면서도 거기에서 벗어나는 사고방식을 논하는 화제의 책이다.
필자 제공
「반출생주의」(안티나탈리즘)라는 말을 아십니까?
“나는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다”, “고통스러운 이 세계에 아이를 낳지 않는 편이 좋다”. 그러한 사고방식입니다.
이 '반출생주의'라는 말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잡지 '현대사상'이 2019년 11월호에서 '반출생주의를 생각한다'는 특집을 맺은 것도 화제가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제창자 중 한 명인 철학자 데이비드 베네타는 저서에서 <존재해 버리는 것은 항상 심각한 해악이다> 라고 써, <인류는 멸종하는 편이 좋다> 고 결론 내리고 있습니다 . 거기까지 극단이 아니어도, 다양한 이유로 아이를 가지지 않는 인생을 지향하는 「차일드 프리」라고 하는 생각도, 「반출생주의」의 하나라고 하는 설도 있습니다.
지금, SNS에서는 「반출생」이나, 영어명을 생략한 「안나타」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촬영 : 이마무라 타쿠마
현대사회의 '살기 어려움'을 취재하고 있는 필자는 이 현상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왜 사람은 ‘반출생’에 공감하는가?”—— 그것을 생각하면 현대의 생생함을 풀어주는 힌트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빈곤이나 격차, 가정 문제를 배경으로, 「자신과 같은 고통을 아이에게 맛보게 하고 싶지 않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치고 있어 인생에 불만은 없지만, 「살아가는 가치를 찾아낼 수 없다」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철학자의 모리오카 마사히로·와세다대학 교수는 이 정도로, 철학의 관점에서 반출생주의에 대해 논한 저서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 를 간행했습니다. 모리오카 교수는, 철학의 사고방식을 평이하게 씹어 해설한 명저『만화 철학 입문 살다고는 무엇일까? '의 저자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들으면, 모리오카 교수는, 「자신도“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지”라는 질문을 안고 살아 왔다”라고 말합니다. 그런 생각에 쓰러지는 사람에게 공감도 하면서도, 거기에서 어떻게 빠져나가는지를 계속 묻고 있는 모리오카 교수에게 인터뷰했습니다.
철학자의 생각하는 「반출생주의」란, 원래 무엇인가?
모리오카씨
촬영:마키우치 승평
—— 모리오카씨의 해석에 의한 「반출생주의」란, 어떤 사고방식입니까
한마디로 말하면, 「태어나는 것, 그리고 낳는 것을 부정하는 사상」 입니다. 반출생주의의 대표적인 철학자는 19세기 쇼펜하우어, 20세기 시오란, 21세기 데이비드 베네타의 3명이다. 이 3명 모두, 탄생에 관해서는 「태어나지 않는 것이 제일 좋다」, 출산에 관해서는 「낳지 않는 편이 좋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가장 넓은 포착 방법을 한다면, 「태어나는 것」혹은 「낳는 것」을 부정하는 사상이, 반출생주의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 인터넷을 보고 있으면, 「반출생주의란 아이를 낳지 않는 것이다」라고 하는 이해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를 낳지 않는다」라고 하는 곳에 역점을 두는 반출생주의가 인터넷 공간에서는 눈에 띄는 것입니다. 단지 현시점에서, 반출생주의의 통일된 정의는 없다.
—— 저는 잡지 『현대사상』의 특집을 읽고 처음으로 이 말을 알았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살기 어려움'을 가진 사람들에게 관심을 보이는 가운데 '반출생'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다는 것은 이전부터 깨달았습니다. 이 단어는 언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습니까?
영어의 “anti-natalism”의 번역입니다만, “반출생주의”라고 하는 일본어는 20세기에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넷 검색 이력 등을 조사해도 이 말이 자주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몇 년입니다.
물론,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다」라고 하는 생각 자체는, 오래전부터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자이 오사무가 쓰고 있네요. <태어나서 죄송합니다> 라고.
이 책에서 반출생주의의 생각은 고대부터 있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만, 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일까요? 인터넷상에서는 「아이를 낳지 않는다」 쪽에 역점이 놓여져 있는 인상이 있다고 합니다만
인터넷에서는 반출생주의에 공감하는 이유로 '사회 상황의 악화'를 말하는 사람이 일정 비율입니다. 격차 사회, 약자를 일회용 같은 사회 속에 새롭게 생명을 만들어내고 싶지 않은, 자신의 아이가 그러한 곳에 말려들어가는 것은 보고 싶지 않다, 라는 것입니다.
