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08/06
An Intimate History of Humanity by Theodore Zeldin
Want to Read
Rate this book
1 of 5 stars2 of 5 stars3 of 5 stars4 of 5 stars5 of 5 stars
Preview
An Intimate History of Humanity
by
Theodore Zeldin
4.12 · Rating details · 1,197 ratings · 121 reviews
A provocative work that explores the evolution of emotions and 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diverse cultures and time. "An intellectually dazzling view of our past and future."--Timemagazine
Contents
1. How humans have repeatedly lost hope, and how new encounters, and a new pair of spectacles, revive them
2. How men and women have slowly learned to have interesting conversations
3. How people searching for their roots are only beginning to look far and deep enough
4. How some people have acquired an immunity to loneliness
5. How new forms of love have been invented
6. Why there has been more progress in cooking than in sex
7. How the desire that men feel for women, and for other men, has altered through the centuries
8. How respect has become more desirable than power
9. How those who want neither to give orders nor to receive them can become intermediaries
10. How people have freed themselves from fear by finding new fears
11. How curiosity has become the key to freedom
12. Why it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destroy one’s enemies
13. How the art of escaping from one’s troubles has developed, but not the art of knowing where to escape to
14. Why compassion has flowered even in stony ground
15. Why toleration has never been enough
16. Why even the privileged are often somewhat gloomy about life, even when they can have anything the consumer society offers, and even after sexual liberation
17. How travellers are becoming the largest nation in the world, and how they have learned not to see only what they are looking for
18. Why friendship between men and women has been so fragile
19. How even astrologers resist their destiny
20. Why people have not been able to find the time to lead several lives
21. Why fathers and their children are changing their minds about what they want from each other
22. Why the crisis in the family is only one stage in the evolution of generosity
23. How people choose a way of life, and how it does not wholly satisfy them
24. How humans become hospitable to each other
25. What becomes possible when soul-mates meet (less)
GET A COPY
Kobo
Online Stores ▾
Book Links ▾
Paperback, 496 pages
Published December 1st 1995 by Harper Perennial (first published 1994)
Original Title
An Intimate History of Humanity
ISBN
0060926910 (ISBN13: 9780060926915)
Edition Language
English
Other Editions (27)
All Editions | Add a New Edition | Combine...Less DetailEdit Details
EditMY ACTIVITY
Review of ISBN 9780060926915
Rating
1 of 5 stars2 of 5 stars3 of 5 stars4 of 5 stars5 of 5 stars
Shelves to-read
edit
( 214th )
Format Paperback edit
Status
October 28, 2018 – Shelved as: to-read
October 28, 2018 – Shelved
Review Add a review
comment
FRIEND REVIEWS
Recommend This Book None of your friends have reviewed this book yet.
READER Q&A
Ask the Goodreads community a question about An Intimate History of Humanity
Popular Answered Questions
Where can I get a copy of this book by free??? Is there any online resource available to download it by free???
Like
4 Years Ago
See All 2 Answers
jd Try here: https://openlibrary.org/
flag
See 1 question about An Intimate History of Humanity…
LISTS WITH THIS BOOK
History of ideas and culture
58 books — 13 voters
Roman Krznaric recommends the best books on the Art of Living
5 books — 1 voter
More lists with this book...
COMMUNITY REVIEWS
Showing 1-30
4.12 ·
Rating details
· 1,197 ratings · 121 reviews
More filters
|
Sort order
Feb 27, 2009Wayne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Recommends it for: all human beings
Recommended to Wayne by: the titles of the chapters!!!
Shelves: buddhism-self-help, conversations, history, philosophy, anthropology
14 YEARS LATER:ie December 14th 2015
I AM SHOCKED...AMAZED !!!
I thought I may have read this book about 6 or 7 years ago...that is how much THIS BOOK is STILL with me.
..and it is August 2001 that I finished reading it..can't believe it is that long ago!!!
This is a book of which I so often think:"I MUST read that book again."
I am still searching out copies to give to friends.
I often glance in its direction where it sits with many other books in my bedroom.
MUST be time to read it AGAIN!!
REVIEW BEGINS:
This was a rich and astonishing read.
AFTERMATH:
For years after I read it I could not put it back on a bookshelf.
To do so was like admitting that the reading was OVER, whereas I just wanted to keep exploring everything this book offered and opened up.
PURCHASING:
The title was enough to excite.
Then with chapter headings such as these...
*How new forms of love have been invented.
*Why there has been more progress in cooking than in sex.
*How men and women have slowly learned to have interesting conversations.
*How respect has become more desirable than power.
*Why toleration has never been enough.
*How even astrologers resist their destiny.
*How the art of escaping from one's troubles has developed, but not the art of knowing where to escape to.
...the book was soon travelling home with ME!!
READING:
Obsessive and provocative, stimulating and thought-provoking.
STRUCTURE:
Each chapter begins with a look at the life of a real person who somehow typifies the chapter's heading. Then there is a general look at the issue,its history, opinions, problems and solutions etc.
CONCLUSION:
There are probably 1,000 books to read before you die.
I think this might be Number ONE!!!
(less)
flag19 likes · Like · 4 comments · see review
Oct 24, 2012Lisa rated it it was ok
I could not figure out why reading this book made me feel enraged. I wondered if it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way it says everything about nothing and nothing about Everything. Zeldin shares 1st person narratives from people who were weirdly philosophical about themselves and their lives. Is it because many of them are French. C'est l 'absurd. This book got rave reviews and the truth is that I was too annoyed to finish it. It was like eating food made of air.
flag10 likes · Like · 1 comment · see review
Nov 07, 2008Catherine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fp, 2008, natania
Zeldin's work, despite the name, isn't really historical scholarship. Instead it's far closer to philosophy, and his use of history is kin to Foucault's - by picking and choosing key moments in the global past, what do we learn that might help us navigate our present?
It's a fascinating text, if so broad and expansive that sometimes it feels too much to take in. Zeldin tries to pinpoint the things that make us human, tries to find our commonalities instead of focusing on differences, and asks what we might learn from each other to better fulfill our purpose while we live. He touches on war, enmity, friendship, love, commerce, religion, political movements, and psychology, and every page asks the reader to talk back to the text, to agree, disagree, or simply clarify each idea for themself.
It would be a great text for teaching - there are no end of points of departure for discussion, and the tone of the piece is so gentle and conversational that I can't help but think students would find it hard to be defensive in reaction to his points in a way that they can't *help* but be defensive in response to Appiah's Cosmopolitanism.
There are places where Zeldin gets things wrong - one section on American Indian people stereotyped all cultures based on Plains ideas, for example, and his conclusions therefore plain don't hold for masses of indigenous people in the Americas - but it struck me that this too is a teachable moment. Zeldin, no less than the rest of us, is a product of his time, place, and culture - if he can get something so wrong, what does that say about the rest of us? What should be wary of, alert to, conscious of as we work and think? (less)
flag7 likes · Like · 2 comments · see review
Mar 07, 2013Nick Davies 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2016
Bought cheaply from a clearance table in an Oxfam bookshop three or so years ago, on the strength of an unusual cover and a title which piqued my interest, this turned out to be very interesting indeed.
Zeldin writes of human nature - the book is part sociology, part philosophy, part cultural history in discussing a number of statements which are explored in the context of interviews with French women, and are then challenged with reference to cultural norms throughout the ancient and modern world. It's an educating journey.. taking in subjects as diverse as sexual equality, Gandhi, art and architecture, sleeping arrangements, romance, friendship, sex and consumerism. My only criticism, made with the acknowledgement that I read this on my commute and hence not 'at my most concentrating', was that I didn't feel the author completely managed to tie the whole book together into a complete 'message' - to me it was full of interesting and enlightening information, much of which I know I will soon forget. Consequently I am keen to re-read this more studiously in a year or two.
I would, however, not hesitate to recommend this to readers interested in sociology and human history - it's a very well-written and fulfilling book which I am sure most people will find plenty of interest within. (less)
flag4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May 03, 2012Lachlan rated it really liked it
It's taken me some time (Goodreads informs me 3 months), but I have finally finished reading Theodore Zeldin's ambitious book, 'An Intimate History of Humanity.'
Zeldin's stated objective is to provide us with a history of humanity that surpasses stale cataloging of kingdoms epochs, and ages. Instead, he turns his attention to some of the most important and defining dynamics of human society. He takes our fixed assumptions about the nature of humanity, and, through an exposition of engaging historical examples, reveals them to be far less fixed than we have previously assumed.
This quote perhaps sums it up best:
"Nothing influences our ability to cope with the difficulties of our existence so much as the context in which we view them; the more contexts we can choose between, the less do the difficulties appear to be inevitable and insurmountable."
That is the crux of Zeldin's mission; he wants to provide readers with the tools and inspiration to look beyond narrow cultural and social assumptions, and imagine new ways of being; new forms of politics, ethics and morality. His is essentially an optimistic, humanitarian vision. Once more I quote:
"It is not enough to focus only on the minute synapses of personal encounters. It has become possible, as never before, to pay attentinon to what is happening in every corner of the globe. Humans each have a personal horizon, beyond which they normally dare not look. But occasionally they do venture further, and then their habitual way of thinking becomes inaequate. Today they are becoming increasingly aware of of the existence of other civilisations. In such circimstances, old problems take on a new appearance, because they are revealed as being parts of larger problems. The shift in interest away from national squabbles to broad humanitarian and environmental concerns is a sign of the urge to escape from ancient obsessions, to keep in view all the different dimensions of reality, and to focus simultaneously on the personal, the local and the univeral."
But how well does he succeed? The book begins with a brief introduction that outlines his intent. From there, we are presented with an almost relentless anthology of chapters that follow the same structure - pick a theme, provide an initial modern case study to open up the discussion of that theme, then delve into the other possibilities of being that are supported by examples cherrypicked from throughout human history.
Here is a sample of some of those chapter headings:
- How men and women have slowing learned to have interesting conversations
- How some people have acquired an immunity of loneliness
- How new forms of love have been invented
- Why there has been more progress in cooking than in sex
- How respect has become more desirable than power
- Why the crisis of the family is only one stage in the evolution of generosity
Clearly Zeldin has not set his sights on low hanging fruit. Each chapter focuses on a particular thought or feeling, like toil, the art of conversation, voluntarism, compassion, attitudes on class and social status, and authority.
Throughout this book, there are signs that Zeldin would wrap up with an impressive, overarching concept - and indeed he does, but after finishing 'An Intimate History of Humanity' I cannot help but think that a re-reading would be immensely beneficial. The concluding chapters provide essential context that I feel was missing from the introduction, and they really help illuminate the value in Zeldin's approach and his objectives.
Perhaps his introduction is too brief. Perhaps it would have paid Zeldin to revisit his objective in detail before the final concluding chapters. I feel as though his concept was not explained as well as it could have been from the outset; and that this would have made for a more engaging book if he had taken more time to do so.
Undeniably, many of the ideas in this book were intoxicating. Zeldin has immense scope of vision. His concept strongly appeals to my desire for a universal view of human nature and history - to cut through mere cataloging and classifying, and to draw out a better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drawn from across millenia.
While certainly not flawless in its execution, this book is groundbreaking in it's approach, and will prove a worthy inspiration for anyone seeking a deeper level of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the human condition. I finish this book very curious to where Zeldin's thoughts and understanding are at today (the book was published in 1997), and hope that future writers can build off his concept. It might prove to be a exceedingly fruitful method of philosophical inquiry.
Addendum: another beautiful encapsulation of Zeldin's concept:
"The sea is eternal: when it heaves
One speaks of waves but in reality they are the sea."
- Hamzah Fansuri
(less)
flag3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Jul 19, 2012M.D. Lachlan rated it it was amazing
One of my favourite books and a real eye opener. One of the few books I read again periodically. It's the history of love but touches on many other aspects of philosophy. A page turner, which isn't something you often say about a philosophical novel. Like Alain De Botton but without the descents into banality.
flag3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Mar 24, 2009Dan rated it liked it
If you've ever wanted to read the history of some of our most common dreams, desires, and fears this is a good place to start. Well-written, and occasionally poetic.
flag3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Dec 25, 2007Kevin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Recommends it for: lost hungry souls (everyone!)
Shelves: favourites, non-fiction, history, gender
This is not a typical history book. It's perfect for someone hungry for knowledge but put off by history written as a succession of dates and wars by a detached, passionless author. Sometimes it almost reads like a self-help book-- but don't worry, cynics! It offers no quick solutions, only useful questions. Fluffy and condescending? Nay! Encouraging and inspiring? Yay!
Divided into chapters like "How humans have repeatedly lost hope, and how new encounters, and a new pair of spectacles, revive them" or "Why there has been more progress in cooking than in sex", it attempts to understand what humanity means by telling the stories of both anonymous people alive today (mostly French women the author interviewed) and historical figures (often those forgotten or undervalued). It's very ambitious.
There was a point about two-thirds of the way through when I felt almost overwhelmed by the scope of the book, particularly in the way it lays out so many contradictory opinions on how one should live one's life. But this is the nature of humanity, isn't it? Some of his interview subjects seem to contradict themselves within the same breath but they probably don't realize it. I think the book demands to be read slowly, maybe even dipped into again over the years.
Another great thing about it is that each chapter ends with a sample of Zeldin's sources, a suggested reading list, so you can further explore a theme, period or person of interest. (les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May 25, 2015Nevzat rated it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history, society, non-fiction
i had really high expectations of this book and didn't like it as much as i expected in the end. the problem for me was that the personal stories of french women at the beginning of each section was really nice and enjoyable but in most chapters i found it hard to relate their stories to the historical events and customs author picked. and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m made most of the book seem like a common "fun historical facts" blog. the other problem is that i find history or traditions told as anectodes meaningless in most cases for what makes an event or a custom meaningful is it's place in the whole context of that society and it seems like you can find anything in history to prove any point, without caring much about its relations with other traditions or events. (less)
flag3 likes · Like · see review
Oct 10, 2012Ci rated it liked it
I was impressed by the first 40 pages, with the author's promise of delving into the psyche and emotional history of humanity. Evidently erudite, this author alluded to references to historic events but promised to interpret them "intimately" and classic theoretic ideas but would use them "relevantly" so we don't get drowned in the details. The idea of starting with a particular person's life story held attraction as well -- till a point (page 40 onward) which becomes a mediocre collection of sn ...more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Oct 10, 2009Ed rated it it was amazing
An amazing book that I just came across on my shelves having read it in 1994ish. Each chapter takes a contemporary French woman from many layers of society and uses it to weave the history of humanity. Really interesting different take on history. Intriguing.
flag2 likes · Like · 1 comment · see review
Oct 05, 2013Al Bità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This book was first published in 1994, and I must admit I had never heard of it until alerted to it by my good friend Wayne, who gave me a copy, and for which I am extremely grateful. This is a truly wonderful work, and one which should grace the personal library of anyone interested in a history which differs from the usual run of history books. It uses a very readable technique which is immediately charming (the list of chapter titles in the Table of Contents will be enough to intrigue even the most cursory of glances! — the first, for example, reads: How humans have repeatedly lost hope, and how new encounters, and a new pair of spectacles, revive them.) and one’s interest is grabbed instantly, and maintained throughout.
Zeldin achieves this in a way I believe is rather unique. The work consists of 25 chapters. Apart from the last, each of the chapters begins with carefully selected and edited stories (at least one, but often enough more than one) of women he interviewed who lived in France during the period of the mid 1990s. Most, but not all, are French, and not necessarily of French cultural backgrounds. These stories are intensely personal. The cleverness of using women for his starting points may indicate an appreciation that they, especially in the ’90s, were more forthcoming about their personal and private lives than men would have been. Even so, the stories do not eschew men’s positions within these stories; they are often part and parcel of the implications and consequences for the women involved, and thus are equally central to the main issues. Consequently, this initial foray in each chapter raises certain issues and these are summarised by the individualistic and quirky chapter heading.
Zeldin then proceeds through the second part of the chapter to look at the various ways and means people have in the past dealt with these same issues. This is the main substance and essence of the work, and the range of reactions explored most definitely does not remain in France, nor even just in Europe, nor limited to gender limitations, but embraces all cultures and all regions of the world in various degrees. It also allows Zeldin to inert his own comments and considerations as he sees fit. This part of the chapter, then, can be quite dense with mind-expanding world-wide personal responses, successful or otherwise, which give the reader many concepts and ideas to deal with. One can understand how some people would find that these responses, albeit in general briefly summarised, create a kind of surfeit of information which tends to make one stop and meditate on them (in the sense of ‘think about’). For me, this response made me want to stop reading; made me want to relish the ideas and thoughts expressed; made me want to savour the different flavours of varying responses… I did not want to read on regardless — and this feeling applied to each and every one of the chapters. Delicious!
The third part of each chapter (not including the last chapter) consists of rather extensive bibliographies of the issues raised in the chapter. So, if one were particularly impressed by one or more suggested responses, there are many references one can turn to for further exploration.
What all this teaches us is that there are many other ways that ‘history’ can be written. Too often, history books deal mostly with what we call the ‘major issues’ — wars, revolutions, politics, etc. — often with a grand overarching theme associated with them. What they tend to leave out is the individual person and their needs and aspirations, particularly if they are not specifically linked to any major trend. Even then, the tendency is to leave such matters to novelists and poets, almost as if these are really only of secondary interest to the ‘true’ historian. Zeldin’s work makes one much more aware that, in the personal lives of people everywhere, there are equally fascinating histories not normally dealt with, and which perhaps are more centrally related to core historical values than one might think. It is, in a sense, surprising how immediate one’s own personal response is to the attempts of people from all countries and cultures in dealing with issues which obviously concern all of them. We understand them!
If there is one small niggling aspect which might cause some to be cynical: the fact that the book was written in the mid ’90s, and that Zeldin’s opinions and comments are therefore limited to the ideals and aspirations of the Western world during those comparatively innocent and perhaps hopeful times. To do so, however, would do a disservice to the main thrust of the work. Zeldin is adamant that, regardless of what the ‘big-picture’ history throws up, people and their dreams and aspirations and needs remain steadfast throughout the centuries. He calls for Compassion,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s being both the ancient, recent and future hope of humanity, and which underlies everything else, no matter how wonderful or how brutal we have behaved to ourselves and to others. There is no sense of sentimentality or softness about this approach in Zeldin’s work. He simply presents his facts, and suggests that those facts, bittersweet as they might be, are universal.
For me, this Humanistic understanding makes Zeldin’s work a masterpiece of writing. It slowly and thoroughly weaves its spell on the reader — and we instinctively know that this is a true and honest appraisal of humans everywhere. By opening our minds and our hearts to this message, one cannot help but fall in love with this book. It is very, very beautiful.
And if that is not enough for the more cynical among you, consider this: it is the adoption of this humanis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at allows us to read, relish, appreciate, understand and be moved by any literature from anywhere in the world, regardless of the language, culture, religion, politics, or social conditions which generated it. It touches all of us, because it represents the true history of ourselves to ourselves.
