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27

신도 - Wikipedia 일어

신도 - Wikipedia

신도

출처: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
신도
게쿠 - 이세 torii.svg
국가·지역일본의 국기 일본
신자 수87,924,087명 [1]
설립 연도불명 ( 조몬 시대 부터 고분 시대 에 걸쳐 원형이 형성되었다고 여겨진다)
설립자없음
신앙대상팔백만의 신
경전정직 없음 [2]
모체민족적 신념 , 자연적 신념 , 조상의 신념
종파하기 신도 제파 참조
주요 지도자
성지신사 등의 제사 시설·  , 바위 ,  등의 자연물
교의구체적 교리 없음
템플릿 보기
수령 약 3000년의 다케오 신사 의 신 가미

신도 (신토, 신도 [4] )는 일본 종교 . 神道라고도 한다. 교전 이나 구체적인 가르침은 없고, 개조 도 없다. 신화 , 8백만의 신 , 자연 과 자연 현상 등에 근거하는 애니미즘 적, 조령 숭배 적인 민족 종교 이다 [5] .

자연 과 신은 일체로 인식되어 하나님 과 인간 을 연결 하는 구체적인 작법 이 제사 이며, 그 제사를 행하는 장소가 신사 이며 성역 으로 여겨졌다 [6] .

개요 편집 ]

국산 을 그린 『천연을 통해 청해를 찾는 그림』( 고바야시 영탁화 , 보스턴 미술관 소장)

신도는 고대 일본에 기원을 따라갈 수 있다고 여겨지는 종교이다. 종교명의 대부분은 일본어에서는 「○○교」라고 호칭하지만, 종교명은 신교가 아니라 「신도」이다 [주1] . 전통적인 민속신앙 · 자연신앙 · 조령신앙 을 바탕으로 호족층에 의한 중앙이나 지방의 정치체제와 관련하면서 서서히 성립했다 [7] [8] . 또한 일본국가의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여겨지는 종교이다 [9] .

신도에는 확정한 교조, 창시자가 없고 [9] , 기독교 성경 , 이슬람교 꾸란 에 해당 하는 공식으로 정해진 ' 정전 '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여겨지지만 [5] , ' 고사기 ' 『일본서기』 『고어 픽유』 『선대 구사본기』 『선명』이라고 하는 「신전」이라고 불리는 고전군이 신도의 성전 으로 되어 있다 [10] . 모리라 만상 에 신이 머무른다고 생각하고, 또 위대한 조상을 신격화하고, 천진신·국진신 등의 조령 을 축제해, 제사 를 중시한다. 정명 정직(깨끗하고 밝고 바르게 고쳐)을 덕목으로 한다 [11] . 다른 종교에 비해 현세주의적이라는 특징이 보인다. 신도란 삼라만상을 신들의 체현으로서 즐길 수 있는 「유신의 길(간단히 온 곳, 신과 함께 있는 것의 뜻)」이라고 한다 [12] . 가르침과 내실은 신사와 축제 속에 전해지고 있다. 5개조의 맹세문 '이나 잘 알려진 동가 ' 도리세 ' 등 일본사회의 광범위에 걸쳐 신도의 영향을 볼 수 있다 요출전 ] .

신도는 나라시대 이후 오랫동안 불교 신앙과 혼돈해 왔다( 신불습합 ). 한편, 일본에서의 신불습합은 완전히 섞여 하나의 종교가 된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합일하면서도, 각각 각각 독립성이 유지되고 있던 측면도 있어 [13 ] 미야나카 제사와 이세 신궁의 제사에서는 불교의 관여가 제거되고 있기 때문에, 신우 신앙은 불교와 다른 종교 시스템으로서 자각되면서 병존하고 있었다 [14] . 메이지 시대에는 신도 국교화 를 실현하기 위해 신불 분리 가 이루어졌다 [15] .

신도와 불교 의 차이에 대해서는, 신도 는 지연 · 혈연 등으로 묶인 공동체 ( 부족 이나 마을 등)를 지키는 것을 목적으로 신앙되어 왔는데, 불교 는 ​​주로 사람들의 안심 입명이나 영혼 의 구제 , 국가진호 를 요구하는 목적으로 신앙되어 왔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7] .

신도는 일본 국내에서 약 8만 5,000개의 신사가 등록되어 약 8,400만명의 지지자가 있다고 『종교 연감』( 문화청 )에는 기재가 있지만 [16] , 지지자는 신사 측의 자기 신고에 근거하는 숫자이며, 지역 주민을 모두 씨자로 간주하는 예, 하츠미 의 참배자도 신도수에 포함하는 예, 부적이나 어패 등의 주도의 매출수나 배포수로부터 산출한 상정 신도수를 계산에 넣는 예가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본인의 70% 정도가 무신앙을 자칭한다는 많은 조사 결과와는 모순된다 [17] .

분류 편집 ]

황실 신도 ( 미야나카 제사 )
황궁내의 궁중삼전 을 중심으로 하는 황실 의 신도이다 [18] . 신년의 사방 배나 세단제 , 오곡풍양이나 국가·국민의 안녕을 기도하는 신조제 (천황 즉위 후 최초의 신조제는 대조제 라고 한다) 등이 행해진다 [19] .
오가마 축제가 활약한 령화의 오구 노미야
신사 신도
신사 를 중심으로, 씨자 ·숭경자 등에 의한 조직에 의해 행해지는 제사 의례를 그 중심으로 하는 신앙 형태이다 [20] .
민속신도
민간신도라고도 한다. 민간에서 행해져 온 신앙행사를 말한다. 도조신 · 논의 신 ·  의  · 추신 등. 수험도나 밀교  불교 , 혹은 도교 의 사상과 습합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막상 흐름 등도 들어가는 요출전 ] .
교파 신도 (신도 13파)
교조·개조의 종교적 체험에 근거한다. 창창 종교적 색채가 진한 요출전 ] .
고신도 (≒원시신도)
에도시대의 국학에 의해 유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기 전의 신도가 가구되어 복고신도 · 고도 ·황학·본교 등으로 불렸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 고신도만을 꺼내, 새로운 종파로서 설립된 것도 고신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근대 이후의 학문으로 연구되어 국학색을 배제하고 나서는, 순신도·원시 신도라고도 한다 요출전 ] .
국가신도
특히 근대( 메이지 유신 보다 제2차 세계대전 종결까지)에 있어서 국가의 지원하에 행해진 신도를 가리키는 명칭이며 [21] [주2] , 사실상 국가 종교 가 되어 있었다 [24 ] . 국가신도#어지 를 참조)

이상과 같은 분류를 할 수 있지만, 오늘, 단순히 「신도」라고 하는 경우에는 신사 신도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요출전 ] .

또 무엇에 무게를 두는지에 따라 '축제형' '가르침형'이라는 나누는 방법도 제창되고 있다.

  • 축제형 신도(사인 신도 - 의례를 중심으로 함)
이것은 상기의 「황실 신도」 「신사 신도」 「민속 신도」등이다.

