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17

내단술 - J Wikipedia

내단술 - Wikipedia

내단술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네비게이션으로 이동검색으로 이동
내단술의 수련과정을 상징적 신체로 표현한 '내경도'(베이징·백운관 소장)

 탄술(아니탄술)은 천지만물의 구성요소인 「」를 기르는 것으로, 자신의 신중에 신비한 영약인 「내탄」을 만들어 [1] , 신심을 변용 시켜,  (타오)과의 합일을 목표로 하는, 성명을 안쪽에서 단련하는 중국의 전통적 수행 체계이다.

이 항목에 포함된 문자 연마 " 는 운영 체제 나 브라우저 등의 환경에 따라 표시가 다릅니다.

개요 편집 ]

내단술은, 행기·도인· 존재· 태식 등의 전통적인 도교 의 신체 기법에 착상을 얻어, 인체에 내재하는 근원적 생명력 인 “  ”를 응집·활성화해, 신심 를 있어야 하는 형태로 되돌리려는 수행 체계이다. 인간은 「」의 일부를 내포하고 있어, 길은 일상적 신체에 있어서 신경 쓰러지는 도상에 있어 그 본래성은 잃어버리지 않는다고 해, 수련을 쌓는 것으로 회복을 목표로 한다.

「길」이란 「기」를 존재시키는 근원이며 이법이며, 마음은 만물을 구성하는 요소로 된다. 근원으로서의 길은 형이하에서는 마음으로 나타나 음양 오행 의 운행 원리를 내재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우주의 만물은 마음으로 구성되어 현실에 존재할 수 있다는 세계관이 성립된다 [2] [3] .

내탄술의 수련이란, 본래 순수한 마음을 갖고 태어나고, 생에서 죽음으로의 과정에서 욕망 등으로 손모가 되고 있는 인체의 마음을 「내탄」으로서 재생시켜, 마음으로서의 자기의 신심 을 생성론적 과정의 역행, 존재론적 근원으로 복귀의 코스에 얹고 이기적인 존재를 넘어 본래의 자기에게 되돌아가 [4] 천지와 같은 영원성에서 마침내 길과의 합일 에 이르는 실천 기법이다.

수련의 기본 원리는 신체를 불을 일으키는  (카마도)에 비추어, 탄다 를 냄비로 하고, 의식과 호흡을 불고, 정·기·신(광의의 기)을 원료(약물 ) 로 투입하는 것으로, 내단을 만들어 내는 것에 있다. 수련이론은 고대부터 연구되어 온 기양양생술을, 이경의 우주론과 음양오행의 복합적 심볼리즘과 중국의학 의 신체이론에 근거하여 [5] 외단술의 수술어를 빌려 완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내탄은 신체를 강건하게 하고, 생명력을 높이고, 신심에 잠재하는 힘을 개발하고, 불로장생, 마음을 통어하며, 지혜의 과를 얻고, 운명을 초극함으로써 길을 체현한다. 가능하게 한다 [6] .

중화문화권에 있어서 신센가·도가·의가가 밀접하게 관련해 영향을 끼치는 가운데 역사적으로 형성되어 온 내단술을 중심으로 하는 체계적인 자기수양의 실천과 사상의 총체를 '센도' '센학' '센종' '단도' '도가양생학' 등으로 칭한다. 이에 대해 현대 일본에서는 오로지 ' 센도 '라는 호칭이 보급되고 있다. 조선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그것은 당지에서 '국선도'라고 불리고 있다. 내단술은 현대의 「기공」의 중요한 원류의 하나가 되었다 [7] .

사상개설 편집 ]

내단술의 사상은 도가 의 철학을 기반으로 고대의 신선 사상을 받아들여 선종 과 유가 의 사상과 실천을 융합한 세계와 인간의 본성을 규명하고 성명을 고치는 현실중시의 철학체계이다 . ] [8] .

중심 개념의 '  '은 우주와 인생의 근원적인 불멸의 진리를 가리키며 도가와 유가에서 설설되는 개념이다. 노자 '는 제1장과 제25장으로 세계의 근원인 혼돈을 '길'이라고 부르며, 길은 천지만물의 일체를 창조하는 영묘한 일이 있다고 한다. 그것은 '무위자연'으로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는 자연의 일 자체이다. 제14장에서 길은 모습이나 형태는 없고 눈으로 보는 것도 들을 수 없다고 한다. 제1장에서 사람은 무욕이라면 길의 영묘한 진실을 볼 수 있지만, 욕망에 사로잡혀 있으면 그 표면적인 현상을 아는 만큼 머무른다고 한다. 제25장은 인간도 만물과 마찬가지로 길인 자연의 운행에 법을 따르는 것을 설교하고 있다 [9] [10] . 장자 '는 '지호쿠 유편'의 동곽자로, 진실재로서의 '길'은 이 눈앞의 세계를 떠나 있는 것이 아니라 만물은 길을 포함 '만물은 길의 모습'이다 라고 말해, 길은 이 현실 세계에 있어야 한다고 나타낸다. 사물물론편」은, 인위에 의한 2원적 판단을 버리고 있어 그대로의 진실을 보면, 인간을 포함한 일체의 만물은 굳게 같다고 「만물사동」을 말해, 길은 통하여 하나라고 하면 「만물의 일체」를 말한다. [11] [12] .