(less)
flag1 like · Like · 4 comments · see review
Oct 18, 2017Tom Baxter rated it it was amazing
A book that stays with you through the years - extraordinary.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Jun 08, 2019John Cross rated it liked it
Interesting perspective on people as the true component of history. People, not nations and institutions. But it jumps around quite a bit and needed clearer and more unifying theme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Nov 12, 2017Sertac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What an incredible book! There have been similar books (e.g. popular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written before / after this, however when you see the amount of footnotes, references and connected-dots you understand how Theodore Zeldin thinks, researches and elaborates the concepts which directly mean a lot for social, daily and business life today. Anyone who wants to find answers to 'why's and 'how's about human behaviour should read this masterpiece periodically.
Right before finishing this book, I purchased his other provocative book The Hidden Pleasures of Life: A New Way of Remembering the Past and Imagining the Future by Zeldin who has a very unique way of interpreting events, phenomenas and characters. Definitely the best book I've read this year and I've read more than 50 books this year.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Jan 29, 2013Angela rated it it was amazing
An interesting and intellectually challenging read. Arranged in short chapters making it convenient to read randomly from anywhere in the book. Great for busy times or when on the move. Catchy and memorable chapter titles such as " Why compassion has flowered even in stony ground", " Why even the rich and successful are somewhat gloomy about life" " How men and women have learnt to have interesting conversations". However, not always entirely convinced by the prescriptions given (which are proba...more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Oct 09, 2011Lexie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humanity-culture, my-perennials, mind, relations, standouts, history
I've had this book for over a decade now; it's one of my perennials. It's the first book of history that I fell in love with. Still in love!
Theodore Zeldin does something so original here that the book is fresh every time I open it. He begins each chapter with a person's story -- often related as though a conversation is in process. The individual story is expanded to encompass all of humanity, across all (recorded) history, and across all cultures. History is all of us; we all impact the larger world:
"No history of the world can be complete which does not mention Mary Helen Keller (1880-1968), whose overcoming of her blindness and deafness were arguably victories more important than those of Alexander the Great, because they have implications still for every living person."
A few more quotes:
~ You belong with those people with whom you can sympathize, in whatever century they lived, in no matter what civilization.
~ Marco Polo has such curiosity that he forgets fear.
~ Again and again, apparently intelligent people ooze contempt to protect themselves from what they cannot understand, as animals defend their territory with foul smells.
(The above three quotes are all lifted from the same page! This book is dense with beautiful ideas...)
~ The most elaborate remedy for gloom so far devised is the consumer society, but it has not succeeded in eliminating it...
~ ...for the last 5,000 years, the vast majority of humans have been submissive, cringing before authority and, apart from short-lived outbursts of protest, sacrificing themselves so that a small minority could live in luxury.
~ The major changes in history have resulted less from revolutions displacing kings, than from individuals ignoring kings and giving their allegiance to spiritual values instead.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Jan 18, 2018Māra rated it it was amazing
A great book for those skeptically hopeful ones, who get joy out of life by trying to change something while understanding the smallness of it...
The book provides you with many, many different examples from different times in human history of how they have tried to organise themselves better, to love in so many different forms and shapes, to learn to talk to each other, to be better, more alive, more something. The constant urge for change and the many forms that different civilisations have tried. It can sound depressing as in - ok, it looks like they've tried it all, and nothing works. But it's quite the contrary - the never ending willingness to try is inspiring. Or, as the author puts it at the very end of the book:
" It is in the power of everybody, with a little courage, to hold out a hand to someone different, to listen, and to attempt to increase, even by a tiny amount, the quantity of kindness and humanity in the world. But it is careless to do so without remembering how previous efforts have failed, and how it has never been possible to predict for certain how a human being will behave. History, with its endless procession of passers-by, most of whose encounters have been missed opportunities, has so far been largely a chronicle of ability gone to waste. But next time two people meet, the result might be different. That is the origin of anxiety, but also of hope, and hope is the origin of humanity." (less)
flag1 like · Like · see review
Oct 21, 2007Nicholas Whyte add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http://nhw.livejournal.com/786755.html[return][return]I got this ages ago, as it promised to be an interesting investigation of the history of how humans relate to each other. Unfortunately it isn't; it is a series of conversations with French women, one by one, with an attempt by the author to draw universal conclusions from each one individually. I got through less than a tenth of it before I reached my "Tonstant Weader fwowed up" moment, when one of the interviewees confided that[return][return]"When someone broke her favourite teapot, she did feel anger for two minutes, but then she said to herself, 'Everything has a life, everything has an end.'"[return][return]Well, that was certainly the end for me.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2019/08/03
"경향신문 디지털스토리텔링<우경본색-일본 극우파 분석보고서>"
"경향신문 디지털스토리텔링<우경본색-일본 극우파 분석보고서>"
일본 전체가 우경화 되었나?
일본 정치권의 우경화 움직임을 일본 국민 전체의 우경화와 동일시 할 수는 없다. 재특회와 같은 극단적인 혐한세력은 아직 소수다. 일본의 젊은이들은 아직까지 군비 팽창이 아닌 평화 유지를 더 간절히 원한다. 혐한 시위가 일어나면, 반대로 '혐한시위를 반대하는 시위'가 열린다. 아베 정권이 '전쟁이 가능한 나라' 선언을 하기 전인 지난 6월29일 일본 도쿄 시내 한복판에서 50대 일본 남성이 아베 정권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용인 방침에 항의하며 분신자살을 기도했다. 마이니치신문이 6월 27~28일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 결과 ‘일본이 집단자위권을 행사하게 되면 다른 나라의 전쟁에 휘말릴 우려가 있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71%였다. 그럴 우려가 없다는 답변은 19%에 그쳤다. 이는 미국이 주도하는 전쟁에 일본인이 동원돼 희생을 강요받을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집단자위권 용인에 대한 반대는 58%, 찬성은 32% 였다. 일본의 우익 열풍을 과대 선전하는 한국의 태도가 혐한 감정과 군사적 대결의식을 재촉하는 효과를 내는 것도 주의가 필요하다.
일본 전체가 우경화 되었나?
Town hosting No. 1 plant starts farm tests to gauge success of cleanup work | The Japan Times
Town hosting No. 1 plant starts farm tests to gauge success of cleanup work | The Japan Times
Town hosting No. 1 plant starts farm tests to gauge success of cleanup work
KYODO
JUN 15, 2012
FUKUSHIMA – The municipal government of Okuma, Fukushima Prefecture, has started planting rice and vegetables to test how much radioactive materials they will absorb from the stricken nuclear plant in its midst.
The entire town, which hosts four of the Fukushima No. 1 plant’s six reactors, has been designated as a no-go zone since the March 2011 natural calamities caused three of the units to suffer meltdowns.
A team of workers in white protective gear planted rice, carrots, spinach and other vegetables in an area about 6 km southwest of the crippled nuclear plant Tuesday.
Another group planted exactly the same rice seedlings and vegetables in an adjacent plot that has had 5 cm of its surface soil removed as part of decontamination work.
The municipal government will monitor the plants in the two plots to determine how effective decontamination efforts have been.
“We’d like to collect data to grow agricultural products again in this town some day, although we don’t know how long we will have to wait for that,” a municipal official said.
E
On trial: Rice is planted Tuesday in Okuma, Fukushima Prefecture, just 6 km from the wrecked No. 1 nuclear plant, to determine local levels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 KYODO
-------------
[단독]남양군도로 끌려간 6세 금복은 뙤약볕 아래서 카사바를 심었다 - 경향신문
[단독]남양군도로 끌려간 6세 금복은 뙤약볕 아래서 카사바를 심었다 - 경향신문
남양군도로 끌려간 6세 금복은 뙤약볕 아래서 카사바를 심었다김찬호 기자 flycloser@kyunghyang.com
댓글25
입력 : 2019.08.01
정혜경 박사, 일제강점기 14세 미만 아동 강제노동 사례 첫 공개
나고야 항공기제작소 숙소에 도착한 조선 소녀들.(나고야 미쓰비시 조선여자근로정신대 소송을 지 원하는 모임 제공.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 소장)
태평양 섬 등서 중노동 436명 분석
한반도 내 방적공장만 296명 달해
10세 미만 59명…최연소는 ‘5세’
반인도적 불법행위 대표적 증거로
1936년 전북 김제에서 태어난 금복은 부모, 여동생과 함께 1939년 중서부 태평양(당시 남양군도) 티니언섬으로 떠났다. 몇 월인지는 모르고 일본에서 한두 달 머물렀던 것만 기억난다. 금복은 6세 때부터 일본 척식회사인 남양흥발(南洋興發)이 운영하는 ‘아기깡(Aguiguan)’ 농장에서 일했다. 뜨거운 햇볕을 받으며 카사바(고구마처럼 생긴 구황식물의 일종)를 심었다. 일을 했지만 제대로 급여를 받은 기억은 없다. 일본인들에게 얻어맞지 않으면 다행이었다.
1933년 12월생 인심은 1943년 6월 인천 동양방적으로 동원됐다. 마을 이장과 면서기가 “지역마다 할당된 인원이 있다”며 가야 한다고 했다. 인심 할머니는 “어린 딸을 보낼 수 없다며 울던 어머니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다”고 말했다. 해방 후 집으로 돌아가는 길도 험난했다. “집으로 가라는데 방법을 몰라 공장에 가만히 있었다. 외삼촌이 데리러 와서야 공장을 나갈 수 있었다”고 인심 할머니는 말했다.
일제강점기 강제노동에 동원되고 징용에 끌려간 14세 미만 아동들의 실태를 분석한 연구가 처음 공개됐다. 남양군도, 일본, 한반도 일대 등으로 동원된 아동들은 성폭력, 배고픔 등에 시달렸다. 최연소 징용자는 중국 봉천성 남만방적에서 5세 때부터 일한 연임이었다.
31일 공개된 피해 사례는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정혜경 박사가 일제강점기 14세 미만 아동 436명을 분석한 결과다. 공개된 내용들은 국무총리실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강제동원으로 판단한 것 중 일부다. 위원회는 22만6583건의 징용피해 신고를 받아 21만8639건을 강제동원으로 판정했다. 위원회 조사과장이던 정 박사는 자신이 담당한 피해 사례 1087건 중 아동을 추려냈다.
당시 아동들은 주로 방적공장에 동원됐다. 정 박사가 분석한 사례 중 한반도 내 방적공장에 동원된 아동만 296명에 달했다. 이들의 평균연령은 13세고, 59명이 10세 미만이다. 강제노동으로 사망한 최연소자는 부산 방적공장에서 일한 10세 소녀 김순랑양이다.
일본은 1919년 만들어진 국제노동기구(ILO)의 원가맹국이었다. 당시 일본이 비준했던 ILO 협약들에는 ‘14세 미만 아동 노동을 금지’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이는 1923년 개정된 일본 공장법에도 반영됐다. 하지만 일본은 각종 예외조항과 편법을 만들어 한반도 전체에서 아동을 징용했다. ILO 협약 위반을 피하기 위해 ‘12세 이상 아동이 소학교(초등학교) 교과를 수료한 경우 노동 허용’ ‘이미 사용 중인 12세 이상 14세 미만 아동에 관해서는 적용 배제’라는 예외규정을 만들었다. 또 일본 공장법은 식민지 조선에 적용하지 않았다. 공장법을 시행할 경우 조선의 산업 발달을 저해한다는 논리였다.
정 박사는 “성인 남성만 징용을 당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는 아동, 여성 징용도 많았다”며 “아동 사망자를 불효자라고 호적에도 올리지 않았던 당시 정서를 고려하면 아동 피해자는 상상 이상으로 많을 것”이라고 했다. 정 박사는 아동 징용피해자나 그 가족들을 직접 만나 들은 이야기들을 엮어 <아시아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의 아이들>이라는 책으로 출간할 예정이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8010600055&code=940100&fbclid=IwAR3rYqxfXhTdPD97EbYg7dd8i8Ti0ubBA_mqqwysTuasuwJlYm58SQ28gxA#csidxdb5c15193b31217bcbf6ecdaa896bfe
Labels:
소학
(4) Yuriko Yano - この用語、韓国語では「賊反荷杖」という四字熟語なんですが、これを日本のメディアが「盗人猛々しい」と訳すこと...
(4) Yuriko Yano - この用語、韓国語では「賊反荷杖」という四字熟語なんですが、
これを日本のメディアが「盗人猛々しい」도둑 용맹스러운と訳すことにいつも違和感があって気になっていました。
번역 보기
J-CAST.COM
文大統領の「盗人猛々しい」発言報道 韓国メディア日本語版では、どんな表現?
「文大統領『日本、盗っ人猛々しい』ホワイト国除外で」――朝日新聞(ウェブ版)は、こんな見出しで、韓国の文在寅大統領による緊急国務会議の冒頭発言を報じた。文大統領発言については、フジテレビ系サイト「FNNPRI...
17You, 崔吉城 and 15 others
18 comments5 shares
LikeComment
Share
Comments
Yuriko Yano 日経は「居直る」を使っていますね。
2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10h
Gideok Han 実は、韓国版で、これは何だ?と思ったのね?
なるほど、これを盗人猛々しい翻訳してたんだ…
1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10h
Jongmi Shin 私も違和感を感じました。辞書にある訳をそのまま当てはめた感ありありで、余計に煽ることになると思います。(意図的か?)
図々しいにも程がある、뻔뻔한 것도 정도가있는
번역 보기
J-CAST.COM
文大統領の「盗人猛々しい」発言報道 韓国メディア日本語版では、どんな表現?
「文大統領『日本、盗っ人猛々しい』ホワイト国除外で」――朝日新聞(ウェブ版)は、こんな見出しで、韓国の文在寅大統領による緊急国務会議の冒頭発言を報じた。文大統領発言については、フジテレビ系サイト「FNNPRI...
17You, 崔吉城 and 15 others
18 comments5 shares
LikeComment
Share
Comments
Yuriko Yano 日経は「居直る」を使っていますね。
2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10h
Gideok Han 実は、韓国版で、これは何だ?と思ったのね?
なるほど、これを盗人猛々しい翻訳してたんだ…
1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10h
Jongmi Shin 私も違和感を感じました。辞書にある訳をそのまま当てはめた感ありありで、余計に煽ることになると思います。(意図的か?)
図々しいにも程がある、뻔뻔한 것도 정도가있는
厚かましい…뻔뻔한
う~ん、徐台教さんが道理に合わない、主客転倒と言われていますがぴったりな訳、どなたかお願いします!
2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10h
· Edited
Takei Hajime replied · 9 replies 8 hrs
Takei Hajime 「盗人」は日本文の流れの中で違和感がある表現でした。日本語として使う場所でないところに使われているようにも感じていた表現です。また韓国語の中で使う場面が日本語で使う場面と違うということも読んだ記憶があります。国会議長の「盗人」発言のときだったと思います。誤訳までは言えないにしても、訳し方に気を使わなければいけない言葉ではないでしょうか。シェアしますね。
3
Hide or report this
LikeShow More Reactions
· Reply
· See translation
· 10h
Dg Seo 今日はこの話をツイッターでずっとしていた記憶があります。どなたか分かりませんが、タイムリーな記事でした。ご紹介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2
Hide or report this
LikeShow More Reactions
· Reply
· See translation
· 9h
Yuriko Yano こちらこそ、いつも良い記事を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良い=勉強になる」です^^
1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9h
Dg Seo こちらこそ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1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9h
Write a reply...
Yuriko Yano 青瓦台の英訳だと「 」の部分みたい。If Japan-even though it has great economic strength-attempts to harm our economy, the Korean Government also has countermeasures with which to respond. 「We will never overlook such circumstances where Japan, the instigator of these wrongs, is turning on us. 」We will step up our responses in a phased manner according to the measures taken by the Japanese Government.
2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7h
June Son ドイツがナチスの残滓をどのように対処するに答えがあります。
Hide or report this
文大統領の「盗人猛々しい」発言報道 韓国メディア日本語版では、どんな表現?
2019/8/ 2 20:24
「文大統領『日本、盗っ人猛々しい』 ホワイト国除外で」――朝日新聞(ウェブ版)は、こんな見出しで、韓国の文在寅大統領による緊急国務会議の冒頭発言を報じた。
文大統領発言については、フジテレビ系サイト「FNN PRIME」も「(略)文大統領『盗っ人たけだけしい』」の見出しで報じている。一方で、複数の韓国メディアの日本語版サイトを見ると、同じ発言箇所の表現は異なっており、「盗っ人猛々しい」という表記は登場していなかった。どんな翻訳になっているのか。
文大統領発言をどう訳すか(青瓦台サイトの動画より)
「加害者の日本が居直り、大口をたたく状況を座視しない」
日本政府は2019年8月2日午前の閣議決定で、輸出管理上の「ホワイト国リスト」から韓国を除外する政令改正を決めた。この決定を受けて午後、文大統領は緊急国務会議の冒頭発言で、「とても無謀な決定であり、深い遺憾を表明する」などと述べた。
文大統領の発言については、日韓のメディアが相次いで報じた。朝日新聞は「文大統領『日本、盗っ人猛々しい』 ホワイト国除外で」、FNNは「韓国政府が反論 文大統領『盗っ人たけだけしい」と、見出しを立てた。NHK(ウェブ版)の見出しも「韓国ムン大統領 優遇除外に『日本ぬすっとたけだけしい』」となっている。
また、TBSのニュースサイトでは、見出しには「盗っ人(盗人)~」は登場しないが、本文で「今回の日本政府の措置を『盗人たけだけしい』と強く非難しました」と伝えた。
「盗人~」発言の前後の表現は、どうなっていたのか。
2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10h
· Edited
Takei Hajime replied · 9 replies 8 hrs
Takei Hajime 「盗人」は日本文の流れの中で違和感がある表現でした。日本語として使う場所でないところに使われているようにも感じていた表現です。また韓国語の中で使う場面が日本語で使う場面と違うということも読んだ記憶があります。国会議長の「盗人」発言のときだったと思います。誤訳までは言えないにしても、訳し方に気を使わなければいけない言葉ではないでしょうか。シェアしますね。
3
Hide or report this
LikeShow More Reactions
· Reply
· See translation
· 10h
Dg Seo 今日はこの話をツイッターでずっとしていた記憶があります。どなたか分かりませんが、タイムリーな記事でした。ご紹介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2
Hide or report this
LikeShow More Reactions
· Reply
· See translation
· 9h
Yuriko Yano こちらこそ、いつも良い記事を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良い=勉強になる」です^^
1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9h
Dg Seo こちらこそ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1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See translation
· 9h
Write a reply...
Yuriko Yano 青瓦台の英訳だと「 」の部分みたい。If Japan-even though it has great economic strength-attempts to harm our economy, the Korean Government also has countermeasures with which to respond. 「We will never overlook such circumstances where Japan, the instigator of these wrongs, is turning on us. 」We will step up our responses in a phased manner according to the measures taken by the Japanese Government.
