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30

알라딘: 숭산행원의 생애와 사상

알라딘: 숭산행원의 생애와 사상



숭산행원의 생애와 사상 -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세계화를 중심으로 | 프라즈냐 총서 31
최용운 (지은이)운주사2015-06-05














정가
17,000원
판매가
16,150원 (5%, 850원 할인)

292쪽
불교학의 사회화 이론과 실제 - 삶의 예술로서의 응용실천불교학
한국의 죽음 의례의식 연구 - 불교의 상장례喪葬禮를 중심으로


책소개
한국불교 역사상 승려로서 전 세계에 가장 널리 알려지고 한국불교를 세계에 가장 널리 알린 사람은 누구일까? 아마 숭산행원 선사에 비견할 만한 인물은 없을 것이다. 숭산선사는 1966년 재일 홍법원 설립을 시작으로 35년여의 기간 동안 전 세계 32개국에 120여 개의 선 센터를 개설했으며, 5만여 명이 넘는 해외 제자들을 배출하는 놀라운 위업을 남겼다.

이와 같은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간 숭산선사에 대한 한국불교계의 반응은 다소 미온적이었을 뿐 아니라, 선사의 수행론 및 조직 운영 방식에 대한 비판적 기류마저 상당했다. 숭산선사가 개발했던 간화선 수행체계, 일명 “십문관”이 일본 임제종의 참선 수행체계를 수용했다는 점, 선 센터 내 조직 운영에 남녀차별, 출재가의 구분을 없앴다는 점 등이 그 원인으로 지목된다.

본서는 숭산선사의 수행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선사가 개발했던 간화선 수행체계와 일본 임제종의 참선 수행체계 간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숭산선사의 간화선 수행체계 개발의 의의에 대한 저자만의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선사의 업적이 현대 한국불교의 포교 역사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서도 국내외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_ 5
서론_ 15

제1장 숭산행원의 선사상과 수행론_ 31
1. 도입_ 31
2. 시대적・사상적 배경_ 32
1) 시대적 배경과 그 영향_ 32
2) 사상적 배경_ 34
3. 숭산의 선사상과 그 특징_ 37
1) 조사선 중심_ 37
2) 유불회론 역설_ 40
3) 선의 실천성 강조_ 41
4) 선의 세계화_ 43
4. 숭산의 간화선 수행법과 그 의미_ 45
1) 십문관(혹은 십이문관)_ 48
2) 입실점검의 강조_ 53
3) 숭산의 간화선 수행법이 갖는 의미_ 55
5. 소결_ 60

제2장 숭산행원의 업적에 대한 포교적 관점의 연구_ 63
1. 서언_ 63
2. 승가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동국대 석림회의 창립 지원_ 65
3. 대중포교의 기틀 확립_ 68
1) 화계사를 대중포교와 국제포교의 중심지로_ 68
2) <불교신문>의 토대 확립_ 70
4. 관음선종과 세계포교_ 73
1) 관음선종의 성립 과정_ 73
2) 관음선종의 포교적 의의_ 77
(1) 한국 간화선 수행법과 일본 임제종 수행법의 통합 시도_ 77
(2) 서구문화에 적합한 불교의 토착화 시도_ 80
5. 소결_ 83

제3장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를 위한 이론적 기반 정립_ 87
1. 도입_ 87
2. 대혜종고와 간화선_ 92
1) 대혜 당시의 시대적 배경_ 92
(1) 송대宋代의 정치적 상황_ 92
(2) 송대의 문화적・사상적 상황_ 94
2) 선종을 바라보는 대혜의 문제의식: 문자선과 묵조선의 폐해_ 97
(1) 문자선의 폐해_ 97
(2) 묵조선의 폐해_ 99
3) 대혜가 간화선을 통해 강조한 정신_ 102
4) 대혜가 간화선을 집대성한 배경에 대한 또 다른 해석에 대해_ 106
(1) Morten Schl?tter의 견해_ 107
(2) Schl?tter의 견해가 갖는 장점과 단점_ 109
3. 보조지눌과 간화선_ 114
1) 지눌과 간화선의 만남_ 114
2) 지눌이 생각하는 간화선_ 115
3) 지눌의 간화선관의 형성 요인과 이에 대한 평가_ 119
4) 선의 대중화를 위한 지눌의 노력에 대한 다양한 해석_ 125
4. 소결_ 128