또 다른 중심 개념인 「」는 유가, 도가 및 의사 등에 있어서의 공통의 기초이며, 기는 「중국 사상」의 특징이다 [13] [2] . 『노자』 제10장은 「마음에 들고 부드러움을 치고, 능숙하게 갓아 타란카」[14] 라고 마음의 소중함을 설교하고, 「장자」「치호쿠 유편」은 "사람의 삶은 마음의 끓어오르게 된다. 되살아나면 칙칙한 삶과, 흩어지면 칙칙한 죽음으로 한다" [15] 라고, 기의 집산에 의한 사생관을 설명한다. 내단술의 세계관은, 전체 우주는 「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인간도 또 같은 마음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는 기일 원론의 입장이다. 나는 물질을 구성함과 동시에 생명활동이나 마음 등의 불가시의 작용이기도 하다고 한다 [16] . 이케이 '는 우주의 삼라만상을 음과 양이 교대로 소장하는 음양 의 변화 과정으로 설명하는 일종의 자연철학이다. 오행의 순환에 의해 만물의 변화를 파악 하는 오행설 과 일체화한 음양 오행 사상 은, 우주의 운행과 변화를 이해하는 「개념」(틀)으로 되어, 천지 만물의 일체인 「기」의 생성 변화의 이벤트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마음으로 이루어지는 인간도 자연과 마찬가지로 음양 오행의 운행 원리에 의하고 있다 [3] .

『노자』 제42장의 「길은 1을, 1은 2를, 2는 3을, 3은 만물을 낳지 않는다」[14] 혹은 『이케이』연사상전의 「태극 → 양의 → 사상 → 팔경 ' [17] 은 근원으로부터의 천지 만물의 생성론 을 설명한다. 도가의 길의 철학과 유가의 태극의 철학은 한대 에는 묶여 있었고, 또 세계의 생성을 '신경'에 맡기는 사상이 학파를 넘어 중국 사상의 공통 기반을 이루고 있었다. 이것에 의해 후한 에는, 근원인 「길」로부터 선천의 한기 가 생기고, 한기는 음양 의 2기로 이루어지고, 음양 2기는 교제해 오키와의 마음을 생기고, 음양 오키와의 3기로부터 만물이 생긴다 '길'과 '기'에 근거한 천지만물의 생성론이 설해지게 되었다 [2] .

내단술은 인간 이 생성할 때의 순서도 천지만물이 화성할 때의 순서와 같다. 처음에 근원으로서의 부모가 어우러져 선천의 한번 이 일어나 태아가 생겨, 한번은  (신, 의식)과 기의 음양 두 기로 나뉘어, 마음 (신)과 신이 몸에 묶여 성 (마음)과 생명(몸)이 분명해져,  ·  · 신의 3개가 갖추어져 만물로서의 갓아가 태어난다.

내단술은 인체의 구성요소로 여겨지는  ·  · 신을 삼보( zh )라고 부르며, 수태시에 부모 조상으로부터 계승하는 '선천' [18] 과 출생 이후의 '후천' [18] 으로 구분한다. .

인간은 태어나 십이 정경 의 경락 이 완성되면 기경팔맥 이 닫히고 '본성'인 선천의 신(본래의 의식, 전신)이 물러나고 후천의 신(자아의식, 식신)이 이용되고 [4] , 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음식과 호흡에서 얻는 후천의 정·신에 의지하게 되고 점차 선천의 정·기·신을 누실한다. 연령을 거듭 청년에 이르면 후천의 정·기·신은 전성기에 이른다. 정욕이 싹트고 사념은 멈추지 않고 남녀 교감하고 그늘이 늘어서 양은 사라진다. 선천적인 자연의 '본성'(원신)을 잊어버리고, 장난스럽게 현(さか)시라에 달려 성명을 해치지 않는 자연의 조화를 방해한다. 노년에 이르면, 선천의 원양(선천의 정, 생명의 근원)은 소모되어 다져, 곧 쇠퇴하고 늙고 그리고 죽어 가면 사생관 을 설명한다 [6] [7] .

『노자』 제25장은 「대하면 曰(여기)에 가고, 가면 曰에 멀고, 멀리 하면 曰에 反(かえ)한다」[14] 와 만물의 순환을 설해, 『이경』 만물을 음양어 태극도 에 나타낸 음양의 소장하는 운동체라고 한다. 선학에서는 우주의 만물에는 모두 생성 이 있으면 반드시 사멸 의 끝이 있고, 일체가 멈추지 않는 생사 소장의 변화의 과정으로 여겨지며, 허무만이 유일하게 영구 불변 불멸의 것이다. 허속에 물건은 없고, 질도 코끼리도 없기 때문에 천지가 붕괴해도 허공만은 생사를 초월해, 붕괴하는 일이 없다. 허무 는 「길」이다 [6] .

음양어 태극도

사기』「고조본기」에서  고조는 「목숨은 하늘에 있다」라고 하며, 운명 은 하늘 이 정한 것이고, 사람의 힘으로는 아무래도 움직일 수 없다고 한다. [19] . 우치탄학은 “우리 생명은 내 존재하고 하늘에 존재하지 않는다”며 길에서 주어진 “운명”과 “수명”은 자신의 힘으로 관리하는 것이고, 하늘이 정한 것은 없다고 말하고 생명 있는 것의 주체성을 존중한다.