2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7h
June Son ドイツがナチスの残滓をどのように対処するに答えがあります。
Hide or report this
文大統領の「盗人猛々しい」発言報道 韓国メディア日本語版では、どんな表現?
2019/8/ 2 20:24
「文大統領『日本、盗っ人猛々しい』 ホワイト国除外で」――朝日新聞(ウェブ版)は、こんな見出しで、韓国の文在寅大統領による緊急国務会議の冒頭発言を報じた。
文大統領発言については、フジテレビ系サイト「FNN PRIME」も「(略)文大統領『盗っ人たけだけしい』」の見出しで報じている。一方で、複数の韓国メディアの日本語版サイトを見ると、同じ発言箇所の表現は異なっており、「盗っ人猛々しい」という表記は登場していなかった。どんな翻訳になっているのか。
文大統領発言をどう訳すか(青瓦台サイトの動画より)
「加害者の日本が居直り、大口をたたく状況を座視しない」
日本政府は2019年8月2日午前の閣議決定で、輸出管理上の「ホワイト国リスト」から韓国を除外する政令改正を決めた。この決定を受けて午後、文大統領は緊急国務会議の冒頭発言で、「とても無謀な決定であり、深い遺憾を表明する」などと述べた。
文大統領の発言については、日韓のメディアが相次いで報じた。朝日新聞は「文大統領『日本、盗っ人猛々しい』 ホワイト国除外で」、FNNは「韓国政府が反論 文大統領『盗っ人たけだけしい」と、見出しを立てた。NHK(ウェブ版)の見出しも「韓国ムン大統領 優遇除外に『日本ぬすっとたけだけしい』」となっている。
また、TBSのニュースサイトでは、見出しには「盗っ人(盗人)~」は登場しないが、本文で「今回の日本政府の措置を『盗人たけだけしい』と強く非難しました」と伝えた。
「盗人~」発言の前後の表現は、どうなっていたのか。
朝日記事によると、「また、『加害者である日本が、盗っ人たけだけしく、むしろ大きな声で騒ぐ状況は絶対に座視しない』と強い言葉で非難した」。
NHK記事では「さらにムン大統領は『加害者の日本がぬすっとたけだけしく大声をあげている状況を決して座視することはできない』と述べ(略)」となっている。
一方、同様の発言箇所を引用した韓国メディアの日本語ウェブ版は、どう報じたのか。聯合ニュースでは、「『加害者の日本が居直り、大口をたたく状況を座視しない』と強い口調で語った」、朝鮮日報は「『加害者である日本が居直ってむしろ大声を出す状況を決して座視しない』と話した」となっている。いずれも「居直り」表現が登場し、「盗人猛々しい」は出てこない。
聯合ニュース・朝鮮日報の過去記事に「盗人猛々しい」
では、聯合ニュースと朝鮮日報の日本語版サイトが、「盗人猛々しい」という表現を普段から使っていないのか、というとそうではなく、過去記事で見つかる。たとえば、聯合ニュース「韓国国会議長『追い込まれた安倍首相(略)』」(2月18日)記事の本文では、「『(略)私に謝罪しろとは何事か』としながら、『盗人猛々しい』と述べた」とある。朝鮮日報でも、7月11日記事(輸出優遇除外 韓国野党議員『フッ化水素(略)』)に、「日本は経済報復という盗人猛々しい態度を即剤に中断すべきだ」と出てくる。
韓国の青瓦台(大統領府)サイトには、文大統領発言の全文がハングルで紹介されている。該当箇所を複数の翻訳サイトを使って訳すと、韓国メディアの表現に近い日本語になり、「盗人~」表現は出てこない。
一方、先の聯合ニュース2月記事のハングル版で該当箇所を確認し、翻訳サイトで訳すと、「泥棒が自身の足がしびれたことで居直り」といった趣旨の日本語になった。「泥棒」の単語も登場しており、今回の文大統領発言の該当箇所では、「泥棒」の単語は見当たらない。
直訳か意訳か、意訳だとしてニュアンスがピッタリなのか少し強すぎる(弱すぎる)のか、といった問題もありそうだ。ツイッターでは、韓国語に詳しい人たちが、今回の文大統領発言の「盗人猛々しい」訳について、間違いではないか、いや違和感ない、といった意見を表明している。
一方、同様の発言箇所を引用した韓国メディアの日本語ウェブ版は、どう報じたのか。聯合ニュースでは、「『加害者の日本が居直り、大口をたたく状況を座視しない』と強い口調で語った」、朝鮮日報は「『加害者である日本が居直ってむしろ大声を出す状況を決して座視しない』と話した」となっている。いずれも「居直り」表現が登場し、「盗人猛々しい」は出てこない。
聯合ニュース・朝鮮日報の過去記事に「盗人猛々しい」
では、聯合ニュースと朝鮮日報の日本語版サイトが、「盗人猛々しい」という表現を普段から使っていないのか、というとそうではなく、過去記事で見つかる。たとえば、聯合ニュース「韓国国会議長『追い込まれた安倍首相(略)』」(2月18日)記事の本文では、「『(略)私に謝罪しろとは何事か』としながら、『盗人猛々しい』と述べた」とある。朝鮮日報でも、7月11日記事(輸出優遇除外 韓国野党議員『フッ化水素(略)』)に、「日本は経済報復という盗人猛々しい態度を即剤に中断すべきだ」と出てくる。
韓国の青瓦台(大統領府)サイトには、文大統領発言の全文がハングルで紹介されている。該当箇所を複数の翻訳サイトを使って訳すと、韓国メディアの表現に近い日本語になり、「盗人~」表現は出てこない。
一方、先の聯合ニュース2月記事のハングル版で該当箇所を確認し、翻訳サイトで訳すと、「泥棒が自身の足がしびれたことで居直り」といった趣旨の日本語になった。「泥棒」の単語も登場しており、今回の文大統領発言の該当箇所では、「泥棒」の単語は見当たらない。
直訳か意訳か、意訳だとしてニュアンスがピッタリなのか少し強すぎる(弱すぎる)のか、といった問題もありそうだ。ツイッターでは、韓国語に詳しい人たちが、今回の文大統領発言の「盗人猛々しい」訳について、間違いではないか、いや違和感ない、といった意見を表明している。
2019/08/02
유영모와 함석헌의 같음과 다름
Daum 블로그
다석과 함석헌
2013.11.05 04:15
참도
유영모와 함석헌의 같음과 다름| 숨은 예수의 골방
늦빔 | 조회 27 |추천 0 | 2013.10.06. 08:32
유영모와 함석헌의 같음과 다름
--------------
늦빔 안창도
"내가 이 학교에 오게 된 것은 함 자네 한 사람 얻으려고 했나봐." 늘 그렇듯이 이야기한 사람은 잊어버리는데 듣는 사람은 두고 두고 잊혀지지 않는 말이 있다. 함석헌에 게 이 말은 평생 잊지 못할 말이 되었다.
유영모는 일제 시대 오산학교 교장 시절부터 함석헌의 선생님이 었다. 오산학교에 쟁쟁한 인재들이 많았다. 교장으로는 조만식, 홍명희, 이승훈은 물론 교사로도 이광수 같은 사람이 있었으니 또한 학생들도 민족의식이 높은 자들이 모여들었다. 6.25 이후 남한에서 가장 큰 영락 교회를 세운 한경직 목사, 화가 이중섭, 독립군 출신 김홍일 장군 등 패기있고 리더십이 출중하고 걸출한 학생들 사이에 함석헌은 내성적인 성미에 남 앞에 나서는 성품이 못되었다. 학과 시간에도 묻고 싶어도 남 앞에서 자기를 내세우는 것 같아서 질문도 못하던 사람이었다.
그래도 유영모 교장이 오산학교를 떠날 때 배웅을 해드린 학생은 함석헌 혼자였다. 일제가 부임 허가를 내주지 않아서 결국 1년만에 서울로 돌아가는 길이었다. 학생 함석헌이 유영모 선생님의 짐보따리를 들고 정거장까지 배웅을 해드렸나보다. 교장 유영모는 학생 함석헌을 남다르게 보았던 것같다. 그래서 다른 이들을 마다하고 함석헌에게 자신의 짐을 부러 맡긴 것이 아닐까?
내성적이고 소심한 함석헌에게 교장 선생님이 '나에겐 오직 너뿐이다.'라는 말을 하였을 때 인간 함석헌에게 미친 영향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나는 젊은 시절 함석헌이란 이름을 들어 보았어도 유영모란 이름은 들어 본 적이 없었다. 왜 갑자기 유영모란 이름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는가? 너무 세상을 앞서 살았기 때문에 그랬던 것일까? 기독교내에 종교다원주의자들은 유영모에게서 그 원류를 발견한 것일까? 그는 누구일까? 그리고 그의 제자 함석헌은 유영모의 가르침이나 사상을 얼마나 체화했는가? 함석헌의 제자 박재순은 유영모를 딱 한번 본 적이 있었는데 그에게서 비범한 풍모를 느낄 수 있었다고 한다. 유영모의 구기동 자택에서 뵌 팔십이 넘은 노인의 얼굴은 희었고 입술은 붉었다고 전했다.
"류달영(柳達永)이 말하기를 “함석헌 선생님은 발끝에서 머리끝까지 류영모 선생임을 닮으려고 했습니다.”라고 하였다. 함석헌이 몸살림으로는 한복을 입고, 하루 한끼를 먹고, 걸어다니고 하는 것이 모두 류영모의 삶을 본받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무교회 신앙인인 이찬갑(李贊甲)은 “어찌하여 함석헌은 류영모를 닮아가는가?”라고 불만을 털어놓았다."(진리의 사람 다석 유영모, 박영효)그러나 불행히도 이 두 사람은 나중에 갈라지게 된다. 무엇이 이 둘을 갈라놓았는가? 표면적으로는 함석헌의 여성 편력이 문제가 되었다. 함석헌은 자신의 여성편력을 유영모에게 괴테의 경우에 견주어 말했다. 함석헌이 유영모에게 ‘톨스토이를 두고 괴테를 읽어 보았다’라고 한 것은 워낙 동서고전에 통달한 그이니만치 괴테의 여성편력을 모를 리 없을 터이고 그래서 자신의 행위를 괴테라는 대문호에 견주어 합리화하고 싶었을 것이다. 다석은 처음에는 함석헌의 잘못을 덮어 주고자 하였으나 나중에는 세간에 이런저런 얘기가 자꾸 흘러나오니 공개석상에서 면박을 주게 되었다. 다시 유영모의 제자 박영효가 전하는얘기를 옮겨 본다.
"함석헌은 모임에 스승 류영모가 들어오자 하던 말을 멈추고 류영모를 모인 사람들에게 소개하였다. 함석헌은 소개말을 하기를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모르시는 분은 모르실 줄 알고 말씀드립니다. 정주(定州) 오산학교 학생 때 저를 가르쳐 주신 은사님이신 류 영모 선생님께서 방금 이곳에 오셨습니다. 제가잘못한 것이 많아 한 서울에 있으면서 도 찾아뵙지 못하였는데, 오늘 여기까지 오신 것은 저의 잘못을 용서하신 것으로 알고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그때 함석헌이 발행하는 잡지「씨알의 소리」편집장으로 있는문대골이 자리에서 일어나 류영모를 환영한다는 인사말을 하였다. 문대골은 일찍 어버이를 잃은 사람이라 언제나 함석헌을 정신적인 아버지로 생각하였다. “이 자리에 선생 님의 선생님께서 오신 것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오늘처럼 사진기를 갖지 못한 것을 후회해 본 적이 없습니다. 두 분 선생님께서 한 자리에 계신 모습을 사진에 담고 싶어서입니다. 선생님의 선생님께서도 한 말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저
는 구원이란 사랑과 죄악이 뒤범벅이 된 것이라 믿습니다."라고 하였다.
문대골의 인사말을 듣고 있던 류영모가 자리에서 벌떡 일어서며 소리쳤다. "이제 구원은 사랑과 죄악이뒤범벅이 된 것이라고 말한 이는 나가시오. 사랑과 죄악으로 뒤범벅이 된 것이 어찌 구원이 된다는 말이오. 구원이란 탐진치의 삼독의 욕심에서 벗어나 진리로 자유(해탈)하는 것이 구원일 것이요. 그래서 예수도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고 하였어요. 일찍 석가는 말하기를 '온갖 걸림에서 벗어나라'고 했습니다. 온갖 유혹에서 벗어나 헤메지 않으려면 자각(自覺)을 해야 합니다. 스스로 진리의 나를 깨달으려면 먼저 모든 욕심을 절제해야 합니다. 절제하는 데 제일 힘드는 것이 식색(食色)입니다. 색(색)이 강한 듯하지만 사실은 더 강한 것이 식(食)입니다. 색욕은 60살이 지나면 저절로 물러서지만, 식욕은 숨질 때까지 끌고 갑니다. 그래서 더 어려운것입니다. 그런데 함은 60이 지났는데도 그렇지 않은 모양입니다. 아직도 젊은 여자를 찾아다니는 모양이니 어찌 그렇소. 함은 죄가 많은 사람이요. 그렇게 큰 잘못을 저지르고도 이렇게 여러 사람 앞에 나서
서 말을 하고, 글을 쓰고, 성경까지 가르치다니 어떤 의미에서는 참 축복받은 사람이요. 함은 허리가 아프지 않소…. "(다석 류영모 ,하권. 291쪽)
"함은 허리가 아프지 않소?" 무슨 소린가. 오입을 많이 해서 허리가 아플 것이란 비아냥인가. 박영호는 위의 책에서 군자만이 사람을 사랑할 수 있고 미워할 수 있다는 공자의 말로 유영모의 태도를 변호했지만 사랑하는 마음에서 나올 말은 아닌 것같다. 유영모를 따르는 사람들이 그것을 함석헌에 대한 책선(責善)이었다고 변호할 수는 있다. 후에 유영모는 그의 일기에서 이렇게 탄식했다고 한다.
"그가 헤맬 사람으로 보지 않았는데. 벗이여 갔는가. 오랜 벗이여 아주 갔는가. 다시 돌아올 길은 없는가.나는 허전하구나. 한 사람 봤구나 터니 본 처음이 잘못이 던가?"
유영모와 함석헌의 자속론대속론과 자속론은 장로교와 감리교의 교파 논쟁에서도 드러나고 있고, 개신교와 가톨릭의 ‘믿음이냐 공로사상이냐라는 해묵은 교리논쟁이기도 하다. 인간의 구원은 ‘오직 예수’라는 ‘믿음’으로만 가능한 것인가? 자신의 의지는 철저히 무시되어야 하는가? 그렇다면 어떤 의지적 수행도 필요치 않는 것인가? 이정배 감리교 교수도 그의 책 “없이 계신 하나님, 덜 없는 인간”에서 유영모의 신앙을 유교적 기독교론으로자리매김하면서 유영모의 자속론을 강조하였다. 한마디로 우리가 예수를 그리스도로 모시는 것은 그의
그리스도됨에 이르고자 함을 배우려는 것이라고 말한다. 거기에는 독생자 교리가 서 있을 자리가 없다.
누구도 예수와 같이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키우면 그처럼 성령충만한 그리스도 의식(얼나)을 공유할 수있다.
대속론과 칭의론
통합심리학자로서 동서양, 근대주의와 탈근대주의의 장점을 취합하여 보편적 다원주의를 주창한 바 있는 켄 윌버는 성장발달론에 치우쳤다. 어린아이가 스스로 성장하는 과정의 수행적 차원을 강조한 것이다. 켄 윌버 본인도 수행적 삶을 실천했다. 루소와 같은 이는 인간의 발달은 자연 그대로의 어린아이의 본성을 되찾아주는 자연주의적 입장, 자유주의적 입장에 서 있었다. 이처럼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성장주의는 엘리트주의나 보수주의 입장을, 자연주의는 민주적이고 진보적인 자유주의 입장을 갖는다. 유영모가 함석헌보다 우측에 서게 되는 것도 그러하다. 이것은 흔히 함석헌의 제자들이 유영모를 비판하는근거이기도 하다.
이에 대하여 바울이나 현대의 교부 칼 바르트의 대속론은 대중적이고 민중적이라는 점에서 자유주의자로서의 경향성을 갖는다. 예수를 구원자로 믿으면 성령에 의해서 모든 대중, 민중이 죄에서 벗어나서구원을 받고 영원한 생명에 들어서게 된다. 이러한 대속론은 업적 위주의, 성공지향적인 현대사회에서도치유적인 효과를 가져온다.(칭의와 치유, 최영/한신대 강사)
이처럼 수행과 믿음은 자속론과 대속론으로, 성장주의와 자연주의로, 보수주의와 자유주의로 자리를 달리한다. 수행 (보수주의)과 믿음론(자유주의)은 둘다 장점과 약점을 가진다. 켄 윌버는 각 사상, 주장에 서 좋은 점을 취해서 보편적 다원주의로 가는 것이 다양성 속에서 통일성을 갖는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켄 윌버의 보편적 다원주의는, 알랭 바디우의 보편적 개별성과는 다르다. 공산주의자로서의 알랭 바디우는 그의 책 <바울>에서 부활신앙으로 말미암아 모든 인간은 예수 안에서 새롭게 된다.
유영모가 자속론자라고 해서 그가 예수의 대속론을 전적으로 부인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가 지은 시에서 <믿음에 들어간 이의 노래>나 찬송 가사 등에서 그는 예수의 그리스도됨을 노래하고 있기때문이다. 물론 그런 글에서조차 예수의 신성을 불인정했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다만, 예수가 그리스도됨을 인정한 그 지점이 정통 기독교 교리로서의 대속론과 유영모의 자속론이 만날 수 있는 부분이다. 특히 김흥호가 편찬한 <다석강의>를 읽어보면 첫 페이지부터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이 그의 말과 글에 절절히 넘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의 하나님 아버지에 대한 효(孝), 예수 그리스도에대한 충(忠)과 절절한 사랑을 보면 그의 신앙을 ‘대속론이냐 자속론이냐?’, ‘믿음이냐 수행이냐?’, ‘정통이냐? 종교 다원주의냐?’라는 이분법적 논리로 섣불리 재단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글
유영모, 함석헌에 대한 접근과 이해는 요즘 새롭게 대두되는 평신도 중심의 이머징처치 운동과 연결지어서 종교개혁에 버금가는 새로운 정통(새종교)으로서, 초대교회적 영성과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만하다.
함석헌의 스승 유영모는 철저히 자속론적인 수행을 실천하였다. 그는 비록 집에서 가족과 함께 생활했지만 수도사적 금욕주의로 일관한 삶을 살았다. 반면에 함석헌은 그의 인생 후반기에 이르러 기독교적인대속론에 좀더 다가간 듯하다. 그분의 여성편력로 인한 참회적 심정에서 그러한 측면이 도드라지 않았을까를 추측해 볼 수 있을 뿐이다. 노년에 기독교 교파의 일종인 퀘이커교도가 된 것도 자신의 실존적 고뇌, 내면적 모순 때문에 자연스럽게 그러한 십자가 신앙과 은총론인 대속론에 의지한 것이 아닌가 한다.