또 하나가 "환경 문제"입니다. 지구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아이를 새롭게 만드는 것은 무책임하지 않을까 하는 것. 특히 영어권 뉴스를 읽으면 환경문제와 반출생주의의 연결이 주목받고 있다.
나머지는 좀 더 추상적으로, 아이를 낳지 않으면 그들을 괴롭히는 것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는다는 식으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모리오카 교수의 Twitter 계정. @ Sukuitohananika.
모리오카 교수의 Twitter 계정.
트위터 @ Sukuitohananika
—— 반출생주의에 공명하는 사람에게 직접 이야기를 듣고 생각하는 것은, 아이 시대의 가정 환경, 생육 환경이 괴로웠다고 하는 사람이 많은 것입니다.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그만큼 힘든 일이 있었다면,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다」라고 생각하는 것도 이해할 수 없다」라고 생각해 옵니다
맞습니다. 부모와 자식 관계, 가정 환경의 문제가 있어, “자신이 이만큼 괴로웠기 때문에 아이를 새롭게 만들 수 없다”라고 말하고 있는 사람도 있네요.
다만, 생각해야 하는 것은 빈곤도 아니고, 차별도 받지 않고, 가정환경도 원만한데 반출생주의의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은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마법 같은 것으로 그 사람이 안는 외적 요인이 전부 해결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라든지, "아이를 낳지 않는다"든지 생각하지 않게 될 것이라고 하면, 그렇지 않다. 이 점은 많은 사람들의 직관에 반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 확실히, 자칫 당 자신의 인생에 불만은 없어도, 「반출생주의」에 공감하는 사람이 있네요. 취재시의 놀라움 중 하나였습니다. 조건부의 「이런 인생이라면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가 아니고, 본질적으로 「살아가는 가치」에 대해 의심의 눈을 돌리는 사람이 있다, 라고 하는 것입니까
그런 것입니다. 실은 이 질문에, 많은 사람이 어쩐지 눈치채고 있는 것이 아닌가, 라고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것은 사실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진정한 철학적 문제'일 수 있습니다.
—— 인터넷에서 '반출생주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쓰고 있는 사람 가운데 '안락사'에 대해서도 '찬성'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아 보이지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찬성」이라고 하는 사람이 안락사를 어떤 것이라고 파악하고 있는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한마디로는 말할 수 없습니다만, 현대의 문맥으로 생각하면, 독물을 이용해 인간을 죽일 수 있는 「적극 적 안락사」나 의사의 도움으로 자살하는 「의사 황조 자살」과, 반출생주의의 사이에는 본질적인 관계는 없다고 생각해 두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현대의 반출생주의는, 「자신이 태어난 것나 아이를 낳는 것의 선악에 주목하는 것」으로, 살아 있는 사람이 죽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생명의 철학에! (쓰쿠마 선서)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는가? ――생명의 철학에! (쓰쿠마 선서)
1,980엔
—— 모리오카씨는 왜 반출생주의에 관심을 가졌습니까?
나 자신이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지 않을까'라는 질문을 계속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탄생을 부정하는 생각이 내 안의 깊은 곳에 있다. 하지만 어떻게든 하고 싶은 거기에 머물러 있는 것은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인생을 절망으로 끝내고 싶지 않다는 소망이 강하게 있습니다.
거기서 십수년 전부터,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다」라고 하는 생각을 극복해, 어떻게 하면 「태어나서 정말로 좋았다」라고 생각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철학, 「탄생 긍정의 철학」을 세우고 싶었습니다 .
그런 무렵 데이비드 베네타라는 철학자의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다'라는 책이 출판되었습니다(※원저는 2006년, 일본 번역은 2017년에 출판).
베네타는 이리 채우기로 "태어나지 않는 편이 절대 좋다"는 것을 그 나름대로 논증했다고 주장합니다. 영어권의 철학의 세계에서는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저는 베네타로 대표되는 반출생주의를 어떤 의미에서는 '타산의 돌'로 하면서 정반대의 사고방식인 자신의 철학을 만들어 가고 싶었습니다.
—— 모리오카씨가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라고 생각하는 것은 왜입니까
자신이 살아 있는 가운데 매우 많은 고통을 느꼈다. 태어나지 않으면 그런 고통을 느낄 가능성은 처음부터 제로였다. 이렇게 생각하는 것은 당연히 있습니다.