인간은 천지만물과 같은 자연의 원리로 이루어져 정·기·신(광의의 기)을 창고 양육할 수 있다. 『노자』 제16장은 「귀근복명」[20] 에 의해 길로 복귀 를 말한다. 내단술은 이들에 근거해, 「도생일, 일생2, 2생3, 삼생만물」이라는 천지만물의 생성의 「순행」에 대해, 수련에 의해, 「삼은 2가 되어 하나로 되어 길에 돌아간다'라는 '역행'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한다. 인간에 있어서는, 하나님은 신경을 쓰고 정신이 되어 정은 형태를 이루고 자손을 창출한다고 하는 「신→기→정」이 순행의 경로이며, 「정→기→신→허」의 역행이 근원으로의 복귀라고 했다. 이것이 내단도가 전하는 천지조화의 비밀을 빼앗는 것이다. 이 「역수반원」의 방법은 「순성인, 역성선」의 원칙이 되어, 성과 생명이 허령인 「원신」(본성· 본래의 진성 [21] )으로 돌아가 [4 ] 망설임 을 떠나 길을 얻는, 만물과 감응해 길과 어울리는, 영원한 생명 도로 까지 오르고 일체가 되는 수도 중국어판 ) 의 기초 이론이 되었다 [7] .

역사 개황 편집 ]

길의 사상과 양생의 탄생 편집 ]

노자』 『장자』의 책은 춘추전국 시대 의 작으로 되어 있다. 「노자」는 신비 사상을 말한 장이 있어 일본에서는 철학이라고 생각되고 있었지만, 현재는 어떠한 수행을 수반했다고 하는 연구자가 늘고 있다 [22] [23] [24] . '장자'는 길과 일체가 되는 수단으로 '좌망', '심사이'를 설고 있다 [25] . 그것을 받고 기원전부터 기원 2세기의 ' 환남자 '까지의 초기 도가로, 허에 이르는 고도의 명상 실천이 행해졌다고 하는 설도 발표되고 있다 [26] .

황제내경 '은 춘추시대 부터 기분의 사상을 이어 전국시대 부터 전한 까지 완성된 것으로 생각되는 인체를 대상으로 심화시킨 기의의학이다. 현대의 중국의학 에서도 기본으로 하는 고전이며 [13] , 도가사상에 기초하여 음양오행사상이나 천문학을 흡수하여 집대성한 것이다 [27] . 의학서와 동시에 신선의 서로서 [28] 선도와도 밀접한 연결이 있다. 역사적으로 의사가 도사 인 예는 많고, 도교와 중의학의 관계는 깊다 [29] .

행기 '는 신경을 쓰고 활력을 온몸으로 넘어가게 하는 방법이다. 전국 초기의 출토문물 '행기옥재명'( zh ) [30] 에는 이미 행기에 의한 양생법이 기술되어 도인의 발달과 함께 행기도 중시하게 되었다. 진대 의 ' 포박자' '석 체편 ' [31] 에는 방중·복약과 함께 3대 양생법으로 꼽힌다. ·初期의 '양성 연명록'은 병의 개소에 의식으로 마음을 이끌어 치료시키는 것을 설고 있다. [27]

도인」이란 신체를 굴신해 정기를 이끌어 신심을 조정하는 양생술이다. 춘추시대에는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1973년 마왕퇴한묘 에서 출토한 진한 대의 '도인도' [32] [33] 에는 다수의 인물에 의한 다양한 동작이 그려져 있다. 후한 의 화타 는 금수의 동작을 참고로 '고금희'( zh )를 고안했다. 수염 둥지 ( zh )는 '제 병원 후론'( zh )으로 치료에 인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첫 ' 운가나나타 '는 많은 인도법을 소수하고 있다. [34] [27]

존사」는 다양한 대상을 상기시켜 마음을 조작하는 기법이다. 류요시의 '제병원 후론'에는 오장병 에 해당하는 빛의 색을 살아 병을 치유하는 방법 등이 기재되어 있다. 송 첫 '운가칠곱'에는 신들과 동천복지  일월성정 등을 떠올리며 신경을 쓰는 법 등이 담겨 있다. 신중에 체내신이 마치 존재하는 듯 살아 장생을 도모하는 법이 위진 의 상청파인 '황제외경경' 등으로 보인다. [34] [27]

방중」은 남녀라는 음양의 교제의 수술이다. 1973년 마왕퇴삼호 한묘에서 방중술의 귀중한 문헌 6점이 발굴되었다. 이 문헌의 성립연대는 춘추전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한대에는 도교에 들어가 장생의 비술로 여겨졌다. 방중술의 '환정보뇌' 기법과 내단의 관련성을 지적하는 연구자도 있다. 방중술은 음탄이라고도 불렸다 [35] . 후대에는 방중술을 도입한 계통의 '내단술'도 존재한다.

