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26

오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5계의 번역
한국어5계
(로마자ogye)
영어five preceptsfive virtues
산스크리트어pañca-śīlāni
(데바나가리: पञ्चशीलानि)
팔리어pañca-sīlāni
(데바나가리: पञ्चसीलानि)
벵골어পঞ্চশীলানি
버마어ပဉ္စသီလ ငါးပါးသီလ
(IPA: [pjɪ̀ɴsa̰ θìla̰ ŋá bá θìla̰])
중국어五戒
(병음wǔjiè,
월병ng5 gaai3)
일본어五戒
(로마자go kai)
크메르어km:សិក្ខាបទ៥, សីល៥, បញ្ចសីលា
몬어သဳ မသုန်
([sɔe pəsɔn])
싱할라어පන්සිල්
태국어เบญจศีล, ปัญจศีล, ศีลห้า
(RTGS: Benchasin, Panchasin, Sin Ha)
인도네시아어Pancasila, Panca-sila
불교 용어 목록
5계(五戒)는 산스크리트어 판차실라(pañca-śīla)를 번역한 말로서, 재가인(在家人)이 지켜야 할 다음의 5종의 (戒)를 말한다.[1] 5계를 어기는 것을 5악(五惡)이라고 한다.[2][3] 또는, 5악(五惡)을 막기 위해 제정된 계율(행동지침)이 5계이다.[4] 5계를 5학처(五學處)라고도 한다.[1] 10선(十善)과 3혜(三慧) 또는 4혜(四慧)의 세간정견(世間正見)과 더불어 5계는 대표적인 세간의 선법(世間善法)이다.
  1. 불살생(不殺生): 살아 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
  2. 불투도(不偸盜): 도둑질하지 않는다.
  3. 불사음(不邪淫): 아내 이외의 여성, 남편 이외의 남성과 부정한 정교를 맺지 않는다.
  4. 불망어(不妄語):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
  5. 불음주(不飮酒): 술을 마시지 않는다
중국 · 한국 · 일본 등의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유교의 (仁) · (義) · (禮) · (智) · (信)의 5상(五常)에 순서대로 불살생 · 불투도 · 불사음 · 불음주 · 불망어를 대비시켜, 5계를 5상(五常)이라고도 부른다. 또는 이러한 순서로 병렬시켜 5상5계(五常五戒)라고도 하는데 5상과 5계를 구분하는 경우 5상은 유교의 원래의 5가지 덕목을 5계는 불교의 원래의 5가지 계율을 가리킨다.[5]

5계[편집]

(戒)란 본래 "관습이 된 행위"라는 뜻인데 술어(術語)로서는 "행위의 규범"을 가리키며, 더욱이 자발적으로 지키는 것, 자기 행위에 대한 "경계", 혹은 자기 행위에 대한 "맹세"를 뜻한다. 또한 의 기본적인 입장은 좋은 일을 하고 나쁜 일은 하지 않는다는 뜻이며, 따라서 그 규정은 신구의(身口意)의 3업(三業)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된다.[1][6]
5계는 불교 교단에 들어가기에 앞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3보(三寶)에의 귀의와 함께 불교도가 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 된다. 5계를 5학처(五學處)라고도 하는데, 학처란 수행의 기반이라는 뜻으로 5계가 불도수행(佛道修行)의 기초가 된다는 것을 뜻한다.[1]

5악[편집]

5계를 어기는 것을 5악(五惡)이라고 한다.[2][3] 또는, 5악(五惡)을 막기 위해 제정된 계율(행동지침)이 5계이다.[4]
불교에서 (惡)은 불선(不善)이라고도 하는데, 현세나 내세에 자기와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法)을 말한다.[7] 또는 '평화롭지 않음[不安隱]'을 본질적 성질로 하여 현세나 내세를 좋지 않게 만드는 작용을 하는 어둠의 성질의 (法)을 말한다.[8] 즉, 5계가 5악(五惡)을 막기 위해 제정된 계율이라는 것은, 5악(五惡)을 범하면 필연적으로 그에 해당하는 나쁜 과보를 받게 되는데 이같은 나쁜 과보를 받아 삶이 어려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정된 계율 또는 행동지침이 5계라는 것을 뜻한다.
한편, 이러한 인과법을 무시하는 것을 불교에서는 다시 10악(十惡) 중에서 [意, 마음]으로 짓는 3가지 (惡) 즉 불선(不善) 가운데 하나로 꼽아 특히 사견(邪見)이라고 하며, 또한 사견(邪見)은 8정도(八正道)의 제1 항목인 정견(正見: 바르게 보기, 바른 견해)의 반대이다.[9][10][11][12][13] 즉, 불교에서는 인과법, 즉 원인과 결과의 법칙은 불변의 법칙이며 언제나 작용하는 법칙이기 때문에 이 법칙은 무시한다고 해서 무시되지 않으며 또한 이 법칙을 거스르면 이 법칙이 파괴되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스스로를 해칠 뿐이므로 불변의 인과법에 스스로를 상응시켜 자신의 삶에 (善)을 가져오는 것이 바른 길[正道]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제정된 것이 계율(戒律)이라고 본다.