이상과 같이 분할된다 [18] . 덧붙여 음양 도계의 토고몬 신도 는 상기의 이에모토 신도의 하나이지만, 가르침형이나 축제형으로도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출전 ] .

기원 편집 ]

가스가 타이샤 에서 오미 복권 을 연결하는 사람들
일반 가정에서 모셔지는 신선

신도의 기원은 매우 낡아 일본의 풍토나 일본인의 생활 습관에 근거해 자연스럽게 생긴 신관념이다. 농경문화의 진전과 함께, 자연의 위력에 신령의 존재를 찾아내, 그 신령을 정중하게 축제함으로써 자연의 위협을 완화시키고, 농경생활의 안녕을 기원한다는 신관념이 생긴 것이, 신도의 시작에서 이었다 [25] . 이 때문에 기독교, 불교와 같은 개조가 존재하지 않고, 조몬 시대 를 기점으로 야요이 시대 부터 고분 시대 에 걸쳐 그 원형이 형성되었다고 생각되고 있다 [12] .

현재의 신도·신사에 직접 연결되는 제사 유적이 출토하는 것은, 농경 문화의 성립에 따라 자연 신앙 이 생긴 야요이 시대로, 이 시대에는, 아라카미야 유적 등으로 대표되는 청동기 제사, 이케가미 소네 유적 과 같은 후의 신사 건축과 공통되는 독립동 지주를 가지는 건물, 사슴 등의 뼈를 구워 차지하는 추골 , 부장품으로서의 거울·검·옥의 출토 등, 신사 제사나 기기의 신도 신앙과 분명히 연속성을 가진 요소를 볼 수 있습니다 [26] . 야마토 왕권이 성립하는 고분 시대에는, 최초기의 신사라고 생각되는 무나카타 대사 나 오가미 신사 에서, 고분 부장품과 공통되는 부장품이 출토하는 것으로부터, 야마토 왕권에 의한 국가 제사가 행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이 시기에 신도의 직접 원형이 형성되었다 [27] . 그 후, 아스카 시대에는 율령의 정비에 수반하여, 신지령 에 근거한 제사 제도의 체계화가 행해져, 신기관 이 전국의 신사에 폐허를 배포하는 반폐 제도의 확립이나, 전국의 신사에의 사 격 구분이나 신층 · 신위 의 수여 등, 전국의 신사를 포괄하는 국가적인 율령제사 제도가 정비되었기 때문에, 이 시기에 체계적인 「신도」가 성립했다고 하는 것이 많은 연구자 에서의 일반적인 공통 인식이다 [28]

‘신도’라는 명칭에 대해서는 ‘간단한 길(신도) [29] ’이라는 의미이다. 중국의 ' 이경 '이나 ' 진서 ' 속에 보이는 [30] 신도는 '신(神) 길'이라는 의미이며, 이것은 일본의 신도관념과는 성질이 다른 별개의 것이다. 비슷한 경우에는 비야 호 시대의 종교관에 대해 귀도 라는 표현이 이루어졌지만, 당시 중국의 귀도는 이국의 종교에 대해 사용되고 있던 호칭이었던 것을 들 수 있다 [31 ] .

일본에 있어서의 「신도」라는 말의 초출은 「일본서기」의 용명천 황기 에 있는 「천황, 불법을 신(う)케타마히, 신도를 존중한 마후」이지만 [32] , 이렇게 외래 종교인 불교와 짝이 되는 일본 고유의 신앙을 가리킨 것이었다 [33] [34] .

해석은 다양하고, 불교나 유교에 대해 일본 독자적인 종교를 신도로 하는 설 [35] , 벼농사 같은 자연의 이법에 따르는 영업을 가리켜 신도로 하는 설 등이 있다 [35] .

메이지 20년대(19세기 말)가 되면 서구 근대적인 종교 개념이 일본에서도 수입되어 종교로서의 '신도'의 말도 정착하기 시작했다. 동 30년대(20세기 초)에는 종교학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36] , 학문상에서도 「신도」의 말이 확립되었다 [37] [ 요점 번호 ] .

교리 편집 ]

원래 신도에는 예수 그리스도 나 석가 와 같은 카리스마 적 창창자가 존재하지 않았다 [11] . 정권에 의한 토착의 민속신앙과의 지배적인 제정일치 가 이루어진 신도가 교리를 언어로 통일적으로 정착시키지 않았던 것은 고대보다 '신이면서 말할 수 없는 나라 [38] '였기 때문에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요출전 ] . 그 때문에, 외래 제교와 융합하기 쉬운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고도 말한다 요출전 ] . 신도와 같은 토착의 민속신앙과 종파종교 의 병존예는 세계 각지에서 볼 수 있는 것이지만, 그 다양성은 특이한 것이다 요출전 ] . 다만, 실제로는, 불교 공전 의 당초부터, 폐불파의 물부  와 숭불파의 소가씨 사이에 한마디도착도 있었다.

이와 같이 신도에는 명확한 교리가 없지만, 고사기나 일본서기 등 이른바 ' 신전 '에는 신도의 기본적인 관념을 엿볼 수 있는 기술이 있어 [39] , 상세 , 황천 등 타계관 이나, 황혼·화혼 , 조령 등의 영혼관, 무스히 , 유진(간사), 정명 정직 등의 윤리관,禊祓 의해  를 쫓는 청정관 등이 신도의 기본적 한 관념으로 생각된다 [39] .

중세에는 이러한 신도고전에서 볼 수 있는 기본관념을 체계적으로 추구하고 신도의 교학화를 도모하는 움직임이 보였다 [39] . 그 초기기의 움직임은 양부 신도 와 산노신도 등 불교의 승려들이 불교의 교리에 근거한 신도 해석을 시도한 불가신도였다 [40] . 그 불가 신도설에 영향을 받으면서, 그것에 대항하는 형태로, 신궁 신관 등에 의해 사가의 입장으로부터의 신도설인 이세 신도 가 형성되었다 [41] . 이세 신도의 교설은, 지금까지의 신도 제사에 있어서의 관념을, 외래 종교의 어휘도 활용하면서 논리화한 것으로 파악되어 [42] , 지금까지 신도 제사에서 중첩되어 온 칼이나 禊 등의 신체 적 청정을 마음의 문제로 해석하고 [43] , 「정직」 「청정」을 신도의 덕목으로 했다 [44] . 중세 후기에는 그동안 중세 신도의 전개를 집대성하고 불교로부터 독립적인 교리·경전·의례를 가진 신도설인 요시다 신도 가 형성되었다 [45] . 요시다 신도의 교설은 이 세상의 모든 현상에 하나님이 내재한다는 범신론이었다 [46] .