태식」은 태아가 체내에 있었을 때와 같이, 코나 입에 의존하지 않고 신경을 받아들이는 것을 목표로 한 호흡법의 일종이다. 호흡법의 역사는 오래되었고, 춘추전국시대의 '장자' '각의편'에는 '후키호흡, 토고납신' [36] 이라고 적혀 있다. 태식은 ' 후한서 ' '방술전'에 방술사·왕진이 갔다는 설명이 있다. 신의 '포박자' '석체편'에도 구체적인 수행의 모습이 설명되어 있다. 송 첫 '운가칠곱'에는 많은 태식경이 소수되어 있다. [37] [27]

외탄의 유행과 몰락 편집 ]

외탄술은 김석초목을 복용하는 '복식'이라 불리는 고대 신선방술의 하나의 발전형이다. 신농본초경』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의약서로 되지만, 본래의 목적은 선약 을 구하는 것에 있었다 [38] . 초기는 초목 중심의 선약이었지만, 점차 광물로부터 인공적으로 합성한 것을 불로불사의 단약으로서 중시하게 되어 「외단술」이 발전해 갔다. 외단술의 모아싹은 한대에 등장해 '포박자'를 저술한 서진 · 동진 의 갈대 등에 의해 확립되었다. 갈홍은 단사 ·금액 등 광물에서 합성한 단약에 최상의 가치를 두는 연탄술을 주창했다. 후한 의 사람과도 삼국오 의 사람이라고도 불리는 위백양( zh )의 『주역참동계[39] 는 배( 수은 )와 납의 배합을 연탄의 기본으로 삼았다. 이 외단서는 이리 를 이용하여 음양오행의 복합적 심볼리즘에 기초한 다양한 은어로 연탄의 재료나 과정을 표현하고 있다. '연배'라고 하면 연탄술의 대명사가 되어 연출을 나타내는 청룡·백호라고 하는 수술어는 나중의 내단술로 이어졌다. 『주역참동계』는 5대북송시절부터 내탄도의 고전으로 여겨지게 되었고, 내탄의 관점에서 해석한 주석서가 여러 개 만들어졌다.

외단에는 수은 화합물이나 비소 화합물이 포함되어 강한 독성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연탄술의 유행에 의해 수은이나 수은 화합물을 복용하고 반대로 생명을 줄이는 사람이 끊이지 않았다. 그 때문에 송대에는 광물성의 단약을 만드는 외단술은 쇠퇴해 가고, 당대보다 점차 중첩되게 된 내단술이 주류가 되어 갔다. 외단술은 불로장생의 약을 만드는 본래의 목적으로는 완전한 실패로 끝났지만 중국의 의약학과 화학의 발전에 공헌했다.

우치탄의 흥기 편집 ]

내단술은 물리적으로 단을 만드는 외단술을 대신하여 역사의 표무대에 등장했다. 우치탄이라는 말은, 남북조 시대 의 천대 종 제2 조 미나미 타케시 의 『입서 원문』에 「신탄의 약을 더해 이 소원을 수선하고, 외탄의 힘을 藉(?) 내치탄을 고치고, 중생을 싸고 싶어서 먼저 자신을 싸울 것 같다" 40] [41] [42] 된다. 여기에서는 우치탄의 말의 구체적인 의미를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불도 수행의 원원으로서 잔디와 신탄(외탄)을 이용해, 자신의 생을 싸우면서 선의 수행(우치탄) )에 매진하자는 포부를 말한 것으로도 풀린다 [43] . 또, 송요의 '남야 총승집' 서 [44] 에 '동진의 鬧鬱가 내외단을 고쳤다'는 의문 이 수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탄·외단의 별을 세우는 사례는 6조기 에도 약간 보이지만, 아직 내탄의 말의 정의는 정해지지 않고, 후세와 같은 의미에서의 「내면 단」이라고 한다 개념이 언제 명확해졌는지는 잘 모른다.

문헌상 알 수 있는 한, 내단설의 골자는  요시의 도사, 소모로( zh )에 의해 처음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라부산지회편』에 그려진 그 소설에는 '신탄을 심련에 돌린다'며 이미 성명쌍수( zh )의 사상이 드러나 있다. 그 후, 내단은 사회에 알려지게 되었고, 수련기의 다양한 문헌에 내단의 말이 나타나게 되었다. 외탄술이 융성을 다한 당대 에는 '상동심경단' [45] 을 비롯해 내외단의 쌍수를 설교하는 단경도 많았지만 외탄술은 송대 에게는 점차 아래 불이 났다. 이것은 중독 사례에 대한 반성을 위한 설도 있다 [46] . 그와 동시에 내단술이 외단과 독립적인 수행법으로 확립되어 외단술의 쇠미와 반비례하는 것처럼 당말부터 송대에 걸쳐 활발해졌다. 5 대의 성립으로 여겨지는 종리권 · 로동빈의 종로파 단법 은 초기 내단술 중 하나의 완성된 형태를 보였다. 경전으로 『영보계법』이 있고 『도조』 태청부에 『비전정양진인 영보계법』이라는 서명으로 담겨 있다 . 그 체계는 오대의 시견고의 뿌리로 여겨지는 북송 의 책 '종로 전도집' 등에 자세하다. 나중에 종리권과 루동빈은 전진교의 조사에게 봉사했다. 종로파 등의 본격적인 내단은 선행하는 행기·도인·존재·태식 등의 기양양생술을 부정하고 내단설을 선양하는 형태로 등장했지만 실제로는 그 기법의 조합으로부터 종합적으로 승화 발전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북송 기에는 유불  가 영향을 끼치는 삼교융합의 사조의 시대 [48] 에 선종 의 견성 의 사고방식을 도입하고, 자양 진인 장백  이 '오진편'( zh )을 현저히 성명쌍수를 제창했다. 이 단경은 『주역참동계』와 늘어선 내탄의 고전이 되어 남송 이후에 북종·남종 등으로 나뉘는 내단도에 규범으로서 영향을 주었다 [49] .