살생[편집]

살생(殺生)은 불살생(不殺生)의 계를 어기는 것을 말한다. 살생(殺生)은 살인(殺人)보다는 대상이 더 광범위한데, 중생을 죽이는 것, 즉 사람이나 동물 등 살아 있는 것을 죽이는 것을 말한다.[14][15]
살생은 8정도(八正道)의 반대인 8사(八邪) 또는 8사행(八邪行) 가운데 사업(邪業: 그릇된 행동 또는 바르지 않은 행동)에 속하는데, 사업(邪業)은 정업(正業: 바르게 행동하기)의 반대이다.[16][17][18] 또한, 살생은 10악(十惡)의 하나이다.[9][10][19]

투도[편집]

투도(偷盜)는 불투도(不偸盜)의 계를 어기는 것을 말한다. 즉, 도둑질, 남의 것을 훔치는 것, 남의 재물을 훔치는 것, 또는 남이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투도(偷盜)를 불여취(不與取: 주지 않은 것을 취함)라고도 한다.[20][21]
투도는 8정도(八正道)의 반대인 8사(八邪) 또는 8사행(八邪行) 가운데 사업(邪業: 그릇된 행동 또는 바르지 않은 행동)에 속하는데, 사업(邪業)은 정업(正業: 바르게 행동하기)의 반대이다.[16][17][18] 또한, 투도는 10악(十惡)의 하나이다.[9][10][19]

사음[편집]

사음(邪婬)은 불사음(不邪淫)의 계를 어기는 것을 말한다. 즉 배우자가 아닌 사람과 부정한 정교를 맺는 것, 즉 아내 이외의 여성, 남편 이외의 남성과 부정한 정교를 맺는 것을 말한다.[22] 단, 배우자라고 하더라도 시간, 장소, 방법 등이 부적당한 경우 사음에 해당한다.[23] 또는 남녀간에 저지르는 음란한 짓을 말한다.[24] 사음(邪婬)을 비범행(非梵行) 또는 음행(婬行)이라고도 한다.
사음은 8정도(八正道)의 반대인 8사(八邪) 또는 8사행(八邪行) 가운데 사업(邪業: 그릇된 행동 또는 바르지 않은 행동)에 속하는데, 사업(邪業)은 정업(正業: 바르게 행동하기)의 반대이다.[16][17][18] 또한, 사음은 10악(十惡)의 하나이다.[9][10][19]

망어[편집]

망어(妄語)는 불망어(不妄語)의 계를 어기는 것을 말한다. 즉 거짓말을 하는 것, 거짓을 말하는 것, 또는 헛된 말을 하는 것을 말하며, 특히 남을 기만(欺瞞: 속여 넘김)하거나 사기(詐欺: 나쁜 꾀로 남을 속임)를 치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것을 말한다. 허광어(虛誑語), 허망어(虛妄語), 허위(虛僞), 망설(妄舌) 또는 (欺)라고도 한다.[25][26][27] 망어(妄語)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속이는 말' 또는 '헛된 말'이다.[28] 허광어(虛誑語)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헛되고 속이는 말'이다.[29]
망어는 8정도(八正道)의 반대인 8사(八邪) 또는 8사행(八邪行) 가운데 사어(邪語: 그릇된 말, 바르지 않은 말, 정당하지 못한 말)에 속하는데, 사어(邪語)는 정어(正語: 바르게 말하기)의 반대이다.[30][31][32] 또한, 망어는 10악(十惡)의 하나이다.[9][10][19]