장기려 박사가 복음적인 성경공부 모임에 함석헌을 출석시키면서 함석헌에게 거듭하여서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론을 환기시키고자 하였을 때, “나에겐 예수님 혼자만이 주님이시지요”라고 해서 장기려가 감동해서 눈물을 흘렸다는 예화가 있었듯이 함석헌 또한 예수님의 주 되심, 은총으로의 구원론을 어찌 철저히 거부하였다고 할 수 있을까?
그러나 유영모는 철저하게 자속적 수행을 관철하고 대속론을 거부하였다고 한다.(진리의 사람 다석 유영모, 박영효) 그의 자속론은 유교적 인격함양론, 수신제가적인 전통에서 기인한 것인 듯하다. 비록 그의사상이 불교적인 절대공(空)의 세계, 일미(一味)의 지경, 천지인 합일(유목민적 신앙)로서 하나됨(歸一,一者)을 추구하였다고 하지만 그의 기독교 사상을 유교적 기독교라고 하는 이들의 지적에서도 증명이 되고있다.(이정배) 그런 수행의 최고 경지를 얼나로서 그리스도 의식을 가진 성인, 군자로 ‘거듭나는 것’으로이해해서 예수의 십자가의 희생양론을 인정치 않으려 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예수의 신성과 인성에 대한문제와 맞닿은 부분으로서 유영모의 기독교 사상이 정통기독교 사상과 분리되는 가장 중요한 경계가 되는 곳이기도 하다.
다석일지의 마지막은 다음과 같이 끝났다. “예수 그리스도이시여, 내가 걸어야 할 길이시여.” 이 일기글은 유영모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토로한 것으로 봐야 하는가? 철저히 수행적 롤모델로만 봐야 하는가?
다석과 함석헌
2013.11.05 04:15
참도
유영모와 함석헌의 같음과 다름| 숨은 예수의 골방
늦빔 | 조회 27 |추천 0 | 2013.10.06. 08:32
유영모와 함석헌의 같음과 다름
--------------
늦빔 안창도
"내가 이 학교에 오게 된 것은 함 자네 한 사람 얻으려고 했나봐." 늘 그렇듯이 이야기한 사람은 잊어버리는데 듣는 사람은 두고 두고 잊혀지지 않는 말이 있다. 함석헌에 게 이 말은 평생 잊지 못할 말이 되었다.
유영모는 일제 시대 오산학교 교장 시절부터 함석헌의 선생님이 었다. 오산학교에 쟁쟁한 인재들이 많았다. 교장으로는 조만식, 홍명희, 이승훈은 물론 교사로도 이광수 같은 사람이 있었으니 또한 학생들도 민족의식이 높은 자들이 모여들었다. 6.25 이후 남한에서 가장 큰 영락 교회를 세운 한경직 목사, 화가 이중섭, 독립군 출신 김홍일 장군 등 패기있고 리더십이 출중하고 걸출한 학생들 사이에 함석헌은 내성적인 성미에 남 앞에 나서는 성품이 못되었다. 학과 시간에도 묻고 싶어도 남 앞에서 자기를 내세우는 것 같아서 질문도 못하던 사람이었다.
그래도 유영모 교장이 오산학교를 떠날 때 배웅을 해드린 학생은 함석헌 혼자였다. 일제가 부임 허가를 내주지 않아서 결국 1년만에 서울로 돌아가는 길이었다. 학생 함석헌이 유영모 선생님의 짐보따리를 들고 정거장까지 배웅을 해드렸나보다. 교장 유영모는 학생 함석헌을 남다르게 보았던 것같다. 그래서 다른 이들을 마다하고 함석헌에게 자신의 짐을 부러 맡긴 것이 아닐까?
내성적이고 소심한 함석헌에게 교장 선생님이 '나에겐 오직 너뿐이다.'라는 말을 하였을 때 인간 함석헌에게 미친 영향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나는 젊은 시절 함석헌이란 이름을 들어 보았어도 유영모란 이름은 들어 본 적이 없었다. 왜 갑자기 유영모란 이름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는가? 너무 세상을 앞서 살았기 때문에 그랬던 것일까? 기독교내에 종교다원주의자들은 유영모에게서 그 원류를 발견한 것일까? 그는 누구일까? 그리고 그의 제자 함석헌은 유영모의 가르침이나 사상을 얼마나 체화했는가? 함석헌의 제자 박재순은 유영모를 딱 한번 본 적이 있었는데 그에게서 비범한 풍모를 느낄 수 있었다고 한다. 유영모의 구기동 자택에서 뵌 팔십이 넘은 노인의 얼굴은 희었고 입술은 붉었다고 전했다.
"류달영(柳達永)이 말하기를 “함석헌 선생님은 발끝에서 머리끝까지 류영모 선생임을 닮으려고 했습니다.”라고 하였다. 함석헌이 몸살림으로는 한복을 입고, 하루 한끼를 먹고, 걸어다니고 하는 것이 모두 류영모의 삶을 본받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무교회 신앙인인 이찬갑(李贊甲)은 “어찌하여 함석헌은 류영모를 닮아가는가?”라고 불만을 털어놓았다."(진리의 사람 다석 유영모, 박영효)그러나 불행히도 이 두 사람은 나중에 갈라지게 된다. 무엇이 이 둘을 갈라놓았는가? 표면적으로는 함석헌의 여성 편력이 문제가 되었다. 함석헌은 자신의 여성편력을 유영모에게 괴테의 경우에 견주어 말했다. 함석헌이 유영모에게 ‘톨스토이를 두고 괴테를 읽어 보았다’라고 한 것은 워낙 동서고전에 통달한 그이니만치 괴테의 여성편력을 모를 리 없을 터이고 그래서 자신의 행위를 괴테라는 대문호에 견주어 합리화하고 싶었을 것이다. 다석은 처음에는 함석헌의 잘못을 덮어 주고자 하였으나 나중에는 세간에 이런저런 얘기가 자꾸 흘러나오니 공개석상에서 면박을 주게 되었다. 다시 유영모의 제자 박영효가 전하는얘기를 옮겨 본다.
"함석헌은 모임에 스승 류영모가 들어오자 하던 말을 멈추고 류영모를 모인 사람들에게 소개하였다. 함석헌은 소개말을 하기를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모르시는 분은 모르실 줄 알고 말씀드립니다. 정주(定州) 오산학교 학생 때 저를 가르쳐 주신 은사님이신 류 영모 선생님께서 방금 이곳에 오셨습니다. 제가잘못한 것이 많아 한 서울에 있으면서 도 찾아뵙지 못하였는데, 오늘 여기까지 오신 것은 저의 잘못을 용서하신 것으로 알고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그때 함석헌이 발행하는 잡지「씨알의 소리」편집장으로 있는문대골이 자리에서 일어나 류영모를 환영한다는 인사말을 하였다. 문대골은 일찍 어버이를 잃은 사람이라 언제나 함석헌을 정신적인 아버지로 생각하였다. “이 자리에 선생 님의 선생님께서 오신 것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오늘처럼 사진기를 갖지 못한 것을 후회해 본 적이 없습니다. 두 분 선생님께서 한 자리에 계신 모습을 사진에 담고 싶어서입니다. 선생님의 선생님께서도 한 말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저
는 구원이란 사랑과 죄악이 뒤범벅이 된 것이라 믿습니다."라고 하였다.
문대골의 인사말을 듣고 있던 류영모가 자리에서 벌떡 일어서며 소리쳤다. "이제 구원은 사랑과 죄악이뒤범벅이 된 것이라고 말한 이는 나가시오. 사랑과 죄악으로 뒤범벅이 된 것이 어찌 구원이 된다는 말이오. 구원이란 탐진치의 삼독의 욕심에서 벗어나 진리로 자유(해탈)하는 것이 구원일 것이요. 그래서 예수도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고 하였어요. 일찍 석가는 말하기를 '온갖 걸림에서 벗어나라'고 했습니다. 온갖 유혹에서 벗어나 헤메지 않으려면 자각(自覺)을 해야 합니다. 스스로 진리의 나를 깨달으려면 먼저 모든 욕심을 절제해야 합니다. 절제하는 데 제일 힘드는 것이 식색(食色)입니다. 색(색)이 강한 듯하지만 사실은 더 강한 것이 식(食)입니다. 색욕은 60살이 지나면 저절로 물러서지만, 식욕은 숨질 때까지 끌고 갑니다. 그래서 더 어려운것입니다. 그런데 함은 60이 지났는데도 그렇지 않은 모양입니다. 아직도 젊은 여자를 찾아다니는 모양이니 어찌 그렇소. 함은 죄가 많은 사람이요. 그렇게 큰 잘못을 저지르고도 이렇게 여러 사람 앞에 나서
서 말을 하고, 글을 쓰고, 성경까지 가르치다니 어떤 의미에서는 참 축복받은 사람이요. 함은 허리가 아프지 않소…. "(다석 류영모 ,하권. 291쪽)
"함은 허리가 아프지 않소?" 무슨 소린가. 오입을 많이 해서 허리가 아플 것이란 비아냥인가. 박영호는 위의 책에서 군자만이 사람을 사랑할 수 있고 미워할 수 있다는 공자의 말로 유영모의 태도를 변호했지만 사랑하는 마음에서 나올 말은 아닌 것같다. 유영모를 따르는 사람들이 그것을 함석헌에 대한 책선(責善)이었다고 변호할 수는 있다. 후에 유영모는 그의 일기에서 이렇게 탄식했다고 한다.
"그가 헤맬 사람으로 보지 않았는데. 벗이여 갔는가. 오랜 벗이여 아주 갔는가. 다시 돌아올 길은 없는가.나는 허전하구나. 한 사람 봤구나 터니 본 처음이 잘못이 던가?"
유영모와 함석헌의 자속론대속론과 자속론은 장로교와 감리교의 교파 논쟁에서도 드러나고 있고, 개신교와 가톨릭의 ‘믿음이냐 공로사상이냐라는 해묵은 교리논쟁이기도 하다. 인간의 구원은 ‘오직 예수’라는 ‘믿음’으로만 가능한 것인가? 자신의 의지는 철저히 무시되어야 하는가? 그렇다면 어떤 의지적 수행도 필요치 않는 것인가? 이정배 감리교 교수도 그의 책 “없이 계신 하나님, 덜 없는 인간”에서 유영모의 신앙을 유교적 기독교론으로자리매김하면서 유영모의 자속론을 강조하였다. 한마디로 우리가 예수를 그리스도로 모시는 것은 그의
그리스도됨에 이르고자 함을 배우려는 것이라고 말한다. 거기에는 독생자 교리가 서 있을 자리가 없다.
누구도 예수와 같이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키우면 그처럼 성령충만한 그리스도 의식(얼나)을 공유할 수있다.
대속론과 칭의론
통합심리학자로서 동서양, 근대주의와 탈근대주의의 장점을 취합하여 보편적 다원주의를 주창한 바 있는 켄 윌버는 성장발달론에 치우쳤다. 어린아이가 스스로 성장하는 과정의 수행적 차원을 강조한 것이다. 켄 윌버 본인도 수행적 삶을 실천했다. 루소와 같은 이는 인간의 발달은 자연 그대로의 어린아이의 본성을 되찾아주는 자연주의적 입장, 자유주의적 입장에 서 있었다. 이처럼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성장주의는 엘리트주의나 보수주의 입장을, 자연주의는 민주적이고 진보적인 자유주의 입장을 갖는다. 유영모가 함석헌보다 우측에 서게 되는 것도 그러하다. 이것은 흔히 함석헌의 제자들이 유영모를 비판하는근거이기도 하다.
이에 대하여 바울이나 현대의 교부 칼 바르트의 대속론은 대중적이고 민중적이라는 점에서 자유주의자로서의 경향성을 갖는다. 예수를 구원자로 믿으면 성령에 의해서 모든 대중, 민중이 죄에서 벗어나서구원을 받고 영원한 생명에 들어서게 된다. 이러한 대속론은 업적 위주의, 성공지향적인 현대사회에서도치유적인 효과를 가져온다.(칭의와 치유, 최영/한신대 강사)
이처럼 수행과 믿음은 자속론과 대속론으로, 성장주의와 자연주의로, 보수주의와 자유주의로 자리를 달리한다. 수행 (보수주의)과 믿음론(자유주의)은 둘다 장점과 약점을 가진다. 켄 윌버는 각 사상, 주장에 서 좋은 점을 취해서 보편적 다원주의로 가는 것이 다양성 속에서 통일성을 갖는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켄 윌버의 보편적 다원주의는, 알랭 바디우의 보편적 개별성과는 다르다. 공산주의자로서의 알랭 바디우는 그의 책 <바울>에서 부활신앙으로 말미암아 모든 인간은 예수 안에서 새롭게 된다.
유영모가 자속론자라고 해서 그가 예수의 대속론을 전적으로 부인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가 지은 시에서 <믿음에 들어간 이의 노래>나 찬송 가사 등에서 그는 예수의 그리스도됨을 노래하고 있기때문이다. 물론 그런 글에서조차 예수의 신성을 불인정했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다만, 예수가 그리스도됨을 인정한 그 지점이 정통 기독교 교리로서의 대속론과 유영모의 자속론이 만날 수 있는 부분이다. 특히 김흥호가 편찬한 <다석강의>를 읽어보면 첫 페이지부터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이 그의 말과 글에 절절히 넘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의 하나님 아버지에 대한 효(孝), 예수 그리스도에대한 충(忠)과 절절한 사랑을 보면 그의 신앙을 ‘대속론이냐 자속론이냐?’, ‘믿음이냐 수행이냐?’, ‘정통이냐? 종교 다원주의냐?’라는 이분법적 논리로 섣불리 재단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글
유영모, 함석헌에 대한 접근과 이해는 요즘 새롭게 대두되는 평신도 중심의 이머징처치 운동과 연결지어서 종교개혁에 버금가는 새로운 정통(새종교)으로서, 초대교회적 영성과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만하다.
함석헌의 스승 유영모는 철저히 자속론적인 수행을 실천하였다. 그는 비록 집에서 가족과 함께 생활했지만 수도사적 금욕주의로 일관한 삶을 살았다. 반면에 함석헌은 그의 인생 후반기에 이르러 기독교적인대속론에 좀더 다가간 듯하다. 그분의 여성편력로 인한 참회적 심정에서 그러한 측면이 도드라지 않았을까를 추측해 볼 수 있을 뿐이다. 노년에 기독교 교파의 일종인 퀘이커교도가 된 것도 자신의 실존적 고뇌, 내면적 모순 때문에 자연스럽게 그러한 십자가 신앙과 은총론인 대속론에 의지한 것이 아닌가 한다.
장기려 박사가 복음적인 성경공부 모임에 함석헌을 출석시키면서 함석헌에게 거듭하여서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론을 환기시키고자 하였을 때, “나에겐 예수님 혼자만이 주님이시지요”라고 해서 장기려가 감동해서 눈물을 흘렸다는 예화가 있었듯이 함석헌 또한 예수님의 주 되심, 은총으로의 구원론을 어찌 철저히 거부하였다고 할 수 있을까?
그러나 유영모는 철저하게 자속적 수행을 관철하고 대속론을 거부하였다고 한다.(진리의 사람 다석 유영모, 박영효) 그의 자속론은 유교적 인격함양론, 수신제가적인 전통에서 기인한 것인 듯하다. 비록 그의사상이 불교적인 절대공(空)의 세계, 일미(一味)의 지경, 천지인 합일(유목민적 신앙)로서 하나됨(歸一,一者)을 추구하였다고 하지만 그의 기독교 사상을 유교적 기독교라고 하는 이들의 지적에서도 증명이 되고있다.(이정배) 그런 수행의 최고 경지를 얼나로서 그리스도 의식을 가진 성인, 군자로 ‘거듭나는 것’으로이해해서 예수의 십자가의 희생양론을 인정치 않으려 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예수의 신성과 인성에 대한문제와 맞닿은 부분으로서 유영모의 기독교 사상이 정통기독교 사상과 분리되는 가장 중요한 경계가 되는 곳이기도 하다.
다석일지의 마지막은 다음과 같이 끝났다. “예수 그리스도이시여, 내가 걸어야 할 길이시여.” 이 일기글은 유영모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토로한 것으로 봐야 하는가? 철저히 수행적 롤모델로만 봐야 하는가?
이정배, "다석에게 자속과 대속은 상생적" - 에큐메니안
이정배, "다석에게 자속과 대속은 상생적" - 에큐메니안
이정배, "다석에게 자속과 대속은 상생적"생명평화기독연대 109차 심포지엄, 다석(多夕)의 기독론
고수봉 기자 | 승인 2014.12.19
생명평화기독인연대가 18일 이정배 교수를 초청, 109차 생명평화 포럼을 가졌다. 국내 토착화 신학의 연구자 중 한명인 이정배 교수는 이번 포럼에서 기독교의 대속(代贖)을 토착종교의 자속(自贖)으로 읽어낸 다석 유영모 선생을 소개했다.
▲ 생명평화기독연대 포럼에서 이 교수는 기독교의 대속 사상과 동양적 자속론을 다석의 예수 이해를 통해 상생적 관계로 읽어냈다. ⓒ에큐메니안 고수봉
7시 인천교회에서 진행된 포럼에서 이 교수는 “동서 종교의 차이를 자력과 타력, 가역성과 불가역성의 구도로 설정하지만 다석의 경우에는 이 둘이 ‘불이(不二)’였고, 상생적 관계에 있었다.”며 “(다석에게) 기독교의 대속 사상과 동양적 자속론이 상호 불가피한 보충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그는 “다석은 예수를 이해함에 있어 상생적 구속론의 사상적 토대로 삼재론을 십자가 사상으로 풀어냈다”고 평가하며, 다석에게 있어 “삼재론의 본질인 하나(一者)는 우주 만물을 생성시키는 영원한 신비이자 만물이 돌아갈 궁극처로서, 곧 없이 계신 하나님은 절대와 상대, 전체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이는 우주 및 인간 속에 절대 의식이 깃들어 있다는 것으로 다석은 “우리 안에는 하늘로부터 받은 바탈이 있으며, 이는 불교의 표현으로는 견성(見性), 기독교로 말하면 임마누엘”이라고 설명했다.
▲ 이정배 교수. ⓒ에큐메니안 고수봉
이 교수는 “다석은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인간과 예수를 존재론적, 형이상학적으로 다른 존재라고 인정하지 않았다”며, “예수가 하느님이 된 것을 십자가와 부활, 즉 제 뜻 버려 하늘 뜻을 폈기 때문으로 봤다”고 다석의 ‘얼기독론’을 소개했다.
그에 의하면, 다석은 이 십자가와 부활 때문에 석가와 공자보다 예수를 가장 위대한 스승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이는 “십자가 상에서 예수는 전체 생명(하느님)이 되었고, 오심즉여심의 경지에 이르게 됐다”고 설명하며, 다석은 이런 예수를 스승, 즉 ‘길’을 보여주신 분으로 삼았다.
