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19

격의불교 - 위키백과, 격의불교(格義佛敎)

격의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격의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격의불교(格義佛敎) 또는 격의(格義)는 불교의 중국 전래 초기인 시대(魏晋時代: 220-420)에 나타났던 불교 교리 이해 방법 또는 불교 연구 방법이다.[1][2] 

한문으로 번역된 불교 경전에 기술되어 있는 사상이나 교리를 노장사상(老莊思想)이나 유교사상(儒敎思想) 등의 전통 중국 사상의 개념을 적용하여 비교하고 유추함으로써 이해하려고 하는 방법이다.[1][2]

예를 들어, 불교 경전인 《반야경(般若經)》에 나오는 "공(空)"에 대해 

노장사상의 ""(無) 개념을 적용하여 그 내용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1] 

죽림칠현이 그 대표적인 인물들이었다.[3] 하지만, 이러한 격의불교로는 불교에 대한 참다운 이해에 도달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1]

동진(東晉: 317-420) 시대의 고승이었던 도안(道安: 312-385)은 격의불교의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2] 하지만 그도 격의불교의 폐단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였는데,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불교 경전을 본래의 뜻에 맞게 바르게 번역한 이후에야 비로소 극복되었다.[2]

격의와 현학[편집]

위진시대(魏晋時代: 220-420)에는 노장사상에 관한 학문이 성행하여 청담(淸淡)이 유행하였고 특히 노장사상과 유사한 표현 형식을 갖는 《반야경》과 《유마경》이 애독되었다.[2] 그리고 이 경전들을 노장사상과 유교의 역(易)의 사상과 대비하여 연구 토론하는 일이 성행하였다.[2] 그 결과 불교의 (空)의 의의에 관하여는 본래의 뜻으로부터 멀어진 여러 가지 중국적 해석이 다투어 생겨났다.[2] 이른바 이와 같은 철학적 격의를 특히 현학(玄學)이라 부른다.[2]

격의불교의 극복[편집]

동진(東晉: 317-420) 시대의 고승으로 초기 중국 불교를 대표하는 승려인 도안(道安: 312-385)은 격의불교의 오류를 깨닫고 이를 바로 잡으려고 노력하였다.[2] 그는 불교는 불교 자체의 입장에서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 도안은 그때까지 내려오던 격의불교의 오류를 반성하고 《반야경》의 여러 다른 번역본을 비교 대조함으로써 참다운 뜻에 이르도록 노력하였다.[4] 하지만 도안도 격의불교의 폐단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였다.[2]

반야경》 등의 본의(本義)가 잘못됨이 없이 이해되기 시작한 것은 구마라습(鳩摩羅什)이 장안에 들어와 공관불교(空觀佛敎)의 경전들을 올바르게 번역하고 그 교리를 소개한 이후부터였다.[2] 하지만 철학적 측면에서 본다면 그 이후로도 중국의 불교사상은 근본적으로 격의불교의 영향권 안에 들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