음주[편집]

음주(飲酒)는 불음주(不飮酒)의 계를 어기는 것을 말한다. 즉 술 마시는 것을 말한다. 음주는 5악 중 나머지 4가지 인 망어 · 살생 · 투도 · 사음을 범하는 동기가 되므로 5악에 포함시켜 경계하게 한 것이다.[33]
음주는 5악의 나머지 4가지 악행과는 달리 10악(十惡)에 포함되지 않는다.[9][10][19]
불교의 가르침에 따르면, 음주에는 다음의 10가지 과실(過失)이 있다.[33]
  1. 얼굴빛이 나빠진다.
  2. 비열하게 만든다.
  3. 눈이 밝지 못한게 한다.
  4. 성내게 된다.
  5. 일과 살림살이를 파괴한다.
  6. 병이 생기게 한다.
  7. 다툼이 많아지게 한다.
  8. 나쁜 소문이 퍼지게 한다.
  9. 지혜가 감소된다.
  10. 사후에 악도(惡道)에 떨어진다.

5악과 5계의 과보[편집]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법온족론》은 고타마 붓다의 직제자인 목건련이 저술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 논서의 제1권 〈1. 학처품(學處品)〉에서 목건련은 고타마 붓다가 5악에 대해 설한 내용을 싣고 있다.
이 설법에서 고타마 붓다는 5악을 5포죄원(五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 또는 두려워해야 할 죄와 원한)이라 칭하면서 5악이 가져오는 나쁜 과보와 5계가 가져오는 선한 과보에 대해 설하고 있다. 논서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고타마 붓다는 이 설법을 재가신자가 아닌 비구들에게 설하고 있다.

5악의 과보[편집]

爾時世尊。告苾芻眾。
諸有於彼五怖罪怨不寂靜者。彼於現世。為諸聖賢同所訶厭。名為犯戒自損傷者。有罪有貶。生多非福。身壞命終。墮險惡趣。生地獄中。
何等為五。謂殺生者。殺生緣故。生怖罪怨。不離殺生。是名第一。
不與取者。劫盜緣故。生怖罪怨。不離劫盜。是名第二。
欲邪行者。邪行緣故。生怖罪怨。不離邪行。是名第三。
虛誑語者。虛誑緣故。生怖罪怨。不離虛誑。是名第四。
飲味諸酒放逸處者。飲味諸酒放逸處緣故。生怖罪怨。不離飲酒諸放逸處。是名第五。
有於如是五怖罪怨不寂靜者。彼於現世。為諸聖賢同所訶厭。名為犯戒自損傷者。有罪有貶。生多非福。身壞命終。墮險惡趣。生地獄中。
— 《아비달마법온족론》 제1권 〈1. 학처품(學處品)〉. 한문본
그때에 고타마 붓다는 비구[苾芻, 필추]들에게 말하였다.

저 5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에 대하여 적정(寂靜: 고요하고 안정됨)하지 못하는 모든 사람은 그 누구든지간에 이번 생[現世]에서는 모든 성현(聖賢)에게서 다 같이 꾸지람과 싫어함[訶厭]을 받을 뿐이요 [따라서 선법(善法)을 전수받아 증득할 기회를 얻지 못하며], 이를테면, 계율을 범하여[犯戒] 스스로를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으로] 손상시키는 자가 되며, 죄도 범하고 타락[貶: 이전보다 나빠짐]하기도 하여, 대부분 박복하게 이번 생을 살아가고, 그러다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을 마친 후 [다시 태어날 때면] 험한 악취(惡趣: 나쁜 세계)에 떨어지거나 지옥에 태어난다.

어떤 것이 5가지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인가?

살생(殺生)을 범하는 이는 살생한 인연[殺生緣] 때문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낳아 살생[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 떠나지 못한다. 이에, 이것을 첫째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이라 한다.

불여취(不與取: 주지 않는데 취하는 것)를 범하는 이는 도둑질한 인연[劫盜緣] 때문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낳아 도둑질[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 떠나지 못한다. 이에, 이것을 둘째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이라 한다.

삿된 음행[欲邪行: 욕사행, 사음, 사행]을 범하는 이는 삿된 음행[邪行]의 인연 때문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낳아 삿된 음행[邪行][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 떠나지 못한다. 이에, 이것을 셋째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이라 한다.