제4장 한국 간화선 수행법의 변천사_ 131
1. 도입_ 131
2. 한국 간화선의 수행법적 정체성 확립_ 134
1) 간화선의 정의_ 134
2) 한국 간화선의 수행법적 정체성 확립의 필요성과 수용 과정_ 138
(1) 한국 간화선의 수행법적 정체성 확립의 시대적 필요성_ 138
(2) 간화선의 한반도 수용에 있어서의 주요 시기 구분_ 141
3. 간화선의 한반도 수용에 있어서의 주요 시기별 특징_ 143
1) 간화선의 한반도 전래와 기초 확립의 시기_ 143
2) 고려 후기 원 간섭기에 몽산덕이의 간화선 수행법이 도입된 시기_ 150
(1) 화두와 공안 모두가 참선의 도구_ 159
(2) 화두 형태의 변화: 질문의 형식을 취하는 화두의 증가_ 161
(3) 선정禪定의 힘을 통한 화두 참구의 강조_ 164
(4) ‘오후인가悟後印可’의 강조_ 168
3) ‘여말삼사’에 의한 원나라 조선祖先계의 간화선 수용기_ 170
4) 고봉원묘의 <선요>가 한국 간화선 수행법에 변화를 주었던 시기_ 173
(1) ‘간화삼요看話三要’를 통한 참선의 체계 확립_ 173
(2) 스승 ‘본분종사’에 대한 믿음의 강조_ 175
4. 소결_ 178

제5장 한국 간화선의 세계화를 위한 제언_ 183
1. 도입_ 183
2. 유럽 불교수용의 시기별 특징_ 186
1) 여명기: 지적 차원의 접근과 신앙적 관점의 전환기_ 187
(1) 불교에 대한 지적 추구: 문헌학・철학적 연구_ 187
(2) “신이 없는 종교”를 통한 내면적 자각_ 194
2) 1차 부흥기: 양대 세계대전 이후 새로운 정신적 대안_ 196
3) 2차 부흥기: 전자・정보기술의 발전과 불교의 확산_ 198
3. 유럽의 불교수용 맥락에서 분석한 한국 간화선_ 201
1) 유럽의 불교수용 맥락에서 분석한 한국 간화선의 장점_ 201
2) 유럽의 불교수용 맥락에서 분석한 한국 간화선의 문제점_ 205
(1) ‘일평생 오직 하나의 화두만 참구’하는 전통_ 205
(2) 화두의 내용_ 215
(3) 입실제도(혹은 입실참문)_ 220
(4) 사제師弟관계_ 223
4. 소결_ 225

제6장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세계화와 숭산행원이 한국불교계에 남긴 과제_ 231
1. 도입_ 231
2.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세계화와 숭산의 간화선 수행법_ 233
1) 숭산의 간화선 대중화 관점_ 233
2) 한국 간화선의 세계화와 숭산의 간화선 수행법_ 235
(1) ‘일평생 오직 하나의 화두만 참구하는 전통’의 측면_ 236
(2) ‘화두의 내용’ 측면_ 238
(3) ‘입실제도’의 측면_ 240
(4) ‘사제師弟관계’의 측면_ 241
3. 숭산의 해외포교 경위와 특징_ 245
1) 숭산의 해외포교 경위_ 245
2) 숭산의 해외포교 특징과 장단점_ 251
4. 숭산이 한국불교계에 남긴 과제_ 253
1) 남녀차별 및 출재가 구분 관행의 개혁_ 253
2) 일본 임제종 수행법의 수용_ 260
5. 소결_ 267

참고문헌_ 271
찾아보기_ 283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최용운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연세대학교와 보스턴대학교에서 수학하였으며, 서강대학교에서 박사(종교학)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연세대학교에 출강하고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숭산행원의 선사상과 수행론」, 「한국간화선의 대중화 세계화를 위한 제안」 등이 있다.



최근작 : <숭산행원의 생애와 사상>



출판사 제공 책소개
-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세계화를 중심으로 -

한국불교가 배출한 세계적인 선승으로, 생존 당시 세계 4대 생불 가운데 한 사람으로 칭송 받았던 숭산행원 선사의 생애와 사상, 활동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