근세에 들어서자 유교의 융성에 따라 이당심 신도 , 요시카와 신도 등의 유가 신도 가 활발해지고, 신불습합이 강하게 비판되어 유교의 덕목과 신도의 일치가 설되었다 [47] . 유가 신도를 집대성한 것이 수가 신도 로, 수가신도설에서는 하나님과 사람이 「천인 유일한 노도」라는 합일 상태에 있다고 하고, 신도란 사람이 하나님에 따라 사는 것이며, 사람은 하나님께 일심불란의 기도를 행함으로써 명가를 얻어야 하는데, 거기에는 사람이 '정직'이어야 하며, 그 '정직'의 실현에는 '경건'이 제일이다 라고 하는 교설이 전해졌다 [48] . 근세 중기에는 국학이 출현해, 혼이 선장은 신도를 유교나 불교의 교리에 의하여 해석하는 것을 강하게 비판했다. 근세 후기에는, 히라타 아츠시 가 기독교의 마지막 심판 의 관념의 영향을 받은 유명 심판 사상 을 외치거나, 그 문인들이 텐노미 중주 신을 창조신 으로 하는 단일 신교 적인 관념을 전개하는 등 , 근대에 이어지는 교리의 전개를 이룬 요출전 ] . 또한 에도막부 말에는 후기 미토학에 의한 신도설도 주창되었고, 국학과 유교를 연결함으로써 국체론을 설교하고 존황론을 외치고 에도막부 말기의 지사들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 [49] .

근대에는 신도 사무국 제신 논쟁 이라는 치열한 교리 투쟁도 있었지만, 결국은 정부도 신도에 공통되는 교리 체계의 창조의 불가능성과 근대 국가가 복고 신도적인 교설에 의해 직접 민중 통제의 불가능성을 인식했기 때문에 대일본 제국 헌법 에 의해 신교 의 자유 가 인정되었다 [50] . 무엇보다, 그것에는 구미 열강에 대해 일본이 근대 국가임을 밝혀야 한다는 사정도 있었다 요출전 ] . 이러한 경위로부터, 근대에는 신사 비종교론 이 설해지고, 신사 신도의 신직들이 종교적인 교리를 설교하는 것은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지만, 한편으로 재야의 신도가들에 의한 신도 교리가 설 되고 나서 국가로부터 공인을 받은 교파 신도 13파가 독자적인 신도의 가르침을 전하고 활동해 세력을 넓혔다 [51] .

신도의 "신" 편집 ]

오아라이 이소마에 신사 의 신소의 도리

신도에서는 기상, 지리지형 등의 자연현상으로 시작하여 모든 사건에 '신'의 존재를 인정한다 [35] . 이른바 '8 백만의 신들 '이다 [35] . 아이누 의 믿음에도 공통점이 있고, 아이누어의 '카무이'와 '신(神)'이라는 말의 관계도 깊다고 생각되고 있다 [52] . 원래, 하나님의 모습은 부유하는 영력으로, 물건에 들러붙거나 떠나거나 하는 「영혼」이라고 생각되고 있어, 비인격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53] (그런 성질 그러므로 하나님의 분령 을 무한히 행할 수 있다)가 불교의 영향으로 신상 등이 제작되게 되어 점차 하나님은 가시적인 것으로 생각되게 되었다 [54] . 하나님은 자연을 느끼고 그 자체로는 엄격한 자연 속에서 인간으로서 문화적인 생활을 영위하기에 적합한 환경과 상태를 자연과의 조화를 배려하면서 균형을 맞추어 조절해 나가 인민 생활을 둘러보고, 생활하기 위한 지혜나 지식의 힌트를 주거나, 조금 도와주거나, 몸이나 물건을 빌렸을 때나 뭔가 받았을 때 등에는 조금 감사를 하거나, 그것이 , 일본의 「신」이 행하고 있던 일의 하나이며, 일본인에게 있어서 「신」은, 매우 친밀한 존재였다 요출전 ] .

또한 신도의 신은 이념적, 추상적 존재가 아니라 구체적인 현상에 관념되기 때문에 자연 현상이 은혜와 함께 재해를 가져오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님도 황혼과 화혼 의 양면을 가지고 , 인간에게 선악 쌍방을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53] . 하나님은 지역사회를 지키고 현세의 인간에게 혜택을 주는 온화한 '수호신'이지만, 천변지이를 일으켜 병과 죽음을 초래하는 ' 목적 ' 성격도 가지고 있다 [35] . 이와 같이 하나님은 자연신에서 인격신으로, 정령적인 신에서 이성적 신으로, 무서운 신에서 귀한 신으로, 진화 발전이 있었다고 파악할 수 있다 [55] .

신도의 신의 종류는 크게 나누면 자연신과 문화신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54] . 전자에는 태양신과 달신, 풍신, 뇌신, 산신, 해신 등의 천체나 지형, 기상을 신격한 신 외에 뱀 등의 동물신도 포함된다 [54] . 또 문화신은 저택신 , 씨신 , 산토신 등의 사회집단을 지키는 신과 , 역 병신 , 논의신 , 어로신 , 군신 , 추신 등, 인간생활에 있어서의 특정한 장면이나 직능을 수호하는 신으로 나뉜다 [54 ] ] 외에 생전 업적이 있던 인물을 몰후 신사를 세워 신으로 모시는 풍습 등도 인정된다( 인신 ) [35] . 신도에는 인간도 사후 신이 된다는 생각이 있어, 신화에 그려지는 일족의 조상(조령 숭배)이나 사회적으로 돌출한 인물, 지역사회에 공헌한 인물, 국민이나 나라를 위해 일했다 인물, 국가에 반역하고 전란을 일으킨 인물, 불우한 만년을 보내고 사후 원령 으로 목사를 한 인물( 신령 신앙 ) 등도 '신'으로 신사에 축제되어 많은 사람들의 숭경을 모을 수 있다 [35] .

1881년의 신도사무국제신 논쟁 에서는 메이지 천황 의 재결에 의해 이세파가 승리해, 아마테라 오가미가 최고의 신격을 얻었지만 [56] , 패배한 이즈모파인 것이 아직도 강하게 남아 있거나, 씨신 신앙 등의 지역성이 강한 것도 많다 [35] .

덧붙여 전전은 학교의 교과서 등에, 「신」에 대한 인식의 방법의 설명이 실려 있었다. 심상초등학교의 역사나 수신의 교과서 등에는, 소년 소녀 전용의 역사 이야기로서, 신화의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신화의 세계는 매우 인간적인 세계로, 거기에는 「신」과 「사람」을 분리하는 단절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나님 역시 인간처럼 일하고 생활을 하는 요출전 ] . 쇼와 8년의 「소년 국사 이야기」에서는, 「신대의 이야기」의 항목에, 「어디의 국에서도 옛날의 일은 확실하지는 않지만」라고 전치를 하고, 신대 의 일로부터 시작된다 일본의 역사에 대해 “신대와 이후노는, 우리 국의 옛날에 상애의 신분으로 계신 분들을 후세상의 사람이 존경하고, 모두 신으로서 숭배하는 곳으로부터, 그 분들의 시대를 가리키는 부르고 있는 것이다”라고 설명되어 있다 [57] [58] .

신도 연구 편집 ]

헤이안 시대 이전부터 이즈모에 있어서 일본 신화와의 관계가 논의되고 있었다고 되어, 「이즈모풍 토기」에는 타소풍토기와는 달리, 그러한 성격을 짙게 볼 수 있다 요출전 ] .