거짓말을 하는 이[虛誑語者]는 남을 속인 인연 때문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낳아 거짓말[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 떠나지 못한다. 이에, 이것을 넷째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이라 한다.

온갖 술[酒]을 마시고 방일한 이[放逸者]는 온갖 술을 마시고 방일한 인연 때문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낳아 온갖 술을 마시고 방일하는 것[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 떠나지 못한다. 이에, 이것을 다섯째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이라 한다.

이와 같은 5포죄원(怖罪怨)에 대하여 적정(寂靜: 고요하고 안정됨)하지 못하는 이는 이번 생[現世]에서는 모든 성현(聖賢)에게서 다 같이 꾸지람과 싫어함[訶厭]을 받을 뿐이요 [따라서 선법(善法)을 전수받아 증득할 기회를 얻지 못하며], 이를테면, 계율을 범하여[犯戒] 스스로를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으로] 손상시키는 자가 되며, 죄도 범하고 타락[貶: 이전보다 나빠짐]하기도 하여, 대부분 박복하게 이번 생을 살아가고, 그렇게 살다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을 마친 후 [다시 태어날 때면] 험한 악취(惡趣: 나쁜 세계)에 떨어지거나 지옥에 태어난다.
— 《아비달마법온족론》 제1권 〈1. 학처품(學處品)〉. 한글본

5계의 과보[편집]

諸有於彼五怖罪怨能寂靜者。彼於現世。為諸聖賢同所欽歎。名為持戒自防護者。無罪無貶。生多勝福。身壞命終。升安善趣。生於天中。
何等為五。
謂離殺生者。離殺生緣故。滅怖罪怨。能離殺生。是名第一。
離不與取者。離劫盜緣故。滅怖罪怨。能離劫盜。是名第二。
離欲邪行者。離邪行緣故。滅怖罪怨。能離邪行。是名第三。
離虛誑語者。離虛誑緣故。滅怖罪怨。能離虛誑。是名第四。
離飲諸酒放逸處者。離飲諸酒放逸處緣故。滅怖罪怨。能離飲酒諸放逸處。是名第五。
有於如是五怖罪怨能寂靜者。彼於現世。為諸聖賢同所欽歎。名為持戒自防護者。無罪無貶。生多勝福。身壞命終。升安善趣。生於天中。
— 《아비달마법온족론》 제1권 〈1. 학처품(學處品)〉. 한문본
그러나 저 5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에 대하여 적정(寂靜: 고요하고 안정됨)할 수 있는 이는 이번 생[現世]에서 모든 성현에게서 다 같이 기뻐함과 찬탄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테며 계율을 지켜서[持戒] 스스로를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으로부터] 방호(防護)하는 자가 되며, 죄도 없고 타락[貶: 이전보다 나빠짐]함도 없어서, 대부분 다복하게 이번 생을 살아가고, 그러다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을 마친 후 [다시 태어날 때면] 안온한 선취(善趣: 좋은 세계)로 올라가 천상[天]에 태어난다.

어떤 것이 다섯 가지인가?

살생(殺生)을 떠난 이는 살생하는 인연을 떠난 까닭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멸하여 능히 살생[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이 떠나게 된다. 이에, 이것을 첫째라 한다.

불여취(不與取)를 떠난 이는 도둑질하는 인연을 떠난 까닭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멸하여 능히 도둑질[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이 떠나게 된다. 이에, 이것을 둘째라 한다.

삿된 음행[欲邪行: 욕사행, 사음, 사행]을 떠난 이는 삿된 음행을 행하는 인연을 떠난 까닭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멸하여 능히 삿된 음행[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이 떠나게 된다. 이에, 이것을 셋째라 한다.

거짓말[虛誑語]을 떠난 이는 남을 속이는 인연을 떠난 까닭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멸하여 능히 거짓말[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이 떠나게 된다. 이에, 이것을 넷째라 한다.

온갖 술을 마시고 방일하는 것을 떠난 이는 온갖 술을 마시고 방일하는 인연을 떠난 까닭에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을 멸하여 능히 온갖 술을 마시고 방일하는 것[의 업력]으로부터 [생겨나는 과보로부터 몸과 마음이] 떠나게 된다. 이에, 이것을 다섯째라 한다.