1.
한국불교 역사상 승려로서 전 세계에 가장 널리 알려지고 한국불교를 세계에 가장 널리 알린 사람은 누구일까? 아마 숭산행원 선사에 비견할 만한 인물은 없을 것이다. 숭산선사는 1966년 재일 홍법원 설립을 시작으로 35년여의 기간 동안 전 세계 32개국에 120여 개의 선 센터를 개설했으며, 5만여 명이 넘는 해외 제자들을 배출하는 놀라운 위업을 남겼다. 이와 같은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간 숭산선사에 대한 한국불교계의 반응은 다소 미온적이었을 뿐 아니라, 선사의 수행론 및 조직 운영 방식에 대한 비판적 기류마저 상당했다. 숭산선사가 개발했던 간화선 수행체계, 일명 “십문관”이 일본 임제종의 참선 수행체계를 수용했다는 점, 선 센터 내 조직 운영에 남녀차별, 출재가의 구분을 없앴다는 점 등이 그 원인으로 지목된다.
본서는 숭산선사의 수행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선사가 개발했던 간화선 수행체계와 일본 임제종의 참선 수행체계 간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숭산선사의 간화선 수행체계 개발의 의의에 대한 저자만의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선사의 업적이 현대 한국불교의 포교 역사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서도 국내외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본서는 간화선의 한반도 도래 이후 수행법의 변천 과정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서구사회에 불교가 전파된 역사적 과정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간화선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세계화 과제와 관련하여 숭산선사의 행적이 갖는 의미와 선사가 한국불교계에 주는 과제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다.

2.
본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차원의 문제의식이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그 첫 번째는 숭산에 대한 국내 불교계의 평가가 적절한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는 한국불교계에 간화선 대중화를 위한 이론적 토대가 형성되어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간화선의 대중화를 천명하고 있지만, 정작 현실은 간화선이라는 수행법이 과연 대중화가 가능한가에 대한 논란이 분분하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한국 간화선의 세계화를 위해 수행법의 개선이 필요하지는 않는가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서는 총 6장으로 나누어 숭산선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제1장 ‘숭산행원의 선사상과 수행론’에서는 먼저 숭산이 활동한 시기의 시대적・사상적 배경을 고찰하고, 이어서 숭산 선사상의 특징을 다룬다. 숭산은 경허선사의 법맥인 덕숭문중의 조사선, 특히 간화선을 중심으로 하면서 ‘오직 모를 뿐’이라는 유불회론을 역설한 데 그 사상의 특징을 드러낸다. 아울러 선의 실천성과 세계화를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일본 임제종의 수행체계를 상당 부분 도입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방편으로서였다.
제2장 ‘숭산행원의 업적에 대한 포교적 관점의 연구’에서는 대중포교, 나아가 세계포교를 위한 숭산의 활동을 시기별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다. 여기에는 승가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기반으로 동국대 석림회의 창립 지원, 화계사를 대중포교와 국제포교의 중심지로 한 점, 불교 언론으로서의 <불교신문>의 토대 확립, 그리고 관음선종의 창립과 이를 토대로 한 세계포교 등이 포함된다.
제3장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를 위한 이론적 기반 정립’에서는 먼저 간화선의 창시자라 할 수 있는 대혜종고의 간화선을 시대적?사상적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고찰한 다음, 보조지눌의 간화선이 가지는 특징을 짚어보고, 한국불교계에서 간화선 수행과정이 지니는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제4장 ‘한국 간화선 수행법의 변천사’에서는 먼저 한국 간화선의 수행법적 정체성 확립을 제안하면서, 한국에 간화선이 어떤 배경과 경로를 통하여 수용되고 실천되었는가를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여기에는 고려 후기 몽산덕이의 간화선 도입과 특징, 그리고 여말삼사에 의한 간화선 수용, 고봉원묘의 <선요>가 한국 간화선 수행법에 변화를 준 상황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제5장 ‘한국 간화선의 세계화를 위한 제언’에서는 19세기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구, 특히 유럽에서 불교가 수용되어온 상황을 시기별로 면밀히 고찰하고 난 다음, 유럽의 불교수용 맥락에서 분석한 한국 간화선의 장점과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문제점의 개선 방안으로 다양한 화두 참구, 새로운 화두의 개발, 입실제도의 필요성, 사제관계의 유연성 등을 제언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6장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세계화와 숭산행원이 한국불교계에 남긴 과제’에서는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성공적으로 이룩하기 위해서는 앞장에서 언급한 한국 간화선의 문제점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숭산선사가 대중포교와 세계포교에 성공적으로 활용한 방법들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며, 아울러 승산이 시도한 방법들에 대해 대승적이고 통불교적인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3.
한국불교의 대표종단인 조계종이 표방하고 있는 수행법은 간화선이다. 그리고 간화선의 대중화를 천명하고 이를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과연 간화선이 대중화될 수 있는 수행법인가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어떻게 대중화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에 이르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간화선 수행법을 활용하여 세계 각지의 서구인들에게 폭넓은 영향을 끼쳐온 숭산선사의 사상과 수행, 그리고 포교방법을 다룬 본서는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와 세계화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꼭 필요한 책일 것이다.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