가마쿠라 시대 에는 이세신궁 의 신관 에 의한 학문적 연구가 시작되어 서서히 현재의 신기신앙의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35] . 그리고 그러한 이세파의 노력은 겨우에도 말기의 이세참 의 확립에 의해 지식인보다 조령성이 강한 서민의 일부로부터도 지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한편, 혼이 선장 이 에도기에 「고사기」의 상세한 주석을 실시해, 국학의 주류를 형성해 갔다 [59] . 이들 신도와 국학의 각성이 구미 열강에 식민지화되고 있던 아시아 속에서 일본의 자각을 촉구하고 메이지 유신을 성공으로 이끄는 사상적 흐름의 일각을 이루었다. 신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고대는 불교 로부터 강하게 영향을 받아 근세에는 유교 의 일본으로의 유입이 크다. 이세파가 한 일은 그것에 대항하는 신도측의 노력이었다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요출전 ] .

신도사의 본격적인 연구는 미야지 다이이치 에 의해 체계화되었다 요출전 ] . 그는 신대사(신화)와 역사를 구별한 강의를 쿠니쿠 인대학 의 전신인 황전강구소 개최의 신직강습회에서 실시해, 「신기사」(황전강구소 쿠니쿠인대학 출판부)로서 1910년( 메이지 43년)에 간행하고 있다 [60] .

신도의 성립기에 대해서는 여러 설출되고 있다. 주요 설으로서 다음의 4설을 들 수 있다. 그 제일설은, 7세기 후반·8세기, 율령제 사제. 천무·지통 천황 조설. 이 설은 대다수의 승낙을 얻을 수 있는 타당한 학설이라고 생각한다. 제2설은, 8·9세기, 헤이안 시대 초기설. 제창자는 고취정남 . 제3설은, 11·12세기, 원정기 성립설. 제창자는 이노우에 히로시 . 제4설은 15세기 요시다 신도 성립기설. 제창자는 구로다 슌오 [61] .

현대의 신도 편집 ]

신사의 예( 하코네 신사 )

신도에 속하는 신들을 제신으로 하는 사를 신사라고 하며, 전국 신사의 대부분은 신사 본청 이 통괄하고 있다 [62] . 또한, 신사 본청은 「청」이라고 칭하고 있지만, 행정기관이 아니라 종교법인 의 하나이다 [63] .

황실과 신도 편집 ]

天皇陵( 중애 천황 혜가 나가노 서릉)
황실 의 조상신을 모시는 이세진구 내궁
1990년(헤세이 2년) , 제125대 천황 (현· 상황 )의 대구
제 대 조제는 신천황의 즉위 후 오곡풍양 과 국민안녕을 기도하는 신도제사이다.

미야나카 제사 에서 볼 수 있듯이, 황실과 신도는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져왔다. 기기 신화에는, 신부 천황이 야마토 카시하라의 땅에서 즉위 한 후에 도미 야마 의 제단에서 제사를 실시했다고 하는 기술이 있어, 고대에 있어서는 제정 일치 의 관념하에, 신 축제를 실시하는 것과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일체이며, 그 모두가 천황의 역할이라고 생각되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64] . 그리고, 기기에는 숭신천황 의 시대에 텐진 지상 을 모시는 제도가 정비되었다고 되어 [65] , 율령제의 정비가 ​​진행되는 아스카 시대에는, 신기관 보다 전국의 신사에 폐허가 배포되는 반폐 제도 가 정비되었다 [66] . 헤이안 시대 이후에는 천황이 메이신타이샤 에 대해 칙사를 파견하여 봉폐와 선명 의 주상을 행하게 하는 메이진타이샤 봉폐가 활발해져 점차 22사 에의 봉폐로 전개되었다 [67] . 헤이안 시대의 중기 이후에는, 율령 제도의 이완에 수반하는 신기관의 쇠퇴에 의해, 천황의 친제가 높아져, 천황이 내리에서 매일 아침, 「석회단」이라고 불리는 대에서 이세 신궁을 숭배하는 매일 아침의 숭배 나 즉각적으로 특정 신사에 신보를 보내는 일대 한 번의 오신 보사 의 제도가 시작되었으며, 신사의 행궁까지 천황이 향하는 행운 도 시작되었다 [68] .

중세의 전란으로, 황실 의례나 황실의 신도 의례 등은 폐절해 갔지만, 에도 시대에 들어가면 부흥되어 가, 이세신궁의 신조제에 즈음한 예폐사 파견은 1647년 ( 정보 4년)에, 이십이사 중 가미시치사 및 우사하치만구·카시이궁에의 봉폐는 1744년 ( 연향 원년)에 부흥되었다. 천황의 특정 신사에의 봉폐는, 근대를 거쳐 현대에도 계승되고 있어 현재는 가모 신사, 이시시미즈 하치만구, 카스가타이샤를 비롯해 16개의 신사가 칙제사 로 되어, 천황으로부터의 봉폐에 어울려 있다.

많은 일본 국민이 불교 와 신도의 습관과 신앙을 양립시키고 있는 것처럼, 황실도 신도의 제사와 불교의 행사를 함께 가고 있었다. 한편, '정관 의식', '의식' 등의 규정에 따라, 대구제의 기간은 중앙 및 고기의 관우가 불사를 행하는 것이 금지되고, 중사 및 내리의 계명을 수반하는 소사에는 승자의 대리에의 참내를 금지해, 내리의 불사가 금지된 것 외에, 헤이안 시대 중기 이후에는, 신가마제, 월차제, 신조제등의 천황 스스로가 계명을 실시하는 축제에 있어서는, 재계의 기간 중 내리의 불사를 그만두고, 관인도 불법을 기피하게 되는 등, 신도의례와 불교의례는, 조정에서는 명확하게 구분되고 있었다 [69] . 조정의 복권을 지향한 광격천황 이후에는 조정의 의례에서 신도의 요소가 높아졌다. 메이지 천황 의 대에서 행해진 신불 분리나 신도 국교화에 수반해, 불교와 황실의 직접적인 관계는 희미해졌지만, 황실 보제사였던 센쿠지사와 미야나이성의 특별한 관계는 일본국 헌법 시행시 까지 계속했다 요출전 ] .

동물과 신도 편집 ]

팔백만의 신들을 신앙대상으로 하는 신도는 모든 것이 정신적인 성질(인격이 있거나 의인화된 영혼, 영 등)을 가진다고 믿는 애니미즘 의 특징을 유지해 왔다고 생각되어 있다 [70] . 동식물이나 기타 사물에 인격적인 영혼, 영신이 머무르는 애니미즘은, 비인격적인 초상현상, 초자연적인 저력을 숭배하는 마나이즘 (주력 숭배)과는 구별된다 [71] [72] . 애니미즘 은 모든 것에 영혼이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물활론은 모든 것이 살아 있다고 주장한다. [73] :149 [74]

두려움 을 두려워 숭배의 대상으로 하는 사령 숭배는 미개종교에서의 애니미즘 의 한 형태로 되어 있다 [75] . 미개 사회에서 행해지는 샤먼 에 의한 주술 대신에 신사 에서는 원령을 진정하기 위해 신으로 모셔졌다 [76] . 죽음을 영혼의 영구이탈로서 타계에 가르치지만, 사령이나 동물령은 정해졌을 때 이 세상을 방문하여 사람에게 깨어 건강을 해치게 된다고 한다. 여우, 야코츠키, 오사 키츠 키는 동물 영빙  예이다 [77] .