우치탄의 발전 편집 ]

길과의 합일을 표현한 『학공분쇄벽』

김대의 왕중양 은 타 좌와 내단 을 도입하여 전진교를 흥후, 북종( zh )(북파)으로 불렸다. 수양은 먼저 성(정신) 수행으로 시작한 다음 생명(身体)을 수련하는 선성 후명의 단법이다. 북칠진( zh )으로 불리는 왕중양의 일곱 명의 고동생에게서는 언덕장춘 이 북종의 최대 유파가 되는 용문파( zh )의 조가 되었다. 명말 과 청대 에는 용문파보다 伍守陽( zh )와柳華陽 ( zh )을 배출하고, 그 독자적인 단법에서 伍柳派 ( zh )라고 불렀다. 이들 북파의 계보는 내단도에서 가장 수련자가 많다고 한다. 선명후성의 단법을 창시한 장백단을 초대하는 5명은 남5조( zh )라고 불리고, 이 도통은 나중에 전진교의 남종( zh )(남파)이라 불리게 된다. 했다. 원대에는 이도순 zh )이 유가의 소설을 크게 도입한 중파( zh )의 내단 도 유파를 열었다. 명대에는 각지를 구름놀고 다케도야마 를 주된 본거지로 한 장미탄( zh)가 삼단파의, 신교법의 단법의 육잠허( zh )가 동파( zh )의 조가 되었다. 청대에는 이량허( zh )가 신교법의 서파( zh )를 창시했다 [7] . 이상의 대표적인 유파 외에 지파·분파 등을 포함하여 많은 유파가 있다.

현대의 「기공」은 내단술의 이론과 기술의 기초의 일부분이 제공되어 변화된 것이며, 내단술은 기공의 중요한 원류의 하나가 되었다.

근현대와 일본 편집 ]

20세기 전반의 민국 시대에는, 후의 1961년에 중국도교협회 회장이 되는 전진교 용문파 의 학자, 圓頓子陳攖寧( zh )가 내단선학을 제창했다 [50] . 1960년대부터 1970년대는 문화대혁명 에 의해 전통문화는 부정되고 대륙의 많은 도관 은 파괴되어 도사의 대부분은 환속되었다. 1980년대 이후는 점차 부활하고 있지만 공산당 정부의 엄격한 통제하에 있다 [51] .

1953년 류귀진의 '기공요법실천' 출판을 계기로 기의양생술이 정부의 지도하에 '기공'이라 명명되어 근대화해 부활했다. 문혁에 의한 중단을 끼우면서 1970년대 후반부터 중국에서 퍼져 나갔다. 중국 전토에서는 고대의 다채로운 기법이 기공의 명칭에 통일되어 출판 소개와 보급을 시작해 1980년대부터 1990년대는 기공의 꽃이 열린 시대가 되었다. 내단도에서는 은밀하게 도사보다 법예로 인정받은 용문파의 왕력평( zh )이 1980년대부터 그 일단을 공개했다 [52] . 그러나 1999년의 법륜공 사건 이후 중국 정부는 새롭게 제정한 건신기공을 포함한 일부 인가한 기공 이외를 금지로써 자유로운 활동을 제한했기 때문에 중국  상황은 이전과는 멀게 됐지만 51] , 내단의 수련을 숨기고 있는 실천자는 있을 것이라고 한다 [7] .

야요코 대만 은선파의 제자 : 토우 토요 스 의 타좌

상해선학원에서 진창녕의 가르침을 받은 빈양자 袁介圭은 내단선학을 대만에 전했다 [53] . 일본에서는 1970년경, 대만인 진진호인이 삼봉파의 방중  내단술을 일본어 서적으로 소개했다 [54] . 진호인의 저서를 읽고, 부속의 자료를 참고해 대만의 「청수파」의 내단선학의 실천가와 접촉한 고토 사토이치로 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 내단술에 관한 참가 책을 대륙서방 과 학습연구사 등에서 발표해 선도 붐을 일으켰다. 또한 일본군의 첩보·선무활동을 위해 중국에서 도사가 되어 항산 에서 수련하고, 제2차 대전 종전 직후 당시의 백운관 관목에 입담을 받았다는 다나카 교부(五千言坊玄) 통자)가 일본으로 귀국한 후 '센도렌'이라는 수선의 모임을 열었다 [55] . 이러한 점에서 현대 일본에서는 내단파의 연탄술을 중심으로 한 수행법을 '센도'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수련요지 편집 ]

내단술의 수련은 유파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인 계단은 '축기', '연정화기', '련기화신', '련신환허', '환허합도'의 5단계이다.