이와 같은 5포죄원(怖罪怨)에 대하여 적정(寂靜: 고요하고 안정됨)할 수 있는 이는 이번 생[現世]에서 모든 성현에게서 다 같이 기뻐함과 찬탄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테면 계율을 지켜서[持戒] 스스로를 [포죄원(怖罪怨: 두려운 죄와 원한)으로부터] 방호(防護)하는 자가 되며, 죄도 없고 타락[貶: 이전보다 나빠짐]함도 없어서, 대부분 다복하게 이번 생을 살아가고, 그렇게 살다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을 마친 후 [다시 태어날 때면] 안온한 선취(善趣: 좋은 세계)로 올라가 천상[天]에 태어난다.
— 《아비달마법온족론》 제1권 〈1. 학처품(學處品)〉. 한글본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1. ↑ 이동: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의례와 수행·교단조직 > 의례와 수행 > 5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5계 五戒: 판차 실라(panca sīla)를 번역한 말로서, 재가인(在家人)이 지켜야 할 5종의 계를 말한다. 계란 본래 '관습이 된 행위'라는 뜻인데 술어(術語)로서는 '행위의 규범'을 가리키며, 더욱이 자발적으로 지키는 것, 자기 행위에 대한 '경계', 혹은 자기 행위에 대한 '맹세'를 뜻한다. 또한 계의 기본적인 입장은 좋은 일을 하고 나쁜 일은 하지 않는다는 뜻이며, 따라서 그 규정은 신구의(身口意)의 3업(三業)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된다. 5계[←한 계]는 불교 교단에 들어가기에 앞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3보(三寶)에의 귀의와 함께 불교도로서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 된다. 5계로서는 살아 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不殺生), 도둑질하지 않는다(不偸盜), 아내 이외의 여성, 남편 이외의 남성과 부정한 정교를 맺지 않는다,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不妄語), 술을 마시지 않는다(不飮酒)는 5종의 계를 말한다. 5계를 5학처(五學處)라고도 하는데, 학처란 수행의 기반이라는 뜻으로 불도수행(佛道修行)의 근본이 되어 있다."
  2. ↑ 이동:  곽철환 2003, "오악(五惡)".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오악(五惡): 오계(五戒)를 어기는 것."
  3. ↑ 이동:  운허, "五惡(오악)".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五惡(오악): 5종의 악. (1) 5계(戒)에 위반하는 살생ㆍ도적질ㆍ음행ㆍ거짓말ㆍ음주. (2) 5상(常)에 위반하는 다섯 행위. 불인(不仁)ㆍ불의(不義)ㆍ불례(不禮)ㆍ부지(不智)ㆍ불신(不信)."
  4. ↑ 이동:  星雲, "五惡".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五惡: 五種惡。(一)殺生,(二)偷盜,(三)邪婬,(四)兩舌、惡口、妄言、綺語,(五)飲酒。又五戒所防即為上述之五惡;造此五惡,於現世中,王法治罪,身遭厄難,稱為五痛;以此五惡,於未來世三途受報,稱為五燒。〔優婆塞五戒威儀經、四天王經、無量壽經義疏卷下(慧遠)〕"
  5.  星雲, "五常五戒". 2013년 7월 14일에 확인
    "五常五戒:  指儒家五常與佛教之五戒。我國文化自古特重孝道與倫常,佛教傳入我國後,於孝道方面,乃特為強調父母恩重難報經、盂蘭盆經等;於倫常方面,則提倡「仁義禮智信」等五常係與「不殺、不盜、不婬、不飲酒、不妄語」等五戒為一致配合之思想。自是,遂有五常五戒相提並論之稱。(參閱「孝」2858) p1145"
  6.  星雲, "五戒".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五戒:  梵語 pañca śīlāni。指五種制戒。(一)為在家男女所受持之五種制戒。即:(一)殺生,(二)偷盜(不與取),(三)邪婬(非梵行),(四)妄語(虛誑語),(五)飲酒。又作優婆塞五戒、優婆塞戒。在小乘經量部中,受三歸依即成優婆塞,准許五戒分別受持;說一切有部則須先受三歸依,後具受五戒,始名優婆塞,故不許五戒分別受持。五戒之中,前四戒屬性戒,於有情之境發得;後一戒屬遮戒,於非情之境發得。又前三戒防身,第四戒防口,第五戒通防身、口,護前四戒。我國古來以五戒配列於仁、義、禮、智、信五常,復以不殺配東方,不盜配北方,不邪婬配西方,不飲酒配南方,不妄語配中央。〔雜阿含經卷三十三、增一阿含經卷二十、毘尼母經卷一、大智度論卷十三、薩婆多毘尼毘婆沙卷一、俱舍論卷十四、仁王護國般若經疏卷二、摩訶止觀卷六之上〕