미개 사회에서 특정 씨족, 부족이 자연현상·자연물이나 동식물과 초자연적 관계로 연결되는 것을 토템이라고 부른다 [78] . 남방 쿠마쿠스 는, 거물주 를  토템으로 했다 [79] .

신도는 애니미즘 적 종교이며, 그 특징의 하나에 제정 일치 가 있다 [80] . 제정일치는 영어로는 Saisei itchi 로서 그대로 신도의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80] [81] [82] [83] 것으로 정의되었다 [84] . 원시·미개사회의 종교의 초자연관은 애니미즘적이며, 영적 존재에 대해 주술 적으로 관련된다. 특정 개조가 없고 의례가 공개적으로 이루어진다. 법·정치·경제·도덕·관습 등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제정 일치 하고, 축제와 경제적 활동이 같은 장소에서 행해져 금기 (금기)가 법적 또는 도덕적 관념·행동과 겹친다 [85] [86] . 제정 일치는 주로 고대 천황제의 문맥에서 언급되어 왔다 [87] . 고대 천황제 국가의 형성에 있어서 대구 제의 제식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성립한 왕권 신화에 상징되듯이 정치주권자는 원시·미개사회로 거슬러 올라 종교제사자의 기능과는 미분화이다 [87] [88], 천황가가 여러 부족의 수장의 제사권, 조신과 그 신화를 혈연적 계보 관계의 신화적 설정을 통해 빼앗아 정치적 통합을 실현했다 [87] . 원시·고대 사회에서는 풍우뢰 지진 등의 자연 현상, 사냥·농경의 수확에 이르기까지 모두 신의라고 생각되고 있었지만, 이 사상은 고대 천황제 국가 통일의 지주가 되어, 율령제 에 있어서 신기관 을 설치, 중세 의 신도 사상으로부터 에도시대 의 국학 으로 계승되어, 메이지 유신 이후는 신도 국가관에 의해 천황의 「축제마다」를 강조하는 경향이 생겨, 쇼와 에 들어가면 천황을 현인신 으로 하게 되었다 [89] .

메이지 유신 후의 신정부는 ' 태정관포들 '에서 제정일치하여 신기관 을 재흥하겠다고 포고했다 [90] . 일본에서도 무가 고하는 신탁 이 정치적인 권위를 가진 야마토 왕권 의 통치체제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91] .

샤머니즘과 신도 편집 ]

종교인류학자의 사사키 히로시미는 샤머니즘 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요소가 있다고 했다 [92] .

  • 트랜스 라는 특별한 정신상태에서 탈혼 (ecstasy) 또는 빙의 (possession)가 행해진다.
  • 신불 ·정령 등의 초자연적 존재와 직접 접촉·교류·교신
  • 사회적으로 일정한 역할을 가진 신앙 과 행동 체계

신대기 의 천주여명 , 숭신기의 왜처한 일백습희명 , 중애기의 신공황후 등은 갑자기 신가리( 빙의 ), 광조난무하고 있어, 샤먼의 예로서 들려왔다 [93] [94] .

야마 가미 이즈모 는, 4세기의 삼륜 왕조 , 5세기의 가 와치 왕조 , 그리고 숭불파의 소가 씨 에 의한 야마토의 개신에 의해 율령제 국가가 되는 이전의 야마토 조정 은, 삼륜 씨나 다씨 라고 하는 무사를 맡는 일족 라고 정을 맡는 대왕 의 공동 통치가 행해져 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91] .

샤머니즘 은 크게 탈혼 과 빙의 (2)로 나눌 수 있지만, 동아시아(일본, 한국, 대만, 중국 대륙), 동남아시아의 샤먼에 탈혼(ecstasy)형이 없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 압도적으로 빙의(possession)형이 많다 [95] .

코구치 위이치 는 일본의 종교 신앙의 기저에 샤머니즘적 경향이 있다고 하고, 신도계 신종교의 집단의 형성이나 기반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94] . 신도계 신종교 의 교조 들 중에는 소명형 샤먼 의 계통에 속하는 것이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94] .

믿음 편집 ]

신사 신앙의 성격은 크게 분류하면 씨 신형 신앙과 권청형 신앙(숭경기원형 신앙)의 2가지로 나뉜다 [96] . 고대의 신앙은 전자의 지역마다 성신 · 산토신을 모시는 폐쇄적인 공동체제사가 중심이었지만, 중세에 들어가면 영위 있는 신들이 지역을 넘어 각지에 권청되어 개인의 기원 가 행해지는 권청형의 신앙이 증가했다 [96] . 중세기의 율령제의 붕괴와 장원제의 성립에 따라 특정 신사를 국가가 지지하는 고대적인 율령제사 제도가 붕괴되어 장원 영주들이 유력 신사를 본소 로 장원을 기진하게 된 결과, 그 기진된 사령에게 그 분 영사가 권청 되게 된 것, 각 신사가 어머니를 하여 지방까지 신앙을 넓히는 활동을 시작한 것 등이 중세기에 들어가 신사 신앙이 확산하는 요인이 되었다 [96] . 또, 중세기의 소촌 에서는, 촌민들은 일상의 농경 생활 속에서 신사에 접해, 촌민 중에서 1년 교체로 연번 신주가 선택되고 있거나, 어른·노인이라고 불리는 늙은이 칸막이 젊은이들이 신사의 봉사에 해당하는 신사 운영을 위한 축제의 편성 조직인 미야 자시 가 결성되는 것 외에, 마을의 마련에 있어서는 기청문 을 기입해 신에게 서약하고, 일원 때에는 일당신 수가 행 이와 같이 신사는 민중의 정신적 거점이 되어 갔다 [97]

근세기에 들어서자 치안과 교통 개선으로 사람들의 신사 참배가 더욱 활성화되어 서민들 사이에서 신사 신앙이 퍼졌다. 각 마을에서는  이 결성되어 매년 약간의 돈을 쌓아, 그 공동 출자를 바탕으로 갈비로 선택된 대표자가 신사에 참배해, 강원 전원분의 지폐 등을 받아 돌아오는 대참강이 유행 각 강사는 선생님 과 선생님과 사단 관계를 맺었고, 교사는 강원의 기도와 참배에서의 숙박편을 도모했다 [98] . 이러한 점에서 수백만 명이 단기간에 이세신궁에 참배했다고 기록되는 참배 를 비롯해 근세기에는 다수의 사람들이 신사에 참배했다. 한편, 근세기의 신사 참배는, 근세 사회에 있어서의 수송 조직의 발달이나 도중에서의 여관·유락 시설의 충실 등에 의해, 도중에 다양한 명소를 구경하거나 유흥을 실시하는 등, 관광·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도 많이 가지는 것이었다 [99] . 이러한 관광과 사찰 참배의 연결은 근대를 거쳐 현대에서도 계승되고 있으며, 관광에 있어서의 신사의 존재감은 큰 것이 되고 있다 [100] . 이 밖에 현재의 신사에 대한 신앙은 하츠미 , 오미야 참배 , 시치고산 , 결혼식 등 개인이나 가족의 연중 행사나 인생 의례에서 나타난다 [101] .