또 하나는 내가 살아있는 가운데 익숙하지 않은 여러 사람을 다치게 해 왔다는 생각입니다. 내가 태어나지 않으면 사람을 상처 입는다는 것이 이 우주 안에서 일어나지 않았다고 생각해 버립니다. 이것은 오히려 가해성이군요.
좀 더 추상적이 되어 버립니다만, 죽음은 힘들고 괴로울 것이라고 하는 것. 아무리 건강하고 오래 살아도 죽음은 숙명을 받고 있다. 그런 삶에 왜 태어난 것일까, 라는 것이 있습니다. 다양한 질문이 접혀 있습니다.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라는 생각을 극복해 가고 싶다고. 즉 "반·반출생주의"의 입장인가요?
반출생주의란 "태어나는 것, 그리고 낳는 것을 부정하는 사상"이라고 앞서 말했어요. 전자에 대해서는,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라고 하는 생각에 묶이지 않게 살아가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지, 철학의 길을 통해 생각하고 싶다, 라고 하는 것이 나의 스탠스 입니다.
한편으로 후자, 「새로이 아이를 낳는」 것에 관해서는 그것이 좋은 것인가 나쁜 것인가, 지금까지, 철학 중에는 설득적인 대답이 나오지 않는다, 라고 하는 것이 나의 견해입니다 .
고통의 문제나, 동의 부재 론(※태어난 아이 본인으로부터 출산의 동의를 얻고 있지 않다, 라고 하는 문제)를 생각했다고 해도, 아직 결론에는 이르지 않았다. 「낳는 편이 좋다」도 「낳지 않는 편이 좋다」도, 어느 쪽도 설득력이 불충분하다고 개인은 지금의 시점에서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재 인터넷을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출생주의」라는 말에는, 통일한 정의는 없고, 각자가 쑥쑥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나는 그들을 8 종류로 분류하는 도표를 만들어 트위터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zuhan2
모리오카씨가 「반출생주의」의 논의를 정리하기 위해서 만든 분류도. '출생'과 '출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반출생주의'가 있다는 것이 모리오카 씨의 생각이다.
작화:모리오카 마사히로
예를 들어, 「인간은 괴롭지 않는 편이 좋기 때문에 모든 사람은 아이를 만들지 않는 편이 좋다」라고 하는 생각도 반출생주의라고 불리고, 「다른 사람은 모르지만 자신은 아이를 만들 생각은 없다」라고 하는 생각 심지어 반출생주의라고합니다. 이 두 가지는 상당히 다릅니다.
또, 반출생주의의 생각을 가진 사람을 중상하거나, (반대로) 아이를 낳은 사람을 중상하는 것 같은 목소리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만, 이런 것은 그만두길 바란다고 강하게 생각합니다. 반출생주의가 사람들을 분단하는 도구로 사용되어서는 안됩니다.
—— 방금 언급이 있던 베네타는 '태어나는 것'과 '낳는 것'에 대해 '선인가 악인가'로 생각하죠. 나는 이것에 위화감이 있었다. 모리오카 씨는 오히려 이런 '선인가 악인가'라는 질문이 아니라 '태어난 것을 긍정할 수 있는지'라는 문제 설정을 제창하고 있네요. 이 부분에 공감했습니다
이것은 내가 니체에서 배운 곳입니다. 「이 생명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은 선악을 넘고 있다」라고 하는 것이, 니체의 최종적인 사상의 하나입니다. 우리가 태어나 살아 죽어가는 '생성'의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은 근본적으로 선악을 넘고 있다는 주의는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층 더 말하면, 탄생 긍정할 수 있던 삶도, 할 수 없는 삶도, 선악의 그안이에요. 어느 쪽이 좋고, 어느 쪽이 나쁘다는 것은 없다. 베네터에는 이 관점이 없습니다.
인생에 있어서, 거기서 시간이 얼어 버리는 듯한 중대한 슬픈 사건을, 나는 「파단」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만, 파단이 일어나 버린 인생도, 그 파단이 혹시 일어나지 않은 인생도, 선악은 비교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 세계관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나는 그쪽에서 생각하고 싶네요.
—— 모두가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는 생각을 극복해야 할까요?
「태어나서 좋았다」라고 생각하고 싶은 사람이 그렇게 생각할 수 있는 사회는, 좋은 사회일 것이다라는 바람에 나는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앞서 말한 외적 요인(빈곤이나 가정 문제 등)에서 "태어나지 않으면 좋았다"고 생각해 버리는 사람이, 거기로부터 탈출하고 싶으면, 그것을 밀어주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모두가 「태어나서 좋았다」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은 아닙니다.