다석에게 길이 되신 예수는 대속이며, 예수 자신에게는 자속이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는 스승인 예수와 같은 길을 가다가 길이 되어야 하는 것, 즉 대속과 자속은 불이적이며, 상생적 관계라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다석의 말을 빌려, “제 뜻 버려 하늘의 뜻을 펴는 십자가의 뜻을 펴는 삶, 즉 남의 생명을 희생시키는 삶이 아닌 우리 몸을 바치는 자속의 삶을 살아야 한다.”고 정리했다.
고수봉 기자 gogo990@hanmail.net
Labels:
이정배
이 책을 말한다 > 책마당 | 동서문명의 만남과 융합
이 책을 말한다 > 책마당 | (재)기독교서회
책마당 (2009년 4월호)
동서문명의 만남과 융합
다석연구의 부흥
이정배 교수가 “다석 르네상스 시대”라고 말한 것처럼 다석 사상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늘고 있다. 2006년 봄에 『다석강의』(현암사)가 출판된 이래 2008년 8월에 세계철학대회에서 20명의 학자들이 유영모·함석헌의 철학을 발표했다. 그 무렵 필자는 다석의 삶과 사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다석 유영모』(현암사)를 2008년 7월에 냈고 다석의 제자 박영호가 다석의 삶과 사상을 쉽게 풀이한 『다석 류영모』(두레)를 2009년 2월에 냈다. 바로 이어서 이 교수가 무게 있는 학술연구서 『없이 계신 하느님, 덜 없는 인간』을 펴냈다.
일본의 대표적인 철학연구기관인 교토포럼에서 발행하는 『공공적 양식인』에 다석의 사상이 소개됨으로써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서구철학에서는 ‘생각’이 이성의 추리와 사고(思考)를 뜻하는데 다석은 ‘생각’이 생명의 주체인 ‘나’의 행위일 뿐 아니라 ‘나’를 생성하고 전진향상시키는 생명행위라고 보았다. 더 나아가서 ‘생각’은 하나님과 소통하는 영적 행위라고 하였다. 이성의 틀에 갇힌 서구철학이 출구를 찾지 못하는데 다석은 ‘생각’을 생명을 살리는 행위, 하나님과 소통하는 행위로 봄으로써 철학적 사유의 새 지평을 열고 있다. 일본의 철학자들이 이러한 다석의 철학에 주목하고 있다. 올해 7월과 12월에는 한국과 일본에서 한일철학대화마당을 열어서 다석의 사상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올 3월 20일에는 씨 학회가 창립되어 한국의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이 유영모·함석헌 철학의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교수의 다석 사상연구서가 나온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다석 사상연구를 위한 이정배 교수의 자격
다석 사상연구를 위한 특별한 자격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석의 사상을 연구하는데 두 가지 이유에서 자격이 필요하다. 첫째 다석의 신학과 철학이 창조적이면서 깊고 넓은 정신세계를 담고 있지만 다석이 남긴 글과 자료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둘째 다석의 삶과 정신이 매우 높고 깊기 때문에 그의 사상과 깨달음의 경지를 헤아리지 못하면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이 다석 사상에 매력을 느끼고 연구하려고 하지만 쉽게 다석 연구에 뛰어들지 못한다.
이 점에서 이 교수는 선택받은 사람이다. 이 교수는 변선환의 애제자이다. 변선환이 다석의 제자인 김흥호를 감신대에 초빙하였다. 김흥호의 연구실과 이 교수의 연구실이 이웃하고 있어서 13-4년 동안 이 교수는 김흥호를 통해서 다석의 정신과 사상에 대한 가르침을 직접 받았다. 필자는 이것이 우연히 이루어진 게 아니라 변선환의 깊은 배려로 된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로써 이 교수는 누구보다 다석연구를 위한 준비를 갖춘 셈이다.
이 교수가 변선환으로부터 불교와 기독교의 관계에 대한 가르침을 받고 이어서 스위스에서 유교와 기독교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것도 다석 연구를 위한 준비였다고 생각된다. 그 동안 문화신학에 대한 연구에 앞장서면서, 국내에서는 최초로 다석사상을 연구한 박사제자를 길러냈다. 몇 해 전에는 김흥호와 함께 다석사상연구논문집을 펴내기도 했다.
책의 구성과 내용에 관하여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다석 신학의 본질과 구조를 다룬 4편의 논문이 실려 있고 2부는 다석 신학의 세계사적 의미와 보편적 적용에 관한 4편의 논문이 실려 있다. 3부에는 천부경과 동학에 비추어서 다석의 기독교 이해를 다룬 논문을 영역한 글이 실려 있다.
기본적으로 이 책은 저자가 말하듯이 동도동기론의 관점에서 쓰여졌다. 한국의 철학자들이나 신학자들이 서구의 전통과 주제를 서구의 관점에서 다룬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관점이다. 또한 동양의 문화전통과 주제를 서구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는 이른바 오리엔탈리즘과도 다르다. 이교수는 “한국을 위시한 동북아시아 문화전통을 서구적 잣대로서가 아니라 한국적·아시아적 시각에서 이해해야 하는 소위 동도동기론적 해석학”을 말한다.(94쪽) 이로써 학문의 주체적 자립이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교수는 한국과 동아시아의 틀 안에 갇혀 있지 않다. 1부의 제목이 시사하듯이 서구의 학문이론과 관점과의 비판적 대화를 시도한다. 동도동기론의 관점을 견지하면서 서구신학과의 긴밀한 대화를 통해서 다석의 신학을 보다 풍성하고 정밀하게 다듬고 표현한다. 가다머의 지평융합이론, 판넨베르그의 아래로부터의 기독론, 서구의 에코페미니즘 등을 끌어들여 다석신학의 한국적 아시아적 정체성을 뚜렷이 확립하면서도 다석신학에 대한 논의와 이해를 더욱 풍성하게 하고 있다. 2부에서 “다석신학의 세계사적 의미와 보편적 쓰임”을 말하듯이, 저자는 다석신학의 논의를 세계적 지평에서 전개한다.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라는 말을 실증하는 것이다.
이 서평에서는 이 책에 실린 논문들 가운데 3개를 소개하고 평가함으로써 서평의 책임을 가름하고자 한다.
첫 번째 논문 “동서신학의 사조에서 본 다석의 얼 기독론”에서 저자는 판넨베르그의 미래적 기독론과 힉의 신중심주의적 기독론을 서구의 대표인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으로 규정하고 이와 관련해서 다석의 얼 기독론을 설명하고 있다. 존 힉의 기독론은 판넨베르그의 기독론을 좀더 철저화하고 발전시킨 형태인데 저자는 힉이 “궁극적 신비(실재)와 종교체험의 다원성(문화적 해석의 상대성)을 분리”하는 것을 양자의 상호연관성을 근간으로 하는 동양종교의 관점에서 비판한다. 더 나아가 “신중심적 기독론의 결정적 문제점은…기독교 안에서 이미 그리스도로 고백된 예수가 아시아적 심성 속에서는 어떻게 해석되고 언표될 수 있겠는가 하는 점을 놓치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46쪽)
같은 논문에서 저자는 교토학파의 선불교적 그리스도 이해를 다룬다. 선불교철학의 즉비(卽非) 논리에 따르면 서로 다른 개별자와 초개별자, 현상과 본체가 ‘하나’이다. 본래의 자기는 “주객도식이 난파된 공(空)으로서의 근원저(根源底)에로의 자기초월”을 뜻한다.(49쪽) 선불교 신학자들은 “절대 무(無)를 근간으로…성육신, 십자가…부활을 해석”함으로써 예수 그리스도를 보편성 속에 해소시킴으로써, “십자가 사건 속에 포함된 당파적 연대성으로서의 참된 종교적 관용성을 숙지하지 못한 것이다.”(57쪽)
저자에 따르면 일본 교토학파의 그리스도 이해가 선불교에 근거를 둔 것과는 달리 유영모는 불교적 토대에 유교적 내용으로 살을 붙임으로써 기독교 이해를 더욱 설득력 있게 만들었다.(63쪽) 유영모는 “불교의 무아(無我), 곧 인간의 자기의식을 철저히 폐기시키는 자기부정의 원리 속에 유교적 살신성인의 실천원리를 채워 넣음으로써 동양적 정신을 지평융합”시킨다.(65쪽)
저자는 유영모가 “몸으로서의 예수를 철저하게 비신성화시켰다.”는 점에서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의 철저화된 형태”라고 생각한다.(73쪽) “예수의 얼을 그리스도, 곧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리얼리티로 인정하는 점에서 유영모의 기독론은 하느님과 예수의 존재론적 차이에 관심을 집중하는 아리우스주의의 신중심주의적 입장과도 분명히 구별된다.”(75쪽)
저자는 신중심주의를 표방하는 서구 종교다원주의신학과 유영모의 기독론의 차이를 밝힌다. 서구 종교다원주의신학은 “하느님과 공(空), 예수 그리스도와 부처 또는 공자…간의 유비적 관계에 주목”한다. 이에 반해 유영모의 얼 기독론은 “‘얼의 몸 입음’을 모든 사람의 공통된 일로 이해하면서, 성육신의 의미지평을 더욱 급진적으로, 더욱 보편적으로 넓혀 주었다.”(79쪽) 또한 선불교신학자들은 십자가 사건을 “사랑이란 이름으로 또는 무아란 이름 하에 탈역사화시켜…그 사건이 생성된 역사적 원의미를 탈각시킨 한계를 드러낸다.”(85쪽) 그러나 유영모는 예수의 십자가를 “몸의 나를 버리고 얼의 나로 솟아오르기 위해 자기 자신을 제물로 바친 사건으로 이해한다.”(86쪽) 유영모의 기독론은 서구의 종교다원주의신학자들에 비해서 성육신의 의미지평을 더욱 보편적으로 확대하고 일본의 선불교신학자들과는 달리 예수사건의 역사성을 살려내고 있다.
저자는 “다석 유영모가 본 한글 속의 기독교”에서 동도동기론의 해석학적 관점을 가지고 다석의 한글 신학을 밝히고 있다. 다석에 따르면 언어는 “모두 하느님이 주신 것이며,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의 글을 통하여 하느님을 찾아 나설 수 있다.”(97쪽) 다석은 겨레의 얼이 담긴 한글 속에서 하느님의 계시를 보고 한글로 하느님 말씀을 풀어내고자 노력하였다. 다석은 하느님의 말씀을 겨레의 언어인 한글로 이해하여 자기 말로 바꾸는 것을 성육신이라고 불렀다.(97쪽)
유영모에 따르면 모음은 “우주의 아버지이며 어머니이신 하느님이 인류를 부르는” ‘계소리’이고 자음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을 아는 인간이 자신의 몸을 들여 하늘의 소리에 응답하여 하늘에 이르는 길”이고 ‘제소리’이다.(110쪽) 다석은 10글자의 모음을 “ㅏㅑ 아해들아 ㅓㅕ 어서 ㅗㅛ와요, ㅜㅠ우흐(위)로 ㅡㅣ세상을 꿰뚫고 곧이 곧장.”으로 풀이한다. 모음은 이 세상을 꿰뚫고 하느님 계신 곳으로 인간을 부르고 계신 하느님의 사랑을 계시하는 언어이다.(111쪽)
모음의 기본은 천지인 삼재를 나타내는 ·ㅡㅣ이다. ㅡ는 세상이며 ㅣ는 세상을 꿰뚫고 곧장 올라가는 ‘고디 신’이고 ·는 태극의 신학적 풀이로서 하느님 아버지의 사랑, 평등, 박애의 상징이다. 다석은 천지인 삼재의 순서를 바꾸어서 ‘으이아’(ㅡ ㅣ·)로 부른다. ‘으이아’는 우주의 원음으로서 세상의 탐진치를 끊고 하늘로 올라가기 위한 인간의 힘씀을 나타낸다. ㅡ ㅣ·를 겹쳐놓으면 십자가가 되고 십자가는 인간의 마음과 세상을 한 점으로 찍고 세상 죄의 수평선을 뚫고 하느님께 올라가는 가온찍기(點心)가 이루어지는 자리이다.(111-2쪽)
다석은 자음을 변형시키거나 의미를 부여해서 자음이 “하느님에게로 나아가는 구체적인 길을 제시한다.”고 보았다.(113쪽) 또한 ㄱㅋㅎ, ㄴㄷㅌ, ㅁㅂㅍ, ㅅㅈㅊ, ㅇㆆㅎ이 삼단계의 변증법적 발전을 보이고 있는 것은 한국적인 천지인 삼재관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다석은 ㅁㅂㅍ이 물불풀로서 땅에서 물이 올라오고 하늘에서 불이 내려와서 이 땅 위에 풀(생명)을 자라게 하는 것으로 이해했다.(114-5쪽) 다석의 한글이해는 단순한 말놀이나 사변적인 유희가 아니라 몸과 마음으로 깨닫고 체득하는 행위였다. 그의 한글이해는 “몸으로 캐내는 생각”이다.(116쪽)
그러면 그의 한글이해와 그리스도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저자에 따르면 다석과 김흥호에게 그리스도는 “시간의 한복판에서 자신의 참나를 만나는 일, 몸 속에서 정신이 터져 나온 절대시간과 절대공간의 자리”이며, “계소리와 하나 되는 제소리를 내게 하며, 없이 계신 그분에게로…우리를 이끄시는 분”이다.(118쪽)
여기서 소개할 셋째 글은 “천부경을 통해서 본 동학과 다석의 기독교 이해”이다. 이 글은 부제 “기독교의 토착화/세계화를 위한 수운과 다석의 한 접점 모색”이 시사하듯이 천부경이라는 한국고유의 종교철학사상의 빛에서 동학과 다석사상의 한국적이면서 세계적인 의미를 밝히려 한다.
저자는 천부경의 삼재사상의 틀에서 동학과 다석사상의 상관성을 드러내려 한다. 수운은 『천주실의』의 자극 내지 도움으로 민족 고유한 『천부경』의 하느님을 재발견하였다. 다석도 유불선을 회통시키며 『천부경』의 삼재론을 민족문화의 원형으로 보았다.
저자는 먼저 동학과 다석사상의 근본토대로서 삼재론을 『천부경』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81자로 이루어진 『천부경』은 “시작도 끝도 없는 영원한 하나(一)로부터 천지인 삼극(三極)이 갈라져 나오지만 그 근본은 소진되지 않고 영원함을 말한다.”(134쪽) 또 『천부경』은 대우주인 하나와 소우주인 인간의 일치를 말한다. “우주생성의 근원인 하나가 바로 참나이기에 참나를 찾는 일이 바로 하나(一)로 돌아가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이다.(136쪽) ‘내 마음이 곧 네 마음’(吾心卽汝心)이라는 수운의 말과 ‘하느님은 종당에 참나’라는 다석의 말은 천부경의 내용과 통한다고 저자는 말한다.(136쪽) 저자는 서구 기독교의 충격으로 생겨난 동학은 “기독교 토착화의 맹아를 지녔다.”고 보았다.(136쪽)
저자에 따르면 다석은 천부경의 ‘한’ 사상에 근거해서 토착적으로 예수를 이해한다. 예수는 “우주의 절대 생명인 하나(一)가 자신을 아들 삼은 것을 느끼고 그 ‘하나’의 아들 노릇을 하려고 자신의 바탈을 불사른 존재”이다.(143쪽) 예수만이 아니라 누구나 자신이 ‘하나’의 아들임을 깨닫고 “절대 생명을 살아낼 수 있다면 독생자가 될 수 있다.”(143쪽)
다석의 얼 기독론은 성령과 인간을 직결시킴으로써 종래의 배타적, 타력적 대속(代贖)사상을 수정한다. 다석은 “동양의 수행적 전통에서 예수의 십자가를 자속(自贖)의 방식으로 재해석했다.”(146-7쪽) 예수뿐 아니라 누구나 다 자속의 길을 가야 한다. 예수의 십자가도 예수 자신에게 있어서 자속의 길이었다. 그러나 예수의 자속은 우리에게 자속의 길을 요구함으로써 오히려 대속으로 역할을 한다.(147쪽)
저자는 토착(土着)과 토발(土發)을 구별한다. 토착은 “유입된 서구사조 자체를 완제품으로 여겨 그것을 우리 토양에 맞게 표현한, 일명 뿌리내리기”를 일컫는다. 이에 반해 토발은 “밖에서부터의 자극을 통해 자생적 토양에서 그것을 능가하는 보편적 담론 생산을 이름”한다.(158쪽) 저자는 동학과 다석사상을 토발된 사상으로서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파악한다. “유불선을 운이 다한 종교로, 서구 천주학을 이치에 맞지 않는 종교로 평가하면서 그의 극복을 잊혀젼 신, 곧 천부경의 귀일사상 속에서 찾았던 동학과 유불선을 배경으로 기독교를 탈서구적, 비정통적으로 이해한 다석 사상이 크게 다르지 않다.”(158쪽)
저자는 동학의 ‘하늘로써 하늘을 먹임’(以天食天)과 다석의 보편적 대속론이 일치한다고 보았다. 다석은 “먹고 먹히는 세상사가 대속 아닌 것이 없다”고 했다.(163쪽) 다석의 보편적 대속사상은 “이천식천의 빛에서…인간과 기독교라는 울타리를 넘어 우주의 비인격적 생명마저 에두르는 신적 관계성의 새 차원을 들어내는 기독교 생태담론이 될 수 있다.”(164쪽)
다석은 기독교를 수행적 종교로 재해석한다. 그에게 십자가는 “자신의 밑둥(속알)에서 하느님을 찾고 참나로 돌아가기 위한 수행적 방편일 뿐이다.”(166쪽)
문제와 평가
이정배 교수는 이 책에서 서구의 신학과 철학, 일본 교토학파의 선불교 신학을 끌어들이고 천부경을 바탕으로 동학과의 비교연구를 통해서 다석신학의 한국적 의미와 세계적 의미를 드러내고 있다. 이런 폭넓은 비교연구는 다석사상의 창조적 특성과 사상적 보편성을 밝혀준다. 이 교수의 이러한 다석사상연구는 한국의 학자들뿐 아니라 서구와 일본의 학자들이 다석사상을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중요한 안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동서양의 신학과 철학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통찰은 가지고 다석사상을 깊고 총체적으로 파악한 진지한 연구서이다. 이 교수의 다석연구에 경의와 공감을 표하면서 다석사상연구자로서 필자가 이 책을 읽으며 생겨난 물음과 생각을 몇 가지 덧붙이려고 한다.
1) 다석의 기독론을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으로 규정한 것은 다석이 몸을 가진 예수의 신성을 부정했다는 점에서 타당하다. 그러나 그리스도를 “하늘에서 내려와 하늘로 가는 길을 연 이”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위로부터의 기독론’으로 볼 여지가 있다. ‘아래’와 ‘위’를 구별하는 서구신학의 관점 자체가 다석의 그리스도 이해에 적합하지 않은 것 같다.