     (二)亦為在家男女所受持之五種制戒。即:(一)殺生,(二)偷盜,(三)邪婬,(四)兩舌、惡口、妄言、綺語,(五)飲酒。然此五戒之中,第四戒總攝口業之惡,蓋由十惡之說轉來者。灌頂經卷一、優婆塞五戒威儀經、四天王經等皆舉此說。
     (三)為在家菩薩所受持之五種制戒。即禁絕:(一)奪生命,(二)不與取,(三)虛妄語,(四)欲邪行,(五)邪見等。大日經卷六受方便學處品、大日經疏卷十八等說之。即於通途之五戒中,除去飲酒戒,另加邪見戒。〔雜阿含經卷三十一、增一阿含經卷七、優婆塞戒經卷六、優婆塞五戒相經、瑜伽師地論卷五十四〕"
  7.  운허, "惡(악)". 2012년 9월 2일에 확인.
  8.  星雲, "不善". 2012년 10월 28일에 확인
    "不善: 梵語 akuśala,巴利語 akusala。「善」之對稱。為三性之一,與惡同義。謂其性不安隱,能違損此世及他世的黑惡之法。"
  9. ↑ 이동:      운허, "十惡(십악)".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十惡(십악): 열 가지 죄악. 신(身)3ㆍ구(口)4ㆍ의(意)3.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
  10. ↑ 이동:      운허, "身三口四意三(신삼구사의삼)".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身三口四意三(신삼구사의삼): 10악(惡)을 신(身)ㆍ구(口)ㆍ의(意)의 셋에 배당. 살생(殺生)ㆍ투도(偸盜)ㆍ사음(邪婬)을 신삼(身三), 망어(妄語)ㆍ기어(綺語)ㆍ악구(惡口)ㆍ양설(兩舌)을 구사(口四), 탐욕(貪欲)ㆍ진에(瞋恚)ㆍ사견(邪見)을 의삼(意三)이라 함. ⇒십불선업(十不善業)ㆍ십악(十惡)"
  11.  운허, "邪見(사견)".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見(사견): 5견(見)의 하나. 10악(5리사ㆍ5둔사)의 하나. 주로 인과의 도리를 무시하는 옳지 못한 견해. 온갖 망견(妄見)은 다 정리(正理)에 어기는 것이므로 사견이라 하거니와, 특히 인과의 도리를 무시하는 것은 그 허물이 중대하므로 사견이라 함."
  12.  곽철환 2003, "사견(邪見)".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인과(因果)의 이치를 부정하는 견해."
  13.  星雲,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견(邪見)
    "(一)邪見,指不信因果、功德、父母、聖人等之見解。"
  14.  운허, "殺生(살생)".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殺生(살생): 10악(惡)의 하나. 인간ㆍ축생 따위의 목숨을 살해하는 것. 곧 생물의 목숨을 죽임."
  15.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살생(殺生)
    "(1) 살생(殺生). 사람이나 동물 따위, 살아 있는 것을 죽임."
  16. ↑ 이동:   운허, "邪業(사업)".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業(사업): 부정(不正)한 행위. 중생을 죽이는 것ㆍ훔치는 것ㆍ사음(邪婬)하는 것 등."
  17. ↑ 이동:   星雲,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업(邪業)
    "(四)邪業,指殺生、不與取、邪淫等。"
  18. ↑ 이동:   星雲, "[1]".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業: 由貪、瞋、癡而起之不正的身業;如殺生、不與取、邪淫等皆是。為「正業」之對稱。係三邪行之一,八邪行之一。〔中阿含經卷四十八、俱舍論卷十七〕"
  19. ↑ 이동: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십악(十惡): 몸과 말과 뜻으로 짓는 열 가지 죄악. (1) 살생(殺生). 사람이나 동물 따위, 살아 있는 것을 죽임. (2) 투도(偸盜). 남의 재물을 훔침. (3) 사음(邪婬). 남녀간에 저지르는 음란한 짓. (4) 망어(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 (5) 악구(惡口). 남을 괴롭히는 나쁜 말. (6) 양설(兩舌). 이간질하는 말. (7) 기어(綺語). 진실이 없는, 교묘하게 꾸민 말. (8) 탐욕(貪欲). 탐내어 그칠 줄 모르는 욕심. (9) 진에(瞋恚). 성냄. (10) 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20.  운허, "偸盜(투도)".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偸盜(투도): 10악(惡)의 하나. 불여취(不與取)라고도 함. 남이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것. 곧 남의 것을 훔치는 것."