반출생주의의 사고방식을 계속해서 죽는다는 삶의 방법도, 나는 일관된 생활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탄생을 부정하고 죽는 삶과 탄생을 긍정하고 죽는 삶 사이에는 가치의 상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제 철학은 반출생주의를 전면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반출생주의를 안면서도 거기에서 탈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생각하는 것 입니다.
모리오카 씨의 개인 사이트
모리오카 씨의 개인 사이트.
촬영:이토 아리
—— 사람들이 태어나서 좋았다고 생각하기 위해 빈곤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DV 등의 가정 문제도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한편, 그 노력은 계속한다고 해도, 불행히도 그러한 외적 요인이 제로가 되거나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태어나서 좋았다"고 생각할 수 있을까요?
그것은 계속 생각하는 것입니다. 태어나서 좋았다, 즉 "탄생 긍정"이란 원래 무엇인가. 사람에게 그런 일을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 나의 큰 질문입니다. 특히, 인생에 큰 파단이 일어났을 때, 그래도 태어난 것에 예수라고 말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을 나는 계속 가지고 있습니다.
—— 파단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탄생을 긍정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파단이 일어났다」라고 하는 것과, 「파단이 일어난 후에도 내가 여기까지 서바이벌해 오고 있다」라고 하는 것을 나누어 생각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들은 상당히 혼동되어 버립니다만, 별도의 일입니다. 어떤 사건이 일어난 것은 절대 긍정할 수 없지만, 그것을 잠수해 내가 지금까지 살아남은 것은 긍정할 수 있다. 그렇게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이 이야기는 더 설득력을 가지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지금은 아직, 아도 아니다, 이렇게도 아니다,라고 생각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실제로 탄생 부정의 생각에 달려 있고, 이것을 어떻게 하고 싶은 사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지, 어떻게 생각하면 좋을지, 최종적으로는 철학자로서 하나의 전망을 대답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임상 심리학 분야이지만, 철학자가 대답할 수 있는 부분도 있을 것 같기 때문입니다. 탄생 긍정의 개념을 기초로 하여 철학을 이제는 모두 기초부터 다시 보고 싶습니다.
공작기계의 세계적인 메이커에게 듣는 「카본 중립」유럽 시장의 실태
공작기계의 세계적인 메이커에게 듣는 「카본 중립」유럽 시장의 실태
Sponsored by ORIX
현대에 반출생주의가 퍼지는 배경을 주시
촬영 : 이마무라 타쿠마
모리오카씨의 신간에서는, 반출생주의적인 사고방식이나, 탄생 부정의 사상이, 고전 문학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또 철학 속에서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 나아가 고대 인도의 원시 불교 와의 관계가 깊이 논의되었습니다.
본서의 내용과 인터뷰를 근거로, 그러한 생각을 가진 사람을 부정해서는 안된다는 모리오카 씨의 견해에 더 이상 어울립니다. “탄생을 부정하고 죽는 삶과 탄생을 긍정하고 죽는 삶 사이에 가치의 상하는 없다”는 말은 인상적이었습니다.
한편 현대 사회에서 반출생주의가 퍼지는 배경에는 충분히 주의해야 한다고 필자는 생각합니다. 빈곤과 격차, 마이너리티의 존재의 경시. 페미니즘 운동의 고조와도 관련이 발견된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에 굶주린 결과, 부득이하게 「반출생」에 공명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큰 문제입니다. 반출생주의를 보편적인 사상의 하나로 받아들이면서도, 한사람 한사람이 「어째서 반출생주의가 된 것인가」를, 항상 생각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닐까요.
(문・구성, 마키우치 승평)
관련 기사
악화하는 「아이 동반 헤이트」. 역에서 유모차를 걷어차고 SNS의 #방치자 #도로족으로 쫓기는 엄마들
모리오카 마사히로(모리오카·마사히로) : 1958년생. 철학자. 와세다 대학 인간 과학부 교수. '탄생 긍정(=태어나 정말 좋았다고 마음 밑에서 보이는 것)의 철학'의 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무통문명론』 『생명학을 열다』 『느끼지 않는 남자』 『뇌사의 사람』 『만화 철학 입문 살다는 것은 무엇일까? 』 등 저서 다수.
참고: 이 문서의 링크를 통해 아마존에서 제품을 구매하면 편집부와 아마존 간의 제휴 계약으로 인해 편집부가 일정 비율의 이익을 얻게 됩니다.
관련 기사:
반출생주의
철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