  • 츠키키 는 내단의 행을 시작하기 위한 기초를 쌓는 준비단계이다. (이 내용은 다음 단계로 이행해도 계속되는 수련이다)
    • 육체면에서는 기운의 출입을 관리하는 것으로, 기분이 되는 「정」을 늘리는 것에 있다. 생활주기의 혼란에 의한 정력의 누출을 방지, 식생활 을 개선하고 음식으로부터 충분한 정을 도입하는 등을 실시한다. 노화 나 운동부족 등에 의한 신체기능의 저하는 근골을 약화시켜 경락을 멈추고 기혈의 흐름을 줄이고 정기를 감소시킨다. 내단술에서는 신체를 움직이는 '기공' 등에서 수련을 시작하는 것이 특히 권장되고 있다.
    • 정신면에서는 수련을 할 때 의식 이 곳곳에 분산되지 않도록, 또 망상이 끓여 거기에 의식이 휘둘리지 않도록 의식의 집중력 을 높여 마음을 컨트롤하는 훈련을 한다. 행위·도덕에 있어서는, 부정을 행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좋은 일을 하고, 좋지 않은 습관으로부터 벗어나, 덕행에 노력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37] .
  • 연정화기 는 소위 소주천 이다 . 주천은 고대 중국의 천문학 용어로 황도 360도를 의미한다 [27] . (삼 → 두)
    •  주텐이란, 츠키기 에 의해 모은 「정」을, 내적인 불에 걸어 탄다 에서 연마함으로써 「기」로 변용시켜, 몸의 전후의 정중선을 따른 경락인 독맥 과 임맥 을 반대로 주류시키는 기법이다 [4] . 선천적으로 개통했던 기경 은 후천적으로는 폐색되어 있다고 생각되며, 기경 안의 임맥과 독맥은 전신의 경락 의 전결이며, 이 2맥을 통시키면 백 맥박이 통한다고 여겨진다 [27] . 유파에 따라서는 이 단계에서 소약이라는 단을 만든다.
  • 연기화신 은 대약을 만들고 신(의식)과 묶는 대주천 의 단계이다. (2 → 1)
    • 소주천이 완성되어 마음이 가득 차면 기경이 통하여 몸의 전체 경락을 돌보는 대주천 이 되어 의식이 가라앉으면 진식이라는 매우 미약한 호흡 상태에 들어간다. 조용한 극치에 이르면 일전해 안구비설신의 육근 이 내적인 환의 자극을 느끼는 '육근진동'을 일으켜 '대약'이라는 단이 생성된다고 한다. 한층 더 수련을 계속해 가면 의식은 깊어지고 한숨은 태식이 되어, 정·기·신의 삼꽃은 청정하고, 대약은 성태 (양신)로 변용한다.
  • 련신환허는 '양신'을 체외로 내고 허공으로 되돌리는 단계이다. (1 → 0)
    • 아직 안정되지 않은 본래의 자기 [4] 인 성태는 오랫동안 기르고 3년 정도 걸려 자란다. 양신(성태)은 『노자』에 근거하여 귀아라고도 불리지만, 통상은 형태나 질을 갖춘 것이 아니라 원신인 선천의 단숨 그 자체이다. 아무리 하면 형태가 되고 흩어지면 신경이 쓰이는 것이 양신이다. 때가 되면 머리의 정문에서 밖으로 나가(출신), 조금씩 멀리까지 놀 수 있다. 그리고 양신을 허공 으로 되돌려 간다 [37] .
  • 환허합 도는 양신과 육체를 '길'과 합일시키는 최종단계이다. (〇)
    • 완성된 성태를 육체로 되돌려 의식을 계속 하면, 육체와 본래의 면목 [21] 인 양신은 마침내 형신 합일이 되어 선천의 단숨이 되고, 단숨은 〇에 상징되는 허공 에 반본 환원하고, 영원한 생명의 근원인 '  '로 복귀한다.
주천을 표현한 『六후圖』

인간은 눈에 보이는 물질로서의 육체 와 보이지 않는 정신 이라는 두 가지 요소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생명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성(의식)과 생명(신체)은 근원인 길이 구현화한 선천의 단숨에서 만들어진 것이며, 둘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책은 하나이며, 성과 생명은 본래 분 어렵게 반드시 아울러 수련해야 한다. 이것을 성명 쌍수 라고 한다.

내단술이나 기공이 중시하는 정·기·신 [4] 은 광의에는 같은 기분으로 모습의 차이로 하고 있으며, 다른 수행체계에 있는 복수의 신체가 층이나 차원을 이루고 존재하는 신체관과 는 다른, 중국 전통의 일체를 신경쓰는 일원적 신체관 이다 [16] .

수련은 일반적으로 개인에서 행해 「금욕」을 원칙으로 하는 「청수」이다. 기본적으로는跏趺坐등의 ' 좌법 '으로 척주를 위로 뻗어 명문을 열고 탯줄에 손을 쌓는 스타일을 취한다. 이때 내시(반안 미소로 단다를 안쪽에서 내려다보는)를 하는 것, 남성은 왼손을, 여성은 오른손을 위로 겹쳐 놓는 등의 세세한 요점이 있다. 남녀의 신심의 차이로부터 수련법이 다르다고 한다(남단·여탄). 본래는 의념을 사용하지 않고, 입정상태 속에서 약간 단타를 진찰(듣는)뿐이지만, 근대에는 이미지등을 사용해 공을 빨리 하는 방법을 취하는 유파가 많이 탄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지 등을 사용하는 경우는 편차 가 될 위험성이 많아 전통적 유파에서는 부정되고 있다.

내단술은 일반적으로 조용히 마음을 진정시켜 좌선 과 같은 정적 자세로 수련을 한다. 이것을 '정공'이라고 부른다. 마음과 몸은 조용하고 마음은 움직여야 한다고 '외정내동'이라고 한다. 정공은 마음을 조용히 시키고 의념을 높이기 쉽지만, 마음을 강화하는 것은 어려운 면이 있다. 한편, 신체를 움직이는 것을 주체로 하는 기공이나 인도는, 동작에 의해 내기의 운행을 촉진한다. 근골은 정기로 형성된 것으로, 경락을 구성하여 기혈을 유통시킨다. 근골을 단련하는 것은 정기를 강하게 하고, 지체를 움직이는 것은 경락을 잘 열고 기의 소통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때 몸은 움직여도 마음은 조용한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외동내정'이라고 한다. 조용을 주체로 하는 공법과, 동을 주체하는 것은 단독으로는 부족한 면이 있어, 양자를 수련하는 것으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陳泥丸의 단서 『취허편』은, 동중에 조용을 요구하고, 정중에는 하는 일이 있어, 로 동정을 함께 행해 장악하는 것을 설고 있어, 내단술에서의 「동정 결합 '를 요구하고 있다 [56] .