2) 다석의 속죄론을 자속으로만 표현할 수 있을까? 다석 자신도 대속이라는 말을 쓴다. 주체의 자리에서 보면 자속이고 전체의 자리에서 보면 대속이 아닌가?
3) 동학과 다석사상의 유사성을 강조하는데 차이도 있다고 본다. 다석사상에서는 ‘생각’이 중심에 있는데 동학에서는 주문과 부적의 사용에서 보듯이 비합리적 성격이 보인다. 다석은 자아와 세상에 대한 철저한 부정을 말했는데 동학은 정치현실에 휩쓸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천식천과 대속이 같은 것이라고 하는데 이천식천은 먹고 먹히는 것을 전체 생명의 자리에서 이해한 것이라면 대속은 자기희생을 통해서 주체와 주체의 죄와 더러움을 씻어주는 행위로서 차이가 느껴진다.
다석사상은 동서문명의 만남과 융합의 과정에서 생성된 한국적이고 세계적인 사상이며, 심오할 뿐 아니라 삶과 실천에서 우러나오는 힘과 지혜를 지니고 있다. 다석사상연구는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이 교수는 몇 안 되는 진지하고 열정적인 다석연구자의 한 사람이다. 이 교수가 다석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기를 기대하고 기다린다.
“없이 계신 하느님” 다석 유영모(1) - 에큐메니안
“없이 계신 하느님” 다석 유영모(1) - 에큐메니안
“없이 계신 하느님” 다석 유영모(1)조선교회의 뿌리를 찾아서(8)
조헌정 소장(그리스도교-주체사상 대화연구소) | 승인 2019.02.23 21:07
------------
다석 류영모 선생은 1890년에 태어나 1981년 92세까지 우리 민족의 근대와 현대를 걸쳐 사신 분으로 흔히 함석헌 선생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석강의>라는 책 표지에 소개되어 있는 글을 그대로 옮기자면 다석은 천문, 지리, 서양철학, 동양철학, 불경, 성경 등에 능통한 대석학이요 현자요 한글철학자이다.
다석 류영모(多夕 柳永模) 1890-1981)
16세에 세례를 받고 기독교인이 되었으며, 32세에 조만식선생의 뒤를 이어 평양 오산학교 교장이 되어 그곳에 정통 기독교 신앙을 전하였다. 40대에는 월남 이상재의 뒤를 따라 YMCA의 선생이 되어 30년이 넘도록 연경반 강의를 하였다.
교회에는 나가지 않았지만 평생동안 성서를 읽고 예수의 가르침을 받들어 실천하였다. 예수를 절대시하고 성서만이 진리라는 생각을 버리고 여러 성인을 모두 좋아하였으며, 노자를 알리는데 큰 공을 이루었다. 순수한 우리말과 글을 사랑하여 우리말이 들온말(외래어)에 밀려 없어지거나 푸대접받는 걸 몹시 언짢아하였다.
160cm미터가 못 되는 체구에 서민적 모습이었으나 그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위엄이 있었다. 눌변도 달변도 아닌데 한 말씀 한 말씀이 예지가 번뜩이는 시문(詩文)이며 진언(眞言)이었다. 얇은 잣나무 판에 홑이불을 깔고 목침을 베고 누워서 잠을 잤으며, 새벽 3시면 일어나 정좌하고 하느님의 뜻이 어디 있는지를 깊이 생각하였다. 하루에 한 끼씩 저녁에 식사를 하였는데, 세 끼를 합쳐서 저녁을 먹는다는 뜻으로 호를 다석이라고 했다.
항상 무릎을 꿇고 앉았으며, 맨손체조와 냉수마찰을 평생 동안 했다. 일생 무명이나 베로 지은 한복에 고무신을 신고 천으로 만든 손가방에 명상의 일기 공책을 들고 다녔다. 시계도 차지 않았지만, 시간을 어기는 일이 없었다.
사람이 제 먹거리는 제가 장만해야 한다면서 북한산 밑으로 이사하여 직접 농사를 지었으며, 남에게 잔심부름을 시키지 않는 것을 생활신조로 지켜 밥상을 손수 부엌 마루에 내놓았다. 걸어 다니기를 즐겨 북한산에 자주 올랐고 강의하러 갈 때도 꽤 먼거리를 걸어서 다녔다. 새벽마다 지구를 사타구니 밑에 깔고 우주를 한 바퀴씩 돌면서 우주 산책을 한다면서 세계의 명산, 깊은 바다의 이름과 높이 깊이를 모조리 기억하였으며, 지구와 별들과의 거리도 외웠다.
나이를 햇수로 계산하지 않고 날수를 하루하루 세었는데, 32,200일을 살았다. 가까이 따르던 사람으로는 김교신, 함석헌, 현동완, 이현필, 김흥호, 유달영 등이 있다. 감탄할 만한 명문장가였는데도 평생 다석일지만 남겼다.
김교신 선생은 류영모 선생을 가리켜 “내가 만나 본 이 가운데 가장 경외하는 사람, 하느님을 믿되 이처럼 ‘믿어 사는’ 사람을 보지 못하였다.” 류달영 선생은 말하기를 “사람들은 다석을 진인(眞人) 또는 성자(聖者)라고 추앙한다. 그의 인격이 참되고 거룩하였기 때문이다. 그분이 펼치신 다석 사상은 우리 민족의 값진 정신적인 유산이요 인류의 유산이다.”
2011년 8월에 5차 세계 철학자대회가 서울에서 열렸는데, 이때 한국을 대표하는 대표적인 사상가로 두 명이 소개되었는데, 한분은 류영모 선생이고 다른 한분은 함석헌 선생이다. 함 선생께서는 당신 스스로 류영모 선생을 만나지 못했다면 오늘의 내가 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고백하였으니 이렇게 본다면 우리나라가 세계에 내놓을 수 있는 철학자나 사상가가 있다면, 류영모 선생이 가장 두드러진 분이다.
내가 대학에 들어가 함석헌 선생으로부터 류영모 선생에 대한 얘기를 들었지만, 그때는 생각이 짧아 굳이 찾아뵐 마음이 들지 않았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 한번이라도 찾아 뵈었더라면 좋았을 걸 하는 진한 아쉬움이 항상 남아 있다. 말씀이 심오하고 사상의 깊이가 있어 선생의 어록이 담긴 책을 가까이 하긴 하였지만, 깊은 공부는 하지 아니하였다.
이번에 글을 준비하면서 책을 읽긴 하지만, 단기간에 그를 이해한다는 것이 시험을 앞두고 밤샘 벼락공부하는 것과 같이 어리석은 일임을 고백한다. 물론 이는 단지 류영모 선생님에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니다. 이 땅에 예수그리스도의 삶을 본받아 살았던 훌륭하신 분들의 생애를 간추려 전한다고 하는 것이 실은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표현이 맞는 것이다. 부족하기에 주저하면서도 이런 일을 시도하는 것은 남한 교회에 새로운 바람이 일어나기를 바라는 마음 때문이다.
▲ 다석 유영모 선생 ⓒGetty Image
선교사들로부터 전해진 개신교회의 역사는 채 140년이 되지 않는다. 서양의 2,000년 역사에 비하면 너무나 짧은 시간이다. 지난 2,000년 동안 기독교는 서구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서양의 여러 민족의 전통 속에 깊이 뿌리를 내려왔다. 우리에게도 우리 문화와 전통 속에 뿌리를 내리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뿌리가 깊지 아니한 나무는 바람에 흔들릴 수밖에 없다.
지금 개신교는 뿌리 채 흔들리고 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전통과 권위를 부정하는 사상의 흐름도 있고, SNS라는 새로운 소통방식에 의한 정신문화가 문명의 영향도 있고, 내부 자체의 여러 문제도 있다. 대형교회들의 물량화 선교 거기에 교회지도자들의 영적 신체적 타락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가 전통문화 뿌리 내리기이다. 불교는 외래종교이지만, 천년이 넘는 동안 우리 문화와 역사 안에 깊은 뿌리를 내렸다. 가톨릭은 제사문제 등 개신교보다는 앞장서 있다. 개신교는 처음부터 미국의 보수 선교사들의 우리나라 문화에 대한 짧은 이해와 오해로 인해 우리 문화를 얕볼뿐더러 죄악시하기까지 하였다. 이제라도 뿌리 내리기 운동이 있어야 할 것이다.
특히 개신교회의 가장 중심이 되는 설교에 그런 노력이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목사님들의 설교는 서구교회가 하는 대로 첫째, 둘째, 셋째 하는 서구의 삼단논리에 매여 있고, 예화 또한 서양 것을 주로 한다. 그래 예수는 분명 검은 눈, 납작 둥글 코에 검은 곱슬머리, 짙은 갈색의 중동인이지만, 우리의 머릿속 에는 파란 눈, 우뚝 솟은 코에 금빛 머리카락을 휘날리는 백인으로 인식되어져 있는 것이다.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 속에서 활동했던 성서의 인물만큼, 우리 역사에서 예수를 믿고 받아들였던 선배들의 믿음과 삶 또한 우리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그중에서도 오늘 얘기되는 다석 류영모는 으뜸으로 중요한 분이다.
일좌식일언인(一坐食一言仁)
류영모 선생이 예수를 믿었던 16세가 되던 때는 일제가 을사늑약을 통해 강제로 대한제국의 주권을 뺏었던 해이다. 많은 백성들은 목자 없는 양 마냥 이리저리 방황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안창호 선생을 비롯한 수많은 우국지사들의 강연이 YMCA에서 있었는데, 청소년 다석이 이곳을 드나들다 총무 김정식 선생의 권유에 의해 연동교회에서 세례를 받아 교인이 되었고 이후 수년간을 오전에는 연동교회 오후에는 승동교회 저녁에는 새문안교회를 다닐 정도로 열심이었다.
그리고 경신학교를 졸업하던 해 정주의 오산학교에 과학교사로 초빙을 받아 가서 매 수업을 기도로 시작할 만큼 기독교정신에 열심이었는데, 그때 오산학교는 기독교와는 관계가 없었고, 창립자 이승훈 선생 또한 기독교인이 아니었다. 그러나 다석의 영향으로 이승훈 선생이 예수를 믿어 후에 장로가 되었을 뿐더러 오산학교를 기독교 정신으로 운영해 나간 것이다. 이 오산학교를 통해 함석헌 주기철목사와 같은 민족과 교회를 위한 수많은 지도자들이 나왔는데, 그 근본을 보면 다석의 공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다석은 2년 후 이승훈 선생이 감옥에 갇히고 대신 평양신학교의 선교사 로버트가 교장으로 취임하면서 학생들을 기독교신도로 만드는 일에 교육의 초점을 두자, 이때 오산학교를 떠나게 되고 그러면서 동시에 정통 교회신앙을 버린다. 이는 하느님에 대한 신앙을 버린 것이 아니라 교회가 전하는 교리 신앙, 서구 선교사들의 가르침을 앵무새처럼 반복하는 비주체적이고 탈역사적인 신앙 곧 죽은 신앙을 버린 것이다. 거기에는 단재 신채호의 민족사관과 톨스토이의 사상과 두 살 아래 동생인 영묵의 갑작스런 죽음들을 통해 얻어진 신앙의 결과였다.
다음 시간에 언급을 하겠지만, 특히 교회가 전하는 대속(代贖)사상 곧 우리의 구원은 예수께서 십자가를 대신 지셨다고 하는 것을 입으로 믿고 고백하면 구원이 온다고 하는 문자적 가르침에 의문을 품고 자속(自贖)사상, 우리 자신이 예수를 따라 십자가를 지는 희생적 결단 곧 자속을 통한 대속의 구원의 길을 얘기한 것이다. 예수가 가졌던 신앙을 본받아야지 예수 자신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이런 주장은 요즘 깨어있는 신앙인들에게 있어서는 당연한 가르침이지만, 당시에는 선교사들이 전파하는 교회의 정통교리를 부정하는 일이 되기에 큰 문제가 되었다.
그리고는 예수의 십자가 신앙을 자속적인 동양의 수행으로 끌어내어 일좌식일언인(一坐食一言仁)을 실천하셨다. 일좌란 무릎을 꿇고 앉아 말씀을 골라 묵상하는 일이며 일식은 하루 한 끼를 먹는 일로서 일상에서 자기 자신을 제물로 바치는 행위를 말한다. 또한 일언은 남녀간의 성적 관계를 끊는 일로서 선생이 50세에 부인과 해혼하여 남매처럼 지낸 것은 유명하며 일인은 언제든 걷는 것으로 자신의 몸을 지키는 것이었다.
그리고는 스스로 성서를 연구하고 우찌무라 간조나 톨스토이와 간디의 사상을 공부하면서 불교, 유교 그리고 노장의 경전들을 두루 읽어 독특한 사상과 신앙을 세워나갔다. 특히 한글에 깊은 연구를 하시어 한자어를 비롯한 외래어들을 우리말로 바꾸는 노력을 하셨다. 예를 들면 어머니로부터 받은 나는 ‘몸나’로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나는 ‘얼나’로 그리고 나의 근원이 되는 하느님은 ‘참나’로 표현하고, 거듭난 나는 '솟나'로, 독생자는 ‘한나신 아들’로, 백성은 ‘씨알’로, 근본은 ‘바탈’로, 하느님은 ‘빔’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가 새롭게 해석하고 깨우치고 만든 단어가 워낙이 많아 다석 사전이 있을 정도이며 그가 한 말을 그대로 옮겨 놓으면 보통사람은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가 없어 시중에 나온 책들은 모두 제자들이 해설을 한 것들이다. 다석은 한시 1천3백수, 우리말 시조 1천7백수를 지었다. 광주가 우리말로 ‘빛고을’이라고 하는 말은 많이 아는데, 이 말 또한 다석이 처음 한 말이다.
한글과 삼재론
다석이 한글에 집착하게 된 이유는 우리 민족의 고유 사상인 삼재론 곧 하늘과 땅과 인간을 중시하는 삼재론과 성서에 드러난 하느님 예수그리스도 성령이라고 하는 삼위일체가 사상적으로 일치한다고 보았고 이 삼재론 사상이 한글에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문화비교학자들에 의하면 중국과 한국은 그 기본적인 문화의 핵심 키워드가 다르다고 한다. 중국은 음양론이 중심이고 한국은 삼재론이 중심이라는 것이다. 음양론은 밟고 어둡고 태양이 있고 없는 농경문화권 속에서는 사상의 중심이 되지만,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하는 한반도 시베리아 문명은 농경문화권이 아니라 수변문화권이며 여기에는 음양론보다는 삼재론이 더 중심이 된다는 것이다.(“함석헌 유영모 장일순 최홍종의 생애와 사상 강좌”, 이정배, 광주YMCA 오방 아카데미 편, 87쪽) 후에 한국과 중국의 문명권이 서로 교류하면서 중국은 ‘음양론 중심의 삼재론’을 펴고 우리는 ‘삼재론 중심의 음양론’을 펴게 된다.
이 삼재론 중심의 음양론 정신이 가장 잘 들어가 있는 것이 바로 한글이다.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한글을 창제할 때 바로 이 삼재론과 음양론의 구조를 조화롭게 조절하여 만든 것이다. 한글의 기초가 되는 ‘아(아래아)·으·이’는 하늘 땅 인간이 우주의 근본이라는 삼재론에 바탕을 둔 것이다. 이 삼재론에 모음과 자음의 음양을 조합한 것이 한글이다.
이번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동의보감의 핵심사상도 정기신(精氣神)이라는 삼재론이다. 몇 년 전 유네스코에서 말은 있지만 문자가 없는 세계의 소수민족에게 가장 적합한 언어는 한글이라고 하는 결론을 내린 바 있는데, 몇 년전 인도네시아의 소수민족인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공식문자로 채택했다고 하는 뉴스를 보았을 것이다. 사실 소리나는 대로 적을 수 있는 언어는 한글이 최적이다. 한글은 매우 과학적인 글일뿐더러 거기에는 깊은 사상과 철학이 담겨 있다. 류영모선생은 바로 이러한 한글에 담겨 있는 철학과 사상에 깊은 연구를 하시어 가장 많은 한글 시조를 남기신 분이다.
그분이 남기신 우리 말 시조 하나를 살펴보자. 독자 여러분도 무슨 뜻인지 생각해 보시기 바란다다.
우리 언니들은 싱싱히 댄겨가시압 아멘
힘차신 속알로 힝하니 돌아가시압 아멘
아버지 할렐루야 암 우리 읗님 가온뫼시리
여기서 언니는 (예수를 비롯한 성인)들을 말하고 읗님은 하느님을 말하고 가온이란 말은 영원절대를 말합니다. (풀이) 예수를 비롯한 성인들이 이 세상에 집착하지 않고 휭하니 다녀갔듯이, 우리도 세상에 집착하지 말고 어서 빨리 하느님께로 돌아가서 그분만을 영원토록 모시자.(『다석 유영모』, 박영호, 147쪽)
일일일생주의(一日一生主義)
류영모 선생의 또 하나의 특이한 점은 다석은 자신의 생을 년으로 계산하지 않고 날로 계산하여 일기에 그 날수를 기록한 것이다. 그래 32200일을 사셨다. 8년 전에 다석을 따라 저도 한번 계산을 해본적인 있었는데, 제가 어머니 뱃속에서 태어나 이 세상에 산 날이 2만1천3백9십8일이었다. 저는 그간 궁합이니 토정비결과 같은 신수를 전혀 해보지 않아 제가 태어난 시를 알지 못했는데, 어머님께 전화를 해서 물어보았더니 정확한 시는 모르고 새벽녘이라는 것만 알았다. 무슨 태몽 같은 것은 없었냐고 하니까 너무 오래되어서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하셨다.
사람이 이 땅에서 살아간 기간을 햇수가 아닌 날로 계산하는 방식은 참으로 좋은 것 같다. 그건 하루하루를 보다 값지고 보람 있게 살 수 있도록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새해 첫날에 화를 내는 경우는 없다. 덕담만을 한다. 그건 그 해를 보다 보람있게 그리고 의미 있게 살기 위한 결심의 표시이다.
그렇다면 자신의 나이를 날로 계산하는 습관을 갖는다면 매일매일이 새날이 되는 셈이고 태어난 시를 축하하는 습관을 갖는다면 매일매일이 생일이 되는 것이다. 나이를 굳이 햇수로 계산하는 것은 우리의 문화적 습관에 불과하다. 지금도 아프리카의 어떤 부족은 나이를 물으면 40살쯤 먹은 사람이 150살이라고 답을 한다고 한다.
우리와는 다른 저들 나름대로의 계산법이 있는 것이다. 이를 갖고 미개인이다 문화인이다 말할 수는 없다. 굳이 미개인 문화인을 구분한다면 수십만 명을 한꺼번에 살상시킬 수 있는 핵무기를 수천 발씩 갖고 있는 놈이 미개인이고 야만인이지, 나이를 다른 방식으로 계산한다고 해서 미개인이 될 수는 없다.