이하에서는, 특히 전국적으로 퍼진 신사 신앙에 대해 개관한다.

역사 편집 ]

고대 의 일본 에서 벼농사 의 전래에 의해 생긴 자연신앙 이 야마토왕권 에 의해 국가 제사 로 전파되어 율령제 에 의해 제도화된 것 등에 근거하여 신도의 연원이 형성되었다. 중세 에는 불교 이론과의 관계로부터 신도의 교리화·내면화가 모색되어 결국 불교와 독립적인 독자적인 교리·경전·제사를 가진 요시다 신도 가 형성되어 신도계의 주류가 되었다 . 또한 근세 에는 일본의 고전 연구에 신도가 통합됨으로써 국학 이 성립되어 도막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이렇게 근대 에 들어가면, 메이지 정부 에 의해 국가신도 체제가 형성되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 종결 후에는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의 근원으로 된 동체제는 해체되고, 현대 에 있어서는 종교법인 으로서 각지의 신사 가 활동 중이다.

참배 방법 편집 ]

간단한 참배 편집 ]

이쓰쿠시마 신사 (히로시마현 하츠카이치시)

다음은 일반적인 참배 의 흐름이다. 신사에 따라서는 작법이 다를 수 있다. 종종 그 취지의 표시가 있습니다.

참배를 하는 날은 매월 1일과 15일이 좋다고 한다. 참배하기 전에 본래는 하나님 앞으로 향하기 전에 심신을 깨끗하게 하는가 필요하다. 이것은 하나님이 ' 사랑 '을 싫어한다고 여겨지므로 [108] , 현대라면 일반 참배에서는 입욕 · 샤워 등으로 신체를 청결하게 하고 나서 참배하는 마음가짐이 바람직하다. 신사에 도착해, 도리 이나 신문 을 지나갈 때는 「코구스(신체를 15도 구부리는 인사. 회석에 상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에는 탈모하고 복장도 제대로 정돈하도록 한다.

다음 으로 수 수사 에서 손수 를 사용하여 수법을 씻는다. 이것은 박수 와 신배사주상을 하는 수법(또한 마음 )을 깨끗하게 하는 의미를 가지는, 하나의 禊이다. 손수의 작법으로서는,

  1. 우선, 손수사 앞에서 잔잔하다.
  2. 무대 를 오른손으로 가지고 물을 헹구고, 그 물을 왼손에 걸쳐 깨끗이 한다.
  3. 무늬를 왼손으로 바꾸고 오른손을 씻어 닦는다.
  4. 무늬를 다시 오른손으로 바꾸고, 푹 물을 왼손에 받고 모으고, 이 물로 입을 헹구었다. 입을 헹구면 입이 직접 무대에 닿지 않도록 한다.
  5. 이들이 끝난 뒤, 사용한 무늬 더미를 씻어 청정하지만, 이 때는 물을 넣은 무늬 더미를 세워, 무늬에 물을 흘리도록 해 씻는다. 무대를 씻는 데는 다음 사람을 위한 배려라는 의미도 있다.
  6. 씻어낸 무늬 삼나무는 원래의 위치에 엎드려 놓고 마지막으로 입과 손을 닦아 종이와 손수건 등으로 닦는다.
  7. 마지막으로 다시 한 번 잔잔하다.
  8. 이들 방법은 일련의 동작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무녀 의 보조가 붙는 경우에는, 작법은 무녀의 지시에 따르도록 한다. 수수 를 쓰고 끝나면 배례를 하기 위해 참배길 을 지나 사전으로 향한다. 신전에서는 우선 신에게의 제물 로서( 제물 을 바치는 것 외에 돈의 의미도 있다고 한다 다음 에 뱃전 상자 근처에 있는 종소리 를 울리지 만, 이것에는 사기를 지불한다 [108] 와 함께 신령의 발동을 바라는 등의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110] [111] .

스즈벨을 울린 후 배례를 한다. 배례의 기본적인 작법은 현재는 「재배 2박수 일배」(혹은 「2배 2박수 일배」 「2례 2박수 일례」)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108] . 즉,

  1. 배(신체를 90도 구부리는 인사)를 두 번 실시한다.
  2. 박수 를 두 번 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손을 가슴의 높이로 맞추어 맞추고, 오른손을 아래 방향으로 조금(손가락의 제1 관절 정도) 어긋나게 하고, 그 상태로 양손을 두 번 협의해 소리 를 내고, 어긋난 오른손을 다시 모여 기념을 담아 마지막으로 양손을 내린다 [112] .
  3. 일배한다.
  4. 신배사 를 연상하는 경우는 재배→신배사 연주→재배 2박수 일배의 순서로 실시한다.

라는 것. 재배 2박수 일배 전후에 심호(신체를 45도 구부리는 인사. 최경례에 상당)를 하면 더욱 정중하다. 기원을 하는 경우에는 두 박수와 일배 사이에 성명 및 거주지와 소원을 (소리내어 혹은 마음속에서) 씹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신은 감사를 말하고 싶은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참배시에는 눈을 감지 않고 눈을 뜬 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출전 ] . 정식 참배나 기도 등으로 옥꼬치 를 바치는 경우에는 상기의 심호와 재배 사이에서 옥꼬리에 기념을 담아 근본을 신전으로 향하도록 한다 [113] .

일부 신사에서는 작법이 다르고, 예를 들어 이즈모타이샤 와 우사진구 , 야히코 신사 에서는 '4박수'이다. 이세 신궁 이나 아 쓰다 신궁 에서의 신사에서는 「팔도배, 팔개수」가 되고 있다 [114] .

하나님 에 대한 제물
이쓰쿠시마 신사 에 봉납된 술통. 앞에 치후쿠가 보인다.
카토리 신궁 , 미타 우에 축제 미사이다에서의 제물. 카토리시.

주의사항 편집 ]

  • 신내에 불행이 있던 사람은 50일간(불식의 49일)을 경과할 때까지 신사 참배는 삼가할 필요가 있다 [108] [115] . 사귀 의 관념에서이다 [116] .
  • 하나님 앞에 바치는 어부는 불을 통한 것(숙상)을 제공할 경우 신성한 불꽃으로서 엄숙하게 일어난 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7] .
  • 일부 여성은 소리를 내며 박수해서는 안된다는 진설을 믿는 자가 있지만 실수이다. 원래 박수는 소리를 내는 것이고, 소리를 희미하게 세우는 박수는 「닌자」라고 말해, 성별 관계없이 장례로 사용하는 것이다 [118] .