「길」이란 기의 근원이며, 「기」를 매개로 하여 길은 느끼는 것으로 되어 있고, 「길」이란 「자력」으로 추구해 나가는 것으로서, 선이나 기공의 수행과 마찬가지로 믿음 은 필요하지 않다 [57] .

각주 편집 ]

각주 사용법 ]
  1. ↑ “ 불로불사의 신체를 획득하려면 ”. 엑사이트 (2019년 6월 8일 ) .
  2. c 오노자와 세이이치, 후쿠나가 미츠지, 야마이 용 , 편 「기의 사상 중국에서의 자연관과 인간관의 전개」도쿄대학 출판회, 1978년. ISBN  4-13-016008-7 .
  3. b 네모토 유키오, 네이 요치『음양 오행설 그 발생과 전개』약업시보사, 1991년. ISBN 4-8407-1841-5 . 
  4. ↑ f 유아사 야스오「기・수행・신체」히라카와 출판사, 1986년. ISBN 4-89203-121-6 . 
  5. 사카데 쇼노부 「해설·금선 학론과 그 단법」, 「연단 수양법 부록・도어자해」 다니구치 서점, 1987년.
  6. ↑ c “ 내단의 수련법의 원리와 효용 천학연구사 ”. 2010년 10월 4일 열람.
  7. ↑ f 이원국 『도교와 기공』인문서원, 1995년. ISBN 4-409-41059-8 . 
  8. 모리 유리아 「근세 내단도의 3교 일치론」, 「강좌도교 제4권 도교와 중국 사상」오야마카쿠 출판, 2000년. ISBN 4-639-01694-8 . 
  9. ↑ 구스야마 하루키『노자 입문』 코단샤〈고단샤 학술 문고〉, 2002년. ISBN 4-06-159574-1 . 
  10. ↑ 후쿠나가 미츠지『노자』 아사히 신문사 <아사히 선서>, 1997년. ISBN 4-02-259009-2 . 
  11. ↑ 후쿠나가 미츠지 『장자 고대 중국의 실존주의』 중앙공론신사〈중공신서〉, 1964년. ISBN 4-12-100036-6 . 
  12. 스즈키 슈지 『소코』 시미즈 서원〈CenturyBooks(신서)〉, 1973년. ISBN 4-389-41038-5 . 
  13. b 이케가미 마사하루「「기」로 읽는 중국 사상」 코단샤〈고단샤 현대신서〉, 1995년. ISBN 4-06-149244-6 . 
  14. ↑ c 제10장 「미야치 치유, 노우키 유우야」, 25장 「다이스케 삼, 삼생만물」. 후쿠나가 미츠지『노자』 아사히 신문사 <아사히 선서>, 1997년. ISBN 4-02-259009-2 . 
  15. ^ 치호쿠 유편 「히토유키, 기노유키야, 료노리유생, 산칙위사」. 가나야지 『소코 제3권 외편・잡편』 이와나미 서점〈이와나미 문고〉, 1982년. ISBN 4-00-332063-8 . 
  16. ↑ b 미우라 쿠니오 『기의 중국 문화』 창원사, 1994년. ISBN 4-422-13004-8 . 
  17. ^ 연사상전 「이유타극, 시생토요, 토요시 사상, 사상생 팔경」. 혼다 제『이』아사히 신문사 <아사히 선서>, 1997년. ISBN 4-02-259010-6 . 
  18. b 《『이경』건전 문언전의 「하늘에 앞서 천위를 하지 않고, 하늘에 뒤져 천시를 봉하라」」에서. 선천이란, 태어난 몸에 갖추어져 있는 것. 후천이란, 태어난 뒤에 몸에 익히는 것. (“ 히로사  ” 이와나미 서점)
  19. ↑ 가네오카 조광·편 “삼성당 중국 고사 성어 사전” 삼성당, 2010년. ISBN 978-4-385-14097-1 . 
  20.  제16장 「쓰네네 야스시, 是曰復命」. 후쿠나가 미츠지 『노자』 아사히 신문사 <아사히 선서>, 1997년. ISBN 4-02-259009-2 . 
  21. b 요코테유 “전진교와 남종북종”, “강좌도교 제3권 도교의 생명관과 신체론” 웅산각 출판, 2000년. ISBN 4-639-01669-7 . 
  22. 가나야 치「노코」코단샤〈고단샤 학술 문고〉, 1997년. ISBN 4-06-159278-5 . 
  23. ↑ 칸노 마사미 「노자에 있어서의 「존재」」, 「도교의 역사와 문화」오야마카쿠 출판, 1998년. ISBN 4-639-01530-5 . 
  24. 사카데 쇼노부 『도가·도교의 사상과 그 방술의 연구』 쿠시코 서원, 2009년. ISBN 978-4-7629-2852-9 . 
  25.  인간세편「기야자, 학대대물자야. 유도집학. 대종사편 「조지체, 황정명, 이형거지, 동대대통, 此謂坐忘」. 가나야지 『장자 제1권 내편』 이와나미 서점 <이와나미 문고>, 1979년. ISBN 4-00-332061-1 . 
  26. ↑ 해롤드 D. 로스 「초기 타오이즘에 있어서의 명상의 제계층에 관한 문헌적 기술」, 「도교의 역사와 문화」 웅산각 출판, 1998년. ISBN 4-639-01530-5 . 