필요하다면 우리 나이를 달의 주기에 맞춰 계산할 수도 있을 것이고, 계절로도 계산할 수 있을 것이고, 하루를 둘로 나누어 조석의 때로도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번 세계적인 전위예술가 백남준 아트홀에서 보았던 인상적인 작품이 있다. 자신이 어머니 뱃속에 있었을 때의 날짜를 태어난 날로부터 거꾸로 계산해서 그날 있었던 어머니와의 대화를 ‘태내 자서전’이라는 명목으로 작품으로 만들어 놓았다.
예를 들면 첫 작품은 자신이 태어난 날로부터 거꾸로 계산하여 120일째가 되는 날, 1930년 그날의 뉴욕타임스 신문을 구해서 그 위에다 큰 글씨로 -120 days 라고 매직으로 휘갈려 쓴 다음 엄마에게 이런 질문을 던진다. ‘Mom, what is tax?’ ‘엄마 세금이 뭐야?’ ‘응, 그건 정부가 국민에게 매긴 바가지란다.’ 태내 자서전이라는 발상 자체도 파격적이지만, 대화의 내용 또한 자본주의 체제를 부정하는 파격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다석은 28세에 이 세상에서 산 날을 세기 시작하였는데, 그때 쓴 글에 이런 얘기가 나온다.
“나의 삶으로 산다는 궁극의 의미는 어디에 있는가. 가로대 오늘살이에 있다 하노라. 하루를 무심히 지내면 백년, 천 년을 살아도 시간을 다 잃어버린다. … 하루하루를 지성껏 살면 무상(無常)한 인생도 비상(非常)한 생명이 된다. 언제나 오늘오늘, 오늘 하루를 사는 것이다.” 이런 얘기도 후에 하셨지요. ‘오! 늘--!’
태양을 꺼라!
류영모 선생님의 호 다석(多夕)은 한문으로 보면 저녁 석자 세 개가 모인 것이다. 여기에는 하루에 저녁 한끼만을 먹는다는 의미를 넘어 보다 깊은 뜻이 담겨 있다. 서양의 사고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다석의 독특한 동양적 기독교 이해의 출발점이 담겨 있다.
철학자 이기상은 그래서 이 호를 ‘태양을 꺼라’로 해석한다. ‘많은 저녁’이 되려면 태양을 꺼야 한다는 것이다. 태양이라고 하는 것은 빛의 근원이자 밝음의 출발이다. ‘빛이 있으라 하시매 세상이 있었다.’ 곧 빛은 세상의 출발이기도 하고 세상의 모든 것을 분별하는 힘의 원천이다. 그런데 다석은 이 빛의 근원이 되는 태양을 끄라는 것이다. 그리고 대신 저녁을 상징하는 어둠과 달을 끄집어 낸 것이다.
태양이 서양적 이성의 상징이라면 달은 동양적 감성의 상징이다. 서양인들은 태양을 좋아한다. 해변에 나아가 옷을 벗고 태양을 즐긴다. 반면 동양인들은 옷 벗음을 수치로 여기며 산에 올라 달을 즐긴다. 태양 빛 아래서 시원한 맥주잔을 기우리며 떠드는 것이 서양의 멋이라면 달빛 아래서 시 한수를 읊으며 차 한잔을 나누는 것이 동양의 멋이다. 따라서 어둠과 달을 뜻하는 다석의 호는 서양의 논리의 틀을 벗어나 동양적 감성 더 나아가 보이지 않는 영원성을 구현하려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다석은 말한다.
“사람들은 흔히 대낮에는 살림을 위해서 다니고, 일하고, 배우고, 놀고, 밤에는 그것을 위해 쉬고, 잠자고, 꿈꾸는 것으로 안다. 이것은 대단히 위험한 생각이다. 밝은 것 뒤에는 크게 잊혀진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그것은 은연중에 통신으로, 밤중에 희미한 빛으로 태양광선을 거치지 않고 나타나는 우리의 삶에 가장 중요한 영혼과의 통신이다. 우리는 이것을 망각하고 그저 잠이나 자고 있다. 한낮에만 사는 것을 사는 것이라고 하는 것은 정신없는 소리다. 빛을 가리어 살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한낮의 밝음은 우주의 신비와 영혼의 속삭임을 방해하는 것이다. 낮에 허영에 취해서 날뛰는 것도 모자라 그것을 밤에까지 연장하여 불야성을 만들려는 것은 점점 어두운 데로 들어가는 것이다.... 창세기에 저녁이 있고 아침이 있다고 했고, 묵시록에 새 하늘과 새 땅에는 다시 햇빛이 쓸데없다 했으니 처음도 저녁이요 나중도 저녁이다. 낮이란 만년을 깜박거려도 하루살이의 빛이다. 이 영원한 저녁이 그립도소이다. 파동이 아닌 빛 속에서 쉼이 없는 쉼에 살리로다.”(“저녁찬송”. 「성서조선」, 1940년 8월호)
고로 다석에 담겨 있는 깊은 뜻은 밤에 잠만 자지 말고 세상을 향한 낮의 욕망을 다 내려놓고 영원하신 하느님 어버이께로 나아가자는 것이다. 순우리말로 ‘하도 지낸 저녁’이라 옮겨 쓰기도 했던 영원한 저녁은 그에게 있어 하느님 나라인 것이다. 다석은 ‘있음’ 대신에 ‘없음’에서 참을 찾았다. 여기에서 다석이 자주 얘기하는 ‘없이 계신 하느님’이라는 사상이 나온다.
없이 계신 하느님
없다고 하는 말은 우리가 믿고 있는 바를 부정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가 믿는 그런 하느님은 없다는 말이다. 그러면 우리가 믿는 하느님이란 어떤 분인가? 절대자로서 우주의 공간 어느 한 부분을 차지하고 계시는 그런 분을 말한다. 성서에서 하느님이란 말은 엘로힘이라는 히브리말을 번역한 말이다.
엘로힘은 엘의 복수형인데, 당시 고대 중동에서의 여러 부족들의 신들은 모두 ‘엘’이라고 불리었다. 창세기 14장에서 멜기세덱이 아브람을 축복하며 부른 신은 모든 신들 가운데 가장 뛰어나신 하느님 ‘엘 엘룐의 하느님’이고, 창세기 17장에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신 신은 전능하신 하느님 곧 ‘엘 샤다이의 하느님’이다. 엘로힘은 그러니까 이런저런 신들을 모두 합친 이름이다.
그러면 성서에 나타난 또 다른 신의 이름 ‘야훼’는 무엇인가? 이는 애굽에서 노예로 살아가던 히브리인들이 고통을 호소하자 이에 응답하여 모세를 통해 나타나신 분이다. 모세가 묻는다. 당신의 이름이 무엇입니까? 그는 어떤 대답을 기다렸는가 하면, 엘이 들어간 어떤 이름을 기대했습니까. 그런데 이번에 나타난 신은 자신을 많은 엘들 중의 하나가 아니라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야훼’라고 발음하셨는데, 그 뜻은 그냥 ‘나는 나다.’
사실 우리는 이 야훼를 신의 이름으로 이해하지만, 본래는 이름이 아니라 그 신의 정체성을 설명한 하나의 문장이다. 본래는 이름이 아니라 나는 스스로 존재하는 자유이다 그런 뜻이다. 다시 말하면 이는 이름을 부정한 것이다. 이름이 있다는 말은 규정을 받는다는 말이고 규정을 받는다면 그건 더 이상 진정한 신이 아닌 것이다. 엘은 이름이 있다. 전능하신 엘, 뛰어나신 엘, 치료하시는 엘, 규정이 된다. 그런데 ‘야훼’는 실상 이름이 아니라, 이름을 부정한 이름이다.
다석의 글에서 이런 설명은 보지 못했지만, ‘없이 계신 하느님’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신 것은 바로 이런 이해를 하셨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은 상대적 존재이고 신은 절대적 존재이다. 어떻게 상대적 존재가 절대적 존재를 파악(把握)-잡을 파에 집 악-하여 이름을 붙일 수 있겠는가? 어떻게 개미가 인간을 파악할 수가 있겠는가? 하늘을 나는 손오공이 기껏 날아보았더니 부처님 손바닥이라는 역파악이 신 이해의 바름이 아니겠는가?
오늘날 신이 서 있는 자리는 어디일까? 독자 여러분은 언제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분을 부릅니까? 자기 뜻대로 되어지지 않을 때,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신을 부르지 않습니까? 자기 욕망을 위해 자기 편리에 따라 신이 나왔다 들어갔다 한다면 그건 신이 아닌 신하 혹은 노예이다. 성서는 이를 우상이라고 부른다.
우리의 신앙을 잘 살펴보시기 바란다. 정말 우리가 노예가 되고 하느님이 주인이 되는 그런 관계인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 사실 솔직히 말하면 무한 경쟁과 무한 소유를 부추기는 이 자본주의 욕망이 지배하는 세계 안에서는 신이 존재할 자리가 없다. 신을 믿고 따른다고 하지만, 실상은 모두 거짓이다.
존재에 대한 서양사상은 Cogito ergo sum(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데카르트의 명제로부터 시작한다. 여기에서 인간중심의 서양철학과 이성적 논리에 근간한 신학 그리고 그 바탕위에서 과학이 발전해 왔다. 그러나 반면 동양에서의 존재 파악은 인간 이성에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사람을 표현할 때, 인간(人間)이라고 한다. 인(人)이라는 하나의 낱말이 이미 인간을 의미한다. 그런데 사이 간을 붙여서 인간을 표현한다. 인간과 인간 사이 거기에 인간의 존재가 있다는 의미다. 그것은 인간을 개체로 보지 않고 관계성으로 파악한 것이다.
시간(時間) 마찬가지다. 시와 시 사이의 관계 그것이 시간이다. 공간(空間) 또한 마찬가지다. 그런데 공은 비어있다는 말이다. 빔과 빔 사이 그것이 우리가 몸담고 있는 공간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서양은 인간이든 시간이든 공간이든 존재를 이해할 때, 눈에 보이는 것, 손에 잡히는 것, 인간을 주체적으로 놓고 그 존재성을 파악했고 이를 있음이라고 한 반면에 동양은 인간이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전체의 아주 작은 부분밖에 없다. 그저 사이만을 이해할 따름이다라고 하여 빔 곧 무(無)를 더 큰 존재성으로 이해하였다. 서양에서의 무는 그냥 없는 것인 반면에 동양에서의 무는 마치 도(道)와 같이 그저 이해되지 않을 따름이지 부정의 의미로서의 비존재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존재를 존재되게 하는 그 근본을 무 곧 없음이라고 파악한 것이다.
현상을 다루는 과학의 세계에서는 서양의 존재이해가 우선적이지만, 현상 너머를 다루는 종교의 세계에서는 동양의 존재이해가 우선적이다. 성서의 신 이해는 그래서 동양인들이 훨씬 더 정확한 이해를 한다. 하늘이라는 단어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서양에서 하늘은 그냥 sky이다.
그러나 우리말의 하늘은 무한히 크고 넓다라는 뜻의 ‘한’이라는 단어와 항상 있다고 하는 ‘늘’이라고 하는 단어가 합쳐진 합성어이다. 무한공간과 무한시간이 합쳐진 말이 하늘이다. 이 하늘에 사시는 분이 하늘님이다. 곧 하느님이다. 개신교에서는 이를 유일신을 뜻하는 하나님이라고 고쳐 부르지만, 이는 서양적인 숫자 개념이 들어가 변형된 단어이다.
저는 우리가 하느님이 아닌 하나님을 고집한다면 유일신이라는 개념에서가 아니라 요한이 말한 바, 하느님과 예수가 하나이시고 그리고 우리들이 예수를 따름으로 하나님과 하나라고 하는 이런 의미에서, 하나는 모든 것을 포용하는 한이 없다는 절대무한의 의미에서는 정당하지만, 개신교의 신만이 절대 유일하신 신이고 다른 종교들의 신은 모두 우상이다라고 하는 배타적인 의미에서 쓴다면 이는 잘못이다. 이는 무한히 크신 님 ‘야훼’를 자신만의 작은 신 ‘엘’로 축소해버리는 곧 ‘나는 나다’라고 말씀하시는 하느님에 대한 모욕이다.
다석은 말한다.
“하느님이 없다면 어때, 하느님은 없이 계신다. 그래서 하느님은 언제나 시원하다. 하느님은 몸이 아니다. 얼[靈]이다. 얼은 없이 계신다. 절대 큰 것을 우리는 못 본다. 아직 더할 수 없이 온전하고 끝없이 큰 것을 무(無)라고 한다. 나는 없는 것을 믿는다. 인생의 구경(究竟)은 없이 계시는 하느님 아버지를 모시자는 것이다.”
오늘 다석의 ‘없이 계신 하느님’이란 인간 중심의 서양의 사고 체계에 대한 동양적 답변이면서 동시에 이는 서양의 신학에 대한 하나의 비판이다. 신을 믿고 엄청난 규모의 성당과 교회 건물을 짓고, 인간의 이성에 기초하여 방대한 신학체계를 만들어 왔지만, 정작 그것이 하느님을 절대의 신으로 ‘나는 나다’라고 말씀하시는 야훼님에 대한 정당한 응답이었냐는 질문이다. 서구 기독교가 세계 역사에서 한 일을 보면 아프리카의 흑인들을 잡아다 노예로 삼아 학대하고 아시아·아프리카·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을 학살하고 여러 약소나라들을 예수 이름으로 정복하여 식민지화하여 단물은 다 빼내어 선진국 행세를 하며 지금도 군사와 경제의 힘으로 지배하고 있는 것이 과연 성서 하느님의 뜻이었는가?
수천만의 죽음을 불러온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지금도 핵무기를 비롯한 수많은 무기를 무분별하게 개발하여 수익을 얻는 반면 후진국은 이 무기로 서로 간에 죽이는 전쟁을 하도록 부추기는 이 현실이 과연 야훼님이 원하는 일인가? 서양 과학의 발달은 인간에게 많은 편리와 혜택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환경오염과 이로 인한 자연재해를 불러와 인류 생존 자체를 위협하고 있는 오늘의 위기는 과연 하느님이 시켜서 한 일인가? 오늘 우리가 사는 이 남한 또한 이러한 선진국의 대열에 들어가고자 안달이 되어 있고 그 과정에서 누군가 피를 흘리고 있다. 용산참사나 평택의 노사대결은 선진국이 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말하는데, 과연 그러한가?
다석 류영모 선생의 ‘없이 계신 하느님’이라는 명제는 바로 이러한 서구 기독교가 저지른 인간 중심의 성공신화의 잘못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갖도록 하고 있으며 동시에 섬김과 나눔의 예수의 십자가 정신을 바로 실천하도록 우리를 깨우치고 있다.
“세상에 빠진 내가 미혹에서 벗어나서 뚜렷하게 나서야 한다. 예수는 뚜렷이 하느님을 모시고 태초부터 자기가 모신 아버지라고 불렀다. 나도 이에 하느님이 보내주시는 얼/성령의 숨을 쉼으로 뚜렷이 하느님 아들과 딸로 사람답게 살겠다는 말씀 한마디를 하고 싶은 것이다.”
----------------
참고서적
『다석강의』, 다석학회 엮음, 현암사, 2006.
『다석 유영모가 본 예수와 기독교』, 박영호, 두레, 2000.
『진리의 사람 다석 유영모』, 박영호, 두레, 2000.
『다석 유영모』, 박영호, 두레, 2009.
『다석 유영모』, 박재순, 현암사, 2008.
『씨ᄋᆞᆯ 함석헌, 다석 유영모, 무위당 장일순, 오방 최흥종의 생애와 사상을 돌아보다』, 김경재·이정배·이현주·김한중 공저, 광주 YMCA 오방기념사업회 편찬, 2009.
조헌정 소장(그리스도교-주체사상 대화연구소) choshalom@gmail.com
0728 Hojae Lee [특정 종교조직에만 '구원이 있다'는 것은 허구이다]
Hojae Lee
28 July at 12:47 ·
[특정 종교조직에만 '구원이 있다'는 것은 허구이다]
1. 사실 페이스북에 이 글을 먼저 올려야 하는데 새벽녁에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아랫글을 먼저 올리게 되었다. 다소 늦었지만 어제 많은 페북친구들이 한국 종교계, 특히 기독교계의 현장의 목소리를 전해주심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특히 어제 댓글을 올려 주신 분은 정말 용감(!)하신 분들이다. 어떤 글이든지 '제소리'를 내지 못하는 '앵무새 소리'는 창조주가 있다면 창조의 뜻에도 맞지 않다.
2. 생각해 보라!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찬송과 영광의 목소리가 독창이겠는가? 칼뱅의 소리와 웨슬리의 소리와 메이첸의 소리와 루터의 소리만 들리겠는가? 아담과 하와를 포함한 가인과 아벨, 빛나는 예언자와 선지자, 한민족의 성도들의 목소리는 없겠는가? 구원받은 성도들의 장엄한 합창교향곡이 울리지 않겠는가! 구원받은 장엄한 목소리에 분명히 '나'는 포함되어야 한다. 그런데 성경의 맥락에서 누가 구원을 받는가? 지금 교계에 만연되어 있는 '개인구원'의 목소리가 다른 목소리를 압도하고 있다. 속된 말로 구원을 보장해 주지 않으면 누가 교회에 나가겠는가. 이는 한국 주류인 보수신학을 하는 신도들의 신앙의식이지 않는가? '구원'의 개념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로 미룬다.(왜냐하면 이 개념자체도 다양하고 백가쟁명식이다. 신학자마다 다양한 소리를 내고 있다. 궁금하시면 한국조직신학회의 "구원론"을 읽어보시라)
3. 그리고 신앙의 원점에서 진지하게 여러분이 다니는 교회의 목사님들에게 물어보라.
1) 목사님 구원이 뭐래요?
2) 구원받는 조건이 무엇이래요?
- 일단 교회에 나와야 하고, 헌금내야 하고, 믿음, 은총, 은혜가 충만해야 하고 등등등
- 그럼 '열심히 믿은 당신'은 일상생활에서 충족스러운 삶을 사는가? 속고 속이지 말아야 한다.
2) 다른 기독교 교파에도 다른 교회에도 구원이 있나요?
- 그럼 천주교에 가도 되고 개신교에 가도 되지 않는가? 개신교에서는 천주교에는 구원이 없다고 가르치나? 종교적 성향에 따라 다니는 걸텐데
3) 그럼 불교 등 다른 종교에도 구원이 있나요?
- 십중팔구 없다고 할 것이다. 그럼 또 물어보라. 목사님 팔만대장경은 읽어보셨나요? 성경은 66권이지만, 불경은 페이지수로만 따져도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엄청난 분량이다.
대부분의 목사는 팔만대장경을 읽어보지도 않고, 다른 종교를 잘도 평가한다. 우주를 창조하신 창조주라면 팔만대장경이라는 광대한 종교텍스트에도 창조주의 섭리가 들어가 있지 않겠는가? 열린 신앙을 하여야 한다. '아는 것은 알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는 것이 참 앎'이라고 공자가 말한다.