신도 제파 편집 ]

신도를 소재로 한 작품 편집 ]

각주 편집 ]

각주 사용법 ]

주석 편집 ]

  1. ^ 다만 불교 를 불도라고 부르거나 유교 를 유학이라고 부른다. 또, 「기독교」는 메이지 이후의 말로, 안도 모모야마 시대 부터 에도 시대 에는 「기리탄」이라고 불렸다.
  2. ^ 교파 신도의 『신도 각파』에서 구별된 하나님의 길은 특히 국가 신도라고도 불리지만, 법률가나 행정 실무가는 이전부터 그것을 신사라고 부르는 것이 예였다 [22] . 현재는 정교분리 가 진행되어 '신사'의 어의가 변화하고 있어 국가신도를 단순히 '신사'라고 칭하는 것은 거의 없어졌다. 그러나 이런 국가신도의 개념·어를 창작·날조로 하는 설도 있다. 쇼와 26년의 종교법인법 에 의해, 많은 신사가 정부기관으로부터 이세신궁 을 중심으로 한 신사 본청 산하의 종교법인 으로 변경된 경위가 있다 [23] .

출처 편집 ]

  1. ^ 이것은 『종교연감』(문화청)에 근거한 신도 지지자로 여겨지는 자의 수로, 신사측의 자기 신고에 의한 것이다 『종교 연감령화 3년판』
  2. ↑ 신전 이라는 고전군이 경전으로 취급될 수 있음
  3. “ 전설 후 남조 신기 둘러싸는 비극, 지금에 전하는 조배식(나라현 가와카미무라) …|엔터테인먼트!|NIKKEI STYLE ”. web.archive.org (2017년 4월 9일) . 브라우징.
  4. ↑ 마츠무라 아키라 외(2018년). “ 디지털 대사천 ”. 쇼가쿠칸. 2019년 1월 8일 열람.
  5. b " _ 신도국제학회 의 홈페이지”. 2019년 6월 30일 열람.
  6.  오카다 소지 2010년 p.22-23
  7. b "세계 백과사전" pp. 217-218.
  8.  "신도" pp. 12-13.
  9. ↑ b 오카다소지 2010년 ⅲ페이지
  10. ↑ “ 나가노현 신사청의 홈페이지 ”. 2016년 3월 24일 열람.
  11. b "신도" p. 18.
  12. b 오오시마 히로유키 『이 한 권으로 「종교」를 알 수 있다!』미카사 서방
  13.  스에키 분미사 『중세의 신과 부처』 야마가와 출판사(2003) 6페이지
  14.  스에키 분미사 『중세의 신과 부처』 야마가와 출판사(2003) 14페이지
  15. ↑ 전국 역사 교육 연구 협의회 「일본사 B 용어집-A 병기」(개정판) 야마가와 출판사.
  16. "종교 연감 헤이세이 29년판" PDF )
  17. ↑ “ 일본의 종교 인구-2억과 2-3할의 괴의 해- PDF ) ”. 무사시노 대학 불교 문화 연구소 와타나베 코키. 2014년 7월 3일 열람.
  18. b "신도" p. 20.
  19. ↑ “ 주요제의 일람 ”. 미야우치청. 2018년 5월 24일 열람.
  20.  『세계대백과사전』 219쪽.
  21.  "신도" p. 134.
  22. 미야자와 슌의 “헌법 강화”(제2판) 이와나미 서점이와나미 신서〉, 1967년 6월 1일(원저 1967년 4월 20일), pp.28-29페이지.
  23.  이시하라 후지오, "야스쿠니 신사에 대한 질의응답"( 잔칸샤 , 2002년 12월 23일), p.26.
  24. ↑ “ 국가 신도 ”. 코트뱅크. 2019년 12월 16일 열람.
  25. 코바야시 선언(2020년 4월 10일). “ 커뮤니케이션 을 할 수 없는 일본의 신=자연 재해 대책 시책으로서의 제사의 역사 ”. 쿠니쿠인 대학 미디어 .
  26. ^ 오카다 켄지 편 「일본 신도사」요시카와 히로후미칸(2010), 68-69페이지
  27. ^ 오카다 켄지편 「일본 신도사」요시카와 히로후미칸(2010), 72페이지
  28. ^ 오카다 켄지 편 「일본 신도사」요시카와 히로후미칸(2010), 14-15페이지
  29. ^ 표기 예로서 『일본문덕천황실록』( 9세기 성립) 인수 원년( 851년 )에, 「신나가라(칸나스)」의 기술이 보인다.
  30.  『세계대백과사전』216쪽
  31. ↑ 타케미츠 마코토『사마 대국과 비야호의 사전』도쿄도 출판 , 96쪽.
  32. ^ 즉시 전기.
  33.  『세계대백과사전』216-217면.
  34.  "신도", 16쪽.
  35. i 미 바시 켄「결정판 알면 알수록 재미있다! 신도의 책」 서동사
  36. 이소마에 준이치「근대에 있어서의 「종교」개념의 성립 과정」 제3권(초판), 이와나미 서점〈근대 일본의 문화사〉(원저 2002년 1월 15일), 185쪽. ISBN  400011073X .
  37.  야마구치 휘신 『메이지 국가와 종교』 도쿄 대학 출판, 1995년.
  38. ^ 만요 집』권 제13「카키모토 조신인 마로 의 가집의 노래에 얽힌다」. 국가대관번호 3253번.
  39. c 일본 문화 연구소, Kokugakuin University, "Shinto Doctrine" Kobundo(1999), p.366
  40.  오쿠마 카즈오 『중세 신도론』 이와나미 서점(1977), 345쪽
  41.  오쿠마 카즈오 『중세신도론』 이와나미서점(1977), 348쪽
  42.  이시다 이치라 『신도 사상집』 쓰쿠마 서방(1970), 16쪽
  43.  오쿠마 카즈오 『중세 신도론』 이와나미 서점(1977), 355쪽
  44.  신사 본청편 「신사의 이로하 계속」 후소샤(2013), 101쪽
  45.  이토 사토시 「신도란 무엇인가」중공 신서(2012), 243페이지
  46.  이토 사토시 「신도란 무엇인가」중공 신서(2012), 237-238페이지
  47. ^ 한본 시마루 · 이시이 연사 편 「프리 스텝 신도학」히로 분도 (2011), 67 페이지
  48. ^ 평중도·아베 아키오편 “근세신도론·전기 국학” 이와나미서점(1972),545-550페이지
  49. ^ 한본 시마루 · 이시이 연사 편 「프리 스텝 신도학」히로 분도 (2011), 70 페이지
  50.  『일본사대사전』 평범사 1993년, 「국가신도」의 항 참조.
  51. ^ 한본 시마루 · 이시이 연사 편 「프리 스텝 신도학」히로 분도 (2011), 78 페이지
  52. ^ 스 가다 마사아키「재미있을수록 잘 아는 신도의 전부」일본문예사
  53. ↑ b 쿠니쿠인대학 일본문화연구소편 「신의 어의와 유형」 「신도사전」 히로몬도(1999), 37페이지
  54. ↑ d 쿠니쿠인대학 일본문화연구소편 「신의 어의와 유형」 「신도사전」 히로몬도(1999), 38페이지
  55. ↑ 나오키 타카지로 의 설, 1982년. 오카다 소지 2010년 24페이지.
  56.  「고신도의 책」학연 30페이지.