  21.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투도(偸盜)
    "(2) 투도(偸盜). 남의 재물을 훔침."
  22.  운허, "邪婬(사음)". 2012년 10월 30일에 확인
    "邪婬(사음): 5계(戒)의 하나. 재가(在家) 2중(衆)으로서 우바새는 자기 처첩(妻妾)이 아닌 다른 여자와 음사(婬事)를 하는 것. 우바이도 우바새의 경우와 같음."
  23.  星雲, "[2] 邪淫]". 2012년 10월 30일에 확인
    "邪淫: 梵語 kāma-mithyācāra,巴利語 kāmesu micchācāra。又作欲邪行。為十惡之一。即在家者不可為之惡行之一,以男性而言,指與妻子以外之女性行淫,又雖與妻子,但行於不適當之時間、場所、方法等,亦為邪淫。據中阿含卷五十晡利多經載,邪淫者必受現世及後世之惡報。"
  24.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음(邪婬)
    "(3) 사음(邪婬). 남녀간에 저지르는 음란한 짓."
  25.  운허, "妄語(망어)".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妄語(망어): 10악(惡)의 하나. 입[口]으로 지은 4과(過)의 하나. 허광어(虛誑語)라고도 한다. 진실치 못한 허망한 말을 하는 것. 거짓말."
  26.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망어(妄語)
    "(4) 망어(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
  27.  星雲, "[3]".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妄語:  十惡之一。又作故妄語、虛妄語、虛誑語、妄舌、虛偽、欺。特指以欺人為目的而作之虛妄語。妄語戒為五戒、十戒之一。據四分律卷十一所載,妄語為波逸提(必須向眾僧懺悔之罪),此係小妄語(虛偽不實);另據同書卷二載,未至菩提而妄言得菩提(即妄稱證得佛道)者,即犯波羅夷(為教團驅逐之大罪),此係大妄語(未得言得,未證謂證)。此外,據大智度論卷十三載,犯妄語戒而無慚愧心者,自斷於至涅槃及生天之道,並有口氣臭、善神遠離等十種罪過,此稱為妄語十罪。〔雜阿含經卷三十三、優婆塞五戒相經、瑜伽師地論卷五十四、順正理論卷三十六、大智度論卷十四、大乘義章卷七、卷十二〕(參閱「律」)"
  28.  "妄語",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29.  "虛誑語",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30.  운허, "邪語(사어)".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語(사어): 정당하지 못한 말. 망어(妄語)ㆍ양설(兩說)ㆍ추악어(麤惡語)ㆍ기어(綺語)등."
  31.  星雲,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어(邪語)
    "(三)邪語,指妄語、兩舌、惡口、綺語等。"
  32.  星雲, "邪語".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語: 由貪、瞋、癡所生之不正之言語。為「正語」之對稱。係三邪行之一,八邪行之一。如妄語、兩舌、綺語、惡口等皆是邪語。〔中阿含卷四十九說智經、俱舍論卷十七〕"
  33. ↑ 이동:  운허, "飮酒(음주)".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飮酒(음주): 술을 마심. 이로 인하여 살생(殺生)ㆍ투도(偸盜)ㆍ음행(婬行)ㆍ망어(妄語)의 4죄를 범하는 동기가 되므로 경계한 것. 음주의 10과실(過失). (1) 얼굴빛이 나쁘고 (2) 비열하고 (3) 눈이 밝지 못하고 (4) 성내게 되고 (5) 농사ㆍ살림살이를 파괴하고 (6) 병이 생기고 (7) 투쟁이 많아지고 (8) 나쁜 소문이 퍼지고 (9) 지혜가 감소되고 죽으면 악도에 떨어짐."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D8CECA3BCrowno2 飮酒(음주)]". 2012년 11월 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