  27. g 노구치 히데로, 사카데 쇼노부, 후쿠이 후미야 , 야마다 리묘 「도교사전」히라카와 출판사, 1994년. ISBN 4-89203-235-2 . 
  28. 하야시 카츠 「의서와 도교」, 「강좌도교 제3권 도교의 생명관과 신체론」오야마카쿠 출판, 2000년. ISBN 4-639-01669-7 . 
  29. 요시모토 쇼지 「도교와 중국 의학」, 「도교 제2권 도교의 전개」히라카와 출판사, 1983년. ISBN 4-89203-057-0 . 
  30. ↑ 行氣玉佩铭 - Google 이미지 검색 ”. 2010년 10월 4일에 확인함. (간체 중국어)
  31. Wikisource reference 가쓰 홍. 포박자 / 卷 08. - 위키 소스 .
  32. 중국 후난성 박물관 『기원전의 건강 그림 마왕 퇴도 인도의 연구』나연 이치로・역, BCKKS Distribution〈Kindle판〉, 2015년. ASIN  B00TFVG8E2
  33. 시라스기 히데오, 사카우치 에이오 『각곡 식기・도인도・양생방・잡요법』 동방서점〈마왕 퇴출토 문헌역 주조서〉, 2011년. ISBN 978-4-497-21008-1 . 
  34. b 사카데죠 신 『도교와 양생 사상』 페리칸사, 1992년. ISBN 4-8315-0538-2 . 
  35. 사카우치 에이오「당대의 내단 사상 ―음탄과 내탄―」, 『강좌 도교 제3권 도교의 생명관과 신체론』오야마카쿠 출판, 2000년. ISBN 4-639-01669-7 . 
  36. ^ 각의편 「후키호흡, 토고납신, 쿠마키토리신신, 가이후이 미나미」. 가나야지 『장자 제2권 외편』 이와나미 서점 <이와나미 문고>, 1979년. ISBN 4-00-332062-X . 
  37. ↑ c 마츠모토 코이치 『중국인의 종교·도교란 무엇인가』 PHP 연구소〈PHP 신서〉, 2006년. ISBN 4-569-65771-0 . 
  38. ↑ 대형철『불로불사 센토의 탄생과 신센술』 코단샤〈고단샤 현대신서〉, 1992년. ISBN 4-06-149108-3 . 
  39. Wikisource reference Wuki Yang. 주이 참가 . - Wikisource .
  40. ^ 립서원문 “ 아시 카미탄약 수상원
  41. Wikisource reference 희망. 서약 원문 . - 위키 소스 .
  42. ↑ “ 미나미 타케시 대선사 입원원문 ”. 불교전적 검색. 2010년 8월 3일 열람. T46n1933_p0791c15-03, 희망 후카야마 료정처. 아시카미탄약 수상원.
  43. 이시다 히데미 『몸의 타오 도교의 신체 기법』 히라카와 출판사, 1997년. ISBN 4-89203-279-4 . 
  44. ↑ “ 미나미타케 총승 집서 ”. 불교전적 검색. 2010년 8월 3일 열람. “T51n2097_p1060c14-03, 노토 신우우우 히노유키 슈우이 외탄처.
  45. ^ 태극 진인(嗣孫手術) 『上洞心丹經訣』神仙九転秘方에게 「服下之後 当修内丹法 要打坐 内外双修 内丹与外丹相応」라는 설명이 있다.
  46.  도교와 양생사상
  47. 아키오카 히데유키, 가키우치 토모유키, 카토 치에 『연탄술의 세계―불로 불사로의 길―』 대수관 서점 <아지아 북스 080>(원저 2018년 10월 1일), 121페이지. ISBN 9784469233209 . 
  48.  도교사전
  49.  도교와 기공
  50. 침은명 「도교 내단설의 에필로그 ―진자녕 「선학」소론―」, 「강좌 도교 제3권 도교의 생명관과 신체론」오야마카쿠 출판, 2000년. ISBN 4-639-01669-7 . 
  51. b 사카데죠 신 『도교란 무엇인가』 중앙공론신사〈중공총서〉, 2005년. ISBN 4-12-003681-2 . 
  52. 김효정 『경이의 초기공사·왕력평』 도쿠마서점, 1993년. ISBN 4-19-555295-8 . 
  53. ↑ “ 타이완센도 학술자문망 타이완센도사 ”. 2010년 10월 4일 열람. (번체자 중국어)
  54. ↑ 진호인 『중국 선도방 중술 입문』 우에노 서점, 1993년. ISBN 4-7952-7206-9 . 
  55. 성문훈 『무지개의 그분의 신비가들』 카시와수사, 1990년. ISBN 4-82630-777-2 . 
  56. ^ 马济人『실용 중의위공학』 상하이 과학기 术出版社, 1992년. ISBN 7-532-32720-5 . 
  57. ↑ 후쿠나가 광지 『혼돈으로부터의 출발』 중앙공론신사〈중공문고〉, 1999년. ISBN 4-12-203368-3 . 

참고 문헌 편집 ]

관련 항목 편집 ]

외부 링크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