  57.  이시하라 후지오(Ishihara Fujio)의 "야스쿠니 신사에 대한 질문과 답변"( Zankansha , 2002년 12월 23일), p.52.
  58. ↑ 마에다 차오 "젊은 왕국의 역사 이야기" , 와세다 대학 출판부
  59.  『신도의 책』 학연 174, 175쪽.
  60. ^ 오카다 소지 2010년 ⅴ페이지
  61.  오카다 소지 2010년 15-16페이지.
  62.  『신사』 136쪽.
  63. ^ 시마다 히로미 신사에서 박수를 치지 마라!
  64.  신사 본청 감수 “신사의 이로하 계속” 후소샤(2013), 36페이지
  65.  신사 본청 감수 “신사의 이로하 계속” 후소샤(2013), 18페이지
  66.  신사 본청 감수 “신사의 이로하 계속” 후소샤(2013), 42-43페이지
  67.  신사 본청 감수 “신사의 이로하 계속” 후소샤(2013), 63페이지
  68. ^ 오카다 켄지편 “일본 신도사” 요시카와 히로후미칸(2010),140-148p
  69.  사토 마사토「신도와 불교」「신도사전」히로몬도(1999), 24-26p
  70. ↑ 넬슨 1996 , p. 7; 피켄 2011 , p. 40.
  71. ↑ Britanica Japan 2021d , p. "자연 숭배".
  72. ↑ Britanica Japan 2021e , p. "정령 숭배".
  73.  스크르비나, 데이비드. (2005). 서구의 범심론 . MIT 프레스. 0-262-19522-4
  74.  카루스, 폴. (1893). "범심론과 범비오티즘." 더 모니스트 . 권. 3, 2번. pp. 234–257. JSTOR  27897062
  75. ↑ 쇼가쿠칸 2021d , p. '사령 예배'.
  76. ↑ Britanica Japan 2021c , p. "원령".
  77. ↑ 쇼가쿠칸 2021a , p. "애니미즘".
  78. ↑ 평범한 회사 2021a , p. "Totem".
  79. ^ 남방 쿠마쿠스 “남방 쿠마쿠스 전집” 제2권 119페이지
  80. b Nigosian, SA(1994년 1월 1일), World Faiths , Bedford/st Martins; 제2판, pp. 217-218, ISBN 978-0312084141 
  81. saisei-itchi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22년 1월 10일 에 액세스함 .
  82. ^ 공공 신사 숲? 신도, 내재성과 담론적 세속화, Aike P. Rots, Japan Review 30 Special Issue(2017): p.187
  83. ↑ Saisei itchi 는 "the unity of religion and government" 또는 "the unity of ritual and government"로 직역되어 신도 고유의 개념으로 해설되어 있다
  84.  통일과 분리 사이: 일본의 종교와 정치, 1965-1977 Yanagawa Keiichi와 David Reid, 일본 종교 연구 저널 1979년 12월 6/4일. p.502
  85. Shogakukan 2021b , p. "원시 종교".
  86. Shogakukan 2021c , p. "원시 종교".
  87. c 일반 사회 2021d , p. "희생과 관리".
  88. Pingyuanshe 2021c , p. "희생과 관리".
  89. ↑ Britanica Japan 2021f , p. "제정 일치".
  90. ^ “이도 왕정 복고, 진무 창업 노시니 피위기, 제사 어이치신, 제정 일치 노어 제도 니 복지 유후 니 태하, 선제일 신기관 어 재흥어 조립 노상… 후략)」야스마루 료오 , 미야지 마사토 편 「일본 근대 사상 대계 5 종교와 국가」425 페이지
  91. b 산 1989년 , 84~100면.
  92. 사사키 (1984) , 4-11 페이지.
  93. ↑ 평범한 회사 2021b , p.
  94. ↑ c 사사키 (1973) , pp. 249-253.
  95. ↑ 『종교학사전』 마루젠 출판, 2010년, 311쪽.
  96. c 사카모토는 이시이 마루, 편집 "프레스텝 신도", 홍원도(2011), p.51
  97. ^ 한본 시마루·이시이 연사편 “프리스텝 신도학” 히로후미도(2011), 56페이지
  98. ^ 오카다 켄지 편 「일본 신도사」요시카와 히로후미칸(2010), 219-220페이지
  99.  신죠 조조 「사지와 교통」일본 역사 신서(1960), 118-119페이지
  100. 고바야시 선언. “데라사 관광이란 ”. 전국사 관광협회. 2021년 12월 23일 열람.
  101. ^ 오카다 켄지 편 「일본 신도사」요시카와 히로후미칸(2010), 324-325페이지
  102. 호가 수남『고대 씨족의 연구⑬ 천황씨족 천손족이 온 길』 아오가키 출판, 2018년.
  103. ^ 호가 슈오 「가미고사의 흐름의 개관 시론」 「고키 기노보마」, 2009년.
  104. b 호가 수남『고대 씨족의 연구⑬ 천황씨족 천손족이 온 길』 아오가키 출판, 2018년.
  105. ^ 호가 수남『고대 씨족의 연구
  106. ^ 호가 수남 『고대 씨족의 연구
  107.  호가 슈오 「카이 국조의 계보」 「고키 기노보마」, 2016년.
  108. d "신도" p. 120.
  109. ↑ “ 노동에 대해서 ” (일본어). 신사 본청. 2020년 2월 1일 열람.
  110. ^ 외산 하루히코, 『사라이』편집부 편 『신사의 견해』쇼가쿠칸 122페이지.
  111. ↑ “ 참배 때에 울리는 벨에 대해서 ” (일본어). 신사 본청. 2020년 2월 1일 열람.
  112.  『신도의 책』 105쪽.
  113.  신사 본청편 「신사제식 동행사 작법」91페이지
  114. ↑ 이자와 모토히코 신령의 나라 일본 p.32
  115. ↑ “ 복기 ”. 신사 본청. 2020년 2월 1일 열람.
  116.  『신도행법의 책』 학연 195쪽.
  117.  『신도의 책』43쪽.
  118. 호소기 수자의 참배 작법은 「오류」 전국의 신사로부터 불만 JCAST 뉴스, 2007/3/ 1
  119. b 신도의 책 - 800만개의 신들이 포도 비교적 제사의 세계 (NEW SIGHT MOOK Books Esoterica 2) 출판: 학습 연구사
  120. ↑ b 『신도 가이드』 무라카미 서점 1996년 1월 30일 발행 222쪽 중 180쪽

참고 문헌 편집 ]

관련 항목 편집 ]