[창조주라는 전지전능한 신을 신앙하면서 '일지일능一知一能'한 인간이 만든 교리체계의 '성경해석권'으로 만든 구원관으로 창조주를 재단말라].
4. 그럼 당연히 이 두 성구를 들고 말할 것이다, 예수를 믿는 교회에만 구원이 있다고!
*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요 14:6).
* 다른 이로써는 구원을 받을 수 없나니 천하 사람 중에 구원을 받을 만한 다른 이름을 우리에게 주신 일이 없음이라 하였더라 (행 4:12).
"위에 인용한 두 성구는 기독교 광신자들이 이교도를 정죄할 때 가장 잘 쓰는 성구들이다. 그들은 예수를 기독교의 교주로 만들고 자기들의 교리 속에 유폐시킨 자들이다. 예수는 기독교의 교주로 이 세상에 오신 분이 아니고 하나님의 독생자로 모든 인류를 위해 오신 분이다."
5. 그럼 예수 복음이 전파되기 전에 태어난 우리 조상들은, 쉽게 말해 예수 믿지 않고 죽은 사람은 다 '지옥'간다는 것 아닌가? 그래서 종교다원주의에서 포괄주의적 입장을 가진 칼 라너는 다른 종교인을 '익명의 그리스도교인"라 하지 않나! 그럼 불교인 입장에서는 그리스도교인이 "익명의 불교인"이라고 하면 기독교인들은 이 말을 수용할 수 있나? 피차일반이다. 그래서 역사속에서 작동하는 모든 종교는 구원(제)'의 종교적 기제가 작동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궁극적 구원'인가는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같이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6. 그럼 이 성구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요한계시록 7장 [ 9절 - 10절 ] - 이 일 후에 내가 보니 각 나라와 족속과 백성과 방언에서 아무도 능히 셀수 없는 큰 무리가 나와 흰 옷을 입고 손에 종려 가지를 들고 보좌 앞과 어린 양 앞에 서서 큰 소리로 외쳐 이르되 구원하심이 보좌에 앉으신 우리 하나님과 어린 양에게 있도다 하니"
오직 한국인 가운데 두 명만이 이 문제에 대해 헬레니즘적 사유에서 해석한 성경해석 전통을 넘어 한국인의 삶의 정황에서 성경적 맥락과 세계 신학의 지평에서 답을 하고 있다.
7. 성경적 언어맥락에서도 특정 종교조직이 구원을 독점적이고 배타적으로 보증해 준 내용은 없다. 그렇다면 수 백개의 교파가운데 어디가 구원을 담보하고, 그 기준은 도데체 무엇인가를 물어보아야 한다.
8. 수십억의 기독교인이 있는데 성경의 이 구절을 보고 현재의 기독교인은 편안한 신앙을 할 수 있는가?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속히 그 원한을 풀어 주시리라 그러나 인자가 올 때에 세상에서 믿음을 보겠느냐 하시니라 누가복음 18:8"라고 한다. 한국 교회는 마치 재림 예수가 언제 올때를 아는 것처럼 이렇게 '시궁창'냄새를 풍기고 있는가? 만약 재림 예수가 정말로 온다고 신앙한다면 언제올 줄 알고 이렇게 한가한가?
* 그러나 그 날과 그 때는 아무도 모르나니 하늘의 천사들도, 아들도 모르고 오직 아버지만 아시느니라 마태복음 24:36
0729 Hojae Lee [근본주의적 맹신(盲信), 현실주의적 과신(過信) , 혁신주의적 정신(正信)]
Hojae Lee
Hojae Lee
29 July at 06:23 ·
[근본주의적 맹신(盲信), 현실주의적 과신(過信) , 혁신주의적 정신(正信)]
1. 근본주의와 근본주의자는 어느 종파종교에도 있다. 또한 현실주의와 현실주의자도 어느 종파종교에도 있다. 그리고 늘 혁신주의와 혁신주의자도 있다. 근본주의는 배타적이고 이기적인 형태로 드러나며, 현실주의는 타협적이며 세속영합적인 형태로 나타나며, 혁신주의는 포월적이며 자기희생적으로 나타난다. 근본주의는 조직의 윗자리에 있지만 썩어버리며, 현실주의는 인기영합적이기에 주류를 이루지만 열매가 거의 없고, 혁신주의는 창조적 소수로서 시대를 이끌며 열매를 맺는다. 이를 근본주의적 맹신, 현실주의적 과신, 혁신주의적 정신이라 불러본다.
2. 근본주의는 1) 늘 '나만이 진리다'라는 독단에 빠져 배타적인 주장을 한다. 2) 또한 내가 속한 공동체만이 타 공동체보다 우월하다고 맹신한다. 3) 그리고 다른 세상은 '덜 떨어진 그 무엇'이라고 과소평가한다.
예를 들면 근본주의는 전통에뿌리를 박고 자신이 '정통'임을 내세운다.
주역이 동아시아의 사유를 지배할 때 비행기가 중국에 소개되었을 때 그들은 주역에 비행가 어디있느냐고 찾느라 소동을 빚었다. 예수가 탄생했을 때 어디에서 탄생했냐고 타냑에서 그 마을을 찾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기독교에서 새로운 성경해석을 한 개인이나 종교단체가 나타나면 '서구신학'을 표준삼아 '이단'을 정죄하는 모습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늘 강조하지만 거시적 역사흐름에서 불교에서 새로움을 볼 수 없는 것은 중국 불교에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이고, 천주교는 로마교황청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유교는 공맹에 뿌리를 내리고 있고, 개신교는 바울서신에 뿌리를 내리고 있기에 '뿌리내린 그 곳의 변화'가 없이는 주체적으로 현실과 타협도 못하고 새로운 혁신도 못하는 상태에 빠진다.
어렵게 생각할 것 없다. 지금 한국 종교의 상태가 바로 '이 꼴'이다.
식민사관과 종교제국주의에 물들어 있기에 아무튼 혁신주의과 현실주의는 고사하고 근본주의만 판 치는 곳이 한국 종교의 실태이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그래샴의 법칙이 작동하고 있다. 아닌가? 양심에 물어보시라.
3. 우리 페북은 요즘 주로 기독교에 대한 얘기를 중심으로 전개하였기에 그 맥락에 따라 전개해 보자. 66권의 성경텍스트안에 예수 사후에 '정경안에 정경'역할을 한 것은 다음과 같다고 요약하고 있다
"로마 가톨릭 교회학을 하기 위해 효과적인 신약성서 정경은 마 16, 17-19와 목회서신이었다고 해도 지나친 단순화가 아니다. 개신교 신학을 위한 정경은 분명히 (초기의) 바울의 편지들이었다. (중략) 반면에 개신교주의는 사도행전에서 그 인증을 구한다. 또한 19세기의 진보적 개신교주의를 위한 정경은 (소위) 역사적 예수였으며,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이후 많은 기독교 신학자들에게 있어서 권위의 촛점은 '케리그마'가 되었던 반면에 보다 최근에는 다른 신학자들이 자신들의 태도를 '사도적 증거'와 관련해서 분명하게 하려도 노력하였다.
(제임스 던. 김득중, 이광훈 편역, "신약성서의 통일성과 다양성". 1993. 580-581)이다.
근본주의자들은 그 뿌리를 텍스트와 종교조직의 발상지의 발언이 곧 자신들의 신앙의 전통이자 정통이고 신앙의 촛점이다. 그 말만이 자기세계이며, 그 세계가 언어로 표현되니 '앵무새소리'만 내고 '자기소리'를 내지 못하는 것이다. 극단적인 예일 수도 있지만 '진리의 수호자, 파수꾼'으로 세상과 소통하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조차 못하는 상태에 빠져버린다.
4, 자신의 신앙의 뿌리를 역추적 보라. 언제 '주체적 나'와 자신이 신앙하는 '경전'과 자신이 신앙하는 '궁극적 실재'와 만난 적이 있는지를 말이다. '주체적 나'가 없는 자의 신앙은 구름과 같이 바람에 흩날리는 부평초의 믿음이며, '주체적 나'와 '경전'과 만나지 못한 자는 맥락도 없는 특정한 성구를 암송하며 남을 후리며 천국과 해탈의 문을 막고 시공우주에서 종교장사를 하기 마련이다. 또한 '주체적 나'와 '경전'과 '궁극적 실재'가 만나는 체험을 하지 못한 자는 세속적인 종교권위로 거룩한 '직업종교인'의 분장을 하고 그 신앙대상의 지상 대리인으로 '정통과 전통'을 강조하며 한평생 신도를 '죄인과 중생'으로 부려먹는다. 거듭난 형제자매라면 건물교회에 있을 리가 없고, 깨달은 보살이라면 건물사찰에 있을 까닭이 없다. 건물성전은 텅텅비고 보살과 형제자매는 '사회적 약자'와 더불어 그들의 '자비와 사랑'을 나누고 있을 것이다. 가야할 곳은 건물성전이 아니다.
5. 신앙인, 글쓴이가 창안한 영성생활인靈聖生活人은 늘 혁신주의의 입장에 서야한다. 하나님은 '영원에서 영원으로' 즉 '영원한 현재'에 존재하기에 영성생활인은 끊임없이 새롭게 태어나냐 한다. 영원에서 영원에 존재하는 하나님을 기독교라는 제도종교, 특정 교단과 교파에 구원이 있다는 것은 중세시기의 믿음이다. 지구촌 시대가 합류하고 모든 종교정보가 공개되어 있는 지금! 우리의 믿음은 빛의 속도보다 빠른 '바른 생각의 속도'로 영원한 하나님의 처소를 향하여야 한다.
6. 종의 신앙 즉 노예신앙에서 벗어나라. 주체적 나로서 '예수를 참으로 믿는 이에게 주는 예수의 복음'이다. '예수가 주"요, '예수밖에 구원이 없고', "예수가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고 말하는 기독교 근본주의자(근본주의는 정통과 전통을 근거로 한다)는 아래 성구를 증명해 보이라!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나를 믿는 자는 내가 하는 일을 그도 할 것이요 또한 그보다 큰 일도 하리니" (요한복음 14장 12)
7. 밥 한끼 먹으면서 '작은 행복'을 느끼는 하나님을 만나는 장소도 있지만,
역사의 광장에서 사회구조적 문제로 '항거조차 못하는 사회적 약자'에게로 달려가자.
국제관계의 엄연한 힘의 질서에서 '강함에도 아직도 식민사관에 빠진' 우리의 모습을 직시하고
'경제한일전'에 온 국민이 동참하여 승리의 나팔을 울리자.
그 보다 더욱 시급하고 중요한 것은 혁신주의로 거듭난 뜻 있는 이들은 연대하여 새 문명의 사유체계를 우리가 만들어 내자! 꿈을 꾸자, 엄청난 큰 꿈을 꾸자.
89Yuik Kim, Sunghwan Jo and 87 others
5 comments6 shares
LikeCommentShare
Comments
장도영 참 신앙인은 예수의 진리의 복음을 어떤 종교보다 더 생명을 걸고 삶에서 실천하면
세상의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영이 성령으로 거듭나는 경험을 하게 되면 …See more
3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4d
· Edited
사봉석 어떻게 될 것인가? 미래가 보여요.
1
사봉석 replied · 2 replies
Hojae Lee
29 July at 06:23 ·
[근본주의적 맹신(盲信), 현실주의적 과신(過信) , 혁신주의적 정신(正信)]
1. 근본주의와 근본주의자는 어느 종파종교에도 있다. 또한 현실주의와 현실주의자도 어느 종파종교에도 있다. 그리고 늘 혁신주의와 혁신주의자도 있다. 근본주의는 배타적이고 이기적인 형태로 드러나며, 현실주의는 타협적이며 세속영합적인 형태로 나타나며, 혁신주의는 포월적이며 자기희생적으로 나타난다. 근본주의는 조직의 윗자리에 있지만 썩어버리며, 현실주의는 인기영합적이기에 주류를 이루지만 열매가 거의 없고, 혁신주의는 창조적 소수로서 시대를 이끌며 열매를 맺는다. 이를 근본주의적 맹신, 현실주의적 과신, 혁신주의적 정신이라 불러본다.
2. 근본주의는 1) 늘 '나만이 진리다'라는 독단에 빠져 배타적인 주장을 한다. 2) 또한 내가 속한 공동체만이 타 공동체보다 우월하다고 맹신한다. 3) 그리고 다른 세상은 '덜 떨어진 그 무엇'이라고 과소평가한다.
예를 들면 근본주의는 전통에뿌리를 박고 자신이 '정통'임을 내세운다.
주역이 동아시아의 사유를 지배할 때 비행기가 중국에 소개되었을 때 그들은 주역에 비행가 어디있느냐고 찾느라 소동을 빚었다. 예수가 탄생했을 때 어디에서 탄생했냐고 타냑에서 그 마을을 찾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기독교에서 새로운 성경해석을 한 개인이나 종교단체가 나타나면 '서구신학'을 표준삼아 '이단'을 정죄하는 모습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늘 강조하지만 거시적 역사흐름에서 불교에서 새로움을 볼 수 없는 것은 중국 불교에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이고, 천주교는 로마교황청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유교는 공맹에 뿌리를 내리고 있고, 개신교는 바울서신에 뿌리를 내리고 있기에 '뿌리내린 그 곳의 변화'가 없이는 주체적으로 현실과 타협도 못하고 새로운 혁신도 못하는 상태에 빠진다.
어렵게 생각할 것 없다. 지금 한국 종교의 상태가 바로 '이 꼴'이다.
식민사관과 종교제국주의에 물들어 있기에 아무튼 혁신주의과 현실주의는 고사하고 근본주의만 판 치는 곳이 한국 종교의 실태이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그래샴의 법칙이 작동하고 있다. 아닌가? 양심에 물어보시라.
3. 우리 페북은 요즘 주로 기독교에 대한 얘기를 중심으로 전개하였기에 그 맥락에 따라 전개해 보자. 66권의 성경텍스트안에 예수 사후에 '정경안에 정경'역할을 한 것은 다음과 같다고 요약하고 있다
"로마 가톨릭 교회학을 하기 위해 효과적인 신약성서 정경은 마 16, 17-19와 목회서신이었다고 해도 지나친 단순화가 아니다. 개신교 신학을 위한 정경은 분명히 (초기의) 바울의 편지들이었다. (중략) 반면에 개신교주의는 사도행전에서 그 인증을 구한다. 또한 19세기의 진보적 개신교주의를 위한 정경은 (소위) 역사적 예수였으며,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이후 많은 기독교 신학자들에게 있어서 권위의 촛점은 '케리그마'가 되었던 반면에 보다 최근에는 다른 신학자들이 자신들의 태도를 '사도적 증거'와 관련해서 분명하게 하려도 노력하였다.
(제임스 던. 김득중, 이광훈 편역, "신약성서의 통일성과 다양성". 1993. 580-581)이다.
근본주의자들은 그 뿌리를 텍스트와 종교조직의 발상지의 발언이 곧 자신들의 신앙의 전통이자 정통이고 신앙의 촛점이다. 그 말만이 자기세계이며, 그 세계가 언어로 표현되니 '앵무새소리'만 내고 '자기소리'를 내지 못하는 것이다. 극단적인 예일 수도 있지만 '진리의 수호자, 파수꾼'으로 세상과 소통하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조차 못하는 상태에 빠져버린다.
4, 자신의 신앙의 뿌리를 역추적 보라. 언제 '주체적 나'와 자신이 신앙하는 '경전'과 자신이 신앙하는 '궁극적 실재'와 만난 적이 있는지를 말이다. '주체적 나'가 없는 자의 신앙은 구름과 같이 바람에 흩날리는 부평초의 믿음이며, '주체적 나'와 '경전'과 만나지 못한 자는 맥락도 없는 특정한 성구를 암송하며 남을 후리며 천국과 해탈의 문을 막고 시공우주에서 종교장사를 하기 마련이다. 또한 '주체적 나'와 '경전'과 '궁극적 실재'가 만나는 체험을 하지 못한 자는 세속적인 종교권위로 거룩한 '직업종교인'의 분장을 하고 그 신앙대상의 지상 대리인으로 '정통과 전통'을 강조하며 한평생 신도를 '죄인과 중생'으로 부려먹는다. 거듭난 형제자매라면 건물교회에 있을 리가 없고, 깨달은 보살이라면 건물사찰에 있을 까닭이 없다. 건물성전은 텅텅비고 보살과 형제자매는 '사회적 약자'와 더불어 그들의 '자비와 사랑'을 나누고 있을 것이다. 가야할 곳은 건물성전이 아니다.
5. 신앙인, 글쓴이가 창안한 영성생활인靈聖生活人은 늘 혁신주의의 입장에 서야한다. 하나님은 '영원에서 영원으로' 즉 '영원한 현재'에 존재하기에 영성생활인은 끊임없이 새롭게 태어나냐 한다. 영원에서 영원에 존재하는 하나님을 기독교라는 제도종교, 특정 교단과 교파에 구원이 있다는 것은 중세시기의 믿음이다. 지구촌 시대가 합류하고 모든 종교정보가 공개되어 있는 지금! 우리의 믿음은 빛의 속도보다 빠른 '바른 생각의 속도'로 영원한 하나님의 처소를 향하여야 한다.
6. 종의 신앙 즉 노예신앙에서 벗어나라. 주체적 나로서 '예수를 참으로 믿는 이에게 주는 예수의 복음'이다. '예수가 주"요, '예수밖에 구원이 없고', "예수가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고 말하는 기독교 근본주의자(근본주의는 정통과 전통을 근거로 한다)는 아래 성구를 증명해 보이라!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나를 믿는 자는 내가 하는 일을 그도 할 것이요 또한 그보다 큰 일도 하리니" (요한복음 14장 12)
7. 밥 한끼 먹으면서 '작은 행복'을 느끼는 하나님을 만나는 장소도 있지만,
역사의 광장에서 사회구조적 문제로 '항거조차 못하는 사회적 약자'에게로 달려가자.
국제관계의 엄연한 힘의 질서에서 '강함에도 아직도 식민사관에 빠진' 우리의 모습을 직시하고
'경제한일전'에 온 국민이 동참하여 승리의 나팔을 울리자.
그 보다 더욱 시급하고 중요한 것은 혁신주의로 거듭난 뜻 있는 이들은 연대하여 새 문명의 사유체계를 우리가 만들어 내자! 꿈을 꾸자, 엄청난 큰 꿈을 꾸자.
89Yuik Kim, Sunghwan Jo and 87 others
5 comments6 shares
LikeCommentShare
Comments
장도영 참 신앙인은 예수의 진리의 복음을 어떤 종교보다 더 생명을 걸고 삶에서 실천하면
세상의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영이 성령으로 거듭나는 경험을 하게 되면 …See more
3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4d
· Edited
사봉석 어떻게 될 것인가? 미래가 보여요.
1
사봉석 replied · 2 replies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